KR102269264B1 - 화물 캐리어 - Google Patents

화물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264B1
KR102269264B1 KR1020207035548A KR20207035548A KR102269264B1 KR 102269264 B1 KR102269264 B1 KR 102269264B1 KR 1020207035548 A KR1020207035548 A KR 1020207035548A KR 20207035548 A KR20207035548 A KR 20207035548A KR 102269264 B1 KR102269264 B1 KR 10226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ar
roof rack
rack foot
roof
anch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108A (ko
Inventor
한네스 올라이손
마르쿠스 노르당오르드
요아킴 안데르손
요아킴 페르손
페테르 빅스트룀
요한 볼름스탐
빅토르 밀베리
Original Assignee
툴레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툴레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툴레 스웨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0014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바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에 관한 것이며, 크로스 바는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갖는 바닥 벽 및 크로스 바의 폭 방향으로 슬롯에 인접한 바닥 벽의 내측부에 받침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고, 슬롯은 중심선을 포함하고, 루프 랙 풋은 상부에 크로스 바의 바닥 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 차량의 루프에 루프 랙 풋을 클램핑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사이에 루프 레일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고, 제2 클램핑 부분은 앵커링 아암, 바람직하게는 판형 앵커링 아암을 포함하며, 슬롯을 통해 공동 내로 연장되고 앵커링 아암과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의 맞물림에 의해 크로스 바를 루프 랙 풋의 지지 표면에 로킹하도록 구성되며;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로킹될 때, 앵커링 아암이 받침 표면 상에 직립으로 서있고, 받침 표면 상의 평면도에서, 연장 각도로 크로스 바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화물 캐리어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roof rack foot)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그러한 루프 랙 풋 및 크로스 바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루프 랙에 관한 것이다.
루프 랙은 차량의 루프에 고정 가능한 바 세트를 포함한다. 루프 랙은 수화물, 자전거, 카누, 카약, 스키, 또는 다양한 캐리어 및 컨테이너와 같은 부피가 큰 물품을 운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루프 랙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폭 방향으로 루프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크로스 바를 포함한다. 크로스 바는 루프 랙 풋을 통해 차량 루프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루프 랙 풋이 있다. 차량 루프가 임의의 유형의 고정 수단, 예를 들어 루프 레일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루프 랙 풋은 루프와 도어 개구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클램프-랙(clamp-rack) 유형일 수 있다. 대안으로, 루프 랙 풋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에 클램핑될 수 있는 상승된 레일(raised-rail) 또는 플러시 레일(flush-rail) 유형일 수 있다. 상승된 레일은 차량 루프와 이격되어 제공되는 반면, 플러시 레일은 루프에 근접하여 연장되고 및/또는 심지어는 루프에 일체화된다. 크로스 바를 루프 랙 풋에 고정하기 위해, 루프 랙 풋은 크로스 바의 공동으로 삽입하기 위한 앵커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루프 랙 풋은, 예를 들어 EP 2 995 502 A1호, EP 2 586 661 A1호, 및 DE 10 2014 207 832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승용차 또는 상용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프 랙 풋은 또한 차량의 적재 플랫폼, 예를 들어 픽업 트럭의 적재 플랫폼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장착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차량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프로파일 요소이다. 크로스 바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갖는 바닥 벽을 포함한다.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은 주 연장 방향이다. 크로스 바의 바닥 벽은, 크로스 바가 의도한 방식으로 차량 루프에 장착될 때, 크로스 바의 밑면에 위치되는 표면이다. 슬롯은 크로스 바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크로스 바의 섹션만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크로스 바의 폭 방향으로 슬롯에 인접한 바닥 벽의 내측부에 받침 표면(abutment surface)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바닥 벽의 내측부는 크로스 바의 중심을 향해 배향되고 공동과 인접한다. 따라서,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은 크로스 바 내측에 제공되며 슬롯과 공동을 통해 외측에서 도달될 수 있다. 슬롯은, 슬롯의 대칭선일 수 있고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중심선을 포함한다.
루프 랙 풋은 상부에 크로스 바의 바닥 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을 포함한다. 지지 표면은 의도된 방식으로 차량 루프 상에 장착될 때 루프 랙 풋의 상부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루프 랙 풋은 루프 랙 풋을 차량의 루프에 클램핑하기 위한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은 그 사이에 차량 루프의 루프 레일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루프 레일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플러시 또는 상승된 레일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은 루프 랙 풋을 포드형 요소 상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포드형 요소는 차량 루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차량 루프 상에 제거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랙 풋의 제2 클램핑 부분은 앵커링 아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암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근위 단부는 물체에 제공되고 원위 단부는 상기 물체로부터 떨어져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아암은 판형 앵커링 아암이다. 판형 앵커링 아암은 길이, 폭 및 두께 연장부를 포함하고, 길이 및 폭 연장부는 두께 연장부보다 상당히 더 크며, 이는 앵커링 아암의 판형 형상을 의미한다. 판형 앵커링 아암의 두께는 일정하거나 전체 판형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변동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클램핑 부분은 크로스 바의 바닥 벽이 지지 표면 상에 지지될 때 슬롯을 통해 공동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클램핑 부분은 앵커링 아암과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의 맞물림에 의해 크로스 바를 루프 랙 풋의 지지 표면에 로킹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표면에 대한 크로스 바의 로킹은 루프 랙 풋의 의도된 사용 동안 가해지는 하중을 고정이 견딜 수 있도록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루프 랙 풋은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로킹될 때 앵커링 아암이 받침 표면 상에 직립으로 서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크로스 바에 로킹될 때, 앵커링 아암은 받침 표면 상에 놓이지 않는다. 달리 말해서, 로킹된 상태에서, 앵커링 아암의 주 연장 성분 중 하나는 적어도 받침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랙 풋은, 받침 표면 상의 평면도에서, 앵커링 아암이 연장 각도로 크로스 바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받침 표면 상의 평면도는 받침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의 도면일 수 있다. 더욱이, 멀어지게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은 앵커링 아암이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평면도에서 아암의 주 연장 방향은 크로스 바의 중심선에 수직인 성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앵커링 아암은 추가로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평면도에서의 주 연장은 중심선과 평행하다. 연장 각도는 상기 평면도에서 상기 앵커링 아암의 상기 주 연장과 상기 로킹된 상태에서 크로스 바의 슬롯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를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연장 각도는 앵커링 아암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충돌 테스트에서 보다 양호한 결과를 가능하게 하는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루프 랙 풋을 제공한다. 받침 표면에서 앵커링 아암의 직립 배향으로 인해, 받침 표면을 통해 앵커링 아암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유발되는 굽힘에 대해 매우 저항력이 있다. 더욱이, 앵커링 아암이 크로스 바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연장으로 인해, 앵커링 아암은 전체적으로 그 회전점에 더 가깝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 상에 가해지는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앵커링 아암이 크로스 바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연장으로 인해, 제2 클램핑의 회전점에 대한 앵커링 아암의 레버 변동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앵커링 아암 내측의 압력 구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들 모든 효과가 결합되어 매우 큰 안정성을 갖는 루프 랙 풋을 초래하여, 크로스 바와 루프 랙 풋 사이에 높은 고정력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마스킹되지 않은 검정색 윙바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루프 랙 풋의 비용과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링 아암은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한다. 제1 표면은 두께에 의해 획정될 수 있고 제2 표면은 앵커링 아암의 주 연장부, 즉 앵커링 아암의 길이 및 폭/높이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앵커링 아암이 판형 앵커링 아암인 경우, 제1 표면은 앵커링 아암의 전방면/전방 표면/단부 표면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2 표면은 그 판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루프 랙 풋은,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로킹될 때, 제1 표면은 받침 표면과 맞물리고, 받침 표면 상의 평면도에서, 제2 표면은 연장 각도로 크로스 바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면이 선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면, 상기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표면 섹션의 법선 벡터는 상기 선에 수직으로 배향되지 않는다. 달리 말해서, 상기 표면의 상기 섹션의 법선 벡터와 상기 선은 서로에 대해 90°와 상이한 각도로 배향된다. 제2 표면은 받침 표면에 수직으로 배향되거나 받침 표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표면은 평탄한 표면 또는 굽힘가공된 표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표면은 적어도 평탄한 및 굽힘가공된 섹션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은,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로킹될 때, 받침 표면에 수직으로 그리고 크로스 바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앵커링 아암의 단면도에서, 받침 표면을 따른 앵커링 아암의 연장부는 받침 표면에 수직인 앵커링 아암의 연장부보다 짧도록 구성된다. 달리 말해서, 상기 단면도에서, 앵커링 아암은 폭보다 높을 수 있다. 받침 표면에 수직인 앵커링 아암의 연장부는 상기 단면에서 상기 앵커링 아암의 높이와 관련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는 받침 표면에 수직인 연장부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과 맞물리는 앵커링 아암의 표면은 돌출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받침 표면과 맞물리는 전체 표면을 따라 또는 그 섹션에서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앵커링 아암의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앵커링 아암에 부착된 별도의 부품일 수 있다. 앵커링 아암에 다수의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돌출부는 앵커링 아암의 전체 두께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는 받침 표면과 점 및/또는 선과 같은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앵커링 아암의 원위 단부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력은, 예를 들어 앵커링 아암과 크로스 바 사이에 몇몇 유형의 형태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국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는 루프 랙 풋에 대한 크로스 바의 더 강력한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의 앵커링 아암은, 받침 표면 상의 평면도에서, 연장 각도에 접근하는 굽힘가공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앵커링 아암이 연장 각도로 매끄럽게 천이되어 안정성이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굽힘가공된 프로파일은 상기 평면도에서 앵커링 아암의 연장 길이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 존재한다. 연장 길이는 상기 평면도에서 근위 단로부터 원위 단부까지의 앵커링 아암의 길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 각도는 45°내지 90°이다. 그러한 다소 큰 연장 각도의 경우, 앵커링 아암 내측의 감소된 압력 구배 및 증가된 고정력의 전술한 기술적 효과가 특히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 각도는 60°내지 75°이고 70°일 수 있다. 이는 다소 큰 고정력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으로 앵커링 아암과 크로스 바의 충분히 큰 맞물림을 여전히 제공하여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이들 2개의 부품을 또한 로킹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링 아암은 판형 앵커링 아암이고 직사각형 단면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앵커링 아암이 종래의 금속 판으로 형성될 수 있어, 교차 효율적이다. 앵커링 아암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아암의 두께보다 적어도 1.5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배,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배 더 크다. 앵커링 아암의 높이와 두께의 그러한 치수 관계를 통해, 높은 안정성과 큰 고정력의 전술한 기술적 효과가 특히 잘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클램핑 부분은 크로스 바의 폭 방향으로 슬롯의 반대측에 있는 추가 받침 표면과 맞물리기 위한 추가 앵커링 아암을 더 포함한다. 달리 말해서, 루프 랙 풋은 크로스 바의 폭 방향으로 슬롯의 양 측부에 앵커링 아암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앵커링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받침 표면 상의 평면도에서,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로킹될 때 슬롯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슬롯의 양 측부에 제공되는 2개의 앵커링 아암은 루프 랙 풋 상에 크로스 바를 더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제2 클램핑 부분의 응력은 해당 부분을 크로스 바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클램핑 부분은,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로킹될 때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에 대해 직립으로 배향되는 2개의 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판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받침 표면 상의 평면도에서, 슬롯의 중심선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연장되고 서로 멀어져서 직립 앵커링 아암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앵커링 아암은 각각 연장 각도로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판 부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임의의 유형의 고정 수단을 통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강한 앵커링 아암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 표면 상의 평면도에서, 2개의 판 부분은, 중심선의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게 연장되고, 서로 멀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이격되어 있고, 앵커링 아암을 형성하도록 다시 서로 멀어지는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여러 섹션들은 나열된 순서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판 부분은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크로스 바의 바닥 벽 아래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판 부분은 단일 금속 판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으로, 2개의 판 부분을 서로 용접하거나 접착함으로써 일체형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매우 견고하지만 비용 효율적인 루프 랙 풋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은 조절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랙 풋이 차량 루프에 클램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레일이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은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및/또는 유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및/또는 제어 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크로스 바는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랙 풋의 지지 표면에 로킹된다. 예를 들어,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될 때,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은 사이에 루프 레일을 클램핑하도록 처음에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루프 레일이 제1 클램핑 부분과 제2 클램핑 부분 사이에 클램핑되면, 조절 메커니즘을 추가로 작동시킴으로써, 제2 클램핑 부분이 회전되어 앵커링 아암과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의 맞물림에 의해 크로스 바를 루프 랙 풋에 로킹시킬 수 있다. 제2 클램핑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표면 아래에 위치된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는 큰 레버를 허용하여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또한 크로스 바 및 본 발명의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루프 랙 풋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로스 바는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갖는 바닥 벽, 및 크로스 바의 폭 방향으로 슬롯에 인접한 바닥 벽의 내측부에 받침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슬롯은 중심선을 포함한다. 장치는,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로킹될 때, 받침 표면에 수직인 앵커링 아암의 연장부가 받침 표면에 수직인 공동의 연장부보다 짧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앵커링 아암의 상단과 공동의 상단 사이에 자유 공간이 있다. 달리 말해서, 앵커링 아암은 공동의 상단 표면에 로킹되지 않고 그 바닥 벽에만 로킹된다. 이는 복잡성이 낮은 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루프 랙에 관한 것이다. 개별 특징 및 그 이점에 대한 이해를 위해, 위의 내용을 참조한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승용차 또는 상용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프 랙 풋은 또한 차량의 적재 플랫폼, 예를 들어 픽업 트럭의 적재 플랫폼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장착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차량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프로파일 요소이다. 크로스 바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갖는 바닥 벽을 포함한다.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은 주 연장 방향이다. 크로스 바의 바닥 벽은, 크로스 바가 의도한 방식으로 차량 루프에 장착될 때, 크로스 바의 밑면에 위치되는 표면이다. 슬롯은 크로스 바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크로스 바의 섹션만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크로스 바 내측에 받침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받침 표면은, 예를 들어 바닥 벽의 내측부 및/또는 크로스 바의 상단 벽의 내측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받침 표면은 크로스 바의 공동에 인접한다.
루프 랙 풋은 상부에 크로스 바의 바닥 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을 포함한다. 지지 표면은 의도된 방식으로 차량 루프 상에 장착될 때 루프 랙 풋의 상부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루프 랙 풋은 루프 랙 풋을 차량의 루프에 클램핑하기 위한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은 그 사이에 차량 루프의 루프 레일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루프 레일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플러시 또는 상승된 레일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은 루프 랙 풋을 포드형 요소 상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포드형 요소는 차량 루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차량 루프 상에 제거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 랙 풋의 제2 클램핑 부분은 앵커링 부분을 포함한다. 제2 클램핑 부분은 크로스 바의 바닥 벽이 지지 표면 상에 지지될 때 슬롯을 통해 공동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클램핑 부분은 앵커링 부분과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의 맞물림에 의해 크로스 바를 루프 랙 풋의 지지 표면에 로킹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표면에 대한 크로스 바의 로킹은 루프 랙 풋의 의도된 사용 동안 가해지는 하중을 고정이 견딜 수 있도록 크로스 바가 루프 랙 풋에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제2 클램핑 부분은 배향면을 포함한다. 배향면은 제2 클램핑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표면이며, 이 표면은 편평/평탄할 수 있고 및/또는 곡률을 갖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을 나타낼 수 있다. 루프 랙 풋은, 앵커링 부분을 크로스 바의 공동에 삽입할 수 있는 루프 랙 풋의 작동 상태에서, 앵커링 부분의 공동 내로의 삽입을 단순화하도록 지지 표면에 대해 앵커링 부분의 각도 배향 고정을 위해 배향면이 루프 랙 풋의 위치 결정 표면 및/또는 크로스 바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각도 배향을 고정하는 것은 서로에 대해 이들 2개의 부품의 상대적인 피봇 용이성을 제한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회전성은 완전히 억제되거나 그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랙 풋이 크로스 바가 지지 표면 위로 활주될 수 있는 작동 상태에 있으면, 배향면이 위치 결정 표면과 맞물리고, 상기 맞물림은 지지 표면에 대한 앵커링 부분의 각도 유격/공차를 차단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한다. 그 결과, 루프 랙 풋과 크로스 바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단순화되는데, 그 이유는 앵커링 부분이 받침 표면 위로 튀어나와 서로에 대한 상기 2개의 부품의 상대적인 변위를 차단하는 것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은 제2 클램핑 부분의 앵커링 부분이 지지 표면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1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1 작동 상태에서, 루프 랙 풋이 의도된 방식으로 루프 레일에 장착될 때 앵커링 부분의 회전점이 지지 표면 아래에 제공된다. 루프 랙 풋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향면이 위치 결정 표면에 맞닿는 제2 작동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작동 상태에서, 앵커링 부분의 회전성은 배향면과 위치 결정 표면의 맞물림에 의해 억제되거나 적어도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2 작동 상태에서, 앵커링 부분은 지지 표면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없다. 작동 상태 둘 모두는 정상 작동 중에 루프 랙 풋의 작동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은 조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랙 풋은 제1 작동 상태로부터 제2 작동 상태로 및/또는 그 반대로 전환될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은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및/또는 유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및/또는 제어 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은 제2 작동 상태에서 서로 최대로 이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이 서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는 반면, 이 이동에 의해, 제2 클램핑 부분의 배향면은 루프 랙 풋 및/또는 크로스 바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결정 표면을 향해 이동되어 앵커링 부분 및 지지 표면의 각도 배향을 서로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은 상단 표면 및 바닥 표면을 갖는 지지 섹션을 포함한다. 상단 표면은 지지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및/또는 바닥 표면은 위치 결정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배향면이 맞닿는 위치 결정 표면은 지지 섹션의 밑면에 위치될 수 있는 반면, 크로스 바는 반대측, 즉 상부측에서 지지 섹션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클램핑 부분은 지지 섹션을 통해 바닥으로부터 상단 표면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 표면에 대한 앵커링 부분의 각도 배향은 간단하고 복잡성이 낮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클램핑 부분은 지지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앵커와, 앵커에 부착되고 지지 섹션의 바닥 표면 아래에 제공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배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리브는 교환이 가능하게 하도록 앵커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슬리브를 교환함으로써 상이한 배향면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이한 크로스 바 구성에 대한 루프 랙 풋의 간단한 적응성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섹션은 지지 섹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및 지지 섹션의 폭 방향으로 슬롯의 양 측부에 바닥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위치 결정 표면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지지 섹션의 슬롯의 양 측부에 있는 2개의 위치 결정 표면에 맞닿는 2개의 배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슬롯의 양 면에 있는 2개의 위치 결정 표면과 2개의 배향면의 맞물림은 크로스 바를 루프 랙 풋 상에 장착할 때 제2 클램핑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의 효율적인 보상을 허용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인 루프 랙 풋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는 배향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멀어지게 연장하는 2개의 탭을 포함한다. 탭은 날개로 형성될 수 있다. 탭을 통해 배향면을 제공함으로써, 배향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클램핑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상하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전체 슬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안정성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비용 효율적인 루프 랙 풋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또한 크로스 바 및 본 발명의 제2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루프 랙 풋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로스 바는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갖는 바닥 벽 및 크로스 바 내측에 받침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루프 랙에 관한 것이다. 개별 특징 및 그 이점에 대한 이해를 위해, 위의 내용을 참조한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승용차 또는 상용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프 랙 풋은 또한 차량의 적재 플랫폼, 예를 들어 픽업 트럭의 적재 플랫폼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루프 랙 풋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클램프-랙 유형, 상승된 레일 유형 및/또는 플러시 레일 유형일 수 있다. 대안으로, 루프 랙 풋은 임의의 다른 유형일 수 있다. 크로스 바는 장착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차량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프로파일 요소이다.
루프 랙 풋은 구동 장치를 갖는 조절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루프 랙 풋은 구동 장치를 통해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및/또는 크로스 바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은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및/또는 유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외부 도구를 위한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으로, 구동 장치는 손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는 손잡이 및/또는 레버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루프 랙 풋은 조절 메커니즘의 구동 장치를 덮기 위한, 해제 버튼을 갖는 보호 덮개를 포함한다. 보호 덮개를 통해, 구동 장치는 외부 외란, 예를 들어 먼지 및 비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더욱이, 보호 덮개는, 예를 들어 루프 랙 풋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조절 메커니즘의 허용되지 않은 구동을 금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루프 랙 풋은 해제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보호 가능한 덮개가 구동 장치를 노출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해제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루프 랙 풋으로부터 보호 덮개가 제거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보호 덮개는, 예를 들어 구동 장치를 노출시키도록 해제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힌지를 통해 피봇될 수 있다. 따라서, 해제 버튼을 가압하여 구동 장치를 노출시킴으로써, 보호 덮개가 루프 랙 풋으로부터 결합 해제되거나 그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가능한 덮개는 해제 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프 랙 풋은 간단하고 편안한 방식으로 조절 메커니즘의 구동 장치의 노출을 허용한다. 특히, 보호 덮개는 해제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한 손으로만 구동 장치를 노출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후에 다른 손으로 조절 메커니즘을 구동할 수 있다. 이는 구동 장치가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사용자는 다른 손으로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절 메커니즘을 구동시키기 위한 도구를 유지하는 동안 한 손으로 해제 버튼을 가압하여 구동 장치를 노출시킬 수 있다. 구동 장치가 노출되면, 도구를 기계적 인터페이스와 직접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버튼은 루프 랙 풋의 장착된 상태에서 보호 덮개의 바닥측에 제공된다. 이는, 루프 랙 풋이 SUV 또는 밴과 같이 비교적 높은 차량에 장착된 경우에도 해제 버튼에 대한 용이한 액세스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해제 버튼은 보호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상향으로 가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은 덮개 수용부 및 맞물릴 때 덮개 수용부에 덮개를 로킹하는 덮개 로킹 장치를 포함한다. 덮개 수용부는 덮개가 수용될 수 있는 루프 랙 풋의 개구일 수 있다. 해제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로킹 장치가 해제되어 덮개를 이동시켜 조절 메커니즘의 구동 장치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장치는 덮개 수용부 상의 제1 돌출부 및 제1 돌출부와 맞물리기 위한 보호 덮개 상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해제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제2 돌출부는 제1 돌출부와 맞물림 해제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 로킹 장치는 덮개 수용부 상의 돌출부 및 덮개 상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해제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돌출부는 오목부와 맞물림 해제되도록 이동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장치는 언더컷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언더컷은 제1 돌출부에 대향하여 덮개 수용부에 제공될 수 있다. 로킹 장치는 언더컷에 삽입하기 위한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후크는 제2 돌출부에 대향하여 덮개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장치는 서로 맞물리게 될 수 있는 덮개/덮개 수용부의 대향 측부에 2개의 상보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덮개 수용부에 덮개의 간단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 돌출부를 밀어서 서로 맞물리게 하기 전에 후크가 언더컷에 삽입된다. 이 실시예는 또한 상기 2개의 돌출부의 맞물림만이 해체되면 되기 때문에 덮개의 간단한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덮개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갖는 스윙 아암을 포함하고, 해제 버튼은 스윙 아암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제2 돌출부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스윙 아암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윙 아암은 덮개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고 및/또는 그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도록 감소된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윙 아암은, 루프 랙 풋의 정상 작동 동안 사용자에 의해 해제 버튼에 가해진 힘에 의해 제2 돌출부가 제1 돌출부와 맞물림 해제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스윙 아암이 힌지 및/또는 관절부를 통해 나머지 덮개에 부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은, 보호 덮개가 손가락으로 해제 버튼을 가압한 후에 해제 버튼을 여전히 가압하면서 가압 방향에 수직으로 손가락을 이동함으로써 덮개 수용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루프 랙 풋의 그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한 손가락만으로 보호 덮개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루프 랙 풋으로부터 보호 덮개를 제거하는 동안 다른 손 및/또는 해제 버튼을 누르는 손으로 물체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덮개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덮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완전히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복잡성이 낮은 비용 효율적인 루프 랙 풋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루프 랙 풋을 포함하는 루프 랙에 관한 것이다.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승용차 또는 상용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프 랙 풋은 또한 차량의 적재 플랫폼, 예를 들어 픽업 트럭의 적재 플랫폼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루프 랙 풋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클램프-랙 유형, 상승된 레일 유형 및/또는 플러시 레일 유형일 수 있다. 대안으로, 루프 랙 풋은 임의의 다른 유형일 수 있다. 크로스 바는 장착된 상태에서 폭 방향으로 차량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프로파일 요소이다.
루프 랙 풋은 클램핑 부분 및 조절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조절 메커니즘은 구동 장치를 갖는 구동 요소, 및 맞물림 요소를 포함한다. 구동 요소는 맞물림 구역에서 맞물림 요소와 이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맞물림 구역은 조절 메커니즘의 구동 요소와 맞물림 요소가 서로 연결된 구역일 수 있다. 구동 장치를 통해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랙 풋은 클램핑 부분을 통해 루프 및/또는 크로스 바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은 구동 장치를 통해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및/또는 유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루프 랙 풋은 조절 메커니즘을 작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맞물림 구역이 루프 랙 풋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조건에서 클램핑 부분의 대향 측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루프 랙 풋의 작동 상태는 루프 랙 풋의 정상 작동 중에 도달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요소 및 맞물림 요소의 맞물림 구역은, 조절 메커니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가 위치되는 영역으로부터 떨어져, 즉 클램핑 부분 후방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 조절 범위가 큰 조절 메커니즘의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되고, 큰 조절 범위는, 예를 들어 다양한 치수의 루프 레일에 루프 랙 풋을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 및 맞물림 구역은 루프 랙 풋의 모든 작동 조건에서 클램핑 부분의 대향 측부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요소는 너트이고 맞물림 요소는 나사식 볼트이며, 너트는 맞물림 구역에서 볼트와 나사 연결된다. 그러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구동 요소는 나사식 볼트를 포함하고 맞물림 요소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는 도구를 위한 기계적 인터페이스, 바람직하게는 육각형 구멍, 및/또는 손으로 회전하기 위한 그립 부분을 나타낸다. 너트의 회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육각형 구멍을 제공하면 콤팩트한 배열의 조절 메커니즘이 가능하게 된다. 손으로 회전하기 위한 그립 부분의 추가 제공은 도구 없이 조절 메커니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너트는 클리어런스 홀을 나타낸다. 클리어런스 홀은 전체 너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클리어런스 홀은 단부 부분에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다른 단부 부분에 내부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리어런스 홀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단부 부분 사이에 기계적 인터페이스 및 내부 나사부가 없다. 이는 간단한 구성의 너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 부분은 구동 요소가 관통 연장되는 개구를 나타내며, 구동 요소는 클램핑 부분과 맞물리기 위한 숄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숄더는 구동 장치가 위치되는 측부, 즉 맞물림 구역의 대향하는 측부에서 클램핑 부분과 맞물린다. 숄더는 구동 요소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앙에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요소와 맞물림 요소를 다른쪽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숄더는 클램핑 부분과 맞물리게 되어 클램핑 부분을 변위시킬 수 있으며, 이 변위는 클램핑 부분을 통해 루프 랙 풋을 루프 및/또는 크로스 바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요소, 예를 들어 너트는 바람직하게는 냉간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강력하고 비용 효율적인 구동 요소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랙 풋은 루프 랙 풋을 차량의 루프에 클램핑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사이에 루프 레일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는 제1 클램핑 부분의 반대쪽에 있는 제2 클램핑 부분의 측부에 제공될 수 있고, 맞물림 구역은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맞물림 구역을 2개의 클램핑 부분 사이의 영역에서 그리고 구동 장치의 위치에서 멀어지게 이동시킴으로써, 넓은 조절 범위를 가진 콤팩트한 조절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루프 랙 풋을 포함하는 루프 랙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랙 풋 및 크로스 바를 포함하는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른 장치의 단순화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크로스 바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B-B 선을 따른 크로스 바의 단순화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루프 랙 풋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루프 랙 풋을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루프 랙 풋을 저면도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선 E-E를 따른 루프 랙 풋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5의 루프 랙 풋의 제1 클램핑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3은 도 5의 루프 랙 풋의 제2 클램핑 부분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의 제2 클램핑 부분의 앵커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5는 제2 클램핑 부분과 크로스 바의 상호 작용을 보여주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선 F-F를 따른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제2 클램핑 부분의 슬리브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7은 도 13의 제2 클램핑 부분의 슬리브를 배면도로 도시한다.
도 18은 제2 클램핑 부분의 슬리브와 제1 클램핑 부분의 상호 작용을 보여주기 위해 도 6의 선 C-C를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2 클램핑 부분의 슬리브와 제1 클램핑 부분의 상호 작용을 보여주기 위해 도 6의 선 D-D를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5의 루프 랙 풋의 덮개 수용부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1은 도 5의 루프 랙 풋의 덮개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2는 도 21의 덮개를 저면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3은 도 21의 덮개를 저면도로 도시한다.
도 24는 도 6의 선 E-E를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 덮개만을 도시한다.
도 25는 도 6의 선 E-E를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 덮개 수용부만을 도시한다.
도 26은 도 6의 선 E-E 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 덮개 및 덮개 수용부의 조합을 도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랙 풋 및 크로스 바를 포함하는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의 장치의 루프 랙 풋을 사시도로 도시하는데, 덮개가 제거되어 있다.
도 29는 도 28의 루프 랙 풋을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루프 랙 풋의 조절 메커니즘의 너트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1은 도 30의 너트를 선 G-G를 따른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랙 풋(1) 및 크로스 바(2)를 포함하는 장치(100)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크로스 바(2)는 투명한 방식으로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루프 랙 풋(1)은 제1 클램핑 부분(3) 및 제2 클램핑 부분(4)을 포함한다. 제1 클램핑 부분(3)은 클램핑 섹션(3.1) 및 지지 섹션(3.2)을 포함하고, 이들 2개의 섹션(3.1, 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단면도에서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룬다. 제1 클램핑 부분(3)의 지지 섹션(3.2)은 상단 표면을 포함하고, 상단 표면은 그 위에 크로스 바(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5)을 형성한다. 제2 클램핑 부분(4)은 루프 랙 풋(1) 상에 크로스 바(2)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링 부분(6)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른 장치(100)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의 장착된 상태에서, 크로스 바(2)는 제1 클램핑 부분(3)의 지지 섹션(3.2)의 지지 표면(5) 위에 놓인다. 더욱이,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링 부분(6)은 제1 클램핑 부분(3)의 지지 섹션(3.2)의 지지 표면(5) 상으로 크로스 바(2)를 가압하도록 크로스 바(2) 내측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100)는 차량의 루프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00)는 상승된 레일 유형의 루프 레일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은 승용차일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루프 레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루프 레일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루프의 좌측 및 우측 주변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어 제공된다. 상기 루프 레일 중 하나는 장치(100)를 차량 루프에 고정하기 위해 루프 랙 풋(1)의 제1 클램핑 부분(3)과 제2 클램핑 부분(4)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장치(100)는 장치(100)의 크로스 바(2)를 차량의 다른 반대쪽 루프 레일에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루프 랙 풋(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 바(2)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한 루프 랙 풋(1)과 함께 차량의 좌측 및 우측 루프 레일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제1 장치(1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루프 레일에 추가 크로스 바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추가 루프 랙 풋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차량의 루프에 장착될 수 있는 2개의 장치는 루프 랙을 구성할 수 있다. 추가 장비, 예를 들어 루프 바스켓, 자전거 캐리어 및/또는 루프 박스가 루프 랙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추가 장비는 예를 들어 양쪽 크로스 바에 고정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100)의 크로스 바(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선 B-B를 따른 도 3의 크로스 바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바(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프로파일 요소(7)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요소(7)는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 바(2)는 길이방향(U)과 폭 방향(Wc)을 포함하고, 길이방향(Lc)은 크로스 바(2)의 주 연장 방향을 구성하고 폭 방향(Wc)은 길이방향(Lc)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크로스 바(2)가, 예를 들어 의도된 방식으로 장착될 때 차량 루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크로스 바(2)의 프로파일 요소(7)는 상단 벽(7.1), 바닥 벽(7.2) 및 2개의 측벽(7.3 및 7.4)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 벽(7.1)은, 전술한 추가 장비를 크로스 바(2) 상에 장착하게 할 수 있는 고정 수단(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T-피스를 수용하도록 크로스 바(2)의 길이방향(Lc)으로 연장되는 홈(8)을 형성할 수 있다. 홈(8)은 천장 요소(8.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천장 요소(8.1)는, 홈(8)이 상기 천장 요소(8.1)에 의해 덮여 있는 동안 고정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홈(8)을 따라 활주되게 하도록, 천장 요소의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립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 바(2)의 바닥 벽(7.2)은 크로스 바의 길이방향(Lc)으로 연장되는 슬롯(1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0)은 중심선(c)을 포함하고 크로스 바(2)의 외측을 그 내측과 연결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한다. 또한, 크로스 바(2)는 상단 표면(7.1)으로부터 바닥 표면(7.2)까지 크로스 바(2) 내측에서 연장되는 2개의 내부 벽(7.5 및 7.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벽(7.5 및 7.6)은 크로스 바(2)의 폭 방향(Wc)으로 슬롯(10)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벽(7.5, 7.6), 상단 벽(7.1)의 내측, 및 바닥 벽(7.2)의 내측은 슬롯(10)과 연결되는 공동(9)을 형성할 수 있다. 받침 표면(11, 11.1)이 공동(9)에 인접한 바닥 벽(7.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 표면(11 및 11.1)은 크로스 바(2)의 폭 방향(Wc)으로 양쪽에서 슬롯(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장치(100)의 루프 랙 풋(1)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루프 랙 풋(1)은 제1 클램핑 부분(3) 및 제2 클램핑 부분(4)을 포함한다. 제1 클램핑 부분은 실질적으로 L 형태로 서로에 대해 배치될 수 있는 클램핑 섹션(3.1) 및 지지 섹션(3.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L의 짧은 아암은 클램핑 섹션(3.1)에 의해 형성되고 긴 아암은 지지 섹션(3.2)에 의해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의 루프 랙 풋(1)의 평면도 및 저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 섹션(3.2)은 상단 표면(14) 및 바닥 표면(15)을 포함한다. 루프 랙 풋(1)은 지지 섹션(3.2)의 상단 표면(14)과 바닥 표면(15) 사이에서 높이 방향(HR)으로 연장되는 슬롯(12)을 포함하고, 슬롯(12)은 루프 랙 풋(1)의 길이방향(LR)으로 더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롯(12)은 그 폭 방향(WR)으로 루프 랙 풋(1)에 대칭적으로 제공된다. 상단 표면(14)은 상부에 크로스 바(2)의 바닥 벽(7.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5)을 형성한다. 더욱이, 상단 표면(14) 상에는, 도 4에 도시된 크로스 바(2)의 공동(9)으로 활주될 수 있는 안내 요소(13 및 13.1)가 제공된다. 안내 요소(13 및 13.1)는 루프 랙 풋(1)의 길이방향(LR)으로 슬롯(12)의 앞 및 후방에 제공된다. 더욱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 섹션(3.2)의 바닥 표면(15)은 루프 랙 풋(1)의 폭 방향(WR)에서 지지 섹션(3.2)의 슬롯(12)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위치 결정 표면(16 및 16.1)을 형성한다. 루프 랙 풋(1)의 길이방향(LR)에서, 위치 결정 표면(16, 16.1)은 슬롯(12)의 단부 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단부 부분은 제1 클램핑 부분(3)의 클램핑 섹션(3.1)으로부터 이격 방향에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클램핑 부분(3)은 실질적으로 4개의 주 구성요소(17, 19, 22, 27)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베이스 부분(17)은 L 형상이고 클램핑 섹션(3.1) 및 슬롯(12)을 갖는 지지 섹션(3.2)을 형성한다. 베이스 부분(17)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17)은 상단 표면(14)을 형성하고 따라서 또한 지지 표면(5) 뿐만 아니라 제1 클램핑 부분(3)의 안내 요소(13 및 13.1)를 형성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클램핑 부분(3)은 또한 덮개 수용부(18)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수용부(18)는 상기 베이스 부분(17)에 의해 형성된다. 덮개 수용부(18)는 조절 메커니즘(43)의 구동 바(45)가 통과하게 하는 개구(18.1)를 포함하며, 조절 메커니즘(43)은 다음에서 설명된다.
제1 클램핑 부분(3)은 또한 도 11에 도시된 유지 부분(19)을 포함한다. 유지 부분(19)은 또한 실질적으로 L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분(17)의 밑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 부분(19)은 L 형태의 긴 다리에 형성된 중앙 내부 개구(20)를 포함한다. 평면형 연장부(21)(도 11에 단 하나의 연장부만 도시됨)는 유지 부분(19)의 개구(20) 내측에서 서로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평면형 연장부(21)의 바닥측은 도 7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위치 결정 표면(16 및 16.1)을 형성한다.
제1 클램핑 부분(3)은 또한 도 10에 도시된 안내 부분(22)을 포함한다. 안내 부분(2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 프레임(23)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개구(24)를 둘러싼다. 더욱이, 안내 부분(22)은 각각 상부 프레임 요소(23)에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판형 안내 부재(25, 25.1)를 포함한다. 개구(24)를 향한 내측에서, 안내 요소(25 및 25.1)는 각각 안내 표면(26)(그 중 하나만 도 10에 도시됨)을 형성한다. 안내 부분(22)은 서로 조립될 때 도 9에 도시된 베이스 부분(17)과 도 11에 도시된 유지 부분(19) 사이에 고정된다. 조립될 때, 베이스 부분(17)의 슬롯(12), 안내 부분(22)의 개구(24) 및 유지 부분(19)의 개구(20)는 서로 정렬되어 제1 클램핑 부분(3)의 상단 표면(14)으로부터 바닥 표면(15)으로 연장되는 개구를 제공한다.
또한, 제1 클램핑 부분(3)은 도 12에 도시된 레일 부분(27)을 포함한다. 레일 부분(27)은 유지 부분(19)의 밑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루프 레일과 맞물리기에 최적화된 표면 윤곽 및/또는 재료 특성을 제공한다. 레일 부분(27)은 교환 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루프 랙 풋(1)의 제2 클램핑 부분(4)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제2 클램핑 부분(4)은 앵커(28) 및 슬리브(2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앵커(28)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금속 판으로 제조된다. 앵커(28)는 실질적으로 2개의 판 부분(30 및 31)을 포함하며, 판 부분은 서로 평행하지만 바닥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앵커(28)의 상단 부분에서 서로 근접하게 인접하여 연장된다. 바닥 부분에서 서로 이격된 판 부분(30, 31)은 연결 링크(32)를 통해 상기 바닥 부분에서 서로 연결된다. 더욱이, 앵커(28)는 서로 및 연결 링크(32)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평면형 돌출부(30.1 및 31.1)를 포함한다. 평면형 돌출부(30.1, 31.1)는 앵커(28)의 바닥 부분에 제공된다. 판 부분(30 및 31)이 서로 근접하여 인접하게 연장되는 앵커(28)의 상단 부분은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을 갖는 앵커링 부분(6)을 구성하며, 이는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앵커(28)의 판 부분(30, 31)은 각각 조절 메커니즘(43)의 구동 볼트(46)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33, 34)를 포함하며, 이는 또한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보어(33, 34)는 앵커(28)의 평면형 돌출부(30.1, 31.1)와 앵커링 부분(6) 사이에 위치된다.
제2 클램핑 부분(4)의 슬리브(29)는 도 16 및 도 17에서 사시도 및 배면도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체 슬리브(29)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단일 부품으로 제조된다. 슬리브(29)는 평행하지만 이격된 판 부분(30 및 31) 뿐만 아니라 앵커(28)의 바닥 부분의 연결 링크(31)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챔버(35)를 포함한다. 게다가, 슬리브(29)는 앵커(28)의 평면형 돌출부(30.1 및 31.1)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및 제3 챔버(36, 37)를 포함한다. 슬리브(29)는 루프 랙 풋(1)의 정상 작동 동안 그 위에 고정되도록 앵커(28)의 바닥 부분 상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슬리브(29)는 서로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슬리브(29)의 제1 챔버(35)의 측부에 장착되는 2개의 탭(38, 39)을 포함한다. 2개의 탭(38, 39)은 슬리브(29)의 상단 부분에 장착되고 상향 연장되어, 슬리브(29)의 높이 방향에서 가장 높은 도달 부분을 구성한다. 탭(38, 39)의 상단 표면은 각각 배향면(40, 4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향면(40 및 41)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평면형 표면이다. 더욱이, 슬리브(29)는, 예를 들어 도 7에서 볼 수 있는 레일 표면(42)을 포함한다. 레일 표면(42)은 차량 루프의 레일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 표면(42)은 탭(38, 39) 및 배향면(40, 41)의 반대쪽에 있다.
도 5 내지 도 8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28)는,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링 부분(6)이 루프 랙 풋(1)의 상단 표면(14) 및 따라서 지지 표면(5) 위에 위치되도록 제1 클램핑 부분(3)의 슬롯(12)을 통해 연장된다. 한편, 제2 클램핑 부분(4)의 슬리브(29)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 부분(3)의 바닥 표면(15) 아래에 위치된다. 더욱이, 루프 랙 풋(1)은 제2 클램핑 부분(4)이 제1 클램핑 부분(3)의 슬롯(12)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루프 랙 풋(1)은 제2 클램핑 부분(4)을 제1 클램핑 부분(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 메커니즘(43)을 더 포함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절 메커니즘(43)은 구동 바(45)에 연결된 구동 장치(44)를 포함하고, 구동 바(45)는 구동 볼트(46)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 8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장치(44)는 덮개 수용부(18)에 제공되고, 구동 바(45)는 개구(18.1)를 통해 클램핑 섹션(3.1)으로부터 지지 섹션(3.2) 및 제2 클램핑 부분(4)을 향해 연장된다. 구동 볼트(46)는 보어(33, 34)에서 지지되고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28)에 기계적으로 로킹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볼트(46)는 도 10에 도시된 제1 클램핑 부분(23)의 안내 부분(22)의 안내 표면(26)과 맞물린다. 조절 메커니즘(43)의 구동 장치(44)를 구동시킴으로써, 제2 클램핑 부분(4)은 구동 볼트(46) 및 구동 바(45)를 통해 상대적으로 제1 클램핑 부분(3)의 클램핑 섹션(3.1)에 대해 이동된다. 제1 클램핑 부분(3) 및 제2 클램핑 부분(4)의 그러한 상대적인 이동은 제1 클램핑 부분(3)의 안내 부분(22)의 안내 표면(26)과 구동 볼트(46)의 접촉에 의해 안내된다.
도 18 및 도 19는 제1 클램핑 부분(3)과 제2 클램핑 부분(4)이 각각 도 6의 선 C-C(도 18) 및 선 D-D(도 19)를 따라 서로 최대로 이격된 작동 상태에서 루프 랙 풋(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작동 상태는 조절 메커니즘(43)을 구동시킴으로써 도달된다. 도 18 및 도 19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작동 상태에서, 제2 클램핑 부분(4)의 슬리브(29)의 탭(38 및 39)의 배향면(40 및 41)은, 도 7에도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 부분(3)의 바닥 표면(15) 상의 위치 결정 표면(16 및 16.1)에 맞닿는다. 위치 결정 표면(16 및 16.1)과 배향면(40, 41)의 이 맞닿음으로 인해, 제2 클램핑 부분(4)의 각도 배향은 제1 클램핑 부분(3)에 대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맞닿음에 의해,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28)의 앵커링 부분(6)의 각도 배향은 제1 클램핑 부분(3)의 지지 섹션(3.1)에 의해 형성된 지지 표면(5)에 대해 그 각도 배향이 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작동 상태에서,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28)의 앵커링 부분(6)은 제1 클램핑 부분(3)의 지지 섹션(3.2)의 지지 표면(5)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링 부분(6)은, 크로스 바의 받침 표면(11)과 상기 앵커링 부분(6)의 맞물림이 금지되기 때문에, 크로스 바(2)의 공동(6) 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조절 메커니즘(43)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랙 풋(1)은, 슬리브(29)의 탭(38, 39)의 배향면(40, 41)이 제1 클램핑 부분의 위치 결정 표면(16, 16.1)과 맞물리지 않는 상이한 작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상이한 작동 상태에서, 앵커링 부분(6)은 제1 클램핑 부분(3)의 지지 표면(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28)의 앵커링 부분(6)은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은 판형이고 직사각형 단면을 보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앵커링 아암(30.2, 31.2)은 앵커(28)의 판 부분(30, 31)으로 형성되어 앵커(28)와 일체로 형성된다. 크로스 바(2)를 루프 랙 풋(1)의 제1 클램핑 부분(3)의 지지 표면(5)에 로킹하기 위해,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링 부분(6)이 크로스 바(2)의 공동(9) 내에 삽입된다. 이 단계 동안, 제1 클램핑 부분(3) 및 제2 클램핑 부분(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향면(40, 41)이 제1 클램핑 부분의 위치 결정 표면(16, 16.1)과 맞물리도록 서로 최대로 이격된다. 이어서, 조절 메커니즘(43)이 제2 클램핑 부분(4)을 제1 클램핑 부분(3)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동되어 그 사이에 루프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클램핑한다.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3, 4)이 루프 레일(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하면, 조절 메커니즘(43)은 제2 클램핑 부분(4), 즉 앵커링 부분(6)을 크로스 바(2)의 공동(9) 내에 형성된 받침 표면(11, 11.1)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추가로 구동된다. 이 회전을 통해, 앵커링 부분(6)의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이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 11.2)과 맞물리게 되어 크로스 바(2)를 루프 랙 풋(1)의 지지 표면(5) 위로 가압한다. 이 상태는 도 2(A-A를 따른 단면도) 및 도 15(F-F를 따른 확대 길이방향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 11.1) 상의 평면도를 보면, 앵커(28)의 판 부분(30, 31)은 슬롯(10)의 중심선(c)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그리고 슬롯(10)의 중심선 c에 대해 대칭적으로 연장되고(섹션 a), 중심선(c)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멀어지며(섹션 b),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중심선(c)에 대해 대칭적으로 연장되고(섹션 d), 중심선(c)에 대해 여전히 대칭적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멀어져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을 형성한다(섹션 e). 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 11.1) 상의 전술한 평면도에서, 섹션(e)에서만, 판 부분(30 및 31), 즉 앵커링 아암(30.2, 31.2)이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 및 11.1) 위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평면도에서, 섹션 a, b 및 d에서, 판 부분(30 및 31)은 받침 표면(11, 11.1) 위가 아니라 슬롯(10) 위에 위치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은 연장 각도(α)에 접근하도록 굽힘가공된다. 직선 섹션(d)에서 연장 각도(α)로의 천이는 매끄럽게 형성되어, 상기 굽힘가공된 프로파일은 상기 평면도에서 앵커링 아암 연장 길이(I)의 절반에 걸쳐 존재하며, 연장 길이(I)는 항상 두께 방향(t)의 중앙에서 앵커링 아암(30.2, 31.2)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선을 따른 길이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 각도(α)는 약 70°이다.
또한,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은 각각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 11.1)과 맞물리기 위한 제1 표면(47, 48)을 포함한다. 제1 표면(47, 48)은 판형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의 두께(t)에 의해 획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표면(47, 48)은 두께(t)에 의해 획정되고 돌출부(30.1, 31.1)를 향하는 앵커링 아암(30.2, 31.2)의 면이다. 제1 표면(47, 48)은 각각 앵커링 아암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돌출부(49)를 포함한다. 더욱이,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은 각각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의 주 연장부(즉, 두께 연장부가 아니라)에 의해 획정되는 제2 표면(50, 51)을 포함한다.
앵커링 아암(30.2, 31.2)의 돌출부(49)를 갖는 제1 표면(47, 48)이 크로스 바(2)의 바닥 벽(7.2)의 받침 표면(11, 11.2)과 맞물릴 때, 앵커링 아암(30.2, 31.2) 및 그 제2 표면(50, 51)은 받침 표면(11, 11.1) 상에 직립으로 서있고 연장 각도(α)로 크로스 바(2)의 중심선(c)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또한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28)의 판 부분(30 및 31)도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 11.1)에 대해 직립으로 배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앵커링 아암(30.2, 31.2)은 그 높이(h), 즉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서 받침 표면(11, 11.1)에 수직인 그 연장이 판형 앵커링 아암(30.2 및 31.2)의 두께(t)보다 적어도 5 배 더 크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 부분(3)은 클램핑 섹션(3.1)에, 즉 제2 클램핑 부분(4)의 반대쪽에 있는 측부 상에 제공되는 덮개 수용부(18)를 나타낸다. 덮개 수용부(18)는 조절 메커니즘(43)의 구동 장치(44)가 제공되는 공동을 포함한다. 도 20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 장치(44)는 도구를 위한 기계적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조절 메커니즘(43)은 덮개 수용부(18)의 공동에 제공된 기계적 인터페이스(44)와 맞물리게 되는 도구를 통해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 수용부(18)의 공동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덮개 수용부(18)는 조절 메커니즘(43)의 구동 장치(44), 예를 들어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덮기 위한 덮개(5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덮개 수용부(18)는 추가로 로킹 메커니즘(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덮개(52)에 삽입된 로킹 부재가 이 로킹 메커니즘과 맞물려 덮개 수용부(18)에 덮개(52)를 로킹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루프 랙의 분리 및 잠재적으로 도난을 위한 조절 메커니즘(43)의 허용되지 않은 구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52)는 그 바닥측에 제공된 해제 버튼(54)을 포함한다. 더욱이, 도 20 및 도 25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 수용부(18)는 덮개(52)의 해제 버튼(54)을 수용하기 위해 그 바닥측에 리세스(55)를 포함한다. 덮개 수용부(18)는 그 상부측에 언더컷(56) 및 그 하부측에 덮개(52)의 해제 버튼(54)을 수용하기 위해 리세스(55)의 내향으로 위치된 립형 돌출부(5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언더컷(56) 및 돌출부(57)는 제1 클램핑 부분(3)의 폭 방향(WR)으로 중앙에 제공된다. 더욱이, 도 21, 도 22 및 도 24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덮개(52)는 그 상부측에 후크(58) 및 그 하부측에 립형 돌출부(59)를 포함하고, 후크(58) 및 돌출부(59)는 덮개(52)의 폭 방향으로 중앙에 제공된다. 덮개 수용부(18)에 보호 덮개(52)를 로킹하기 위해, 덮개(52)의 상부측의 후크(58)가 덮개 수용부(18)의 언더컷(56)에 삽입되고, 덮개(52)의 하부측의 돌출부(59)가 덮개 수용부(18)의 하부측의 돌출부(57) 위로 그리고 후방으로 가압되어 덮개(52)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된 상태로 되게 한다. 덮개 수용부(18)의 언더컷(56)과 돌출부(57) 뿐만 아니라 덮개(52) 상의 후크(58)와 돌출부(59)의 조합은 덮개 수용부(18)에 덮개(52)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장치(61)를 구성한다.
도 22 내지 도 24 및 도 26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덮개(52)의 바닥측은 덮개(52)의 내측부, 즉 도 26에 도시된 덮개(52)의 로킹된 상태에서 제2 클램핑 부분(4)을 향하는 측부에서 근위 단부(p)가 지지되는 스윙 아암(60)을 포함한다. 근위 단부(p)에서의 상기 연결 외에도, 스윙 아암(60)은 자유롭게 매달리고 임의의 다른 부분에서 보호 덮개(52)에 연결되지 않는다. 스윙 아암(60)의 원위 단부(d)에 해제 버튼(54)이 제공된다. 근위 단부(p)와 원위 단부(d) 사이에서, 돌출부(59)는 스윙 아암(60)의 밑면에 위치된다. 나머지 덮개(52)에 대한 스윙 아암(60)의 연결은, 해제 버튼(54)을 정상 작동력으로 상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스윙 아암(60)이 상향 회전되어 덮개 수용부의 돌출부(57)와 맞물림 해제하도록 돌출부(59)를 변위시킴으로써, 보호 덮개(52)를 덮개 수용부(18) 밖으로 피봇시켜 덮개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덮개(52)를 덮개 수용부(18)에 장착하기 위해, 덮개(52)의 밑면에 있는 돌출부(59)가 덮개 수용부(18)의 밑면에 있는 돌출부(57) 위로 활주되기 전에(이는 스윙 아암(60)의 상향 이동과 함께 수반됨),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58)가 언더컷(56)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윙 아암(60) 및 해제 버튼(54)을 포함하는 전체 보호 덮개(52)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따른 루프 랙 풋(200) 및 크로스 바(250)를 포함하는 장치(300)를 도시한다. 크로스 바(250)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보일 수 있다. 도 27에서, 크로스 바는 투명한 방식으로 도시된다. 더욱이, 크로스 바(250)는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크로스 바에 대응하는 슬롯, 공동 및 받침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 랙 풋(200)은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 바(250)를 차량의 루프 레일에 로킹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루프 랙 풋(200)은 크로스 바(250)를 플러시 레일 유형의 루프 레일에 로킹시키도록 구성된다. 루프 랙 풋(200)은 상부에 크로스 바(2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5)을 형성하는 본체(201) 뿐만 아니라 사이에 루프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 클램핑 부분(202) 및 제2 클램핑 부분(203)을 포함한다. 제1 클램핑 부분(202)은 본체(201)에 대해 고정되어 제공된다. 제2 클램핑 부분(203)은 제1 클램핑 부분(20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제2 클램핑 부분(203)은 제1 클램핑 부분(202)의 돌출부(208)가 관통 연장되는 슬릿(207)을 그 상부 부분에 포함하고, 슬릿(207)은 서로에 대해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202, 203)의 피봇 용이성을 허용한다. 게다가, 이 대안 실시예에 따른 루프 랙 풋(200)은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 바(250)의 공동 내로 삽입하기 위한 앵커링 부분(6)을 갖는 앵커(204)를 포함한다. 제1 클램핑 부분(202)은 제2 클램핑 부분(203)의 후방에 그리고 앵커(204)의 전방에 제공된다. 앵커링 부분(6)은 크로스 바(250)를 루프 랙 풋(200)의 지지 표면(5)에 로킹하기 위해 크로스 바(250)의 받침 표면과 맞물리도록 도 1 내지 도 26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의 앵커링 아암과 같이 형성될 수 있는 앵커링 아암을 포함한다. 앵커(204)는 피봇 지지부(205)를 중심으로 본체(201) 및 따라서 지지 표면(5)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제공된다.
더욱이, 루프 랙 풋(200)은 앵커(204)의 바닥측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조절 메커니즘(20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조절 메커니즘(206)은 피봇팅 지지부(205) 아래의 앵커(204)와 맞물리고, 피봇팅 지지부(205)는 앵커(204)와 조절 메커니즘(206)의 상기 맞물림과 앵커링 부분(6)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메커니즘(206)을 구동시킴으로써, 제2 클램핑 부분(203)이 제1 클램핑 부분(202)을 향해 이동되어 그 사이에 루프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클램핑할 수 있다. 루프 레일(도시되지 않음)이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202, 203)과 접촉하면, 조절 메커니즘(206)을 더 작동시킴으로써, 앵커(204)가 피봇팅 지지부(205)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전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앵커링 부분(6)이 지지 표면(5) 상에 지지된 크로스 바(250)의 받침 표면과 맞물리게 된다. 더욱이, 루프 랙 풋(200)의 앵커(204)는 앵커링 부분(6)이 지지 표면(5)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는 회전 위치로 스프링 부재(209)를 통해 편향된다. 이는 앵커링 부분(6)이 크로스 바(250)의 공동 내측의 받침 표면과 맞물리는 일 없이 루프 랙 풋(200)의 지지 표면(5) 상에 크로스 바(250)를 쉽게 장착하게 한다.
조절 메커니즘(206)은 본 실시예에서 너트로서 구성되는 구동 요소(210)를 포함한다. 너트(210)는 도 30 및 도 31에 예시되어 있다. 너트(210)는 너트(210)의 대칭축(s)을 따라 제1 단부면(212)으로부터 제2 단부면(213)으로 연장되는 클리어런스 홀(211)을 포함하는 회전적으로 대칭인 요소로서 구성된다. 제1 단부면(212)에 인접하여, 너트는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기계적 인터페이스(214)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너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해 육각형 키(도시되지 않음)가 맞물릴 수 있는 육각형 구멍(214)으로 구성된다. 대향하는 제2 단부면(213)에 인접하여, 너트(210)는 나사식 볼트에 너트(210)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내부 나사부(215)를 나타낸다. 내부 나사부(215)와 육각형 구멍(214) 사이에서, 너트(210)의 클리어런스 홀(211)에는 나사부 및 기계적 인터페이스가 없다. 내부 나사부를 갖는 부분(215)의 길이는 육각형 구멍을 갖는 부분(214)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그 사이의 부분의 길이는 내부 나사부를 갖는 부분(215)의 길이의 실질적으로 2 배이다. 더욱이, 그 사이의 상기 부분은 내부 나사부를 갖는 부분(2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포함한다. 너트(210)는 또한 숄더(216)를 포함한다. 너트(210)의 길이방향에서, 숄더(216)는 실질적으로 중앙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숄더(216)는 너트(210)의 대칭축(s)에 대해 회전적으로 대칭으로 구성된 와셔와 같이 형성된다. 숄더(216)는 너트(210)의 외부 표면(217)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또한, 조절 메커니즘(206)은 맞물림 요소(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맞물림 요소(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바닥 부분에서 앵커(204)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조절 메커니즘(206)은, 맞물림 요소(220)를 병진 이동시킴으로써, 앵커(204)가 피봇팅 지지부(205)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맞물림 요소(220)는 제1 클램핑 부분(202)의 개구(218) 및 제2 클램핑 부분(203)의 개구(219)를 통해 앵커(204)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볼트로서 형성된다. 제2 클램핑 부분(2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2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볼트(220)는 적어도 제1 클램핑 부분(202)으로부터 제2 클램핑 부분(203)을 향해 계속 외부 나사부를 나타낸다.
너트(210)는 제2 클램핑 부분(203)의 개구(219)에 삽입되고 그 내부 나사부(215)로 볼트(220)의 외부 나사부 상에 나사 체결된다. 너트(210)와 볼트(220)의 나사 맞물림은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202, 203) 사이에 제공된 맞물림 구역(z)에 존재한다. 더욱이, 육각형 구멍(214), 즉 구동 장치, 및 숄더(216)는 제1 클램핑 부분(202)로부터 이격 방향에 있는 제2 클램핑 부분(203)의 측부 상에 제공된다.
기계적 인터페이스(214)와 맞물린 도구로 너트(210)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210)가 볼트(220) 상에 나사 체결되어 숄더(216)를 제1 클램핑 부분(202)을 향해 이동시킨다.
숄더(216)는 제2 클램핑 부분(203)의 외부 표면과 맞물림으로써, 제2 클램핑 부분(203)을 제1 클램핑 부분(202)을 향해 회전시켜 2개의 클램핑 부분(202, 203) 사이에 루프 레일을 클램핑한다. 클램핑 부분(202, 203)이 루프 레일과 맞물리면, 구동 장치를 통해 너트(210)를 추가로 회전시킴으로써, 너트가 볼트(220) 상에 추가로 나사 체결되어 볼트(220)를 앵커(204)를 향해 이동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209)의 편향에 대항하여 앵커(204)를 피봇팅 지지부(205) 둘레에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 항목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항목 1: 크로스 바(2)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1)이며, 크로스 바(2)는 크로스 바(2)의 길이방향(Lc)으로 연장되는 슬롯(10)을 갖는 바닥 벽(7.2) 및 크로스 바(2)의 내측에 받침 표면(11)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9)을 포함하고, 루프 랙 풋(1)은 상부에 크로스 바(2)의 바닥 벽(7.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5); 차량의 루프에 루프 랙 풋(1)을 클램핑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사이에 루프 레일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 클램핑 부분(3) 및 제2 클램핑 부분(4)을 포함하며, 제2 클램핑 부분(4)은 앵커링 부분(6)을 포함하고; 제2 클램핑 부분(4)은 슬롯(10)을 통해 공동(9) 내로 연장되고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과 앵커링 부분(6)의 맞물림에 의해 크로스 바(2)를 루프 랙 풋(1)의 지지 표면(5)에 로킹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클램핑 부분(4)은 배향면(40)을 포함하고; 앵커링 부분(6)을 크로스 바(2)의 공동(9)에 삽입할 수 있는 루프 랙 풋(1)의 작동 상태에서, 배향면(40)은 루프 랙 풋(1)의 위치 결정 표면(16) 및/또는 크로스 바(2)에 맞닿아 앵커링 부분(6)의 공동(9) 내로의 삽입을 단순화하도록 지지 표면(5)에 대해 앵커링 부분(6)의 각도 배향을 고정시키는, 루프 랙 풋(1).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루프 랙 풋(1)은 제2 클램핑 부분(4)의 앵커링 부분(6)이 지지 표면(5)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지지 표면(5) 아래에 위치된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작동 상태, 및 배향면(40)이 위치 결정 표면(16)에 맞닿는 제2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 랙 풋(1).
항목 3: 항목 2에 있어서, 조절 메커니즘(43)을 더 포함하고, 조절 메커니즘(43)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랙 풋(1)은 제1 작동 상태에서 제2 작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루프 랙 풋(1).
항목 4: 항목 3에 있어서, 조절 메커니즘(43)을 작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3, 4)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3, 4)은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 상태에서 서로 최대로 이격되는, 루프 랙 풋(1).
항목 5: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단 및 바닥 표면(14, 15)을 갖는 지지 섹션(3.2)을 더 포함하고, 상단 표면(14)은 지지 표면(5)을 형성하고 바닥 표면(15)이 위치 결정 표면(16)을 형성하며, 제2 클램핑 부분(4)은 지지 섹션(3.2)을 통해 바닥으로부터 상단 표면(14, 15)으로 연장되는, 루프 랙 풋(1).
항목 6: 항목 5에 있어서, 제2 클램핑 부분(4)은 지지 섹션(3.2)을 통해 연장되는 앵커(28) 및 앵커(28)에 부착되고 지지 섹션(3.2)의 바닥 표면(15) 아래에 제공되는 슬리브(29)를 포함하며, 슬리브(29)는 배향면(40)을 형성하는, 루프 랙 풋(1).
항목 7: 항목 5 및 6에 있어서, 지지 섹션(3.2)은 지지 섹션(3.2)의 길이방향(LR)으로 연장되는 슬롯(12) 및 지지 섹션(3.2)의 폭 방향(WR)으로 슬롯(12)의 양 측부에 바닥 표면(15)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위치 결정 표면(16, 16.1)을 포함하고, 슬리브(29)는 슬롯(12)의 양 측부에 있는 2개의 위치 결정 표면(16, 16.1)에 맞닿는 2개의 배향면(40, 41)을 포함하는, 루프 랙 풋(1).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슬리브(29)는 배향면(40, 41)을 형성하도록 서로 멀어지게 연장되는 2개의 탭(38, 39)을 포함하는, 루프 랙 풋(1).
항목 9: 항목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슬리브(29)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 랙 풋(1).
항목 10: 장치(100)이며, 크로스 바(2)의 길이방향(Lc)으로 연장되는 슬롯(10)을 갖는 바닥 벽(7.2) 및 크로스 바(2) 내측에 받침 표면(11)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9)을 포함하는 크로스 바(2); 및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루프 랙 풋(1)을 포함하는, 장치(100).
항목 11: 항목 10에 따른 장치(100)를 포함하는 루프 랙(1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 조항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조항 1: 크로스 바(2)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1)이며, 루프 랙 풋(1)은, 구동 장치(44)를 갖는 조절 메커니즘(43)으로서, 루프 랙 풋(1)은 구동 장치(44)를 통해 조절 메커니즘(43)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및/또는 크로스 바(2)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인, 조절 메커니즘(43); 및 조절 메커니즘(43)의 구동 장치(44)를 덮기 위한 해제 버튼(54)을 갖는 보호 덮개(52)를 포함하고; 보호 덮개(52)는 해제 버튼(54)을 가압함으로써 구동 장치(44)를 노출시키도록 이동, 바람직하게는 제거될 수 있는, 루프 랙 풋(1).
조항 2: 조항 1에 있어서, 해제 버튼(54)은 루프 랙 풋(1)의 장착된 상태에서 보호 덮개(52)의 바닥측에 제공되며, 해제 버튼(54)은 바람직하게는 보호 덮개(54)를 이동시키도록 상향으로 가압되는, 루프 랙 풋(1).
조항 3: 조항 1 또는 2에 있어서, 루프 랙 풋(1)은 덮개 수용부(18) 및 맞물릴 때 덮개(52)를 덮개 수용부(18) 내에 로킹시키는 덮개 로킹 장치(61)를 포함하며, 해제 버튼(54)을 가압함으로써, 덮개 로킹 장치(61)가 해제되어 덮개(52)를 이동시켜 구동 장치(44)를 노출시키는, 루프 랙 풋(1).
조항 4: 조항 3에 있어서, 로킹 장치(61)는 덮개 수용부(18) 상의 제1 돌출부(57) 및 제1 돌출부(57)와 맞물리기 위한 보호 덮개(52) 상의 제2 돌출부(59)를 포함하고, 해제 버튼(54)을 가압함으로써, 제2 돌출부(59)는 제1 돌출부(57)와 맞물림 해제되도록 이동되는, 루프 랙 풋(1).
조항 5: 조항 4에 있어서, 로킹 장치(61)는 제1 돌출부(57)에 대향하여 덮개 수용부(18)에 제공되는 언더컷(56), 및 제2 돌출부(59)에 대향하여 덮개(52)에 제공되는, 언더컷(56)에 삽입하기 위한 후크(58)를 포함하는, 루프 랙 풋(1).
조항 6: 조항 4 또는 5에 있어서, 보호 덮개(52)는 근위 단부(p) 및 원위 단부(d)를 갖는 스윙 아암(60)을 포함하고, 해제 버튼(54)은 스윙 아암(60)의 원위 단부(d)에 형성되며 제2 돌출부(59)는 근위 단부(p)와 원위 단부(d) 사이에서 스윙 아암(60) 상에 형성되는, 루프 랙 풋(1).
조항 7: 조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보호 덮개(52)는 손가락으로 해제 버튼(54)을 가압한 후에 해제 버튼(54)을 여전히 가압하면서 가압 방향에 수직으로 손가락을 이동함으로써 덮개 수용부(18)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루프 랙 풋(1).
조항 8: 조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보호 덮개(52)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 랙 풋(1).
조항 9: 조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조항에 따른 루프 랙 풋(1)을 포함하는 루프 랙(1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 번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번호 1: 크로스 바(250)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200)이며, 루프 랙 풋(200)은 클램핑 부분(203) 및 조절 메커니즘(206)을 포함하고; 조절 메커니즘(206)은 구동 장치(214)를 갖는 구동 요소(210), 및 맞물림 요소(220)를 포함하며, 구동 요소(210)는 맞물림 구역(z)에서 맞물림 요소(220)와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며, 루프 랙 풋(200)은 구동 장치(214)를 통해 조절 메커니즘(206)을 작동시킴으로써 클램핑 부분(203)을 통해 루프 및/또는 크로스 바(250)에 고정될 수 있고; 구동 장치(214) 및 맞물림 구역(z)은 루프 랙 풋(200)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조건에서 클램핑 부분(203)의 대향 측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루프 랙 풋(200).
번호 2: 번호 1에 있어서, 구동 장치(214) 및 맞물림 구역(z)은 루프 랙 풋(200)의 모든 작동 조건에서 클램핑 부분(203)의 대향 측부에 제공되는, 루프 랙 풋(200).
번호 3: 번호 1 또는 2에 있어서, 구동 요소(210)는 너트이고 맞물림 요소(220)는 나사식 볼트이며, 너트(210)는 맞물림 구역(z)에서 볼트(220)와 나사 체결되는, 루프 랙 풋(200).
번호 4: 번호 1 내지 3 중 어느 한 번호에 있어서, 구동 장치(214)는 도구를 위한 기계적 인터페이스, 바람직하게는 육각형 구멍 및/또는 손으로 회전하기 위한 그립 부분을 나타내는, 루프 랙 풋(200).
번호 5: 번호 3 또는 4에 있어서, 너트(210)는 클리어런스 홀(211)을 나타내고, 기계적 인터페이스(214)는 클리어런스 홀(211)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되고 다른 단부 부분에 내부 나사부(215)가 제공되며, 클리어런스 홀(211)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기계적 인터페이스 및 내부 나사부가 없는, 루프 랙 풋(200).
번호 6: 번호 1 내지 5 중 어느 한 번호에 있어서, 클램핑 부분(203)은 구동 요소(210)가 관통 연장되는 개구(219)를 나타내며, 구동 요소(210)는 클램핑 부분(203)과 맞물리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214)가 위치되는 측부 상에서 클램핑 부분(203)과 맞물리기 위한 숄더(216)를 포함하고, 숄더(216)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요소(210)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앙에 제공되는, 루프 랙 풋(200).
번호 7: 번호 1 내지 6 중 어느 한 번호에 있어서, 구동 요소(210)는 바람직하게는 냉간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루프 랙 풋(200).
번호 8: 번호 1 내지 7 중 어느 한 번호에 있어서, 루프 랙 풋(200)은 루프랙 풋(200)을 차량의 루프에 클램핑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사이에 루프 레일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202, 203)을 포함하고, 구동 장치(214)는 제1 클램핑 부분(202)의 반대쪽에 있는 제2 클램핑 부분(203)의 측부 상에 제공되고 맞물림 구역(z)은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202, 203) 사이에 제공되는, 루프 랙 풋(200).
번호 9: 번호 1 내지 8 중 어느 한 번호에 따른 루프 랙 풋을 포함하는 루프 랙(300).

Claims (15)

  1. 크로스 바(2)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하기 위한 루프 랙 풋(1)이며, 크로스 바(2)는 크로스 바(2)의 길이방향(Lc)으로 연장되는 슬롯(10)을 갖는 바닥 벽(7.2) 및 크로스 바(2)의 폭 방향(Wc)으로 슬롯(10)에 인접한 바닥 벽(7.2)의 내측부에 받침 표면(11)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9)을 포함하고, 슬롯(10)은 중심선(c)을 포함하며, 루프 랙 풋(1)은,
    상부에 크로스 바(2)의 바닥 벽(7.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5);
    차량의 루프에 루프 랙 풋(1)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3, 4)을 포함하고, 제2 클램핑 부분(4)은 앵커링 아암(30.2)을 갖는 앵커(28)를 포함하고, 앵커(28)는 슬롯(10)을 통해 공동(9) 내로 연장되고 앵커링 아암(30.2)과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의 맞물림에 의해 크로스 바(2)를 루프 랙 풋(1)의 지지 표면(5)에 로킹하도록 구성되며;
    크로스 바(2)가 루프 랙 풋(1)에 로킹될 때, 앵커링 아암(30.2)이 받침 표면(11) 상에 직립으로 서있고, 받침 표면(11) 상의 평면도에서, 연장 각도(α)로 크로스 바(2)의 중심선(c)으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앵커링 아암(30.2)은, 상기 평면도에서 앵커링 아암(30.2)의 주 연장 방향이 크로스 바(2)의 중심선(c)에 수직인 성분을 포함하는 섹션을 포함하는, 루프 랙 풋(1)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아암(30.2)은 앵커(28)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랙 풋(1).
  2. 제1항에 있어서, 앵커링 아암(30.2)은 두께(t)에 의해 획정되는 제1 표면(47) 및 앵커링 아암(30.2)의 주 연장부에 의해 획정되는 제2 표면(50)을 포함하고, 크로스 바(2)가 루프 랙 풋(1)에 로킹될 때, 제1 표면(47)은 받침 표면(11)과 맞물리고, 받침 표면(11) 상의 평면도에서, 제2 표면(50)은 연장 각도(α)로 크로스 바(2)의 중심선(c)으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루프 랙 풋(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로스 바(2)가 루프 랙 풋(1)에 로킹될 때, 받침 표면(11)에 수직으로 그리고 크로스 바(2)의 중심선(c)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앵커링 아암(30.2)의 단면도에서, 받침 표면(11)을 따른 앵커링 아암(30.2)의 연장부는 받침 표면(11)에 수직인 앵커링 아암(30.2)의 연장부보다 짧은, 루프 랙 풋(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과 맞물리는 앵커링 아암(30.2)의 표면(47)은 돌출부(49)를 포함하는, 루프 랙 풋(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아암(30.2)은, 받침 표면(11) 상의 평면도에서, 연장 각도(α)에 접근하는 굽힘가공된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루프 랙 풋(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각도(α)는 45°내지 90°인, 루프 랙 풋(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아암(30.2)은 판형 앵커링 아암이고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높이(h)는 두께(t)보다 적어도 1.5 배 더 큰, 루프 랙 풋(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28)는 크로스 바(2)의 폭 방향(Wc)으로 슬롯(10)의 반대쪽에 있는 추가 받침 표면(11.1)과 맞물리기 위해 앵커(28)와 일체로 형성되는 추가 앵커링 아암(31.2)을 포함하고, 2개의 앵커링 아암(30.2, 31.2)은, 받침 표면(11, 11.1)의 평면도에서, 크로스 바(2)가 루프 랙 풋(1)에 로킹될 때 슬롯(10)의 중심선(c)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루프 랙 풋(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28)는 크로스 바(2)가 루프 랙 풋(1)에 로킹될 때 크로스 바(2)의 받침 표면(11, 11.1)에 대해 직립으로 배향되는 2개의 판 부분(30, 31)을 포함하고, 2개의 직립 판 부분(30, 31)은, 받침 표면(11, 11.1) 상의 평면도에서, 슬롯(10)의 중심선(c)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연장되며, 서로 멀어져서 직립 앵커링 아암(30.2, 31.2)을 형성하고, 각각의 앵커링 아암(30.2, 31.2)은 연장 각도(α)로 중심선(c)으로부터 멀어지는, 루프 랙 풋(1).
  10. 제9항에 있어서, 중심선(c) 방향의 평면도에서, 직립 2개의 판 부분(30, 31)은, 순서대로, 서로 인접하게 연장되고(a), 서로 멀어지며(b),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이격되어 있고(d), 앵커링 아암(30.2, 31.2)을 형성하도록 다시 서로 멀어지는(e), 루프 랙 풋(1).
  11.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판 부분(30, 31)은 슬롯(10)을 통해 연장되고 크로스 바(2)의 바닥 벽(7.2) 아래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며, 2개의 판 부분(30, 31)은 단일 금속 판(28)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 랙 풋(1).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절 메커니즘(43)을 더 포함하고, 조절 메커니즘(43)을 작동시킴으로써, 루프 랙 풋(1)이 차량 루프에 클램핑되고, 루프 레일이 제1 및 제2 클램핑 부분(3, 4) 사이에 클램핑되며, 크로스 바(2)가 루프 랙 풋(1)의 지지 표면(5)에 로킹되고, 제2 클램핑 부분(4)은 크로스 바(2)를 지지 표면(5)에 로킹시키도록 지지 표면(5) 아래에 위치된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루프 랙 풋(1).
  13. 장치(100)이며,
    크로스 바(2)로서, 크로스 바(2)의 길이방향(Lc)으로 연장되는 슬롯(10)을 갖는 바닥 벽(7.2) 및 크로스 바(2)의 폭 방향(Wc)으로 슬롯(10)에 인접한 바닥 벽(7.2)의 내측부에 받침 표면(11)을 형성하기 위한 공동(9)을 포함하고, 슬롯(10)은 중심선(c)을 포함하는 것인, 크로스 바(2);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루프 랙 풋(1)을 포함하는, 장치(1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2)가 루프 랙 풋(1)에 로킹될 때, 받침 표면(11)에 수직인 앵커링 아암(30.2)의 연장부는 받침 표면(11)에 수직인 공동(9)의 연장부보다 짧은, 장치(100).
  15. 제13항에 따른 장치(100)를 포함하는 루프 랙.
KR1020207035548A 2018-07-13 2019-06-28 화물 캐리어 KR102269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3314.6A EP3594065B1 (en) 2018-07-13 2018-07-13 Load carrier
EP18183314.6 2018-07-13
PCT/EP2019/067459 WO2020011566A1 (en) 2018-07-13 2019-06-28 Load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108A KR20200142108A (ko) 2020-12-21
KR102269264B1 true KR102269264B1 (ko) 2021-06-28

Family

ID=6295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548A KR102269264B1 (ko) 2018-07-13 2019-06-28 화물 캐리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345284B2 (ko)
EP (1) EP3594065B1 (ko)
JP (1) JP6935611B2 (ko)
KR (1) KR102269264B1 (ko)
CN (2) CN112424026B (ko)
AU (1) AU2019303248B2 (ko)
BR (1) BR112020023944B1 (ko)
CA (1) CA3101262C (ko)
CL (1) CL2020003186A1 (ko)
CO (1) CO2020016150A2 (ko)
DE (2) DE112019003561T5 (ko)
RU (1) RU2746582C1 (ko)
WO (1) WO2020011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5304S1 (en) 2018-06-15 2020-05-26 Thule Sweden Ab Rack foot
EP3594065B1 (en) * 2018-07-13 2020-11-04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KR20220155637A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아이캠퍼 루프탑 텐트 및 루프탑 텐트 조립 방법
DE102021129230A1 (de) 2021-11-10 2023-05-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system zur Befestigung mindestens eines Gegenstands an und/oder in einem Fahrzeug sowie ein Fahrzeug
CN114346050B (zh) * 2021-11-25 2024-04-26 安徽铭旋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行李架横杆的铝型材和冲切装置
US11518316B1 (en) * 2022-01-28 2022-12-06 Ningbo Diroan Auto Accessories Co., Ltd. Cross roof bar
DE102022202435A1 (de) * 2022-03-10 2023-09-14 Compartment Engineering Freital GmbH Lastträgersystem sowie Klemmfuß für ein Lastträger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1618A1 (en) 2012-12-21 2015-11-12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And A Roof Rack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303442L (sv) * 1993-10-20 1994-08-15 Mont Blanc Ind Ab Fotdel för takmonterade lastbärare för fordon
CA2181928A1 (en) * 1994-01-26 1995-08-03 Advanced Accessory Systems, Llc Split stanchion article carrier
IT1279544B1 (it) * 1995-02-17 1997-12-16 Mauro Zona Barra porta-bagagli per autoveicoli.
CA2232829A1 (en) * 1998-03-23 1999-09-23 Michael Moliner Attachment mechanisms for securing utility racks to vehicles
AU2003231688A1 (en) * 2003-01-31 2004-08-19 Roof Rack Industries Pty Ltd Rail Bar Roof Rack
CN2778620Y (zh) * 2005-03-30 2006-05-10 邱庆林 车顶架防盗结构
NZ561860A (en) * 2007-09-24 2010-04-30 Hubco Automotive Ltd Versatile leg for a roof rack
WO2009158360A1 (en) * 2008-06-23 2009-12-30 Yakima Products, Inc. Rack tower for securing crossbars on top of a vehicle
RU2409486C1 (ru) * 2009-09-25 2011-0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еталлопродукция" Опора багажника, закрепляемого на крыше автомобиля
EP2380777B1 (en) * 2010-04-22 2013-01-30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foot and a vehicle rack arrangement for a vehicle.
RU102921U1 (ru) * 2010-06-25 2011-03-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РУС и К" Упор багажника для крыши автомобиля
DE102010030674A1 (de) * 2010-06-29 2011-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achträger für ein Fahrzeug
PL2492149T3 (pl) * 2011-02-25 2014-01-31 Thule Sweden Ab Wspornik dachowy z urządzeniem wskaźnikowym
FR2975213B1 (fr) * 2011-05-10 2013-05-10 Trixell Sas Dispositif d'adressage de lignes d'un circuit de commande pour matrice active de detection
EP2570304B1 (en) * 2011-09-16 2017-06-14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for a vehicle roof rack
ITMO20110269A1 (it) 2011-10-25 2013-04-26 Menabo S R L Flli Barra porta-carico per tetto di autoveicolo
US20150232038A1 (en) * 2012-08-14 2015-08-20 Hubco Automotive Limited Roof rack leg for a roof rail
EP2746600B1 (en) * 2012-12-21 2015-08-12 Thule Sweden AB A torque limiting device and a load carrier foot comprising a torque limiting device
EP3246212B1 (en) * 2013-06-24 2019-10-23 Mont Blanc Industri AB A support foot for luggage carrier
DE212014000159U1 (de) * 2013-07-26 2016-02-25 Thule Sweden Ab Radhalterung mit mehrpositionseinstellbarem Riemen
JP6199669B2 (ja) * 2013-09-17 2017-09-20 株式会社カーメイト キャリアバーおよびキャリアバー組付け機構
US9694757B2 (en) * 2014-01-08 2017-07-04 Yakima Innovation Development Corporation Board carrier
EP2905179B1 (en) * 2014-02-07 2017-07-12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EP2905178B1 (en) * 2014-02-07 2018-03-28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DE102014207832B4 (de) 2014-03-14 2018-05-17 Atera Gmbh Dachträ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EP2923892B1 (en) * 2014-03-27 2018-08-22 Bosal ACPS Holding 2 B.V. Roof rack for motor vehicles
DE102014218227A1 (de) 2014-09-11 2016-03-17 Atera Gmbh Dachträ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AU2015252083B2 (en) * 2015-02-05 2019-08-29 Rhino Rack Australia Pty Limited Assembly For Connecting A Roof Rack To A Vehicle
US10040403B2 (en) * 2015-06-09 2018-08-07 Yakima Products, Inc. Crossbar clamp actuator
EP3243702B1 (en) * 2016-05-12 2018-12-26 Mont Blanc Industri AB Load carrier foot
CN205836690U (zh) * 2016-07-21 2016-12-28 秋野地(厦门)户外装备科技有限公司 行李架固定组件
CN206968562U (zh) * 2017-07-21 2018-02-06 宁波晨帆汽车附件有限公司 一种车载支架的固定座
EP3501904B1 (en) * 2017-12-19 2020-10-14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foot
US11305701B2 (en) * 2018-02-21 2022-04-19 Dus Operating Inc. Crossbar assembly
EP3733456B1 (en) * 2018-07-02 2021-04-28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EP3594065B1 (en) * 2018-07-13 2020-11-04 Thule Sweden AB Load carrier
CN112912279A (zh) * 2018-11-13 2021-06-04 瑞伟安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车辆的可延伸横梁
US10625684B1 (en) * 2019-02-14 2020-04-21 George J. Schafer, JR. Weight distributing cargo rack system for use on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1618A1 (en) 2012-12-21 2015-11-12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And A Roof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45284B2 (en) 2022-05-31
BR112020023944B1 (pt) 2021-07-20
CL2020003186A1 (es) 2021-04-16
CA3101262A1 (en) 2020-01-16
EP3594065B1 (en) 2020-11-04
CO2020016150A2 (es) 2021-01-18
US20210268968A1 (en) 2021-09-02
BR112020023944A2 (pt) 2021-02-09
DE202019005537U1 (de) 2020-12-09
EP3594065A1 (en) 2020-01-15
CN112424026A (zh) 2021-02-26
CN114684025B (zh) 2024-06-25
AU2019303248A1 (en) 2020-12-24
CN112424026B (zh) 2022-03-15
JP2021524421A (ja) 2021-09-13
DE112019003561T5 (de) 2021-04-22
US20220274532A1 (en) 2022-09-01
WO2020011566A1 (en) 2020-01-16
AU2019303248B2 (en) 2022-07-07
JP6935611B2 (ja) 2021-09-15
RU2746582C1 (ru) 2021-04-19
KR20200142108A (ko) 2020-12-21
CN114684025A (zh) 2022-07-01
CA3101262C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264B1 (ko) 화물 캐리어
US7328823B2 (en) Rack tower
US7090103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towable cross bars
US6811066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towable cross bars
US6681970B2 (en) Deployable roof mounted equipment rack for tall vehicles
US6959845B2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towable cross bars
EP1442940A1 (en) Rail Bar roof rack
US20040134950A1 (en) Vehicle article carrier having stowable cross bars
JPH08507988A (ja) ロードキャリヤ
EP4289673B1 (en) Luggage box
CN114364574B (zh) 承载件支脚
EP4289673A1 (en) Luggage box
US20230398946A1 (en) Rear load carrier, clamping device and system
NL2029080B1 (en) Mounting device for a bicycle accessory,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EP3446923A1 (en) Bike carrier
US20230398947A1 (en) Wheel holder, extension module and rear load carrier
EP1472113A1 (en) Rack tower
SK4042001A3 (sk) Univerzálny nosič so zasunuteľným batožinovým priesto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