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866B1 - 고기용 소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기용 소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866B1
KR102256866B1 KR1020190022282A KR20190022282A KR102256866B1 KR 102256866 B1 KR102256866 B1 KR 102256866B1 KR 1020190022282 A KR1020190022282 A KR 1020190022282A KR 20190022282 A KR20190022282 A KR 20190022282A KR 102256866 B1 KR102256866 B1 KR 102256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meat
extract
sa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990A (ko
Inventor
박문희
Original Assignee
박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희 filed Critical 박문희
Priority to KR102019002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8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간장 200 내지 400중량부, 콜라 200 내지 400중량부, 생강 5 내지 15중량부, 소주 20 내지 60중량부, 고춧가루 20 내지 60중량부, 멸치 80 내지 120중량부, 혼다시 5 내지 15중량부, 대파 2 내지 10중량부, 양파 2 내지 10중량부, 당근 2 내지 10중량부, 감초 2 내지 10중량부, 계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용 소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기용 소스 조성물{SAUCE COMPOSITION FOR COOKING MEAT}
본 발명은 다양한 고기요리에 적용되는 소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고기요리에 있어 육질을 연하고 맛있게 만들려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각 지역 별로 여러가지의 고기 조리법이 존재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나 소고기는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알려지고 취식되는 육류로서 다양한 형태의 조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육류는 각각의 부위에 따라 육질이 다르고 조리방법 또한 다양하다.
일반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기 조리방법으로는 냉장보관 된 생고기를 불판을 이용하여 굽거나 또는 각종 양념을 가미하여 굽거나 찌는 요리법이 있으며, 특히 각종 양념을 가미하는 조리방법에서는 고기소스가 사용된다.
이에 다양한 고기소스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45358호에서는 가시오가피에 물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가시오가피의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열수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가시오가피 열수추출물 30g, 간장 40g, 설탕 20g, 소금 5g, 물엿 4g, L-글루타민산나트륨 1 g을 혼합하여 소스용 혼합재료를 제조하는 소스용 혼합재료 제조단계; 및 상기 소스용 혼합재료를 2 내지 6 ℃ 온도에서 12 내지 32시간 동안 숙성시켜 최종 고기소스를 제조하는 고기소스 제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추출물 제조단계는 가시오가피의 줄기, 잎 및 뿌리를 세절하여 얻어지는 가시오가피 세절물 20g에 대하여 물 80g을 투입하여 물의 끓는 점보다 낮은 80 ℃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아칸토사이드(Acanthoside), 치사노 사이드(Chiisanoside), 지링긴(Sylingin), 및 엘레우테로사이드(Eleutheros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가시오가피의 유효 성분들이 충분히 물에 용해되도록 물의 양이 40g이 될 때까지 가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기소스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 제시하는 소스의 경우 충분한 육질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다양한 용도 즉 육회 등에 사용되는 경우 신선도의 보존성 등을 기대하기 어렵고, 구운고기의 양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육즙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데 대한 어떠한 기술적 제시는 없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45358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질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용도 즉 육회 등에 사용되는 경우 신선도의 보존성 등을 기대할 수 있고, 구운고기의 양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육즙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기소스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고기용 소스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함)은,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간장 200 내지 400중량부, 콜라 200 내지 400중량부, 생강 5 내지 15중량부, 소주 20 내지 60중량부, 고춧가루 20 내지 60중량부, 멸치 80 내지 120중량부, 혼다시 5 내지 15중량부, 대파 2 내지 10중량부, 양파 2 내지 10중량부, 당근 2 내지 10중량부, 감초 2 내지 10중량부, 계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보리누룩 분말 5 내지 1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삼백초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쌀분말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고기요리에 소스로 적용되어 육질을 향상시키고 이취감을 제어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신선도를 유지하여 보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간장 200 내지 400중량부, 콜라 200 내지 400중량부, 생강 5 내지 15중량부, 소주 20 내지 60중량부, 고춧가루 20 내지 60중량부, 멸치 80 내지 120중량부, 혼다시 5 내지 15중량부, 대파 2 내지 10중량부, 양파 2 내지 10중량부, 당근 2 내지 10중량부, 감초 2 내지 10중량부, 계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익힌 고기요리에 있어 양념, 익힌 고기요리, 육회 등에 있어서 찍어먹는 소스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될 수 있는 바, 식감을 향상시키면서 고기의 이취를 제어하고 신선도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들 외에도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보리누룩 분말 5 내지 15중량부가 더 포함되도록 하여 고기의 육질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보리누룩 분말은 천연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고 있고, 누룩에 의한 효소의 소화작용으로 인하여 고기를 부드럽게 하는 연육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보리누룩이 상기 함량 미만인 경우 천연 감미를 생성하는 당화 효소(Glucoamylase) 및 연육기능을 부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의 부족으로 기능발현이 미미하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누룩 특유의 풍미가 강해 이취감을 유발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조성들 외에도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삼백초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되어 특히 고기를 이용한 요리가 육회 등의 경우 육회의 신선도를 길게 가져가도록 하는 기능이 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삼백초는 후추목 삼배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다년초로 한방에 알려진 약효로 지상부는 항균활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항균제로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배합함에 있어서, 상기 삼백초 추출물은 날고기에 상존할 수 있는 바이러스 등에 대한 항균을 위한 것으로, 이러한 항균작용에 기해 습한 기온, 여름 등의 경우 육회, 육사시미 등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러한 삼백초 추출물이 상기 조성물에 혼입됨에 따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들 외에도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쌀분말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는 바, 이는 특히 구운 고기에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고기 외주연에 도포하여 고기를 굽는 경우에 고기 외주연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육즙이 유출을 제어토록 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쌀분말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타 조성들에 의해서도 코팅층은 형성되나 이러한 코팅층은 밀실한 페이스트가 형성되지 않아 육즙의 누출포인트가 다수 존재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성들 외에도 쌀분말이 포함되도록 하여 고기굽는 과정에서 쌀분말은 팽창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쌀분말이 팽창함으로써 고기 외주연에는 밀실한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소스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간장 300중량부, 콜라 200중량부, 생강 10중량부, 소주 30중량부, 고춧가루 30중량부, 멸치 90중량부, 혼다시 10중량부, 대파 5중량부, 양파 5중량부, 당근 5중량부, 감초 5중량부, 계피 5중량부를 배합하여 시료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간장 300중량부, 콜라 200중량부, 생강 10중량부, 소주 30중량부, 고춧가루 30중량부, 멸치 90중량부, 혼다시 10중량부, 대파 5중량부, 양파 5중량부, 당근 5중량부, 감초 5중량부, 계피 5중량부, 보리누룩 분말 10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2중량부를 배합하여 시료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3>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간장 300중량부, 콜라 200중량부, 생강 10중량부, 소주 30중량부, 고춧가루 30중량부, 멸치 90중량부, 혼다시 10중량부, 대파 5중량부, 양파 5중량부, 당근 5중량부, 감초 5중량부, 계피 5중량부, 보리누룩 분말 10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2중량부, 쌀분말 4중량부를 배합하여 시료를 완성하였다.
<실험예 1> 구운고기 양념으로서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훈련된 패널 5명을 상대로 하여 맛, 냄새의 중화 정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아래의 5점 척도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1점: 매우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매우 좋음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괄호 안의 점수는 5점 척도법에 따른 평균값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맛의 좋고 냄새의 중화 정도가 우수하며, 기호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냄새 기호도
실시예1 3.8 4.1 3.9
실시예2 4.1 4.3 4.0
실시예3 4.4 4.3 4.3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실시예 1의 조성에 보리누룩 분말 및 삼백초 추출물이 더 첨가된 실시예 2가 맛과 기호도에서 더 높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보리누룩 분말에 의해 육질이 더욱 향상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2의 조성에 쌀분말이 더 첨가된 실시예 3의 경우가 가장 맛과 기호도에서 높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굽는 과정에서 타 실시예들에 비해 실시예 3의 육즙의 보존능이 우수하여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항균성 시험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대해서 시료를 통해 항균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로는 대장균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시험균주는 고체 배지에 배양한 균주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접종한 후 초기 대장균수와 24시간 경과 후의 대장균수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1
초기(세균수/ml) 2.4 X 10⁴ 2.4 X 10⁴
24시간후(세균수/ml) 0.3 X 10⁴ 1.7 X 106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 결과 실시예 2의 경우 삼백초 추출물이 소스에 첨가된 배합이고, 실시예 1의 경우 삼백초 추출물을 제외하고 나머지 배합물 및 배합비는 동일하게 만든 시료로서 24시간 경화후의 대장균수를 측정한 결과 확실히 실시예 2의 경우가 항균성면에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시예 2와 같이 소스에 삼백초 추출물을 배합함에 따라 육회 등에 있어 대장균 등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성을 높여 보다 안심하고 육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간장 200 내지 400중량부, 콜라 200 내지 400중량부, 생강 5 내지 15중량부, 소주 20 내지 60중량부, 고춧가루 20 내지 60중량부, 멸치 80 내지 120중량부, 혼다시 5 내지 15중량부, 대파 2 내지 10중량부, 양파 2 내지 10중량부, 당근 2 내지 10중량부, 감초 2 내지 10중량부, 계피 2 내지 10중량부 및 쌀분말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고, 고기를 굽는 경우 고기 외주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되게 하여 육즙 유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용 소스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보리누룩 분말 5 내지 1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용 소스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갈색설탕 100중량부에 대해 삼백초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용 소스 조성물.
  4. 삭제
KR1020190022282A 2019-02-26 2019-02-26 고기용 소스 조성물 KR102256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82A KR102256866B1 (ko) 2019-02-26 2019-02-26 고기용 소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82A KR102256866B1 (ko) 2019-02-26 2019-02-26 고기용 소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990A KR20200103990A (ko) 2020-09-03
KR102256866B1 true KR102256866B1 (ko) 2021-05-27

Family

ID=7245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282A KR102256866B1 (ko) 2019-02-26 2019-02-26 고기용 소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8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248A (ko) * 2007-08-10 2009-02-13 한국식품연구원 매운맛 조절이 가능한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고춧가루를 포함하는 육류용 소스
KR101745358B1 (ko) 2015-06-16 2017-06-20 박경필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기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816143B1 (ko) * 2015-11-30 2018-01-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처리된 고춧가루 및 열중탕을 이용한 닭갈비 소스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누룩 (코우지) # 소금 누룩 (시오 코우지).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6.02.18., [2020.07.03.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okgo0710/22063039845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990A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127B1 (ko) 흑표고 추출액과 숙성된장을 이용한 기능성 조미 소스의 제조방법
KR102062328B1 (ko) 낱장 매운 김치의 제조방법
KR102288313B1 (ko) 흑마늘 돼지갈비 제조 방법
JPWO2019031586A1 (ja) 苦丁茶加工物
KR102256866B1 (ko) 고기용 소스 조성물
KR102128913B1 (ko) 갈비탕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갈비탕
JPH031946B2 (ko)
KR102296408B1 (ko) 숙지황을 이용한 갈비탕 제조 방법
KR101913347B1 (ko)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071B1 (ko) 소고기 안심을 이용한 꼬치구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꼬치구이
KR101266179B1 (ko) 고추장 양념소스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장 양념 삼겹살 구이의 조리방법
JP6137866B2 (ja) とうもろこし焼酎、並びに、焼酎の製造方法
KR20220085194A (ko) 고기 육회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회소스에 관한 것
CN107232568B (zh) 一种干脆面调味料的制备方法
KR100983995B1 (ko)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070009904A (ko) 겉절이용 양념 조성물
KR20200132321A (ko) 부추 및 수수를 이용한 소스 제조방법
KR101520933B1 (ko) 찰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찰떡
KR20160060989A (ko) 십전대보 김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5067B1 (ko) 즉석 요리용 냉동 채소국 배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냉동 채소국 배합물
JP6426352B2 (ja) 加工米飯用pH調整剤、加工米飯及び加工米飯の製造方法
KR20180119811A (ko) 된장 양념소스 및 이를 이용한 된장 양념 삼겹살 구이의 조리방법
KR102529416B1 (ko) 동결건조 볶음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9654B1 (ko) 항균 활성을 지니는 약초와 콩비지를 함유하는 돼지 두루치기의 제조방법
KR20180114992A (ko) 초고추장 양념소스 및 이를 이용한 초고추장 양념 삼겹살 구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