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347B1 -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3347B1 KR101913347B1 KR1020160028919A KR20160028919A KR101913347B1 KR 101913347 B1 KR101913347 B1 KR 101913347B1 KR 1020160028919 A KR1020160028919 A KR 1020160028919A KR 20160028919 A KR20160028919 A KR 20160028919A KR 101913347 B1 KR101913347 B1 KR 101913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ginger
- ginger powder
- powder
- miso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4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0000001810 Angelica giga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8865 Angelica giga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1672694 Citrus reticul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303040 Glycyrrhiza glab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132456 Haplocarph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7443 Hedysarum bore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7858 Hedysarum occident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20225 Ma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947 glycyrrhiza glabra rhizome/roo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432 gingerbrea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IKHGUXGNUITLKF-UHFFFAOY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O IKHGUXGNUITL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100040247 Tumor necrosis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01062 polysaccharide-K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40034049 polysaccharide-k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MZOFCQQQCNRIBI-VMXHOPILSA-N (3s)-4-[[(2s)-1-[[(2s)-1-[[(1s)-1-carboxy-2-hydroxyeth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3-[[2-[[(2s)-2,6-diaminohexanoyl]amino]acetyl]amino]-4-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CCCN=C(N)N)NC(=O)[C@H](CC(O)=O)NC(=O)CNC(=O)[C@@H](N)CCCCN MZOFCQQQCNRIBI-VMXHOPIL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630 Hedysarum occident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0589 Interleuk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2352 Interleuk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889 Interleukin-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1005 Interleukin-6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249 Phagocy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91 anti-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8730 anticomplement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15 isoflavo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82 phag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QPDZGIKBAWPEJ-UHFFFAOYSA-N vale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 NQPDZGIKBAWP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439 Aspergillus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47 Aspergillus oryza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143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44 Bra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6139 Brassica cre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82495 Dietary Pla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274 Encephal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182067 Fraxinus or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17 Fraxinus or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8910 Haemo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14 Interleukin-10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174 Interleukin-10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462 Interleukin-1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805 Interleukin-1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YHQOLUKZRVURQ-HZJYTTRNSA-N Lin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HZJYTTRN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164 Petroselinum crisp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0264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36 alcoh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0 anti-muta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65 anti-thromb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0741 antigen processing and pres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49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19 b-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362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KSKPIVNLNLAAV-UHFFFAOYSA-N bis(2-chloro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lCCSCCCl QKSKPIVNLNL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31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82 bone dens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02 cancer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823 cell di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4 complement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396 cytokine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26 essential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TZBJGXHYKVUXJN-UHFFFAOYSA-N genistein Natural products C1=CC(O)=CC=C1C1=COC2=CC(O)=CC(O)=C2C1=O TZBJGXHYKVUX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39 genis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109 genist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ZCOLJUOHXJRHDI-CMWLGVBASA-N genistein 7-O-beta-D-gluc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O)=C2C(=O)C(C=3C=CC(O)=CC=3)=COC2=C1 ZCOLJUOHXJRHDI-CMWLGVBA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88 hem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08 immuno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JWQYWQDLBZGPD-UHFFFAOYSA-N isoflavone Natural products C1=C(OC)C(OC)=CC(OC)=C1C1=COC2=C(C=CC(C)(C)O3)C3=C(OC)C=C2C1=O CJWQYWQDLBZG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696 iso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8 lin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HQOLUKZRVURQ-IXWMQOLASA-N 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IXWMQOLA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98 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7 perej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03 re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18 sandwich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81 tumo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433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23L11/20—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강 메주, 한약재 달인물, 소금, 생강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주는 콩, 보리, 밀, 쌀 등을 익힌 후 띄워서 말린 것으로 간장, 된장, 고추장 등 각종 장류의 원료가 되며, 한국인의 식생활 문화에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음식 중 하나이다.
메주 제조에 사용되는 콩은 수분 8.6%, 단백질 40%, 지방 18%, 섬유질 3.5%, 회분 4.6%, 펜토산 4.4% 및 당분 7%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으로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동맥경화, 심장질환이 염려되는 사람도 먹을 수 있으며,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등 기능성도 매우 뛰어난 식품이다.
예를 들면, 콩 속의 이소플라본(isoflavon) 중 제니스타인(genistein) 등은 암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키고, 정상세포의 분열을 촉진하는 항암작용을 나타내며, 이소플라본의 유도체인 이프리플라본(iprifiavone)은 뼈의 재흡수를 저해하고 동시에 뼈의 밀도를 높여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콩 속의 이러한 유효성분들은 메주를 띄워 된장, 간장 등으로 발효되는 과정 에서도 그대로 존재하게 되며, 여기에 덧붙여 황국균(Aspergillus oryzae)의 작용으로 단백질이 분해되어 각종 아미노산류가 생성되고, 일부 아미노산류와 당류와의 반응에 의해 멜라노이딘(melanoidin) 상의 물질 등 새로운 항산화성 물질이 생성된다. 콩 속의 폴리페놀류와 발효과정 중에 생성되는 멜라노이딘 상의 물질들은 간장, 된장 내에 존재하는 리놀산(linoleic acid) 등의 지질류의 산화를 막아 산패를 방지하고 불포화 필수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의 전통 발효식품의 각종 유효 성분들이 규명됨에 따라, 이들은 건강식품으로 새롭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나, 현대의 서구화된 한국인의 입맛과는 다소 차이가 있어 점차 그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메주를 이용한 발효식품 중 된장은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의 전통 대두 발효식품으로써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유래의 필수아미노산의 급원 식품임과 동시에 특유의 향미로 인하여 우리 민족의 입맛에 가장 친화력이 높은 조미료이며, 식품의 3차 기능인 생리활성 효능 또한 우수하여, 된장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항 돌연변이 효능, 항암 효능, 혈압 강하 효능 및 항 혈전 형성 효능 등이 보고되고 있어, 우수한 영양원일 뿐만 아니라 기능성 요인까지 겸비한 우수한 전통 식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생강 된장을 이용한 생강 된장 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강 된장을 이용한 생강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강 메주를 이용한 생강 간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강 메주를 이용한 생강 된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강 된장을 이용한 생강 된장 소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강 된장을 이용한 생강 고추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강 메주를 이용한 소스의 제조방법은 (A) 생강분말, 고두보리밥 및 삶은 콩을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생강 메주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생강 메주, 한약재 달인물, 소금, 생강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숙성된 숙성물을 액체 및 고체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생강 메주는 생강분말 10 내지 25 중량%, 고두보리밥 3 내지 10 중량% 및 삶은 콩 70 내지 85 중량%를 25 내지 40 ℃에서 발효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혼합물은 생강 메주 30 내지 40 중량%, 한약재 달인물 5 내지 15 중량%, 소금 2 내지 10 중량%, 생강분말 3 내지 5 중량% 및 물 4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한약재 달인물은 당귀와 감초를 1 : 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달인 것이다.
상기 (C)단계에서 액체는 생강 간장이며, 고체는 생강 된장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강 된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생강 된장과 발효액을 1 : 0.1 내지 0.9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발효액은 생강분말 10 내지 30 중량%, 과일류 10 내지 30 중량%, 당류 10 내지 20 중량% 및 물 2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한 것일 수 있고; 상기 과일류는 사과, 배, 귤 및 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과일로서 껍질이 제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당류는 설탕, 과당, 꿀, 물엿, 올리고당 및 조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강 고추장의 제조방법은 상기 생강 된장, 발효액, 고춧가루 및 생강 분말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강분말은 스팀으로 0.5 내지 2시간 동안 증자시킨 후 건조시킨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강 간장은 생강 메주, 한약재 달인물, 소금, 생강분말 및 물을 숙성시킨 후 고체를 제거함으로써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강 된장은 생강 메주, 한약재 달인물, 소금, 생강분말 및 물을 숙성시킨 후 액체를 제거함으로써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강 된장 소스는 상기 생강 된장과 발효액이 1 : 0.1 내지 0.9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강 고추장은 상기 생강 된장, 발효액, 고춧가루 및 생강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강 메주를 이용한 생강 된장, 생강 간장, 생강 된장 소스 및 생강 고추장은 체내 면역성이 증대되어 감기예방 및 질병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알코올 섭취시 숙취, 피로, 간장질환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콩팥이 나쁜 신장 환자가 섭취시에도 몸에 해롭지 않다.
또한, 시금치, 미나리 등의 채소와 함께 조리하면 피를 맑게 해주는 청혈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관능성이 뛰어나 남녀노소, 외국인 등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면역성이 증대되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방법은 (A) 생강분말, 고두보리밥 및 삶은 콩을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생강 메주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생강 메주, 한약재 달인물, 소금, 생강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숙성된 숙성물을 액체 및 고체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생강분말, 고두 보리밥 및 삶은 콩을 혼합한 후 볏짚을 이용하여 25 내지 40 ℃에서 발효시켜 생강 메주를 제조한다.
상기 생강분말로는 생강 특유의 쓴맛과 냄새가 제거되고 삶은 콩과의 발효를 용이하게 수행시키기 위하여 분말을 100 내지 150 ℃의 스팀으로 0.5 내지 2시간 동안 증자시킨 후 건조된 것을 이용한다. 생강분말을 증자시키지 않고 바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강 특유의 쓴맛과 냄새가 제거되지 않고 숙취해소 및 청혈효과가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생강분말은 1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로 사용된다. 생강분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두보리밥은 삶은 콩과 혼합시 우수한 품질의 생강 메주가 제조되도록 도와주는 물질로서, 분말로 이용된다.
상기 고두보리밥은 3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중량%이다. 고두 보리밥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맛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삶은 콩은 메주의 주재료로서, 70 내지 85 중량%로 사용된다. 삶은 콩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메주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맛 및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생강 메주는 2 내지 4개월 동안 발효시킨 후 다음 공정에 이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생강 메주, 한약재 달인물, 소금, 생강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킨다.
상기 생강 메주는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것으로서 3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중량%로 사용된다. 생강 메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소스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맛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한약재 달인물은 생강 메주 및 생강 분말과 혼합되어 기능성 및 관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생강의 문제점인 신장에 해로운 성분을 제거하여 신장에 문제가 있는 소비자가 섭취해도 몸에 무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한약재 달인물은 당귀와 감초가 1 : 1 내지 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다. 당귀를 기준으로 감초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기능성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오히려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 달인물은 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중량%로 사용된다. 한약재 달인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기능성 및 관능성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기능성 및 관능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생강분말은 상기 (A)단계에서 사용된 생강분말과 동일한 것으로서, 생강 메주 및 한약재 달인물과 함께 사용되어 생강 자체의 특성인 면역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생강분말의 함량은 3 내지 5 중량%로서, 생강분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생강분말을 첨가시 발생되는 효과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소금은 2 내지 10 중량%, 상기 물은 40 내지 5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숙성과정에서 액체와 고체로 분리되기에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B)단계에서 혼합물을 4 내지 8개월 동안 숙성(방치)시키면 고형분이 아래로 가라앉아 액상(액체)인 상등액과 고상(고체)인 고형분으로 나뉘어지는데 이를 각각 분리하여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등액인 액체는 생강 간장으로 사용되며, 상기 고형분인 고체는 생강 된장으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된장과 발효액을 혼합하여 생강 된장 소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강 된장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C)단계에서 분리된 생강 된장과 발효액을 혼합하여 1 내지 30일 동안 30 내지 35 ℃에서 발효시킨다.
상기 발효액은 생강 특유의 쓴맛, 냄새 및 몸에 해로운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상기 생강 된장과 사용되어 기능성 및 관능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생강 된장과 발효액은 1 : 0.1 내지 0.9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3 내지 0.7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생강 된장을 기준으로 발효액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목표까지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발효액은 생강분말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 과일류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 당류 1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 및 물 2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한 후 단맛이 없어질 때까지 2 내지 6 개월 동안 30 내지 35 ℃에서 발효를 수행한다.
상기 발효액에 이용된 생강분말은 상기 (A)단계에서 사용된 생강분말과 동일한 것으로서, 발효액 내에서 생강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생강분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생강의 기능성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류는 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과일류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단맛이 강하여 메주, 된장 및 간장 등 소스의 맛이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과일류로는 사과, 배, 귤 및 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과일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과일의 껍질이 제거된 것이 관능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당류는 발효에 필요한 성분으로서, 당류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단맛이 강하여 메주, 된장 및 간장 등 소스의 맛이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생강 된장 소스를 제조 시 일정기간 동안 발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지만 발효를 수행하면 더 우수한 효과를 갖는 생강 된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된장, 고춧가루, 발효액 등을 혼합하여 생강 고추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강 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C)단계에서 분리된 생강 된장 5 내지 20 중량%, 발효액 10 내지 30 중량%, 고춧가루 30 내지 45 중량%, 생강 분말 5 내지 20 중량% 및 소금 3 내지 10 중량%로 혼합하여 통상의 고추장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생강 된장은 고추장의 관능성 및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관능성 및 기능성 모두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액은 상기 생강 된장 소스에 사용된 발효액과 동일한 발효액으로서, 생강 된장과 사용되어 관능성을 높이며 생선과 섭취시 생선의 비린내를 제거할 수 있다.
발효액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관능성 및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는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강 분말은 상기 (A)단계에서 사용된 생강분말과 동일한 것으로서, 생강 된장과 사용되어 생선과 섭취시 생선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생선에 함유된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다.
생강 분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생선의 비린내 및 미생물을 사멸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맛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춧가루는 고추장을 제조하는 주재료로서,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고추장이 제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맛이 떱떱할 수 있다.
상기 소금 역시 고추장을 제조하는 주재료로서,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저장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짠맛이 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A) 내지 (C)단계까지 수행하면 생강 간장 및 생강 된장을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생강 된장을 이용하여 발효액과 혼합하면 생강 된장 소스를 수득할 수 있고, 상기 생강 된장을 이용하여 발효액 및 고춧가루 등과 혼합하면 생강 고추장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발효액 제조
생강분말 20 중량%, 껍질이 제거된 사과 10 중량%, 껍질이 제거된 귤 10 중량%, 조청 15 중량% 및 물 45 중량%를 혼합한 후 6개월 동안 30 ℃에서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발효액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생강분말을 생략하여 껍질이 제거된 사과 20 중량%, 껍질이 제거된 귤 20 중량%, 조청 15 중량% 및 물 45 중량%를 혼합함으로써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생강 간장의 제조
생강 메주 제조
생강분말 15 중량%, 고두보리밥 8 중량% 및 삶은 콩 77 중량%를 30 ℃에서 발효시켜 생강 메주를 제조하였다.
생강 간장 제조
상기 생강 메주 35 중량%, 당귀와 감초를 1 : 2의 중량비로 하여 달인 한약재 달인물 10 중량%, 소금 10 중량%, 생강분말 5 중량% 및 물 40 중량%를 혼합한 후 6개월 동안 방치하면 액상인 상등액과 고상인 고형분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고형분을 제외한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생강 간장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생강 된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되, 상기 상등액을 제외한 고형분만을 분리하여 생강 된장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생강 된장 소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하되, 상기 생강 된장과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발효액을 1 : 0.5 중량비로 혼합하여 1일 동안 30 ℃에서 발효를 수행하여 생강 된장 소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생강 고추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생강 된장 20 중량%,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발효액 20 중량%, 고춧가루 40 중량%, 생강 분말 10 중량% 및 소금 10 중량%를 혼합하여 생강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한약재 달인물 생략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되, 생강 된장을 제조시 한약재 달인물을 생략하여 생강 된장 소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일반메주 이용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되, 메주 제조시 생강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고두보리밥 10 중량% 및 삶은 콩 90 중량%를 이용하여 일반메주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생강 된장 소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생강분말 생략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되, 생강 된장을 제조시 생강분말을 생략하여 생강 된장 소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되, 발효액으로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발효액을 사용하여 생강 된장 소스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
시험예
1.
항보체
활성 평가
면역증강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보체 활성을 평가하였다. 보체계에 대한 활성여부는 마이어(Mayer)법을 이용하여 시료(10배 희석)에 의한 보체소비(complement consumption)후 잔존하는 보체에 의한 적혈구 용혈 정도에 근거를 둔 complement fixation test 방법으로 항보체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시판 면역활성 다당체인 운지버섯 유래의 PSK(polysaccharide-K)를 이용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써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증류수를 이용하였으며, 음성대조군에서의 활성화 정도를 ITCH50 0%로 하여 각 시료의 활성화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양성대조군(PSK) | 음성대조군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항보체 활성 | 49.2 | 10.1 | 30.6 | 31.8 | 39.9 | 33.1 | 17.0 | 12.9 | 16.8 | 13.4 |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간장, 된장, 된장 소스 및 고추장은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면역증강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사이토카인 생산능력 평가
대식세포는 세균이나 이물질을 탐식, 제거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면역현상을 조절하며, 항원에 대한 면역작용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로서, 항원제시와 림프구의 비특이적 면역작용에 관계하며, 종양세포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상해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TLR(toollike receptor)에 반응하는 물질은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T세포와 B세포의 증식, 식균 작용을 위한 IL-1, IL-6, IL-10, IL-12 및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IL-1, IL-6 및 TNF-α는 대식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으로 세균감염에 따른 염증반응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염증병소에서 그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소스(10배 희석)를 C57B6 마우스의 복강에서 획득한 대식세포(macrophage)를 이용하여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사이토카인(cytokine)(TNF-α) 생산자극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으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를 첨가하여 사이토카인(TNF-α) 생산자극을 측정하였다.
구분 | 양성대조군 | 음성대조군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생산자극(pg/ml) | 1159.2 | 51.9 | 2538.5 | 2644.6 | 2967.3 | 2587.6 | 1694.5 | 896.3 | 1315.6 | 1068.2 |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간장, 된장, 된장 소스 및 고추장은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높은 TNF-α 생산자극능력을 보이므로 우수한 면역증강기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알코올분해효소
아세트알데하이드
(
ADH
) 활성도 측정
ADH 활성도 측정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제공된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다. 소스(실험군)과 대조군(정제수)을 분해 완충제에 희석하여 50 ul씩 96 다중홈 플레이트에 넣고, 분해 완충제 82 uL와 현상액 8 uL 및 isopropanol 10 uL로 혼합된 액을 조성하여 시료 희석액이 들어있는 플레이트에 100 uL 씩 첨가하였다. 이후 37 ℃에서 3분간 배양하여 반응시키고, ADH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자외선분광광도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다시 30분 배양하여 ADH 생성량을 측정하고 두 개의 값을 키트에서 제시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알코올분해효소활성도을 구하였다.
용매 대조군의 흡광도를 1로 보았을 때, 조성물의 상대적인 흡광도를 표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정제수를 사용하고 조성물의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율로 표시하였다. 상기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음성대조군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ADH활성도 변화 | 1.00 | 2.53 | 2.60 | 3.19 | 2.59 | 1.02 | 1.05 | 1.23 | 1.28 |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간장, 된장, 된장 소스 및 고추장은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ADH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1 및 2의 소스가 알코올 섭취시 숙취, 피로, 간장질환을 야기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독성 예방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알코올 분해효소인 ADH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에탄올을 최종 대사산물인 아세트산으로 빠르게 분해시키므로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각종 질환에 대한 예방 내지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험예 4. 관능 검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소스를 1일 보관 후 전문패널 20명에게 시식하게 한 다음 9점 척도법(정도가 클수록 9점에 가까움)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향, 맛, 색 및 전반적인 기호도: 1=매우 나쁘다, 9점=매우 좋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향 | 7.5 | 7.4 | 7.9 | 7.5 | 6.1 | 7.8 | 6.8 | 6.0 |
맛 | 7.8 | 7.7 | 8.1 | 7.7 | 6.3 | 6.8 | 6.0 | 5.3 |
색 | 7.1 | 7.3 | 7.6 | 7.5 | 7.0 | 7.4 | 6.7 | 6.4 |
전반적인 기호도 | 7.3 | 7.4 | 7.8 | 7.4 | 6.4 | 6.9 | 6.5 | 5.9 |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에 따라 제조된 간장, 된장, 된장 소스 및 고추장은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향, 맛, 색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8)
- 생강분말을 포함하는 생강 메주 30 내지 40 중량%, 한약재 달인물 5 내지 15 중량%, 소금 2 내지 10 중량%, 생강분말 3 내지 5 중량% 및 물 4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약재 달인물은 당귀와 감초를 1 : 2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액체 및 고체로 구분되는 상기 숙성된 숙성물을 액체 및 고체로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는 생강 된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메주는 생강분말 10 내지 25 중량%, 고두보리밥 3 내지 10 중량% 및 삶은 콩 70 내지 85 중량%를 25 내지 40 ℃에서 발효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 제6항의 생강 된장과 발효액을 1 : 0.1 내지 0.9의 중량비로 혼합하며,
상기 발효액은 생강분말 10 내지 30 중량%, 과일류 10 내지 30 중량%, 당류 10 내지 20 중량% 및 물 2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류는 사과, 배, 귤 및 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과일로서 껍질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설탕, 과당, 꿀, 물엿, 올리고당 및 조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 제6항의 생강 된장, 발효액, 고춧가루 및 생강 분말을 혼합하며
상기 발효액은 생강분말 10 내지 30 중량%, 과일류 10 내지 30 중량%, 당류 10 내지 20 중량% 및 물 2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고추장의 제조방법. - 생강분말을 포함하는 생강 메주 30 내지 40 중량%, 한약재 달인물 5 내지 15 중량%, 소금 2 내지 10 중량%, 생강분말 3 내지 5 중량% 및 물 40 내지 50 중량%를 숙성시키고 고체를 제거하여 수득하되,
상기 한약재 달인물은 당귀와 감초를 1 : 2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간장. - 생강분말을 포함하는 생강 메주 30 내지 40 중량%, 한약재 달인물 5 내지 15 중량%, 소금 2 내지 10 중량%, 생강분말 3 내지 5 중량% 및 물 40 내지 50 중량%를 숙성시키고 액체를 제거하여 수득하되,
상기 한약재 달인물은 당귀와 감초를 1 : 2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된장. - 제14항의 생강 된장과 발효액이 1 : 0.1 내지 0.9의 중량비로 혼합하며,
상기 발효액은 생강분말 10 내지 30 중량%, 과일류 10 내지 30 중량%, 당류 10 내지 20 중량% 및 물 2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된장 소스. - 제14항의 생강 된장, 발효액, 고춧가루 및 생강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발효액은 생강분말 10 내지 30 중량%, 과일류 10 내지 30 중량%, 당류 10 내지 20 중량% 및 물 2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고추장. - 생강분말을 포함하는 생강 메주 30 내지 40 중량%, 한약재 달인물 5 내지 15 중량%, 소금 2 내지 10 중량%, 생강분말 3 내지 5 중량% 및 물 4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약재 달인물은 당귀와 감초를 1 : 2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액체 및 고체로 구분되는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서 고체를 제거하여 액체인 간장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919A KR101913347B1 (ko) | 2016-03-10 | 2016-03-10 |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919A KR101913347B1 (ko) | 2016-03-10 | 2016-03-10 |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806A KR20170105806A (ko) | 2017-09-20 |
KR101913347B1 true KR101913347B1 (ko) | 2018-10-30 |
Family
ID=6003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919A KR101913347B1 (ko) | 2016-03-10 | 2016-03-10 |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334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8686A (ko) | 2019-07-15 | 2021-01-25 | 강진하 |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산양삼 간장 |
KR20210008715A (ko) | 2019-07-15 | 2021-01-25 | 강진하 |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산양삼 간장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91598A (ko) | 2022-12-14 | 2024-06-21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해피피플 | 땅콩 새싹 분말을 포함하는 된장의 제조방법 |
KR20240092653A (ko) | 2022-12-14 | 2024-06-24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해피피플 | 땅콩 새싹 분말을 포함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905B1 (ko) * | 2008-07-07 | 2009-05-14 | 전현철 |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
KR101539993B1 (ko) * | 2011-12-08 | 2015-07-29 | 나지원 | 한약재 성분을 함유하는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
-
2016
- 2016-03-10 KR KR1020160028919A patent/KR1019133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905B1 (ko) * | 2008-07-07 | 2009-05-14 | 전현철 |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
KR101539993B1 (ko) * | 2011-12-08 | 2015-07-29 | 나지원 | 한약재 성분을 함유하는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8686A (ko) | 2019-07-15 | 2021-01-25 | 강진하 |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산양삼 간장 |
KR20210008715A (ko) | 2019-07-15 | 2021-01-25 | 강진하 |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산양삼 간장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806A (ko) | 2017-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3347B1 (ko) | 생강 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35159B1 (ko) | 블루베리를 이용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념 갈비 | |
KR20200016153A (ko) |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671961B1 (ko) |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 |
US8586529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 |
KR101186247B1 (ko) | 오미자와 표고버섯을 함유하는 풍미와 보존성이 우수한 조미료의 제조 방법 | |
KR101982219B1 (ko) | 안토시아닌 고함유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을 이용한 산패 억제 및 면역 증진 기능성 고단백 과자칩의 제조방법, 및 산패 억제 및 면역 증진 조성물 | |
KR101791325B1 (ko) | 귀리 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귀리 조청 | |
KR20140083507A (ko) | 오디를 첨가한 샐러드 드레싱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551241B1 (ko) | 고추장 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66759B1 (ko) | 멀꿀 함유 국수와 그 제조방법 | |
KR102073393B1 (ko) | 발효 차가버섯 분말과 죽염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 |
KR102410710B1 (ko) | 간장 찜닭 제조방법 | |
KR101508726B1 (ko) | 황기 및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간장 제조방법 | |
KR20060135090A (ko) | 국수 반죽 조성물 | |
KR102246366B1 (ko) | 쌀메주를 이용한 살구 고추장의 제조 방법 | |
KR101402600B1 (ko) | 즉석국수 제조방법 | |
KR101751753B1 (ko) | 저염 건조 민들레 비빔밥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30052980A (ko) | 유자청을 이용한 보쌈 김치양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66179B1 (ko) | 고추장 양념소스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장 양념 삼겹살 구이의 조리방법 | |
KR101578666B1 (ko) | 고로쇠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고추장떡 제조방법 | |
KR20200074355A (ko) | 백수오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청 | |
KR102492573B1 (ko) | 우동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057927A (ko) |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강화된 양조간장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047425A (ko) | 청국장 울금 카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