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636B1 - 슬라이더 파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 - Google Patents

슬라이더 파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636B1
KR102255636B1 KR1020190093195A KR20190093195A KR102255636B1 KR 102255636 B1 KR102255636 B1 KR 102255636B1 KR 1020190093195 A KR1020190093195 A KR 1020190093195A KR 20190093195 A KR20190093195 A KR 20190093195A KR 102255636 B1 KR102255636 B1 KR 102255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er
base unit
conne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279A (ko
Inventor
가르텐마이어 다니엘
Original Assignee
오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오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5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제1 커넥팅 파트(2)를 포함하는 1차 커넥터(1), 제2 커넥팅 파트(11)를 갖는 베이스 유닛(10)을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9)를 포함하며, 커플링 커넥터(9)는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이동하기 위해 구성된 슬라이더 파트(15)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 파트(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예비 위치로 그리고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커플링 커넥터(9)의 제2 커넥팅 파트(11)는 메이팅 방향(12)으로 1차 커넥터(1)의 제1 커넥팅 파트(2)와 메이팅되기 위해 구성되는,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슬라이더 파트(1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1차 커넥터(1)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커플링 커넥터(9)가 1차 커넥터(1)와 커플링되며 슬라이더 파트(15)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1차 커넥터(1)에 대한 슬라이더 파트(15)의 소정의 운동 경로를 시행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르는 슬라이더 파트의 운동은 제1 커넥팅 파트(2)에 대해 제2 커넥팅 파트(11)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1 커넥팅 파트(2)와 제2 커넥팅 파트(11)는 메이팅(12) 방향으로 메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커넥터들을 메이팅하기 위한 삽입 보조구를 제공하는 개량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며, 또한 더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커넥턱 시스템을 제공하며, 또한 파워 커넥터들을 연결하기에 적합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더 파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COUPLING CONNECTOR COMPRISING A SLIDER PART}
본 발명은 주 커넥터(일차 커넥터)(primary connector)와 커플링 커넥터(coupling connector)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connector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출원 DE 102 52 096 A1은 레버-타입 커넥터(lever-type connector),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및 레버-타입 커넥터를 짝결합 커넥터(연결 커넥터)(mating connector)와 조립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제1 커넥터는 초기 위치에서 연결 위치로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레버를 갖는다. 레버는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와 연결시키기 위해 캠 작용(cam action)을 나타낸다. 제1 커넥터는 또한 대기 위치(standby position)에서 검출 위치(detecting position)로의 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기(detector)를 갖는다. 운동 방향은 회전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정렬된다. 레버와 검출기는 레버가 검출기를 방해하며 레버가 연결 위치에 있는 때까지 검출기가 검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
독일 특허 출원 DE 103 03 382 A1은 래칭 플레이트(latching plate)를 갖는 커플링 장치가 기술된다. 커플링 장치는 그 안에 커넥터의 삽입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갖는다. 슬라이더는 커넥터가 커플링 장치 내로 삽입되는 개방 위치와 커넥터가 작동되어 커플링 장치와 전기적 접촉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는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래칭 플레이트를 갖는다. 슬라이더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고정하기 위해 래칭 플레이트는 커플링 장치와 래칭 맞물림이 되도록 이동 가능하다.
독일 특허 출원 DE 103 29 066 A1은 커넥터 장치를 개시한다. 가동측 하우징을 정지측 하우징에 설치함에 있어서, 가동측 하우징의 프론트 리딩 단부 부분(front leading end portion)은 정지측 하우징의 프론트 베이스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에, 가동측 하우징을 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시키는 것이 불필요하다. 가동측 하우징이 매칭 위치(matching position)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가이드들은 가동측 하우징을 매칭 위치로 신뢰 가능하게 안내한다. 결과적으로, 캠 팔로워(cam follower)들이 캠 그루브들의 입구들 내로 설치된다. 그 후에, 슬라이드 레버는 하나의 하우징의 전극들을 다른 하나의 하우징의 전극들과 연결시키기 위해 이동된다. 정지측 하우징에 대해 가동측 하우징을 적절히 배치시키는 것은 어렵지 않다. 따라서, 가동측 하우징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체크하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정지측 하우징에 가동측 하우징을 설치하는 작업은 용이하고 신뢰 가능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독일 특허 출원 DE 199 15 187 A1에서는, 플러그 연결 로킹(잠금) 메커니즘(plug connection locking mechanism)이 기술된다. 커넥터 로크 구조(connector lock structure)는 커넥터 피팅 챔버를 갖는 암컷 커넥터 하우징, 맞물림 돌출부를 갖는 수컷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피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암컷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탄성 로크 암(elastic lock arm)은 암컷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며, 로크 암을 수용하기 위한 만곡 수용부가 슬라이드 부재에 제공된다. 맞물림 돌출부는 로크 암을 만곡 수용부로 들어올리며 만곡 수용부의 내측 표면은 로크 암의 측부 표면에 인접한다. 만곡 수용부에 인접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의 바닥 표면의 그 부분은 로크 암의 굽힘의 방향으로 향하는 로크 암의 그 표면에 인접한다. 슬라이드 돌기부는 수컷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며, 가이드 그루브는 암컷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며, 임시 고정 암은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된다. 임시 고정(유지) 암은 가이드 그루브에 맞물리며, 슬라이드 돌기부에 의해 가압되며, 이에 의해 임시 유지를 취소한다.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4 005 255 A1은 수평으로 잠글 수 있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커넥터는 플러그, 플러그 수용부 및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 플러그와 플러그 수용부가 기계적으로 맞물리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플러그와 플러그 수용부는 로킹 가능하다. 로킹 메커니즘은 플러그 수용측에서 가이드 프레임 및 슬라이딩 어댑터를 가지며, 이들은 플러그와 플러그 수용부가 연결이 끊어지며 예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해제 위치와 플러그와 플러그 수용부 사이의 분리가 방지되는 로킹 위치 사이의 주된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로킹 메커니즘은 플러그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해제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의 로킹 메커니즘의 이동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어댑터 및 가이드 프레임과 상호작용하는 2차 요소를 더 포함한다.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6 215 123 A1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이 기술된다. 일 태양에 따르면, 로킹 요소가 시스템의 소켓 하우징에 제공되어 우수한 정도의 유연성이 특히 배터리 모듈과의 조합으로 사용과 같은 중요한 적용들에서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의 장착 및 연결 시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서는, 탄력성의 정도에 대응하는 예비 고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의 소켓 하우징 및/또는 핀 하우징에 탄력 프리픽싱 요소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공차들이 고려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태양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은 이중 기능을 갖는 보장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하나의 단일의 부품을 기초로 하우징 부품들의 로킹과 접촉들의 2차 보장을 달성한다.
미국 특허 US 5 236 373 A는 짝결합된 전기 커넥터들의 적절한 맞물림을 보장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기술한다. 어셈블리는 그 안에 내장된 터미널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 한 쌍의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위치 보장 부재는 사전 조립된 위치에서 커넥터들 중 하나와 유지되며 맞물린다. 커넥터들이 적절히 맞물리는 경우, 연결 위치 보장 부재는 그 사전 조립된 위치로부터 제2 또는 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커넥터들의 부적합한 맞물림 시, 그 사전 조립된 위치로부터 그 홈 위치로의 운동을 못하게 되며, 이에 의해 커넥터들 사이의 부적합한 맞물림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들을 짝결합(연결)하기 위한 삽입 보조구를 제공하는 개선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 커넥터들을 연결하기에 적합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 청구항들에서 참조번호들은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단지 청구항들의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제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일차 커넥터)(primary connector)와 제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를 갖는 베이스 유닛(base unit)을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coupling connector)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커넥터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성된 슬라이더부(slider part)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예비 위치 및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커플링 커넥터의 제2 연결부는 짝결합 방향(연결 방향)(mating direction)으로 주 커넥터의 제1 연결부와 짝결합(연결)되기 위해 구성된다.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주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며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주 커넥터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소정의 운동 경로를 실시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르는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짝결합 방향으로 연결(짝결합)되도록 제1 연결부에 대해 제2 연결부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갖는 주 커넥터와 제2 연결부를 갖는 커플링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커넥터들의 각각의 연결부들은 짝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연결부들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연결(짝결합)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전기 연결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들, 예를 들면, 접촉 핀들 또는 소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 이들 전기 연결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소정의 삽입력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커넥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연결(짝결합)하는 경우 삽입 보조구로서 기능할 수 있는 슬라이더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2개의 강제 안내(유도)들에 의해 제어된다. 커플링 커넥터의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더부는 소정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커플링 커넥터는 베이스 유닛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주 커넥터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안내 부품들에 의해 결정된다. 주 커넥터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소정의 운동 경로가 실시되도록 슬라이더부의 제1 안내 부품들은 주 커넥터의 제2 안내 부품들과 상호작용한다.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르는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짝결합시키기 위해 제1 연결부에 대해 제2 연결부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점에서, 슬라이더부는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슬라이더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제1 연결부에 대해 제2 연결부를 가압시키는 힘으로 전환하기 위해 구성되는 삽입 보조구로서 기능하며, 이에 의해 상기 2개의 연결부들을 짝결합시킨다. 슬라이더부에 의해, 예를 들면 심지어 큰 삽입력도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큰 삽입력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작은 삽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시스템은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작고 비좁은 공간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청구항 제14항에 따르는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를 연결하는 방법에 의해 더욱 해결된다. 주 커넥터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 커플링 커넥터는 제2 연결부를 갖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성된 슬라이더부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예비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주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을 포함한다. 방법은 커플링 커넥터를 주 커넥터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슬라이더부를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주 커넥터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소정의 운동 경로를 실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상호작용한다.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르는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짝결합 방향으로 연결(짝결합)되도록 제1 연결부에 대해 제2 연결부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청구항 제15항에 따르는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일차 커넥터)와 제2 연결부를 갖는 베이스 유닛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커넥터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성된 슬라이더부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예비 위치 및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의 제2 연결부는 주 커넥터의 제1 연결부와 연결 방향으로 짝결합(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커플링 커넥터는 래칭 메커니즘(latching mechanism)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가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베이스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는 슬라이더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와 맞물린다.
커넥터 시스템은 삽입 보조구로서 기능하는 슬라이더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제1 연결부는 제2 연결부에 짝결합된다. 슬라이더부의 최종 위치에서, 슬라이더부는 래칭 메커니즘에 의해 래칭된다. 따라서, 주 커넥터와 커플링 커넥터의 연결은 고정되며 분리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청구항 제16항에 따르는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와 제2 연결부를 갖는 베이스 유닛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커넥터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성된 슬라이더부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예비 위치 및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의 제2 연결부는 주 커넥터의 제1 연결부와 연결 방향으로 짝결합(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커플링 커넥터는 로킹 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하며, 로킹 부재는 슬라이더부가 그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 비로킹 위치 또는 로킹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슬라이더부는 로킹된다.
상술된 커넥터 시스템은 로킹 부재를 더욱 포함한다. 로킹 부재는 슬라이더부가 그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 비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슬라이더부는 로킹된다. 따라서, 주 커넥터와 커플링 커넥터 사이의 연결부는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청구항 제17항에 따르는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와 제2 연결부를 갖는 베이스 유닛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커넥터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성된 슬라이더부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예비 위치 및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의 제2 연결부는 주 커넥터의 제1 연결부와 연결 방향으로 짝결합(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는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 로킹 메커니즘이 풀리도록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가 형성되며 구성된다.
환언하면, 커넥터 시스템은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부를 그 예비 위치에서 잠그는 추가의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추가의 로킹 메커니즘은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짝결합(연결)되는 경우 슬라이더부가 베이스 유닛에 대해 그 예비 위치에 있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는 청구항 제18항에 따르는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더욱 해결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와 제2 연결부를 갖는 베이스 유닛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커넥터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성된 슬라이더부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예비 위치 및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의 제2 연결부는 주 커넥터의 제1 연결부와 연결 방향으로 짝결합(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주 커넥터를 향하는 슬라이더부의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슬라이더부가 그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주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상대 피스와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커넥터 시스템에서, 복수의 지지점들에서 커플링 커넥터를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를 제공함에 의해 주 커넥터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의 안정성은 향상된다. 따라서, 주 커넥터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의 틸팅(tilting)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이하에서 그리고 종속청구항들에서 논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짝결합 방향으로 짝결합되도록 슬라이더부에 의해 제2 연결부가 제1 연결부에 대해 가압되도록 소정의 운동 경로가 정의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더부는 주 커넥터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메커니즘에 의해 슬라이더부가 베이스 유닛에 결합되기 때문에, 베이스 유닛은 제2 연결부와 함께 주 커넥터의 제1 연결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또한 가압된다. 따라서, 슬라이더부의 운동으로 인해,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와 짝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며 슬라이더부가 그 예비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연결부는 제2 연결부에 대해 반대편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부와 정렬된다.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짝결합(연결)시키기 위해, 충분한 힘으로, 예를 들면, 충분한 크기의 삽입력으로 제1 연결부에 대해 제2 연결부를 가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구되는 힘은 슬라이더부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는 경우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에 배치되는 경우, 슬라이더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은 주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과 맞물린다. 따라서,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안내 부품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슬라이더부가 그 예비 위치에서 그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주 커넥터에 대해 커플링 커넥터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제1 안내 부품과 제2 안내 부품 사이의 상호작용은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더부의 운동 경로를 실시한다. 이러한 운동 중에 제2 연결부를 갖는 베이스 유닛은 제1 연결부에 대해 가압된다. 추가적으로,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 사이의 연결부는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슬라이더부가 그 예비 위치에서 그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 사이에 연결부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요소를 포함하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요소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가 제2 연결부와 짝결합되는 경우, 전기 연결부들이 적어도 하나이 제1 접촉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요소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가 제2 연결부와 짝결합되는 경우, 주 커넥터와 커플링 커넥터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전기적 연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연결부들은 큰 전류들을 전도하기 위해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으로서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소켓으로서 구현된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소켓으로서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으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 요소들 및 제2 접촉 요소들의 각각에 대해, 접촉 보호(touch protection)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접촉 요소들과 제2 접촉 요소들의 전류가 흐르는 부분들(live parts)을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과 적어도 하나의 접촉 소켓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짝결합하기 위한 75 N 이상의 삽입력이 요구되도록 구현된다. 큰 삽입력으로 인해, 안정적이고 신뢰 가능한 전기 연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주 커넥터가 오버헤드에 장착되는 경우라도, 커플링 커넥터는 큰 삽입력 때문에 타이트하게 유지될 것이다. 충분한 크기의 삽입력은 그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슬라이더부를 푸싱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를 그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75 N 미만의 힘이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주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며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주 커넥터에 대해 슬라이더부의 소정의 운동 경로를 실시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르는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짝결합 방향으로 짝결합(연결)되도록 제1 연결부에 대해 제2 연결부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한다. 짝결합 과정 동안, 슬라이더부는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베이스 유닛을 제2 연결부와 함께 제1 연결부에 대해 가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더부는 예를 들면 파워 커넥터의 분야에서 큰 삽입력을 필요로 하는 커넥터들을 연결(짝결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커넥터 시스템은 작은 삽입력 커넥터들의 분야에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슬라이더부의 2개의 측면들의 각각에 측면당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주 커넥터는 제1 안내 부품들에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의 측면당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은 주 커넥터의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더부의 2개의 측면들의 각각에 안내 부품들을 제공함에 의해, 슬라이더부가 주 커넥터와 대칭적으로 짝결합되는 것을 확실하게 만든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슬라이더부의 2개의 측면들의 각각에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을 포함하며,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주 커넥터는 제1 안내 부품들에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의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은 주 커넥터의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더부의 2개의 측면들의 각각에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을 제공함에 의해, 짝결합 과정 동안 슬라이더부의 적어도 4개의 제1 안내 부품들이 주 커넥터의 적어도 4개의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확실하게 만든다. 따라서, 짝결합 과정 동안 커플링 커넥터의 안정적인 지지가 제공되며, 커플링 커넥터는 적어도 4개의 지지 점들에 놓인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와 주 커넥터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볼 때 슬라이더부의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슬롯이 형성된 안내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의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 및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은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를 연결하는 과정 동안 주 커넥터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의 배향을 실시하기 위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의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 및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은 주 커넥터에 대해 커플링 커넥터의 배향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적어도 4개의 지지 점들에서 커플링 커넥터를 지지함에 의해, 커플링 커넥터의 요구되는 배향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의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 및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은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를 연결하는 과정 동안 주 커넥터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의 틸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주 커넥터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의 틸팅은 방지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레버리지 힘 및 상응하는 안전성 위험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서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으로서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에 배치되는 경우, 주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슬라이더부의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과 맞물린다. 슬라이더부가 그 최종 위치로 밀려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을 따라 이동하며 소정의 운동 경로를 실시한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으로서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서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이 주 커넥터의 일부에 배치되며, 반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슬라이더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은 주 커넥터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소정의 운동 경로를 실시하도록 형성되며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은 만곡된다. 대안으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은 예를 들면 직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의 적어도 일부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의적어도 일부는 주 커넥터를 향해 경사진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에 의해 정의되는 경사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더부는 주 커넥터에 점차적으로 더 가까워지며 제1 연결부에 대해 제2 연결부를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의 적어도 일부는 짝결합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의 적어도 일부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10˚이상의 각도로 경사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슬롯의 적어도 일부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20˚미만의 각도로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슬라이더부가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슬라이더부가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스 유닛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제한된다. 슬라이딩 메커니즘의 존재로 인해, 슬라이더부가 주 커넥터에 더 가까이 이동하는 경우, 이것은 또한 베이스 유닛과 제2 연결부를 주 커넥터를 향해 민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유닛을 둘러싼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유닛을 덮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유닛의 외면을 둘러싼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슬라이드부의 외면의 부분은 그리핑면(파지면)으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핑면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더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의 파지면을 파지하여 슬라이더부를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부 자체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짝결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 요소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시스템은 추가 레버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더부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들을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베이스 유닛의 외면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 및 슬라이더부의 내면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그루브들 내의 리브의 상대 운동은 베이스 유닛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베이스 유닛의 외면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및 슬라이더부의 내면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슬리브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파워 커넥터로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커플링 커넥터는 2개의 케이블을 파워 커넥터에 도입하기 위해 구성되는 2개의 케이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파워 커넥터이며, 파워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통해 커플링 커넥터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 방향은 커플링 커넥터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케이블 방향에 대해 최대 30˚의 각도로 배향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5˚의 각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0˚의 각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5˚의 각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의 각도로 커플링 커넥터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케이블 방향에 대해 배향된다. 케이블 방향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이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케이블 포트에서 커플링 커넥터로 들어가는 지점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향이다. 2개 이상의 케이블의 경우에는, 케이블 방향은 커플링 커넥터로 들어가는 각 지점들에서의 2개 이상의 케이블들의 평균 방향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 방향은 대략 케이블 방향과 같다. 슬라이더부는 케이블 방향에 대해 최대 30˚의 각도로 또는 케이블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은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 아래로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설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의 축방향에 대해,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의 각도로 배향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5˚의 각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0˚의 각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5˚의 각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의 각도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의 축방향에 대해 배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 방향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의 축방향과 대략 같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부분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향해 배향되는 슬라이더부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둘러싼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향해 배향되는 슬라이더부의 일부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둘러쌀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향해 배향되는 슬라이더부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로서 구현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향해 배향되는 슬라이더부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유닛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 방향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짝결합 방향에 대해 70˚이상의 각도로 배향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짝결합 방향에 대해 80˚이상의 각도로 배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 방향은 짝결합 방향에 대해 110˚미만의 각도로 배향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짝결합 방향에 대해 100˚미만의 각도로 배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유닛에 대한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딩 방향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짝결합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이다. 따라서, 슬라이더부는 짝결합 방향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며,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짝결합을 위해 필요한 삽입력으로 변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래칭 메커니즘(latching mechanism)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가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베이스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가 슬라이더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와 맞물린다. 래칭 메커니즘에 의해, 슬라이더부는 그 최종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커플링 커넥터의 분리가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latching element)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는 슬라이더부가 베이스 유닛에 대해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를 래칭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는 베이스 유닛에 탄력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는 예를 들면 다음 중 하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개구부, 컷-아웃, 리세스, 인덴테이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더부 또는 베이스 유닛은 작동 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구성된 해제 버튼을 포함한다. 해제 버튼이 작동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될 수 없으며 슬라이더부는 그 최종 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자마자, 슬라이더부는 최종 위치로부터 예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 사이의 연결은 해제 버튼 작동 시 단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로킹 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하며, 로킹 부재는 슬라이더부가 그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 비로킹 위치 또는 로킹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슬라이더부는 로킹된다. 커넥터 위치 보장 또는 CPA로서 또한 지칭되는, 로킹 부재에 의해,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 사이의 연결이 더욱 안전해 질 수 있다. 상기 2개의 커넥터들을 분리하기 전에, 로킹 부재는 비로킹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의 비로킹 위치에서, 슬라이더부는 로킹 부재에 의해 로킹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70˚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80˚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11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10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짝결합 방향에 대해 70˚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는 짝결합 방향에 대해 11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로킹 부재는 커플링 커넥터의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로킹 부재의 이러한 배치구조는 슬라이더부를 효과적으로 로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슬라이더부는 포지티브 로킹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는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의 래칭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로킹 부재는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해제 버튼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의 부분은 래칭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차단되도록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의 래칭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아래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의 부분은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래칭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베이스 유닛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사이 공간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래칭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차단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이것은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 사이의 연결부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의 래칭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차단되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될 수 없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의 비로킹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의 래칭 요소들 중 어느 것도 차단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 버튼을 작동함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로킹 부재는 핀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는 L-형상 그루브 또는 슬롯을 포함하며, 로킹 부재의 핀은 L-형상 그루브 또는 슬롯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로킹 부재의 핀은 L-형상 그루브 또는 슬롯의 단부 부분에서 포지티브 로킹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커플링 커넥터는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코드는 로킹 부재가 그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 데이터 코드가 노출되며, 로킹 부재가 그 비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 데이터 코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데이터 코드는 예를 들면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의 연결 공정이 끝나며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완전히 짝결합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노출된 데이터 코드는 로킹 부재가 그 로킹 위치로 이동되었음을 나타낸다.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 사이의 연결이 적절히 형성되었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하여, 데이터 코드는 예를 들면 이미지 처리 시스템에 의해 캡쳐되며 분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코드는 QR 코드 또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지 않는 한, 커넥터 시스템은 슬라이더부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추가의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추가의 로킹 메커니즘은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될 때까지 슬라이더부가 베이스 유닛에 대해 그 예비 위치에 있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 로킹 메커니즘이 열리도록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가 형성되며 구성된다.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는 순간에, 로크는 해제되며 슬라이더부는 베이스 유닛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베이스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로킹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로킹 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부를 예비 위치에 로킹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요소들이 맞물리는 한, 슬라이더부는 그 예비 위치에 로킹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 커넥터는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가 짝결합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를 향하는 주 커넥터의 부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지 않는 경우, 주 커넥터의 작동 요소는 커플링 커넥터의 로킹 요소들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며 슬라이더부는 예배 위치에 로킹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가 주 커넥터와 결합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는 커플링 커넥터의 로킹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 작용하며, 이에 의해 베이스 유닛에 대해 슬라이더부를 푼다(unlock). 그러므로, 작동 요소는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가 짝결합하자마자 슬라이더부의 로크(lock)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커넥터를 향하는 슬라이더부의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슬라이더부가 그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주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상대 피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대응 상대 피스는 주 커넥터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의 추가적인 안정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주 커넥터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의 안정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지지 점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들은 대응하는 상대 피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언더컷을 갖는다. 언더컷은 각각의 지지 요소와 그 상대 피스 사이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커넥터는 전기 부품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주 커넥터는 트랙션 배터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커넥터 시스템은 트랙션 배터리와 차량의 전기 부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 시스템은 트랙션 배터리에서 차량의 전기 부품으로 파워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시스템은 트랙션 배터리와 차량의 인버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주 커넥터는 차량의 트랙션 배터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넥터 시스템은 트랙션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들을 짝결합(연결)하기 위한 삽입 보조구를 제공하는 개선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더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 커넥터들을 연결하기에 적합한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이 예들에 의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주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커플링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커플링 커넥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를 연결하는 공정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5a는 슬라이더부를 그 예비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추가의 로킹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상세를 도시한다.
도 6a는 로킹 부재를 그 비로킹 위치에서 도시한다.
도 6b는 로킹 부재를 그 로킹 위치에서 도시한다.
도 7은 커플링 커넥터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구성된 복수의 지지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8은 커플링 커넥터가 어떻게 주 커넥터에서 분리되는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이하의 기술에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들을 나타낸다.
커넥터 시스템은 주 커넥터 및 상기 주 커넥터에 짝결합될 수 있는 커플링 커넥터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주 커넥터(1)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주 커넥터(1)는 2개의 접촉 핀들(3) 및 2개의 신호 접촉 요소들(4)을 갖는 제1 연결부(2)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2)는 짝결합(연결) 방향(5)으로 제2 연결부와 짝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주 커넥터(1)는 주 커넥터(1)의 측면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들(6)을 더욱 포함하며, 핀들(6)은 외향 방향으로 연장된다. 핀들(6)은 커넥터들이 짝결합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와 주 커넥터(1) 사이의 상대 운동을 정의하는 가이드 메커니즘의 일부이다. 또한, 주 커넥터(1)의 측면에는 챔퍼처리된 핀 요소(7)가 제공된다. 주 커넥터(1)는 복수의 스크루들(8)을 갖는 각각의 부품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주 커넥터(1)는 차량의 트랙션 배터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커넥터 시스템은 트랙션 배터리와 차량의 전기 부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커플링 커넥터(9)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에는, 커플링 커넥터(9)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커플링 커넥터(9)는 제2 연결부(11)를 갖는 베이스 유닛(10)을 포함하며, 제2 연결부(11)는 짝결합(연결) 방향(12)으로 주 커넥터(1)의 제1 연결부(2)와 짝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유닛(10)은 파워 케이블들(14)을 수용하도록 적응된 2개의 케이블 포트들(13)을 더욱 포함하며, 파워 케이블들(14)은 제2 연결부(11)의 각각의 소켓들(33)(도 5a에 도시됨)과 전기 연결된다. 커플링 커넥터(9)는 슬라이더부(15)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10)의 외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슬라이더부(15)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베이스 유닛(1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더부(15)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에 의해 베이스 유닛(10)에 부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베이스 유닛(1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리브들(16)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2개의 그루브들(18)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들(18)은 슬라이딩 방향(17)으로 슬라이더부(15)의 내면을 따라 연장된다. 리브들(16)은 그루브들(18)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베이스 유닛(10)에 대한 슬라이더부(1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슬라이딩 방향(17)은 케이블 방향으로부터 최대 30˚만큼 벗어난다. 케이블 방향은 파워 케이블들(14)이 커플링 커넥터(9)로 들어가는 지점에서의 파워 케이블들(14)의 방향이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15)의 슬라이딩 방향(17) 대략 케이블 방향과 같다. 케이블 포트들(13)의 축방향에 대해, 슬라이더부(15)의 슬라이딩 방향(17)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의 각도로 배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15)의 슬라이딩 방향(17)은 대략 케이블 포트들(13)의 배향과 대략 같다. 적어도 하나의 파워 케이블(14)을 향해 배향되는 슬라이더부(15)의 부분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13)를 둘러쌀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13)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부(15)의 슬라이딩 방향(17)은 제2 연결부(11)의 짝결합 방향(12)에 대해 70˚와 110˚ 사이의 각도로 배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방향(17)은 제2 연결부(11)의 짝결합 방향(12)에 대략 수직이다.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예비 위치로 그리고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적어도 슬라이더부(15)의 외면의 부분은 예를 들면 그리핑면(파지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딩 방향(17)으로 슬라이더부(15)를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핑면(파지면)을 파지(grip)할 수 있다. 도 2에는, 슬라이더부(15)가 그 예비 위치에서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커플링 커넥터(9)는 주 커넥터(1)와 결합된다. 제2 연결부(11)는 제1 연결부(2) 맞은편 위치에 배치된다. 2개의 경사진 그루브들(19)은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볼 때 슬라이더부(15)의 2개의 측면들의 각각에 배치된다.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와 결합되는 경우 주 커넥터(1)의 핀들(6)은 상기 경사진 그루브들(19)과 맞물리며, 슬라이더부(15)는 그 예비 위치에 있다. 경사진 그루브들(19)은 주 커넥터(1)의 핀들(6)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슬라이더부(15)가 화살표(20)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경사진 그루브들(19)은 주 커넥터(1)에 대한 슬라이더부(15)의 상대 운동을 정의한다.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의 운동 동안, 주 커넥터(1)에 대한 슬라이더부(15)의 상대 운동 경로는 슬라이더부(15)와 주 커넥터(1)의 각각의 안내 부품들을 형성하는 핀들(6)과 경사진 그루브들(19)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각각 정의된다. 경사진 그루브들(19)은 예를 들면 슬라이딩 방향(17)에 대해 10˚이상의 각도만큼 경사질 수 있다. 또한, 경사진 그루브들(19)은 예를 들면 슬라이딩 방향(17)에 대해 20˚미만의 각도만큼 경사질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은 래칭 요소(21)를 더욱 포함한다. 슬라이더부(15)가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래칭 요소(21)는 대응하는 상대 래칭 요소(45)(도 8에 도시됨)를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15)의 리세스 또는 컷아웃과 래칭시킨다. 슬라이더부(15)는 해제 버튼(22)을 더욱 포함한다. 해제 버튼(22)이 작동되는 경우, 래칭 요소(21)는 대응하는 상대 래칭 요소(45)로부터 분리되며 슬라이더부(15)는 다시 그 예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커플링 커넥터(9)는, 커넥터 위치 보장 또는 CPA로서 또한 지칭되는, 로킹 부재(23)를 더욱 포함한다. 로킹 부재(23)는 횡방향(25)으로 베이스 유닛(10)의 가이드 레일들(2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로킹 부재(23)의 핀(26)은 L-형상을 갖는 그루브 또는 슬롯(27)과 맞물린다. 도 2에는, 로킹 부재(23)가 비로킹 위치에서 도시된다. 슬라이더부(15)가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로킹 부재(23)는 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 부재(23)는 캐치(28)를 더욱 포함한다. 로킹 부재(23)가 로킹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로킹 부재(23)의 캐치(28)는 슬라이더부(15)의 대응 텅(29)과 맞물린다. 로킹 부재(23)의 로킹 위치에서, 핀(26)은 L-형상의 그루브 또는 슬롯(27)의 단부 부분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그 최종 위치에서 슬라이더부(15)를 로킹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5 cm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cm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cm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25 cm 미만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cm 미만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cm 미만의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4 cm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cm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cm 이상의 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15 cm 미만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cm 미만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cm 미만의 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2 cm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cm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커넥터는 12 cm 미만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cm 미만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cm 미만의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주 커넥터(1), 베이스 유닛(10), 슬라이더부(15) 및 로킹 부재(23)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부품들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커플링 커넥터(9)와 주 커넥터(1)를 연결하는 공정이 도시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커넥터(9)는 주 커넥터(1)와 결합되며, 슬라이더부(15)는 그 예비 위치에 있다. 주 커넥터(1)의 제1 연결부(2)는 커플링 커넥터(9)의 제2 연결부(11)와 정렬되며, 커플링 커넥터(9)는 화살표(30)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커넥터(1)를 향해 이동된다. 주 커넥터(1)의 핀들(6)은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볼 때 슬라이더부(15)의 각 측면에 배치된 2개의 경사진 그루브들(19)과 맞물린다.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15)는 화살표(20)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더부(15)는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베이스 유닛(10)의 리브들(16)을 따라 활주한다. 주 커넥터(1)에 대한 슬라이더부(15)의 운동 경로는 경사진 그루브들(19)에 의해 정의된다. 경사진 그루브들(19)은 슬라이딩 방향(17)에 대해 10°이상 그리고 20°미만의 각도로 연장된다. 이러한 이유로, 슬라이더부(15)가 화살표(2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더부(15)는 주 커넥터(1)에 계속해서 더 가까워지며 제1 연결부(2)를 향해 베이스 유닛(10)과 제2 연결부(11)를 가압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는 제2 연결부(11)와 짝결합된다. 제1 연결부(2)의 접촉 핀들(3)이 제2 연결부(11)의 소켓들(33)(도 5a에 도시) 내로 삽입되며, 전기 접촉부들이 접촉 핀들(3)과 소켓들(33) 사이에 형성된다. 경사진 그루브들(19)의 경사진 배향 때문에, 슬라이더부(15)의 슬라이딩 운동은 짝결합 방향(12)으로 작용하는 삽입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75 N 이상의 충분한 크기의 삽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d에서는, 슬라이더부(15)는 그 최종 위치에 도착하였고 핀들(6)은 경사진 그루브들(19)의 단부에 도달하였다. 최종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10)의 래칭 요소(21)는 슬라이더부(15)의 상대 래칭 요소(45)(도 8에 도시)를 래칭한다. 커플링 커넥터(9)를 그 최종 위치에 로킹하기 위하여, 로킹 부재(23)는 화살표(31)에 의해 나타낸 방향으로 비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이동된다. 로킹 부재(23)의 핀(26)이 L 형상을 갖는 그루브(27)의 단부 부분으로 들어가며 따라서 슬라이더부(15)는 포지티브 로킹된다. 또한, 로킹 부재(23)가 그 로킹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베이스 유닛(10)의 상부 상의 QR 코드(32)가 노출된다.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에 적절히 연결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러한 QR 코드(32)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으로 캡쳐되며 식별될 수 있다.
커플링 커넥터(9)에서, 슬라이더부(15)의 슬라이딩 방향(17)은 케이블 포트들(13)의 축방향에 대응하며 그리고 커플링 커넥터(9)로 들어가는 파워 케이블들(14)의 방향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부(15)의 슬라이딩 방향(17)은 케이블 포트들(13)의 축방향으로부터 30˚이상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더부(15)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더부(15)는 파워 케이블들(14)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것은 설치 공간을 최소화한다.
커넥터 시스템에서, 주 커넥터(1)는 바람직하게는 각 측면에 적어도 2개의 핀들(6)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핀들(6)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응하는 경사진 그루브들(19)을 포함한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안내 부품들이 슬라이더부(15)의 각 측면에 제공되며 적어도 2개의 대응하는 안내 부품들이 주 커넥터(1)에 제공된다.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와 짝결합되는 경우 안내 부품들은 커플링 커넥터(9)의 배향을 안정화시키며 커플링 커넥터(9)를 지지한다. 커넥터 시스템의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안내 부품들은 커플링 커넥터(9)에 대한 안정적인 자리(stable seating)를 제공한다. 특히, 측면당 2개 이상의 안내 부품들을 제공함에 의해, 주 커넥터(1)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9)의 틸팅이 상기 2개의 커넥터들을 연결하는 과정 동안 방지된다.
도 5a 및 도 5b는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에 결합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부(15)를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그 예비 위치에 로킹하도록 구성되는 추가의 로킹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5a는 제2 연결부(11)의 커넥터 페이스를 갖는 커플링 커넥터(9)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제2 연결부(11)는 2개의 소켓들(3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연결부(1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접촉 핀들을 갖는 접촉 브릿지(3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접촉 브리지(34)는 U 형상을 갖는 접촉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브리지(34)는 주 커넥터(1)와 커플링 커넥터(9)가 연결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2개의 신호 접촉 요소들(4)을 단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소프트웨어가 2개의 신호 접촉 요소들(4)이 지름길(shortcut)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지름길이 검출되지 않는 한, 전류가 켜질 수 없다. 지름길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전류가 켜질 수 있다. 따라서, 주 커넥터(1)와 커플링 커넥터(9)가 전류가 켜지기 전에 연결되는 것을 확실하게 만든다. 주 커넥터(1)와 커플링 커넥터(9) 사이의 연결이 중단되는 경우, 전류는 즉시 꺼질 것이다.
로킹 메터니즘은 슬라이더부(15)의 측면들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제1 로킹 요소들(35) 및 베이스 유닛(10)에 부착되는 제2 로킹 요소들(36)을 포함한다. 제1 로킹 요소들(35)과 제2 로킹 요소들(36) 사이의 상호 작용 때문에, 슬라이드부(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그 예비 위치에서 로킹된다. 따라서,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에 배치되는 경우, 슬라이더부(15)는 그 예비 위치에 있을 것이다.
도 5b에는, 로킹 메커니즘의 더 상세한 도면이 주어진다. 도 5b는 슬라이더부(15)에 탄력 있게 장착되는 제1 로킹 요소(35), 및 베이스 유닛(10)에 부착되는 제2 로킹 요소(36)를 도시한다. 도 5b에서 제2 로킹 요소(36)가 제1 로킹 요소(35)에 의해 로킹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부(15)는 그 예비 위치에 로킹된다. 그러므로,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에 배치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부(15)는 로킹되며 화살표(37)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도 1,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커넥터(1)는 주 커넥터(1)의 측면들에 배치된 챔퍼처리된 핀 요소들(7)을 포함한다. 커플링 커넥터(9)와 주 커넥터(1)가 연결되는 경우 챔퍼처리된 핀 요소들(7)은 제1 로킹 요소들(35)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챔퍼처리된 핀 요소들(7)은 제1 로킹 요소들(35) 뒤에 있는 공간 내에 삽입되며 도 5b의 화살표(38)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은, 외향 방향으로 제1 로킹 요소들(35)을 민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제1 로킹 요소(35)는 탄력적으로 변형되며, 변형된 제1 로킹 요소(35)의 윤곽선이 파선들로 표시된다. 이제, 제2 로킹 요소(36)는 제1 로킹 요소(35)에 의해 더 이상 로킹되지 않으며, 슬라이더부(15)는 화살표(37)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에 배치되지마자, 슬라이더부(15)는 예비 위치에 더 이상 로킹되지 않으며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는, 로킹 부재(23)의 작동이 도시된다. 로킹 부재(23)는 횡방향(25)으로 라이드 레일들(24)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부재(23)의 핀(26)은 L 형상을 갖는 그루브 또는 슬롯(27)과 맞물린다. 도 6a에는, 로킹 부재(23)가 그 비로킹 위치에 도시된다. 로킹 부재(23)가 그 비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더부(15)는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15)가 그 최종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베이스 유닛(10)의 래칭 요소(21)는 슬라이더부(15)의 상대 래칭 요소(45)(도 8에 도시)를 래칭한다. 슬라이더부(15)는 로킹 부재(23)를 비로킹 위치에서 로킹 위치로 이동시킴에 의해 그 최종 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도 6b에는 로킹 부재(23)가 로킹 위치에 도시되며, 화살표(39)는 비로킹 위치에서 로킹 위치로의 운동을 표시한다. 로킹 부재(23)가 로킹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로킹 부재(23)의 핀(26)은, 화살표(40)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L 형상을 갖는 그루브 또는 슬롯(27)의 단부 부분으로 이동되며, 슬라이더부(15)는 포지티브 로킹된다. 또한, 로킹 부재(23)의 캐치(28)는 슬라이더부(15)의 텅(29)과 맞물린다. 도 6b에서는, 비로킹 위치에서 로킹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캐치(28)의 접근 경사가 약 30˚인 것을 볼 수 있다. 대조적으로, 로킹 위치에서 비로킹 위치로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캐치(28)의 접근 경사는 약 60˚이다. 그러므로, 슬라이더부(15)를 로킹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슬라이더부(15)를 풀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상당히 더 작다. 따라서, 연결이 부주의로(실수로) 풀릴 수 없다. 이것은 특히 파워 커넥터들을 위한 중요한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비로킹 위치에서 로킹 위치로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캐치(28)의 접근 경사는 20˚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접근 경사는 40˚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위치에서 비로킹 위치로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캐치(28)의 접근 경사는 45˚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접근 경사는 75˚미만이다.
추가적으로, 도 6b에 도시된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로킹 부재(23)의 부분이 래칭 요소(21)가 차단되는 방식으로 래칭 요소(21) 아래에 도달한다. 특히,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로킹 부재(23)의 부분이 래칭 요소(21)와 베이스 유닛(10)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사이 공간 내로 삽입되어 래칭 요소(21)가 차단된다. 사용자가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해제 버튼(22)을 누르려고 시도하는 경우, 래칭 요소(21)는 로킹 부재(23)의 상기 부분에 기대어지며 따라서 래칭 요소(21)는 차단된다. 따라서, 해제 버튼(22)을 작동시킴에 의해 래칭 요소(21)와 대응하는 상대 래칭 요소(45)(도 8에 도시)를 분리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래칭 요소(21)와 대응하는 상대 래칭 요소(45)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될 수 없다. 래칭 요소(21)를 차단하는 것은 슬라이더부(15)를 그 최종 위치에서 로킹하기 위한 추가의 메커니즘이다.
도 7은 케이블 포트들(13)이 배치되는 면에서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슬라이딩 메커니즘의 리브(16) 및 그루브(18)가 도시된다. 슬라이딩 방향(17)을 따라 볼 때, 2개의 지지 요소들(41)은 커플링 커넥터(9)의 후방 부분에, 즉 케이블 포트들(13)이 배치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지지 요소들(41)은 주 커넥터(1)를 향하는 슬라이더부(15)의 면에 배치된다. 슬라이더부(15)가 그 예비 위치에서 그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지지 요소들(41)은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볼 때 주 커넥터(1)의 후방 부분에 배치되는 상대 피스들(4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부(15)가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지지 요소들(41)은 상대 피스들(42)과 맞물린다. 예를 들면, 지지 요소들(41)은 상대 피스들(42)의 형상에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요소들(41)의 각각은 대응하는 상대 피스(4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언더컷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요소들(41)이 상대 피스들(42)과 맞물리는 경우, 이들은 수개의 추가적인 지지 점들에서 커플링 커넥터(9)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특히, 지지 요소들(41)의 존재로 인해, 커플링 커넥터(9)는 안정화되며, 주 커넥터(1)에 대한 커플링 커넥터(9)의 틸팅이 방지된다.
도 8은 주 커넥터(1)에서 커플링 커넥터(9)를 분리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제1 단계에서, 로킹 부재(23)는 로킹 위치에서 비로킹 위치로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핀(26)은 L 형상을 갖는 그루브 또는 슬롯(27)의 코너로 이동되며 따라서 슬라이더부(15)는 핀(26)에 의해 더 이상 로킹되지 않는다. 또한, 로킹 부재(23)를 비로킹 위치로 이동시킴에 의해, 래칭 요소(21)는 더 이상 차단되지 않는다. 다음 단계에서, 해제 버튼(22)은 화살표(4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은 하향 방향으로 가압된다. 해제 버튼(22)이 베이스 유닛(10)의 래칭 요소(21)에 대해 가압되며 슬라이더부(15)의 상대 래칭 요소(45)로부터 래칭 요소(21)를 분리시킨다. 이제, 슬라이더부(15)는 최종 위치에서 예비 위치로 화살표(46)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 요소(41)는 그 상대 피스(42)로부터 제거된다. 그 다음, 커플링 커넥터(9)는 주 커넥터(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설명, 청구항들 및 도면들에 기술된 특징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관련될 수 있다.
1 주 커넥터
2 제1 연결부
3 접촉 핀들
4 신호 접촉 요소들
5 짝결합 방향(연결 방향)
6 핀
7 챔퍼처리된 핀 요소
8 스크루들
9 커플링 커넥터
10 베이스 유닛
11 제2 연결부
12 짝결합 방향(연결 방향)
13 케이블 포트들
14 파워 케이블들
15 슬라이더부
16 리브들
17 슬라이딩 방향
18 그루브들
19 경사진 그루브들
20 화살표
21 래칭 요소
22 해제 버튼
23 로킹 부재
24 가이드 레일들
25 횡방향
26 핀
27 L 형상을 갖는 그루브 또는 슬롯
28 캐치
29 텅
30 화살표
31 화살표
32 QR 코드
33 소켓들
34 접촉 브리지
35 제1 로킹 요소
36 제2 로킹 요소
37 화살표
38 화살표
39 화살표
40 화살표
41 지지 요소들
42 상대 피스들
43 화살표
44 화살표
45 상대 래칭 요소
46 화살표

Claims (18)

  1. 제1 연결부(2)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1),
    제2 연결부(11)를 갖는 베이스 유닛(10)을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9)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커플링 커넥터(9)는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부(15)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예비 위치로 그리고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커플링 커넥터(9)의 제2 연결부(11)는 짝결합 방향(연결 방향)(12)으로 주 커넥터(1)의 제1 연결부(2)와 짝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슬라이더부(1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주 커넥터(1)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은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와 결합되며 슬라이더부(15)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주 커넥터(1)에 대해 슬라이더부(15)의 소정의 운동 경로를 실시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르는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제1 연결부(2)와 제2 연결부(11)가 짝결합 방향(12)으로 짝결합되도록 제1 연결부(2)에 대해 제2 연결부(11)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제2 연결부(11)의 반대편에 있는 베이스 유닛(10)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슬리브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부(15)는 슬라이더부(15)의 2개의 측면들의 각각에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을 포함하며,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은 슬라이딩 방향(17)으로 서로 이격되며,
    주 커넥터(1)는 제1 안내 부품들에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의 측면당 적어도 2개의 제1 안내 부품들은 주 커넥터(1)의 대응하는 제2 안내 부품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커넥터(9)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4)을 커플링 커넥터(9)로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포트(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부(15)의 슬라이딩 방향(17)은 커플링 커넥터(9)로 들어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4)의 케이블 방향에 대해 최대 30˚의 각도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유닛(10)은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를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45)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는 슬라이더부(15)가 베이스 유닛에 대해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45)를 래칭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부(15) 또는 베이스 유닛(10)은 작동 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45)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구성된 해제 버튼(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커넥터(9)는 로킹 부재(23)를 포함하며, 로킹 부재(23)는 슬라이더부(15)가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 비로킹 위치로 또는 로킹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슬라이더부(15)는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23)는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의 래칭 요소들(21)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23)의 부분은 래칭 요소들(21) 중 적어도 하나가 차단되도록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의 래칭 요소들(21) 중 적어도 하나 아래에 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커플링 커넥터(9)는 데이터 코드(32)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코드(32)는 로킹 부재(23)가 그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 데이터 코드(32)가 노출되며, 로킹 부재(23)가 그 비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 데이터 코드(32)가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시스템은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와 결합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부(15)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추가의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주 커넥터(1)를 향하는 슬라이더부(15)의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41)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41)는 슬라이더부(15)가 그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주 커넥터(1)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상대 피스(4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시스템은 트랙션 배터리와 차량의 전기 부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4. 커플링 커넥터(9)와 주 커넥터(1)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주 커넥터(1)는 제1 연결부(2)를 포함하며,
    커플링 커넥터(9)는 제2 연결부(11)를 갖는 베이스 유닛(10)을 포함하며 그리고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부(15)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예비 위치로 그리고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부(15)는 제2 연결부(11)의 반대편에 있는 베이스 유닛(10)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슬리브로서 구현되며,
    슬라이더부(1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주 커넥터(1)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 커플링 커넥터(9)와 주 커넥터(1)를 결합하는 단계;
    - 슬라이더부(15)를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주 커넥터(1)에 대해 슬라이더부(15)의 소정의 운동 경로를 실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 부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 부품이 상호 작용하며, 소정의 운동 경로를 따르는 슬라이더부의 운동은 제1 연결부(2)와 제2 연결부(11)가 짝결합 방향(12)으로 짝결합되도록 제1 연결부(2)에 대해 제2 연결부(11)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커넥터(9)와 주 커넥터(1)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15. 제1 연결부(2)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1),
    제2 연결부(11)를 갖는 베이스 유닛(10)을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9)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커플링 커넥터(9)는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부(15)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예비 위치로 그리고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부(15)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9)의 제2 연결부(11)는 짝결합 방향(연결 방향)(12)으로 주 커넥터(1)의 제1 연결부(2)와 짝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커플링 커넥터(9)는 래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가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베이스 유닛(10)의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는 슬라이더부(15)의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45)와 맞물리며, 슬라이더부(15) 또는 베이스 유닛(10)은 작동 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45)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구성된 해제 버튼(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6. 제1 연결부(2)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1),
    제2 연결부(11)를 갖는 베이스 유닛(10)을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9)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커플링 커넥터(9)는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부(15)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예비 위치로 그리고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부(15)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9)의 제2 연결부(11)는 짝결합 방향(연결 방향)(12)으로 주 커넥터(1)의 제1 연결부(2)와 짝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커플링 커넥터(9)는 로킹 부재(23)를 포함하며, 로킹 부재(23)는 슬라이더부(15)가 그 최종 위치에 있는 경우 비로킹 위치로 또는 로킹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로킹 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의 래칭 요소들(21, 45)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거나 해제 버튼(22)을 차단하는 로킹 부재(23)에 의해, 로킹되며, 해제 버튼(22)은 작동 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래칭 요소(45)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7. 제1 연결부(2)를 포함하는 주 커넥터(1),
    제2 연결부(11)를 갖는 베이스 유닛(10)을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9)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커플링 커넥터(9)는 슬라이딩 방향(17)으로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부(15)를 더욱 포함하며, 슬라이더부(15)는 베이스 유닛(10)에 대해 예비 위치로 그리고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부(15)가 예비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커플링 커넥터(9)의 제2 연결부(11)는 짝결합 방향(연결 방향)(12)으로 주 커넥터(1)의 제1 연결부(2)와 짝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는 커플링 커넥터(9)가 주 커넥터(1)와 결합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부(15)가 예비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커플링 커넥터(9)와 주 커넥터(1)가 결합되는 경우 로킹 메커니즘이 풀리도록 커플링 커넥터(9)와 주 커넥터(1)가 형성되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8. 삭제
KR1020190093195A 2018-11-13 2019-07-31 슬라이더 파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 KR102255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6428.2U DE202018106428U1 (de) 2018-11-13 2018-11-13 Koppelverbinder mit einem Schieberteil
DE202018106428 2018-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79A KR20200056279A (ko) 2020-05-22
KR102255636B1 true KR102255636B1 (ko) 2021-05-25

Family

ID=6681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195A KR102255636B1 (ko) 2018-11-13 2019-07-31 슬라이더 파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10764B2 (ko)
JP (1) JP6898395B2 (ko)
KR (1) KR102255636B1 (ko)
CN (1) CN111180959B (ko)
DE (1) DE202018106428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6036A4 (en) * 2018-12-13 2022-12-14 The University of Tokyo ZEOLIT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NUFACTURING
TW202132839A (zh) * 2020-02-20 2021-09-01 立佳興業股份有限公司 光學連接器插座及其光學連接器模組
DE102021000957A1 (de) * 2021-02-23 2022-08-25 Kostal Kontakt Systeme Gmbh Hochvoltsteckverbinderanordnung
WO2023007007A1 (de) * 2021-07-30 2023-02-02 Hirschmann Automotive Gmbh Spannungsfreies und bewegungsunabhängiges verriegelungselement für eine steckverbindung
JP2023046757A (ja) * 2021-09-24 2023-04-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2023046756A (ja) * 2021-09-24 2023-04-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N115528451A (zh) * 2022-05-20 2022-12-27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汽车用的线束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151A (ja) 1998-12-21 2000-07-0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US20180287296A1 (en) * 2017-04-03 2018-10-04 Tyco Electronics Japan G.K.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373A (en) 1992-07-14 1993-08-17 Interlock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ssembly
JP3552192B2 (ja) 1998-04-08 2004-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ロック構造
US6475004B2 (en) 2001-01-09 2002-11-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an engagement assist member an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3607879B2 (ja) 2001-06-01 2005-01-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87693B2 (ja) 2001-11-12 2007-02-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030096527A1 (en) 2001-11-21 2003-05-22 Tyco Electronics Corp.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JP3926223B2 (ja) 2002-06-28 2007-06-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ブレーカ装置
DE10303382B4 (de) 2003-01-29 2005-07-28 Tyco Electronics Amp Gmbh Kupplungsvorrichtung mit Verrastplatte
KR101632715B1 (ko) 2009-06-24 2016-06-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결합장치
FR2971372B1 (fr) * 2011-02-03 2013-11-29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nfichable avec mecanisme de support de bonnette de protection arriere
JP2014017135A (ja) 2012-07-10 2014-01-30 Tyco Electronics Japan Kk コネクタ
DE102014005255B4 (de) 2014-04-10 2022-08-04 Lisa Dräxlmaier GmbH Horizontal verriegelbarer Steckverbinder
DE102016215123A1 (de) 2016-08-12 2018-02-1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ungssystem
KR102355948B1 (ko) 2016-08-24 2022-01-2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151A (ja) 1998-12-21 2000-07-0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US20180287296A1 (en) * 2017-04-03 2018-10-04 Tyco Electronics Japan G.K. Electrical Connector
JP2018181404A (ja) 2017-04-03 2018-11-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53159A1 (en) 2020-05-14
DE202018106428U1 (de) 2019-05-24
CN111180959B (zh) 2022-03-01
US10910764B2 (en) 2021-02-02
KR20200056279A (ko) 2020-05-22
CN111180959A (zh) 2020-05-19
JP6898395B2 (ja) 2021-07-07
JP2020080300A (ja)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636B1 (ko) 슬라이더 파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커넥터
KR200465368Y1 (ko)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426793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
US685789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CN109390784B (zh) 连接器
US6234826B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223113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US5984705A (en) Connector
CN110571567B (zh) 分阶段释放的电连接器组件
JP2003264039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半体組立体
CN109616829B (zh) 连接器
CN111193152B (zh) 连接器装置
CN112534651B (zh) 具有端子位置保证装置的电连接器
KR102622672B1 (ko) 커넥터 위치 보증 부재
US20220255264A1 (en) Spring loaded self-ejecting connector
JP3555591B2 (ja) コネクタ
EP2973882B1 (en) Latching connector assembly
EP325288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lider
CN114512859A (zh) 具有闭锁装置的插接连接器
US2022030264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4340138A1 (en) Secured high power connector assembly and process of assembly
KR10163270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5693224A (zh) 用于连接器系统的插座连接器
CN115441225A (zh) 具有连接器位置保证件和机械辅助件的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