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589B1 -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589B1
KR102245589B1 KR1020187029095A KR20187029095A KR102245589B1 KR 102245589 B1 KR102245589 B1 KR 102245589B1 KR 1020187029095 A KR1020187029095 A KR 1020187029095A KR 20187029095 A KR20187029095 A KR 20187029095A KR 102245589 B1 KR102245589 B1 KR 102245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hop
hops
flue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885A (ko
Inventor
빌렘 브루크바우어
지크프리트 괴슬러
번트 네더뮐비흘러
안톤 슈뭘러
Original Assignee
빌렘 브루크바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렘 브루크바우어 filed Critical 빌렘 브루크바우어
Publication of KR2018013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6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electr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Ventilation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홉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5, 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를 포함하는 홉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본 특허 출원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6 205 911.4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것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일체화된 제어 장치를 구비한 배연 장치(fume extractor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홉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모듈식 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시로서, DE 10 2009 025 038 A1은 홉 및 배연 장치를 구비한 홉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의 경우에, 각각의 홉은 별개의 전용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DE 10 2009 055 147 A1은 복수의 조리 위치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식 홉 시스템용 제어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획득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모듈식 홉을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홉, 특히 복수의 홉 및 배연 장치, 특히 하향 환기 팬(downdraft extractor fan)을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홉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가 될 수 있다. 이것은 모듈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별개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즉 홉 및/또는 배연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홉 시스템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홉 및 적어도 하나의 배연 장치를 포함한다. 홉은 유리 세라믹 홉, 인덕션 홉, 테판 홉(테판야키 홉), 가스 홉, 특히 전기-가스 홉, 그릴, 철판, 튀김 그릇, 수비드 홉 또는 일부 다른 홉일 수 있다. 홉은 특히 전기 홉이다. 홉은 특히 전기 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서, 홉은 전기 구성요소, 특히 가열 필라멘트, 할로겐 백열 램프, 유도 코일, 마이카나이트 가열 표면, 평면 발열 소자 또는 기타 발열 소자를 포함한다.
배연 장치는 특히 하향 환기 팬, 즉 홉 평면 아래 방향으로 조리 연기를 추출하는 연기 추출기이다. 이러한 유형의 배연 장치는 또한 하향 시스템(downdraft system)으로도 불린다.
제어 장치는 실제로 접속된 홉과 특히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특히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제어 장치가 서로 다른 홉을 제어하기에 동일하게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한 홉은 전술된 선택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기능은 실제로 접속된 홉에 자동으로 적응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홉을 접속하기 위한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인터페이스는 특히 접속 플러그를 수신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소켓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RJ 소켓, 특히 RJ22, RJ45 또는 RJ50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또한 접속 소켓을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를 가질 수 있다. 홉은 특히 각각의 경우 접속 케이블을 통해 제어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접속 케이블은 자신의 단부에 접속 플러그 및/또는 접속 소켓을 가질 수 있다. 반대편에서 이들은 각각의 경우 홉에 고정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특히 보호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특히 방수 및/또는 방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스플래쉬 방지(spash-proof)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특히 액체가 새지 않는 및/또는 기체가 새지 않는 멤브레인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단열재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홉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로 인해, 제어 장치의 전자 구성요소의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을 피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특히 별도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홉을 접속시키기 위한, 특히 상이한 홉을 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 특히 3개, 4개, 5개, 6개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홉은 특히 에너지 전달을 위한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상이하다. 그 결과 제어 장치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첫째, 홉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둘째, 인터페이스의 도움으로 개별 홉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전용 에너지 공급원을 갖는 두 개 이상의 홉, 특히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갖는 두 개 이상의 홉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다른 대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외부 에너지 공급을 갖지 않는 적어도 두 개의 홉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추가의 대안에 따라, 제어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적어도 하나의 홉은 전용 전력 공급 시스템 접속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홉은 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제어 장치는 특히 버스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유형의 버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소위 LIN 버스(Local Interconnect Network Bus) 또는 EGO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CAN 버스(Controller Area Network Bus)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정된 버스 변형 또한 가능하다.
버스는 특히 멀티-마스터 버스 또는 마스터-슬레이브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버스 기술은 또한 특히 상위- 또는 하위-레벨 버스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홉은 특히 각각의 경우 인터페이스의 각각의 버스 표준과 일치하는 접속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 특히 터치-감지 스크린 및/또는 제거가능한 조작 손잡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히 터치-감지 스크린의 형태인 입력 요소와, 특히 스크린의 형태인 출력 유닛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보, 특히 제어 정보를 사용자와 교환하는 수단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히 운영자 유닛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특히 제어 입력을 허용하고 및/또는 정보, 특히 제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사용자에 의한 입력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누름 버튼, 스위치 및/또는 터치-감지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촉각 및/또는 광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발광체, 특히 LED, 특히 백열 램프 및/또는 스크린, 특히 TFT 스크린을 가질 수 있다. 스크린은 특히 LED, LCD, OLED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조작 손잡이는 제어 장치에 대한 상대 위치에 따라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특히 터치-감지 TFT 디스플레이(TFT 터치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홉 및 배연 장치의 특히 편리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터치-감지 스크린은 다중으로 존재하는 터치-감지 센서 배열의 형태로 및/또는 다중으로 존재하는 평가 유닛의 형태로 여분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터치-감지 화면은 특히 강력하고 안정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특히 터치-감지 스크린의 오염의 경우에, 제어 입력이 특히 신뢰성 있게 식별될 수 있다. 터치-감지 센서 배열은 광학, 저항, 용량 및/또는 유도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표면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필름 센서 또는 유리 센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치-감지 센서 배열은 TFT 스크린에 통합된다. 센서 배열과 디스플레이 유닛은 또한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은 특히 광학적으로 접속되는, 특히 결합된 별도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광학 결합제를 사용하여 터치-감지 센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유리한 광학적 속성으로 이어진다. 또한, 이것은 특히 강력한 구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평가 유닛은 제어 장치와 센서 장치 사이의 신호 라인에 배치된다. 평가 유닛은 센서에서 수신된 정보를 직접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평가 유닛은 터치-감지 스크린이 작동되는 위치를 검출한다. 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평가 장치가 제어 장치에 접속된다. 터치-감지 센서 배열 및/또는 평가 유닛은 터치-감지 스크린에서 다중으로 형성된다. 예로서, 터치-감지 센서 배열은 두 번 또는 다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가 장치 또한 두 번 또는 다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터치-감지 센서 배열 및/또는 평가 유닛이 중복 구성되는 경우, 중복 요소는 각각 자율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이한 평가 유닛은 특히 검출된 입력의 타당성 검사를 수행하여 입력 신호의 기능적으로 신뢰성 있는 식별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입력이 동시에 판독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모호하지 않은 식별이 보장된다.
센서 장치는 특히 멀티-터치 센서일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또한 7-조각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조작 손잡이에 의해 조작 가능하다. 이 수단에 의해 제어 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조작 손잡이는 특히 터치-감지 스크린을 통한 조작과 독립적으로 제어 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일부 사용자가 선호한다. 제어 장치는 특히 터치-감지 스크린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나 이상의 조작 손잡이에 의해서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옵션 중 하나를 독점적으로 포함하는 대안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조작 손잡이는 제어 장치에 대한 상대 위치, 특히 조작 패널 상의 위치, 특히 터치-감지 스크린 상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갖는다. 이 수단에 의해 제어 장치의 작동이 더욱 향상된다.
예를 들어, 조작 손잡이는 한 편으로는, 다른 한 편으로는 배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기능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해, 스크린 상의 조작 손잡이를 적절히 이동시키는 것으로 충분한다.
손잡이를 배치한 결과, 표면 및 센서 배열은 각각의 경우 가능한 옵션에 독립적으로 적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조작 손잡이는 제어 장치에 대한 조작 손잡이의 상대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제어 장치의 작동이 더욱 향상된다.
특히 제어 장치에 대한 자신의 상대 위치에 따르는 조작 손잡이는 홉 시스템의 어느 구성요소가 작동 손잡이에 의해 각각의 위치에서 제어될 수 있는지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이러한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의 서로 다른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감지 스크린 및/또는 조작 손잡이에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제어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 특히 무선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것은 상응하는 수신기 모듈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무선 유닛에 의해, 특히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및/또는 센서의 도움으로, 제어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라디오, 블루투스, WLAN 또는 IR 센서가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실제로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에 자동으로 적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 장치에 실제로 접속된 구성요소에 자동으로 적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에 자동 적응하기 위해 상이한 하드웨어 모듈을 갖는다. 하드웨어 모듈은 접속된 구성요소와의 접속 및 통신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다. 제어 장치는 상이한 소프트웨어 어셈블리를 가진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어셈블리는 잠재적으로 접속된 구성요소에 따라 사전구성된다. 소프트웨어 어셈블리는 이러한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실제로 접속된 구성요소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 어셈블리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장치의 장착 및 설치 프로세스가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이 된다.
제어 장치의 상이한 기능성은 또한 특히 설치 또는 설정 메뉴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공되거나 마스킹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구성요소의 제어를 위해, 상이한 구성요소에 대한 최대 가용 전력과 같은 각각의 전력 공급 시스템 조건의 접속 정보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에 접속된 모든 구성요소 또는 정의된 부분을 제어하기 위해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위치로부터 조작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특히 동시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캡슐화된 모듈로서 구성된다. 특히 전용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어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것은 제어 장치의 특히 견고한 실시예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별도의 모듈로서 구성되거나 배연 장치로 통합된다. 이것은 특히 배연 장치의 설치 프레임에 통합될 수 있다. 이는 제어 장치에 대한 배연 장치 및 홉의 배열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외부 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내부 센서 및/또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센서는 열전기적, 저항성, 압전기, 용량성, 유도성, 광학적 및/또는 자기적 작용 원리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센서는 특히 홉에 대한, 특히 제어 장치에 대한, 특히 홉 상에 위치된 냄비 또는 팬에 대한 창문 접촉 스위치로서, 온도 센서로서 그리스 필터 삽입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및/또는 홉 상에 위치된 냄비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는 또한 배연 장치, 특히 그의 입구 개구의 폐쇄를 식별할 수 있다. 내부 센서는 특히 배연 장치의 그리스 필터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상태에 자동으로 반응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의 폐쇄 루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홉 시스템의 기능이 제한되거나 사용자가 경고 표시를 통해 경고 기능을 인식하도록 부재 또는 잘못 설치된 그리스 필터에 반응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홉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작동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구성요소를 자동으로 식별하기 위해 신호 기반 코딩을 감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장치는 구조적으로 개별적인 접속 구조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예로서, 인터페이스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소켓 또는 플러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소켓 또는 플러그 또는 이들을 둘러싸는 제어 장치의 하우징의 영역의 플러그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잘못된 접속을 방지하기 위해 홈 또는 리브를 가질 수 있다.
구성요소는 비대칭 플러그, 특히 각도 플러그가 있는 접속 레버를 통해 특히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는 특히 단일의 소정의 위치 및/또는 방향으로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 플러그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부주의한 구성요소의 부정확한 접속이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구성요소들의 접속시 특히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홉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제어기가 없는 홉, 즉 통합 제어기가 없는 홉, 특히 제어기 전자 장치가 없는 홉에 의해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홉의 구조가 크게 단순화된다. 또한, 홉 상의 조리 영역의 배치가 간단해진다. 홉은 특히 입력면이 없는 방식으로, 즉 조작면 없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조작 요소 없이 구성될 수 있다. 홉은 접속 케이블을 통해 제어 장치에 독점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어기가 없거나 작동 제어가 없는 홉은 방사선 기반 또는 인덕턴스 홉이거나 열 전달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전기 홉 또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홉이 관련된다. 특히 그릴이나 철판이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러 없는 상태로 구성된 홉을 통한 전원 출력은 가변적이며 홉 컨트롤러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홉 제어기가 없는 홉은 크기가 특히 작다. 홉 제어기는 특히 홉 외부의 별도 제어기 유닛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홉 제어기는 제어 장치에 일체화된다. 제어기 없는 홉은 홉을 통해 전력 출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어 장치 또는 별도의 홉 제어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가 없는 것으로 구성된 홉은 유도 홉이며, 액추에이터는 홉을 통해 정의된 전력을 출력하기 위해 컨트롤러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 전자 장치이다. 대안적으로, 홉은 가스 홉이고 액추에이터는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가스 밸브이다.
조리 영역은 특히 전체 면적의 50% 이상, 특히 60% 이상, 특히 70% 이상, 특히 80% 이상, 특히 90% 이상, 특히 홉의 전체 면적의 95% 이상, 특히 97% 이상, 특히 99% 이상이다.
홉으로부터 제어기 요소를 제거하는 것은 특히 홉 및/또는 습기 및/또는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열, 특히 간섭에 의한 영향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홉의 제어기 없는 구성은 설계 구성을 위해 자유 공간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홉은 제어 장치에 의해 홉의 자동 식별을 위해 신호 기반 코딩 또는 구조적으로 개별적인 접속 구조, 특히 특수하게 구성된 접속 플러그용 전자 부품을 갖는다. 접속 플러그는 특히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각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홉은 제어 장치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연 장치, 특히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배연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상기 설명에 따른 일체화된 제어 장치를 갖는 하향 환기 팬의 형태의 배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장점은 제어 장치의 장점으로부터 명백하다.
배연 장치는 특히 홉 시스템의 상이한 홉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분산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연 장치는 특히 조리사를 위한 배연 장치이다. 특히 하향 시스템(downdraft system)으로도 하는 하향 환기 팬이 포함된다.
배연 장치는 장착 유닛, 특히 주방 조리대에 삽입될 수 있는 완성된 조립 장착 유닛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배연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배연 장치는 특히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조리대에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작업대 높이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구성요소가 없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듈식 홉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전술된 설명에 따른 제어 장치를 갖는 모듈식 홉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점은 제어 장치의 이점에서 분명하다.
홉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홉을 포함한다. 그것은 또한 3, 4, 5, 6개 이상의 홉을 포함할 수 있다. 홉은 다른 홉의 선택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홉의 수는 가변적인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특히 상이한 수의 홉 및/또는 배연 장치를 제어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홉의 가능한 대안과 관련하여 위의 설명을 참조해야 한다.
이에 상응하게, 적어도 하나의 배연 장치에 관해서는 상기 설명을 참조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홉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그것은 제어 장치에 의해 특히 배타적으로 및/또는 완전히 제어된다. 홉 또는 홉은 작동 패널 및/또는 제어기 장치, 특히 전자 제어기가 없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열체가 구비된 홉의 면적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과적으로 조작 패널의 온도 영향을 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홉의 설계에 대해 보다 큰 자유는 조작 패널의 생략에 의해 가능해진다. 또한, 홉의 구성은 조작 패널의 생략에 의해 간단해진다. 결과적으로 공간 절약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작은 구조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홉의 구조적 높이는 특히 10cm 미만, 특히 5cm 미만, 특히 3cm 미만, 특히 2cm 미만, 특히 1cm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는 홉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기에 적합하다. 그것은 특히 홉 시스템의 모든 홉 및/또는 배연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장치는 추가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다른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특히 홉 시스템의 모든 홉 및/또는 배연 장치에 신호-전송 방식으로 접속된다.
이것은 모든 홉에 대한 중앙 제어 장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홉 및 배연 장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배연 장치를 홉 또는 홉의 작동 상태에 자동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세부 사항은 아래 요약된 선택적 특징으로부터 명백하다. 이들 특징은 이미 언급된 본 발명의 특징과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특히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모듈식 홉 시스템은 특히 조밀한 디자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연 장치는 하향 환기 팬으로서 구현되고, 배연 장치의 배출 개구는 특히 두 개의 홉 사이에 배열된다. 배연 장치의 개방은 홉 평면과 동일 평면에서 끝난다. 이것은 특히 홉 평면으로부터 수직 거리에 있으며, 20mm 미만, 특히 10mm 미만, 특히 5mm 미만, 특히 2mm 미만이다. 배연 장치의 모터는 홉 중 하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는 홉 시스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별도의 팬 어셈블리로, 특히 부엌 찬장의 베이스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공기를 안내하는 채널은 홉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채널은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단면으로 연장된다. 배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채널은 필터 유닛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채널은 필터 유닛을 도입 및 제거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이 개구는 플랩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필터 유닛의 존재, 특히 그 정확한 위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입구 그릴이 있는 부분적으로 닫힌 용액도 배기 공기를 유도하는 채널에 사용할 수 있다.
필터 유닛의 사용은 배연 장치가 순환 공기 시스템으로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조리 연기의 퍼지 공기는 실내로 되돌아간다. 퍼지 공기는 블로우-오프(blow-off) 개구를 통해 거실로 되돌아간다. 상기 블로우-오프 개구는 사용자의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또는 뒤를 향해, 또는 좌측을 향해, 또는 우측을 향해, 또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배연 장치의 하우징에 일체화된다. 제어 장치는 배연 장치의 추출 개구의 캐리어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고정될 수 있다.
필터 장치는 교환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카트리지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형 홉 시스템의 전체 높이는 300mm 미만, 특히 250mm 미만, 특히 200mm 미만, 특히 150mm 미만, 특히 100mm 미만이다. 조밀한 홉 시스템의 특히 공간 절약적인 구성의 결과, 주방 조리대 아래의 사용 가능한 저장 공간이 증가할 수 있다.
추출 가이드의 채널은 홉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배출 공기를 수직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배출 공기는 홉의 한쪽 방향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도 안내할 수 있다.
홉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홉, 특히 두 개 이상의 개별 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홉 모듈은 특히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홉 시스템에 접속된 홉 중 적어도 두 개가 상이하다. 홉 시스템은 또한 동일한 유형의 복수의 홉을 가질 수 있다. 홉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배연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배연 장치의 추출 개구는 홉 시스템의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추출 개구는 또한 복수의 홉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추출 개구는 특히 두 개의 홉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홉과 동일한 에지 길이를 갖는다. 추출 개구는 두 개 이상의 홉 사이에 중심 또는 편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출 개구는 원형, 특히 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특히 비-정사각형, 특히 정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초저전압 범위, 특히 50V 미만, 특히 30V 미만, 특히 20V 미만의 전압으로 작동된다. 제어 장치의 에너지 공급은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접속부를 갖는다. 에너지 공급의 경우 제어 장치는 전원 리드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에 접속된다. 구성요소의, 특히 홉의 제어 장치에 대한 접속을 위해, 후크는 제어 장치에 복수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구성요소, 특히 홉의 제어 장치에 대한 접속을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구성요소는 제어 라인을 통해 제어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예로서, 구성요소는 홉, 배연 장치, 배기 공기 밸브, 조명 장치,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기타 소비자로부터의 선택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홉이 접속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홉은 특히 에너지 전달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상이하다.
제어 장치는 외부 센서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추가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장치에 접속된 센서의 동작 원리는 열전기적, 저항성, 압전기, 용량성, 유도성, 광학적 또는 자성일 수 있다. 센서는 특히 홉에 대한, 특히 제어 장치에 대한, 특히 홉 상에 위치된 냄비 또는 팬에 대한 창문 접촉 스위치로서, 온도 센서로서 그리스 필터 삽입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및/또는 홉 상에 위치된 냄비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또한 사용자와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에는 유선 접속 외에 추가 무선 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무선 모듈, 무선 주파수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또는 WLAN 모듈을 갖는다.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은 버스 시스템, 특히 LIN 버스 시스템 또는 다중 마스터 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는 갈바닉 절연에 의해 전력 회로로부터 분리된다. 갈바닉 절연은 유도식으로 또는 광커플러(optocoupler)를 통해 용량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의 제어 회로는 전력 회로로부터 신뢰성있게 분리된다.
제어 장치는 서비스 정보, 유지 보수 정보 및/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인터페이스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또한 이 목적을 위해 별도의 USB 접속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검색될 수 있고 제어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접속된 구성요소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자동 구성은 특히 사용자 입력 없이 수행된다. 접속된 구성요소의 유형, 개수, 위치 및/또는 배향이 자동으로 식별된다.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모듈식 홉 시스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있거나 수직축에 대해 다르게 회전된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조리 위치를 갖는 홉은 특정 조리 포인트가 예를 들어 조리대의 정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고객의 아이디어에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의 자동 식별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코딩을 통해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의 접속 형상을 통해 구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에 무선으로 접속된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코딩을 통해 자동으로 식별될 수 있다.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는 또한 홉 및 추출 장치 외에 플랩 모터 및/또는 루프 플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전용 홉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 장치는 추출 장치를 독점적으로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그에 접속된 다양한 구성요소의 기능을 자동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모듈식 홉 시스템의 작동이 개선된다.
배연 장치의 자동 작동은 홉의 작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배연 장치의 전력은 활성화된 홉의 개수 및 전력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플랩 모터 및/또는 루프 플랩 모터 및/또는 전환되어야 하는 추가 장치는 홉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센서 정보는 제어 장치에 의해 추출 장치 또는 다른 구성요소의 자동 활성화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성요소가 제어 장치에 의해 스위치 오프될 수도 있다. 특정 온도 값을 초과하면 홉이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홉에서 꺼낸 냄비는 냄비 식별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 장치는 홉 스위치 오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동일한 전류 소스로 공급되지 않는 구성요소, 특히 홉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모든 홉이 비활성화되거나 모든 홉이 비활성화된 후 특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배연 장치를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사용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제어 장치는 TFT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TFT 스크린을 통해, 접속된 구성요소들의 전력 정보, 온도 정보, 유지 보수 정보, 구성 정보, 센서 정보 및/또는 서비스 정보가 사용자에게 액세스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입력의 경우, 스크린은 터치-감지 층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감지 층은 저항성, 용량성, 유도성 또는 광학적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감지 층을 갖는 TFT 스크린은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한 제어 명령의 입력을 허용한다.
사용자에 의한 효율적인 조작을 위해, 제어 장치는 TFT 스크린을 통해 상이한 디스플레이 변형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는 상징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빠른 조작을 위해, 제 1 디스플레이 변형예에서, 접속된 구성요소의 심볼을 플리킹 또는 스와이프하여 제어하면 충분하다. 예로서, 홉의 전력은 TFT 스크린을 플리킹하거나 스와이프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스와이프 또는 플리킹은 직선형, 아치형 또는 원형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결합된 플리킹/스와이프 및 태핑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변형예에서,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는 상세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예를 들어 탭핑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 버튼이 표시된다. 제 1 디스플레이 변형예는 제 2 디스플레이 변형예와 비교하여 가능한 제어 옵션의 적절한 서브셋만을 이용가능하게 한다는 특징이 있다. 가능한 제어 옵션 중 (비어 있지 않은) 다른 서브셋은 제 1 디스플레이 변형예에서 사용가능하지 않다.
제어 장치의 자동 구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자동 구성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들에 따라, 상이한 디스플레이 변형예가 TFT 스크린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접속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기호가 TFT 화면에 자동으로 배열된다. 접속된 구성요소의 경우 개별 제어 옵션이 각각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TFT 스크린을 통해 표현된 디스플레이 변형예는 자동으로 구성되거나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TFT 스크린은 스위치 오프 상태의 유리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유리판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유리판은 90% 미만, 특히 80% 미만, 특히 70% 미만, 특히 50% 미만의 범위로 광-투과성이다. 유리 플레이트는 부분적으로 광-투과성 필름으로 착색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검정 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가 TFT 스크린에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TFT 스크린은 특히 강한 백라이트를 갖는다. 백라이팅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0 cd/m2, 특히 적어도 900 cd/m2, 특히 적어도 1000 cd/m2의 세기를 갖는다.
TFT 스크린은 특히 액체 방식으로, 특히 수포 없이 유리판에 접착 결합된다(광학 결합).
터치-감지 TFT 스크린은 중복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감지 TFT 스크린의 중복 구성을 위해, 터치-감지 센서 및/또는 그 접속된 평가 유닛은 중복 방식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평가 유닛은 2회 구현되고 터치-감지 센서는 한 번 구현된다. 두 배 중복성이 있는 평가 장치의 구성은 감지된 입력의 타당성 비교를 허용한다. 터치-감지 TFT 스크린의 중복 구성은 예를 들어 기름이 튀어서 TFT 스크린이 오염된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을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이중 작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장치에 접속된 모든 구성요소는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또한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의 일부만이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캡슐화된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용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유체 누수 방지식, 특히 액체 누수 방지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홉 바깥, 특히 부엌 작업대에 배치되거나 후크에 통합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홉에 통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장치는 홉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배연 장치에 일체화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배연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배연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배연 장치의 추출 개구의 캐리어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의 TFT 스크린 및 추출 개구의 캐리어 프레임은 특히 유리 플레이트에 접착 결합된 유리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제어 장치를 캐리어 프레임에 나사로 조일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캐리어 프레임에 접속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에 따라, 제어 장치는 해제 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캐리어 프레임에 접속된다.
모듈식 홉 시스템은 두 개의 회로, 제어 회로 및 전원 회로(또는 부하 회로)로 구성된다. 전원 회로는 전기 소비자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 소비자는 홉 및 배연 장치와 같이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이다. 전원 회로는 전원 공급 시스템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는 특히 갈바닉 절연으로 인해 전원 회로에서 분리된다. 제어 장치는 제어 회로의 일부이다. 제어 장치 및 전원 회로가 분리되어 제어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는 에너지 공급을 위해 서로 다른 유형의 에너지원에 접속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특히 50Hz 또는 60Hz의 전력 공급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230V, 240V 또는 110V의 작동 전압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단상, 2-상, 3-상, 4-상 또는 5-상 전원 공급 장치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다.
구성요소에는 기체 접속, 온수 접속 또는 증기 접속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또한 에너지 공급을 제공하는 동안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구성요소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를 에너지 공급 장치에 별도로 접속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세부사항이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중앙 제어 장치를 갖는 모듈식 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두 개의 홉 유닛, 배연 장치 및 제어 장치를 가진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세 개의 홉 유닛, 두 개의 배연 장치 및 제어 장치를 가진 도 2에 따른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두 개의 홉 유닛, 배연 장치 및 개별 제어 장치를 가지고 가구 아이템 내에 일체화된 홉 시스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5는 일 대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를 가진 모듈식 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홉 시스템(1)의 다양한 세부사항이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도 1은 홉 시스템(1)의 기본 구성을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홉 시스템(1)은 중앙 제어 장치(2)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2)는 다수의 인터페이스(3)를 갖는다. 이것은 제어 라인(4)에 의한 신호-전송 방식으로 추가 구성요소, 특히 홉(5)에 접속된다.
홉 시스템(1)은 특히 복수의 홉(5)을 포함한다. 홉(5)은 유리 세라믹 홉, 복사 소자 홉, 인덕션 홉, 테판 홉, 가스 홉, 특히 전기-가스 홉, 그릴 홉, 철판 또는 기타 홉일 수 있다. 튀김 그릇 또는 수비드 유닛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홉(5)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홉, 즉 전기 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로 전환하는 홉이다.
또한, 홉 시스템(1)은 배연 장치(6)를 포함한다. 배연 장치(6)는 특히 하향 환기 팬이다.
원칙적으로, 홉 시스템(1)은 또한 추가 요소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예를 들어 오븐 및/또는 스티머 및/또는 전자레인지 기구 및/또는 자동 커피머신 및/또는 예로서 냉장고, 냉동고, 주전자 또는 조명과 같은 추가 전기 기구를 제어 장치(2)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2)는 특히 홉(5) 또는 배연 장치(6) 또는 다른 기기가 접속되었는지 그리고 각각이 어느 인터페이스(3)에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는 특히 어떤 종류의 홉(5)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지 검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장치(2)를 동작시키기 위해 작동 유닛(7)이 제공된다. 작동 유닛(7)은 데이터-전송 방식으로 제어 장치(2)에 접속된다.
작동 유닛(7)은 하나 이상의 터치-감지 센서, 특히 하나 이상의 터치-감지 스크린(9), 특히 박막 트랜지스터 디스플레이(TFT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 스크린(9)의 디스플레이는 제어 장치(2)에 접속된 홉(5) 및/또는 배연 장치(6)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2)는 터치-감지 스크린(9), 즉 자신의 디스플레이가 각각의 경우에 제어 장치(2)에 실제로 접속된 기기에 자동으로 적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터치-감지 스크린(9)은 또한 추가 정보 및/또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TV 스크린과 같이 영화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소비자 전자 기기용 디스플레이로서 터치-감지 스크린(9)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기기는 또한 제어 장치(2)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들은 터치-감지 스크린(9)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작동 유닛(7)은 또한 하나 이상의 작동 손잡이(8)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작동 손잡이(8)는 특히 제거가능할 수 있다. 작동 손잡이(8)는 특히 제어 장치(2)에 대한 자신의 상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홉 시스템(1)은 서로 다른 홉(5)을 포함할 수 있다. 홉 시스템(1)은 또한 복수의 동일한 홉(5)를 포함할 수 있다.
홉 시스템(1)은 또한 복수의 배연 장치(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연 장치 역시 모두 제어 장치(2)에 의해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는 배연 장치(6) 중 하나에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배연 장치(6)가 제어기 없이 구성되며 제어를 위해서 제어 라인(4)에 의한 신호-전송 방식으로 제어 장치(2)에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3의 좌측).
제어 장치(2)에 의한 배연 장치(6) 및 홉(5)의 공동 제어는 배연 장치(6)의 제어를 홉(5)의 제어와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홉(5)은 특히 각각의 경우에 별개의 전용 제어 장치 없이, 특히 제어 전자기기 없이 구성될 수 있다. 홉(5)은 특히 제어기 없이 구성된다. 이들은 특히 비자율적이며 비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은 동작을 위해 제어 장치(2)에 접속되어야 하며, 즉 제어 장치(2)에 신호-전송 방식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홉(5)의 제어기 없는 구성의 결과로서, 홉(5)의 작동 제어에 대한 온도의 영향이 방지된다. 또한, 그 결과 습기 및/또는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영향이 방지될 수 있다.
홉(5)은 특히 조작 패널이 없을 수 있다. 그 결과 홉(5) 상의 조리 영역(10)의 배치의 유연성이 증가된다. 조리 영역(10)은 특히 실질적으로 홉(5)의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에 걸쳐 조리 영역(10)을 갖는 홉(5)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리 영역(10)은 특히 홉(5) 중 하나의 총 영역의 50%를 초과하는 영역, 특히 60%를 초과하는 영역, 특히 70%를 초과하는 영역, 특히 80%를 초과하는 영역, 특히 90%를 초과하는 영역, 특히 95%를 초과하는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홉 시스템(1), 특히 홉(5)은 특히 모듈식으로 구성된다.
홉(5)은 특히 제어 장치(2)에 의해 독점적으로 및/또는 완전하게 제어된다. 이를 위해, 이들은 제어 라인(4)에 의해 신호-전송 방식으로 제어 장치(2)에 접속된다.
제어 라인(4)은 동시에 홉(5)의 전원 공급 장치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것의 대안으로, 홉(5)는 별도의 전력 라인, 특히 접속 플러그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는 배연 장치(6)의 모듈에 일체화될 수 있다. 제어 장치(2) 및 배연 장치(6)는 특히 공통 장착 유닛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별개의 인터페이스(3), 특히 제어 장치(2)와 배연 장치(6) 사이의 별개의 제어 라인(4)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어 장치(2)는 별개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도 4에 개략적으로 그리고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별개의 모듈로서의 제어 장치(2)의 구성은 제어 장치(2), 특히 작동 유닛(7)을 홉(5) 및/또는 배연 장치(6)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작동 손잡이(8)는 제거가능할 수 있다.
주방 베이스 캐비닛(12) 상의 조리대(11) 내의 홉 시스템(1)의 배치가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조리 연기를 이끌어내기 위한 환기 채널은 도 4에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배연 장치(6)의 상응하는 세부사항 및 추가의 특징에 대해 특히 DE 10 2009 025 038 A1 및 DE 10 2007 002 241 A1이 참조되어야 하며, 이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서 본 출원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제어기가 없는 홉(5)의 구성은 특히 상기 홉을 매우 작은 구조적 높이로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홉(5)의 구조적 높이 또는 설치 깊이는 특히 10cm 미만, 특히 5cm 미만, 특히 3cm 미만, 특히 2cm 미만, 특히 1cm 미만일 수 있다.
도 5는 일 대안에 따른 홉 시스템(1)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어 장치(2)는 초저전압 라인(14)을 통해 전원 공급 장치(13)에 접속된다. 전원 공급 장치(13)는 전원 공급 시스템 접속 라인(15)에 의해 전력 공급 시스템(16)에 접속되며, 특히 초저전압 범위에서 제어 장치(2)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 장치(13)는 따라서 전력 회로를 제어 회로로부터 분리시킨다. 제어 장치(2)는 제어 라인을 통해 외부 센서(17)에 접속된다. 외부 센서(17)는 예를 들어 포트를 식별하거나 창문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홉(5)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또는 이에 더하여, 제어 장치(2)는 내부 센서(18)를 가진다. 내부 센서(18)는 특히 그리스(grease) 필터 위치를 검출하도록 사용된다.
내부 센서(18)는 또한 온도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홉 시스템의 과열이 신뢰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소비재(19)는 제어 장치(2)에 접속되고 전력 공급 시스템(16)에 접속된다. 소비재(19)는 조명일 수 있다. 제어 장치(2)는 터치-감지 TFT 스크린의 형태인 사용자 인터페이스(20)를 더 포함한다. 소비재(19) 및 홉(5)은 제어 접속(21)을 통해 제어 장치(2)에 접속되고 전력 공급 시스템 접속부(22)를 통해 전력 공급 시스템(16)에 접속된다. 소비재(19) 및 홉(5)은 이와 다르게 에너지 라인(24) 및 에너지 접속부(25)를 통해 다른 에너지원(23)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예시로서, 홉(5)은 가스 홉이고 에너지원(23)은 가스 접속부이다.

Claims (15)

  1. 하향 환기 팬(downdraft extractor fan)의 형태인 배연 장치(6)로서,
    모듈식 홉 시스템(modular hob system)(1)을 위한 제어 장치(2)로서, 상기 배연 장치(6)의 하우징에 일체화된 제어 장치(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2)는,
    모듈식으로 구성된 홉(5)을 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인터페이스(3), 및
    상기 배연 장치(6)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접속부(4)를 갖는, 배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에너지 전달을 위한 메커니즘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홉(5)을 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인터페이스(3)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가 터치-감지 스크린(9) 및 상기 제어 장치(2)에 대한 자신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상이한 기능을 갖는 제거가능한 동작 손잡이(8)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 스크린(9)은 다중으로 존재하는 터치-감지 센서 배열(17, 18) 및 신뢰 가능하게 제어 입력을 식별하기 위한 다중으로 존재하는 평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중복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0)의 상기 제어 장치(2)가 그에 실제로 접속된 구성요소(5, 6)에 자동 적응되는 것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에 접속된 구성요소(5, 6)의 전체 또는 총 개수와 비교하여 감소된 일부를 제어하기 위해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를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용 하우징을 갖는 캡슐화된 모듈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 센서(18) 및 외부 센서(17)를 접속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3) 중 하나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는 상기 인터페이스(3)에 접속된 구성요소(5, 6)를 자동으로 식별하기 위해 신호-기반 코딩을 검출할 수 있거나 또는 인터페이스(3)의 구조상 개별적인 접속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10. 모듈식 홉 시스템(1)으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연 장치(6) 및
    적어도 하나의 홉(5)을 포함하는, 모듈식 홉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2)는 홉 시스템(1)의 모든 구성요소(5, 6)를 제어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모듈식 홉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홉(5)의 제어기가 없는 구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모듈식 홉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홉(5)이 제어 장치(2)에 의한 자동 식별을 위해서 신호-기반 코딩 및 구조상 개별적인 접속 기하학적 구조를 위한 전기 구성요소 중 하나를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모듈식 홉 시스템.
  14. 삭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센서(18)는 그리스 필터(grease filter)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인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연 장치.
KR1020187029095A 2016-04-08 2017-04-10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KR102245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5911.4 2016-04-08
DE102016205911.4A DE102016205911A1 (de) 2016-04-08 2016-04-08 Steuereinrichtung für ein modulares Kochfeldsystem
PCT/EP2017/058490 WO2017174816A1 (de) 2016-04-08 2017-04-10 Steuereinrichtung für ein modulares kochfeld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885A KR20180134885A (ko) 2018-12-19
KR102245589B1 true KR102245589B1 (ko) 2021-04-28

Family

ID=5850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095A KR102245589B1 (ko) 2016-04-08 2017-04-10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204175B2 (ko)
EP (1) EP3440407B1 (ko)
JP (1) JP6990692B2 (ko)
KR (1) KR102245589B1 (ko)
CN (1) CN109073229B (ko)
AU (2) AU2017101938A4 (ko)
CA (1) CA3020232A1 (ko)
DE (1) DE102016205911A1 (ko)
ES (1) ES2883606T3 (ko)
WO (1) WO2017174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5247B2 (en) * 2017-09-29 2021-03-02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US11234556B2 (en) 2017-10-13 2022-02-01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DE102017127229A1 (de) * 2017-11-20 2019-05-23 Miele & Cie. Kg Anordnung bestehend aus zumindest einer Dunstabzugseinrichtung und zumindest einem Kochfeld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Anordnung
DE102017221459A1 (de) * 2017-11-29 2019-05-29 Wilhelm Bruckbauer Kochfeldsystem
DE102018212151A1 (de) * 2018-07-20 2020-01-23 Wilhelm Bruckbauer Kochfeldsystem
DE102018214146A1 (de) * 2018-08-22 2020-02-27 Wilhelm Bruckbauer Benutzerschnittstelle für eine Steuereinrichtung eines Kochfeldsystems
US20220290872A1 (en) * 2019-09-06 2022-09-15 BSH Hausgeräte GmbH Cooking-appliance system
CN110939951A (zh) * 2019-10-17 2020-03-31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基于模式选择的灶具与空气调节设备联动系统及其方法
DE102021208925A1 (de) 2021-08-13 2023-02-16 BORA - Vertriebs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üchengerätesystems, Computerprogrammprodukt und Küchengerätesystem
EP4170241A1 (en) 2021-10-25 2023-04-2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ntrol device for a hob and hob with a control device
CN117215219A (zh) * 2022-06-02 2023-12-1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集成灶、集成灶控制方法和集成灶控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7375A (en) 1972-03-16 1974-03-19 Jenn Air Corp Stove with selectively interchangeable cook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043A (en) 1974-10-29 1976-03-02 Jenn Air Corporation Range with removable deep fat fryer unit
US4042806A (en) * 1977-01-19 1977-08-16 Jenn Air Corporation Ventilated range with plug-in cooking units
US4431892A (en) 1981-07-17 1984-02-14 Jenn-Air Corporation Ventilated modular cooktop cartridge
US4549052A (en) 1984-01-12 1985-10-22 The Maytag Company Cooling system for an induction cooking cartridge
DE3909126C2 (de) * 1989-03-20 1998-06-04 Diehl Gmbh & Co Schaltgerät für einen Kochherd
US5190026A (en) * 1991-11-19 1993-03-02 Maytag Corporation Modular countertop cooking system
DE19522300C2 (de) 1995-06-20 1997-05-28 Berufsfoerderungswerk Heidelbe Elektrische Sicherheitsvorrichtung für Kochstellen
US5619982A (en) 1995-07-31 1997-04-15 Mayta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owndraft cooking vapor withdrawal system
DE19545942C2 (de) * 1995-12-08 2003-11-27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Beidseitig bedienbares Küchenarbeitsfeld mit Dunstabzugseinrichtung
JP3123475B2 (ja) * 1997-07-29 2001-0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調理器
JP3206503B2 (ja) * 1997-07-30 2001-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調理器
DE19857932A1 (de) 1998-12-16 2000-07-13 Aeg Hausgeraete Gmbh Kombination, umfassend ein Kochgerät und eine Dunstabzugshaube, sowie Kochgerät und Dunstabzugshaube, sowie Kochgerät und Dunstabzugshaub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ombination, umfassend ein Kochgerät und eine Dunstabzugshaube
DE19959224B4 (de) * 1999-12-08 2010-07-01 E.G.O. Elektro-Gerätebau GmbH System bestehend aus einem Elektrokochgerät und einer davon gesonderten Bedieneinheit
DE10057849A1 (de) 2000-11-22 2001-06-28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System für Bedienung, Steuerung und Service von Haushaltseinrichtungen, insbesondere von Herden und/oder Dunstabzugshauben
US7171727B2 (en) * 2002-10-04 2007-02-06 Wolf Appliance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control and status display
DE10327273B4 (de) * 2003-06-17 2013-12-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erd mit einem Kochfeld und mit einem Modul zur Steuerung des Kochfeldes
KR100528261B1 (ko) 2003-10-28 2005-11-15 주식회사 파세코 다운 드래프트 방식의 가스레인지용 팬모터 제어장치 및방법
JP4196117B2 (ja) * 2004-07-29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EP1626375A1 (en) * 2004-08-10 2006-02-15 Tuttoespresso S.p.a.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machine control
US20100231506A1 (en) * 2004-09-07 2010-09-16 Timothy Pryor Control of appliances, kitchen and home
FI117526B3 (fi) 2005-03-17 2016-07-05 Innohome Oy Kodinkoneiden ja viihdelaitteiden toimintaa ohjaava ja seuraava lisälaite
US7687748B2 (en) * 2005-08-01 2010-03-30 Western Industries, Inc. Induction cook top system with integrated ventilator
US7462795B2 (en) * 2006-07-31 2008-12-09 Delphi Technologies, Inc. Rotary knob with a display
WO2008083660A2 (de) * 2007-01-10 2008-07-17 Wilhelm Bruckbauer Vorrichtung zum abzug von kochdünsten mit abluft-flachkanal
DE102007002241B4 (de) 2007-01-10 2021-11-18 Wilhelm Bruckbauer Vorrichtung zum Abzug von Kochdünsten
PL2288853T3 (pl) 2008-04-16 2015-10-30 Miele & Cie Sposób eksploatacji wyciągu oparów
DE102009025038B4 (de) 2009-06-10 2020-07-16 Wilhelm Bruckbauer Kochdunst-Eintrittsvorrichtung mit abnehmbarer deckelförmiger Verschließeinrichtung
EP2261568B1 (en) 2009-06-12 2018-02-2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ntrol device for kitchen appliance
DE102009055147A1 (de) 2009-12-22 2011-06-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81739 Energieübertragungseinheit und Verfahren zum Konfigurieren einer Anzeigeeinheit einer Energieübertragungseinheit
DE102010042436B4 (de) 2010-10-14 2022-01-05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 mit integrierter Dunsthaube
DE202011005698U1 (de) * 2011-04-28 2011-09-26 Wilhelm Bruckbauer Kochfeld mit zentraler Absaugung von Kochdünsten nach unten
DE102011087480A1 (de) * 2011-11-30 2013-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Kochfeld, Kochfeld mit einer derartigen Bedien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chfelds
ITAN20120001U1 (it) 2012-01-18 2013-07-19 Laemme3 S N C Piano cottura aspirante
ITTO20120460A1 (it) * 2012-05-25 2013-11-26 Eltek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rubinetti di gas
US20230129115A1 (en) 2013-05-03 2023-04-27 Broan-Nutone Llc Sensor-enabled range hood system and method
CN103343997B (zh) * 2013-06-28 2016-01-20 广东万和电气有限公司 净化消毒型吸油烟机
DE102013223934A1 (de) * 2013-11-22 2015-05-2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GB201411694D0 (en) 2014-07-01 2014-08-13 Aluminium Lighting Company The Ltd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ructural health of lighting column stock
CN105334810B (zh) * 2014-07-16 2019-07-2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电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DE102014220273A1 (de) * 2014-10-07 2016-04-07 BSH Hausgeräte GmbH Bestimmen einer Temperatur mittels eines Infrarotsensors
DE102015108314A1 (de) 2015-05-27 2016-07-07 Miele & Cie. Kg Hausgerätekombination bestehend aus einem Kochfeld und einer über dem Kochfeld angeordneten Dunstabzugshaube
KR102106840B1 (ko) * 2017-02-22 202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E102019123393A1 (de) * 2019-09-02 2021-03-04 Miele & Cie. Kg Kochsystem, umfassend ein Kochfeld mit mindestens einer Kochstelle und mindestens ein Bedienelement zur Bedienung der Kochstelle, Bedienelement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Kochsystems
US11442487B2 (en) * 2020-02-28 2022-09-13 Midea Group Co., Ltd. Appliance burner assignment indication
USD924660S1 (en) * 2020-05-12 2021-07-13 Sub-Zero Group, Inc. Control knob with a digital display
CN213841858U (zh) * 2020-11-05 2021-07-30 亚浩电子五金塑胶(惠州)有限公司 热管及具有其的散热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7375A (en) 1972-03-16 1974-03-19 Jenn Air Corp Stove with selectively interchangeable coo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0957A (ja) 2019-04-18
AU2017101938A4 (en) 2023-02-09
US11204175B2 (en) 2021-12-21
KR20180134885A (ko) 2018-12-19
DE102016205911A1 (de) 2017-10-12
US20190137109A1 (en) 2019-05-09
JP6990692B2 (ja) 2022-01-12
CA3020232A1 (en) 2017-10-12
ES2883606T3 (es) 2021-12-09
WO2017174816A1 (de) 2017-10-12
AU2017246598A1 (en) 2018-10-18
CN109073229A (zh) 2018-12-21
EP3440407B1 (de) 2021-06-23
US20220074597A1 (en) 2022-03-10
CN109073229B (zh) 2021-02-26
EP3440407A1 (de)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589B1 (ko) 모듈식 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US736868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electric appliance
EP2261568B1 (en) Control device for kitchen appliance
US8810377B2 (en) Portable, in particular media-enabled console
KR20080068775A (ko) 용기센서와 이를 갖는 발열유닛 및 그 발열유닛을 갖는조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US8141479B2 (en) Cooking device for arrangement on a horizontal work surface
US20180209660A1 (en) Cooking appliance
US20160320068A1 (en) Cooktop user interface
US20180206311A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on
JP4263220B2 (ja) 加熱調理器
KR20100122024A (ko) 조리기기
JP2009026572A (ja) 誘導加熱調理器
EP1300049A1 (en) Power supply for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s and domestic appliances for coaction with such a power supply
CN214949240U (zh) 烹饪器具
KR101623982B1 (ko) 조리기기
RU2783592C1 (ru) Улучшенная индукционная варочная система
KR100985257B1 (ko) 가열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05679B1 (ko) 접이식 멀티 레인지
JP5264579B2 (ja) 加熱調理器
JP4910021B2 (ja) 加熱調理器
CA2579549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electric appliance
JP2008021433A (ja) 加熱調理器
JP200810698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