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221B1 -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 Google Patents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221B1
KR102221221B1 KR1020190068431A KR20190068431A KR102221221B1 KR 102221221 B1 KR102221221 B1 KR 102221221B1 KR 1020190068431 A KR1020190068431 A KR 1020190068431A KR 20190068431 A KR20190068431 A KR 20190068431A KR 102221221 B1 KR102221221 B1 KR 10222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yam
extract
red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648A (ko
Inventor
김준영
최명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안동제비원전통식품(주)
김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안동제비원전통식품(주), 김준영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안동제비원전통식품(주)
Priority to KR102019006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221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고추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참마추출물과 새싹추출물 및 콜라겐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며,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미용 증진효과가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고, 먹는 화장품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고추장 제조용 첨가제로도 유용한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참마 고추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Composition for Skin Care of Yam Extraction and Yam Gochujang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고추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참마추출물과 새싹추출물 및 콜라겐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며,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미용 증진효과가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고, 먹는 화장품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고추장 제조용 첨가제로도 유용한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참마 고추장에 관한 것이다.
참마(Yam, 학명; Dioscorea japonica Thunb.)는 마속의 식물중에서 외떡잎식물로 산과 들에 자라는 덩굴성 초본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거나 껍질을 벗겨 먹는다.
참마에는 당단백질의 일종인 뮤신(mucin)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위장의 점막 보호기능과 위산에 의한 위손상 방지와, 알란토인(allantoin)은 글리옥실산(glyoxylic acid)의 유레이드(ureide) 화합물로 피부보습에 좋고 피부탄력에 효과적이며 기미와 주근깨를 제거해 주며 항산화물질이 풍부하므로 활성산소를 배출하여 피부노화를 막아준다. 또한, 참마에는 다이옥신(dioxin)이 들어 있어 혈중콜레스테롤 제거와 혈관청소로 혈액순환 개선에 좋으며, 사포닌(Saponin)과 아르기닌(arginine)이 함유되어 면역력 향상과 유해활성산소 배출로 성인병 질환의 예방효과가 있다. 참마의 효능은 당뇨, 폐기능, 기관지강화, 원기회복, 고혈압, 정력강화, 두뇌발달, 소화촉진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밖에 소화불량, 신경통, 요통, 건망증, 시력장애, 소갈, 만성신장염, 혈압정상화, 염증제거, 콜레스테롤 제거, 지혈, 동상,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새싹땅콩에는 콩사포닌(soyasaponin)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골다공증 개선효과가 있다. 새싹땅콩에는 폴리페놀중의 하나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포도, 적포도주, 땅콩 및 베리 등에 0.001-0.15ug/g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새싹땅콩에 0.62-0.91ug/g 함유되어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세포보호 작용, 항암, 항산화작용, 항염증반응, 면역조절 및 화학적 보호기작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high-density lipoprotein (HDL) 생성증진 작용, low-density lipoprotein (LDL) 산화저해작용, 지방 축적 억제 작용, 지방산의 산화 촉진, 지방산 합성 억제 기능, 심혈관이나 암 예방효과가 있다. 새싹땅콩추출물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새싹땅콩을 증숙한 후 냉각, 열수 또는 용매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진공 농축하여 만들 수 있다.
콜라겐(collagen)은 동물의 뼈와 피부에 주로 존재하며 연골, 장기, 머리카락, 물고기의 비늘 등에도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의 피부와 연골 등 체내의 모든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콜라겐의 폴리펩타이드 세분자는 삼중나선형 구조로 글라이신과 프롤린 및 타 아미노산이 여러 곳에 삽입되어 수소결합으로 사슬끼리 상호 강하게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장력에 잘 견디고 장기간 분해되지 않는다. 콜라겐은 수불용성이지만 산이나 염기와 함께 가열하면 분해되어 젤라틴으로 변한다. 콜라겐은 37℃ 이상에서는 폴리펩타이드 연결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콜라겐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산, 알칼리 처리 후 단백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얻은 콜라겐을 젤라틴으로 만들어 식품이나 젤리등의 응고제로 사용한다. 콜라겐과 젤라틴은 투명도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콜라겐은 자기조립이 가능한 단백질이기 때문에 물속에서 하이드로젤 상태를 이룬다. 젤라틴에 불순물이 섞인 것을 아교라고 부른다. 콜라겐을 산. 알칼리 및 효소를 이용하여 분자량 1,000 이하로 저분자화한 다음 정제하여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쓰이고 있다.
보리싹 추출물(barley sprout)은 보리싹은 보리를 발아시켜 10~15cm로 성장시킨 보리잎이다. 보리싹에는 암세포의 전이와 성장을 억제하고 피부에 색소침착을 일으키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인 루테오린이 함유되어 있고, 베타-카로틴은 항노화작용과 항암 효과, C-glycosylflavone은 flavone계 항산화물질로서 체내에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항당뇨 작용 및 항암작용, 항박테리아 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염작용, 효소활성의 억제능 및 면역계에 대한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보리싹의 생리활성화 기능물질 이외에도 보리싹에 함유된 풍부한 무기질 성분의 칼륨(K)은 2,102mg%로 매우 높고 인, 마그네슘, 칼슘도 함유량이 높고, 알카리도는 66.4 정도로 높다.
보리싹 및 보리싹 추출물에 들어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화 물질을 건강식품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동결 건조하여 미세 분말화 하거나, 착즙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저장성과 경제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보리싹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기가 높아 보리싹 관련시장은 년 1조원에 달하고 있다.
보리싹 잎은 비타민, 효소, 엽록소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기능성 물질로 관심이 증대되고 보리싹 추출물은 영양보충제의 형태로서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강력한 항산화제인 SOD(Super Oxide Dismutase), 비타민C, 비타민E 및 베타카로틴이 높은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다이어트 균형식이나 체질개선 등이 건강기능식품이나 및 약제로 효과가 알려지면서 꾸준히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참마를 이용한 고추장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5-0054519(참마와 개땅쑥을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고추장)는 개땅쑥을 물에 넣고 우려서 개땅쑥 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개땅쑥 물에 엿기름물을 혼합하고, 찐 찹쌀을 넣어 삭힌 후 달이는 단계; 상기 달인 물에 물엿, 메주가루 및 소금을 넣고 혼합해서 식히는 단계; 및 상기 식힌 물에 고추가루, 참마가루 및 주정을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마와 개땅쑥을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이다. 한국특허등록번호 10-1793933(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은 (a) 참마의 껍질을 박피하고 절단한 다음 증숙시켜, 열풍건조기에서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50~100메쉬로 분쇄하는 참마의 전처리 단계와; (b) 개땅쑥, 자소, 녹차, 모시잎, 호박잎을 각각 정제수에 넣고 85~95℃의 열수에서 5~6시간 동안 열수 추출 및 여과하여 1차 기능성물질 추출물을 준비하고, 상기 1차 기능성 물질 추출물의 색소 및 냄새를 활성탄으로 제거하는 1차 기능성물질 추출물 정제단계와; (c) 유자를 정제수에 넣고 85~95℃의 열수에서 5~6시간 동안 열수 추출 및 여과하여 2차 기능성 물질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와;(d) 찹쌀 20.0중량%를 증자솥에서 증숙하여 찐 다음, 엿기름 0.5중량%를 체로 거르고 정제수를 혼합하여 엿기름물을 얻고, 상기 엿기름물에 찐 찹쌀을 넣고 삭혀 당화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당화물에 조청 19.0중량%를 넣어 2~3시간 달이고 냉각시킨 반응물에 상기 (a)단계에서 전처리된 참마가루 5.0중량%, 상기 (b)단계의 1차 기능성물질 추출물인 개땅쑥 추출물 0.5중량%, 자소 추출물 0.5중량%, 녹차 추출물 0.4중량%, 모시잎 추출물 0.5중량%, 호박잎 추출물 0.5중량%, 상기 (c)단계의 2차 기능성물질 추출물인 유자 추출물 3.0중량%와 고춧가루 22.1중량%, 메주가루 9.0중량%, 청국장가루 8.0중량% 및 식염 8.0중량%를 넣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f) 상기 (e) 단계의 혼합액에 주정 3.0중량%를 섞고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이다.
한국특허등록번호 10-1356715(천마분말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은 증자하여 찹쌀밥을 제조하는 찹쌀밥 제조단계, 물과 메줏가루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메줏가루 물 제조단계, 상기 메줏가루 물 제조단계의 메줏가루 물과 찹쌀밥을 혼합하여 당화물로 당화시키는 당화 단계 및 상기 당화 단계에서 당화된 당화물과 고춧가루, 천마분말 및 소금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한다.
그밖에 기능성 고추장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11-0049440(산야초 발효액이 첨가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한국특허등록번호 10-0481574(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한국특허등록번호 10-0810532(혈전용해능, 면역세포 활성능 및 세포독성 활성이 있는바실러스 균 및 이를 함유한 고추장), 한국특허등록번호 10-1045997(참숯 발효 숙성시킨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한국특허등록번호10-0719224(기능성 고추장 제조방법), 한국특허등록번호10-0686185(겔 함유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이 다른 것이다.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5-0054519(참마와 개땅쑥을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고추장) 한국특허등록번호 10-1793933(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한국특허등록번호 10-1208659호(개똥쑥을 이용한 저염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장)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대기업 제품의 고추장은 저렴한 원부재료와 다량의 당류를 사용하면서 숙성기간이 짧아 싼값으로 유통되는 반면에, 중소기업이 지역 특산물을 활용하여 만드는 고추장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건강에 좋고 맛도 좋다. 그러나 최종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유통과정이 취약하여 가격도 비싸고 품질의 저하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허공개번호 10-2015-0054519(참마와 개땅쑥을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고추장)를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후속적인 연구결과(한국특허등록번호 10-1793933)로서 새로운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을 개발하여 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자는 경북 안동 특산물인 참마의 연구개발 과정에서 참마와 그 조성물이 건강기능성, 약학적 효능, 가격적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참마는 맛이 없고 고추장의 풍미를 저하시키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끝에, 참마, 새싹땅콩추출물, 새싹보리추출물, 콜라겐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이 피부보호와 미용에 좋다는 것을 알게 되어 피부미용 증진용으로 적용가능한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참마추출물, 새싹땅콩추출물, 콜라겐추출물 및 보리싹 추출물로 구성된 피부보호용 조성물이 피부보호는 물론 맛과 품질이 우수한 참마고추장 개발에 성공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참마와 새싹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미용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참마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참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참마고추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참마추출물, 새싹땅콩추출물, 새싹보리추출물 및 콜라겐추출물을 함유하는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참마추출물 5∼10 중량부, 새싹땅콩추출물 5∼10 중량부, 새싹보리추출물 5∼10 중량부 및 콜라겐추출물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1~15중량부, 고춧가루 20∼30 중량부, 메주가루 4∼8 중량부, 청국장가루 2∼6 중량부, 찹쌀가루 20∼30 중량부, 물엿 20∼30 중량부, 식염 5∼10 중량부 및 주정 0.1∼1 중량부를 함유하는 참마 고추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엿기름 5~15 중량부를 55-65℃의 정제수에 넣고 분산시킨 후, 증숙한 찹쌀가루 20~30 중량부에 상기의 엿기름 분산액을 넣고 당화시켜 농축하는 단계;
상기 당화 농축액에 고춧가루 20∼30 중량부, 메주가루 4∼8 중량부, 청국장가루 2∼6중량부, 물엿 20~30 중량부 및 식염 5~10 중량부를 넣고 혼합 및 농축하는 단계;
상기 혼합 농축액을 온도 33~36℃에서 주정 0.1~1 중량부와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1~15 중량부를 혼합한 후 22~25℃에서 고추장으로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고추장을 12~15℃에서 30~90일간 숙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마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은 세포활성 억제 효과나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보습, 주름개선, 노화방지 등 피부미용 증진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은 맛도 우수하여, 건강기능식품이나 먹는 화장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이를 포함하는 참마고추장은 항산화활성으로 인한 피부미용 증진 효과에 대한 기능성은 물론 맛과 품질이 우수하며 저장성이 우수한 고추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참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용증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참마고추장을 제조하는 제조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실시예에서 제조된 참마추출물을 함유한 피부미용증진용 조성물에 대한 H2O2 에 의한 인체 각질형성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참마고추장에 대한 항산화활성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참마고추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은 참마추출물, 새싹땅콩추출물, 새싹보리추출물 및 콜라겐추출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참마를 포함하는 피부보호조성물은 참마추출물 5∼10 중량부, 새싹땅콩추출물 5∼10 중량부, 새싹보리추출물 5∼10 중량부 및 콜라겐추출물 1∼5 중량부를 함유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 가능하며, 먹는 화장품(inner beauty)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참마고추장은 상기의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1~15중량부, 고춧가루 20∼30 중량부, 메주가루 4∼8 중량부, 청국장가루 2∼6 중량부, 찹쌀가루 20∼30 중량부, 물엿 20∼30 중량부, 식염 5∼10 중량부 및 주정 0.1∼1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참마추출물(Yam extract)
시중에서 구입한 참마를 각각 1kg을 구입하여 15ℓ에 넣고 85∼95℃의 열수에서 5∼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여 참마추출물을 얻었다. 열수 대신에 30∼40% 에탄올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약간의 불쾌한 냄새로 인하여 고추장의 상품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음이온이온교환수지, 활성탄 또는 입상활성탄 컬럼에 충진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참마추출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새싹땅콩추출물(peanut sprout extract)
새싹땅콩추출물의 제조는 파종하여 얻은 새싹땅콩을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스팀으로 증숙하여 냉각시킨 다음, 땅콩 새싹을 동결건조한다. 동결건조된 땅콩새싹에 열수 또는 유기용매로 이용하여 60℃의 온도에서 90분 동안 추출한 후, 에탄올을 회전진공 농축기로 제거하여, 땅콩 새싹추출물을 얻는다.
새싹땅콩추출물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새싹보리추출물(barley sprout extract)
새싹보리추출물의 기능성물질은 사포나린(saponarin), 루테오린(ruteorin)루토나린(lutonarin) 및 이소비텍신(isovitexin) 등의 기능성 이차대사 물질을 함유하여 건강성 식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 그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미국과 일본 기타 여러 국가에서 폭넓게 이용 및 연구되고 있으며, 항산화제인 SOD, 비타민C, 비타민E 및 베타카로틴이 높은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새싹보리를 파종하여 약 8~15일 후 수확하여 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새싹보리 분말 5kg을 새싹보리 추출물은 중량 대비 새싹보리 분말에 정제수를 1:10~40의 비율로 첨가하여 추출 온도 100~120℃ 범위에서 6~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희석배율은 1 : 20이 가장 좋았으며, 추출온도는 80℃에서 좋았으며, 추출시간은 10시간에서 가장 수율이 좋았다. 유기용매 추출은 추출용매인 발효주정 40L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추출한 후, 어드반텍 번호 2 종이 여지로 여과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진한 암녹색의 점액상의 새싹보리 추출물을 제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새싹보리추출물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콜라겐추출물(Collagen Extract)
돼지, 닭, 생선 등의 콜라겐은 경구적으로 식이를 통하여 섭취하더라도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배설되므로, 강산이나 강알칼리 및 효소 등으로 분해하여 저분자화된 콜라겐을 아미노산 급원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시중에서 구입한 피시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2.5배의 정제수를 가하고 3.0~6.0시간 동안 90~110℃로 가열하여 저분자화된 콜라겐을 분리하였다. 콜라겐 슬러리에 1N-HCl을 가하여 50~60℃에서 산가수분해시킨 다음 1N-NaOH로 pH 6.8~7.2로 중화한 후, 저분자화된 콜라겐을 분리하였다. 잔류하는 콜라겐 슬러리에 단백질 분해 효소인 Delvolase, Tunicase 및 Protease M 효소를 사용하여 분자량이 저분자량의 콜라겐을 얻었다. 콜라겐 추출물은 피시콜라겐 추출물을 시중(쿠팡)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콜라겐의 분자량은 1,000이하로 것을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추출물은 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의 참마추출물 5∼10 중량부, 새싹땅콩추출물 5∼10 중량부, 새싹보리추출물 5∼10 중량부 및 콜라겐추출물 1∼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은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성물의 에로서는 외용 화장품, 먹는 화장품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피부미용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이나 기능성 고추장으로서 참마고추장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참마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공정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추장의 제조를 위해서는 우선, 엿기름 5~15 중량부를 55~65℃의 정제수에 넣고 분산시킨 후, 증숙한 찹쌀가루 20~30 중량부에 상기의 엿기름 분산액을 넣고 당화시켜 농축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 다음으로, 상기 당화 농축액에 고추장 제조를 위한 성분으로서 고춧가루 20∼30 중량부, 메주가루 4∼8 중량부, 청국장가루 2∼6중량부, 물엿 20~30 중량부 및 식염 5~10 중량부를 넣고 이를 혼합하고 농축한다.
이렇게 농축된 상기 혼합 농축액을 온도 33~36℃에서 주정 0.1~1 중량부와 상기 제조된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을 1~15 중량부를 혼합한다. 그 다음으로, 이를 22~25℃, 예컨대 상온에서 고추장으로 발효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렇게 발효된 고추장을 12~15℃에서 30~90일간 숙성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참마고주창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참마고추장은 기존 제품에 비해 총페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안토시아닌 함량, DPPH라디칼 소거능 등이 모두 우수하여 항산화활성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섭취하는 경우 피부미용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고추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참마고추장은 상기와 같은 기능성 이외에도 맛이나 기호도 역시 우수하고 보관성이 우수하여 기존 제품에 비해 상품성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실시예 1-4
조성물 구성을 상기 설명한 방법에 의해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구성하여 참마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에서 단위는 중량부이다.
구 분 제조실시예1 제조실시예2 제조실시예3 제조실시예4
조성물 참마추출물 10 8 6 5
새싹땅콩추출물 5 6 8 10
보리새싹추출물 10 8 6 5
콜라겐추출물 1 2 4 5
정제수 74 76 76 75
실험예 1 :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
상기 제조실시예에서 제조된 참마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에 대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radical) 용액 (60M)(시그마-알드리치사, USA)을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제조실시예 2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농도별로 조정하고 (10, 30, 60 및 100 ㎍/㎖), 여기에 DPPH 용액을 1:1 비율로 섞은 다음 볼텍싱하였다. 30분 동안 20℃에서 반응시킨 후 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1]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100 - (추출물처리후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x 100
추출물농도(㎍/㎖) 10 30 60 100 대조군
자유래디칼 소거효과(%) 41.3 68.9 76.8 92.3 49.8
상기의 표 2에서와 같이, 참마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은 참마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대조군(100㎍/㎖)에 비하여 자유라디컬 소거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H2O2 에 의한 인체 각질형성세포 사멸 억제 효과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세포 내에서 활성 산소가 분비되는데 이러한 것을 인위적으로 유도시키기 위해 H2O2 0.05 mM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각질형성세포 (한국세포주은행)에 영향을 주었다. 여기에 상기 제조실시예 2의 조성물 (10, 30, 60,100 ㎍/㎖)을 첨가하고 4시간 경과 후 세포 활성을 MTT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조성물농도(㎍/㎖) 0 10 30 60 100 대조군
세포 생존율(%) 11.6 43.5 55.7 64.3 81.4 42.1
상기의 표 3과 같이 참마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은 참마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대조군(100㎍/㎖)에 비하여 인체 각질형성 세포 사멸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H2O2 에 의한 인체 섬유아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
섬유아세포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세포 내에서 활성 산소가 분비되는데 이러한 것을 인위적으로 유도시키기 위해 H2O2 0.05 mM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섬유아세포 (한국세포주은행)에 영향을 주었다. 여기에 식물 혼합 추출물 (10, 30, 60, 100㎍/㎖)을 첨가하고 4시간 경과 후 세포 활성을 MTT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추출물농도(㎍/㎖) 0 10 30 60 100 대조군
세포 생존율(%) 12.1 42.6 61.7 68.3 82.4 45.1
상기의 표 4와 같이 참마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은 참마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대조군(100㎍/㎖)에 비하여 인체 섬유아세포 사멸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
1) 원료의 전처리 및 추출
시중에서 구입한 참마의 껍질을 박피하고 절단한 다음 증숙시켜, 분쇄기를 이용하여 50∼100메쉬로 분쇄하였다. 또한 새싹땅콩과 새싹보리는 파종하여 10일간 새싹을 8~12cm크기로 기른 다음 채취하고 50∼100메쉬로 분쇄하였다. 참마, 새싹땅콩 및 새싹보리 분쇄물에 대하여 1 : 20 배율로 희석하여 추출온도는 8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각각의 참마추출물, 새싹땅콩추출물 및 새싹보리추출물을 얻었다. 이들 추출물은 열수 대신에 30∼40% 에탄올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추출물은 색소와 냄새를 가지고 있으므로 음이온이온교환수지, 활성탄 또는 입상활성탄을 선택하여 컬럼에 충진하여 이들 추출물을 통액시켜 색소 및 냄새를 제거하였다. 콜라겐은 시중에서 분자량 1,000이하의 콜라겐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배합비율
피부보호 조성물은 참마추출물, 땅콩새싹추출물, 보리새싹추출물, 콜라겐추출물로 구성된다. 상기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참마고추장은 엿기름,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주가루, 청국장가루, 물엿, 식염 및 주정을 포함한다.
3) 고추장 제조
엿기름을 시중(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15 mesh 체로 걸러서 준비한 다음, 엿기름 11 중량부를 60℃의 정제수 100 중량부에 넣고 분산시킨 후, 증숙한 찹쌀가루 24 중량부에 상기의 엿기름 분산액을 넣고 당화시킨 다음 농축하였다. 상기의 농축물에 고춧가루 25 중량부, 메주가루 5 중량부, 청국장가루 3 중량부, 물엿 24 중량부, 식염 7 중량부를 넣고 혼합한 다음, 혼합액의 온도가 35℃에서 주정 0.5 중량부,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제조실시예 2) 7 중량부를 혼합한 후 23℃에서 30일간 고추장 발효시켰다. 발효된 고추장을 13℃에서 60일 동안 고추장을 숙성 및 보관하는 단계를 거쳐 참마고추장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에서 단위는 중량부 이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
참마추출조성물 10 8 6 4 7 -
고추장원부재료 엿기름 11 11 11 11 11 11
찹쌀가루 20 20 20 20 20 20
고춧가루 20 20 20 20 20 20
메주가루 5 5 6 7 7.5 11
청국장가루 3 3 4 5 3 6.5
물엿 24 25.5 25.5 24 24 24
식염 6.5 7 7 8.5 7 7
주정 0.5 0.5 0.5 0.5 0.5 0.5
정제수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4 : 참마고추장의 미생물 측정
참마고추장의 미생물 측정을 위해 식품공전의 시험법에 준하여 바실러스 시리우스, 대장균군, 대장균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용액 10 ㎖를 유당배지에 가하고 유당배지를 가한 발효관에 검체를 넣어 35℃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가스 발생 상태를 관찰하여 대장균군의 존재여부를 추정하였다. 시험용액 10 ㎖, 1 ㎖, 0.1 ㎖를 3개의 EC배지 발효관에 접종한 다음 45℃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가스발생이 일어나는 발효관을 대장균 양성이라고 판정하였다.
B. cereus 측정 실험은 시료를 단계별로 희석하고 희석액을 MYP배지에 접종하여 분산시킨 후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어 혼탁한 환을 갖는 분홍색 집락을 선별하여 보통한천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다시 배양한 후 colony를 관찰하였다.
참마고추장의 미생물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추장을 30℃에서 보관하면서 B. cereus, 대장균, 대장균군 등 미생물의 생육여부를 조사하였으나 모두 음성이었다. 실시예 2의 참마고추장을 30℃로 저장하면서 미생물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의 표 6에 나타냈다.
저장기간 Bacillus cereus 대장균군 대장균
0 음성 음성 음성
4주 음성 음성 음성
8주 음성 음성 음성
12주 음성 음성 음성
16주 음성 음성 음성
상기의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참마고추장은 4개월 동안 30℃에서도 미생물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내 보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 항산화활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대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활성은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안토시아닌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다음의 표 7에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함량은 Folin-Denis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 0.2 mL에 Folin-Ciocalteu’s 페놀시약 0.1 mL와 증류수 1.4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0% Na2CO3 0.3 mL를 가하여 암소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765 nm에서 흡광도(Epoch)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갈릭산을 이용하여 함량을 표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함량은 Shen Y, Jin L, Xiao P, Lu Y, Bao J (2009)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tioxidant capacity in rice grain and their relations to grain color, size and weight. J Cereal Sci 49: 106-111.) 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0.5 mL에 5% 아질산나트륨(NaNO2) 0.15 mL를 가하여 5분간 방치한 후 10% AlCl3 6H2O 0.3 mL와 1 M NaOH 1 mL를 가하여 혼합한 후 암소에서 15분 방치한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카테킨을 이용하여 함량을 표시하였다.
총 안토시아닌(Total Anthocyanin) ?t량은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Vol. 02.pH differential method(AOAC 2005.)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 0.5 mL에 0.025 M KCl 완충액(pH 1.0)와 0.4 M 초산나트륨(CH3COONa) 완충액(pH 4.5)를 가하여 최종 부피를 5 mL로 한 다음, 510 및 700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Epoch)를 각각 측정하여 아래의 식으로 결과를 얻었다.
안토시아닌염료(cyaniding-3-glucoside equivalents, mg/L)??=
A × MW × DF × 103/ ε × l
A(흡광도값) = (A510 nm -A700 nm)pH 1.0-(A510 nm-A700 nm)pH 4.5
MW(cyanidin-3-glucoside분자량) = 449.2 g/mol
DF(dilution factor) = dilution ratio of sample
ε(cyanidin-3-glucoside molar absorbance) = 26,900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in L × mol-1 × cm-1, l = pathlength in cm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칼린산당량(mg GAE)/g; Gallic acid equivalent)으로 나타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총페놀
함량(㎍/㎖)
131.2±
0.13
134.6±
0.21
136.2±

0.29
137.2±

0.16
136.3±

0.34
115.3±
0.11
총플라보노이드(mg/kg) 14.3±
0.32
14.9±
0.28
14.3±
0.15
15.2±
0.41
19.2±

0.12
13.3±

0.31
총안토시아닌(mg/L) 3.86±
0.12
4.12±
0.13
4.14±
0.21
4.15±
0.36
4.11±

0.29
3.25±
1.13
상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참마고추장은 총페놀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안토시아닌 함량, DPPH라디칼 소거능 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7 : 관능검사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이 만든 참마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참마고추장을 대상으로 하여 잘 훈련된 panel(남여 20대, 30대, 40대 각 2명)로 하여금 5점척도법(4.5점 이상; 매우우수, 3.5점 이상; 우수, 3점; 보통)에 의한 맛, 색도, 기호도, 전체적인 맛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비교예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고추장(H사제품)이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
4.5 4.5 4.5 4.5 4.6 3.7
기호도 4.4 4.5 4.6 4.6 4.5 3.8
색도 4.3 4.5 4.6 4.6 4.6 3.6
전체적맛 4.4 4.5 4.6 4.6 4.6 3.7
상기의 관능검사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참마고추장은 맛, 색도,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매우 우수한 관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참마를 포함하는 고추장 조성물은 피부미용 증진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만든 참마고추장은 미생물에 대하여 보존성이 좋으며,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며 관능에서도 우수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고추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참마추출물 5~10 중량부, 새싹땅콩추출물 5~10 중량부, 새싹보리추출물 5~10 중량부 및 콜라겐추출물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참마 고추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1~15중량부, 고춧가루 20∼30 중량부, 메주가루 4∼8 중량부, 청국장가루 2∼6 중량부, 찹쌀가루 20∼30 중량부, 물엿 20∼30 중량부, 식염 5∼10 중량부 및 주정 0.1∼1 중량부를 함유하는 참마 고추장.
  7. 제6항에 따른 참마 고추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엿기름 5~15 중량부를 55~65℃의 정제수 100 중량부에 넣고 분산시킨 후, 증숙한 찹쌀가루 20~30 중량부에 상기의 엿기름 분산액을 넣고 당화시켜 농축하는 단계;
    상기 당화 농축액에 고춧가루 20∼30 중량부, 메주가루 4∼8 중량부, 청국장가루 2∼6중량부, 물엿 20~30 중량부 및 식염 5~10 중량부를 넣고 혼합 및 농축하는 단계;
    상기 혼합 농축액을 온도 33~36℃에서 주정 0.1~1 중량부와 제1항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5 중량부를 혼합한 후 22~25℃에서 고추장으로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고추장을 12~15℃에서 30~90일간 숙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0190068431A 2019-06-11 2019-06-11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KR10222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431A KR102221221B1 (ko) 2019-06-11 2019-06-11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431A KR102221221B1 (ko) 2019-06-11 2019-06-11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648A KR20200141648A (ko) 2020-12-21
KR102221221B1 true KR102221221B1 (ko) 2021-03-03

Family

ID=7409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431A KR102221221B1 (ko) 2019-06-11 2019-06-11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2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190A (ko) * 2005-12-12 2005-12-28 선미식품 주식회사 양파고추장 제조방법
KR20090055079A (ko) * 2007-11-28 2009-06-02 (주)더페이스샵코리아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MY160866A (en) * 2008-12-23 2017-03-31 Univ Putra Malaysia Collagen extraction from aquatic animals
KR101208659B1 (ko) 2011-08-30 2012-12-05 한국기계연구원 색상 변화 특성을 이용한 검출방법
KR101402289B1 (ko) * 2012-06-22 2014-06-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새싹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054519A (ko) 2013-11-12 2015-05-20 최명희 참마와 개땅쑥을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고추장
KR101749965B1 (ko) * 2015-03-30 2017-06-23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461B1 (ko) * 2015-07-27 2017-08-18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또는 황사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3933B1 (ko) * 2015-08-05 2017-11-07 농업회사법인 안동제비원전통식품(주)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1899A (ko) * 2016-11-09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0667A (ko) * 2017-11-03 2019-05-13 (주) 노바렉스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648A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0212B2 (ja) 皮膚改善剤
KR102386296B1 (ko) 증진된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파바톤 콩잎과 오미자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9653A (ko) 구절초 및 진주조개껍질을 함유한 기능성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6802A (ko)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20170017142A (ko)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991471B (zh) 一种具有强效抗氧化活性的天然食品添加剂
KR100760670B1 (ko)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20130066963A (ko)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여주 음료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KR102221221B1 (ko)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CN112842963B (zh) 皂角米提取物及其制备方法、应用
CN108185239A (zh) 黑莓沙棘复合保健原液及其制备方法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20220155551A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2537B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스틱형 용기용 도라지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3758A (ko) 토마토 간장의 제조방법
KR20150129461A (ko)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발효물과 그 발효물을 함유한 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