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899A -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899A
KR20180051899A KR1020160148825A KR20160148825A KR20180051899A KR 20180051899 A KR20180051899 A KR 20180051899A KR 1020160148825 A KR1020160148825 A KR 1020160148825A KR 20160148825 A KR20160148825 A KR 20160148825A KR 20180051899 A KR20180051899 A KR 20180051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nut
ultra
high pressure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찬
홍재화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14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899A/ko
Publication of KR2018005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콩새싹을 발효한 후 초고압 처리 및 추출하여 얻은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땅콩새싹을 효모, 유산균류, 바실러스 속 균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하여 발효하고 상기 발효물에 100 내지 3,000MPa의 압력에서 40 내지 90℃의 온도로 1 내지 24 시간을 처리하는 초고압 추출법으로 얻은 땅콩 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은 높은 수율의 레스베라트롤을 얻을 수 있으며, 노화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온도변화에 대해 변색과 분리 및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VERY HIGH-PRESSURE EXTRACT OF PEANUT SPROUT FERMENTATION}
본 발명은 땅콩새싹을 발효 후 초고압 처리 및 추출하여 얻은 땅콩새싹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땅콩새싹 추출물에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하고 이를 초고압을 처리하여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증가된 땅콩새싹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사용 목적은 피부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유지시키는데 있으며 근래에는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는 기능성 화장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노화로 인해 가장 크게 나타나는 피부 특성은 주름과 탄력저하, 피부 칙칙함이다. 30대가 되면 맑고 투명한 피부에도 잔주름이 생기고 탄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니즈로 인해 안티 에이징 제품 시장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피부 탄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들이 꾸준히 팔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소비자 니즈에 맞춰 각 연구 단체 및 업계에서는 순간적인 주름 은폐 및 장기적인 주름완화, 탄력개선을 목적으로한 원료 및 천연성분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장벽의 붕괴 또는 변형은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주요 요인이라는 연구 또는 피부 장벽 유지에 관한 유전자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발표 되는 등 피부 노화와 피부장벽 개선에 대한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피부 노화와 유전자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피부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물들 중에서 땅콩새싹의 화장품으로써의 응용가능성을 연구 및 다양한 실험을 거쳐 노화 방지 효과를 측정한 결과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새싹땅콩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주는 올레인산, 신경 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자극하여 기억력을 상승시켜 주는 레시틴, 체내 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해 노화와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비타민- E, 알콜대사를 도와주는 나이아신, 그 밖에도 비타민-B1, B2도 함유되어 있으며, 땅콩에 비해 지방이 10분의 1에 불과하며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영양 불균형이 심각한 현대인에게 적합한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새싹땅콩의 뿌리에는 적포도주에서 심장병 예방에 효과있다고 알려진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이 존재하는데 적포도주(100g당 0.0001 - 0.015mg 함유)에 비해 수십 배에서 수백 배 이상 함유(0.62mg - 0.91mg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대만 국립자이대학 분자생물화학과의 연구진에 의해 밝혀지면서 새롭게 주목받았다(Chen RS et al., J Agric Food Chem. 2002 Mar 13;50(6):1665-7).
레스베라트롤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피토알렉신으로서 외부의 공격에 방어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고, 땅콩, 포도, 오디, 라스베리, 크렌베리 등의 베리류 등의 식물에서 발견되며 항암 및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고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항바이러스(antiviral), 신경보호작용(neuroprotective), 항염증작용(anti-inflammatory), 항노화(anti-aging) 및 수명을 연장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암세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세포 자살을 촉진하는 유전자들의 활성화를 통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레스베라트롤은 세포증식을 촉진하는 특정 유전자 신호전달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빠르게 분열하는 각종 암세포의 증식을 강력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포유동물의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2003년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적포도주와 적포도에서의 레스베라트롤은 안티 에이징 유전자로 알려진 Sirtuin 패밀리에 속한 SIRT1 유전자의 활성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Howitz KT et al., Nature. September 2003 11;425(6954):191-6).
또한, 레스베라트롤은 항산화 작용과 피부 미백작용, 항균작용에 의해 피부보호 작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최근 암과 노화의 연결된 작용 메커니즘이 알려지면서 그 연결고리로 조명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장수유전자로 알려진 SIRT1 유전자인데, 2015년 4월호에 출간된 과학전문지 <JACI>에서는 피부장벽 기능이상에대해 실린 많은 논문들 중 한 논문에 따르면 SIRT1 유전자의 발현이 저해되면 피부장벽 기능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라그린의 발현이 저하되어 조직학적으로 아토피피부염과 비슷한 피부 병변이 유발되며 손상된 피부장벽을 통해 알레르기 항원의 감작이 늘어난다고 발표했다(Mei Ming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April 2015 Volume 135, Issue 4, Pages 936945.e4).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34981호 및 10-2016-0081436에서는 땅콩 새싹의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발효 또는 효소 처리하는 것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48699, 10-2012-0031706, 10-2016-0045271 등에서는 여러 시료들 중 유효 성분들의 함량을 극대화하여 추출하기 위한 초고압 추출법, 발효 후 초고압 추출법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보다 레스베라트롤 성분을 최대한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원 발명의 땅콩새싹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땅콩새싹의 유효성분인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증가시키는 점이라는 것을 예측하였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여 본 발명의 피부 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땅콩새싹을 발효시킨 후 초고압 처리 및 추출하여 얻은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 효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입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는 땅콩새싹을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로 발효시키는 것입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고압 처리는 100 내지 3000 MPa의 압력에서 40 내지 90℃의 온도로 1 내지 24 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입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됩니다.
본 발명은 땅콩새싹을 발효시킨 후 초고압 처리 및 추출하여 얻은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은 유효성분인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증가되었으며(실험예 1), 증가된 레스베라트롤에 의해 안티에이징 유전자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142498.1(SIRT1, Homo sapiens sirt 1, NAD-dependent deacetylase sirtuin-1))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실험예 2), 피부 탄력 개선 효과(실험예 3)가 뛰어나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가진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높아 피부 노화 개선 효과를 가져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땅콩새싹을 발효, 초고압 처리 및 추출하여 얻은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땅콩새싹을 효모균, 유산균, 바실러스속 균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하고 이를 초고압을 처리하여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증가된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땅콩새싹을 발효시킨 후 초고압 처리 및 추출하여 얻은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레스베라트롤 성분을 최대한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찾기 위해 아래 기재한 방법과 같이, 땅콩새싹을 발효시킨 후 초고압처리 및 추출공정을 거쳐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여 피부 노화 개선 효과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의 발효는 땅콩새싹을 효모균, 유산균, 바실러스속 균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균으로 20 내지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pH 5 내지 7을 유지하면서, 1 내지 7일간 발효시켜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s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KCTC 7904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의 초고압 처리는 100 내지 3,000 MPa의 압력에서 40 내지 90℃의 온도로 1 내지 24시간 처리하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MPa의 압력에서 40 내지 60℃의 온도로 12 내지 24시간 처리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압력 1,000MPa의 압력에서 50℃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의 추출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 에탄올 수용액 또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식물 등의 추출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로서, 초고압 처리한 땅콩새싹발효 추출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감압농축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농축은 로터리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농축 조건은 1,000ml 라운드플라스크에 700ml의 추출물을 넣고 650mmHg 내지 750mmHg의 압력으로 50~70℃, 600~1200rpm으로 회전하면서 2시간 동안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한 농축액은 예비동결을 수행하여 -40℃로 온도를 낮추고 -40℃로 2~4시간 동안 유지한 후 트랩 냉동을 통하여 -80℃까지 떨어트리고, 진공을 10~30 mTorr로 유지한 다음 120분에 걸쳐 -40℃까지 다시 올린다. 그 후 -20℃로 240분, 0℃로 40분, 15℃ 340분, 30℃로 130분 유지하고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1300분으로 유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은 땅콩새싹을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을 초고압 처리 후 추출한 추출액이거나, 상기 추출액을 진공, 농축 후 동결건조시킨 분말이거나, 상기 분말을 추출용매와 배합한 배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땅콩새싹발효 초고압 추출물은 특정의 범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3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노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노화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 제조
1kg의 땅콩새싹을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300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쇄물을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 분쇄물을 10g/L가 되도록 땅콩새싹을 사카로미세스 속(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KCTC 7904) 균주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여기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1 내지 4%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2%(W/V)를 첨가하였으며, 펩톤 0.1 내지 1%를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0.5%(W/V)를 추가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37℃에서, pH 5-7로 유지하면서 바람직하게는 pH 6으로 유지하면서, 1 내지 7일간 바람직하게는 5일간 배양하였다. 미생물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였다.
배양균이 1차 제거된 땅콩새싹 발효물을 초고압처리기를 이용하여 압력 1000MPa 하에서 온도를 50℃로 승온시키고 24시간 동안 초고압 처리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초고압 처리한 땅콩새싹 발효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 에탄올 수용액은 최종 시료 중량의 5배를 사용하며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가 되게 녹여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땅콩새싹 용매 추출물의 제조
비교예 1은 땅콩새싹의 일반 유기용매 추출물로서, 1kg의 땅콩새싹을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분쇄한 후 300메시 체에 통과시켜 분쇄물을 미세하게 만들었다. 최종 농도가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 에탄올 수용액은 최종 시료 중량의 5배를 사용하며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은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하였다. 이 파우더를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땅콩새싹 추출물(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땅콩새싹 발효 추출물의 제조
비교예 2는 땅콩새싹의 발효 추출물로서, 1kg의 땅콩새싹을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300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쇄물을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10g/L가 되도록 땅콩새싹을 사카로미세스 속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KCTC 7904) 균주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여기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1~4%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2%(W/V)를 첨가하였으며, 펩톤 0.1~1%를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0.5%(W/V)를 추가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37℃에서, pH 5-7로 유지하면서 바람직하게는 pH 6으로 유지하면서, 1~7일간 바람직하게는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였다.
배양균이 1차 제거된 땅콩새싹 발효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 에탄올 수용액은 최종 시료 중량의 5배를 사용하며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가 완료 된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였다. 이 파우더를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땅콩새싹 발효 추출물(비교예 2)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땅콩새싹 초고압 추출물의 제조
1kg의 땅콩새싹을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300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미세하게 분쇄한 땅콩새싹 분쇄물을 초고압처리기를 이용하여 압력 1000MPa 하에서 온도를 50℃로 승온시키고 24시간 처리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초고압 처리한 땅콩새싹 추출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 에탄올 수용액은 최종 시료 중량의 5배를 사용하며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땅콩새싹 초고압 추출물(비교예 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포도 추출물 제조
비교예 4는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포도의 일반 유기용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kg의 포도를 시료를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뒤 300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 에탄올 수용액은 최종 시료 중량의 5배를 사용하며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하였다. 이 파우더를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가 되게 녹여 포도 추출물(비교예 4)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포도 발효 초고압 추출물 제조
비교예 5는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포도의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kg의 포도를 시료를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300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분쇄물을 10g/L가 되도록 포도를 사카로미세스 속(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KCTC 7904) 균주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여기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1 내지 4%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2%(W/V)를 첨가하였으며, 펩톤 0.1 내지 1%를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0.5%(W/V)를 추가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37℃에서, pH 5-7로 유지하면서 바람직하게는 pH 6으로 유지하면서, 1 내지 7일간 바람직하게는 5일간 배양하였다. 미생물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였다.
배양균이 1차 제거된 포도 발효물을 초고압처리기를 이용하여 압력 1000MPa 하에서 온도를 50℃로 승온시키고 24시간 동안 초고압 처리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초고압 처리한 포도 발효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 에탄올 수용액은 최종 시료 중량의 5배를 사용하며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가 되게 녹여 포도 발효 초고압 추출물(비교예 5)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땅콩새싹의 유효성분 함량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HPLC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레스베라트롤 (Resveratrol) 0.117 0.032 0.062 0.004 0.001 0.002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땅콩새싹의 유효성분 함량 측정 결과, 실시예 1의 전반적인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비교예 1 내지 5 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땅콩새싹을 발효 후 고압처리하여 추출하는 처리 조건(실시예 1)에서 추출된 땅콩새싹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의 활성성분이 다른 추출 조건(비교예 1 내지 5)과 비교하여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실시간 RT- PCR 정량
땅콩새싹발효 초고압 추출물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142498.1(SIRT1, Homo sapiens sirt 1, NAD-dependent deacetylase sirtuin-1) 발현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 추출물이 아닌 용매(50% 글리세린)만을 첨가한 제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분석된 레스베라트롤에 의해 특이적으로 발현이 변화될 것으로 예상한 유전자[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142498.1(SIRT1, Homo sapiens sirt 1, NAD-dependent deacetylase sirtuin-1)]의 발현변화 정도를 조사 및 정량하기 위해 My IQ 실시간 PCR(My IQ Real-time PCR)(Bio-rad, 미국)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실시간 RT-PCR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올리고 dT 프라이머와 Superscript kit(Omniscipt™ kit, Qiagen, Co., 미국)를 이용하여 역전사반응을 수행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cDNA 0.2 ㎕와 물 3.8 ㎕, 센스 프라이머 0.5 ㎕, 안티센스 프라이머 0.5 ㎕, 사이버그린 I 염색 수퍼믹스(Bio-rad, 미국) 5 ㎕를 혼합하여, PCR 튜브에 담아 단계 1: 95℃, 3분; 단계 2(45회 반복): 단계 2-1: 95℃, 10초; 단계 2-2: KIF1A - 57℃, B3GALT4, DHRS9, EMR2, KIAA1199 - 65℃, 45초; 단계 3: 95℃, 1분; 단계 4: 55℃, 1분; 단계 5(반복 80회): 55℃, 10초로 프로그램을 설계한 My IQ 실시간 PCR 기계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산물을 정량하기 위하여 사이버그린(SYBR Green) I 염색(Bio-rad, 미국)으로 염색하였다. 사이버그린 I 염색은 이중나선 DNA에 결합하는 염색법으로서, PCR 과정 동안 이중나선 DNA가 생성될수록 형광강도(fluroscense intensity)가 증가하게 된다. 먼저 PCR에 이용한 표적 유전자와 내재성(endogenous) 대조군(RPLPO)에 대한 프라이머를 사이버그린 마스터 믹스(Master mix)에 첨가하여 PCR을 실시한 후, 적절한 농도를 선택하는 프라이머 적합화(primer optimization) 과정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cDNA 시료와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각의 프라이머를 혼합하고, 사이버그린 마스터 믹스를 첨가한 후 PCR를 수행하였고, 정량 소프트웨어(softwar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등록번호 유전자 약어 PCR 프라이머 서열 (5'->3')
NM_001142498.1 SIRT1 센스
(서열번호1)
TGCTGGCCTAATAGAGTGGCA
안티센스
(서열번호2)
ACCTCAGCGCCATGGAAAAT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땅콩새싹의 유효성분 함량 측정 결과, 대조군에 대한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142498.1(SIRT1, Homo sapiens sirt 1, NAD-dependent deacetylase sirtuin-1)의 발현양보다 모두 높은 결과를 확인 수 있었고 실시예 1에 대한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142498.1(SIRT1, Homo sapiens sirt 1, NAD-dependent deacetylase sirtuin-1)의 발현량이 비교예 1 내지 5 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참조, p<0.5).
실험제품 SIRT1 (Fold Change) Regulation
실시예 1 3.51 up
비교예 1 1.22 up
비교예 2 1.78 up
비교예 3 1.66 up
비교예 4 1.20 up
비교예 5 1.20 up
대조군 1.00 -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땅콩새싹을 발효 후 고압처리하여 추출하는 처리 조건(실시예 1)에서 추출된 땅콩새싹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의 활성성분이 다른 추출 조건(비교예 1 내지 5)과 비교하여 크게 증가한 것을 유전자 등록번호(Genebank) NM_001142498.1(SIRT1, Homo sapiens sirt 1, NAD-dependent deacetylase sirtuin-1) 유전자의 발현 양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인간 체세포는 HaCaT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간 표피세포 또는 인간 조직에서 유래한 세포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 제형예 비교제형예의 제조>
땅콩새싹발효 초고압 추출물 크림(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내지 비교제형예 6의 크림을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 6의 경우 대조군으로 추출물이 아닌 용매(50% 글리세린)만을 첨가한 제형으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표 4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한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실시예 1의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1 및 비교예 1의 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1, 비교예 2의 땅콩새싹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2, 비교예 3의 땅콩새싹 초고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3, 비교예 4의 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4 및 비교예 5의 포도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5의 화장료 및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인 비교제형예 6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료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
비교
제형예
3
비교
제형예 4
비교
제형예
5
비교
제형예
6
가) 스테아릴 알콜 8 8 8 8 8 8 8
스테아린산 2 2 2 2 2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2 2 2 2 2
스쿠알란 4 4 4 4 4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6 6 6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3 3 3 3 3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아스테르 2 2 2 2 2 2 2
나)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5 5
실시예 1 3 - - - - - -
비교예 1 - 3 - - - - -
비교예 2 - - 3 - - -
비교예 3 - - - 3 - - -
비교예 4 - - - - 3 - -
비교예 5 - - - - - 3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실험예 3> 피부탄력 개선 효과의 평가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내지 6의 피부탄력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제형예 1 내지 비교제형예 6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3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탄력 개선 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5에 Cutometer SEM 575의 ΔR8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값은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피부 탄력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제품 피부탄력효과(ΔR8, n=15, p<0.05)
사용전 사용후
제형예1 0.10 0.37
비교제형예1 0.11 0.15
비교제형예2 0.11 0.20
비교제형예3 0.12 0.15
비교제형예4 0.11 0.16
비교제형예5 0.12 0.19
비교제형예6 0.11 0.13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땅콩새싹을 발효시킨 후 초고압 처리 및 추출하여 얻은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 효과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땅콩새싹을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로 발효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압 처리는 100 내지 3000 MPa의 압력에서 40 내지 90℃의 온도로 1 내지 24 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48825A 2016-11-09 2016-11-09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1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825A KR20180051899A (ko) 2016-11-09 2016-11-09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825A KR20180051899A (ko) 2016-11-09 2016-11-09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899A true KR20180051899A (ko) 2018-05-17

Family

ID=6248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825A KR20180051899A (ko) 2016-11-09 2016-11-09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8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080B1 (ko) * 2018-10-22 2020-02-05 서숙녀 땅콩새싹 추출물을 이용한 세정액 원료의 제조방법
KR20200141648A (ko) * 2019-06-11 2020-12-21 농업회사법인 안동제비원전통식품(주)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KR20210066212A (ko) * 2019-11-28 2021-06-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 및 땅콩 새싹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20220013517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라비오 발아식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080B1 (ko) * 2018-10-22 2020-02-05 서숙녀 땅콩새싹 추출물을 이용한 세정액 원료의 제조방법
KR20200141648A (ko) * 2019-06-11 2020-12-21 농업회사법인 안동제비원전통식품(주)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KR20210066212A (ko) * 2019-11-28 2021-06-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 및 땅콩 새싹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20220013517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라비오 발아식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6175A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6353B1 (ko) 인삼싹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828B1 (ko)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138147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抗酸化剤、抗炎症剤、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KR20180051899A (ko) 땅콩새싹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5412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1883A (ko) 빌베리열매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3357A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8148B1 (ko) 그라비올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00872B1 (ko) 개똥쑥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0962B1 (ko) 미강 발효 추출물 및 비터 오렌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셀룰라이트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347A (ko) 극차광 재배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19622B1 (ko)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57126A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8902B1 (ko) 갈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6788A (ko) 발효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7130B1 (ko) 흰여뀌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013104A (ja) 抗酸化作用を有するキサントン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それらからなる化粧品
KR101872353B1 (ko) 수선화 비늘줄기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2453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