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599B1 - 오존 발생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차량 - Google Patents

오존 발생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599B1
KR102218599B1 KR1020197026129A KR20197026129A KR102218599B1 KR 102218599 B1 KR102218599 B1 KR 102218599B1 KR 1020197026129 A KR1020197026129 A KR 1020197026129A KR 20197026129 A KR20197026129 A KR 20197026129A KR 102218599 B1 KR102218599 B1 KR 10221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lectrode
emitting tube
generating device
ozon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585A (ko
Inventor
아쓰시 이마무라
가즈히로 고토
Original Assignee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70761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73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7075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7335B2/ja
Application filed by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60H3/0092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in the interior of the HVAC unit, e.g. by spraying substances inside the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10Dischargers used for production of ozone
    • C01B2201/14Concentric/tubular dischar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발광 가스가 봉입된 발광관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가지는 엑시머 램프를 구비하고, 발광관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원통부와, 제1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제1 축경부와, 제2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제2 축경부를 가지고, 제1 전극은, 제1 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전극은, 제2 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발광관은, 원통부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제1 축경부 상에는 제1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및/또는, 제2 축경부 상에는 제2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오존 발생 장치.

Description

오존 발생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차량
본 발명(제1의 본 발명, 제2의 본 발명)은, 오존 발생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외선 램프를 이용한 오존 발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외선 램프로서는, 수은 램프나, 엑시머 램프(예를 들면, 크세논 엑시머 램프)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에바포레이터(증발기)의 하류측에 오존 발생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에어콘의 제균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에바포레이터 표면에서의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2-103959호 공보
<제1의 과제>
그러나, 오존 발생 장치를 진동이 많은 개소(예를 들면, 차량)에 배치하면, 자외선 램프의 파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자외선 램프는, 발광 가스가 봉입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제조 상,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개소가 있다. 그 때문에, 진동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부분에서 특히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제1의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진동 등에 의한 파손의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오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1의 본 발명은, 당해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1의 본 발명은, 당해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2의 과제>
최근, 환경에 대한 배려로 무수은(mercury free)인 것이 추천되고 있다. 또, 엑시머 램프(특히 파장 172nm의 광을 방사하는 크세논 엑시머 램프)는, 파장 185nm 및 254nm의 광을 방사하는 수은 램프와 비교하여 오존 발생 효율이 좋다.
그러나, 엑시머 램프는, 그 구조 상, 전극이 발광관의 외주면 상에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엑시머 램프에 의해 발생시킨 오존이 전극을 산화시킨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오존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장 172nm의 광을 방사하는 엑시머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존 발생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가 현저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 환경에 수분이 많이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면, 공기 조화 장치 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수분과 오존 양자의 존재에 의해, 전극의 산화가 보다 한층 현저해질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오존 발생기로서 자외선등(燈)을 이용했다는 기재가 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만일, 수은 램프를 이용하고 있다면, 무수은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 만일, 엑시머 램프를 이용하고 있다면, 상기와 같이, 오존에 의한 전극의 산화라는 문제가 있다.
제2의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엑시머 램프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오존에 의한 전극의 열화를 저감시킬 수 있는 오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2의 본 발명은, 당해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2의 본 발명은, 당해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의 본 발명>
본 발명자는, 상기 제1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제1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1의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제1의 본 발명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는,
발광 가스가 봉입된 발광관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가지는 엑시머 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관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제1 축경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제2 축경부를 가지고,
제1 전극은,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관은, 상기 원통부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및/또는, 상기 제2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2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축경부, 및, 상기 제2 축경부는, 그 형상적인 이유로 상기 원통부와 비교하여 응력이 집중되기 쉽다. 그래서, 제1의 본 발명에서는, 발광관을, 상기 원통부에서 고정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진동 등에 의한 파손의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발광관과 전극(제1 전극, 제2 전극)의 열팽창율차에 기인하여, 발광관과 전극의 접촉 부분에는 응력이 생기게 된다. 또, 발광관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통하여 상기 원통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경우, 발광관에 있어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접촉하고 있는 개소는, 진동 등의 충격이 전해지기 쉬운 부분이 된다. 그래서, 제1의 본 발명에서는, (1) 상기 제1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을 연장 설치시키지 않는, (2) 상기 제2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2 전극을 연장 설치시키지 않는, 또는, (3) 상기 제1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을 연장 설치시키지 않고, 또한, 상기 제2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2 전극을 연장 설치시키지 않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축경부, 및/또는, 상기 제2 축경부에, 열팽창율차에 기인하는 응력이나, 진동 등의 충격이 전해지기 어려운 구조로 했다. 그 결과, 진동 등에 의한 파손의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엑시머 램프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는 없고, 외주면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엑시머 램프는, 발광관 내에 발광 가스를 봉입하고, 그 후, 외주면에 전극을 설치하면 되며, 제조가 용이하다.
또,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 없고, 발광관의 내부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발광관의 벽면을 관통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엑시머 램프의 신뢰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광관의 내부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면, 고온에 노출되면, 발광관과 배선의 열팽창율차에 기인하여 파손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제1의 본 발명에 관련된 엑시머 램프에 의하면, 발광관의 벽면을 관통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는 생길 수 없다.
또, 상기 엑시머 램프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는 없고, 외주면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엑시머 램프는, 소형인 것을 제조하기 쉽다. 그 결과, 배치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는 개소에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것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제2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2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을 연장 설치시키지 않고, 또한, 상기 제2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2 전극을 연장 설치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상기 제1 축경부, 및, 상기 제2 축경부 양쪽에, 열팽창율차에 기인하는 응력이나, 진동 등의 충격이 전해지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그 결과, 진동 등에 의한 파손의 리스크를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제2 보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보호부는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을 제1 보호부로 덮고, 제2 전극을 제2 보호부로 덮으며,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보호부가 이격되어 있으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보호부(제1 보호부, 제2 보호부)로 덮여, 발광관의 관축 방향 중앙부는 노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광관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크게 차단하지 않고, 전극(제1 전극, 제2 전극)을 보호부(제1 보호부, 제2 보호부)에 의해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존 발생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전극이 오존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 환경에 존재하는 수분이 전극부에 도달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엑시머 램프는, 주발광 파장이 2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발광 파장이 200nm 이하이면, 주발광 파장이 200nm보다 큰 경우와 비교하여 발광관에 흡수되기 쉬워져, 발광관에 변형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축경부(제1 축경부, 및/또는, 제2 축경부)에는, 전극(제1 전극, 및/또는, 제2 전극)을 연장 설치시키고 있지 않다. 그 결과, 파손의 리스크를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주발광 파장이 200nm 이하인 엑시머 램프를 이용하면, 엑시머 램프의 주발광 파장이 200nm 이하이면, 오존 발생량이 많아지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발광 파장이란, 파장 300nm 이하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피크 파장을 말한다. 파장 300nm 이하의 발광 스펙트럼에 있어서 피크가 1개인 경우에는, 그 피크 파장을 주발광 파장이라고 하고, 피크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대 발광 강도가 가장 높은 것의 피크 파장을 주발광 파장이라고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부, 및, 제2 보호부에는, 상기 발광관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호부, 및, 제2 보호부에 상기 발광관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개구에 발광관을 배치시켜, 상기 엑시머 램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와 상기 발광관 사이에, 상기 발광관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제1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보호부(제1 보호부, 제2 보호부)의 개구 부분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광에 의한 개구 부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보호부의 상기 개구 주위, 및, 제2 보호부의 상기 개구 주위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호부의 상기 개구 주위, 및, 제2 보호부의 상기 개구 주위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면, 보호부 내(제1 보호부 내, 및, 제2 보호부 내)에 오존이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발광관을, 개구 주변에 있어서 테이퍼를 포함한 면에서 유지할 수 있어,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보호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2 보호부가 일체적으로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2 보호부가 일체적으로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보호부에서, 상기 엑시머 램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관과 상기 접속부가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관과 상기 접속부가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발광관의 전체 방향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산소에 맞힐 수 있어, 오존의 발생량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발광관과 상기 접속부가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접속부가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관의 단면과,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1 보호부의 내벽 사이, 및, 상기 발광관의 단면과,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보호부의 내벽 사이에,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상기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상기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광에 의한 상기 내벽(상기 제1 보호부, 및, 상기 제2 보호부)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차량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진동 등에 의한 발광관의 파손 리스크가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등이 많이 일어날 수 있는 차량용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소형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스페이스가 한정된 차량용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제1의 본 발명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는,
유로와,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된 상기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증발기의 상류측에 설치된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세균 등을,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시킨 오존에 의해 제균 등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세균 등에 기인하는 악취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진동 등에 의한 발광관의 파손 리스크가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기 등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과 송풍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과 송풍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발광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보다 많은 산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제1의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진동 등에 의한 발광관의 파손 리스크가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도 진동 등에 의한 발광관의 파손 리스크가 저감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진동 등이 많이 일어날 수 있는 차량에 적합하게 탑재된다. 또,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소형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당해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스페이스가 한정된 차량에 적합하게 탑재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과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과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차량 주행 시의 종방향의 흔들림(연직 방향의 흔들림)에 의해, 발광관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제1의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했다.
<제2의 본 발명>
본 발명자는, 상기 제2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제2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2의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제2의 본 발명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는,
발광 가스가 봉입된 발광관과,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 양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전극을 가지는 엑시머 램프와,
상기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보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본 발명에서는, 엑시머 램프로서, 발광관의 관축 방향 양단부의 외주면에 전극을 가지는 엑시머 램프를 이용한다. 그 뿐만 아니라, 상기 전극을 보호부로 덮는다. 그 결과, 보호부로 덮이는 것은, 발광관의 관축 방향 양단부 부분이 되며, 발광관의 관축 방향 중앙부는 노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광관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크게 차단하지 않고, 전극을 보호부에 의해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존 발생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전극이 오존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 환경에 존재하는 수분이 전극부에 도달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엑시머 램프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는 없고, 외주면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엑시머 램프는, 발광관 내에 발광 가스를 봉입하고, 그 후, 외주면에 전극을 설치하면 되며, 제조가 용이하다.
또,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 없고, 발광관의 내부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발광관의 벽면을 관통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엑시머 램프의 신뢰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광관의 내부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면, 고온에 노출되면, 발광관과 배선의 열팽창율차에 기인하여 파손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제2의 본 발명에 관련된 엑시머 램프에 의하면, 발광관의 벽면을 관통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는 생길 수 없다.
또, 상기 엑시머 램프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는 없고, 외주면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엑시머 램프는, 소형인 것을 제조하기 쉽다. 그 결과, 배치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는 개소에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것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에는, 상기 발광관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에 상기 발광관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개구에 발광관을 배치시켜, 상기 엑시머 램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와 상기 발광관 사이에, 상기 발광관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제1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보호부의 개구 부분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광에 의한 개구 부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부의 상기 개구 주위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의 상기 개구 주위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면, 보호부 내에 오존이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발광관을, 개구 주변에 있어서 테이퍼를 포함한 면에서 유지할 수 있어,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한쪽의 상기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제1 보호부와, 다른쪽의 상기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제2 보호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보호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2 보호부가 일체적으로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2 보호부가 일체적으로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보호부에서, 상기 엑시머 램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관과 상기 접속부가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관과 상기 접속부가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발광관의 전체 방향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산소에 맞힐 수 있어, 오존의 발생량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발광관과 상기 접속부가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접속부가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관의 단면과,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에 대향하는, 상기 보호부의 내벽 사이에,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상기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상기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광에 의한 상기 내벽(상기 보호부)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차량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소형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스페이스가 한정된 차량용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제2의 본 발명에 관련된 공기 조화 장치는,
유로와,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된 상기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증발기의 상류측에 설치된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세균 등을, 상기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시킨 오존에 의해 제균 등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세균 등에 기인하는 악취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과 송풍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과 송풍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발광관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보다 많은 산소를 효율적으로 맞힐 수 있다.
또, 제2의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소형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당해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스페이스가 한정된 차량에 적합하게 탑재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과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과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차량 주행 시의 종방향의 흔들림(연직 방향의 흔들림)에 의해, 발광관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제2의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했다.
제1의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등에 의한 파손의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오존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당해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당해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의 본 발명에 의하면, 엑시머 램프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오존에 의한 전극의 열화를 저감시킬 수 있는 오존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당해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당해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나타낸 오존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엑시머 램프의 관축 방향 단면도이며, (b)는, 그 Z-Z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나타낸 엑시머 램프가 구비하는 발광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0에 나타낸 오존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엑시머 램프의 관축 방향 단면도이며, (b)는, 그 Z-Z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제1의 본 발명, 제2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제1의 본 발명」, 「제2의 본 발명」으로 구별하지 않고, 「본 발명」으로 되어 있을 때는, 「제1의 본 발명」, 및, 「제2의 본 발명」 양쪽을 의미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존 발생 장치(10)는, 하우징(12)과, 엑시머 램프(20)를 구비한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낸 오존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엑시머 램프의 관축 방향 단면도이며, 도 3(b)는, 그 Z-Z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나타낸 엑시머 램프가 구비하는 발광관의 정면도이다.
엑시머 램프(20)는, 발광 가스가 봉입된 발광관(22)과,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5)을 가진다.
발광관(22)은, 원통부(30)와, 제1 축경부(33a)와, 제2 축경부(33b)를 가진다(도 4 참조).
원통부(30)는, 단면이 도너츠형인 중공 원통형이고, 한쪽의 끝(도 4에서는 좌단)에 제1 단부(31a)를 가지며, 다른쪽의 끝(도 4에서는 우단)에 제2 단부(31b)를 가진다.
제1 축경부(33a)는, 제1 단부(3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4에서는 좌방향)으로, 제1 단부(31a)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축경부(33a)는, 제1 단부(31a)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고, 단면(34a)으로 닫혀져 있다.
제2 축경부(33b)는, 제2 단부(3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4에서는 우방향)으로, 제2 단부(31b)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축경부(33b)는, 제2 단부(31b)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고, 단면(34b)으로 닫혀져 있다.
또한, 단면(34a), 단면(34b)은 닫혀져 있으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곡면이어도 평면이어도 된다. 또, 닫을 때에 생긴 돌기 등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엑시머 램프(20)가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이용한 엑시머 램프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엑시머 램프는, 엑시머로부터의 광을 출사하는 램프이면 되고,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관(22)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광 가스로서는, 산소에 조사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파장의 광을 출사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 가스로서는, 크세논(출사 파장: 172nm), 염화 크립톤(출사 파장: 222nm), 브롬화 크립톤(출사 파장: 207nm) 등을 들 수 있다.
발광 가스의 봉입 방법의 일례로서, 우선, 단면이 도너츠형이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형의 통을 준비한다. 다음에, 상기 통의 한쪽의 끝을 열 용융에 의해 닫는다. 이것에 의해, 축경부가 얻어진다. 다음에, 한쪽의 끝이 닫혀진 상기 통 내를 감압하여(바람직하게는, 진공으로 하여), 상기 통 내에 발광 가스를 도입한다. 그 후, 신속하게 상기 통의 다른쪽의 끝을 열 용융에 의해 닫는다. 이상에 의해, 발광 가스를 발광관(22) 내에 봉입할 수 있다.
제1 전극(24)은, 제1 단부(31a)의 외주면에 설치된 전극 본체부(41)와, 전극 본체부(41)로부터 연신한 연신부(42)를 가진다. 전극 본체부(41)와 연신부(42)는 동일 재료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신부(42)는, 제1 단부(31a)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극 본체부(41)로부터 연신하고 있다. 연신부(42)는, 후술하는 전장체(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전극(25)은, 제2 단부(31b)의 외주면에 설치된 전극 본체부(43)와, 전극 본체부(43)로부터 연신한 연신부(44)를 가진다. 전극 본체부(43)와 연신부(44)는 동일 재료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신부(44)는, 제2 단부(31b)의 외주면 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극 본체부(43)로부터 연신하고 있다. 연신부(44)는, 후술하는 전장체(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 본체부(41) 및 전극 본체부(4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이면, 보다 적합하게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극 본체부의 형상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단면 C자형이나 코일형을 들 수 있다.
전극 본체부(41) 및 전극 본체부(43)가 발광관(22)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면적으로서는, 시동성(始動性)의 관점에서,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본체부(41)는, 제1 축경부(33a) 상에는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제1 전극(24)은, 발광관(22)의 원통부(30)에만 접하고 있으며, 제1 축경부(33a)에는 접하고 있지 않다. 또, 전극 본체부(43)는, 제2 축경부(33b) 상에는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제2 전극(25)은, 발광관(22)의 원통부(30)에만 접하고 있으며 제2 축경부(33b)에는 접하고 있지 않다.
연신부(42) 및 연신부(44)는, 재질이나 두께 등이 조정되어 있어, 발광관(22)의 중량에 견디며, 자립 가능하다. 즉, 발광관(22)은, 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5)을 통하여 전장체(36)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전극(24), 제2 전극(25)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온에서의 내산화성이나 내열 충격성의 관점에서, 스테인리스, 칸탈(kanthal)(철크롬 합금)이 바람직하다.
엑시머 램프(20)에서는, 제1 전극(24), 제2 전극(25) 간에 교류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발광관(22) 내의 공간(28)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이 유기(誘起)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발광 가스가 여기되고, 엑시머 상태가 되어, 엑시머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기저 상태)로 되돌아올 때에, 그 엑시머 특유의 스펙트럼을 발광(엑시머 발광)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10)에 있어서는, 발광관(22)은, 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5)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광관(22)에 있어서, 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5)과 접촉하고 있는 개소는, 진동 등의 충격이 전해지기 쉬운 부분이 된다. 여기서 제1 축경부(33a), 및, 제2 축경부(33b)는, 그 형상적인 이유로 원통부(30)와 비교하여 응력이 집중되기 쉽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축경부(33a) 상에는 제1 전극(24)을 연장 설치시키지 않고, 또한, 제2 축경부(33b) 상에는 제2 전극(25)을 연장 설치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제1 축경부(33a), 및, 제2 축경부(33b)에, 진동 등의 충격이 전해지기 어려운 구조로 했다. 그 결과, 진동 등에 의한 파손의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원통부(30)와 제1 축경부(33a)와 제2 축경부(33b)는, 통상, 동일 재료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축경부(33a) 및 제2 축경부(33b)는, 용융에 의해 닫혀져 있다. 제1 축경부(33a) 및 제2 축경부(33b)가 용융에 의해 닫혀져 있기 때문에, 제조 상의 이유에 의해, 제1 축경부(33a)의 두께나 제2 축경부(33b)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원통부(30)의 단부(제1 단부(31a), 제2 단부(31b))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균일하게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제1 축경부(31a) 및 제2 축경부(31b)는, 특히,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개소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대로, 제1 축경부(33a), 및, 제2 축경부(33b)에, 진동 등의 충격이 전해지기 어려운 구조로 했다. 그 결과, 진동 등에 의한 파손의 리스크를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엑시머 램프(20)는, 주발광 파장이 2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엑시머 램프(20)의 주발광 파장을 200nm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발광 가스를 적절히 선택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엑시머 램프(20)의 주발광 파장이 200nm 이하이면, 오존 발생량이 많아지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 엑시머 램프(20)의 주발광 파장이 200nm 이하이면, 주발광 파장이 200nm보다 큰 경우와 비교하여 발광관(22)에 흡수되기 쉬워져, 발광관(22)에 변형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10)에 의하면,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축경부(제1 축경부(33a), 및, 제2 축경부(33b))에는, 전극(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5))을 연장 설치시키고 있지 않다. 그 결과, 파손의 리스크를 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엑시머 램프(20)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는 없고, 외주면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엑시머 램프(20)는, 발광관(22) 내에 발광 가스를 봉입하고, 그 후, 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5)을 설치하면 되며, 제조가 용이하다.
또, 엑시머 램프(20)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 없고, 발광관의 내부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발광관(22)의 벽면을 관통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엑시머 램프(20)의 신뢰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엑시머 램프(20)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는 없고, 외주면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엑시머 램프(20)는, 소형인 것을 제조하기 쉽다. 소형화가 용이한 관점에서, 엑시머 램프(20)의 각 치수로서는, 관축 방향의 전체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10~15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mm, 더 바람직하게는 10~50mm이다. 또, 전극간 거리가, 바람직하게는 3~13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80mm, 더 바람직하게는 3~30mm이다. 또한, 상기의 전극간 거리란, 각 전극의 가장 가까운 부분들의 거리를 말한다. 또, 원통형인 경우, 외경이 바람직하게는 3~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mm, 더 바람직하게는 3~10mm이다. 또, 발광관(22)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1~2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mm, 더 바람직하게는 0.1~0.5mm이다.
또한, 엑시머 램프(20)의 각 치수는, 특별히 소형화할 필요가 없는 등의 경우에는, 상기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전극간 거리가 커지면 발광관(22) 내에서 절연 파괴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인가 전압과의 균형을 맞추어 각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2)은 U자형이다. 하우징(12)은, 제1 전극(24)을 덮도록 설치된 제1 보호부(14a)와, 제2 전극(25)을 덮도록 설치된 제2 보호부(14b)를 가진다. 또, 하우징(12)은, 제1 보호부(14a)와 제2 보호부(14b)를 접속하는 접속부(16)를 가진다. 즉, 하우징(12)은, 제1 보호부(14a)와 접속부(16)와 제2 보호부(14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U자형의 하우징(12)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1 보호부(14a)와 제2 보호부(14b)는 이격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10)에서는, 제1 전극(24)을 제1 보호부(14a)로 덮고, 제2 전극(25)을 제2 보호부(14b)로 덮고, 제1 보호부(14a)와 제2 보호부(14b)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극(24)과 제2 전극(25)은 보호부(14)(제1 보호부(14a), 제2 보호부(14b))로 덮여, 발광관(22)의 관축 방향 중앙부는 노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광관(22)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크게 차단하지 않고, 전극(제1 전극(24), 제2 전극(25))을 보호부(14)(제1 보호부(14a), 제2 보호부(14b))에 의해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존 발생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전극이 오존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 환경에 존재하는 수분이 전극부에 도달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보호부(14)(제1 보호부(14a), 제2 보호부(14b))에는, 발광관(22)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14)에 발광관(22)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1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18)에 발광관(22)을 배치시킬 수 있다. 또, 개구(18)는, 발광관(22)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이기 때문에, 하우징(12) 밖에서 발생한 오존이 최대한, 하우징(12)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관(22)과 접속부(16)는 이격되어 있으며, 발광관(22)과 접속부(16) 사이에 통풍 영역(32)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관(22)과 접속부(16)가 이격되고, 통풍 영역(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발광관(22)의 전체 방향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산소에 맞힐 수 있어, 오존의 발생량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 발광관(22)과 접속부(16)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16)가 발광관(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통풍 영역(32)에 있어서 발광관(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산소에 맞아, 상기 광이 약해지기 때문에, 접속부(16)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발광관(22)과 접속부(16)의 이격 거리로서는, 접속부(16)의 열화 방지, 및, 오존 발생량 증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이다. 또, 상기 이격 거리는, 오존 발생 장치(10)의 소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이다. 또한, 발광관과 접속부의 이격 거리란, 발광관과 접속부의 가장 가까운 부분들의 거리를 말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2) 내에는, 인버터 등의 엑시머 램프에 급전하기 위한 전장체(36)가 수용되어 있다. 전장체(36)에는, 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5)이 직접 접속되어, 전장체(36)에 제1 전극(24) 및 제2 전극(25)이 고정되어 있다.
전장체(36)가 하우징(12)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전장체(36)가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장체(36)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2)의 내면에는, 종래 공지의 전자파 쉴드층(예를 들면, 전자파 쉴드용의 필름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오존 발생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축경부(33a) 상에는 제1 전극(24)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2 축경부(33b) 상에는 제2 전극(25)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즉, 제1 축경부와 제2 축경부 양쪽에 대해서,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축경부와 제2 축경부 중, 어느 한쪽의 축경부 상에는,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의 축경부 상에는,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축경부에 있어서, 파손의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발광관에 발광 가스를 봉입할 때에, 마지막에 닫는 측의 축경부를 제2 축경부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제2 축경부는, 제조 상의 이유로, 제1 축경부와 비교하여 두께가 불균일해지기 쉽고, 균일하게 직경을 작게 하는 것도 곤란하다. 그 때문에, 제2 축경부는, 제1 축경부와 비교하여, 파손되기 쉬운 개소가 된다. 그래서, 제1 축경부와 제2 축경부 중, 어느 한쪽의 축경부 상에는,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의 축경부 상에는,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2 축경부 상에 제2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50)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구성이 상이한 점, 제1 전극과 전장체를 접속하는 방법이 상이한 점, 제2 전극과 전장체를 접속하는 방법이 상이한 점, 및, 고정 부재(58)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오존 발생 장치(10)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10)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50)는, 하우징(12)과, 엑시머 램프(52)를 구비한다. 하우징(12)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엑시머 램프(52)는, 발광 가스가 봉입된 발광관(22)과, 제1 전극(54)과, 제2 전극(55)을 가진다. 발광관(22)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전극(54)은, 제1 단부(31a)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전극(55)은, 제2 단부(31b)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전극(54), 제2 전극(55)에는, 제1 전극(24), 제2 전극(25)과 같은 연신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1 전극(54) 및 제2 전극(5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이면, 보다 적합하게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전극(54) 및 제2 전극(55)의 형상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단면 C자형이나 코일형을 들 수 있다.
제1 전극(54) 및 제2 전극(55)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온에서의 내산화성이나 내열 충격성의 관점에서, 스테인리스, 칸탈(철크롬 합금)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54)과 전장체(36)는, 배선(5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전극(55)과 전장체(36)는, 배선(5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호부(14)(제1 보호부(14a), 제2 보호부(14b)) 내에는, 제1 축경부(33a) 및 제2 축경부(33b)에 접촉하지 않는 양태로, 고정 부재(58)가 충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관(22)은, 전극(제1 전극(24), 제2 전극(25))과 고정 부재(58)를 통하여 하우징(12)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 고정 부재(58)는,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제1 축경부(33a) 및 제2 축경부(33b)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파손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고정 부재(58)로서는, 전극(제1 전극, 제2 전극)을, 오존 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부재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무기계 접착제나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오존 발생 장치(50)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부재(58)가 보호부(14)에만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보호부(14) 이외의 개소(예를 들면, 접속부(16))에도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관(22)의 축경부(제1 축경부(33a), 제2 축경부(33b))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고정 부재(58)를 배치하지 않고, 축경부로부터의 광이 직접적으로 보호부의 내벽에 도달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축경부와 보호부의 내벽 사이에도, 축경부에 접촉하지 않는 양태로, 고정 부재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발광관의 축경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보호부의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어, 상기 광에 의한 상기 내벽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부재(58)가 전극(제1 전극(54), 제2 전극(55)) 뿐만이 아니라, 발광관(22)에도 접촉하는 양태로 보호부(14) 내에 충전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부재는, 전극에만 접촉하고 있고, 발광관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는 양태로 보호부 내에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또, 고정 부재는, 제1 전극, 제2 전극 중, 한쪽의 전극에만 접촉하고 있고, 다른쪽의 전극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는 양태로 보호부 내에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고정 부재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면, 발광관을 오존 발생 장치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광관의 고정은, 오존 발생 장치(10)와 같이, 전극(제1 전극, 제2 전극)을 통하여 직접 고정되어 있어도 되며, 오존 발생 장치(50)와 같이, 전극과 또 다른 부재(예를 들면, 고정 부재(56))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관의 원통부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광관이 원통부에서 고정되어 있으면 되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하여 고정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발광관의 원통부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60)는, 고정 부재(62)가 전극(제1 전극(54), 제2 전극(55))에 접촉하지 않는 양태로 보호부(14)(제1 보호부(14a), 제2 보호부(14b)) 내에 충전되어 있다. 즉, 오존 발생 장치(60)에 있어서는, 발광관(52)의 원통부(30)가, 고정 부재(62)를 통하여 하우징(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60)는, 상기 점을 제외하고는, 오존 발생 장치(50)와 공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50)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65)는, 고정 부재가 보호부(14)(제1 보호부(14a), 제2 보호부(14b)) 내에 충전되어 있지 않다. 즉, 오존 발생 장치(65)에 있어서는, 발광관(52)의 원통부(30)가, 개구(18)를 통하여 하우징(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65)는, 상기 점을 제외하고는, 오존 발생 장치(50)와 공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50)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오존 발생 장치가 하우징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오존 발생 장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하, 이 예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70)는, 하우징을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오존 발생 장치(50)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50)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70)는, 엑시머 램프(52)를 구비한다. 엑시머 램프(52)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엑시머 램프(52)는, 오존을 발생시키고 싶은 공간(74)에 발광관(22)이 노출되도록, 설치 대상(72) 상에 고정되어 있다. 엑시머 램프의 설치 대상(72)에 대한 고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극(제1 전극(54), 제2 전극(55))을 접착제 등으로 설치 대상(72)에 고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설치 대상(72)의 공간(74)과는 반대측의 공간(76)에는, 전장체(3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전극(54)과 전장체(36)는, 설치 대상(72)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된 배선(5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전극(55)과 전장체(36)는, 설치 대상(72)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된 배선(5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존 발생 장치는, 하우징을 구비하지 않고, 엑시머 램프와, 전장체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설치 대상(72)으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80)의 공기 조절 덕트(82)의 벽면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엑시머 램프(52)는, 공기 조절 덕트(82) 내에 배치하고, 전장체(36)는, 예를 들면, 공기 조절 덕트(82) 밖에 배치하면 된다.
다음에,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80)는, 공기 조절 덕트(82)를 가지고 있으며, 공기 조절 덕트(82) 내에 유로(84)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조절 덕트(82)의 입구에는, 외기(外氣) 흡입 모드와 내기 순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인테이크 도어(92)가 설치되어 있다.
인테이크 도어(92)의 하류측에는, 차 밖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86)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86)에 의해 화살표(94) 방향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송풍기(86)의 하류에는 송풍기(86)로부터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에바포레이터)(88)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88)의 하류에는 에어 믹스 도어(96)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믹스 도어(96)는, 증발기(88)를 통과한 공기를 그대로 캐빈 내에 도입하는지, 또는, 히터(90)를 통과한 후에 캐빈 내에 도입하는지를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 믹스 도어(96)의 하류에는 증발기(88)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90)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86)와 증발기(88) 사이(증발기(88)보다 상류측)에는, 오존 발생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10)는, 발광관(22)의 관축 방향과 송풍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10)가, 발광관(22)의 관축 방향과 송풍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보다 많은 산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공기 조절 덕트(82)의 출구측(도 9에서는 우측)의 상부에는 디프로스터 노즐(98), 중앙에는 벤트 취출(吹出) 노즐(100), 하부(아래쪽)에는 히터 취출 노즐(102)이 설치되어 있다. 각 노즐(98, 100, 102)에는 모드 도어(98a, 100a, 102a)가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10)는, 진동 등에 의한 발광관(22)의 파손 리스크가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오존 발생 장치(10)를 구비하는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80)도 진동 등에 의한 발광관의 파손 리스크가 저감되어 있다. 그 결과,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80)는, 진동 등이 많이 일어날 수 있는 차량에 적합하게 탑재된다. 또,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80)에 의하면, 증발기(88) 표면에서 발생한 세균 등을, 오존 발생 장치(10)에 의해 발생시킨 오존에 의해 제균 등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세균 등에 기인하는 악취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80)의 유로(84) 내에,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송풍기(86), 증발기(88), 히터(90), 오존 발생 장치(1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세균 등을, 오존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시킨 오존에 의해 제균 등을 할 수 있다면, 배치 순서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증발기에 부착된 세균이나 악취 물질 등을 효율적으로 오존으로 제균, 분해 등 할 수 있는 관점에서, 오존 발생 장치는, 증발기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가, 차재용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용도는 차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오존 발생 장치는, 진동 등에 의한 발광관의 파손 리스크가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기 등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는 모든 용도의 공기 조화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은, 공기 조화 장치(80)를 구비한다. 공기 조화 장치(80)는, 오존 발생 장치(10)가, 차량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과 발광관(22)의 관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과 발광관(22)의 관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주행 시의 종방향의 흔들림(연직 방향의 흔들림)에 의해, 발광관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량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오존 발생 장치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오존 발생 장치(10)는, 소형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오존 발생 장치(10)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80)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 조화 장치(80)는, 스페이스가 한정된 차량에 적합하게 탑재된다.
이상,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제2 실시 형태>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존 발생 장치(210)는, 하우징(212)과, 엑시머 램프(220)를 구비한다.
도 12(a)는, 도 10에 나타낸 오존 발생 장치가 구비하는 엑시머 램프의 관축 방향 단면도이며, 도 12(b)는, 그 Z-Z 단면도이다.
엑시머 램프(220)는, 발광 가스가 봉입된 발광관(222)과, 발광관(222)의 관축 방향 양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전극(224)(전극(224a), 전극(224b))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엑시머 램프(220)가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이용한 엑시머 램프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엑시머 램프는, 엑시머로부터의 광을 출사하는 램프이면 되고,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관(222)의 형상으로서는, 내부가 밀폐된 관형이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양단이 봉지된 원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관(222)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광 가스로서는, 산소에 조사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파장의 광을 출사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 가스로서는, 크세논(출사 파장: 172nm), 염화 크립톤(출사 파장: 222nm), 브롬화 크립톤(출사 파장: 207nm) 등을 들 수 있다.
전극(2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관(222)의 관축 방향 양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극(224)은, 발광관(222)의 원통 부분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이면, 보다 적합하게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극의 형상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단면 C자형이나 코일형을 들 수 있다.
전극(224)이 발광관(222)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면적으로서는, 시동성의 관점에서,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관(222)의 단면(226)에는, 전극(2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관의 단부에는 강도가 약한 개소가 있기 때문이다.
전극(224)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온에서의 내산화성이나 내열 충격성의 관점에서, 스테인리스, 칸탈(철크롬 합금)이 바람직하다.
엑시머 램프(220)에서는, 전극(224) 간에 교류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발광관(222) 내의 공간(228)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이 유기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발광 가스가 여기되고, 엑시머 상태가 되어, 엑시머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기저 상태)로 되돌아올 때에, 그 엑시머 특유의 스펙트럼을 발광(엑시머 발광)시킨다.
엑시머 램프(220)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는 없고, 외주면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엑시머 램프(220)는, 발광관(22) 내에 발광 가스를 봉입하고, 그 후, 외주면에 전극(224)을 설치하면 되며, 제조가 용이하다.
또, 엑시머 램프(220)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 없고, 발광관의 내부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발광관(222)의 벽면을 관통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엑시머 램프(220)의 신뢰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엑시머 램프(220)는, 전극이 발광관의 내부에는 없고, 외주면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엑시머 램프(220)는, 소형인 것을 제조하기 쉽다. 소형화가 용이한 관점에서, 엑시머 램프(220)의 각 치수로서는, 관축 방향의 전체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10~15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mm, 더 바람직하게는 10~50mm이다. 또, 전극간 거리가, 바람직하게는 3~13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80mm, 더 바람직하게는 3~30mm이다. 또한, 상기의 전극간 거리란, 각 전극의 가장 가까운 부분들의 거리를 말한다. 또, 원통형인 경우, 외경이 바람직하게는 3~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mm, 더 바람직하게는 3~10mm이다. 또, 발광관(222)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1~2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mm, 더 바람직하게는 0.1~0.5mm이다.
또한, 엑시머 램프(220)의 각 치수는, 특별히 소형화할 필요가 없는 등의 경우에는, 상기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전극간 거리가 커지면 발광관(222) 내에서 절연 파괴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인가 전압과의 균형을 맞추어 각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12)은 U자형이다. 하우징(212)은, 한쪽의 전극(224)(전극(224a))을 덮도록 설치된 제1 보호부(214a)와, 다른쪽의 전극(224)(전극(224b))을 덮도록 설치된 제2 보호부(214b)를 가진다. 또, 하우징(212)은, 제1 보호부(214a)와 제2 보호부(214b)를 접속하는 접속부(216)를 가진다. 즉, 하우징(212)은, 제1 보호부(214a)와 접속부(216)와 제2 보호부(214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U자형의 하우징(212)을 구성하고 있다.
오존 발생 장치(210)에서는, 엑시머 램프(220)로서, 발광관(222)의 관축 방향 양단부의 외주면에 전극(224)을 가지는 엑시머 램프를 이용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전극(224)을 보호부(214)(제1 보호부(214a), 제2 보호부(214b))로 덮는다. 그 결과, 보호부(214)로 덮이는 것은, 발광관(222)의 관축 방향 양단부 부분이 되며, 발광관(222)의 관축 방향 중앙부(230)는 노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광관(222)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크게 차단하지 않고, 전극(224)을 보호부(214)에 의해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존 발생 효율을 높게 유지하면서, 전극(224)이 오존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 환경에 존재하는 수분이 전극부에 도달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또, 오존 발생 장치(210)에서는, 제1 보호부(214a)와 접속부(216)와 제2 보호부(214b)가 일체적으로 하우징(21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보호부(214a)와 제2 보호부(214b)에서, 엑시머 램프(22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보호부(214)(제1 보호부(214a), 제2 보호부(214b))에는, 발광관(222)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218)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214)에 발광관(222)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21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218)에 발광관(222)을 배치시켜, 엑시머 램프(220)를 유지할 수 있다. 또, 개구(218)는, 발광관(222)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이기 때문에, 하우징(212) 밖에서 발생한 오존이 최대한, 하우징(212)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관(222)과 접속부(216)는 이격되어 있으며, 발광관(222)과 접속부(216) 사이에 통풍 영역(232)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관(222)과 접속부(216)가 이격되고, 통풍 영역(2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2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발광관(222)의 전체 방향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산소에 맞힐 수 있어, 오존의 발생량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 발광관(222)과 접속부(216)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216)가 발광관(2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통풍 영역(232)에 있어서 발광관(2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산소에 맞아, 상기 광이 약해지기 때문에, 접속부(216)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발광관(222)과 접속부(216)의 이격 거리로서는, 접속부(216)의 열화 방지, 및, 오존 발생량 증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이다. 또, 상기 이격 거리는, 오존 발생 장치(210)의 소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이다. 또한, 발광관과 접속부의 이격 거리란, 발광관과 접속부의 가장 가까운 부분들의 거리를 말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2) 내에는, 인버터 등의 엑시머 램프에 급전하기 위한 전장체(236)가 수용되어 있다. 전장체(236)와 엑시머 램프(220)의 전극(224)은, 배선(234)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장체(236)가 하우징(212)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전장체(236)가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장체(236)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212)의 내면에는, 종래 공지의 전자파 쉴드층(예를 들면, 전자파 쉴드용의 필름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오존 발생 장치(210)에 대해서 설명했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240)는, 제1 차광 부재(242)가 설치되어 있는 점, 및, 제2 차광 부재(244)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오존 발생 장치(210)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210)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240)는, 개구(218)와 발광관(222) 사이에, 발광관(222)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제1 차광 부재(24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차광 부재(24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2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보호부(214)의 개구(218) 부분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광에 의한 개구(218) 부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242)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광관(2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예를 들면, 자외선)에 대해서 열화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242)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이면, 개구(218) 부분 전체를 덮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오존 발생 장치(240)는, 발광관(222)의 단면(226)과 발광관(222)의 단면(226)에 대향하는, 보호부(214)의 내벽(215)에, 제2 차광 부재(24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차광 부재(24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222)의 단면(226)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내벽(215)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광에 의한 내벽(215)(보호부(214))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244)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차광 부재(242)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차광 부재(244)가 보호부(214)의 내벽(215)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차광 부재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관의 단면과 보호부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발광관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되며, 발광관의 단면과 보호부의 내벽 사이의 공간이 제2 차광 부재로 충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 오존 발생 장치(240)에 대해서 설명했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오존 발생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하우징의 앞쪽 절반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260)는, 보호부의 개구 주위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오존 발생 장치(210)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 공통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오존 발생 장치(210)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장치(260)는, 보호부(214)의 개구(218) 주위에, 테이퍼(262)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262)는, 보호부(21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별체로서 보호부(214)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부(214)의 개구(218) 주위에, 테이퍼(2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부(214) 내에 오존이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발광관(222)을, 개구(218) 주변에 있어서 테이퍼(262)를 포함한 면에서 유지할 수 있어,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오존 발생 장치(260)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보호부가 하우징의 일부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즉, 전극이 하우징의 일부인 보호부에 의해 덮여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호부는, 하우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부는, 전극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것이어도 된다. 즉, 상기 보호부는,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경화 후의 접착제여도 된다.
다음에, 오존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로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80)(도 9 참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80)에 있어서, 오존 발생 장치(10) 대신에,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오존 발생 장치(210) 등으로 치환한 것을 들 수 있다.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으로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차량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차량에 있어서, 오존 발생 장치(10) 대신에,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오존 발생 장치(210) 등으로 치환한 것을 들 수 있다. 차량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제1의 본 발명, 제2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제1의 본 발명, 제2의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제1의 본 발명, 제2의 본 발명)의 구성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50, 60, 65, 70 오존 발생 장치 12 하우징
14 보호부(제1 보호부(14a), 제2 보호부(14b))
16 접속부 18 개구
20 엑시머 램프 22 발광관
24 제1 전극 25 제2 전극
28 공간 30 원통부
31a 제1 단부 31b 제2 단부
33a 제1 축경부 33b 제2 축경부
34a, 34b 단면 32 통풍 영역
36 전장체 41 전극 본체부
42 연신부 43 전극 본체부
44 연신부 72 설치 대상
74 공간
80 차재용 공기 조화 장치 84 유로
86 송풍기 88 증발기
90 히터
210, 240, 260 오존 발생 장치 212 하우징
214 보호부(제1 보호부(214a), 제2 보호부(214b))
215 내벽 216 접속부
218 개구 220 엑시머 램프
222 발광관
224 전극(전극(224a), 전극(224b)) 226 단면
228 공간 230 중앙부
232 통풍 영역 234 배선
236 전장체 242 제1 차광 부재
244 제2 차광 부재 262 테이퍼

Claims (15)

  1. 발광 가스가 봉입된 발광관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가지는 엑시머 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관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제1 축경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제2 축경부를 가지고,
    제1 전극은,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관은, 상기 원통부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및/또는, 상기 제2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2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1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제2 축경부 상에는 상기 제2 전극이 연장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전극을 덮도록 설치된 제2 보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보호부는,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엑시머 램프는, 주발광 파장이 2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부, 및, 제2 보호부에는, 상기 발광관의 관직경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구와 상기 발광관 사이에, 상기 발광관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제1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부의 상기 개구 주위, 및, 제2 보호부의 상기 개구 주위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제2 보호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보호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2 보호부가 일체적으로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과 상기 접속부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단면(端面)과,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1 보호부의 내벽 사이, 및, 상기 발광관의 단면과,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보호부의 내벽 사이에, 상기 발광관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상기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 장치.
  12. 유로와,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유로 내에 설치된 청구항 1에 기재된 오존 발생 장치와,
    상기 증발기의 상류측에 설치된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과 송풍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 장치가,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과 상기 발광관의 관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97026129A 2018-04-02 2019-03-08 오존 발생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차량 KR102218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0761A JP6717336B2 (ja) 2018-04-02 2018-04-02 オゾン発生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
JPJP-P-2018-070761 2018-04-02
JP2018070759A JP6717335B2 (ja) 2018-04-02 2018-04-02 オゾン発生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
JPJP-P-2018-070759 2018-04-02
PCT/JP2019/009275 WO2019193922A1 (ja) 2018-04-02 2019-03-08 オゾン発生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585A KR20190117585A (ko) 2019-10-16
KR102218599B1 true KR102218599B1 (ko) 2021-02-22

Family

ID=6810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129A KR102218599B1 (ko) 2018-04-02 2019-03-08 오존 발생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39051B2 (ko)
EP (1) EP3613702B1 (ko)
KR (1) KR102218599B1 (ko)
CN (1) CN110557944B (ko)
WO (1) WO2019193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7417B2 (ja) 2020-09-10 2023-12-1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殺菌脱臭装置
JP6947271B1 (ja) * 2020-09-29 2021-10-1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不活化装置
US20230294989A1 (en) * 2022-03-21 2023-09-21 13482073 Canada Inc. Method and system for ozone gene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913A (ja) 1999-12-27 2001-07-03 Gold King Kk 励起原子酸素発生装置
JP2002103959A (ja) 2000-10-03 2002-04-09 Isuzu Motors Ltd 自動車用エアコンの除菌装置
JP2005149999A (ja) 2003-11-19 2005-06-09 Ushio Inc エキシマランプ
WO2017082380A1 (ja) 2015-11-13 2017-05-1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脱臭方法および脱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3182A (ja) * 1997-02-10 1998-08-21 Stanley Electric Co Ltd 蛍光ランプ
JP2001052653A (ja) * 1999-08-05 2001-02-23 Toshiba Corp 紫外線発生装置
EP2302662B1 (en) * 2008-05-30 2013-03-27 Asahi Glass Company, Limited Fluorescent lamp
US8663569B2 (en) * 2010-12-21 2014-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Ozone generating apparatus
JP5892754B2 (ja) * 2011-09-22 2016-03-23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エキシマランプおよび放電ランプの点灯方法
JP2014182916A (ja) * 2013-03-19 2014-09-29 Ushio Inc 蛍光エキシマランプおよび流体処理装置
TWI622082B (zh) * 2013-10-04 2018-04-21 Orc Manufacturing Co Ltd Excimer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365096B2 (ja) * 2014-08-07 2018-08-0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紫外線照射式オゾン生成装置
JP6428196B2 (ja) * 2014-11-25 2018-11-2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放電ランプ装置
JP6070794B1 (ja) * 2015-08-26 2017-02-0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オゾン発生器
JP6564663B2 (ja) * 2015-09-29 2019-08-21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エキシマランプ装置
JP6778003B2 (ja) * 2016-03-24 2020-10-28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オゾン生成装置及びオゾン処理装置
JP6694595B2 (ja) * 2016-08-02 2020-05-2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オゾン発生装置
JP6693331B2 (ja) * 2016-08-05 2020-05-1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オゾン発生器
JP6288568B2 (ja) * 2016-08-09 2018-03-07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オゾン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913A (ja) 1999-12-27 2001-07-03 Gold King Kk 励起原子酸素発生装置
JP2002103959A (ja) 2000-10-03 2002-04-09 Isuzu Motors Ltd 自動車用エアコンの除菌装置
JP2005149999A (ja) 2003-11-19 2005-06-09 Ushio Inc エキシマランプ
WO2017082380A1 (ja) 2015-11-13 2017-05-1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脱臭方法および脱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57944A (zh) 2019-12-10
EP3613702A1 (en) 2020-02-26
WO2019193922A1 (ja) 2019-10-10
CN110557944B (zh) 2023-04-14
KR20190117585A (ko) 2019-10-16
US20210009416A1 (en) 2021-01-14
EP3613702A4 (en) 2020-05-27
EP3613702B1 (en) 2021-07-28
US11339051B2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599B1 (ko) 오존 발생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차량
US8253332B2 (en) Excimer lamp
KR20080092530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50128447A (ko) 이오나이저와 uv 램프가 일체화된 공기청정기용 모듈
US20080134899A1 (en) Air treatment system
JP7346687B2 (ja) 放電ランプおよびオゾン生成方法
JP6717335B2 (ja) オゾン発生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
KR1017176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KR20080099026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6717336B2 (ja) オゾン発生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
JP3916887B2 (ja) 照明装置
KR1009144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1405400B1 (ko) 유지 디스크를 갖는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
KR20190115410A (ko) 엑시머 램프, 광조사 장치, 및, 오존 발생 장치
US20040042225A1 (en) Vehicle interior lighting assembly
JP7386074B2 (ja) エキシマランプおよびエキシマランプの管内設置方法
JP2016146295A (ja) エキシマランプ
JP2016139463A (ja) エキシマランプ
KR1009144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4450034B (zh) 表面辐照装置
JP2004337723A5 (ko)
JP4573027B2 (ja) エキシマランプ点灯装置
KR20220155084A (ko) 엑시머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조사 장치
JPH11102667A (ja) 無電極放電ランプ
JP3139104U (ja) 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