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416B1 -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416B1
KR100914416B1 KR1020070035926A KR20070035926A KR100914416B1 KR 100914416 B1 KR100914416 B1 KR 100914416B1 KR 1020070035926 A KR1020070035926 A KR 1020070035926A KR 20070035926 A KR20070035926 A KR 20070035926A KR 100914416 B1 KR100914416 B1 KR 10091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air conditioning
anion
ion generator
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532A (ko
Inventor
김재호
박하영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4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입되는 습기로 인해 발생하는 이온발생기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소음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음, 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며, 이온발생기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은, 내부통로의 천정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서로 다른 돌출길이를 가지면서 돌출되며, 양이온 방전전극이, 음이온 방전전극보다 중력방향 하부를 향해 더 긴 돌출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의 돌출길이를 각기 다르게 하여 양자의 간격을 서로 이격시키므로, 양쪽 전극 간의 수분 유동과 그에 따른 통전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전현상으로 인한 스파크 현상과 방전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IONIZ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입되는 습기로 인해 발생하는 이온발생기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이 설치된다. 공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0)에는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도입구(12)와, 내기를 도입하는 내기도입구(14) 및, 이들 내, 외기도입구(12, 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인테이크 도어(15)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송풍기(20)를 구비한다. 송풍기(2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면서 외기도입구(12) 또는 내기도입구(14)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6)로 송풍한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6)에 설치되는 증발기(30)를 구비한다. 증발기(30)는,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다수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내부통로(16)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를 냉방시킨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내부통로(16)의 공기에 음/양이온(Ion)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한다.
이온발생기(40)는,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본체(42)와, 본체(42)로부터 내부통로(16)를 향해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구비한다.
특히,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은,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6)의 공기 중에 직접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온발생기(40)는, 음,양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음,양이온 입자가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 및,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시스템은, 도입된 공기의 습도가 높을 경우, 공기속에 포함된 수분 때문에 이온발생기(40)의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에 수분이 응축되고, 응축된 수분 때문에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이 상호 통전되면서 스파크(Spark)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양이온 방전전극(48)에 응축된 수분은, 양이온 방전전극(48)과 음이온 방전전극(46)의 전위차로 인해 음이온 방전전극(46)으로 끌려가면서 양쪽의 전극(46, 48)을 서로 통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통전 현상 때문에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상호간의 스파크 현상은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방전소음이 심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간에 발생된 방전소음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탑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고 승차감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습기로 인한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 상호간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기로 인한 방전전극 상호간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소음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음, 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은, 서로 다른 돌출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은, 상기 내부통로의 천정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이,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보다 중력방향을 향해 더 긴 돌출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은, 끝부분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벌어지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이온발생기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온발생기(40)는,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본체(42)를 구비한다. 본체(42)는, 공조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구비한다.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은, 공조케이스(10)의 상면을 관통하여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6)의 공기 중에 직접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온발생기(40)는, 음,양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음,양이온 입자가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 및,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은, 각기 다른 형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음이온 방전전극(46)은 브러시(Brush) 타입이고, 양이온 방전전극(48)은 니들(Needle) 타입으로 구성된다. 이는, 음이온 방전전극(46)이 대량의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양이온 방전전극(48)이 소량의 양이온을 방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특징부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이온발생기(40)는, 본체(42)로부터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구비하되, 이들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 각각은, 본체(42)로부터 서로 다른 돌출길이(ℓ)(L)를 갖는다.
특히,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 각각이, 서로 다른 돌출길이(ℓ)(L)를 가짐으로써,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의 끝부분이 서로에 대해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서로 이격된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이, 비교적 먼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이온발생기(40)에 의하면,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이 서로에 대해 이격되는 구조이므로,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에 수분이 응축되더라도, 양쪽의 전극(46, 48) 상호간에는 수분의 유동현상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양쪽 전극(46, 48)이 서로에 대해 이격되므로, 양쪽 전극(46, 48) 간의 전위차로 인한 수분의 이끌림현상, 즉, 양쪽 전극(46, 48) 간의 전위차로 인해, 양이온 방전전극(48)의 수분이 음이온 방전전극(46)으로 이끌려가는 현상이 방지되며, 따라서, 양쪽의 전극(46, 48) 상호간의 수분 유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결국, 양쪽 전극(46, 48) 간의 수분 유동현상이 방지되므로, 수분 유동으로 인한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의 통전현상도 방지되고, 양쪽 전극(46, 48)의 통전현상이 방지되므로, 그에 따른 스파크 현상과 방전소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돌출길이(ℓ)(L)를 갖되, 그 이격거리(r)가 대략 10∼20㎜ 범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은, 서로 다른 돌출길이(ℓ)(L)를 갖되, 양이온 방전전극(48)이 음이온 방전전극(46)보다 중력방향을 향해 더 길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양이온 방전전극(48)의 높낮이를 음이온 방전전극(46)보다 낮게 배열하기 위함이며, 이는 양쪽 전극(46, 48) 간의 전위차로 인해, 양이온 방전전극(48)의 수분이 음이온 방전전극(46) 방향으로 이끌릴 경우,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끌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분의 이끌림력을 반감(半減)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의 돌출길이(ℓ)(L)를 각기 다르게 하여 양자의 간격을 서로 이격시키는 구조이므로,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에 응축된 수분이 상호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수분의 유동으로 인한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의 통전현상을 방지하고, 양쪽 전극(46, 48)의 통전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양쪽 전극(46, 48)간에 발생하는 스파크 현상과 방전소음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방전전극 상호간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므로, 차량의 승차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이온발생기는, 서로 다른 돌출길이(ℓ)(L)를 갖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구비하되, 이들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은 끝부분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도(α)로 벌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이온발생기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이 소정의 각도(α)로 벌어지는 구조이므로, 양쪽 전극(46, 48)의 간격을 더 이격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양쪽 전극(46, 48) 간의 수분 유동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에 의하면,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의 돌출길이를 각기 다르게 하여 양자의 간격을 서로 이격시키므로, 양쪽 전극 간의 수분 유동과 그에 따른 통전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전현상으로 인한 스파크 현상과 방전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전현상으로 인한 방전전극 상호간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소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차량의 승차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조케이스 12: 외기도입구
14: 내기도입구 15: 인테이크 도어
16: 내부통로 16a: 천정면
20: 송풍기 30: 증발기
40: 이온발생기 42: 본체
46: 음이온 방전전극 48: 양이온 방전전극

Claims (3)

  1. 삭제
  2.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6)에 음, 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40)는 본체(42)와, 상기 본체(42)로부터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6)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은, 상기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으로부터 하방으로 서로 다른 돌출길이(L)(ℓ)를 가지면서 돌출되며,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48)이,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46)보다 중력방향 하부를 향해 더 긴 돌출길이(L)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은, 끝부분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α)로 벌어지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20070035926A 2007-04-12 2007-04-12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091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926A KR100914416B1 (ko) 2007-04-12 2007-04-12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926A KR100914416B1 (ko) 2007-04-12 2007-04-12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532A KR20080092532A (ko) 2008-10-16
KR100914416B1 true KR100914416B1 (ko) 2009-08-31

Family

ID=4015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926A KR100914416B1 (ko) 2007-04-12 2007-04-12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489B1 (ko) * 2018-01-04 2018-03-30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와 유해 미생물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WO2018164437A1 (ko) * 2017-03-07 2018-09-13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와 유해 미생물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처리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12B1 (ko) * 2011-01-21 2017-03-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KR101495838B1 (ko) * 2013-09-24 2015-02-27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4664A (ja) * 1985-01-17 1986-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オン風静電式空気清浄機
JP2000247141A (ja) * 1999-03-01 2000-09-12 Zexel Corp 空調装置の陰イオン発生装置
JP2002260822A (ja) * 2001-03-05 2002-09-13 Toto Ltd イオン発生器
KR100828394B1 (ko) * 2006-12-04 200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4664A (ja) * 1985-01-17 1986-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オン風静電式空気清浄機
JP2000247141A (ja) * 1999-03-01 2000-09-12 Zexel Corp 空調装置の陰イオン発生装置
JP2002260822A (ja) * 2001-03-05 2002-09-13 Toto Ltd イオン発生器
KR100828394B1 (ko) * 2006-12-04 200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437A1 (ko) * 2017-03-07 2018-09-13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와 유해 미생물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처리설비
KR101843489B1 (ko) * 2018-01-04 2018-03-30 주식회사 에이치앤와이텍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와 유해 미생물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이온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532A (ko)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244939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09144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CN103109136A (zh) 产生臭氧和离子风的臭氧/离子发生装置和具有其的空气调节机
JP2009012711A (ja) 車載用空調装置
KR1017176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KR20120090985A (ko) 이온화 장치 제어 방법
KR20120090986A (ko) 이온화 장치를 위한 공기 컨덕션 채널
KR1009033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158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8698486B (zh) 车辆的空气调节系统
CN204956008U (zh) 带有离子发生器的汽车空调
KR10090331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KR1015909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191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0789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09144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0790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070115037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10128905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JP5411881B2 (ja) 静電霧化装置を備えた空調装置
KR10118962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US20230166271A1 (en) Ventilation device
KR20120034289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20110132003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