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313B1 -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313B1
KR100903313B1 KR1020070036273A KR20070036273A KR100903313B1 KR 100903313 B1 KR100903313 B1 KR 100903313B1 KR 1020070036273 A KR1020070036273 A KR 1020070036273A KR 20070036273 A KR20070036273 A KR 20070036273A KR 100903313 B1 KR100903313 B1 KR 10090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on
air conditioning
inner passage
ceiling surface
dischar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661A (ko
Inventor
변상철
강성호
서용은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313B1/ko
Priority to JP2008100371A priority patent/JP4743446B2/ja
Priority to EP08007053A priority patent/EP1980430B1/en
Priority to EP10195955A priority patent/EP2289719B1/en
Priority to EP10195947A priority patent/EP2289718B1/en
Priority to US12/101,067 priority patent/US7749313B2/en
Priority to CN2008101258566A priority patent/CN101284489B/zh
Publication of KR2008009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313B1/ko
Priority to JP2011076219A priority patent/JP5244939B2/ja
Priority to JP2011076218A priority patent/JP5449244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응축된 수분이 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유입되어 스파크와 방전소음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내부통로에 음, 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며, 이온발생기는 본체와, 내부통로의 천정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내부통로의 천정면에 응축된 수분이 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흘러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차단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므로, 수분유입으로 인한 양쪽 전극간의 통전 및 통전으로 인한 양쪽 전극간의 스파크 현상과 방전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CAS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조케이스를 구성하는 수분차단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조케이스를 구성하는 수분차단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조케이스를 구성하는 수분차단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조케이스 16: 내부통로
16a: 천정면 20: 송풍기
30: 증발기 40: 이온발생기
42: 본체 46: 음이온 방전전극
48: 양이온 방전전극 50: 수분차단수단
52: 차단공간 60: 수분 차단리브
70: 배수돌기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응축된 수분이 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유입되어 스파크와 방전소음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이 설치된다. 공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에는 송풍기(20)가 설치된다.
송풍기(20)는, 송풍팬(22)과, 송풍팬(22)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24)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의 외기도입구(12) 또는 내기도입구(14)를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한 다음, 흡입된 내, 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6)로 송풍한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6)에 설치되는 증발기(30)를 구비한다. 증발기(30)는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다수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통로(16)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도입시켜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내부통로(16)의 공기에 음/양이온(Ion)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한다.
이온발생기(40)는,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본체(42)와, 본체(42)로부터 내부통로(16)를 향해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구비한다.
특히,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은,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관통구멍(17)을 통과한 후,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6)의 공기 중에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온발생기(40)는, 음,양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된 음,양이온 입자가 증발기(30)에 서식하는 세균과 곰팡이와 악취 및,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시스템은, 도입된 공기의 습도가 높을 경우, 공기속에 포함된 수분이 공조케이스(10)의 경사진 천정면(16a)에 응축되고, 천정면(16a)에 응축된 수분이 이온발생기(40)의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으로 흘러들면서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서로 통전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서로 통전시킴으로써, 양쪽의 방전전극(46, 48) 상호간에 스파크(Spark)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방전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간에 발생된 방전소음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탑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고 승차감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내측면에 응축된 수분이 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으로의 수분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수분유입으로 인한 방전전극 상호간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의 공조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내부통로에 음, 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는 본체와, 상기 내부통로의 천정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로의 천정면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흘러서 유입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분차단수단은, 상기 천정면과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차단공간이며, 상기 차단공간은,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의 주위를 감싸는 천정면 부분을 다른 천정면보다 높게 형성함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부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내부통로에 음, 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는 본체와, 상기 내부통로의 천정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로의 천정면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흘러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차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차단수단은, 상기 천정면에서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흐르는 수분을 유도하여 하부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 둘레의 천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배수돌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공조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에는 송풍기(20)가 설치된다.
송풍기(20)는, 공조케이스(10)의 외기도입구(12) 또는 내기도입구(14)를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내, 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6)로 송풍한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6)에 설치되는 증발기(30)를 구비한다. 증발기(30)는 내부통로(16)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도입시켜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내부통로(16)의 공기에 음/양이온(Ion)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한다.
이온발생기(40)는, 증발기(30)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본체(42)와, 본체(42)로부터 내부통로(16)를 향해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구비한다.
특히,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은,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관통구멍(17)을 통과한 후,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고전압 펄스를 내부통로(16)의 공기 중에 방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케이스(1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둘레의 천정면(16a)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차단수단(50)을 구비한다.
수분차단수단(50)은,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차단공간(52)으로 구성된다.
차단공간(52)은, 관통구멍(17) 둘레의 천정면(16a)을 상부로 몰입(沒入)성형함에 따라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차단공간(52)은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천정면(16a)과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사이의 수분 흐름 경로를 차단한다.
이러한 수분차단수단(50)에 의하면, 천정면(16a)과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사이의 수분 흐름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천정면(16a)의 수분이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흘러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천정면(16a)의 수분이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분 유입으로 인한 양쪽 전극(46, 48) 상호간의 통전 및, 통전으로 인한 양쪽 전극(46, 48)간의 스파크 현상과 방전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방전전극 상호간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승차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공조케이스(10)는,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둘레의 천정면(16a)부분이 수평면(16b)으로 형성된다. 이는, 경사진 천정면(16a)의 응축수가 수평면(16b)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천정면(16a)으로부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응축수 흐름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에는 수분차단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수분차단수단은,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수분 차단리브(60)로 구성된다.
수분 차단리브(60)는, 공조케이스(10)와 일체로 성형되며, 그 끝부분(62)이 내부통로(16)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분 차단리브(60)는,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천정면(16a)을 따라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을 향해 흐르게 되면,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을 향해 흐르는 수분을 하부로 유도하여 낙하시킨다.
따라서,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차단된 수분은 더 이상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의 유입되는 수분의 흐름이 차단되므로, 수분 유입으로 인한 양쪽 전극(46, 48) 상호간의 통전 및, 통전으로 인한 양쪽 전극(46, 48)간의 스파크 현상과 방전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는 수분차단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변형예의 수분차단수단은,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의 둘레 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배수돌기(70)들로 구성된다.
배수돌기(70)들은, 공조케이스(10)와 일체로 성형되며, 그 끝부분이 내부통로(16)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돌기(70)들은,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천정면(16a)을 따라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을 향해 흐르게 되면,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을 향해 흐르는 수분을 하부로 유도하여 낙하시킨다.
따라서,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차단된 수분은 더 이상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에 의하면, 공조케이스의 내측면에 응축된 수분이 이온발생기의 음이온 방전전극과 양이온 방전전극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수분유입으로 인한 양쪽 전극간의 통전 및 통전으로 인한 양쪽 전극간의 스파크 현상과 방전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유입으로 인한 방전전극 상호간의 스파크 현상과 그에 따른 방전 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승차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내부통로(16)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내부통로(16)에 음, 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40)는 본체(42)와, 상기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이온발생기(40)의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흘러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차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차단수단은,
    상기 천정면(16a)과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의 사이에 형성된 차단공간(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공간(52)은,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의 주위를 감싸는 천정면(16a)부분을 다른 천정면(16a)보다 높게 형성함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4. 삭제
  5. 내부통로(16)를 갖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내부통로(16)에 음, 양이온을 방출하는 이온발생기(40)를 구비하며, 상기 이온발생기(40)는 본체(42)와, 상기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46)과 양이온 방전전극(48)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로(16)의 천정면(16a)에 응축된 수분이 상기 이온발생기(40)의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흘러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차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차단수단은,
    상기 천정면(16a)에서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으로 흐르는 수분을 유도하여 하부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둘레의 천정면(16a)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배수돌기(7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6.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16a)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고, 상기 음이온 및 양이온 방전전극(46, 48) 둘레의 천정면(16a)부분은 수평면(16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KR1020070036273A 2007-04-12 2007-04-13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KR10090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273A KR100903313B1 (ko) 2007-04-13 2007-04-13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JP2008100371A JP4743446B2 (ja) 2007-04-12 2008-04-08 車両用空調システム
EP10195955A EP2289719B1 (en) 2007-04-12 2008-04-09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EP10195947A EP2289718B1 (en) 2007-04-12 2008-04-09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EP08007053A EP1980430B1 (en) 2007-04-12 2008-04-09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12/101,067 US7749313B2 (en) 2007-04-12 2008-04-10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2008101258566A CN101284489B (zh) 2007-04-12 2008-04-11 用于机动车辆的空调系统
JP2011076219A JP5244939B2 (ja) 2007-04-12 2011-03-30 車両用空調システム
JP2011076218A JP5449244B2 (ja) 2007-04-12 2011-03-30 車両用空調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273A KR100903313B1 (ko) 2007-04-13 2007-04-13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661A KR20080092661A (ko) 2008-10-16
KR100903313B1 true KR100903313B1 (ko) 2009-06-16

Family

ID=4015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273A KR100903313B1 (ko) 2007-04-12 2007-04-13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9989A (zh) * 2014-12-24 2015-06-03 唐山立雄峰汇材料科技有限公司 汽车空气净化陶瓷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747A (ko) * 1998-05-11 1999-12-06 구자홍 직결식 세탁기용 프론트 패널의 보턴 결합구조
JP2000247141A (ja) 1999-03-01 2000-09-12 Zexel Corp 空調装置の陰イオン発生装置
KR20000067602A (ko) * 1999-04-30 2000-11-25 구자홍 실외기의 파워소자 보호구조
KR20080092530A (ko) * 2007-04-12 2008-10-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747A (ko) * 1998-05-11 1999-12-06 구자홍 직결식 세탁기용 프론트 패널의 보턴 결합구조
JP2000247141A (ja) 1999-03-01 2000-09-12 Zexel Corp 空調装置の陰イオン発生装置
KR20000067602A (ko) * 1999-04-30 2000-11-25 구자홍 실외기의 파워소자 보호구조
KR20080092530A (ko) * 2007-04-12 2008-10-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9989A (zh) * 2014-12-24 2015-06-03 唐山立雄峰汇材料科技有限公司 汽车空气净化陶瓷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661A (ko)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743446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09033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76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이온발생기
KR1013158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144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090331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조케이스
KR20150125749A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KR101762804B1 (ko)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70796B1 (ko) Havc 모듈 내부의 공기 정화장치
KR10128905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2011002330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144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5468423U (zh) 用于机动车辆的低轮廓通风系统
KR20070115037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10118962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10128884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KR100321113B1 (ko) 공기청정기
KR2011013200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92564B1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33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이온발생기 제어방법
JP2004053040A (ja) 空気調和機
KR20060115245A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공기 조화기
KR101350476B1 (ko) 차량용 클러스터 이온 발생장치
KR20130060538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