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407B1 -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407B1
KR102211407B1 KR1020140095586A KR20140095586A KR102211407B1 KR 102211407 B1 KR102211407 B1 KR 102211407B1 KR 1020140095586 A KR1020140095586 A KR 1020140095586A KR 20140095586 A KR20140095586 A KR 20140095586A KR 102211407 B1 KR102211407 B1 KR 10221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lm laminate
adhesive
foreign mat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385A (ko
Inventor
도루 다무라
슈야 후루사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 상에 적층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상에 적층되어서 상기 광학 필름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갖는 필름 적층체를 하류측으로 보내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의 한쪽의 측에 배치된 점착 롤러 쌍으로 물면서 상기 하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을 제거하는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Description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METHO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FROM FILM LAMINAT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LM LAMINATE}
본 발명은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부에 적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편광판(편광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 편광판은 그 적어도 한쪽면 상에 점착층을 개재하여 보호 필름이 적층된 필름 적층체로서 출하되고,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시에 상기 보호 필름이 박리되어서 화상 표시부에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광학 필름에서는 이물이 부착되면, 그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에 광학 필름으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기 EL 필름의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고, 분사한 공기를 상기 표면의 양단부측으로부터 흡인함으로써,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예를 들어 기판의 단부면에 점착 롤러의 둘레면을 수직으로 접촉시켜서, 상기 점착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기판의 단부면 이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0-1407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6-165072호 공보
그러나, 상기 필름 적층체는 그 단부면측에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점착층을 갖기 때문에, 상기 단부면에서 이물이 부착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에서는 단부면에 부착된 이물을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광학 필름을 갖는 필름 적층체는 비교적 얇기 때문에, 특허문헌 2와 같은 기술에서는 점착 롤러의 둘레면과의 접촉에 의해, 필름 적층체의 단부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손상을 억제하면서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및 손상을 억제하면서 이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은,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상에 적층되어서 상기 광학 필름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갖는 필름 적층체를 하류측으로 보내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 중 적어도 한쪽의 측에 배치된 점착 롤러 쌍으로 물면서 상기 하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을 제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름 적층체의 단부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을 점착 롤러 쌍에 부착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점착 롤러에 의해 필름 적층체의 단부면이 수직으로 가압되는 것을 피하면서 상기 점착 롤러 쌍에 의해 이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적층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적층체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로부터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필름 적층체의 이물 제거 방법에서는,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를,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측에 배치된 상기 점착 롤러 쌍으로 물면서 상기 하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점착 롤러 쌍은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중앙측일수록 상기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경사진 점착 롤러 쌍으로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를 각각 물어서, 필름 적층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적층체의 손상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필름 적층체의 이물 제거 방법에서는,
상기 점착 롤러 쌍의 각 둘레면부의 경도가 3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점착 롤러 쌍의 각 둘레면부가 필름 적층체의 단부 테두리 및 단부면의 형상을 추종하도록 변형되고, 상기 필름 적층체의 단부면에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필름 적층체의 단부면의 이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은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판인 경우에 적합하다.
편광판에서는 수㎛의 크기의 이물 부착조차도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적층체의 단부면에 부착된 이물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 매우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이물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이물 제거 공정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물 제거 방법에 의해 필름 적층체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로부터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이물 제거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손상을 억제하면서 이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필름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는,
필름 적층체를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 중 적어도 한쪽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 중 적어도 한쪽을 물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를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는 점착 롤러 쌍을 갖는 이물 제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의 이물 제거 방법의 실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의 이물 제거 방법의 실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의 이물 제거 방법의 실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의 이물 제거 방법의 실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1)는 롤체(19)로부터 풀어내어진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의 반송용 롤러 쌍(3)과, 필름 적층체(10)의 폭 방향(도 2의 Y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적어도 한쪽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적어도 한쪽을 물면서(닙하면서),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는 점착 롤러 쌍(60)을 갖는 이물 제거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용 롤러 쌍(3)은 필름 적층체(10)를 소정의 압력으로 물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점착 롤러 쌍(6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 적층체(10)의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점착 롤러 쌍(60)은 필름 적층체(10)의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를 물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 롤러 쌍(60)은 필름 적층체(10)의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측에 각각 1개씩, 합계 2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 롤러 쌍(60)은 회전 가능한 제1 점착 롤러(61)와 회전 가능한 제2 점착 롤러(63)를 갖고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 점착 롤러(61, 63)는 그 표면부에 점착층(이물 제거용 점착층)(6lb, 63b)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점착 롤러(61, 63)는 롤러체(61a, 63a)와, 상기 롤러체(61a, 63a)의 표면에 각각 형성된 점착층(6lb, 63b)을 갖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 롤러 쌍(60)은 제1 점착 롤러(61)와 제2 점착 롤러(63)가 필름 적층체(10)를 물면서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점착 롤러 쌍(60)은 상기 폭 방향(Y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필름 적층체(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10)는 띠 형상의 광학 필름(11)과, 상기 광학 필름(11)의 한쪽 면(여기에서는 표면이라고 함)(11a) 상에 형성된 점착층(13)과, 상기 점착층(13) 상에 적층된 띠 형상의 보호 필름(15)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 필름(11)으로서는, 예를 들어 편광판(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또는 이들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13)은 광학 필름(11)과 보호 필름(15)을 접착하는 것이다. 상기 점착층(13)은 점착층(13)을 형성하는 재료인 점착제를 광학 필름(11)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키거나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보호 필름(15)은 광학 필름(11)의 표면(11a)을 보호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호 필름(15)은 점착층(13)으로부터 박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호 필름은 세퍼레이터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광학 필름(11), 점착층(13) 및 보호 필름(15)을 구비한 필름 적층체(10)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해서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광학 필름(11)의 표면(11a)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시키거나 경화시킴으로써 점착층(13)을 형성한다. 이 점착층(13) 상에 보호 필름(15)을 적재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소정의 압력으로 설정된 한 쌍의 롤러 사이(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필름 적층체(1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의 형태에서는, 필름 적층체(10)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롤체(19)로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롤체(19)로 하지 않고 필름 적층체(10)를 사용해도 좋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20)의 제조 방법은 광학 필름(11)과, 상기 광학 필름(11) 상에 형성된 점착층(13)과, 상기 점착층(13) 상에 적층되어서 상기 광학 필름(11)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15)을 갖는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보내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10)의 폭 방향(Y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적어도 한쪽의 측에 배치된 점착 롤러 쌍(60)으로 물면서 상기 하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이물 제거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물 제거 공정에서는, 우선 상기 롤체(19)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의 광학 필름(10)을 그 길이 방향(X 방향, 도 2 참조)을 따라서 풀어내어서, 반송용 롤러 쌍(3)에 의해 하류측으로 보낸다. 이와 같이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보내면서, 필름 적층체(10)의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를 점착 롤러 쌍(60)을 각각 통과시키는, 즉 제1 점착 롤러(61)와 제2 점착 롤러(63) 사이를 각각 통과시킨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점착 롤러(61) 및 제2 점착 롤러(63)는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를 물면서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를 각 점착 롤러 쌍(60)으로 물면서 하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폭 방향(Y 방향)에서의 필름 적층체(10)의 양쪽 단부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한다. 또한, 이 때, 동시에 필름 적층체(10) 표면의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근방의 표면의 이물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 방향(Y 방향)에서 필름 적층체(10)와 접촉하고 있는 점착 롤러 쌍(60)의 폭 방향(Y 방향) 길이 및 필름 적층체(10)와 접촉하지 않은(필름 적층체보다도 외측으로 비어져 나온) 점착 롤러 쌍(60)의 폭 방향(Y 방향) 길이는 각각 점착층(13)의 단부면의 이물이 제거되는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서는 2개의 점착 롤러 쌍(60)이 필름 적층체(10)의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측에 배치된 형태를 도시하는, 즉 2개의 점착 롤러 쌍(60)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측에 배치되는 점착 롤러 쌍(60)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서는 점착 롤러 쌍(60)이 필름 적층체(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형태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점착 롤러 쌍(60)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 롤러 쌍(60)이 필름 적층체(10)의 폭 방향(Y 방향)의 중앙측일수록 상기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형태를 채용해도 좋다. 즉, 점착 롤러 쌍(60)이 상기 하류측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八자 형상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경사진 점착 롤러 쌍(60)으로 필름 적층체(10)의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를 각각 물어서, 필름 적층체(1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적층체(10)의 손상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 롤러 쌍(60)이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경사 각도 θ는 폭 방향(Y 방향)에 대하여 0°을 초과하고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각도 θ가 0°보다도 큼으로써, 필름 적층체(1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며, 경사 각도 θ가 30° 이하인 것에 의해 필름 적층체(10)의 사행이 방지되어서 직진 안정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점착 롤러 쌍(60)의 각 둘레면부의 경도, 즉 제1 및 제2 점착 롤러(61, 63)의 둘레면부의 경도는 3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도는 제1 및 제2 점착 롤러(61, 63)의 둘레면(표면)을 경도계(듀로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상기 경도가 60 이하임으로써, 점착 롤러 쌍(60)으로 필름 적층체(10)를 물었을 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1 및 제2 점착 롤러(61, 63)의 둘레면부(즉 점착층(6lb, 63b)과 롤러체(61a, 63a)의 표면측의 일부)가 필름 적층체(10)의 단부 테두리 및 단부면을 추종하도록 변형되어, 필름 적층체(10)의 단부면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필름 적층체(10)의 단부면의 이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도가 30 이상임으로써, 점착 롤러 쌍(60)의 내구성, 즉 제1 및 제2 점착 롤러(61, 63)의 내구성이 충분히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도를 30 내지 60로 할 수 있는 롤러체(61a, 63a)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물 제거 공정을 행하여, 상기 이물 제거 공정 후의 적층체를 필름 적층체(20)로서 얻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10)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은 상기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보내면서, 필름 적층체(10)의 폭 방향(Y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적어도 한쪽(여기서는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을,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적어도 한쪽의 측(여기서는,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측)에 배치된 점착 롤러 쌍(60)으로 물면서 상기 하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을 제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름 적층체(10)의 단부면에 부착된 이물을 점착 롤러 쌍(60)에 부착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점착 롤러 쌍(60)에 의한 필름 적층체(10)의 단부면에 대한 가압을 피하면서, 상기 점착 롤러 쌍(60)에 의해 이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적층체(1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적층체(10)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10)로부터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필름 적층체(10)를 풀어내기 전에, 롤체(19)의 측면에 점착 부재 등을 접촉시켜서 상기 측면의 이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롤체(19)의 감기 상태에 따라서 측면에 요철이 존재하기 때문에, 충분히 이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필름 적층체(10)의 전체면을 1개의 점착 롤러 쌍으로 물어서 하류측으로 통과시켜서 상기 단부면의 이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름 적층체(10)의 폭 방향에서의 두께 불균일이나, 상기 롤러 쌍의 폭 방향에서의 압력의 불균일 등에 기인하여, 필름 적층체(10)에 주름이 생겨 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이물 제거 방법에 의하면, 이들과 비교하여 주름의 발생을 피하면서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광학 필름(11)이 편광판인 경우에 적합하다. 편광판에서는 수㎛의 크기의 이물의 부착조차도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필름 적층체(10)의 단부면에 부착된 이물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 매우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20)의 제조 방법은 상기 필름 적층체(10)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이물 제거 공정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물 제거 방법에 의해, 필름 적층체(10)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10)로부터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이물 제거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손상을 억제하면서 이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필름 적층체(2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20)의 제조 장치는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3)와, 상기 필름 적층체(10)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적어도 한쪽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적어도 한쪽을 물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10)를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는 점착 롤러 쌍(60)을 갖는 이물 제거 장치(4)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손상을 억제하면서 이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필름 적층체(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상을 억제하면서 이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및 손상을 억제하면서 이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필름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를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측에 배치된 점착 롤러 쌍(60)에 의해 무는 구성을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10a, 10b) 중 어느 일방측의 점착 롤러 쌍(60)에 의해 무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1: 제조 장치
3: 반송용 롤러(반송 장치)
4: 이물 제거 장치
10: 필름 적층체
11: 광학 필름
13: 점착층
15: 보호 필름
20: 이물 제거 공정 후의 필름 적층체
60: 점착 롤러 쌍
61: 제1 점착 롤러
61a: 롤러체
6lb: 점착층
63: 제2 점착 롤러
63a: 롤러체
63b: 점착층

Claims (6)

  1.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상에 적층되어서 상기 광학 필름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갖는 필름 적층체를 하류측으로 보내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를,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에 각각 배치된 점착 롤러 쌍으로 물면서 상기 하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을 제거하고,
    상기 점착 롤러 쌍은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중앙측일수록 상기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는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롤러 쌍은 상기 폭 방향에 대해 0°을 초과하고 30° 이하의 경사 각도로 경사져 있는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롤러 쌍의 각 둘레면부의 경도가 3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판인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이물 제거 공정을 구비한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필름 적층체를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양쪽 단부 테두리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양쪽 단부 테두리를 물면서 상기 필름 적층체를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는 점착 롤러 쌍을 갖는 이물 제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 롤러 쌍은 상기 필름 적층체의 폭 방향의 중앙측일수록 상기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는 필름 적층체의 제조 장치.
KR1020140095586A 2013-07-31 2014-07-28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211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9658A JP6163377B2 (ja) 2013-07-31 2013-07-31 フィルム積層体からの異物除去方法、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JP-P-2013-159658 2013-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385A KR20150015385A (ko) 2015-02-10
KR102211407B1 true KR102211407B1 (ko) 2021-02-03

Family

ID=5249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586A KR102211407B1 (ko) 2013-07-31 2014-07-28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63377B2 (ko)
KR (1) KR102211407B1 (ko)
CN (1) CN104338712B (ko)
TW (1) TWI6089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5305A1 (en) * 2018-02-23 2019-08-29 International Test Solutions, Inc. Novel material and hardware to automatically clean flexible electronic web rolls
JP2020128077A (ja) * 2018-08-01 2020-08-27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エッジ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された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216955B2 (ja) * 2019-01-09 2023-02-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及び有機el装置
JP2020131128A (ja) * 2019-02-20 2020-08-31 日東電工株式会社 異物除去装置
JP2023105602A (ja) * 2022-01-19 202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部材
JP2023105601A (ja) * 2022-01-19 202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部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483A (ja) * 1999-04-05 2000-10-17 Fuji Photo Film Co Ltd 長尺状可撓性シートの除塵方法
JP2002060102A (ja) * 2000-08-23 2002-02-26 Sumitomo Chem Co Ltd 基材搬送装置および基材塗工体の製造方法
JP2010145597A (ja) * 2008-12-17 2010-07-0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およ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49170A (en) * 1970-07-09 1974-03-27 Kraftwerk Union Ag Rotor for a gas turbine engine
JP2000343011A (ja) * 1999-06-04 2000-12-12 Ricoh Co Ltd ロールフィルム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JP2002134876A (ja) * 2000-10-23 2002-05-10 Nippon Mektron Ltd プリント基板の除塵装置
JP2006165072A (ja) 2004-12-02 2006-06-22 Ngk Spark Plug Co Ltd 基板端面自動清掃装置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6269614A (ja) * 2005-03-23 2006-10-05 Hitachi Chem Co Ltd 除塵装置
US20090232977A1 (en) * 2005-11-21 2009-09-17 Konica Monolta Opto, Inc. Optical Film Treating Method, Optical Film Treating Apparatus, and Optical Film Producing Method
JP2008168188A (ja) * 2007-01-10 2008-07-24 Mitsuma Giken Kk クリーニング装置
JP4964723B2 (ja) * 2007-09-26 2012-07-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ピンテンタ及び溶液製膜方法
JP5283923B2 (ja) * 2008-02-20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201264979Y (zh) * 2008-08-27 2009-07-01 达信科技股份有限公司 材料层的制造系统及偏光片的制造系统
JP2010140705A (ja) 2008-12-10 2010-06-2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該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を用いた照明装置、表示装置
CN103842864B (zh) * 2011-10-04 2017-03-0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483A (ja) * 1999-04-05 2000-10-17 Fuji Photo Film Co Ltd 長尺状可撓性シートの除塵方法
JP2002060102A (ja) * 2000-08-23 2002-02-26 Sumitomo Chem Co Ltd 基材搬送装置および基材塗工体の製造方法
JP2010145597A (ja) * 2008-12-17 2010-07-0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およ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8926B (zh) 2017-12-21
JP2015031751A (ja) 2015-02-16
JP6163377B2 (ja) 2017-07-12
CN104338712A (zh) 2015-02-11
CN104338712B (zh) 2018-03-30
TW201504028A (zh) 2015-02-01
KR20150015385A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407B1 (ko)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179947B1 (ko) 필름 적층체로부터의 이물 제거 방법,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6278545B2 (ja) エッジウエブ部を有するガラス基板
US10391752B2 (en) Film stripping device and film stripping method
KR102220429B1 (ko)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필름 적층체의 제조 설비
WO2017133092A1 (zh) 柔性基板的背膜贴附方法及装置、滚轮
TWI715592B (zh) 貼合光學膜之製造方法、貼合光學膜之製造裝置及剝離膜之剝離方法
CN104272178A (zh) 光学显示面板的制造方法及光学显示面板的制造系统
JP5869704B2 (ja) 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方法
JP6319107B2 (ja) ガラス基板搬送装置
KR20160099474A (ko) 적층 필름의 박리 방법, 및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JP5801027B2 (ja) 光学表示装置製造方法
JP2016034843A (ja) ガラス板用合紙及び合紙付きガラス板並びにガラス板梱包体
JP5849492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TW201716303A (zh) 芯用塞、薄膜滾筒、包裝體及芯用塞的卸除方法
JP5811660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3849B2 (ja) 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1020200A (ja) 光学フィルム切断システム及び光学フィルム切断方法
US20190118512A1 (en) Carbon nanotube sheet structure and laminate
JPH11254549A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
TH80987A (th) ฟิล์มพอลิเมอร์ที่มีโครงสร้าง และวิธีการสำหรับการขึ้นรูปฟิล์มนี้
JP201307296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