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126B1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126B1
KR102208126B1 KR1020190109923A KR20190109923A KR102208126B1 KR 102208126 B1 KR102208126 B1 KR 102208126B1 KR 1020190109923 A KR1020190109923 A KR 1020190109923A KR 20190109923 A KR20190109923 A KR 20190109923A KR 102208126 B1 KR102208126 B1 KR 10220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unit
air
sensing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313A (ko
Inventor
김재형
안승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2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313A/ko
Priority to KR102021000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210/00
    • D06F2216/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게 하는 구동부;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인출한 뒤 상기 제1챔버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와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처리작업(세탁, 건조, 탈취, 주름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밴 냄새, 주름 등을 제거하는 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등을 통해 의류와 드럼을 마찰시키면서 처리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의류의 건조에는 유리하지만 의류에 구김(wrinkle)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거나 의류에 생긴 구김을 제거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구김제거, 탈취, 건조 등의 의류처리과정을 수행할 때, 의류에서 나는 냄새의 정도 및 의류에 부착된 먼지의 정도 등 의류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알려주는 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과정을 통해 의류의 상태(오염도 등)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의류의 오염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이 더 필요한 경우와 같은 별도의 조치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가 펼쳐진 채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부를 통해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상태(의류에 베인 냄새의 정도, 의류에 부착된 먼지의 양 등)를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게에 알려주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의류의 오염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과정을 통해 의류의 오염도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과 같은 별도의 조치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의류가 수용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게 하는 구동부;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인출한 뒤 상기 제1챔버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와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공기공급부 및 상기 수분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처리단계의 진행 중, 상기 감지단계 및 상기 표시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주기마다 반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기호;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문자;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이미지;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기호;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문자; 및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먼지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지지부를 기 설정된 제1주기로 왕복시키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먼지 농도가 상기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주기보다 길게 설정된 제2주기로 왕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냄새 입자의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수분공급부를 기 설정된 제1공급시간 동안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냄새 입자의 농도가 상기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수분공급부를 상기 제1공급시간보다 짧게 설정된 제2공급시간 동안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왕복시키는 흔들기 단계; 상기 팬을 작동시키는 순환단계; 및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 및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처리단계가 진행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설정시간 결정단계; 상기 처리단계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시간보다 짧고, 상기 기준주기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및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 설정된 목표값보다 크면, 상기 설정시간을 연장하는 연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단계는 상기 설정시간을 연장한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정시간을 연장한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크면, 상기 처리단계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 물세탁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게 하는 구동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인출한 뒤 상기 제1챔버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와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함으로써 오염도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기 설정된 기준주기마다 오염도를 측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준주기 별 오염도를 표시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기호;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문자;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이미지;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기호;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문자; 및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펼쳐진 채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부를 통해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상태(의류에 베인 냄새의 정도, 의류에 부착된 먼지의 양 등)를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의류의 오염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과정을 통해 의류의 오염도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과 같은 별도의 조치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수분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컨트롤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111)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챔버(112)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111)로 수분과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4, 5)가 구비된다. 도 2와 도 3은 상기 공급부(4, 5)가 상기 제1챔버(111)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 및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5)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전방면에 투입구(13)가 구비된 캐비닛 바디(1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챔버(111)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어 상기 투입구(13)에 연통하며, 상기 제1챔버(111)와 제2챔버(1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격벽(15)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는 상기 제1챔버(111)의 하부 및 상기 제2챔버(112)의 전방에 위치하는 탱크 장착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장착부(114)는 상기 제1격벽(15)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1)와 구분되고, 상기 제2격벽(17)을 통해 상기 제2챔버(112)와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13) 및 탱크 장착부(114)는 도어(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는 상기 투입구(13) 및 탱크 장착부(114)를 모두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도어 바디(21), 상기 도어 바디(21)를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힌지(23) 및 제2힌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21)에는 컨트롤패널(27)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패널(37)은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표시부(271) 및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72, 274, 2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제어부 및 공급부(4, 5)에 전력을 공급하라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272),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코스(의류처리행정)의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274), 및 선택된 코스의 개시명령 또는 중단명령을 입력받는 제3입력부(27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격벽(15)에는 상기 제1챔버(111)와 제2챔버(112)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151) 및 제2연통홀(152)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공급부(4)는 상기 제2챔버(112)에 구비된 순환덕트(41),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43), 상기 열교환부(43)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112)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수부(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제1연통홀(151)에 연결된 흡기덕트(411), 상기 제2연통홀(152)에 연결된 배기덕트(412), 상기 흡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1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에는 상기 제1챔버(111)의 공기가 상기 흡기덕트, 상기 연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팬(45)이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팬(45)이 상기 연결덕트(414)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43)는 상기 흡기덕트(411)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43)가 히트펌프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의 열교환부(43)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38),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414) 내부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431), 상기 냉매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31)와 상기 팬(45) 사이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432), 상기 냉매관을 따라 냉매가 두 열교환기(431, 432) 사이를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434), 상기 냉매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3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34)와 압력조절기(436)는 상기 순환덕트(4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431)는 상기 흡기덕트(41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여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제1열교환기(43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결덕트(414)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열교환기(432)는 상기 압축기(434)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411)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상기 제1연통홀(151)에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47)는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집수탱크(471), 상기 집수탱크(4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집수탱크 관통홀, 상기 집수탱크 관통홀에 삽입된 제1배출관(478a), 상기 제1열교환기(431)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순환덕트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478b), 상기 제2배출관(478b)으로 배출된 응축수를 상기 제1배출관(478a)로 이동시키는 배출펌프(47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탱크(471)는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수탱크 관통홀에는 체크밸브(4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476)는 상기 제1배출관(478a)이 상기 집수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은 허용하되, 상기 집수탱크 내부의 물이 상기 집수탱크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탱크(471)가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고정되면, 제어부는 상기 배출펌프(478)를 통해 상기 순환덕트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집수탱크(471)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집수탱크(471)의 일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홀(472)이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배수홀(472)이 집수탱크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수홀(472)은 집수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47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수분공급부(5)는 가열된 수증기를 제1챔버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mist 등)를 제1챔버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수분공급부(5)가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하는 증기(스팀)를 상기 제1챔버(111)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수분공급부(5)는 상기 제2챔버(112)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51),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챔버(111)로 배출하는 분사부(53), 및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51)는 상기 제2챔버(112)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511), 상기 저장부(511)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된 히터(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11)에는 물이 유입되는 물 공급구(511a) 및 상기 저장부(511) 내부의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배출구(511b)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부(53)는 상기 제1격벽(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3연통홀(154, 도 1 참고)에 고정된 분사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바디는 연결관(532)를 통해 상기 스팀 배출구(511b)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바디 내부의 스팀은 분사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분사구(531)를 통해 제1챔버(11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55)는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구비된 공급탱크(551), 상기 공급탱크(551)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부(511)로 공급하는 공급펌프(55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탱크(551)는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탱크(551)에는 공급탱크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공급탱크 관통홀 및 상기 공급탱크 관통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556)가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부(55)는 상기 제2격벽(17)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공급관(558a), 및 상기 물 공급구(511a)에 연결된 제2공급관(558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급관(558a)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공급펌프(558)에 의해 상기 제2공급관(558b)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556)는 상기 제1공급관(558a)이 상기 공급탱크 관통홀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공급탱크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탱크(551)가 상기 탱크 장착부(114)에 고정되면, 제어부는 상기 공급펌프(558)를 통해 상기 저장부(5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급탱크(551)의 일면에는 급수홀(552)이 구비되는데, 도 3은 상기 급수홀(552)이 공급탱크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홀(552)은 공급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55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4) 및 수분공급부(5)를 제어하도록 구비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챔버(112)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가 펼쳐진 채 상기 제1챔버(111)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지지부(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6)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어 상기 제1챔버(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프레임(61), 상기 프레임(6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연결부(611) 및 제2연결부(6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611)는 일단은 상기 제1챔버(111)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 자유단 사이에 위치된 제1축을 통해 상기 프레임(6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612)는 역시 일단은 상기 제1챔버(111)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612)는 두 자유단 사이에 위치된 제2축을 통해 상기 프레임(6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는 상기 제1연결부(611)와 제2연결부(612)에 고정되어 상기 제1챔버(111)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바(6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63)는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X축 방향)에 평행한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63)에는 옷걸이의 고리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고리수용홈(6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는 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61)에 고정된 모터(65),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지지바(63)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6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변환부(67)는 상기 제1챔버(111)의 외부에 위치된 제1연결부(611)의 자유단과, 상기 제1챔버(111)의 외부에 위치된 상기 제2연결부(612)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변환부 바디(671), 상기 변환부 바디(671)에 구비된 슬롯(672), 상기 모터의 회전축(651)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 바(673), 상기 연결 바(673)에 구비되어 상기 슬롯(672)에 삽입되는 슬롯돌기(67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롯(672)은 상기 지지바(63)의 운동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지지바(63)가 제1챔버의 너비방향(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경우, 상기 슬롯(672)는 상기 제1챔버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1)의 회전 시 상기 슬롯돌기(674)는 상기 연결 바(673)의 길이를 반지름으로하는 원 궤적을 형성하는데, 상기 원 궤적의 지름(R)은 상기 슬롯(672)의 길이(L) 이하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돌기(674)의 회전운동은 상기 변환부 바디(671)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지지바(63)는 상기 제1연결부(611) 및 제2연결부(612)를 통해 상기 변환부 바디(67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63)는 상기 변환부 바디(671)의 운동 시 상기 제1챔버(111)의 너비방향을 따라 운동하게 될 것이고, 상기 지지바(63)에 거치된 의류 역시 상기 상기 제1챔버(111)의 너비방향을 따라 운동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챔버(111)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와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상기 감지부(7)가 상기 제1챔버(111)의 공기에 포함된 냄새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냄새 감지센서(71), 및 상기 제1챔버(111)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감지센서(73)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냄새 감지센서(71)와 상기 먼지 감지센서(73)는 상기 제1챔버(111)에 저장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 가능한 한 의류처리장치(100)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냄새 감지센서(71)와 상기 먼지 감지센서(73)가 상기 흡기덕트(4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냄새 감지센서(71)는 공기 중에 포함된 기체 입자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적외선 광원, 적외선 감지부, 및 상기 적외선 광원과 상기 적외선 감지부 사이에 구비된 적외선 밴드패스필터(band-pass filter)를 포함하는 센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센서는 기체 입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적외선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다를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감지부의 신호를 통해 공기에 포함된 기체 입자의 농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먼지 감시센서(73) 역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입자를 감지 가능한 한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데,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빛을 흡수하는 수광부로 구비된 센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먼지가 많으면 빛의 산란에 의해 상기 수광부가 수신하는 빛의 세기가 감소할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가 수신하는 빛의 세기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입자의 농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감지부(7)에서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271)에 표시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표시부(271)는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기호, 서로 달리 설정된 문자, 서로 달리 설정된 이미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기호,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문자, 및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동일한 이미지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뿐 아니라,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27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챔버(111)의 공기 오염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감지부(7)는 기 설정된 기준주기마다 제1챔버(111) 내부의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271)는 상기 기준주기별 오염도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의류의 오염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의 처리과정을 확인 가능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27)의 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코스을 선택하는 코스선택단계(S10)를 통해 개시된다. 상기 코스선택단계(S1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선택된 코스의 실행시간을 결정하는 실행시간 결정단계(S11), 및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가 자동코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를 진행한다. 상기 실행시간 결정단계(S11)와 자동코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가 자동코스인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부(7)가 상기 제1챔버(111)의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감지단계(S20)를 진행한다.
상기 감지단계(S20)는 상기 팬(45)을 작동시키는 순환단계(S21), 상기 구동부(65, 67)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6)를 상기 제1챔버(111) 내부에서 왕복시키는 흔들기 단계(S23), 및 상기 감지부(7)가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 및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25, 제1측정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단계(S21)는 상기 제1챔버(111)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흡기덕트(411)로 유입하고, 상기 흡기덕트(41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덕트(412)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11)에 다시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흔들기 단계(S23)는 상기 모터(65)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바(63)가 상기 제1챔버(111)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흔들기 단계(S23)가 진행되면, 상기 지지바(63)에 거치된 의류도 상기 지지바(63)와 함께 제1챔버(111) 내부에서 운동할 것이다. 의류가 제1챔버(111) 내부에서 운동하면,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입자나 먼지는 의류에서 쉽게 분리될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 흔들기 단계(S23)를 통해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입자나 먼지를 의류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순환단계(S21)와 상기 흔들기 단계(S23)는 동시에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순환단계(S21)의 진행시간과 상기 흔들기 단계(S23)의 진행시간은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순환단계(S21)의 시작시점과 상기 흔들기 단계(S23)의 시작시점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순환단계(S21)가 상기 흔들기 단계(S23)보다 먼저 실행될 수도 있고, 상기 흔들기 단계(S23)가 상기 순환단계(S21)보다 먼저 실행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흔들기 단계(S23)가 순환단계(S21)보다 먼저 실행된다면, 상기 제1측정단계(S25)의 진행시간을 단축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측정단계(S25)는 상기 냄새 감지센서(71)와 상기 먼지 감지센서(73)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1)에서 상기 흡기덕트(411)로 이동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측정단계(S25)는 냄새 입자의 농도만을 측정하는 단계, 먼지의 농도만을 측정하는 단계, 냄새 입자의 농도 및 먼지의 농도를 모두 측정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단계(S25)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코스를 실행하는 처리단계(S30, S40), 및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271)에 표시하는 표시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오염도를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S27)는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7)에서 전송된 값을 상기 기준 값과 비교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공기공급부(4)와 상기 수분공급부(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처리단계는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진행되는 제1코스 실행단계(S30), 및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진행되는 제2코스 실행단계(S4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단계(S25)가 냄새 입자의 농도만을 측정하는 단계로 구비된다면, 상기 처리단계는 측정된 냄새 입자의 농도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제1코스 실행단계(S30)와 제2코스 실행단계(S40)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코스 실행단계(S30)는 상기 수분공급부(5)를 기 설정된 제1공급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로 구비되고, 상기 제2코스 실행단계(S40)는 상기 수분공급부(5)를 기 설정된 제2공급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의 작동시간이 길수록 냄새 입자의 제거에 유리하므로, 상기 제1공급시간은 상기 제2공급시간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정단계(S25)가 먼지의 농도만을 측정하는 단계로 구비된다면, 상기 처리단계는 측정된 먼지의 농도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제1코스 실행단계(S30)와 제2코스 실행단계(S40)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코스 실행단계(S30)는 상기 지지부(6)를 기 설정된 제1주기로 왕복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로 구비되고, 상기 제2코스 실행단계(S40)는 상기 지지부(6)를 기 설정된 제2주기로 왕복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의 왕복운동 주기가 짧을수록 의류를 많이 흔들어 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의류의 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2주기는 상기 제1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측정단계(S25)가 냄새 입자의 농도 및 먼지의 농도를 모두 측정하는 단계로 구비된다면, 상기 처리단계는 측정된 냄새의 농도와 먼지의 농도가 모두 기준 값 미만이면 제2코스 실행단계(S40)를 진행하고, 측정된 두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준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코스 실행단계(S30)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냄새 입자의 농도는 냄새 기준 값 미만이고, 먼지의 농도는 먼지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제2코스 실행단계(S30)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냄새 입자의 농도는 냄새 기준 값 미만인데 먼지의 농도는 먼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또는 냄새 입자의 농도는 냄새 기준 값 이상인데 먼지의 농도는 먼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또는 두 농도 모두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처리단계는 제1코스 실행단계(S30)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S50)는 상기 처리단계(S30, 40)보다 먼저 개시될 수도 있고, 상기 처리단계(S30, 40)와 함께 개시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단계(S50)에서 상기 표시부(271)는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기호, 서로 다른 문자, 또는 서로 다른 이미지(아이콘 등)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표시부(271)는 동일한 기호를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동일한 문자를 오염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동일한 이미지를 오염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단계(S50)의 완료 후, 본 발명은 상기 처리단계(S30, S40)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를 진행한다.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설정시간 결정단계(S11)에서 결정되는 설정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설정시간의 90% 내지 95%가 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시간이 100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기준시간은 90분 내지 9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처리단계(S30, S40)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S51)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처리단계(S30, S40)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주기가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53)한다. 상기 기준주기는 상기 기준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설정시간의 10% 내지 20%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설정시간이 100분인 경우, 상기 기준주기는 10분 내지 2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처리단계(S30, S40)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주기가 경과했다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부(7)를 통해 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55, 주기별 측정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주기별 측정단계(S55)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주기별 측정단계(S55)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271)에 표시한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처리단계(S30, S40)의 진행 중 상기 감지단계(S55) 및 상기 표시단계(S50)가 상기 기준주기마다 반복되므로, 본 발명은 의류의 오염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기준주기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3)는 상기 표시단계(S50)가 완료된 때로부터 상기 기준주기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처리단계(S30, S40)가 개시된 후 상기 기준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부(7)를 통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60, 제2측정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측정단계(S60)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 설정된 목표 값 이하이면(S61),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S63)한다.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3)는 제어부가 상기 처리단계(S30, S40)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시간 결정단계(S11)에서 결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S63)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실행 중인 코스를 종료(S70)한 뒤 상기 제2측정단계(S60)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271)에 표시하는 최종 오염도 표시단계(S80)를 진행한다. 상기 최종 오염도 표시단계(S80)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처리단계(S30, S40)를 통해 의류의 오염도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확인 가능하다. 상기 최종 오염도 표시단계(S80)는 상기 제1측정단계(S35)에서 측정된 오염도와 상기 제2측정단계(S60)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271)에 모두 표시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측정단계(S60)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상기 목표 값보다 크면(S61),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설정시간 결정단계(S11)에서 결정된 설정시간을 연장하는 연장단계(S62)를 진행한다. 상기 처리단계(S30, S40)의 진행시간을 늘려줌으로써 의류의 오염도를 목표 수준까지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연장단계(S62)는 설정시간을 연장한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인 경우(S64)에만 실행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단계(S30, S40)의 진행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준 횟수는 2 내지 3회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장단계(S62)의 실행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보다 크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표시부(271)에 물세탁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S66)를 진행한 뒤 현재 실행 중인 코스를 종료하는 종료단계(S70, 처리단계의 진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S6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처리단계(S30, S40)로는 의류의 오염도를 더 낮출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메시지 표시단계(S66)를 통해 본 발명은 세탁(물을 이용하여 의류에서 오물을 제거하는 의류처리과정)과 같은 별도의 조치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표시단계(S66)는 상기 종료단계(S70)의 완료 후 진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가 자동코스가 아닌 경우라면(S12), 본 발명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부(4), 상기 수분공급부(5), 및 상기 지지부(6)를 작동시키는 코스실행단계(S13)를 진행한다.
상기 코스실행단계(S13)의 진행 중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부(7)가 상기 흡기덕트(4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5, 주기별 측정단계), 및 측정된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271)에 표시하는 오염도 표시단계(S17)를 진행한다.
상기 오염도 표시단계(S17)의 완료 후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설정시간 결정단계(S11)에서 결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S18)한다. 상기 코스실행단계(S13)의 진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실행 중인 코스를 종료(S70)한다. 그러나, 상기 코스실행단계(S13)의 진행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기준주기마다 상기 오염도 측정단계(S15) 및 오염도 표시단계(S17)를 반복한다.
상술한 표시단계(S17, S50) 및 최종 오염도 표시단계(S80)는 오염도를 다수의 레벨(level)로 구분하여 상기 표시부(271)에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오염도를 3가지 레벨(나쁨, 보통, 좋음)로 구분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기준 값은 제1레벨(나쁨 레벨)과 제2레벨(보통 레벨)을 구분하는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목표 값은 제2레벨(보통 레벨)과 제3레벨(좋음 레벨)을 구분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챔버(112)에 구비된 처리장치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처리장치 통신부와 통신하는 단말기 통신부, 및 정보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각 측정단계(S25, S55, S60)가 완료된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측정된 오염도를 전송하는 단계(단말기 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전송단계는 처리장치 통신부 및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진행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통신부가 오염도를 수신한 때 단말기 표시부에 수신된 오염도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11: 제1챔버 112: 제2챔버 114: 탱크 장착부
13: 투입구 15: 제1격벽 151: 제1연통홀
152: 제2연통홀 154: 제3연통홀 17: 제2격벽
19: 필터 2: 도어 21: 도어 바디
23: 제1힌지 25: 제2힌지 27: 컨트롤패널
271: 표시부 272: 제1입력부 274: 제2입력부
276: 제3입력부 4: 공기공급부 41: 순환덕트
411: 흡기덕트 412: 배기덕트 414: 연결덕트
43: 열교환부 431: 제1열교환기 432: 제2열교환기
434: 압축기 436: 압력조절기 438: 냉매관
45: 팬 47: 집수부 471: 집수탱크
5: 수분공급부 51: 스팀발생기 511: 저장부
512: 히터 53: 분사부 55: 물공급부
551: 공급탱크 6: 지지부 61: 프레임
611: 제1연결부 612: 제2연결부 63: 지지바
65: 모터 651: 회전축 67: 동력변환부
7: 감지부 71: 냄새 감지센서 73: 먼지 감지센서

Claims (10)

  1. 의류가 수용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게 하는 구동부;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인출한 뒤 상기 제1챔버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제1챔버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와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공기공급부 및 상기 수분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단계의 진행 중, 상기 감지단계 및 상기 표시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주기마다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기호;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문자;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이미지;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기호;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문자; 및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먼지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지지부를 기 설정된 제1주기로 왕복시키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먼지 농도가 상기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주기보다 길게 설정된 제2주기로 왕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냄새 입자의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수분공급부를 기 설정된 제1공급시간 동안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측정된 냄새 입자의 농도가 상기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수분공급부를 상기 제1공급시간보다 짧게 설정된 제2공급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왕복시키는 흔들기 단계;
    상기 팬을 작동시키는 순환단계; 및
    상기 순환덕트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 및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가 진행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설정시간 결정단계;
    상기 처리단계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시간보다 짧고, 상기 기준주기보다 긴 시간으로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및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 설정된 목표값보다 크면, 상기 설정시간을 연장하는 연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계는 상기 설정시간을 연장한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 미만인 경우에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을 연장한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크면, 상기 처리단계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 물세탁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챔버의 너비방향을 따라 왕복하게 하는 구동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인출한 뒤 상기 제1챔버로 재공급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와 냄새 입자의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함으로써 오염도를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기 설정된 기준주기마다 오염도를 측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준주기 별 오염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기호;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문자;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달리 설정된 이미지;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기호;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문자; 및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된 동일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09923A 2018-09-06 2019-09-05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20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30A KR102306755B1 (ko) 2018-09-06 2021-01-19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6480 2018-09-06
KR1020180106480 2018-09-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230A Division KR102306755B1 (ko) 2018-09-06 2021-01-19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313A KR20200028313A (ko) 2020-03-16
KR102208126B1 true KR102208126B1 (ko) 2021-01-27

Family

ID=6972295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23A KR102208126B1 (ko) 2018-09-06 2019-09-05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007230A KR102306755B1 (ko) 2018-09-06 2021-01-19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25777A KR20210118793A (ko) 2018-09-06 2021-09-23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230A KR102306755B1 (ko) 2018-09-06 2021-01-19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25777A KR20210118793A (ko) 2018-09-06 2021-09-23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10183A1 (ko)
EP (1) EP3848500A4 (ko)
JP (1) JP7282164B2 (ko)
KR (3) KR102208126B1 (ko)
CN (1) CN112654744B (ko)
AU (1) AU2019336019B2 (ko)
WO (1) WO2020050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3182B2 (en) * 2016-12-29 2019-10-15 Whirlpool Corporation Customer selection of desired remaining moisture in clothing via user interface at machine 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20004258A (ko) 2020-07-03 2022-01-11 코웨이 주식회사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KR20220055870A (ko) 2020-10-27 2022-05-04 코웨이 주식회사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KR20230126429A (ko) 2022-02-23 2023-08-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오염 상태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오염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0056A1 (de) 2007-11-07 2009-05-14 Stefanie Jaeger-Machoczek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frischen von oberbekleidu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5598A (ja) * 1991-03-15 1992-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脱臭乾燥装置
JP2002011276A (ja) * 2000-06-29 2002-01-15 Hitachi Ltd モニター表示部を備えた電気洗濯機及びモニター表示方法
KR100966882B1 (ko) * 2003-07-21 201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JP4655858B2 (ja) * 2005-10-06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481509B1 (ko) * 2007-06-1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90017826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의류처리시스템
KR101467773B1 (ko) *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36081B1 (ko) * 2008-04-10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운전 방법
JP5057582B2 (ja) * 2008-07-18 2012-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DE102008054462A1 (de) * 2008-12-10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Gassensor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äsche
KR20110067887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790638B2 (en) * 2010-03-03 2017-10-1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74557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4240598A (ja) * 2014-07-28 2014-1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収納装置
WO2017184769A1 (en) * 2016-04-20 2017-10-26 Fathhome, Inc. Vacuum-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oiled articles
KR20170128958A (ko) * 2016-05-16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65393B1 (ko) * 2016-11-09 202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354875B1 (ko) * 2017-05-18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09957908A (zh) * 2017-12-22 2019-07-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机的衣物护理程序的控制方法
KR101999701B1 (ko) * 2018-07-18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0056A1 (de) 2007-11-07 2009-05-14 Stefanie Jaeger-Machoczek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frischen von oberbeklei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336019A1 (en) 2021-03-18
CN112654744B (zh) 2023-12-29
US20210310183A1 (en) 2021-10-07
AU2019336019B2 (en) 2022-11-03
KR20210009412A (ko) 2021-01-26
JP2022501097A (ja) 2022-01-06
CN112654744A (zh) 2021-04-13
KR20210118793A (ko) 2021-10-01
WO2020050637A1 (ko) 2020-03-12
EP3848500A4 (en) 2022-06-08
JP7282164B2 (ja) 2023-05-26
EP3848500A1 (en) 2021-07-14
KR20200028313A (ko) 2020-03-16
KR102306755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12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9670613B2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125318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7765715B2 (en) Dry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2627707B1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50016012A1 (en) Clothes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581490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00100A1 (en) Laundry treatment appliance comprising a drum and a sensor,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KR20150054104A (ko) 의류 처리장치
KR20060046995A (ko) 세탁건조기/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EP359781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KR10205899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90126138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50342B1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1007752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24552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610388B1 (en)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13520A (ko)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JP6910771B2 (ja) 衣類乾燥機
KR202100775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744070B2 (ja) 衣類乾燥機
KR101995429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349105A1 (en) Adjusted operation of a combination washer/dryer appliance
KR20100090088A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2097969A (ja) 洗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