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826A - 복합의류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의류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826A
KR20090017826A KR1020070082303A KR20070082303A KR20090017826A KR 20090017826 A KR20090017826 A KR 20090017826A KR 1020070082303 A KR1020070082303 A KR 1020070082303A KR 20070082303 A KR20070082303 A KR 20070082303A KR 20090017826 A KR20090017826 A KR 2009001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information
clothing
laund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아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826A/ko
Priority to CNA2008101279844A priority patent/CN101328659A/zh
Priority to CN2008801028083A priority patent/CN102131975A/zh
Priority to BRPI0804490-2A priority patent/BRPI0804490A2/pt
Priority to AU2008287684A priority patent/AU2008287684A1/en
Priority to PCT/KR2008/004653 priority patent/WO2009022831A2/en
Priority to US12/304,335 priority patent/US20100236296A1/en
Priority to EP08793167A priority patent/EP2074250A4/en
Publication of KR2009001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의류를 처리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교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는 세탁물저장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류, 처리, 시스템, 세탁, 건조

Description

복합의류처리시스템 {Total laundry treating system}
본 발명은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에 대한 처리가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세탁물 등을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스팀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 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들은 필요에 따라 모두 개별적으로 사용되었다. 즉, 사용자가 의류를 사용하여 세탁, 건조, 리프레쉬 및 보관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 각각 별개의 공간에 위치하는 별개의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기능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의류의 세탁, 건조, 리프레쉬 및 보관 등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의류처리장치를 각각 구입한다고 하여도, 각 의류처리장치 간에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정보 등을 공유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결국, 개별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의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의류에 대한 정보를 비롯한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수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의류에 대한 세탁, 건조, 리프레쉬 또는 보관 등의 처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를 처리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교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는 세탁물저장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를 처리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및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각각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교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의류에 대한 모든 처리, 즉 토털 트리트먼트(total treatment)가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처리하는 경우에 개별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 의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의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에 의류를 처리하는 경우에 각 의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날씨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의류에 대한 처리방법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각 의류처리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간편하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각 의류처리장치 별로 일일이 그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각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및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의류를 처리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교환 유닛(미도시)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는 세탁물저장장치()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의류를 처리하는 전 과정이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의류를 임시적으로 보관하여 그 후속과정으로 세탁, 건조, 다림질, 리프레쉬 및 장기 보관을 하거나, 세탁, 건조 및 다림질만을 수행하거나, 세탁 및 건조만을 수행하거나, 리프레쉬만을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모든 과정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의류에 대한 처리과정이 모두 수행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공간이 형성된 곳이라면 가정, 세탁소 등을 구별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간에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교환 유닛()에 의해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구성 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교환 유닛()은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간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 또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 각각 구비되어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통신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점선은 유선케이블 또는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이동경로를 나타낸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데이터 교환 유닛()에 의해 서로 간에 보관 또는 처리하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다른 의류처리장치()로 의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일일이 의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최초 의류처리장치()에 입력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의류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아,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각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각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표시부 등을 통해 의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의류가 처리되는 의류처리장치()를 따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각 의류처리장치()에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유닛()에 의해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 되는 의류의 정보를 확인하고, 나아가 각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어서, 도 3의 디스플레이유닛()을 구비한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는 세탁물을 보관 및 저장하는 세탁물저장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세탁, 건조, 다림질 또는 리프레쉬 등의 처리를 수행하기에 앞서서 세탁물을 임시적으로 보관 및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세탁 또는 건조 등의 처리를 하는 경우에 의류를 개별적으로 세탁 또는 건조할 수도 있지만, 세탁 및 건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소정량의 세탁물을 모아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세탁물을 모으는 경우에 바구니 등에 모으게 되면, 세탁물이 종류에 관계없이 한군데에 보관되어 사용자가 일일이 분별해서 세탁 및 건조 등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바구니를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를 구비하는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일일이 세탁물 종류에 따라 분별해서 바구니에 투입해야하는 불편함을 여전히 가지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이 소정량으로 모일 때까지 세탁물을 저장 및 보관하며, 나아가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의류저장장치()는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 구비되는 세탁물저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탁물이 보관되는 세탁물저장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탁물저장장치(100)의 이동을 쉽게 하는 이동수단(102)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는 커버(105)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10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1)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저장함(1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세탁물을 4종류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4개의 저장함(110)을 가지는 세탁물저장장치(100)를 도시하였으나, 저장함(110)의 갯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되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함(110)이 복수개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세탁물의 재질, 색깔 등과 같은 세탁물의 정보에 따라 적합한 세탁코스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4개의 저장함에 예를 들어 속옷, 색깔을 가지는 옷, 습기가 많은 수건, 겉옷 등과 같은 기준으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한편, 각 저장함(110)은 상기 본체(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저장함(110)에 일정량 이상의 세탁물이 모여지면 사용자는 저장함(110)을 분리한 후, 세탁물을 세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200)로 투입하여 세탁물을 처리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탁물저장장치(100)에서 커버(105)를 제외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에서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1)의 상부 중앙에는 세탁물저장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컨트롤패널(120)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120)에는 사용자가 세탁물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부(121)와, 입력부(121)에 입력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복수개의 저장함(110) 중에서 세탁물이 어느 저장함(110)으로 투입되어야 하는 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물의 종류를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하면 표시부(122)에는 세탁물을 4개의 저장함(110) 중에서 어느 저장함(110)으로 투입해야 하는 지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저장함(110)에 분리하여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저장장치(100)에는 미리 4개의 분류기준에 대해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4개의 분류기준에 대해 사용자가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세탁물저장장치(100)의 본체(101) 내부, 더욱 상세하게는 각 저장함(110)의 하부에는 각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센서(130)가 설치된다. 따라서, 각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무 게는 무게센서(130)에 의해 측정되고,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는 표시부(122)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122)에 각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무게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세탁을 해야할 시기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2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세탁물의 용량과 비교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물의 무게와 같은 정보와, 세탁물을 어느 저장함으로 보관해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가 모두 하나의 표시부(122)를 통해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세탁물을 어느 저장함에 보관해야하는지를 도시해주는 별도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패널(120)에는 무게센서(130)가 각 저장함(110)에 일정 이상의 세탁물이 수용되었음을 감지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1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저장함(110)에 세탁물이 과도하게 쌓여있음을 알 수 있어 세탁물이 장기간 세탁물저장장치에 방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1)의 내부에는 각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장치(150)가 설치된다.
제습장치(150)는 컨트롤패널(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각 저장함(110)의 일측면과 연통하는 하우징(151)과, 하우징(151)의 내부에 장착되어 각 저장함(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52)을 구비한다. 각 저장함(152)의 측면과 하우징(151)의 측면에는 각 저장함(152)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151)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통풍홀(110a, 151a)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송풍팬(152)이 각 저장 함(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장함(110)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습기를 가지는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어 세탁물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51)의 하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구 측에는 저장함(15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15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151)에 탈취필터(153)를 설치하면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젖은 세탁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컨트롤패널(120)에는 각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 또는 상기 세탁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24)와 저장부(124)에 저장된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를 의류처리장치(200)로 전송하는 데이터교화유닛의 일예로써 송신부(160)가 형성된다. 도 5에는 송신부에 의해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유선으로 전송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패널(120)에는 입력부(121), 저장부(124), 무게센서(13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저장부(124)에 저장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가 의류처리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송신버튼(161)이 형성된다.
도 7은 세탁물저장장치(100)에 설치되는 구성 및 의류처리장치(200)에 설치되는 구성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세탁물저장장치(100)에 보관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처 리장치(200)는 송신부(160)와 함께 데이터교환유닛을 형성하여 송신부(160)에서 송신되는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의류처리장치(200) 내부로 세탁물이 투입되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30)와, 의류처리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200) 내부로 투입되는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센서가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저장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21)에 세탁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표시부(122)에는 저장함(110) 중에서 세탁물을 어디에 투입해야 하는 지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물을 쉽게 각 저장함(110)에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무게는 무게센서(130)에 의해 측정되어 표시부(122)에 각각 표시되며, 각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무게가 일정 이상을 초과할 경우에는 알림수단(140)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한편, 저장부(124)에는 각 저장함(110)에 보관되는 세탁물에 대한 세탁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만일, 의류처리장치(200)에 무게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저장부(124)에 저장된 세탁물의 세탁정보와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세탁코스를 산출한 후 산출된 세탁코스를 저장부(124)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부(124)에 저장된 상기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 보는 의류처리장치의 수신부(210)로 전송되고, 의류처리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수신부(210)에 수신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를 바탕으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세탁물저장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저장함(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무게센서(130)의 무게변화를 감지하여, 본체(101)로부터 분리되는 저장함(110)에 담긴 세탁물의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만을 의류처리장치(100)로 전송한다.
만일, 의류처리장치(200)에 무게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의류처리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는 세탁물저장장치(100)로부터 전송받고 세탁물의 무게에 관한 정보는 의류처리장치(200)에 설치된 무게센서에서 얻어 세탁코스를 산출한 후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교환유닛의 송신부(160)에서 수신부(210)로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시기는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첫번째로, 사용자가 직접 세탁물저장장치(100)에 설치된 송신버튼(161)을 누를 때 세탁물저장장치(100)에 저장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송신버튼(161)을 누르면 제어부(150)는 저장부(124)에 저장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가 세탁물저장장치(100)의 송신부(160)를 통해 의류처리장치(200)의 수신부(210)로 전송되도록 한다.
두번째로, 사용자가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저장함(110)을 본체(101)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세탁물저장장치(100)에 저장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 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무게센서(130)의 무게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저장함(110)을 본체(101)로부터 분리하였음을 판단한다.
세번째로, 의류처리장치(200)에 설치된 감지센서(230)가 의류처리장치(200) 내부로 세탁물이 투입되었음을 감지할 때 세탁물저장장치(100)의 제어부(150)가 송신부(160)로부터 수신부(210)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네번째로,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를 동작시켰을 때 세탁물저장장치(100)의 제어부(150)가 송신부(160)로부터 수신부(210)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세번째와 네번째와 같은 시기 및 방법으로 세탁정보 또는 세탁코스를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세탁물저장장치(100)와 의류처리장치(200)는 신호를 서로 주고 받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종류에 따라 분리된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세탁코스에 따라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세탁행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세탁물저장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저장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저장장치(100)와 비교하여, 컨트롤패널(120)에 입력부가 설치되는 대신 세탁물에 부착된 인식표에 저장되는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23)와,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7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상기 세탁물에 부착되는 인식표는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RF(Radio Frequency) 또는 바코드(Bar C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저장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탁물에 부착되며 세탁물의 재질 및 색깔과 같은 세탁물의 세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인식표(미도시)를 감지부(123)에 대면 감지부(123)는 상기 인식표에 저장된 세탁물의 정보를 읽어 들이게 되고, 제어부(150)는 세탁물 정보에 따라 세탁물이 어느 저장함(310)에 투입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여 표시부(322)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표에 저장되는 정보는 의류의 재질, 크기, 세탁방식, 손질방식, 건조온도, 보관온도, 보관습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24)에는 세탁물의 분류기준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가 저장되어 있어 제어부(150)는 감지부(123)가 세탁물에 부착된 인식표에 저장된 세탁물의 정보를 감지할 때, 저장부(124)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와 상기 인식표에 저장된 세탁물의 정보를 비교하여 4개의 저장함 중에서 투입되어야 하는 가장 적합한 저장함을 판단한다.
또한, 수신부(170)로부터 수신되는 날씨정보는 세탁물저장장치(100)의 저장부(124)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날씨정보는 온도, 습도, 풍속, 풍향, 황사, 자외선지수, 먼지농도, 태풍, 강수량 및 적설량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감지부(123)에 의해 감지된 세탁물에 대한 정보, 무게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관한 정보, 수신부(170)에 의해 수신된 날씨정보를 바탕으로 각 저장함(310)에 보관되는 세탁물에 적합한 세탁코스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감지부(123)에 의해 감지된 세탁물에 관한 정보와, 무게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관한 정보를 조합하여 세탁코스를 산출할 수도 있으며, 감지부(123)에 저장된 세탁물에 관한 정보와, 수신부(170)에서 수신된 날씨정보를 조합하여 각 저장함(310)에 보관되는 세탁물에 적합한 세탁코스를 산출할 수도 있다. 물론 모든 정보를 조합하여 적합한 세탁코스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에 의해 산출된 세탁코스는 세탁물저장장치(100)의 송신부(160)에서 의류처리장치(200)의 수신부(210)로 전송되고 의류처리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전송받은 세탁코스에 따라 의류처리장치(200)의 세탁행정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저장장치에 의하면 세탁물에 관한 정보와, 날씨에 관한 정보까지 고려하여 각 저장함(310)에 보관되는 세탁물에 최적의 세탁코스를 산출하여 세탁행정을 행하므로 세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서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건조기(300)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을 구현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소정크기 이상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장소가 협소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를 설치하기에 곤란하게 되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일부를 선택해서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중에 다른 의류처리장치, 예를 들어 세탁기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건조기(300)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벽면에 설치되면,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건조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건조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에서 바람직한 두가지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a, 3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도 9에서는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a, 3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03)와 케이스(303)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도어(301)와 케이스(303)의 일측에 수용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행거(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기(300)는 세탁기 또는 탈수기 등의 의류처리장치(200)와 의류보관장치(400) 등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300)는 소정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측벽 등에 의해 설치되어 공간활용도가 크다. 따라서,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하부에는 세탁기 등의 의류처리장치(200)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건조기(30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건조기(300)의 하부에 세탁기(200)가 설치된다면 세탁기에서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서 원거리에 있는 건조기로 세탁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상부에 설치된 건조기(300)를 이용하여 건조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한편, 케이스(303) 내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케이스(303)는 직육면체, 삼각기둥, 원기둥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01)는 케이스(303)와 일측이 결합되며,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행거(310)는 'ㄷ'자의 형태를 가지되 단면적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각형의 형상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건조기(300)에서 승강유닛이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건조기(300)는 케이스(303)와 케이스(303)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열풍공급유닛(317)과 열풍공급유닛(3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공급유닛(317)은 케이스(303) 내부의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열풍공급유닛(317)은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미도시)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등의 발열체(미도시)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열풍공급유닛(317)은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03) 내부에는 행거(310)와 결합되어 케이스(303)의 개방된 하면을 관통해서 상하 운동하는 승강유닛(331)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유닛(331)은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331)의 양 측면은 케이스(303)의 양측의 내부면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행거는 승강유닛(331)의 양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승강유닛(331)의 양측의 외부면에는 랙기어(33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303)의 양측 내부면에는 랙기어(332)와 맞물리도록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피니언기어(319)가 설치된다.
승강유닛(331)의 구동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303) 일측에 설치된 모터 등의 제1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서 피니언기어(319)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피니언기어(319)의 구동에 따라 랙기어(332)도 맞물려서 직선운동하게 되므로 승강유닛(331)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스(303)의 하면은 개방되어, 승강유닛(331)은 케이스(303)의 하면을 관통해서 상하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유닛(331)이 케이스(303)의 내부로 인입되면 승강유닛(331)의 하면이 케이스(303)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게 되어 건조기(300) 내부는 밀폐되게 된다.
건조기(300)는 의류처리장치(200)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신장이 작은 사용자 가 건조기(300)를 사용하는 경우 행거(310)에 손이 닿지 않아 의류를 거치시킬 때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키가 작은 사용자는 승강유닛(331)을 하강하여 행거(310)가 사용자의 손에 닿을 수 있는 높이로 내려오도록 한 후, 의류를 거치시키고 다시 승강유닛(331)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스(303) 전면에는 케이스(303) 내부상태 및 열풍공급유닛(317)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302)는 도어(30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302)에는 사용자가 건조기(300)에 입력을 할 수 있는 컨트롤판넬(Control Panel)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302)에서는 케이스(303)의 내부상태 즉, 케이스(303) 내부의 온도, 습도 등과 이하 설명되는 제1 센서(315) 및 제2 센서(316)에서 수신되는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열풍공급유닛(317)의 작동여부와 열풍의 온도, 바람의 세기 등을 표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는 전술한 열풍공급유닛(317)에 의해 의류를 건조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광을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는 케이스(303) 내부로 자연광이 입사되어 의류를 건조할 수 있도록 케이스(303)의 적어도 일측에 채광창(31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300)를 설치하는 경우에 채광창(313)을 통해 자연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300)의 후면에 채광창(313)이 형성되는 경우, 건조기(300)의 후면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건조기(300)의 후면이 실내에 설치된 창(미도시)에 인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광창(313)은 유리, 투명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질로 자연광이 투사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건조기(3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외에도 채광창(313)는 자외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에서 채광창(313)을 통해서 자외선을 의류에 조사함으로써,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채광창(313)에는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자연광의 입사 여부 및 입사량을 조절하는 커버(314)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303)에는 채광창(313)이 설치된 일측에 모터 등의 제2 구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커버(314)가 모터의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감겨서 개방 및 폐쇄되거나, 블라인드(Blind)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커버(314)의 개방 정도는 완전 개방, 절반 개방 또는 부분개방 등의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케이스(303)에는 채광창(313)을 통한 자연광의 입사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315)와 케이스(303)에 수납되는 의류의 의류정보를 인식하는 제2 센서(316)가 구비되고, 의류에는 의류정보를 내장하는 인식표(351)가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303)의 일측에는 의류를 살균하는 자외선(UV) 램프(318)가 장착된다.
여기서, 제1 센서(315)는 자연광의 입사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채광창(313)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센서(315), 제2 센서(316), 자외선램프(UV Lamp: 318) 및 인식표(351)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UV rays)은 가시광선의 파 장(400nm)보다는 짧지만 x선의 파장(100nm)보다는 긴 파장을 가진 전자 방사선을 말한다. 자외선은 파장이 짧아 투과력은 약하지만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화학반응을 촉진하고 유기물을 산화시키며 미생물들에게는 살균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인식표(351)에는 의류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는 전술한 세탁물저장장치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30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건조기(300)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a)는 승강유닛을 구비하지 않고, 행거(310)의 구성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00a)에서 행거(310)의 양단은 케이스(303)의 내부측면에 장착되는데, 행거(310)는 케이스(303)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 행거(310)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회전되면 행거(310)가 케이스(303) 외부로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행거(310)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행거(310)는 케이스(303)의 외측으로 점점 도출되고, 반대로 행거(310)가 위쪽으로 회전하면 행거(310)는 점점 케이스(303)의 내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행거(31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행거(310)에 의류를 거치시킬 때 편리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행거(310)의 회전가능한 각도의 범위는 대략 0도 ~ 135°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135° 이상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행거(310)가 가동범위에서 최고점에 위치할 때(즉, 행거(310)의 회전각이 0도일 때) 및 행거(310)가 가동범위에서 최하점에 위치할 때(즉, 행거(310)의 회전각이 135도일 때)는 행거(3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스(303)의 일측에는 고정단(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행거(310)의 일측에 돌출부(305)가 형성되고, 케이스(303)에는 돌출부(305)에 상응하는 위치, 즉, 행거가 최고점 또는 최하점에 있을 때 돌출부가 위치하는 지점에 돌출부(305)가 삽입될 수 있는 홈 등의 고정단(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행거(310)가 최고점 또는 최하점에 위치하면 돌출부(305)가 고정단(311)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고정단(311)은 해당 위치에 행거(310)가 위치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행거(310)와 케이스(303)가 결합된 부분에 모터 등을 포함하는 회전구동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행거(310)가 상기 회전구동장치의 힘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구동장치에 의하면 행거(310)에 다량의 의류가 거치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행거(310)를 회전시켜 의류를 건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행거(310)의 일측에는 행거(3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손잡이(312)를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행거(310)가 케이스(303) 내측에 수납되어 있을 때, 손잡이(312)를 잡고 행거(310)를 회전시켜 아래쪽으로 위치를 하강시킨 후에 의류를 거치시키면 된다. 행거(310)에 의류를 모두 거치시킨 후에는 다시 손잡이(312)를 이용해 행거(310)를 회전시켜 위쪽으로 위치를 상승시킨다. 이후 케이스(303)에 개방된 도어(301)를 닫은 후에 건조기(100)를 가동시켜 의류를 건조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도 10의 실시예와 본 실시예를 조합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승강유닛과 회동이 가능한 행거를 모두 포함하는 타입의 건조기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의류를 거치하기위해 승강유닛을 하강시킨 후에, 행거를 회전시켜 케이스의 전면으로 도출시키는 방식으로 행거의 위치를 더욱 아래로 내려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외부로부터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및 날씨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세탁물저장장치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조기(300)의 구동방식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321)는 자연광의 입사여부를 고려해서 사용자가 건조 시간 등을 입력하면 그에 따라 열풍공급유닛(317)의 동작을 제어한다. 열풍공급유닛(317)의 동작은 열풍의 온도 또는 열풍의 세기, 열풍공급유닛의 온/오프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자연광이 입사된다면 사용자는 자연광이 입사되지 않는 경우보다 열풍의 세기를 강하게 하거나, 열풍공급유닛(317)의 작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 다.
또한, 제어부(321)는 자연광의 입사여부에 따라 총 건조시간 중 열풍공급유닛(317)에 의한 건조시간과 자연광에 의한 건조시간의 비율을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건조시키고자 하는 의류의 인식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의류의 총 건조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열풍공급유닛(317)에 의한 건조 중에는 커버(314)를 폐쇄하여 자연광을 배제한 상태에서 열풍공급유닛(317)을 동작시켜 열풍에 의한 건조만을 수행한다. 나아가, 열풍공급유닛(317)에 의한 건조시간이 완료된 이후에는 자연광에 의한 건조시간 동안 커버(314)를 개방하여 열풍공급유닛(317)의 동작을 정지시켜 자연광에 의해서만 의류를 건조하게 된다. 물론, 자연광에 의한 건조와 열풍에 의한 건조의 순서를 바꾸어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321)는 자연광의 입사 여부에 따라 열풍공급유닛(317) 및 자연광에 의한 각각의 건조시간을 조절한다. 이 경우 커버(314)를 개방한 상태에서 열풍공급유닛(317)을 동작시켜 자연광 및 열풍을 동시에 이용하여 건조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의 총건조시간이 6시간인 경우에 열풍공급유닛(317)에 의한 건조시간을 4시간으로 설정하고, 자연광에 의한 건조시간을 4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열풍공급유닛(317)에 의한 건조와 자연광에 의한 건조가 2시간 동안 동시에 이루어 지게 된다. 즉, 의류의 총건조시간은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건조시간과 자연광에 의한 건조시간의 합보다 작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321)는 제2 센서(316)로부터 수신된 의류정보를 이용하여 열풍공급유닛(317)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321)는 의류에 따른 적정 건조운전모드에 대한 정보가 미리 입력된 운전모드저장부(322)에서 적정 건조운전모드를 선택하여 열풍공급유닛(317) 및 커버(314)를 조절해서 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종류는 반바지, 의류치수는 32인치, 의류옷감이 면, 주의사항이 70℃ 이하에서 건조해야 한다는 의류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321)는 운전모드저장부(322)에 저장된 소정의 열풍세기, 열풍온도, 열풍의 작동시간, 총 건조시간에 따라 의류를 건조한다. 물론, 열풍의 온도를 70℃ 이하로 유지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자연광에 의한 건조를 위해서 커버(314)를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21)는 제2 센서(316)로부터 수신되는 의류정보를 표시부(302)에 도시하게 된다. 이 정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361)에 의해 열풍공급유닛(31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21)는 날씨정보에 따라 열풍공급유닛(317)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열풍공급유닛(317)의 작동시간 또는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커버(314)를 개방하여 자연광에 의한 건조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21)는 상기 날씨정보를 표시부(302)에 도시하여, 사용자 입력(361)에 따라 열풍공급유닛(317) 및 커버(3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한 직사광선, 자외선지수가 크다는 날씨정보가 수신되면 직사광선에 의해 건조하면 훼손되는 의류인 경우에는 커버(314)를 닫아 자연광의 입사를 차단하고, 열풍에 의한 건조만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제어부(321)는 의류정보에 따라 자외선램프(318)의 동작을 제어하여 의류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 의류가 어린 아이의 옷, 환자가 입는 옷,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이 입는 옷 등이라는 의류정보가 수신되면 자외선 램프(318)의 동작시간을 증가시켜 의류에 대한 살균소독을 강화시킬 것이다.
물론, 제어부(321)는 승강유닛(331)이 상승되거나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의류처리장치 중에 하나를 구성하는 의류보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의류보과장치는 먼저 캐비넷(510)을 구비한다. 캐비넷(510)은 의류보관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넷(510)의 전면에는 의류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도어(5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510) 내부에는 냉풍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도 14 참조, 520)이 설치된다. 또한 의류보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570)가 전면에 설치된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510)은 의류보관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의류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넷(510)은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전면 이 밀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의 의류 보관환경이 외부조건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부재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비넷(510)의 내부는 복수개의 격실(530)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의 경우 의류의 소재 및 용도 등에 따라 요구되는 보관환경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보관공간은 독립된 수개의 격실(530)을 구비하며, 각 격실(530)에서는 각각 보관되는 의류에 따라 요구되는 보관환경을 개별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각 격실(530)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부재는 열전도율이 낮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넷(510)에 복수개의 격실(530)이 형성되었으나, 캐비넷(510) 내부가 분할되지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캐비넷(510)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5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511)를 개방한 상태는 캐비넷(510)의 내부로 의류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닫은 상태는 캐비넷(510) 내부의 의류 보관환경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캐비넷(510)이 밀폐될 수 있도록 도어(511)에는 실링부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조화유닛(520)은 캐비넷(510) 내부에 설치된다. 캐비넷(510) 내부에 형성되는 의류보관 공간을 고려할 경우, 공기조화유닛(520)은 캐비넷(510)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캐비넷(510)의 상단에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조화유닛(5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캐비넷(510)의 전면에는 캐비넷(510) 내부의 의류보관환경 및 운전상황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70)가 형성된다.
도 14는 전술한 공기조화유닛(520)의 사이클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유닛(5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를 보관하는 캐비넷(도 13 참조, 510) 내에 냉풍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20)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의류보관장치에 의하면 장기간 보관되는 의류에 적절한 보호관리가 수반되지 않았을 경우, 곰팡이 및 진드기 등으로 인한 의류의 피해를 초래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곰팡이 및 진드기 등이 상온 이상의 조건에서 서식가능한 점에 착안하여, 방충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의류보관 공간에 냉풍을 공급하여 저온 보관이 이루어지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종래의 경우 상기 곰팡이 및 진드기 등의 서식을 막기 위해 약품처리를 통하여 방충효과를 도모하였으나, 이 경우 약품으로 인한 의류손상의 우려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냉기 공급을 통한 온도조절의 방법으로 의류의 손상 없이 방충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대부분 의류의 최적보관 환경이 실내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형성되므로, 방충효과뿐만 아니라 보관환경을 고려할 때도 더욱 바람직하다.
공기조화유닛(520)에는 압축기(524), 제2 열교환부(523), 팽창기(522) 및 제 1 열교환부(521)가 포함되고, 공기조화유닛(520) 내부에는 냉동사이클에 따라 냉매가 순환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열교환부(521, 523)는 냉매의 순환방향에 따라 응축기 및 증발기, 또는 증발기 및 응축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압축기(524)는 저온 저압의 가스상태인 냉매를 단열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상태의 냉매로 만들고, 고온 고압의 가스상태의 냉매는 응축기를 통해 냉각/응축되어 상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냉매는 모세관이 형성되는 팽창기(522)를 지나 저온 저압의 2상 유체가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기체상태로 증발하여 압축기(524)에 이르는 사이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응축기는 냉매가 응축하면서 방출하는 잠열에 의해 인접 공기를 가열시키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온기를 공급할 수 있고, 증발기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흡수하는 잠열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공기조화유닛(520)은 캐비넷(510) 내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열교환부(521)는 캐비넷(510) 외부의 상면 또는 후면과 열교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열교환부(523)는 캐비넷(510) 내부와 연통하여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524)와 연결되는 부분에 4방향 밸브(5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방향 밸브(525)는 압축기(524)의 냉매 흡입 및 토출배관을 스위칭하여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캐비넷(510) 내부와 연통하는 제2 열교환부(523)가 증발기로서 동작되도록 하며, 온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열교 환부(523)가 응축기로서 동작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유닛(520)의 경우 4방향 밸브(525)의 스위칭에 따라 캐비넷(510) 내부에 냉풍도 공급할 수 있고, 온풍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공기조화유닛(520)의 냉매의 흐름방향을 조절하여 캐비넷(510) 내부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는 공기조화유닛(520)에 의한 보관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의류의 소재에 따른 최적 보관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겨울용 고급의류는 겨울철에만 집중적으로 착용될 뿐, 연중의 대부분 동안 착용되지 않고 보관상태를 유지한다. 게다가 구입가격이 상당히 고가임을 고려할 때, 사용자들은 최적의 보관상태를 유지하여 의류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의류보관장치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경우, 소재별 최적의 보관온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여, 의류별 특성을 유지하면서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와 같이 온풍 공급이 가능한 구성은 날씨가 추운 날 의류착용 전에 상기 의류보관장치에서 온풍으로 데운 후, 따뜻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보관장치는 냉풍을 공급하고 나아가 온풍까지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520)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의 냉매 싸이클을 이용한 공기조화유닛(520)을 채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질소냉각장치와 팬을 포함하여 냉풍을 공급하는 구성, 또는 히터와 팬을 포함하여 온풍을 공급하는 구성 등 다른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량대비 경제성이 인정되는 경우 열전소자를 이용한 공기조화유닛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의류가 보관되는 격실(530)과 공기조화유닛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6은 격실 내부의 공기조화유닛과 구성요소들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캐비넷(510) 내부의 격실(53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캐비넷(510) 내부에 복수개의 격실(530)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격실(530)은 의류를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각 격실(530)은 공기조화유닛(20)과 연통되어 냉풍 및 온풍이 순환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유로제어수단(532)을 포함한다.
상기 각 격실(530)과 공기조화유닛(520)을 연통하여 냉풍 및 온풍이 순환되는 유로는 공기조화유닛(52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격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각 격실(530)마다 개별적인 보관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유닛(520)과 연통되는 유로는 각 격실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격실에 공기조화유닛(520)과 연통되는 덕트(531)를 구비한다. 또한 덕트(531)를 각 격실(530)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공기조화유닛(520)과 연통하는 각각의 유로를 형성토록 한다.
또한, 각각의 덕트(5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유로제어수단(53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격실(530)은 공기조화유닛(520)과 연통하는 덕트(53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격실(530)의 온도조절을 위하여 공기조 화유닛(520)에서 열교환이 진행되는 경우, 타 격실(530)과 연통되는 덕트(531)를 차폐하여 개별적인 보관환경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기조화유닛(520)에서 격실(530)로 흡입되는 부분과 격실(530)로부터 배기되는 부분에 각각 유로제어수단(532)이 구비된다. 또한 유로제어수단(532)은 공기조화유닛(520)과 함께 제어부(도 17 참조, 550)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제어수단(532)에 의하여 각 격실(530)의 공기순환경로(520)가 형성되는 경우, 캐비넷(510) 내부에 상기 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수단(5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수단(533)은 제어부(5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공기조화유닛(520)에서 유입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유량을 조절하여 온도 변화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격실(530) 내부의 송풍운전이 요구되는 경우 유량조절수단(533)을 제어하여 송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량제어수단(533)으로서, 공기조화유닛(520)에서 격실(30) 내부로 흡입되는 위치에 송풍팬(533)을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한다. 송풍팬(533)은 공기조화유닛(520)에서 격실(530)로의 공기순환(520)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송풍팬(533)의 회전속도에 따라 격실(5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송풍팬(533)의 운전은 제어부(5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유량제어수단은 본 실시예와 같은 송풍팬(533)에 한 정되지 않으며, 상기 유량제어수단이 설치되는 위치 또한 격실(53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공기조화유닛과 장치들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고하여, 상기 의류보관장치의 최적 보관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캐비넷(510) 내부에는 공기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습도조절장치(53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습도조절장치(534)는 제어부(도 17 참조, 550)의 제어에 의하여 습도를 조절하여 격실(53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곰팡이 및 진드기 등은 적정한 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에서 서식하는 바, 방충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낮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의류에 따른 최적 보관환경을 조성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510) 내부에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습도조절장치(53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시컨트(desiccant)를 포함하는 습도조절장치(534)를 채택하여, 종래에 사용되던 데시컨트 로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시컨트 로터는 상온에서 주위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 또는 흡착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과정과, 높은 온도에서 상기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재생과정이 이루어지는 데시컨트(desiccant)를 포함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50)의 제어에 의하여 제습운전이 진행되는 경우 습도조절장치(534)는 제습운전을 수행하고, 가습운전이 진행되는 경우 습도조절장치(534)는 재생운전을 수행하면서 습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언급한 데시컨트를 포함하는 습도조절장치(534)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유닛(520)의 팽창부(522)에 바이패스 밸브를 연결하고 제2열교환부(523)에서 응축, 팽창 및 증발이 가능하도록 재구성하여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최적 의류보관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습도조절장치(534)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습장치 및 제습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격실(530)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의 탈취 또는 공기정화를 위한 필터(535)를 포함한다. 착용한 의류를 바로 보관장치에 보관하는 경우, 이미 보관되어 있는 다른 의류까지도 악취 및 먼지로 인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향기능을 도모하기 위한 방향장치(536)를 설치하여 보관상태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방향장치(536)는 방향기능과 더불어 방충효과를 갖는 식물성 레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습도조절장치(534), 공기정화필터(535) 및 방향장치(536)는 운전의 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공기순환의 유로에 설치하여 대부분의 공기가 통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공기의 순환경로에 설치하는 습도조절장치(534), 공기정화 필터(535) 및 방향장치(536)를 도시한 도 16의 순서는 하나의 예시일뿐, 상기 장치들의 순서와 무관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여, 의류보관장치의 운전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의류보관장치의 운전이 시작되는 경우, 공기조화유닛(520)의 제2 열교환부(523)와 인접한 부분에서 열교환이 시작된다.
또한 공기조화유닛(520)의 운전과 함께 유로제어수단(532)에 의하여 운전이 필요한 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즉 유로제어수단(532)에 의해 공기조화가 요구되는 격실(530)은 공기조화유닛(520)과 유로가 형성되록 덕트(531)가 개방되고, 공기조화가 요구되지 않는 격실(530)과 연결된 덕트(531)들은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가 요구되는 격실(530)에 한하여 공기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격실(530)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533)이 작동하면서 상기 유로에 따른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고, 송풍팬(53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격실(530)에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송풍팬(53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가 덕트(531)를 통하여 의류가 보관된 격실(530) 내부로 공급된 후 다시 격실(530)로부터 배기되어 공기조화유닛(520) 방향으로 순환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격실 내부의 공기는 상기 유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습도조절장치(534)를 통과하며 습도가 조절되고, 정화필터(535) 및 방향장치(536)를 통과하며 최적화된 상태로 의류보관환경을 조성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의류보관장치에 포함되는 공기조화유닛(520)을 제어하는 제어부(5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의류보관장치에 습도조절장치(534)가 포함되 어 있는 경우, 제어부(550)는 습도조절장치(534)의 운전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량조절수단(533)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550)는 유량제어수단(533)의 제어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의류보관장치에 덕트(531) 및 유로제어수단(53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50)는 덕트(531)에 개폐를 조절하는 유로제어수단(532)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상기 의류보관장치의 제어부(550)입출력 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제어부(55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유닛(520),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장치(534) 및 수개의 격실(530)을 포함하여 각 격실(530)에 연결되는 덕트(531) 및 유로제어수단(532)을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공기조화유닛(520), 습도조절장치(534), 유량조절수단(533) 및 유로제어수단(532)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55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550)는 각 격실(530)별로 요구되는 운전모드에 따른 온도 및 습도 등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가 보관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51)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552)가 포함된다. 상기 온도센서(551) 및 습도센서(552)는 캐비넷(510)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개의 격실(530)을 형성하여, 격실(530)별로 별개의 보관환경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온도센서(551) 및 습도센서(552)가 각각의 격실(530)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551) 및 습도센서(552)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의 측정값은 제어 부(550)로 보고된다. 따라서 제어부(550)는 요구되는 의류보관환경과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비교하여 공기조화유닛(520) 및 습도조절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센서(551) 및 습도센서(552)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의 측정값은 캐비넷(510)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570)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스부(570)에 표시된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의류보관장치가 제대로 운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550)가 제어하는 운전내용을 설정하는 구성을 살펴본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입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60)를 통해 직접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부(550)가 상기 의류보관장치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510)의 전면부에 입력부(560)를 구성하여 상기 의류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운전모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운전모드의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어부(550)에서 적정운전모드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보관의 최적 환경을 결정하는 요인은, 의류의 소재, 의류 착용시 기상상태, 보관시 의류상태 등의 여러 변수가 존재하고, 다양한 의류 관리정보가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550)에서 의류의 상태 등에 따른 적정운전모 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50)는 상기 의류보관장치에 보관되는 의류의 상태에 따른 적정운전모드가 저장된 저장부(553)를 포함하고 있다. 의류의 소재 및 기상정보 등에 따라서 요구되는 보관운전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모피의 경우 15℃의 온도와 55%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최적이다. 또한 황사가 심한 날씨의 경우, 의류에 붙은 황사 등을 제어하기 위해 선결적으로 송풍과정에서 정화필터(535)를 통해 먼지를 제거해야 한다. 이처럼 의류의 각 소재 및 여러 기상정보에 따른 적정운전모드를 저장부(553)가 저장하고 있어 제어부(550)에서 자동적으로 적정운전모드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저장부(553)에 입력되어 있는 내용은 생산단계에서부터 원시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고, 후발적으로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553)는 여러 변수들(예를들어, 의류의 소재, 기상정보 등)에 따른 각기 다른 적정운전모드를 저장하고 있는 바, 상기 저장된 운전모드 중 적정한 하나 또는 수개의 운전모드를 판단하거나 추천하기 위해서는 상기 변수들의 값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입력받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550)에 전달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우선 본실시예는 의류에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부착되는 의류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식표(554)를 구비한다. 또한 인식표(554)로부터 의류정보를 인식하는 인식센서(555)를 구비한다.
인식표(554)는 보관되는 의류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부착되는 의류의 소재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의류에 관해 입력된 정보의 내용을 전기적 신호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식센서(555)는 상기 캐비넷 내부에 설치되어 인식표(554)에서 표시하는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신호의 존부로 의류의 수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신호의 내용을 해석하여 수납된 의류의 정보를 파악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인식센서(555)는 의류의 수납여부 및 수납된 의류의 정보를 파악하여 제어부(550)가 저장부(553)의 저장 내용중에서 적정운전모드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성을 응용하는 경우, 특정 고급의류의 미수납 기간이 일정시간 이상이 지속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 분실여부 또는 미보관 사실을 공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상정보 및 의류 관리정보 등을 입력받는 통신모듈(556)을 구비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통신모듈(556)은 상기 정보들을 공급하는 외부의 서버(미도시), 바람직하게는 홈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통신모듈(556)은 서버에서 공급하는 기상정보 및 의류 관리정보 등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동안의 기상 정보 및 의류의 보관 및 관리에 대한 추가정보 등을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인식표(554) 및 인식센서(555)의 구성, 그리고 통신모듈(556)의 구성은 보관되는 의류상태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여, 저장부(553)에 저장된 운전모드 중에서 적정운전모드를 산출하는 변수의 값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된 정보에 의해 제어부(550)는 자동적으로 적정운전모드로 설정하 여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550)에 입력되는 정보 및 상기 정보들에 근거하여 저장부(553)에서 추천하는 적정운전모드의 내용은 디스플레이부(57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정보들에 의하여 제어부(550)가 자동적으로 운전모드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570)에 표시된 추천된 적정운전모드를 참고하여 입력부(560)를 통해 직접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의류보관장치가 운전하는 운전모드의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부(560)에서 운전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저장부(553)에 저장된 적정운전모드가운데 제어부(550)가 자동적으로 적정운전모드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력된 정보 및 저장부(553)에 저장된 운전모드를 디스플레이부(57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참고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50)가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보관될 의류에 인식표(554)를 부착하여 의류보관장치에 수납한다. 이때 상기 의류보관장치 내부에 설치된 인식센서(555)가 인식표(554)의 신호를 인식하여 의류의 수납 및 수납된 의류의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550)로 전달한다. 또한 의류보관장치에 설치된 통신모듈(556)이 상기 정보를 공급하는 서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홈 네트워크가 형성된 경우에는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기상정보 등을 수신하여 제어부(550)로 전달한다. 제어부(550)는 저장부(553)에 저장된 운전모드들 가운데서 상기 입력된 의류 상태정보에 따라 최적보관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적정운전모드를 판단하다. 제어부(550)의 판단에 의하여 적정운전모드로 자동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되 상기 적정운전모드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적정운전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550)는 상기 의류가 보관된 격실(530)에 대하여 공기조화유닛(520), 습도조절장치(534), 유량제어수단(533) 및 유로제어수단(532) 등을 설정된 운전모드의 내용으로 제어한다. 또한 격실(53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551) 및 습도센서(552)에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50)에 보고하고, 제어부(550)는 상기 보고되는 온도 및 습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운전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동작되는 구성이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은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및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6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0)에서는 각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세탁정보, 건조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의류에 구비되는 인식표에 저장되며, 각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센서에 의해 인식되어 디스플레이 유닛(600)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600)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및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구동되고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및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정보가 순차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즉, 세탁기와 건조기가 동시게 구동되는 경우에 세탁기의 상태 및 의류정보가 먼저 도시되고, 이어서 소정시간이 지난 후에 건조기의 상태 및 의류정보가 도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탁기의 상태 및 의류정보가 동시에 도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600)의 화면이 구성되거나, 또는 세탁기의 상태가 먼저 도시되고, 이어서 세탁기에서 처리되는 의류의 정보가 도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상태 및 선택된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각각에 개별적인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개별적인 제어부에 의해 운전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각 의류처리장치로 이동을 해서 각각 운전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각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경우에 사용자는 각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에 따라 상이한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숙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처 리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각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디스플레이 유닛(600)에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운전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61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610)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해서 운전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610)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선택하는 장치선택부(미도시), 상기 장치선택부에서 선택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운전명령 메뉴를 선택하는 명령선택부(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의류처리장치에 대해서 운전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가 각 의류처리장치에 대해서 운전명령의 조건, 예를 들어 세탁기의 운전코스, 물온도, 탈수횟수, 헹굼횟수 등을 일일이 지정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유닛(600)에서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최적의 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600)에는 의류의 상태에 따라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최적의 처리방법이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600)에는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전송된 의류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부에 먼저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의류정보 를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의류정보에 대응하는 의류처리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의류처리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60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이 의류처리방법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사용자가 의류처리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에 각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의류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한 다음,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된 처리방법에 의해 각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는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전송되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먼저 저장하고,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의류정보와 대응하는 의류처리방법을 추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각 의류에 구비되는 인식표에 의류의 상태에 따른 최적 처리방법이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즉, 인식센서에서 감지된 의류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유닛(600)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정보 중에 의류의 상태에 따른 각 의류처리장치의 처리방법이 이미 포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상기 전송된 정보 중에 포함된 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하기만 하면 되며, 데이터베이스 상의 의류정보와 비교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외부로부터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의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날씨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의류처리방법을 산출할 수 있게 된 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의류 상태뿐만 아니라, 날씨 상태에 따른 각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처리방법이 저장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의류에 구비되는 인식표에도 의류 상태뿐만 아니라, 날씨 상태에 따른 각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처리방법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600)을 구비하는 경우,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각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운전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각 의류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 1의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1에서 세탁물저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세탁물저장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세탁물저장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도 4의 세탁물저장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도 1에서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건조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승강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9에서 건조기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일부 확대도,
도 13은 도 1에서 의류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공기조화유닛이 사이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도 13에서 의류보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도 13에서 공기조화유닛과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17은 도 13에서 의류보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laims (80)

  1. 의류를 처리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교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는 세탁물저장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및 건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보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다림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겸용 세탁기 및 의류보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다림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각각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각각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교환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간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 또는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 각각 구비되어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통신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저장함을 가지는 본체;
    상기 각 저장함에 보관된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각 저장함에 보관되는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장함은 상기 본체로부터 각각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세탁물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세탁물이 투입되어야 할 저장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세탁물에 부착된 인식표에 저장된 세탁물의 정보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물이 상기 복수개의 저장함 중 어디에 투입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표는 RF(Radio Frequency)카드 또는 바코드(Bar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세탁물의 분류기준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각 저장함의 하부에 상기 각 저장함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각 저장함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무게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무게센서가 상기 각 저장함에 소정 이상의 세탁물이 수용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를 상기 데이터 교환 유닛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세탁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중에 세탁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송신된 세탁정보와 상기 세탁기로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한 정보를 조합하여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각 저장함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었을 때 상기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송신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와 상기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관한 정보를 조합하여 세탁코스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교환 유닛을 통해 상기 산출된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세탁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세탁물이 내부로 투입되었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감지센서가 세탁물이 투입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세탁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이송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각 저장함에 보관되는 세탁물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각 저장함과 일측이 연통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각 저장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각 저장함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1. 제1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저장장치는 상기 세탁물에 관한 세탁정보와 상기 날씨에 관한 정보를 조합하여 적합한 세탁코스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다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열풍공급유닛; 및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상태 및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건조기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내부로 자연광이 입사되도록 적어도 일측에 채광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채광창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채광창을 통한 자연광의 입사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자연광의 입사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연광의 입사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연광의 입사여부에 따라 총 건조시간 중 상기 열풍공급유닛에 의한 건조시간과 자연광에 의한 건조시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연광의 입사여부에 따라 상기 열풍공급유닛 및 자연광에 의한 건조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의류정보가 내장되어 의류에 부착되는 인식표;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의류의 인식표에서 의류정보를 인식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의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의류정보를 상기 건조기표시부에 도시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의류에 따른 적정 건조운전모드에 대한 정보가 미리 입력된 운전모드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신된 의류정보에 대응하는 적정 건조운전모드를 선택하여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정보 중 의류종류에 따라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작동시간 및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외부로부터 날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날씨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날씨정보 및 상기 의류정보에 따라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날씨정보를 상기 건조기표시부에 도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날씨정보 및 의류정보에 따라 상기 열풍공급유닛의 작동시간 및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1.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의류가 보관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공기조화유닛; 및
    상기 보관되는 의류의 상태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유닛은 냉풍과 함께 온풍을 공급하여 상기 캐비넷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상기 캐비넷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습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습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상기 캐비넷의 내부의 탈취 또는 공기정화를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상기 캐비넷 내부에 방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장치는 방충기능까지 동시에 갖는 식물성 레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의 상기 캐비넷은 복수개의 독립된 격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상기 각 격실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와 연통되어 냉풍 또는 온풍이 공급되는 덕트; 및
    상기 각 덕트의 개폐를 조절하는 유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제어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상기 각 격실마다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의류보관장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관되는 의류의 상태에 따른 적정운전모드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적정운전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의류에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부착되는 의류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식표; 및
    상기 인식표로부터 상기 의류의 수납여부 및 상기 의류정보를 인식하는 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센서가 인식한 의류의 수납여부 및 의류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적정운전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기상정보 및 의류 관리정보 등을 외부에서 입력받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입력된 기상정보, 의류 관리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로부터 적정운전모드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3.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보관장치는 상기 복합의류처리시스템의 운전모드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4. 의류를 처리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의 상태 및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각각 처리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교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및 건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리프레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7.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겸용 건조기 및 리프레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8. 제66항 또는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보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69.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교환 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유닛 간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 또는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및 디스플레이 유닛에 각각 구비되어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통신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0.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1.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운전명령을 각각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 각각 보관되는 의류에는 상기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인식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각각에는 상기 인식표의 의류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상기 의류정보를 전송하는 인식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인식센서에서 인식한 의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의류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정보에는 상기 의류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의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각각 의류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방법정보가 미리 입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인식센서에서 전송한 상기 의류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기 입력된 상기 처리방법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각각에서 의류를 처리하는 처리방법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처리방법에 따라 의류를 처리하도록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에 자동으로 명령을 내리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처리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에 명령을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7.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정보에는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의류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처리방법에 따라 의류를 처리하도록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에 자동으로 명령을 내리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처리방법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각 의류처리장치에 명령을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79.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외부로부터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날씨 정보 및 의류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의류처리장치 각각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시스템.
KR1020070082303A 2007-08-16 2007-08-16 복합의류처리시스템 KR20090017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03A KR20090017826A (ko) 2007-08-16 2007-08-16 복합의류처리시스템
CNA2008101279844A CN101328659A (zh) 2007-08-16 2008-07-03 复合衣物处理系统
CN2008801028083A CN102131975A (zh) 2007-08-16 2008-08-11 整体洗衣处理系统
BRPI0804490-2A BRPI0804490A2 (pt) 2007-08-16 2008-08-11 sistema de tratamento total de roupas para lavar
AU2008287684A AU2008287684A1 (en) 2007-08-16 2008-08-11 Total laundry treating system
PCT/KR2008/004653 WO2009022831A2 (en) 2007-08-16 2008-08-11 Total laundry treating system
US12/304,335 US20100236296A1 (en) 2007-08-16 2008-08-11 Total laundry treating system
EP08793167A EP2074250A4 (en) 2007-08-16 2008-08-11 COMPLETE SYSTEM FOR WASH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03A KR20090017826A (ko) 2007-08-16 2007-08-16 복합의류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26A true KR20090017826A (ko) 2009-02-19

Family

ID=4020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303A KR20090017826A (ko) 2007-08-16 2007-08-16 복합의류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36296A1 (ko)
EP (1) EP2074250A4 (ko)
KR (1) KR20090017826A (ko)
CN (2) CN101328659A (ko)
AU (1) AU2008287684A1 (ko)
BR (1) BRPI0804490A2 (ko)
WO (1) WO2009022831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79B1 (ko) * 2011-11-15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9146971A1 (ko) * 2018-01-23 2019-08-01 삼성전자(주) 의류관리장치
WO2020055158A1 (ko) *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WO2020122293A1 (ko) * 2018-12-14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스케쥴링 장치
WO2022039367A1 (ko) * 2020-08-18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시스템 및 의류 관리 기기
US11447905B2 (en) 2018-12-31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447910B2 (en) 2019-09-03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30007695A (ko) * 2021-07-06 2023-01-1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수납형 건조기
US11910920B2 (en) 2018-09-12 2024-02-2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online system
US12110630B2 (en) 2018-08-14 2024-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72B1 (ko) * 2009-05-11 2015-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976126B2 (en) * 2010-09-02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38271A (ko) * 2010-10-13 2012-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EP2914769B1 (en) 2012-11-02 2019-04-17 Koninklijke Philips N.V. Treatment of a fabric article
CN103046290B (zh) * 2012-12-28 2016-01-20 惠州Tcl家电集团有限公司 洗衣机洗涤方法和系统、服务器
CN104183062A (zh) * 2014-09-10 2014-12-03 黑龙江大学 基于nfc的智能洗衣支付存取系统
JP2016107063A (ja) * 2014-11-28 2016-06-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乾燥機
CN205275961U (zh) * 2014-12-03 2016-06-01 骆能文 一种衣物护理机
CN104730930B (zh) * 2015-01-16 2017-12-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衣物分拣方法、衣物清洗方法及装置
CN105986464A (zh) * 2015-01-28 2016-10-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管理装置
CN106033195A (zh) * 2015-03-10 2016-10-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智能衣物管理装置
CN106032627B (zh) * 2015-03-18 2020-08-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衣物投放功能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6319831B (zh) * 2015-04-20 2018-11-02 江苏香榭制衣有限公司 一种节水型衣物分类智能清洁系统的清洁方法
CN106192303B (zh) * 2015-04-30 2019-12-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分类存放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5040389A (zh) * 2015-08-27 2015-11-11 佛山市荣高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柜
CN105405271A (zh) * 2015-11-21 2016-03-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提醒用户及时晒被子的健康智能系统、健康智能管理方法
DE102016212980A1 (de) * 2016-07-15 2018-01-18 Henkel Ag & Co. Kgaa Erfassen und/oder Überwachen der Belastung eines Textilstücks während eines Behandlungszyklus
CN107916525B (zh) * 2016-10-11 2021-04-3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洗护一体机及其工作方法
CN108071000B (zh) * 2016-11-18 2021-06-01 上海小吉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采集衣物信息的收集容器
CN106948152B (zh) * 2017-04-17 2019-04-02 林晓丽 一种服装的收整方法
KR102322514B1 (ko) * 2017-05-24 202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DE102017215949A1 (de) * 2017-09-11 2019-03-14 BSH Hausgeräte GmbH Handgerät zur verbesserten Wäschebehandlung, System mit einem solchen Handgerät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CN107604624A (zh) * 2017-09-26 2018-01-19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一种衣物篮和洗衣系统
CN107675465A (zh) * 2017-11-01 2018-02-09 苏州见真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洗衣系统
CN108036389B (zh) * 2017-11-15 2019-12-20 宁波德萨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可伸缩电壁炉
CN107780184B (zh) * 2017-11-23 2020-09-29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结合物联网技术的脏衣管理清洁系统与方法
WO2019134592A1 (zh) * 2018-01-04 2019-07-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10004641B (zh) * 2018-01-04 2022-05-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分类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10004640B (zh) * 2018-01-04 2022-05-13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衣物处理方法
CN110004638B (zh) * 2018-01-04 2022-06-21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系统的处理方法及处理系统
JP7045873B2 (ja) * 2018-02-05 2022-04-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CN108625099B (zh) * 2018-05-14 2020-12-2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洗衣机及其分批洗控制方法与系统
JP2020034197A (ja) * 2018-08-28 2020-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洗濯機連携システム。
KR102208126B1 (ko) 2018-09-06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1254659B (zh) * 2018-11-30 2023-03-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11334976B (zh) * 2018-11-30 2022-12-09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有储物功能的洗衣机
CN109744979A (zh) * 2019-01-02 2019-05-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器内胆的自清洗方法、装置及电器
CN111850945A (zh) * 2019-04-30 2020-10-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KR20190087348A (ko) * 2019-07-04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CN112239945B (zh) * 2019-07-17 2024-09-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方法和容纳设备
CN112239946A (zh) * 2019-07-17 2021-01-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方法和设备
KR20210081686A (ko) * 2019-12-24 2021-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의 움직임에 기반한 무빙행거 제어
CN112227003B (zh) * 2020-08-31 2021-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系统及其洗衣预约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5323701A (zh) * 2021-05-11 2022-11-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4164606A (zh) * 2021-12-14 2022-03-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装置及其控制方法和装置
CN114411401B (zh) * 2021-12-16 2023-03-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衣物分拣方法、衣物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4575103B (zh) * 2022-02-28 2023-12-22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与空气管理设备联动的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791A (en) * 1968-06-10 1970-09-29 Richard C Wells Remote indicating device
WO1990015394A1 (en) * 1989-06-02 1990-12-13 Aisi Research Corporation Appliance interface for exchanging data
US5491463A (en) * 1993-06-28 1996-02-13 Advanced Control Technologies, Inc.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KR0128169B1 (ko) * 1993-12-31 1998-04-15 김광호 사용자 제어 정의 기능을 가지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
US5444996A (en) * 1994-07-14 1995-08-2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Washer and dryer communication
WO1996013135A1 (en) * 1994-10-20 1996-05-02 Ies Technologies, Inc. Automated appliance control system
DE19615357A1 (de) * 1995-05-11 1996-11-21 Miele & Cie Programmgesteuertes Haushaltgerä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US5715555A (en) * 1995-09-12 1998-02-10 Motorola Inc. Smart laundry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5978371A (en) * 1997-03-31 1999-11-02 Abb Power T&D Company Inc. Communications module base repeater
ITTO980134A1 (it) * 1998-02-20 1999-08-20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stema, dispositivo e metodo per il monitoraggio di una pluralita' di utenze elettriche, in particolare elettrodomestici, connesse in rete
US20020017117A1 (en) * 2000-07-25 2002-02-14 Sunshine Richard A. Integrated laundry center
JP2002085885A (ja) * 2000-09-11 2002-03-26 Toshiba Corp ランドリーシステム
EP1233602A4 (en) * 2000-09-27 2004-09-08 Ntt Docomo Inc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AND INSTALLATION FOR MANAGING SUCH DEVICES
US6587739B1 (en) * 2000-09-29 2003-07-01 Sunbeam Products, Inc. Appliance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and appliances for use in same
US20030115682A1 (en) * 2001-12-26 2003-06-26 Gardner Douglas W. Auto-programming of a dryer based on the washer cycle
US6838978B2 (en) * 2002-01-09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liance data collecting system
JP4473504B2 (ja) * 2002-12-19 2010-06-02 パナソニッ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電化製品を電灯線通信により制御する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40267473A1 (en) * 2003-06-27 2004-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transferring and utilizing data among laundry devices, users, and the like
US7096601B2 (en) * 2003-12-26 2006-08-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drying system
KR100600734B1 (ko) * 2004-02-25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97282A (ko) * 2004-04-01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대 세탁기의 통합관리장치 및 그 방법
WO2005122629A1 (en) * 2004-06-07 2005-12-22 Lg Electronics, Inc. Remot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the same
DK1698725T3 (da) * 2005-03-04 2008-01-02 Electrolux Home Prod Corp Husholdningsmaskiner til at vaske og/eller törre töj
US7866190B2 (en) * 2005-06-30 2011-01-1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having broadcasting receiver
CN1966808A (zh) * 2005-11-14 2007-05-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复合式洗涤装置及其控制方法
US8154857B2 (en) * 2007-01-04 2012-04-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host with multiple service interfaces for coupling multip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3349B2 (en) 2011-11-15 2016-04-05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95579B1 (ko) * 2011-11-15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9146971A1 (ko) * 2018-01-23 2019-08-01 삼성전자(주) 의류관리장치
US12110630B2 (en) 2018-08-14 2024-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2049724B2 (en) 2018-09-12 2024-07-30 Lg Electronics Inc. Clothing registration device and clothing recommendation device, and online system comprising same
WO2020055158A1 (ko) *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US11910920B2 (en) 2018-09-12 2024-02-2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online system
WO2020122293A1 (ko) * 2018-12-14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스케쥴링 장치
US11227596B2 (en) 2018-12-14 2022-01-18 Lg Electronics Inc. Laundry scheduling device
US11447905B2 (en) 2018-12-31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718943B2 (en) 2018-12-3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447910B2 (en) 2019-09-03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WO2022039367A1 (ko) * 2020-08-18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시스템 및 의류 관리 기기
KR20230007695A (ko) * 2021-07-06 2023-01-1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수납형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87684A1 (en) 2009-02-19
BRPI0804490A2 (pt) 2011-08-30
EP2074250A2 (en) 2009-07-01
WO2009022831A3 (en) 2010-11-11
WO2009022831A2 (en) 2009-02-19
CN102131975A (zh) 2011-07-20
US20100236296A1 (en) 2010-09-23
EP2074250A4 (en) 2011-04-20
CN101328659A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7826A (ko) 복합의류처리시스템
US1189829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90119848A1 (en) Clothes treat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82377B1 (ko)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US7458171B1 (en) Dehumidifier clothes dryer apparatus
CN102286872B (zh) 一种带热泵烘干和除湿功能的洗衣干衣机
CN106930080A (zh) 一种干衣机的控制系统、干衣机及其控制方法
CN201627096U (zh) 多功能箱体式干衣机
KR101366331B1 (ko) 의류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761337B (zh) 干衣机及其控制方法
KR102388708B1 (ko) 옷장
WO2006009774A2 (en)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CN206625047U (zh) 一种干衣机的控制系统及干衣机
CN204959420U (zh) 一种具有快速干衣功能的展示柜
CN101301146A (zh) 衣物保管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436235A (zh) 一种室外智能干衣柜及其控制方法
KR100782375B1 (ko)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KR100690897B1 (ko) 에어컨의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기 키트 및 이를 구비한에어컨 시스템
KR100741801B1 (ko)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기 및 이를 구비한에어컨 시스템
CN105088718A (zh) 一种具有快速干衣功能的展示柜
CN108779932A (zh) 调湿装置
JP5266951B2 (ja) 衣類乾燥機
US20230235498A1 (en) Clothes dryer
CN114561785A (zh) 衣物护理机及衣物护理机的温度控制方法
KR2017006882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