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271A - 세탁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271A
KR20120038271A KR1020100099942A KR20100099942A KR20120038271A KR 20120038271 A KR20120038271 A KR 20120038271A KR 1020100099942 A KR1020100099942 A KR 1020100099942A KR 20100099942 A KR20100099942 A KR 20100099942A KR 20120038271 A KR20120038271 A KR 20120038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cloth
washing
contamination
amou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이지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8271A/ko
Priority to US13/137,152 priority patent/US20120090099A1/en
Priority to ES11177881.7T priority patent/ES2557602T3/es
Priority to EP11177881.7A priority patent/EP2441871B1/en
Priority to RU2011135435/12A priority patent/RU2490382C2/ru
Priority to CN201110272502.6A priority patent/CN102443998B/zh
Publication of KR2012003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1/04Quantity, e.g.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1/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0Temperature of washing liquids; Heat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고,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코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 코스로 세탁포의 세탁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를 확인하고 세탁포의 오염 종류 및 오염의 양을 예측하여 운전 코스를 결정함으로써, 세탁 시 마다 세탁포의 용도별로 적절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포 세탁 시 세탁포 오염의 종류 및 양에 따른 적절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 시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여 세탁 시간 및 헹굼 수를 조정함으로써 세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 시 세탁포 오염의 종류 및 오염의 양에 적절한 세제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투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운전 코스를 제어하기 위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포에 충격과 같은 에너지를 가하여 세탁포로부터 오염물을 분리시키는 장치로서, 세탁기는 세탁포에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 세탁기, 애지테이터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펄세이터 세탁기는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생긴 물살로 세탁을 하는 방식이고, 애지테이터 세탁기는 세탁조의 중앙에 치솟은 날개 모양의 교반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을 하는 방식이며, 드럼 세탁기는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포를 낙하시켜 세탁포에 충격을 주어 세탁포를 세탁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제가 용해된 물로 세탁포를 세탁하는 세탁 행정, 맑은 물에 세탁포를 헹구는 헹굼 행정, 세탁포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 행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포의 세탁 시 세탁포의 섬유 탈락, 염료 탈락 등의 오류 인자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상황에서 오염의 종류와 세제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각 행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세탁이 불가능하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포의 세탁 시 이미 정해져 있는 운전 코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코스로 각 행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세탁포의 오염 특성에 따른 세탁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세탁기는 세탁포의 세탁 시 세탁포에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오염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므로 세탁 효율성이 떨어지고, 그 효용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코스를 결정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한 운전 코스로 운전 수행 시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여 세탁 행정 시 모터 운전율 및 모터 RPM 등 오염 제거를 위해 가해지는 기계력, 세탁 시간, 세탁 온도, 세탁수의 양, 헹굼 횟수, 헹굼수의 양 및 탈수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 행정 시 필요한 세제의 종류 및 세제의 양을 표시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 행정 시 필요한 세제의 양을 결정하고, 세제통에 저장된 세제의 양을 조절하여 드럼 내로 투입시키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고,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코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 코스로 세탁포의 세탁을 제어한다.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부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포함한다.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세탁포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종류를 예측하고, 세탁포의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예측된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의 양에 기초하여 세제 종류 및 세제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결정된 세제의 종류, 세제의 양, 운전 코스 등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다.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인 경우, 의류를 착용하는 착용자 정보, 착용 패턴 정보, 착용 목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세탁포의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은, 세탁포의 무게를 검출하고, 세탁포의 무게에 기초하여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한다.
운전 코스를 결정하는 것은,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의 양에 기초하여 세탁수의 양, 세탁 시간, 세탁 시 모터의 RPM 및 운전율, 세탁 온도, 헹굼 횟수, 헹굼수의 양, 탈수 속도, 탈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날씨,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 받고, 날씨,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날씨,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날씨,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타이머 정보에 기초하여 날짜 및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판단하고,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제의 종류 및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세제의 유출을 조절하여 결정된 세제의 양을 자동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세제의 종류 및 양을 결정하는 것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오염의 종류 및 양을 예측하고, 오염의 종류 및 양에 기초하여 세제의 종류 및 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결정된 운전 코스로 세탁포의 세탁을 제어하되, 운전 코스 수행 중 오염도를 검출하고, 오염도에 기초하여 세탁기의 기능구현과 관련된 구동부들 예를 들어 세탁 행정 중 모터의 RPM 및 운전율, 세탁 시간, 세탁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량 및 탈수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 행정 중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염도와 미리 설정된 예측 오염도를 비교하고, 검출된 오염도가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 시간 및 헹굼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은, 조정된 세탁 시간 및 헹굼 횟수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 행정 중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염도와 미리 설정된 제 1 예측 오염도를 비교하고, 검출된 오염도가 제 1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세탁 행정 중 세탁 시간을 추가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헹굼 행정 중 헹굼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염도와 미리 설정된 제 2 예측 오염도를 비교하고, 검출된 오염도가 제 2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헹굼 행정의 횟수를 추가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를 확인하고 세탁포의 오염 종류 및 오염의 양을 예측하여 운전 코스를 결정함으로써, 세탁 시 마다 세탁포의 용도별로 적절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포 세탁 시 세탁포 오염의 종류 및 양에 따른 적절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 시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여 세탁 시간 및 헹굼 수를 조정함으로써 세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 시 세탁포 오염의 종류 및 오염의 양에 적절한 세제량을 투입할 수 있어 세제량의 과다 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세제량 부족에 따라 세탁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세제 사용에 따른 세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면 예시도이다. 여기서 세탁기는 드럼 세탁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드럼 세탁기는 본체(10), 도어(20), 터브(30), 드럼(40), 모터(50), 급수장치(60), 세제통(70), 배수장치(8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드럼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 측에는 세탁 포를 투입하고 꺼낼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에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장착되어 있고, 투입구의 둘레 면에는 도어(20)와 투입구 사이의 밀폐를 위한 가스켓(25)이 장착되어 있다.
터브(30)는 본체(10) 내에 고정 설치되고 급수장치(60)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수용한다. 그리고, 터브(30)의 외측에는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모터(50)가 장착된다.
드럼(40)은 터브(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터브(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드럼(40)은 외측에 회전축(45)이 장착되어 있고, 이 회전축(45)은 터브(3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터브(30)의 외측에 장착된 모터(5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드럼(40)은 터브(30)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드럼(40)은 일면이 개구되어 있고, 나머지 면은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40)은 도어(40) 개방 시 개구된 면을 통해 세탁 포가 수용되고, 나머지 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세탁수가 유입된다.
모터(50)는 세탁포의 무게 감지 시, 세탁 행정 시, 헹굼 행정 시, 탈수 행정 시에 회전하고, 회전에 따른 회전력으로 드럼(40)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40) 내에 수용된 세탁포의 세탁, 헹굼, 탈수가 수행되도록 한다.
급수장치(60)는 급수관(62, 66) 및 급수밸브(64)를 가진다.
여기서, 급수관(62)은 일 단이 외부의 수도관(미도시) 등에 연결되고, 또한 다른 단이 세제통(70)과 연결되어 있어,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제통(70) 내로 안내한다.
급수관(66)은 세제통(70)과 터브(30)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된 세제통(70)의 물을 세제와 함께 터브(30) 및 드럼(40) 내로 안내한다.
급수밸브(64)는 세탁 및 헹굼 행정 시 개폐되어 터브(30) 및 드럼(40) 내로의 물의 공급을 조절한다.
세제통(70)은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세제를 저장한다. 이러한 세제통(70)은 세탁 행정 시 급수관(62)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을 세제와 함께 급수관(64)로 유출시키는 유로가 된다.
세제통(70)은 세제량 조절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세제량 조절부(미도시)는 세제통(70)에 저장된 세제의 양을 조절하여 세제통(70) 밖으로 유출시킨다. 즉 세제량 조절부(미도시)는 세제통(70)의 세제의 양을 조절하여 드럼(40) 내로 투입시킨다.
배수장치(80)는 펌프(82) 및 배수관(84, 86)을 가진다. 여기서 펌프(82)는 배수 및 탈수 행정 시 터브(30) 및 드럼(40) 내부의 물을 펌핑하고, 배수관(84)은 터브(30) 하부에 마련되어 펌프(82)의 펌핑 시 세탁수가 유입되고, 배수관(86)은 펌프(82)의 펌핑 시 배수관(84)에 유입된 세탁수를 외부로 가이드함으로써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로,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급수밸브 구동부(150), 모터구동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 및 날씨, 날짜나 계절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의류, 수건, 이불 등의 세탁포의 종류와,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인 경우 착용자의 정보 및 착용 목적, 착용 패턴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세탁포의 용도 정보 중 의류는 착용 목적에 따라 외출복, 직업복, 평상복, 운동복, 속옷, 양말 등을 포함하고, 이 중 직업복은 직업에 따라 의료 가운, 미용 가운, 요리 가운, 군복, 경찰복, 교복, 와이셔츠, 정비복 등을 포함하고, 운동복은 실내외 운동 종류에 따라 헬스복, 축구복, 등산복, 야구복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의류의 착용 목적은 세탁포의 소재 및 오염의 종류 파악이 가능한 요소가 된다.
아울러, 현재 날짜 또는 계절 정보의 제공에 따라 소재 파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계절이 겨울인 상태에서 외출복이란 세탁포의 용도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외출복의 소재를 울이나 모로 예측한다. 즉, 겨울 외출복으로 울이나 모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착용 패턴 정보는 계절별로 세탁 전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령 정보는 착용자가 1세 미만의 영아인지, 1세 내지 6세의 유아인지, 18세 미만의 아동인지, 18세 이상의 성인인지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각 연령층의 피부에 맞는 세제의 종류나 양을 결정하는 요소가 되고, 의류의 사이즈 예측 및 의류의 소재 파악이 가능한 요소가 된다.
또한 연령별 생활 환경 차이로 인한 주 오염의 종류와 양이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연령 정보는, 오염의 종류와 양을 예측하기 위한 요소가 된다.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세탁포의 사이즈 정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세탁포의 사이즈 정보는 오염의 양을 예측 시 고려되는 정보이다. 여기서 세탁포의 사이즈 정보는 착용자의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직접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미도시), 세탁포에 부착된 의류 정보 저장 장치인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부(미도시)나 세탁포에 부착된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인식하기 위한 QR코드 인식부, 세탁포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는 키패드,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조작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바코드 인식부는 세탁포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세탁포에 부착된 바코드는 세탁포의 품명, 소재, 사이즈, 세탁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세탁포의 소재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날짜, 계절, 날씨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조작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현재 날짜, 계절 정보는 세탁기 내부에 마련된 타이머(미도시)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날씨, 날짜, 계절 정보는 외부 기기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0)에서 전송된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종류를 판단하고, 세탁포의 소재 및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을 예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예측 시 현재 날짜, 계절, 날씨 정보도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입력부(110)가 바코드 인식부나 QR코드 인식부인 경우, 바코드 인식부나 QR코드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세탁포의 품명에 따른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및 사이즈 등의 정보를 알아내고 이에 기초하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을 예측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부(110)가 영상부인 경우, 영상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영상 처리한 후 영상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세탁포의 소재 및 사이즈,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을 예측한다. 여기서 사이즈는 오염의 양을 예측하기 위해 고려되는 정보이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세탁포의 사이즈,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 코스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40)의 구동을 제어하고, 결정된 운전 코스에 기초하여 급수밸브(64) 및 모터(5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결정된 운전 코스에 대응하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대응하는 세제의 종류 및 세제량, 세탁 온도 등을 판단하고, 판단된 세제의 종류, 세제량, 세탁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해당 세제가 세제통(7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세제량 조절부(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여 유출되는 세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해당 세제가 세제통(70)에서 드럼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입력부(110)에서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전송받은 후 모터(50)의 구동을 제어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포의 무게를 검출하고, 검출된 세탁포의 무게에 기초하여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30)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량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가 저장되어 있고,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량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세제의 종류 및 세제의 양, 최적 세탁 온도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 코스는 모터의 운전율, 모터의 RPM 등 세탁 행정 시의 기계력, 세탁수 온도, 세탁시간, 세탁수의 양, 헹굼 횟수, 헹굼수의 양, 중간 탈수 속도, 최종 탈수 속도, 중간 탈수 및 최종 탈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운전코스를 표시하고, 세제의 양과 세제의 종류, 세탁 온도 등을 표시하며, 운전 코스 수행 중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을 표시한다.
급수밸브구동부(15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급수밸브(64)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전송하여 급수밸브(64)가 온 또는 오프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 시 터브(30) 및 드럼(40)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터브(30) 및 드럼(40)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 및 헹굼 수의 양은,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모터구동부(16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모터(5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모터(5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세탁포의 무게 검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시 드럼(40)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드럼(40)의 회전력에 따른 세탁, 헹굼, 탈수 강도는,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순서도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세탁기는 전력이 공급되면 표시부(140)를 통해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다음 세탁기는 각 항목이 표시된 버튼을 통해 세탁포의 용도 정보, 날씨, 날짜, 계절 등을 입력(201)받는다. 여기서 각 항목이 표시된 버튼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버튼 또는 표시부와 별도로 마련된 버튼이다. 아울러 세탁기는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따른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현재 날짜, 계절 정보는 세탁기 내부에 마련된 타이머(미도시)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타이머로부터 획득된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계절을 판단한다.
또한 날씨, 날짜, 계절 정보는 외부 기기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기에 입력되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의류, 수건, 이불 등의 세탁포의 종류 정보와, 세탁포의 사이즈 정보이고,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인 경우 착용자의 연령 및 착용 목적, 착용 패턴 등의 정보이다.
여기서 의류는 착용 목적에 따라 외출복, 직업복, 평상복, 운동복, 속옷, 양말 등으로 구분되고, 이 중 직업복은 직업에 따라 의료 가운, 미용 가운, 요리 가운, 군복, 경찰복, 교복, 와이셔츠, 공사 작업복, 정비복 등으로 구분되며, 운동복은 실내외 운동 종류에 따라 헬스복, 축구복, 등산복, 야구복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착용 패턴 정보는 세탁 전 의류를 착용하고 있던 시간 등의 정보이다.
아울러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바코드인식부, QR 코드 인식부를 통해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세탁포의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통해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세탁포의 바코드를 인식하고 이를 판독하여 세탁포의 품명에 대응하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영상부를 통해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영상부를 통해 세탁포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경우 획득된 세탁포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고, 영상 처리된 세탁포의 영상으로부터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를 예측(202)한다. 이때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가 수건이면, 수건에 많이 쓰이는 소재를 예측하며, 이때 수건의 경우 면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세탁포의 소재를 면으로 예측한다.
그리고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이면, 착용 목적에 대응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의류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를 예측한다. 이때 의류가 운동복 중 등산복인 경우 세탁포의 소재를 고어텍스, 네오셀, 하이퍼텍스 등으로 예측한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이면,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의류의 소재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자가 영아로 판단된 경우 의류의 소재를 영아의 의류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면으로 예측한다.
아울러 세탁기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날짜, 계절,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세탁포의 소재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재 계절이 겨울인 상태에서 세탁포의 종류가 외출복이면 겨울 외출복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를 예측한다. 이때 세탁포의 소재를 울 또는 모로 예측한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종류를 예측(203)한다.
이때,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따라 오염의 종류가 수용성인지, 지용성인지, 착색 가능성이 있는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세탁포의 용도가 손이나 얼굴 등을 닦기 위한 수건인 경우 수건에 오염된 오염의 종류를 물 및 피지로 예측하고, 세탁포의 용도가 자동차 정비 시 착용하기 위한 의류인 경우 오염의 종류를 지용성으로 예측하고, 세탁포의 용도가 요리 시 착용하기 위한 요리 가운인 경우 오염의 종류를 지용성으로 예측하고 또한 음식물에 의한 착색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아울러 세탁기는 세탁포의 용도가 착용을 위한 의류인 경우 착용자의 연령 정보를 고려하여 연령별 생활 환경의 차이에 따른 오염의 종류를 예측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세탁포가 평상복인 경우 유아의 평상복에 오염된 오염의 종류를 음식물, 흙, 먼지 등으로 예측하고, 성인의 평상복에 오염된 오염의 종류를 땀 등으로 예측한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오염의 양을 예측(204)한다.
즉, 세탁포의 용도가 손이나 얼굴을 닦기 위한 수건인지, 취침 시 덮기 위한 이불인지, 사용자가 착용하기 위한 의류인지 판단됨에 따라 사이즈 예측이 가능하고, 예측된 사이즈로부터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오염의 양을 예측 가능한 예를 설명한다.
일예로, 사용자로부터 세탁포의 사이즈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세탁포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인 경우 착용자의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탁포의 종류가 운동복인 경우, 유아의 운동복보다 성인의 운동복의 사이즈가 더 크기 때문에 연령이 올라갈 수록 오염량이 더 많다고 예측한다.
또 다른 예로, 오염의 양은 착용자의 의류 착용 패턴을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같은 옷을 오랫동안 입을 수록 오염의 양이 많아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세탁포의 무게를 검출하고 검출된 무게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세탁기는 세탁포의 바코드 또는 QR코드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품명,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사이즈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양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를 결정(205)하고, 결정된 운전 코스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세탁기는 운전 코스 결정 시, 세탁포의 소재에 대응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결정하고, 세탁수 및 헹굼수의 양을 결정하고,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시의 회전력을 각각 결정하고, 또한 세탁 행정 시 세탁 시간, 헹굼 시간, 헹굼 행정의 횟수, 탈수 행정 시 탈수 강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량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는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기초하여 세제의 종류를 판단하고,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양에 기초하여 세제의 양을 결정한다.
여기서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량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세제의 종류 및 세제의 양도 미리 저장되어 있다.
세제의 종류는 합성세제, 색깔 옷을 선명하게 하는 산소계 표백제, 살균소독 및 곰팡이 제거 등에 사용되는 염소계 표백제, 드라이 클리닝용 의류에 사용하는 울 전용세제(중성세제), 섬유 유연제, 아기용 세제 등이 있다.
그리고 세제의 종류 판단 시, 연령별 피부 자극을 고려하여 세제의 종류나 양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탁포의 종류가 영아의 의류이면 세제의 종류로 아기용 세제를 소량 결정하고, 세탁포의 종류가 착색 가능성 있는 의류이면 세제의 종류로 합성 세제와 표백제를 결정하고, 세탁포의 종류가 착색 가능성이 있는 의류이지만 염소계 표백제에 의해 변색되는 나일론과 같은 소재이면 세제의 종류로 드라이 클리닝용 세제만을 결정한다.
다음 판단된 세제의 종류 및 세제의 양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때 적정 세탁 온도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포의 세탁에 적절한 세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양의 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세탁기는 세제량 조절부(미도시)를 구동시켜 세제통(70)으로부터 드럼(40)내로 유출되는 세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양의 세제가 드럼 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세제통(7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세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각 칸이 분리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고, 각 칸은 칸별 저장 가능한 세제가 미리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세탁 시 세탁포 오염의 종류 및 오염의 양에 적절한 세제량을 투입할 수 있어 세제량의 과다 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세제량 부족에 따라 세탁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세제 사용에 따른 세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세탁기는 세제가 투입되면 운전 코스에 기초하여 급수밸브(64) 및 모터(50)를 구동시켜 결정된 운전 코스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을 수행(206)한다. 이때 세탁기는 운전 코스 수행 중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을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이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를 확인하고 세탁포의 오염 종류 및 오염의 양을 예측하여 운전 코스를 결정함으로써, 세탁 시 마다 세탁포의 용도별로 적절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포 세탁 시 세탁포 오염의 종류 및 양에 따른 적절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로, 입력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표시부(340), 급수밸브 구동부(350), 모터 구동부(360), 오염도 검출부(370)를 포함한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오염도 검출부(3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310), 표시부(340), 급수밸브 구동부(350), 모터 구동부(36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 표시부(140), 급수밸브 구동부(150), 모터 구동부(160)의 구성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오염도 검출부(370)는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여 제어부(320)로 전송한다.
제어부(320)는 입력부(310)인 조작부를 통해 전송된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사이즈,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을 예측한다. 이때 제어부(320)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예측 시 현재 날짜, 계절, 날씨 정보도 고려한다.
제어부(320)는 입력부(310)인 바코드 인식부 또는 QR코드인식부를 통해 전송된 바코드 정보 또는 QR코드를 판독하여 세탁포의 품명에 따른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및 사이즈를 판단하고, 세탁포의 종류에 따라 세탁포의 용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세탁포의 용도에 따른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을 예측한다.
제어부(320)는 입력부(310)인 영상부를 통해 획득된 세탁포의 영상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사이즈,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320)는 입력부(310)에서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전송받은 후 모터(50)의 구동을 제어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포의 무게를 검출하고, 검출된 세탁포의 무게에 기초하여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20)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 코스에 기초하여 급수밸브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결정된 운전 코스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대응하는 세제의 종류 및 양을 판단하고, 판단된 세제의 종류 및 양, 세탁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해당 세제가 세제통(7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320)는 세제량 조절부(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세제가 세제통(70)에서 드럼으로 판단된 양만큼 유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20)는 세탁 행정 중 오염도 검출부(370)에서 전송된 세탁수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세탁 시간을 조정할 것인지 판단하고, 세탁 행정 시간 조정 시 조정된 세탁 시간이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표시부(3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조정된 세탁 시간은, 검출된 세탁수의 오염도와 미리 설정된 제 1 예측 오염도와 비교하여 검출된 세탁수의 오염도가 제 1 예측 오염도를 초과할 경우 미리 설정된 조정 시간만큼 조정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 1 예측 오염도는, 세탁포의 용도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별 세탁 행정 시의 예측 오염도이다.
아울러 세탁 시간은 제 1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는 정도에 대응하여 추가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20)는 헹굼 행정 중 오염도 검출부(370)에서 전송된 헹굼수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헹굼 행정의 횟수를 추가할 것인지 판단하고, 헹굼 행정 횟수 추가 시 추가된 헹굼 횟수가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표시부(3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헹굼 행정 횟수는, 헹굼수의 검출 오염도와 미리 설정된 제 2 예측 오염도를 비교하여 검출된 세탁수의 오염도가 제 2 예측 오염도를 초과할 경우 일회 추가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 2 예측 오염도는, 세탁포의 용도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별 헹굼 행정 시의 예측 오염도이고, 복수의 헹굼 행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헹굼 행정에서의 제2 예측 오염도는 서로 상이하다.
아울러 헹굼 행정 횟수는, 제 2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는 정도에 대응하여 추가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330)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량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가 저장되어 있고,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량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세제의 종류 및 세제의 양, 최적 세탁 온도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 코스는 모터의 운전율, 모터의 RPM 등 세탁 행정 시의 기계력, 세탁수 온도, 세탁시간, 세탁수의 양, 헹굼 횟수, 헹굼수의 양, 중간 탈수 속도, 최종 탈수 속도, 중간 탈수 및 최종 탈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저장부(330)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별 제 1 예측 오염도 및 제 2 예측 오염도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예측 오염도는 세탁 행정 중 세탁포의 오염물이 세탁 수에 섞이는 정도를 예측한 값이고, 제 2 예측 오염도는 헹굼 행정 중 세탁포의 오염물이 헹굼 수에 섞이는 정도를 예측한 값이다. 즉, 예측한 각 값은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된 세탁포의 오염 종류 및 오염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저장부(330)는 세탁 행정 시 세탁수의 검출 오염도에 기초한 세탁 행정의 조정 시간이 저장되어 있고, 각 헹굼 행정 시 세탁수의 검출 오염도에 기초한 헹굼 행정의 추가 횟수가 저장되어 있다.
즉, 저장부(330)는 세탁수의 검출 오염도가 제1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추가할 추가 세탁 시간이 미리 저장되어 있고, 헹굼수의 검출 오염도가 제2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추가할 추가 헹굼 행정 횟수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추가 헹굼 행정 횟수는 1회이다.
아울러 저장부(330)는 제1예측 오염도를 초과한 정도에 대응하는 추가 세탁 시간이 저장되어 있고, 제2예측 오염도를 초과한 정도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 횟수가 저장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 시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여 세탁 시간 및 헹굼 수를 조정함으로써 세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순서도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 세탁기는 각 항목이 표시된 버튼을 통해 세탁포의 용도 정보, 날씨, 날짜, 계절 등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각 항목이 표시된 버튼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버튼 또는 표시부와 별도로 마련된 버튼이다. 아울러 세탁기는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따른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현재 날짜, 계절 정보는 세탁기 내부에 마련된 타이머(미도시)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타이머로부터 획득된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계절을 인식한다.
또한 날씨, 날짜, 계절 정보는 외부 기기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기에 입력되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의류, 수건, 이불 등의 세탁포의 종류 정보와, 세탁포의 사이즈 정보이고,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인 경우 착용자의 연령 및 착용 목적, 착용 패턴 등의 정보이다.
여기서 의류는 착용 목적에 따라 외출복, 직업복, 평상복, 운동복, 속옷, 양말 등으로 구분되고, 이 중 직업복은 직업에 따라 의료 가운, 미용 가운, 요리 가운, 군복, 경찰복, 교복, 와이셔츠, 공사 작업복, 정비복 등으로 구분되며, 운동복은 실내외 운동 종류에 따라 헬스복, 축구복, 등산복, 야구복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착용 패턴 정보는 세탁 전 의류를 착용하고 있던 시간 등의 정보이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소재를 예측한다.
이때 세탁포의 용도 정보와 저장부(33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확인함으로써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이면,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의류의 소재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고 세탁포의 용도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날짜, 계절, 날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세탁포의 소재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종류를 예측한다. 이때, 세탁포의 용도에 따라 오염의 종류가 수용성인지, 지용성인지, 착색 가능성이 있는 것인지 판단한다.
아울러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인 경우 착용자의 연령 정보를 고려하여 연령별 생활 환경의 차이에 따른 오염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오염의 양을 예측한다.
여기서 오염은 양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세탁포의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고, 착용자가 세탁 전 의류를 착용한 시간 정보를 가지는 의류 착용 패턴을 고려하여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며, 세탁포의 바코드 또는 QR코드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탁포의 무게를 검출하고 검출된 무게에 기초하여 세탁포의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 코스를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세탁기는 운전 코스 결정 시, 세탁포의 소재에 대응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결정하고,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시의 회전력을 각각 결정하고, 또한 세탁 행정 시 세탁 시간, 각 헹굼 시간, 헹굼 행정의 횟수, 탈수 행정 시 탈수 강도를 결정한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에 기초하여 세제의 종류를 판단하고, 세탁포의 종류,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양에 기초하여 세제의 양을 결정한다. 이때 판단된 세제의 종류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아울러 세탁 온도도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다음, 운전 코스에 기초하여 급수밸브(64) 및 모터(50)를 구동시켜 결정된 운전 코스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을 수행한다.
세탁기는 세탁 행정을 시작(401)하면 세탁 행정 중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402)하고, 검출된 세탁수의 오염도를 분석하여 세탁 시간을 조정해야 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세탁수의 검출 오염도와 제1 예측 오염도를 비교(403)하고, 세탁수의 검출 오염도가 제1 예측 오염도 이하이면 세탁 시간을 유지(404)하고, 유지된 세탁 시간 동안 세탁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 행정을 완료(406)한다.
반면 세탁수의 검출 오염도가 제1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세탁 시간을 추가함으로써 세탁 시간을 조정(405)하고, 조정된 세탁 시간을 표시부(340)에 표시하고, 조정된 세탁 시간 동안 세탁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 행정을 완료(406)한다.
여기서 추가되는 세탁 시간은 정해진 하나의 값이 아닌, 제 1 예측 오염도에서 초과된 오염도에 비례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세탁기는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배수펌프(82)를 구동시켜 배수 행정을 수행하고, 배수 행정이 완료되면 중간 탈수 행정을 수행하고, 중간 탈수 행정이 완료되면 급수 행정을 수행하고, 급수 행정이 완료되면 헹굼 행정을 수행(407)한다.
세탁기는 헹굼 행정이 시작(407)되면 헹굼 행정 중 헹굼수의 오염도를 검출(408)하고, 검출된 헹굼수의 오염도를 분석하여 헹굼 행정의 횟수를 조정해야 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세탁기는 검출된 헹굼수의 오염도와 제2 예측 오염도를 비교(409)하고, 헹굼수의 검출 오염도가 제2 예측 오염도 이하이면 헹굼 행정 횟수를 유지하고, 유지된 헹굼 행정 횟수로 헹굼 행정을 수행하여 헹굼 행정을 완료(410)한다.
반면 세탁기는 헹굼수의 검출 오염도가 제2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헹굼 횟수를 일회 추가함으로써 헹굼 행정 횟수를 조정하고, 조정된 헹굼 행정 횟수를 표시부(340)에 표시하고, 조정된 헹굼 행정 횟수만큼 헹굼 행정을 수행하여 헹굼 행정을 완료(411)한다. 이때 제 2 예측 오염도는 각 헹굼 행정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여기서 추가 헹굼 행정 횟수는 일회가 아닌 제 2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는 오염도에 비례하는 복수 횟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세탁기는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배수펌프(82)를 구동시켜 배수 행정을 수행한다.
다음, 직전에 완료된 헹굼 행정이 최종 헹굼 행정인지 판단(412)한다. 이때 최종 헹굼 행정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중간 탈수 행정을 수행하고, 중간 탈수 행정(413)이 완료되면 급수 행정을 수행하고, 급수 행정이 완료되면 다음 헹굼 행정을 수행한다. 반면 최종 헹굼 행정이라고 판단되면 최종 탈수 행정을 수행(414)한다.
아울러, 세탁 행정 중 검출된 세탁수의 오염도가 세탁포의 용도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별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세탁 시간과 헹굼 횟수를 함께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본체 20: 도어
30: 터브 40: 드럼
50: 모터 60: 급수장치
70: 세제통 80: 배수장치

Claims (20)

  1.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코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운전 코스로 상기 세탁포의 세탁을 제어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조작부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
    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포의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상기 세탁포에 부착된 의류 정보 저장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의류 정보 저장 장치의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포의 소재, 상기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종류를 예측하고, 상기 세탁포의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및 오염의 양에 기초하여 세제 종류 및 세제량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세제의 종류, 세제의 양, 운전 코스 등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상기 세탁포의 종류, 상기 세탁포의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세탁기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포의 용도 정보는,
    상기 세탁포의 종류가 의류인 경우, 상기 의류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정보, 착용 패턴 정보, 착용 목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포의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세탁포의 무게를 검출하고,
    상기 세탁포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포에 오염된 오염의 양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코스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세탁포의 소재, 상기 오염의 종류 및 상기 오염의 양에 기초하여 세탁수의 양, 세탁 시간, 세탁 시 모터의 RPM 및 운전율, 세탁 온도, 헹굼 횟수, 헹굼수의 양, 탈수 속도, 탈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날씨,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날씨,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날씨,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날씨,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타이머 정보에 기초하여 날짜 및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날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포의 소재,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예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포의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세제의 종류 및 양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세제의 유출을 조절하여 상기 결정된 세제의 양을 자동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의 종류 및 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세탁포의 용도에 기초하여 상기 오염의 종류 및 양을 예측하고,
    상기 오염의 종류 및 양에 기초하여 상기 세제의 종류 및 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운전 코스로 상기 세탁포의 세탁을 제어하되, 상기 운전 코스 수행 중 오염도를 검출하고,
    상기 오염도에 기초하여 세탁 행정 중 모터의 RPM 및 운전율, 세탁 시간, 세탁 온도, 헹굼 횟수, 헹굼 수량 및 탈수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세탁 행정 중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염도와 미리 설정된 예측 오염도를 비교하고,
    상기 검출된 오염도가 상기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을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시간 및 헹굼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조정된 세탁 시간 및 헹굼 횟수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세탁 행정 중 세탁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염도와 미리 설정된 제 1 예측 오염도를 비교하고,
    상기 검출된 오염도가 상기 제 1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세탁 행정 중 세탁 시간을 추가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헹굼 행정 중 헹굼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염도와 미리 설정된 제 2 예측 오염도를 비교하고,
    상기 검출된 오염도가 상기 제 2 예측 오염도를 초과하면 헹굼 행정의 횟수를 추가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0100099942A 2010-10-13 2010-10-13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20038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942A KR20120038271A (ko) 2010-10-13 2010-10-13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13/137,152 US20120090099A1 (en) 2010-10-13 2011-07-22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ES11177881.7T ES2557602T3 (es) 2010-10-13 2011-08-18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vadora
EP11177881.7A EP2441871B1 (en) 2010-10-13 2011-08-18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RU2011135435/12A RU2490382C2 (ru) 2010-10-13 2011-08-24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CN201110272502.6A CN102443998B (zh) 2010-10-13 2011-09-08 洗衣机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942A KR20120038271A (ko) 2010-10-13 2010-10-13 세탁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271A true KR20120038271A (ko) 2012-04-23

Family

ID=4476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942A KR20120038271A (ko) 2010-10-13 2010-10-13 세탁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90099A1 (ko)
EP (1) EP2441871B1 (ko)
KR (1) KR20120038271A (ko)
CN (1) CN102443998B (ko)
ES (1) ES2557602T3 (ko)
RU (1) RU2490382C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241A (ko) * 2012-03-19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5779A (ko) * 2013-01-25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20150016020A (ko) * 2013-08-02 2015-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8749A (ko) * 2014-04-15 2015-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0141770A1 (en) * 2018-12-31 2020-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1020633A1 (ko) * 2019-08-01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형 의류 처리 장치와 그 구동방법
WO2021045258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WO2023277601A1 (en) * 2021-06-30 2023-01-05 Lg Electronics Inc.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4612B2 (ja) 2012-06-12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システム
CN103046290B (zh) * 2012-12-28 2016-01-20 惠州Tcl家电集团有限公司 洗衣机洗涤方法和系统、服务器
US9518350B2 (en) 2013-01-08 2016-12-1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djusting operation of washing machine based on system modeling
CN103343435A (zh) * 2013-06-24 2013-10-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WO2015188304A1 (zh) * 2014-06-09 2015-12-1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涤控制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及洗涤控制方法
KR102216407B1 (ko) * 2014-06-10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DE102015201948A1 (de) 2015-02-04 2016-08-0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verbesserter Bedienbarkeit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CN106192289A (zh) * 2015-04-30 2016-12-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4963162B (zh) * 2015-05-29 2018-06-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控制方法和系统
CN106939488B (zh) * 2016-01-04 2021-01-05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以及洗衣机
CN109477281A (zh) * 2016-07-15 2019-03-15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用于确定特别是清洁策略的方法和装置
CN106149287B (zh) * 2016-09-08 2019-02-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洗衣方法和装置
CN106149288A (zh) * 2016-09-08 2016-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洗衣方法和装置
DE102016225274A1 (de) * 2016-12-16 2018-06-21 BSH Hausgeräte GmbH Steuerung eines Hausgeräts
CN106702667A (zh) * 2016-12-22 2017-05-24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衣机及其智能洗衣方法
DE102017200512A1 (de) 2017-01-13 2018-07-1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verbesserter Bedienung, Verfahren zu seinem Betrieb und System umfassend das Haushaltsgerät
KR102457530B1 (ko) * 2017-10-12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TR201719792A2 (ko) 2017-12-07 2019-06-21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CN109972353B (zh) * 2017-12-27 2022-10-25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衣物处理剂投放方法和衣物处理设备
DE102018200702A1 (de) 2018-01-17 2019-07-18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Organisation von zu behandelnden Wäschestücken sowie System zur Organisation dieser Wäschestücke
TWI663519B (zh) * 2018-01-19 2019-06-2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laundr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5270B1 (ko) * 2018-02-19 202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E102018203938A1 (de) 2018-03-15 2019-09-19 BSH Hausgeräte GmbH Scanner, diesen Scanner enthaltendes Scansystem sowie Verfahren zur Sortierung von zu behandelnden Wäschestücken
CN108577744B (zh) * 2018-06-20 2023-09-0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显示洗涤过程中洗净程度的方法、装置和洗碗机
EP3617367B1 (en) * 2018-08-30 2021-06-3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appliance with improved intensive treatment mode
CN112703286A (zh) 2018-09-12 2021-04-23 Lg电子株式会社 衣物登记装置和衣物推荐装置及包括这些装置的线上系统
CN111364202B (zh) * 2018-12-25 2023-03-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CN111364208B (zh) * 2018-12-26 2023-03-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清洗方法
WO2020184735A1 (ko) * 2019-03-08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52916A (ko) * 2019-11-01 202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세탁기
CN111020968A (zh) * 2019-11-04 2020-04-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洗衣机
CN112853674A (zh) * 2019-11-27 2021-05-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自学习控制方法
CN111041771A (zh) * 2019-12-30 2020-04-21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洗衣机、基于衣物脏污信息的自适应洗涤方法及终端
CN113981652A (zh) * 2020-07-27 2022-01-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02976A (ko) * 2021-01-14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세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 시스템
CN113862958B (zh) * 2021-09-18 2022-09-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洗衣机、存储介质及处理器
CN114114965B (zh) * 2021-11-11 2024-0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清洗设备的控制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438720A (zh) * 2022-01-24 2022-05-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衣物清洗方法、装置、洗衣机及存储介质
BE1030393B1 (de) * 2022-03-28 2023-10-24 Miele & Cie Verfahren zum Entfernen von Flecken von Wäsche und Waschautoma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437444A1 (ru) * 1987-03-27 1988-11-15 Киев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лег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тиральна машина
DE4202656A1 (de) * 1992-01-31 1993-08-05 Licentia Gmbh Waschmaschine mit einer elektronischen programmsteuereinrichtung
WO2001096645A2 (en) * 2000-06-12 2001-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consumer appliances
JP2002085885A (ja) * 2000-09-11 2002-03-26 Toshiba Corp ランドリーシステム
CN1521303A (zh) * 2003-02-13 2004-08-1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20040267473A1 (en) * 2003-06-27 2004-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transferring and utilizing data among laundry devices, users, and the like
KR101138881B1 (ko) * 2006-06-19 2012-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100836329B1 (ko) * 2006-09-20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의 세탁 방법
KR20080039647A (ko) * 2006-11-0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20090017826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의류처리시스템
WO2009066940A2 (en) * 2007-11-20 2009-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241A (ko) * 2012-03-19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5779A (ko) * 2013-01-25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20150016020A (ko) * 2013-08-02 2015-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8749A (ko) * 2014-04-15 2015-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32627A (ko) * 2014-04-15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0141770A1 (en) * 2018-12-31 2020-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447905B2 (en) 2018-12-31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718943B2 (en) 2018-12-3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1020633A1 (ko) * 2019-08-01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형 의류 처리 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1591736B2 (en) 2019-08-01 2023-02-28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t based clothes handl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WO2021045258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기기
WO2023277601A1 (en) * 2021-06-30 2023-01-05 Lg Electronics Inc.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3998A (zh) 2012-05-09
EP2441871A3 (en) 2013-12-04
RU2490382C2 (ru) 2013-08-20
RU2011135435A (ru) 2013-03-10
CN102443998B (zh) 2016-03-23
US20120090099A1 (en) 2012-04-19
EP2441871B1 (en) 2015-10-07
EP2441871A2 (en) 2012-04-18
ES2557602T3 (es)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8271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63154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962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32627A (ko)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07791B1 (ko) 운동화코스를 구비한 세탁장치
CN102199858A (zh) 洗衣机
KR101210999B1 (ko) 세탁기 및 그 급속 세탁방법
CN110295480B (zh) 一种洗涤设备及控制洗涤设备运行的方法
CN201538896U (zh) 一种洗衣机
JP2017000403A (ja) 洗濯機
TWI718482B (zh) 洗衣機
KR20100052054A (ko) 세탁기
KR20220111452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894195A (zh) 智能洗衣机和洗衣液投入量确定方法
US2007001703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urse of washing machine
US11591738B2 (en) Optimizing soak time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JP6295436B2 (ja) 洗濯機及び洗濯乾燥機
CA3221891A1 (en) Load detection and cycle modification in laundry appliance applications
KR20090114085A (ko) 스피드워시코스를 가지는 세탁장치
KR102116374B1 (ko) 세탁 행정 표시 방법
EP3412821A1 (en) Arrangement for determining optimal wash scheme for a load in a washing machine
KR102138377B1 (ko) 세탁 행정 표시 방법
KR102116382B1 (ko) 출력 화면
KR101154969B1 (ko) 세탁기의 행정 제어방법
KR101154968B1 (ko) 세탁기의 행정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