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377B1 - 세탁 행정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 행정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377B1
KR102138377B1 KR1020130089776A KR20130089776A KR102138377B1 KR 102138377 B1 KR102138377 B1 KR 102138377B1 KR 1020130089776 A KR1020130089776 A KR 1020130089776A KR 20130089776 A KR20130089776 A KR 20130089776A KR 102138377 B1 KR102138377 B1 KR 102138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particles
image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292A (ko
Inventor
이진아
공혜수
양정화
권은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377B1/ko
Priority to US14/894,590 priority patent/US20160153132A1/en
Priority to EP14804533.9A priority patent/EP3004449A4/en
Priority to PCT/KR2014/004748 priority patent/WO2014193157A1/en
Priority to CN201480028896.2A priority patent/CN105264137B/zh
Publication of KR2015001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행정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행되는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과 관련된 아이콘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을 표현하는 복수 개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이미지는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에 복수의 입자가 배치되도록 표현되고,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입자의 배치 및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 중 하나 이상이 나머지 제2 이미지와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이미지는 상기 각 이미지에서의 입자들의 개수, 크기, 위치 및 농도 중 하나 이상의 변화를 통해 상기 복수 입자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의 변화는 표면의 광택, 음영, 그림자, 상기 복수의 입자의 흐트러진 정도, 외곽 모양 중 하나 이상의 변화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큰 화면과 높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 세탁 진행 상황을 생동감 있고 화려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탁 행정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washing cycle}
본 발명은 세탁 행정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나 건조기와 같이 동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에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동작 상태를 생동감 있게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의 마찰 작용 및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 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 중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세탁, 헹굼, 탈수, 건조 과정 중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된 여러 코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각 과정이나 코스를 진행할 때 세탁물의 양, 물 높이, 세탁 세기, 헹굼 회수, 건조 시간 등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동작 조건이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세탁기 전면에는 조작부와 표시부가 설치된다.
세탁기의 경우 선택하거나 설정할 조건이 많기 때문에, 드럼식 세탁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 1에서 조작부를 확대한 그림과 같이, 여러 코스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노브(또는 다이얼), 여러 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단추, 여러 항목과 해당 항목에 설정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이 세탁기 전면에 복잡하고 어지럽게 배치되고, 또한 현재 세탁 진행 상태와 남은 시간 정도의 텍스트 정보만이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거나 LED 점멸등의 형태로 표시된다.
최근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플레이어와 같은 스마트 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세탁기, 냉장고와 같은 가전 기기도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형태, 즉 입력과 화면 출력이 함께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여 전면을 깔끔하게 장식하는 추세이다.
가전 기기에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 화면이 종래에 비해 커지고 해상도가 높아졌지만, 종래와 같이 현재 세탁 진행 상황이나 남은 시간과 같은 정보를 단순히 텍스트로 전달하면 큰 화면과 높은 해상도를 채택한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격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의 동작과 관련된 진행 상황을 생동감 있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현재 세탁 진행 상황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행정 표시 방법은, 진행되는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과 관련된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을 표현하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에 복수의 입자가 배치되도록 표현되고,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입자의 배치 및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 중 하나 이상이 나머지 제2 이미지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방울은 표면의 광택, 그림자 및 외곽 모양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입체 형상이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는 상기 각 이미지에서의 복수의 입자들의 개수, 크기, 위치 및 농도 중 하나 이상의 변화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의 변화는 표면의 광택, 음영, 그림자, 상기 복수의 입자의 흐트러진 정도, 외곽 모양 중 하나 이상의 변화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2 물방울이 새로 추가되거나 하나 이상의 제2 물방울의 개수, 크기 또는 위치가 바뀌어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물방울은 상기 물방울의 주위, 내부 또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부에는 격자 점들이 배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자 점들은 상기 아이콘 또는 입자들보다 어두운 농도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자 점들 중에서 상기 물방울의 중심 부근의 격자 점들이 상기 물방울의 외곽의 격자 점들보다 더 또렷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자 점들 중 하나 이상의 격자 점 쌍의 간격을 다른 격자 점 쌍의 것과 다르게 표현하여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는 상기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을 가리키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텍스트의 일부를 일그러지게 표현하여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내의 텍스트는 각 이미지마다 텍스트의 농도가 바뀔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와 상기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순환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 또는 상기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 하나 및 남은 시간을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세탁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저수조; 상기 저수조 안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세탁조; 상기 세탁조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 상기 저수조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장치; 상기 세탁기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고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 패널; 및 상기 급수 장치, 배수 장치 및 구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라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에서 진행되는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과 관련된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조작 패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을 표현하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형성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에 복수의 입자가 배치되도록 표현되는 제2 이미지를 형성하되,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입자의 배치 및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 중 하나 이상이 나머지 제2 이미지와 다르도록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 진행 상황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큰 화면과 높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현재 세탁 진행 상황을 생동감 있고 화려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전 기기의 입출력 장치를 스마트 기기의 것과 통일성을 갖도록 하고 가전 기기의 외관을 깔끔하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드럼식 세탁기의 사시도와 조작부/출력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는 드럼식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탑 로딩 방식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세탁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세탁기가 수행하는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진행 상황과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출력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 내지 도 14는 아이콘과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현재 진행 상황을 역동적으로 표현하는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현재 진행 상황과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출력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a 내지 도 16j는 아이콘,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 입자의 움직임이나 바람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입체 형상의 물방울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현재 진행 상황을 역동적으로 표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 행정 표시 방법에 대해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세탁기는 그 기능에 따라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의류 등의 세탁물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 열풍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그리고 세탁뿐만 아니라 건조까지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건조겸용 세탁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는 그 구조에 따라 세탁물을 위쪽으로부터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조(또는 내조 또는 드럼)가 수직하게 구비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탑 로딩 방식(top loading type)과 세탁물을 전방으로부터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조가 수평하게 구비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회전시켜 세탁을 하는 교반식(agitator type)과 세탁조의 아래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 또는 세탁조를 회전시켜 세탁을 하는 와류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될 수 있고, 프론트 로딩 방식은 통상 드럼 세탁기라고 불리는 것으로 세탁조를 이루는 드럼의 내주 면에 리프트가 구비되어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트에 의해 세탁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세탁기가 존재하나, 어느 것이든 저수조(또는 외조 또는 터브)나 세탁조(또는 내조 또는 드럼)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 장치와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한 후 외조로부터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장치를 구비한다.
특별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들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세탁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드럼식 세탁기의 사시도와 조작부/출력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는 드럼식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세탁기(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캐비닛(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저수조(터브 또는 외조)(120), 저수조(120)의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고 회전 가능한 세탁조(드럼 또는 내조)(130), 세탁조(130)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세탁조(130)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헹굼, 탈수시키기 위한 구동부(135), 사용자로부터 세탁기 작동을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 받고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조작 패널(50), 및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세탁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조 기능이 포함된 세탁기(100)는 건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0)은 각종 구성 요소가 내측과 외측에 장착되고 세탁기(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전방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115)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저수조(120)는 캐비닛(110) 안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도어(115)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도어(115) 쪽을 향해 개방된 형상이다.
저수조(120)는 상부의 스프링(121) 및 하부의 댐퍼(122)를 통해 캐비닛(110)에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세탁조(13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스프링(121)과 댐퍼(122)에 의해 완충 및 감쇠되어 세탁조(130)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또한, 저수조(120)의 위쪽에는 외부로부터 터브(13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 유로(123), 급수 유로(123)에 설치되어 물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 밸브(124), 급수 유로(123)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세제와 함께 저수조(120) 내부로 투입되도록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공급 장치(125)가 설치된다. 저수조(120)의 아래쪽에는 세탁 및 헹굼 등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 유로(126)와 배수 펌프(127)가 설치된다.
세탁조(130)는 저수조(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드럼(120) 내부에는 도어(115)쪽에서 투입되는 세탁물이 투입되어 적재된다. 세탁조(130)에는 세탁수가 통공되는 다수의 구멍(132)이 형성되며, 세탁조(130)의 안쪽에는 세탁조(130)가 회전될 때 세탁조(130)에 적재된 세탁물을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다수의 리프트(134)가 형성되며, 리프트(134)에 의한 세탁물의 유동에 따라 세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120)의 후면에는 세탁조(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35)가 장착되는데, 구동부(135)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세탁조(130)를 회전시키게 되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세탁조(130)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건조 기능이 있는 세탁기(100)는 저수조(120)의 바깥쪽에 건조 행정을 위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덕트(1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순환 덕트(140)는 저수조(120) 내부의 공기를 인출한 후 가열하여 다시 저수조(120)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순환 덕트(140)는 건조 덕트(141)와 응축 덕트(147)로 구분되고, 건조 덕트(141) 내부에는 저수조(120) 내측으로 뜨거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히터(143)와 송풍 팬(145)이 설치된다. 이러한 건조 덕트(141)와 응축 덕트(147)는 상호 연통됨과 아울러 세탁조(130)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저수조(120)에는 건조 덕트(141)를 통한 더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8)와 응축 덕트(147)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9)가 형성된다. 또한, 응축 덕트(147)에는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키도록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기(149)가 설치된다.
도 3은 탑 로딩 방식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세탁기(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10), 캐비닛(210)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저수조(220), 저수조(220) 내에 세탁물을 수용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조(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210)에는 세탁조(230)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고,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1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캐비닛(210)의 탑커버에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와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조작 패널(250)이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220)를 캐비닛(210)의 탑커버에 매달기 위한 스프링과 같은 현가 장치(221)가 둘 이상 복수 개 구비되는데, 한쪽이 탑커버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저수조(220)에 연결되어 세탁조(23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구동부(235)는 세탁조(230) 또는 펄세이터(또는 회전 날개)(2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벨트(236) 등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세탁조(230) 또는 펄세이터(24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간접 구동 방식의 모터로 구성되거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된 로터가 회전하는 직접 구동 방식의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5)는 모터의 회전력을 세탁조(230)와 펄세이터(24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를 포함한다.
급수 유로(223), 급수 밸브(224) 및 세제 박스(225)는 저수조(220)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 장치의 역할을 하는데,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과 연결된 급수 유로(223)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급수 유로(9)를 따라 유동하는 물은 세제 박스(225) 내에 수용된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되어 세탁조(230) 내로 세탁수로 급수된다.
세탁조(230)에는 세탁수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세탁조(230) 내로 급수된 세탁수는 구멍을 통해 저수조(220)로 이동할 수 있다.
?배수 유로(226)와 배수 밸브(227)는 저수조(220)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 장치의 역할을 하는데, 배수 밸브(227)가 개방될 때 저수조(220) 내의 세탁수가 배수 유로(2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수 유로(226) 상에 구비된 배수 펌프(미도시)에 의해 펌핑되어 배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세탁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세탁기(100)는, 세탁기의 세탁 행정을 조정하며 제반 사항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세탁조(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35), 저수조(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밸브(124), 저수조(120)의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127), 세탁조(130)에 담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세탁물 양 감지 센서, 세탁조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온도 센서, 진동 감지를 위한 진동 센서 등의 센서(165) 및 세탁기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151)와 세탁기의 동작 상태나 잔여 시간 등의 각종 세탁 정보를 소리나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52)를 포함하는 조작 패널(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어부(160)는 조작 패널(150)이 부착되는 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51)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세탁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데, 센서(165)를 통해 검지한 세탁물의 종류, 세탁물의 양, 세탁물의 더러운 정도 등을 기초로 자동으로 설정되는 최적의 세탁 패턴 또는 코스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코스에 따라 각 행정의 진행 여부나 각 행정 내에서의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및 건조 등의 동작 및 시간, 반복 횟수 등을 결정하고 이를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내부에 세탁 대상물 정보와 세탁 방식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저장부(미도시)를 내장할 수 있는데, 저장부는 다양한 의류에 대한 재질, 옷감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세탁물 정보에 대응되는 최적의 세탁 패턴, 즉 세탁, 헹굼, 탈수 방법, 순서, 시간, 회수 등을 미리 저장하고, 세탁기를 구동하는 구동 프로그램, 세탁, 건조, 탈수 등의 행정에 따른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세탁기가 수행하는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도시한 것이다.
세탁 행정은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세탁물에 적시고 세탁조(130)를 회전시켜 세탁물로부터 오염을 제거하는 행정으로, 급수, 세탁, 배수, 간이 탈수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고, 세탁물이 세탁조(130) 내에서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한 세탁물 분산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세탁 행정이 시작되면 출력부(152)를 통해 세탁 행정이 진행 중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급수는 외부 물 공급원(수도 꼭지)으로부터 물을 저수조(120) 내로 공급하는 것으로, 제어부(160)는 급수 밸브(124)를 개방하여 물 공급원에서 물이 급수 유로(123)를 거쳐 세제 공급 장치(125)로 흐르게 하고, 세제 공급 장치(125)에서 물이 세탁 세제,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와 혼합되어 저수조(120) 내로 유입된다. 제어부(160)는 저수조(120) 내로 유입되는 세탁 세제가 혼합된 물이 세탁물을 고루 적시게 할 수 있도록 구동부(135)를 구동하여 세탁조(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입력부(151)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급수 전에 측정된 세탁물 양이나 선택된 코스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하여 결정되는 목표 수위까지 물이 찰 때까지 급수가 진행되고, 물의 수위는 수위 감지 센서(165)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세탁물 양은 구동부(135)가 세탁조(130)을 일정 시간동안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 후 제어부(160)가 감속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데, 세탁조(130)의 감속 시간이 길수록 세탁물이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저수조(120) 내에 목표 수위까지 물이 유입되면 급수 밸브(124)를 차단하여 급수를 마친다.
세탁은 구동부(135)를 구동하여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에 담긴 세탁물을 수용하고 있는 세탁조(1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세탁조(130)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리프트(134)에 의해 퍼 올려진 후 떨어지고 세탁물 사이의 마찰과 세탁물의 낙차에 의하여 세탁물의 오염이 제거된다. 세탁 도중 제어부(160)는 구동부(135)를 제어하여 세탁조(130)를 다양한 속도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과열을 막기 위해 구동부(135)의 동작을 수초나 수분 간격으로 멈추게 할 수 있다.
배수는 저수조(120) 내의 세탁수를 캐비닛(110)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제어부(160)는 배수 펌프(127)(또는 배수 밸브)를 작동시켜 세탁조(130) 내의 세탁수가 배수 유로(126)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간이 탈수는 세탁물에 적셔진 세탁수가 빠져 나가도록 세탁조(1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세탁조(13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이 세탁조(130)의 내벽에 붙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세탁수가 세탁물로부터 분리된다. 간이 탈수는 세탁물이 건조될 정도로 탈수할 필요는 없으므로, 세탁물이 세탁조(130) 내벽에 붙어 회전할 정도의 속도로 세탁조(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간이 탈수 과정을 진행할 때 배수 펌프(127)를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저수조(120) 내의 세탁수가 배수 유로(126)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세탁물을 분산시키는 과정은 세탁조(130)의 회전 속도에 변화를 주어, 즉 회전 속도에 반복적인 가속과 감속을 유도하여 세탁물을 분산시키는 과정이다. 세탁이나 헹굼할 때 세탁물이 엉켜 세탁물이 한쪽으로 치우쳐 세탁조(130)가 편심 성분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고 이는 탈수 과정에 소음과 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탈수를 수행하기 전에 세탁물을 고루 분신시키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헹굼 행정은 섬유 유연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세탁물에 적신 후 세탁조(130)를 회전시켜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를 제거하는 행정으로, 헹굼이 두 번 반복되어 급수, 헹굼, 배수, 간이 탈수, 급수, 헹굼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고, 헹굼이 반복되지 않거나 3회 이상 반복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헹굼 행정이 시작되면 출력부(152)를 통해 헹굼 행정이 진행 중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급수는 앞서 설명한 세탁 행정의 급수와 마찬가지로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저수조(120) 내로 공급하는 것으로, 제어부(160)는 세탁수가 세탁물에 고루 적셔지도록 구동부(135)를 제어하여 세탁조(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헹굼은 세탁수가 적셔진 세탁물이 수용된 세탁조(1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세탁조(130)가 회전하면 세탁조 내의 세탁물이 리프트(134)에 의해 퍼 올려진 후 떨어져 세탁물 사이의 마찰과 세탁물의 낙하에 의해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나 오염물이 제거된다.
배수는 앞서 설명한 세탁 행정의 배수와 마찬가지로 저수조(120) 내의 세탁수를 캐비닛(110)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고, 간이 탈수도 세탁 행정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헹굼 행정이 끝날 때 세탁물을 분산시키는 세탁물 분산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탈수 행정은 세탁조(13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로부터 물을 분리시키는 행정으로, 배수와 본탈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탈수 행정이 시작되면 출력부(152)를 통해 탈수 행정이 진행 중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배수는 앞서 설명한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의 배수와 마찬가지로 세탁조(130) 내의 세탁수를 캐비닛(110)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고, 본탈수는 세탁물로부터 세탁수가 빠져 나가도록 세탁조(13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어부(160)는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의 간이 탈수보다 빠른 속도로 세탁조(130)를 회전시키고, 배수 펌프(127)를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저수조(120) 내의 세탁수가 배수 유로(126)를 따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건조 기능이 포함된 세탁기는 본탈수 후에 세탁조(13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행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세탁 가능한 용량이 증가하고 세탁조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세탁기에 여러 기능, 예를 들어 건조 기능, 스팀 기능, 수류 제어 기능 등이 부가되고, 다양한 코스 세탁이 가능해지고, 또한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각 행정마다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대용량 세탁기는, 예를 들어 표준 코스, 기능성 의류 코스, 조용조용 코스, 컬러케어 코스, 란제리/울 코스, 이불 코스, 헹굼+탈수 코스, 스팀 클리닝 코스, 알러지 케어 코스, 스피드 워시 코스, 알뜰 삶음 코스, 아기옷 코스, 찌든 때 코스 등과 같이, 세탁기에 설정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면 해당 코스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전부 또는 일부 행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코스가 여러 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세탁 행정을 선택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도, 스팀 세탁, 불림 세탁, 애벌 세탁, 강력 세탁, 표준 세탁, 적은때 세탁 등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맞추어 최적의 세탁 동작 및 이후의 헹굼, 탈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건조 행정의 경우에도, 청바지, 면/타올, 표준, 합섬, 셔츠, 란제리, 급속, 송풍, 신발 건조, 구김 방지, 살균 건조, 다림질용 알람 설정 등의 코스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세탁 코스나 건조 코스의 종류가 많아짐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이얼을 이용하여 세탁 코스를 선택하는 입력부와 출력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세탁 코스를 선택하는 다이얼 주위에 표시된 코스가 많아 혼돈스럽고 멀리서 바라보았을 때 어떤 코스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작은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크기도 한정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선택된 코스나 현재 진행중인 행정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최근 추세에 다라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형태의 입출력 장치를 채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이 크고 해상도가 높기 때문에 텍스트뿐만 아니라 도형이나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입력과 출력 표시가 함께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큰 출력 화면에 기기에 설정되어 진행되는 코스나 현재 동작 단계(행정)를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을 통해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코스나 현재 행정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코스나 행정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시하고 복수의 입자(파티클)의 움직임을 통해 해당 코스나 행정의 특징을 역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진행 상황과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출력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좌측의 세탁조(터브)를 상징하는 원 내부에는 현재 진행 상황을 표현하는 텍스트, 아이콘, 애니메이션 등으로 구성되는 연속적인 이미지가 표시되고, 오른쪽에는 남은 시간이 표시되고, 아래쪽 박스에는 현재 행정을 멈추게 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에 연결된 텍스트나 영역이 표시되어 있다.
스마트 기기에 채용되는 터치 패드는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순한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애니메이션 또는 동영상 등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세탁기나 건조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서는, 고해상도의 큰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 동작 단계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는 이미지나 애니메이션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감성을 자극할 수 있다.
현재의 동작 단계(또는 행정) 또는 사용자에 의해(또는 자동으로) 설정되어 진행되는 코스는 텍스트 및/또는 도형(아이콘)을 포함하는 이미지뿐만 이미지가 연속으로 변하는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이콘, 텍스트 및 입자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현재 행정을 설명하거나 현재 행정에 대응되는 움직임을 시각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세탁조를 위에서 바라본 형태인 원 내부에 현재 행정을 표현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이미지를 출력하고, 아이콘이 농도가 흐려지면서 복수 개의 입자가 아이콘 주위에 발생하는 이미지를 출력하고, 아이콘은 사라지고 입자들이 임의의 형태를 이루어 현재 행정을 표현하는 복수 개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현재 행정을 입자의 움직임이 있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입자가 임의의 형태를 취하는 이미지의 경우 텍스트를 추가하여 현재 진행중인 행정을 더 명확히 알릴 수도 있다.
입자들을 포함하고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복수 개의 이미지는 각 이미지마다 입자의 개수, 입자의 크기, 입자의 위치, 입자의 농도 중 하나 이상에 변화를 주어 이미지 사이에 표현하고자 하는 행정에 해당하는 움직임이 발생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는 아이콘과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현재 진행 상황을 역동적으로 표현하는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세탁(Washing) 행정에 대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도시한 것으로, 각 이미지는 터브를 상징하는 원 내부에 어두운 농도의 격자 점들이 배경으로 표시되고 그 위에 아이콘이나 입자가 격자 점보다 밝은 농도로 표시될 수 있다. 어두운 농도의 격자 점은 터브를 상징하는 원의 중심 부근이 원의 외곽보다 상대적으로 더 또렷하게 표시되어 원 중심에 시각적으로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첫 번째 이미지는 세탁물이 출렁거리는 세탁수에 잠긴 것을 표현하는 아이콘을 중앙에 표시하고, 두 번째 이미지는 복수 개의 다른 크기를 갖는 입자들이 반투명으로 아이콘 주위에 배치되어 세탁과 관련하여 세탁수가 위쪽으로부터 세탁물에 뿌려지는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세 번째 내지 여섯 번째 이미지는 아이콘이 사라지고 입자들이 위아래 방향으로 뿌려지고 출렁거리는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아이콘이 사라진 이미지에는 세탁을 가리키는 텍스트가 부가될 수 있는데, 각 이미지마다 텍스트의 농도가 바뀔 수 있다. 도 7의 여섯 이미지는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여섯 번째 이미지 이후에 다시 첫 번째 이미지가 순환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헹굼(Rinsing) 행정에 대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 7과 마찬가지로 각 이미지는 터브를 상징하는 원 내부에 어두운 농도의 격자 점들이 배경으로 표시되고 그 위에 아이콘이나 입자가 격자 점보다 밝은 농도로 표시될 수 있다.
첫 번째 이미지는 살랑살랑 움직이는, 즉 세탁보다 물살이 부드럽게 표현되는 세탁수에 세탁물이 잠긴 것을 표현하는 아이콘을 중앙에 표시하고, 두 번째 이미지는 복수 개의 다른 크기를 갖는 입자들이 반투명으로 아이콘 주위에 배치되어 헹굼과 관련하여 세탁수가 세탁물 주위에서 물결치는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이미지는 아이콘이 사라지고 입자들이 수평으로 출렁거리는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도 7과 마찬가지로 아이콘이 사라진 이미지에는 헹굼을 가리키는 텍스트가 부가될 수 있는데, 각 이미지마다 텍스트의 농도가 바뀔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건조(Drying) 행정과 송풍(Cooling) 행정에 대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도시한 것으로, 모두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끝난 세탁물에 바람에 날리는 형상의 아이콘이 표시되고, 건조 행정은 뜨거운 공기를 송풍 행정은 건조 히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의 상온의 공기를 입자들의 움직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1은 구김 방지(Wrinkle Care) 행정에 대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도시한 것으로, 구김 방지 기능은 건조가 종료된 후 외출 등으로 세탁물 또는 건조물을 꺼내지 못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구김 방지 코스는 다리미 아래에 일부가 구겨진 세탁물이 놓인 아이콘으로 표현할 수 있고, 사인파 형상의 입자가 사인파의 진폭이 점점 작아져 구김이 줄어드는 것을 표현하는 연속적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스팀(Steaming) 행정에 대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도시한 것으로, 스팀 행정은 찌든 때나 속옷, 일반 의류들을 살균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스팀 행정은 구름 모양의 증기가 뿜어지는 형상의 아이콘으로 표현되고, 증기가 위에서 아래로 뿌려지는 것을 표현하는 연속적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각각 통 세척(Tub Clean) 행정과 통 건조(Tub Dry) 행정에 대한 복수 개의 이미지를 도시한 것으로, 통 세척 행정과 통 건조 행정은 세탁기 내부에 발생하는 균들을 제거하여 깨끗하고 청결한 세탁조를 유지하는 기능이다.
통 세척 행정에는 회전하는 U자 형상의 터브가 반짝이는 것을 표현하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통 건조 행정은 회전하는 U자 형상의 터브에 따뜻한 공기가 제공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통 세척 행정과 통 건조 행정은 원의 외곽에 동심원으로 배열된 입자의 명도나 농도를 방사 방향으로 변화시켜 물이 내부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표현하는 연속적인 이미지를 출력하되, 통 세척 행정은 입자를 이용하여 반짝이는 것을 표현하고 통 건조 행정은 입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통 내부에 바람이 부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현재 진행 상황과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출력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6의 화면에서는 현재 진행 상황을 표현하는 텍스트, 아이콘, 애니메이션 등으로 구성되는 연속적인 이미지가 세탁조(터브)를 상징하는 원 내부에 표시되지만, 도 15에서는 연속적인 이미지가 외부에서 빛이 비추는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부에 표현될 수 있다.
도 15에서, 물방울 옆에 표현되는 그림자를 통해 창을 통해 빛이 들어오는 풍경이 표현되어 있고, 물방울 표면에도 들어오는 빛이 창에 의해 만들어지는 그림자의 곡선에 의해 물방울의 입체 형상을 표현하고 있고, 빛이 비추는 방향의 표면에 있는 하이라이트와 빛이 비추는 방향의 반대 쪽 표면의 상대적인 어두움으로 물방울의 입체 형상을 표현하고 있고, 또한 빛이 비추는 방향의 반대 쪽에 형성되는 그림자나 물방울 외곽의 모양이나 음영 등으로 입체 형상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15의 물방울은 표면의 광택, 그림자 및 외곽 모양 등으로 입체 형상이 표현될 수 있고, 세탁기의 동작에 따른 흔들림이나 내부 세탁수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그 입체 형상이 바뀌는 것이 표면 광택, 그림자, 외곽 모양, 표면의 일정한 정도 등의 변화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도 16은 아이콘,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 입자의 움직임이나 바람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입체 형상의 물방울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현재 진행 상황을 역동적으로 표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입자의 배치 및/또는 물방울의 입체 형상이 바뀌는 복수의 이미지로 탈수(Spinning) 행정을 표현하고 있다.
물방울 옆에 표현되는 창과 나뭇잎의 그림자를 통해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표현되어 있고, 물방울 내부에도 창과 나뭇잎의 그림자가 곡선 형태로 왜곡되게 표현되어 물방울의 입체 형상이 표현되어 있다. 또한,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물방울 표면의 광택, 음영, 그림자 또는 외곽 모양이 달리 표현되어 물방울의 입체 형상을 표현하고 있다.
도 16a 이미지는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부에 세탁물과 회전을 상징하는 나선 형상의 아이콘이 표현되어 탈수를 위한 동작임을 간접적으로 설명하고, 도 16b와 도 16c 이미지는 탈수를 위한 세탁조의 초기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복수 개의 입자로 분해되고 입자가 외부를 향해 방사 방향으로 퍼져가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도 16d 이미지는 세탁조의 회전이 빨라져 입자가 물방울의 바깥 경계까지 직선 형태가 아니라 곡선 형태로 퍼지고 이에 따라 물방울이 진동을 하여 물방울의 외곽 형상이 균일하지 않고 출렁거리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각 이미지에서 입자들은 이전 이미지나 다음 이미지와 개수, 크기, 위치 또는 농도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입자들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6e 이미지부터 도 16j 이미지는 세탁조의 회전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이 입자의 모양을 통해 표현되고 있고 또한 입자들이 동그라미가 아니라 회전 방향을 따라 타원 형상으로 일그러지도록 표현하여 물방울의 입체 형상이 흐트러지고 물방울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은 것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커다란 물방울로부터 작은 물방울이 뛰어 새로 생기게 하거나 작은 물방울의 위치, 크기, 개수 등을 이전 이미지와 다르게 하여 역동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고 있다. 작은 물방울을 큰 물방울 주위, 내부 또는 위에 입체 형상으로 표현하여 세탁조의 고속 회전에 따라 세탁물로부터 세탁수가 분리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큰 물방울 내부에 현재 행정이 탈수(Spining)에 해당하는 것을 가리키도록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는데, 텍스트 역시 균일하게 표현하지 않고 일그러지게 표현하여 물방울의 입체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이미지마다 텍스트의 농도를 바꿀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4의 실시예와 비슷하게, 물방울 내부에 어두운 농도의 격자 점들을 배경으로 표시하고 그 위에 아이콘이나 입자를 격자 점보다 밝은 농도로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어두운 농도의 격자 점은 물방울의 중심 부근이 외곽보다 상대적으로 더 또렷하게 표시되어 물방울의 중심에 시각적으로 집중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격자 점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하지 않고 다르게 표현하여 물방울의 입체 형상의 찌그러짐 또는 형상의 변화를 표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의 메모리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60)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행정이나 코스를 표현하는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이미지, 텍스트 등이 포함된 출력 화면을 생성하여 출력부(15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데, 현재 행정을 표현하는 복수 개의 이미지를 순차적이고 순환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6에 도시한 행정에 대한 복수 개의 이미지는 단지 예를 들기 위함으로, 다른 행정이나 다른 코스에 대한 애니메이션도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0: 세탁기 124: 급수 밸브
127: 배수 펌프 150: 조작 패널
151: 입력부 152: 출력부
160: 제어부 165: 센서

Claims (16)

  1. 진행되는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과 관련된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의 진행 상황을 동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에 복수의 입자가 배치되도록 표현되고,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입자의 배치 및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 중 하나 이상이 나머지 제2 이미지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방울은 표면의 광택, 그림자 및 외곽 모양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입체 형상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는 상기 각 이미지에서의 복수의 입자들의 개수, 크기, 위치 및 농도 중 하나 이상의 변화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의 변화는 표면의 광택, 음영, 그림자, 상기 복수의 입자의 흐트러진 정도, 외곽 모양 중 하나 이상의 변화를 통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자의 움직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2 물방울이 새로 추가되거나 하나 이상의 제2 물방울의 개수, 크기 또는 위치가 바뀌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물방울은 상기 물방울의 주위, 내부 또는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부에는 격자 점들이 배경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점들은 상기 아이콘 또는 입자들보다 어두운 농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점들 중에서 상기 물방울의 중심 부근의 격자 점들이 상기 물방울의 외곽의 격자 점들보다 더 또렷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점들 중 하나 이상의 격자 점 쌍의 간격을 다른 격자 점 쌍의 것과 다르게 표현하여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의 변화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는 상기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을 가리키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일부를 일그러지게 표현하여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의 변화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내의 텍스트는 각 이미지마다 텍스트의 농도가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와 상기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순환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 또는 상기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 하나 및 남은 시간을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행정 표시 방법.
  16. 세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세탁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저수조;
    상기 저수조 안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세탁조;
    상기 세탁조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
    상기 저수조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장치;
    상기 세탁기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고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 패널; 및
    상기 급수 장치, 배수 장치 및 구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라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에서 진행되는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과 관련된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조작 패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현재 코스 또는 현재 행정을 표현하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형성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체 형상의 물방울 내에 복수의 입자가 배치되도록 표현되는 제2 이미지를 형성하되, 상기 제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입자의 배치 및 상기 물방울의 입체 형상 중 하나 이상이 나머지 제2 이미지와 다르도록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30089776A 2013-05-30 2013-07-29 세탁 행정 표시 방법 KR102138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776A KR102138377B1 (ko) 2013-07-29 2013-07-29 세탁 행정 표시 방법
US14/894,590 US20160153132A1 (en) 2013-05-30 2014-05-28 Method for displaying wash cycle
EP14804533.9A EP3004449A4 (en) 2013-05-30 2014-05-28 Method for displaying wash cycle
PCT/KR2014/004748 WO2014193157A1 (en) 2013-05-30 2014-05-28 Method for displaying wash cycle
CN201480028896.2A CN105264137B (zh) 2013-05-30 2014-05-28 显示洗涤周期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776A KR102138377B1 (ko) 2013-07-29 2013-07-29 세탁 행정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92A KR20150014292A (ko) 2015-02-06
KR102138377B1 true KR102138377B1 (ko) 2020-07-27

Family

ID=5257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776A KR102138377B1 (ko) 2013-05-30 2013-07-29 세탁 행정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3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3497A (ko) * 2010-09-02 2012-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92A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8010B (zh) 洗涤物处理设备
EP2937454B1 (en) Washing method
US857853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controlled mechanical energy
US20160153132A1 (en) Method for displaying wash cycle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0614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JP2014151188A (ja) 洗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27385B1 (ko)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KR20080052967A (ko) 페데스탈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9598808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method to detect the type and size of a load
CN112654744B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EP3649284B1 (en)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a washing machine
EP2503044A1 (en) A method for performing a washing cycle of sensitive laundry in a washing machine or in a washer-dryer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90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JP2017000403A (ja) 洗濯機
KR102138377B1 (ko) 세탁 행정 표시 방법
KR102116374B1 (ko) 세탁 행정 표시 방법
EP2113604A1 (en) Laundry machine
KR201100483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2116382B1 (ko) 출력 화면
US20160215429A1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KR101731332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70297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1331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