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708B1 - 옷장 - Google Patents

옷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708B1
KR102388708B1 KR1020170063667A KR20170063667A KR102388708B1 KR 102388708 B1 KR102388708 B1 KR 102388708B1 KR 1020170063667 A KR1020170063667 A KR 1020170063667A KR 20170063667 A KR20170063667 A KR 20170063667A KR 102388708 B1 KR102388708 B1 KR 102388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drobe
air
conditioning module
air cond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549A (ko
Inventor
기현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70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옷장은, 의류가 수납되는 옷장부, 및, 옷장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온풍을 옷장부로 토출하며, 냉풍을 외부로 토출하는 공조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옷장{Wardrobe}
본 발명은 옷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용도 옷장에 관한 것이다.
옷장은 의류를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가구로, 가정 내 방마다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옷장은 다수의 의류를 구김 없이 보관할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하기 때문에 가정 내 실내 공간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옷장은 단순히 의류 등을 수납하는 역할만 수행하므로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좋지 않다.
특히, 자녀방 등 작은 크기의 방에 옷장을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책상, 가전기기 등을 놓고 사용할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옷장의 습기는 세균, 곰팡이의 번식을 불러오므로, 위생 및 건강 측면에서 옷장 내의 습기를 제거하고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통상적으로 냉방을 위한 공기조화기는 비용과 설치 문제로 거실 등에만 설치되고 있다. 아파트 경우 단지 내규로 별도의 앵글 설치하여 실외기 놓는 것을 규제하는 등 실외기 설치 이슈로 자녀방에는 에어컨 등의 설치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 자녀의 경우, 방문을 닫고 있는 경우가 많아 자녀방 공간을 냉방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자녀방의 냉방은 선풍기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좁은 공간에 선풍기를 놓고 있으면 공간 활용도를 더욱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옷장이 단순히 의류 보관 외에 다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옷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공간에 대한 냉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옷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옷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옷장은, 의류가 수납되는 옷장부, 및, 옷장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온풍을 옷장부로 토출하며, 냉풍을 외부로 토출하는 공조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옷장은, 상기 공조모듈로부터 상기 옷장부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옷장의 전면으로 상기 냉풍을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모듈은, 하단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모듈은, 이물질이나 세균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옷장은, 상기 옷장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랍장은 상기 옷장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옷장은, 상기 옷장부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do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옷장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모듈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보관 물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옷장은,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는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윈도우,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옷장은, 상기 옷장부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와 상기 옷장부의 내부 및 외부의 습도를 센싱하는 복수의 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옷장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소정 공간에 대한 냉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옷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옷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의 외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이 구비하는 공조모듈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의 응축수 보관 물통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의 외관을 도시한 개념도로, 공조모듈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이 구비하는 공조모듈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도 2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예시하고,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의류가 수납되는 옷장부(120), 및, 상기 옷장부(120)의 상단에 배치되고, 온풍을 상기 옷장부(120)로 토출하며, 냉풍을 외부로 토출하는 공조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모듈(110)은, 압축기(compressor, 미도시)를 통해 발생하는 냉풍(냉기)를 외부 공간 쿨링(cooling)을 위해 사용하고, 온풍(폐열)은 상기 옷장부(120)에 보관된 의류 제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조모듈(110)은, 상기 압축기를 이용한 응축식 공조모듈(110a)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모듈(11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미도시)와,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옷장 외부의 소정 공간에 냉방을 공급하는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가장 접근성이 떨어지는 최상부에 압축기를 이용한 공조모듈(110)을 배치하여, 공조모듈(110)로부터 나오는 폐열을 옷장부(120)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방과 의류 제습을 동시에 구현하면서 공간 효율성은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낮은 공기는 아래쪽으로 하강하므로 최상단에 배치된 공조모듈(110)이 토출하는 냉풍이 자녀방 등 소정 공간에 퍼지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상단에 배치된 공조모듈(110)이 토출하는 냉풍은, 벽을 부딪혀 사용자 측으로 되돌아 옴으로써, 직접풍보다 더 자연풍에 가깝고, 사용자에게 상쾌한 기분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상기 공조모듈(110)로부터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로(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옷장부(120)의 내부에 습기가 존재하면, 옷장부(120)의 내부에 보관하는 의류에 습기가 흡수되고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다시 입거나 옷장부(120)의 도어(122L, 122R)를 열었을 때 불쾌감을 느낄수 있다.
의류에 다량의 습기가 흡수되면, 불쾌감뿐만 아니라 세균, 박테리아 등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므로 위생 면에서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상기 공조모듈(110)로부터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로(123)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조모듈(110)의 구동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열, 건조한 공기, 온풍을 이용하여 옷장부(120)의 내부 제습,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조모듈(110)은 상기 옷장(100)의 전면으로 상기 냉풍을 토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조모듈(110)은 전면에 동작시 개방되는 전면 토출구(111)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면 토출구(111)가 개방되어 상기 공조모듈(110)에서 생성된 냉풍이 상기 옷장(100)의 전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토출구(111)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토출 각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상기 옷장부(12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장(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장(130)에도, 의류 및 각종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서랍장(130)은 상기 옷장부(110)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2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상기 공조모듈(110)로부터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로(123)를 더 포함하고, 서랍장(130)은 상기 옷장부(110)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27)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조모듈(110)의 구동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열, 건조한 공기, 온풍을 이용하여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 뿐만 아니라 상기 서랍장(130) 내부의 제습, 건조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127)는 서랍장(13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옷장(100)이 복수의 서랍장(130a, 130b)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옷장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서랍장(130a)은 공기 토출구(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온풍을 다른 서랍장(130b)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공기 토출구는 서랍장(130a)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상기 옷장부(120)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door, 122L, 122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22L, 122R)는, 좌측 도어(122L)와 우측 도어(122R)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측 도어(122L)와 우측 도어(122R) 중 적어도 하나를 열어,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에 의류 등을 넣거나 뺄 수 있다.
한편, 압축기를 사용하는 냉방기기는 사용 시 폐열이 발생하고, 이 폐열로 인해 밀폐되어 있는 공간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냉방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폐열의 효과적인 처리 방안, 및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폐열을 옷장부(120)로 토출하여 제습용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폐열의 빠른 배출을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조모듈(110)은, 하단에 배치되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도어(122L, 122R)가 열린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조모듈(110)의 하단, 상기 옷장부(110)의 상단에서 바깥쪽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 또는 설정에 따라 상기 도어(122L, 122R)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린 상태에 상기 송풍팬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옷장부(120) 내에 모여 있는 폐열을 침실, 자녀방 등 공간의 온도 상승 없이 실외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폐열을 옷장부(120) 내에 가둬 둠으로써 공간 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가둬 둔 폐열은 사용자가 창문을 열고 환기시킬 때 외부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옷장(100)은, 이와 같은 폐열 강력 배출 기능이 있어, 폐열을 실내 온도 상승 없이 실외로 배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옷장(100)은, 냉방기기 설치를 위한 별도 공간 확보가 불필요하고, 폐열을 재활용함으로써, 옷장(100) 내 의류를 뽀송하게 보관 가능하며. 사용자가 별도의 공조모듈(110a)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옷장(100)은, 폐열 배출을 위한 별도 배기 덕트 등 설치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간 활용도, 사용자 편의성, 사용자의 비용 부담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공조모듈(110)은, 이물질이나 세균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 공기 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는 그릴이 형성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르고, 헤파필터는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며, 탈취필터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탈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조모듈(110)은,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의 응축수 보관 물통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상기 도어(122L)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모듈(11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보관 물통(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은, 착탈 가능한 착탈식 물통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를 버리고 다시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을 상기 도어(122L)의 내측면에 장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22L)의 내측면은 상기 도어(122L)의 양면 중 상기 옷장부(110) 내부를 향하는 일면일 수 있다.
공조모듈(110)은 냉매가 유동되는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유동시킨다. 여기서, 공조모듈(110)은 공기 및 증발기를 열교환시켜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수로 변환시키고,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조모듈(11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수로(124)를 통하여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에 모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상기 도어(122L)의 외측면에는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윈도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22L)의 외측면은 상기 도어(122L)의 양면 중 상기 옷장부(110) 외부를 향하는 일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윈도우(126)를 통하여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129)는, 전원 버튼, 폐열배출 버튼 등 하나 이상의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129a)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공조모듈(110)이 동작하여 냉풍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129a)는 전원 버튼 외에 별도의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공조모듈(110)이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22L, 122R) 중 적어도 하나를 열고 폐열배출 버튼을 누르면 송풍팬이 동작하여, 옷장부(120) 내에 모여 있는 폐열을 침실, 자녀방 등 공간의 온도 상승 없이 실외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폐열을 옷장부(120) 내에 가둬 둠으로써 공간 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가둬 둔 폐열은 사용자가 창문을 열고 환기시킬 때 외부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29b)에는 방(room)의 실내온도, 실내습도, 옷장(Closet, Wardrobe)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9b)에 표시되는 정보는 센서부(도 9의 170 참조)에서 센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70)는,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와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 및 외부의 습도를 센싱하는 복수의 습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옷장(100) 내 온도가 필요 이상 올라가면 자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29b)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폐열 실외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70)는, 방(room)의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각종 공기 오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129b)는 공기 질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의 수위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29b)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모듈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조모듈(110a)에는, 공기흡입구(1, 2), 제1 공기토출구(4)와 제2 공기토출구(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토출구(4)는 상기 공조모듈(110)로부터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로(123)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공기토출구(6)는 전면 토출구(111)에 연결될 수 있다.
공조모듈(110a)은 압축기(10), 응축기(14), 열교환기(16), 팽창기구(20), 증발기(24), 및, 사방밸브(22)를 포함한다.
공조모듈(110a)은 공기가 증발기(24)와 응축기(1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1 공기토출구(4)를 통해 토출되는 제1 공기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조모듈(110a)은 공기가 열교환기(16)를 통과한 후 제2 공기토출구(6)를 통해 토출되는 제2 공기유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는 하나의 공기흡입구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 별도의 독립된 공기흡입구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공조모듈(110a)은 제1 공기흡입구(1)부터 제1 공기토출구(4)까지 제1 공기유로(P1)를 구성할 수 있고, 제2 공기흡입구(2)부터 제2 공기토출구(6)까지 제2 공기유로(P2)를 구성할 수 있다.
공조모듈(110a)은 공기흡입구(1, 2)와 제1 공기토출구(4)와 제2 공기토출구(6)가 형성된 본체(7)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7)는 공조모듈(110a)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본체(7)에는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를 구획하는 구획벽(8)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7)에는 제1 공기유로(P1)에 위치되어 증발기(24)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팬이 배치될 수 있고, 응축수는 수로(124)를 통하여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에 모일 수 있다.
압축기(10)는 증발기(24) 및 응축기(14)와 연결되어 증발기(24)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4)로 토출할 수 있다. 압축기(10)는 증발기(24)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10)는 증발기(24)와 압축기흡입유로(11)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응축기(14)와 압축기토출유로(12)로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24)에서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토출유로(12)로 통해 압축기(10)로 흡입될 수 있고,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압축기토출유로(12)를 통해 응축기(14)로 유동될 수 있고, 응축기(14)로 유동된 냉매는 응축기(14)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14)는 냉매유동방향으로 압축기(10) 이후에 위치되어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킬 수 있다.
응축기(14)는 사방밸브(22)와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14)는 사방밸브(22)와 응축기 출구유로(15)로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4)에서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출구유로(15)를 통해 사방밸브(22)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기(14)는 제1 공기유로(P1)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공기유로(P1)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응축기(14)는 증발기(24)와 함께 제1 공기유로(P1)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4)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증발기(24)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4)와 증발기(24)는 제1 공기유로(P1)에 공기유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는 증발기(24)와 먼저 열교환된 후 응축기(14)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사방밸브(22)와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사방밸브(22)와 사방밸브-열교환기 연결유로(17)로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14)에서 사방밸브(22)로 유동된 냉매는 사방밸브-열교환기 연결유로(17)를 통해 열교환기(16)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열교환기(16)를 통과한 냉매는 사방밸브-열교환기 연결유로(17)를 통해 사방밸브(22)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팽창기구(20)와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팽창기구(20)와 팽창기구-열교환기 연결유로(18)로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응축기(14) 및 증발기(24)와 달리 제1 공기유로(P1)에 배치되지 않고, 제2 공기유로(P2)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응축기(14) 및 증발기(24)와 별도로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제2 공기유로(P2)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사방밸브(22)의 모드에 따라 응축 열교환기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고, 증발 열교환기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조모듈(110a)은 응축기(14)에서 응축된 냉매가 사방밸브(22)에서 열교환기(16)를 통과한 후 팽창기구(20)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이 경우 열교환기(16)는 응축기(14)에서 응축된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되는 응축 열교환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16)와 열교환된 공기는 온도가 상승된 온기일 수 있다.
한편, 공조모듈(110a)은 팽창기구(20)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열교환기(16)를 통과한 후 사방밸브(22)로 유동될 수 있고, 이 경우 열교환기(16)는 팽창기구(20)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증발 열교환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16)와 열교환된 공기는 온도가 하강된 냉기일 수 있다.
팽창기구(20)는 사방밸브(22)와 연결될 수 있다. 팽창기구(20)는 사방밸브(22)와 팽창기구-사방밸브 연결유로(21)로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14)에서 사방밸브(22)로 유입된 냉매는 팽창기구-사방밸브 연결유로(21)를 통해 팽창기구(20)로 유입되어 팽창기구(20)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16)에서 팽창기구(20)로 유동된 냉매는 팽창기구-사방밸브 연결유로(21)를 통해 사방밸브(22)로 유입될 수 있다.
사방밸브(22)는 응축기(14) 및 증발기(24)와 연결될 수 있다. 사방밸브(22)는 증발기(24)와 증발기 입구유로(23)로 연결될 수 있다. 사방밸브(22)는 열교환기(16) 및 팽창기구(20)와 연결될 수 있다. 사방밸브(22)는 응축기(14)와 열교환기(16)와 팽창기구(20) 및 증발기(24)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사방밸브(22)는 응축기(14)에서 유동된 냉매가 팽창기구(20)로 안내됨과 아울러 열교환기(16)에서 유동된 냉매가 증발기(24)로 안내되는 동작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증발기(24)는 냉매유동방향으로 사방밸브(22)와 압축기(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사방밸브(22)에서 유동된 냉매는 증발기(24)를 통과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될 수 있다. 이렇게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10)로 유동될 수 있다. 증발기(24)는 제1 공기유로(P1)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공기유로(P1)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증발기(24)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응축기(14) 이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기유로(P1)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먼저 열교환되면서 제습될 수 있고, 응축기(14)와 열교환되면서 승온될 수 있다.
공조모듈(110a)은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 모두에 공기를 송풍하는 하나의 팬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팬에 의해 유동되는 일부 공기는 제1 공기유로(P1)를 통과하면서 증발기(24) 및 응축기(14)와 순차적으로 열교환된 후 제1 공기토출구(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있고, 팬에 의해 유동되는 나머지 공기는 제2 공기유로(P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6)와 열교환된 후 제2 공기토출구(6)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공조모듈(110a)은 공기가 증발기(25)를 통과한 후 응축기(14)를 통과하게 송풍하는 제1팬(26)과 공기가 열교환기(16)를 통과하게 송풍하는 제2팬(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26)은 제1 공기유로(P1)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제1팬(26)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제1 공기유로(P1)를 통과하면서 증발기(24)와 응축기(14)와 순차적으로 열교환된 후 제1 공기토출구(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있다.
제2팬(28)은 제2 공기유로(P2)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제2팬(29)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제2 공기유로(P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6)와 열교환된 후 제2 공기토출구(6)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4), 사방밸브(22), 팽창기구(20), 열교환기(16), 사방밸브(22)와, 증발기(2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10)로 흡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냉매유동방향으로 팽창기구(20) 이후일 수 있고, 열교환기(16)는 팽창기구(20)에 의해 팽창된 저온의 냉매가 통과하면서 제2 공기유로(P2)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증발 열교환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공기유로(P2)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 열교환기로 기능하는 열교환기(16)에 의해 온도가 하강될 수 있다.
제1팬(26)의 구동시, 공조모듈(110a) 외부의 공기는 공기흡입구(1)를 통해 공조모듈(110a)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증발기(24)를 먼저 통과하면서 증발기(24)에 의해 제습될 수 있으며, 이후 응축기(14)로 유동될 수 있다. 응축기(14)로 유동된 공기는 응축기(14)를 통과하면서 승온될 수 있고, 이후 제1 공기토출구(4)를 통해 공조모듈(110a)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의 구동시, 공조모듈(110a) 외부 공기는 공기흡입구(2)를 통해 공조모듈(110a)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열교환기(1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6)를 통과하는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으며, 이후 제2 공기토출구(6)를 통해 공조모듈(110a)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조모듈(110a)은 2개의 공기토출구(4, 6)로 온도가 상이한 공기를 분산 토출할 수 있고, 특히 제1 공기토출구(4)로 제습되고 승온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으며, 제2 공기토출구(6)로 열교환기(16)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조모듈(110b)은, 응축기(14)와 연결되고 개도 조절되는 제1 팽창기구(20A), 제1 팽창기구(20A)와 연결된 열교환기(16'), 열교환기(16') 및 증발기(24)와 연결되고 개도 조절되는 제2 팽창기구(2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공조모듈(110b)은, 압축기(10), 응축기(14), 증발기(24)의 구성이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응축기(14)는 제1 팽창기구(20A)와 응축기 출구유로(15')로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4)에서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출구유로(15')를 통해 제1 팽창기구(20A)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팽창기구(20A)는 열교환기(16')과 열교환기 입구유로(16A)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팽창기구(20A)를 통과한 냉매는 열교환기 입구유로(16A)를 통과하여 열교환기(16')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16')는 제2 팽창기구(20B)와 열교환기 출구유로(16B)로 연결될 수 있고, 열교환기(16')를 통과한 냉매는 열교환기 출구유로(16B)를 통과하여 제2 팽창기구(20B)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팽창기구(20B)는 증발기(24)와 증발기 입구유로(23')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팽창기구(20B)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 입구유로(23')를 통해 증발기(24)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압축기(10)의 구동시,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4), 제1 팽창기구(20A), 열교환기(16), 제2 팽창기구(20B), 증발기(24)를 순서대로 통과한 후 압축기(10)로 흡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조모듈(100b)은, 제1 팽창기구(20A)와 제2 팽창기구(20B)의 개도에 따라, 열교환기(16)가 응축 열교환기로 기능하거나 증발 열교환기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조모듈(100b)은, 제1팬(26)이 증발기(24)와 응축기(14)로 공기를 송풍하고, 제2팬(28)이 열교환기(16')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으며, 제1팬(26)과 제2팬(28)은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팽창기구(20A)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고, 열교환기(16')에는 제1 팽창기구(20A)에 의해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유입되고, 열교환기(16')는 제2 공기유로(P2)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증발 열교환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공기유로(P2)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 열교환기로 기능하는 열교환기(16')에 의해 온도가 하강될 수 있다. 열교환기(16')에 의해 증발된 냉매는 제2 팽창기구(20B)를 통과하고, 이후 증발기(24)로 유동될 수 있다.
제1팬(26)의 구동시, 공조모듈(110b) 외부의 공기는 공기흡입구(1)를 통해 제습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증발기(24)를 먼저 통과하면서 증발기(24)에 의해 제습될 수 있으며, 이후 응축기(14)로 유동될 수 있다. 응축기(14)로 유동된 공기는 응축기(14)를 통과하면서 승온될 수 있고, 이후 제1 공기토출구(4)를 통해 공조모듈(110b)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28)의 구동시, 제습기 외부 공기는 공기흡입구(2)를 통해 공조모듈(110b)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열교환기(1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16')를 통과하는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으며, 이후 제2 공기토출구(6)를 통해 공조모듈(110b)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조모듈(110)은, 도 7과 도 8에서 예시된 공조모듈(110a, 110b)의 구성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온풍을 옷장부(120)로 토출하며, 냉풍을 외부로 토출하는 공조모듈(110)과 상기 공조모듈(100) 및 상기 옷장(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사용자 입력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조작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9)는, 복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129a)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9a)의 전원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냉풍을 외부로 토출하고 온풍을 옷장부(120)로 토출하도록 상기 공조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129a)가 전원 버튼 외에 별도의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공조모듈(110)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22L, 122R) 중 적어도 하나를 열고 상기 입력부(129a)의 폐열배출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송풍팬을 동작시켜, 옷장부(120) 내에 모여 있는 폐열을 침실, 자녀방 등 공간의 온도 상승 없이 실외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129)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9b)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옷장(100)의 설정, 현재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129b)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센서부(170)에서 센싱되는 데이터에 기초한 정보가 디스플레이(129b)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29b)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129b)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 동작모드, 동작상태, 에러상태 등의 알림 메시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등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의 스피커는 옷장(100)의 전면 또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옷장(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조작부(129)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받아 각각의 구성요소를 작동시키고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장(100)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70)는,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와 상기 옷장부(120)의 내부 및 외부의 습도를 센싱하는 복수의 습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옷장(100) 내 온도가 필요 이상 올라가면 자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29b)가 해당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40)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폐열 실외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의 수위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29b)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40)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의 수위가 제1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29b)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125)의 수위가 제2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29b)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하고 공조모듈(11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옷장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소정 공간에 대한 냉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조모듈을 포함하는 옷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옷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옷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장의 동작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옷장
110 : 공조모듈
120 : 옷장부
130 : 서랍장
129 : 조작부
140 : 제어부
170: 센서부

Claims (14)

  1. 의류가 수납되는 옷장부; 및,
    상기 옷장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옷장의 외부 및 상기 옷장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공간을 갖는 공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
    상기 옷장부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응축기에서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옷장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2 공기토출구를 포함하는 옷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로부터 상기 옷장부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로;를 더 포함하는 옷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상기 옷장의 전면으로 냉풍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장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서랍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랍장은 상기 옷장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장부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door);를 더 포함하는 옷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모듈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보관 물통;을 더 포함하는 옷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 보관 물통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옷장.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옷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하단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이물질이나 세균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모듈은, 압축기 및 증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장부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와 상기 옷장부의 내부 및 외부의 습도를 센싱하는 복수의 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옷장.
KR1020170063667A 2017-05-23 2017-05-23 옷장 KR102388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67A KR102388708B1 (ko) 2017-05-23 2017-05-23 옷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67A KR102388708B1 (ko) 2017-05-23 2017-05-23 옷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549A KR20180128549A (ko) 2018-12-04
KR102388708B1 true KR102388708B1 (ko) 2022-04-20

Family

ID=6466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667A KR102388708B1 (ko) 2017-05-23 2017-05-23 옷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844A (zh) * 2018-12-28 2019-04-16 深圳市优拓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空气置换处理功能的智能定位衣柜系统
CN112137298A (zh) * 2019-06-27 2020-12-29 施劭镛 一种智能衣柜
KR102185375B1 (ko) 2020-06-30 2020-12-02 김학주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17B1 (ko) * 2004-08-03 2005-11-17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08Y1 (ko) * 1990-12-24 1993-04-23 주식회사 두원정공 자동차의 안전장치 구동용 센서
KR20030094988A (ko) * 2002-06-11 2003-12-18 신재영 공조기능을 갖는 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17B1 (ko) * 2004-08-03 2005-11-17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549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74417A (zh) 冰箱及其湿度调节方法
KR102388708B1 (ko) 옷장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JP2001116290A (ja) 暖房乾燥機
JP2009079783A (ja) 換気空調装置
TWI220918B (en) Air-conditioning device
JP5272360B2 (ja) 換気空調装置
KR102190386B1 (ko) 드레스룸 환경조성장치
KR101636263B1 (ko) 다기능 공조시스템
JP5228344B2 (ja) 換気空調装置
JP5049500B2 (ja) 除湿空調システム及び除湿空調機
KR101075863B1 (ko) 에너지 절약을 위한 항온항습기의 현열냉각 및 제습냉각 제어방법
KR101447508B1 (ko) 음식물 건조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장치
KR20030094988A (ko) 공조기능을 갖는 가구
CN207179808U (zh) 一种吊装式新风净化除湿机
US20220178597A1 (en) Ventilation device and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0849549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2254753B1 (ko)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CN209655509U (zh) 一种多功能新风机
JP2007315713A (ja) 空調装置及び建物
JP4816252B2 (ja) 空調装置及び建物
CN207555889U (zh) 一种空气清新系统
JP2021099191A (ja) 空気調和機
US20230160597A1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060005A (ko)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