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217B1 -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 Google Patents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217B1
KR100529217B1 KR1020040061206A KR20040061206A KR100529217B1 KR 100529217 B1 KR100529217 B1 KR 100529217B1 KR 1020040061206 A KR1020040061206 A KR 1020040061206A KR 20040061206 A KR20040061206 A KR 20040061206A KR 100529217 B1 KR100529217 B1 KR 10052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closet
ai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세훈
이상원
정의종
이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Priority to KR102004006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04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integrated in or forming part of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장, 붙박이 장에 구비되는 문의 내측에 장탈착이 용이하게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옷장의 내부 습도가 조절되고 살균, 탈취 기능이 수행되어 옷장 내부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며, 각 기능의 작동 상태 및 결과를 문 외부에 설치된 화면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에 관한 것으로서,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측 소정 위치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를 하기 위한 공조장치; 및 상기 문의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THE FUNCTIONALITY DOOR WHICH IS INSTALLED IN A WARDROBE}
본 발명은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옷장, 붙박이 장에 구비되는 문의 내측에 장탈착이 용이하게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옷장의 내부 습도가 조절되고 살균, 탈취 기능이 수행되어 옷장 내부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며, 각 기능의 작동 상태 및 결과를 문 외부에 설치된 화면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기능이 수행될 때 온풍이 발생되도록 하여 탈취 기능이 좀더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장은 의류 또는 침구를 보관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옷장 안에 해충이나 습기가 있으면 많은 의류와 침구가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옷장 안의 습기를 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제거해 주는 습기 제거제 등을 이용하거나 옷장의 문을 자주 열고 닫는 방법을 통하여 습기를 제거하고, 나프탈렌 등과 같은 약제를 이용하여 좀벌레와 같은 섬유를 해치는 해충을 방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습기 제거제나 해충약의 교환 시기를 일일이 확인하여 제 때에 교환해주어야 하며, 제 때에 교환을 해 주지 않으면, 옷장 안의 의류 및 침구 등이 상하여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옷장 내측에 내부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들을 구비시켜, 옷장 내부공기의 온도 및 습도가 해충이나 곰팡이 등과 미생물이 서식할 수 없는 환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옷장에 수납된 의복 및 침구류 등을 위생적이고, 쾌적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한국특허 출원 10-2002-0032479호를 통해 출원된 기술은, "복수의 가구몸체가 서로 맞닿아 설치된 수납용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가구몸체의 일측에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이 가구몸체의 내부에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와, 상기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에 설치된 제1송풍기와, 상기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송풍기에 의해 이송되는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된 제2송풍기와,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송풍기에 의해 이송되는 실외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구비되며 응축된 공기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수수단(161)이 구비된 공조기능을 갖는 가구"를 구현하고자 것으로서, 옷장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조장치는 옷장 내부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기존 옷장의 경우 내부구조를 변경시켜야만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소유하고 있는 옷장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경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옷장은 내실과 같은 장소에 놓여지거나, 붙박이 장의 경우 일측 벽면 전체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그 구조상 응축된 물을 배출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응축된 물을 관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보관함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옷장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물을 버리고자 보관함을 들어낼 때 물을 쏟게 되는 등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옷장, 붙박이 장에 구비되는 문의 내측에 장탈착이 용이하게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옷장의 내부 습도가 조절되고 살균, 탈취 기능이 수행되어 옷장 내부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며, 각 기능의 작동 상태 및 결과를 문 외부에 설치된 화면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장치에 통신수단을 구비시켜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출력해 주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취 기능이 수행될 때 온풍이 발생되도록 하여 탈취 기능이 좀더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한 정보가 실시간 또는 예약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전기기, 전등 등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LCD를 구비시켜 문을 열지 않고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측 소정 위치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를 하기 위한 공조장치; 및 상기 문의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측 소정 위치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문 내부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공기 정화모드와 문 외부의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공기 정화모드로 운용되는 공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측 소정 위치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를 하기 위한 공조장치; 상기 문의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출력부; 및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측 소정 위치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를 하기 위한 공조장치; 및 상기 문의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투명 액정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문에 관한 작용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주 구성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옷장 또는 붙박이장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내부에 기생하는 좀벌레 등을 살균하며, 옷 등에 흡착되어 있는 냄새등을 탈취를 하기 위한 공조장치(200)와, 외측에 구비되어 공조장치(2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주는 출력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조장치(200)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케이스(205)에 탑재되어 상기 문(100)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50) 내에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장치(200)에 연결되어 공조장치(200)의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팬(295)이 회전 또는 정지되도록 하는 팬모터(290)와 팬(295)이 더 설치된다.
상기 팬(295)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40) 및 도면에는 미도시된 온풍 발생부(245)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40) 및 상기 온풍 발생부(245)에 의해 발생되는 이온, 오존 및 온풍이 단시간에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50)는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와 LCD 패널로 이루어지거나, 발광다이오드 없이 LCD 패널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250)는 문(10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문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공조장치(200)의 케이스(205) 외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50)가 적색 발광다이오드와 녹색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경우 현재 작동중일 경우는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고, 작동상태가 종료된 경우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은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적은 사이즈(size)의 액정 디스플레이창을 구비시켜 습도를 숫자형태로만 출력되도록 하거나, 통신부(255)를 통해 수신되는 부가정보를 스크롤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200)의 구성을 첨부 도면 도 7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내부의 현재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210)와, 상기 습도감지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감지신호에 응하여 제습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탈취/살균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230)와, 열전소자로 이루어진 제습부(225)와,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240)와,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응하여 온풍을 발생시키는 온풍 발생부(245)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40) 및 상기 온풍 발생부(245) 상부에 팬(295) 및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29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팬(295)은 원통형 크로스 플로우 팬이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200)는 상기 공조장치(200)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30)의 제습 구동신호에 응하여 상기 열전소자가 작동되어 형성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 보관함(26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습부(225)와 응축수 보관함(260) 사이에는 열전소자에 의해 형성된 응축수를 수집하기 위한 배수로(261)와, 상기 배수로(261)와 응축수 보관함(260)을 연결하는 배수관(2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로(261)는 배수관(262)으로 응축수가 잘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보관함(260)은 상기 응축수 보관함(260)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응축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응축수 버림요청신호를 출력하는 응축수 수위감지부(265)를 더 포함하며, 이때 제어부(230)는 상기 응축수 수위감지부(265)의 응축수 버림요청신호에 응하여 출력부(250)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위감지부(225)는 포토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보조 구성요소로서 패널부(215), UV 램프(270), 필터(275)가 더 포함되며, 상기 패널부(215)는 상기 문(100)의 내측 또는 외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출력한다. 이때 패널부(215)는 복수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UV 램프(270)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점등 또는 멸등되고, 상기 필터(275)는 상기 UV 램프(270)에서 주사되는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촉매가 코팅되어 있다. 즉, 상기 광촉매가 활성화되면 여러 라디칼(radical)이 형성되고 상기 라디칼의 강한 산화력에 의하여 미생물을 살균하는 동시에 라디칼이 악취를 유발하는 냄새물질과 반응하면서 분해하여 탈취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공조장치(200)가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작동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30)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모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제습부(225),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40) 및 상기 온풍발생부(245)가 작동되도록 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에 의해 수행되는 반자동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제습부(225),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40) 및 상기 온풍발생부(245)의 작동 간격 및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40) 및 상기 온풍발생부(245)가 작동되도록 하는 모드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230)에 의해 수행되는 수동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제습부(225),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40) 및 상기 온풍발생부(245)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고 작동 시작 신호를 입력하면, 작동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와 같이 문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조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조장치(200)는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수동모드로 운전되며, 상기 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로 공조장치(200)가 운전되도록 한다.
(자동모드)
먼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미리 세팅된 조건을 읽어들인 후, 그 조건(이 조건은 제품 출하시 세팅된 조건이나,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그 조건이 변경될 수 있으며, 재 변경 명령이 없는 동안 동일하게 유지된다)에 따라 상기 제습부(225)의 열전소자가 동작되도록 한다.
그리고, 팬(295)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225)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거쳐 고온부로 흡입되면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가 냉각 방식에 따라 응축되어 배수로(261)에 모아진다. 배수로(261)를 통해 모아진 응축수는 배수관(262)을 통해 응축수 보관함(260)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40) 및 상기 온풍발생부(245)가 작동되도록 하여 공기중에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켜 옷장 내부에 기생하고 있는 미생물을 살균시킬 뿐만 아니라, 온풍을 이용하여 의류 등의 표면에 붙어있는 냄새 입자들을 활성화시켜 보다 쉽게 의류의 표면에서 떨어져 나오도록 함으로써 탈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UV 램프(270) 또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점등 또는 멸등시키고, 이로 인해 필터(275)에 도포된 광촉매가 활성화되어 이온 및 오존에 의해 이루어지는 살균 및 탈취 기능이 좀더 빠른 시간내에 만족할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수위 감지부(265)로부터 응축수 버림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여, 응축수 버림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출력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주 구성은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옷장 또는 붙박이장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내부에 기생하는 좀벌레 등을 살균하며, 옷 등에 흡착되어 있는 냄새등을 탈취를 하기 위한 공조장치(200)이며, 상기 공조장치(200)가 실시예1과 다른 점은 상기와 같이 옷장 또는 붙박이장 내부에 대해서만 습기제거,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옷장 또는 붙박이장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의 공기 또한 정화시킬 수 있는 기능 및 구조를 갖는다.
즉,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100)은 상기 공조장치(200)의 하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외부공기 흡입구(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조장치의 상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외부공기 배출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200)는 첨부 도면 도 5와 같은 하우징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문(100)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205)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와 상기 외부공기 배출구(110)와 대응되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면에 문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내부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문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내부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 외부공기 흡입구 및 상기 내, 외부공기 배출구는 상기 공조장치(200)의 제어부(23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폐쇄 또는 개방시킬 수 있는 제 1 내지 제 4 문(30~60)을 갖는다.
이때, 상기 공조장치(200)의 일반적인 구성은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하고, 실시예1보다 보강된 구성을 갖는 제어부(230)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230)의 경우에도 실시예1과 동일한 기능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에게 내부공기 정화모드 및 외부공기 정화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내부공기 정화모드를 선택할 경우 외부공기 흡입구 및 외부공기 배출구를 폐쇄시키기 위해 제 1, 제 2 문(30)(40)이 닫혀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내부공기 흡입구 및 내부공기 배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 3, 제 4 문(50)(60)이 열려지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외부공기 정화모드를 선택할 경우 외부공기 흡입구 및 외부공기 배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 1, 제 2 문(30)(40)이 열려지도록 제어하고, 내부공기 흡입구 및 내부공기 배출구를 폐쇄시키기 위해 제 3, 제 4 문(50)(60)이 닫혀지도록 제어한다. 이때, 문의 구조는 정확하게 도면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에어컨 송풍구 도어의 개폐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할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2는 출력부(250)와 통신부(255)를 보조 구성으로 더 포함하고 있다. 즉 공조장치(200)는 상기 출력부(250)와 통신부(255)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있게 되며, 이 커넥터를 통해 옵션으로 출력부(250)와 통신부(2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50)는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255)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300)을 통해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전송되는 부가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255)는 상기 공조장치(2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공조장치(200)에 통신카드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시키고, 필요에 따라 통신카드를 장착시켜 통신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제공받는 부가정보는 교통, 증권, 날씨, 옷차림에 관한 정보 등이다.
상기 통신부(250)는 유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통신모듈이거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며, 쌍방향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부가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거나, 단방향 통신을 통하여 일방적으로 결정된 부가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250)는 상기 사용자가 외부에서 데이터 통신망(300)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 통신망(30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신호를 상기 제어부(230)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응하여 등록된 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드와는 별개로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기들(예를 들면 에이컨, 보일러, 전등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기들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통신부(255)를 통해 접속한 후 제어부(230)로 작동할 기기를 선택하고, 작동 요청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홈네트워크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3은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는 공조장치(200)에 출력부(250)와 통신부(255)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출력부(250)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내측 공조장치(200)의 일측 영역에 부착되어 결합되거나,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100)의 소정 위치가 통공되고, 공조장치(200)의 출력부(250)가 문 외측으로 보이도록 공조장치(200)가 통공에 고정되어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3에 의해 구현된 공조장치는 첨부 도면 도 7의 도시된 실시예1의 공조장치(200)에서 통신부(255)를 점선 블록 내로 포함시켜 통신부(255)를 일체로 갖는 공조장치이다.
상기 통신부(255)의 상세한 구성은 실시예2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3에 의해 구현되는 공조장치(200)는 실내 공기 정화기능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실내 공기 정화기능은 실시예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공조장치(200)는 일반 공조기능 이외에 출력부와 통신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내 공기 정화기능을 부가 기능으로 갖는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실시예4는 실시예1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는 공조장치(200)에 출력부(25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출력부(250)는 투명 LCD와, 램프와, 램프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며, 상기 램프 전원공급부는 상기 공조장치(200)에 구비된 제어부(230)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램프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램프가 점등 또는 멸등되도록 한다.
상기 램프가 점등되면 상기 투명 LCD를 통해 옷장 내부가 보이게 되고, 상기 램프가 멸등되면 상기 투명 LCD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들이 보이도록 한다.
따라서 실시예4의 경우 상기 투명 LCD를 통해 옷장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옷장에 보관되어 있는 의류를 꺼내기 전에 먼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옷장문을 열고 있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에 제습, 살균, 탈취 기능을 좀더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옷장, 붙박이 장에 구비되는 문의 내측에 장탈착이 용이하게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옷장의 내부 습도가 조절되고 살균, 탈취 기능이 수행되어 옷장 내부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며, 각 기능의 작동 상태 및 결과를 문 외부에 설치된 화면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옷장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조장치에 통신수단을 더 구비시켜 사용자에게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 또는 디폴트로 지정된 조건에 따라 예를 들면 날씨, 교통, 증권 등과 같이 간단하면서 유익한 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을 통해 출력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라디오, 텔레비전,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기능이 수행될 때 온풍이 발생되도록 하여 빠른 시간 내에 탈취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탈취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옷장 내부의 공기뿐만 아니라 옷장이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공기, 즉 외부공기까지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공기정화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옷장이 설치된 공간의 습도가 높을 경우 습기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나쁜 균들을 살균하며, 음식물 등과 같은 냄새를 탈취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요청한 시점에 요청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전기기, 전등 등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비를 부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홈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기기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LCD를 구비시켜 문을 열지 않고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여 굳이 옷장이나 붙박이장 문을 열지 않고도 보관중인 의류 등을 확인하고 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을 열고 있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 제습, 살균, 탈취 기능을 좀더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조장치가 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문에 형성된 통공에 출력부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공조장치에 출력부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내 및 실외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조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조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조장치의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문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출력부가 문에 적용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10 : 습도감지부 215 : 패널부
220 : 물보관함 225 : 수위감지부
230 : 제어부 240 : 플라즈마 발생부
245 : 온풍 발생부 250 : 출력부
255 : 통신부

Claims (40)

  1.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에 있어서,
    내부의 현재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와, 상기 습도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감지신호에 응하여 제습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탈취/살균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열전소자로 이루어진 제습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온풍을 발생시키는 온풍 발생부와, 상기 제습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온풍 발생부 상부에 팬 및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와, 상기 제습부의 열전소자 하측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습 구동신호에 응하여 상기 열전소자가 작동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 보관함으로 구성되어, 상기 문의 내측 소정 위치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를 하기 위한 공조장치; 및
    상기 문의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에 있어서,
    내부의 현재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와, 상기 습도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감지신호에 응하여 제습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탈취/살균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열전소자로 이루어진 제습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온풍을 발생시키는 온풍 발생부와, 상기 제습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온풍 발생부 상부에 팬 및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와, 상기 제습부의 열전소자 하측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습 구동신호에 응하여 상기 열전소자가 작동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 보관함과, 상기 공조장치의 하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조장치의 상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공기 배출구와, 상기 외부공기 배출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공과, 문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통공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공기 흡입구와,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문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공기 배출구로 구성되어,
    상기 문의 내측 소정 위치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문 내부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공기 정화모드 또는 문 외부의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공기 정화모드로 운용되는 공조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 옷장 또는 붙박이장 등에 구비된 문에 있어서,
    내부의 현재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와, 상기 습도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감지신호에 응하여 제습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탈취/살균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열전소자로 이루어진 제습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온풍을 발생시키는 온풍 발생부와, 상기 제습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온풍 발생부 상부에 팬 및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와, 상기 제습부의 열전소자 하측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습 구동신호에 응하여 상기 열전소자가 작동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 보관함으로 구성되어, 상기 문의 내측 소정 위치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기의 습도 조절 및 살균, 탈취를 하기 위한 공조장치;
    상기 문의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출력부; 및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상기 문의 내측 또는 외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출력하는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복수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공조장치가 자동모드, 반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작동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모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제습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온풍발생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반자동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제습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온풍발생부의 작동 간격 및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온풍발생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수동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제습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 및 상기 온풍발생부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고 작동 시작 신호를 입력하면, 작동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상기 공조장치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점등 또는 멸등되는 UV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UV 램프에서 주사하는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외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내측 또는 외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출력하는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복수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은,
    상기 공조장치의 하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외부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조장치의 상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외부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문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와 상기 외부공기 배출구와 대응되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면에 문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내부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문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내부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부공기 흡입구 및 상기 내, 외부공기 배출구는,
    상기 공조장치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폐쇄 또는 개방시킬 수 있는 제 1 내지 제 4 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상기 사용자에게 내부공기 정화모드 및 외부공기 정화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내부공기 정화모드를 선택할 경우 외부공기 흡입구 및 외부공기 배출구를 폐쇄시키기 위해 제 1, 제 2 문이 닫혀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내부공기 흡입구 및 내부공기 배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 3, 제 4 문이 열려지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외부공기 정화모드를 선택할 경우 외부공기 흡입구 및 외부공기 배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 1, 제 2 문이 열려지도록 제어하고, 내부공기 흡입구 및 내부공기 배출구를 폐쇄시키기 위해 제 3, 제 4 문이 닫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쌍방향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부가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1.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단방향 통신을 통하여 일방적으로 결정된 부가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외부에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응하여 등록된 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부가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쌍방향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부가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쌍방향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부가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단방향 통신을 통하여 일방적으로 결정된 부가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단방향 통신을 통하여 일방적으로 결정된 부가정보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4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외부에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요청신호에 응하여 등록된 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KR1020040061206A 2004-08-03 2004-08-03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KR10052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206A KR100529217B1 (ko) 2004-08-03 2004-08-03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206A KR100529217B1 (ko) 2004-08-03 2004-08-03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9217B1 true KR100529217B1 (ko) 2005-11-17

Family

ID=3730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206A KR100529217B1 (ko) 2004-08-03 2004-08-03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21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19B1 (ko) * 2009-09-21 2010-05-06 (주)썬트리즈 제습,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기능성 가구
KR100972234B1 (ko) 2008-06-27 2010-07-23 김완철 제습 가능한 가구
KR101362376B1 (ko) * 2007-06-29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능형 옷장, 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38036B1 (ko) * 2013-11-14 2015-07-22 (주)에코리사이클링 살균 및 소독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트렁크용 수납함 어셈블리
KR20180128549A (ko) * 2017-05-23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
CN109953505A (zh) * 2019-04-23 2019-07-02 北京林成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衣柜
KR20200052544A (ko) * 2018-11-07 2020-05-15 주식회사 피글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류 관리 장치
KR20210067646A (ko) * 2019-11-29 2021-06-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농도 저가형 오존 발생기
KR20210070653A (ko) * 2019-12-05 2021-06-15 최영애 가구 부착용 친환경 필터장치
CN115067683A (zh) * 2022-05-07 2022-09-20 宁波威霖住宅设施有限公司 一种智能衣物存护机及控制方法
KR20230009634A (ko) * 2021-07-09 2023-01-17 김두철 살균장치를 겸비한 사물함 손잡이
EP4371581A1 (en) * 2022-11-03 2024-05-22 MDG Engineering S.r.l. Drying cabinet for reusable invasive medical devices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376B1 (ko) * 2007-06-29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능형 옷장, 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972234B1 (ko) 2008-06-27 2010-07-23 김완철 제습 가능한 가구
KR100955219B1 (ko) * 2009-09-21 2010-05-06 (주)썬트리즈 제습,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기능성 가구
KR101538036B1 (ko) * 2013-11-14 2015-07-22 (주)에코리사이클링 살균 및 소독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트렁크용 수납함 어셈블리
KR102388708B1 (ko) * 2017-05-23 202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
KR20180128549A (ko) * 2017-05-23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
KR20200052544A (ko) * 2018-11-07 2020-05-15 주식회사 피글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류 관리 장치
KR102222952B1 (ko) * 2018-11-07 2021-03-04 주식회사 피글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류 관리 장치
CN109953505A (zh) * 2019-04-23 2019-07-02 北京林成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衣柜
KR20210067646A (ko) * 2019-11-29 2021-06-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농도 저가형 오존 발생기
KR102285775B1 (ko) 2019-11-29 2021-08-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농도 저가형 오존 발생기
KR20210070653A (ko) * 2019-12-05 2021-06-15 최영애 가구 부착용 친환경 필터장치
KR102338869B1 (ko) 2019-12-05 2021-12-13 최영애 가구 부착용 친환경 필터장치
KR20230009634A (ko) * 2021-07-09 2023-01-17 김두철 살균장치를 겸비한 사물함 손잡이
KR102569248B1 (ko) 2021-07-09 2023-08-24 김두철 살균장치를 겸비한 사물함 손잡이
CN115067683A (zh) * 2022-05-07 2022-09-20 宁波威霖住宅设施有限公司 一种智能衣物存护机及控制方法
EP4371581A1 (en) * 2022-11-03 2024-05-22 MDG Engineering S.r.l. Drying cabinet for reusable invasive medical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852B1 (ko)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KR100529217B1 (ko) 옷장에 설치되는 기능성 문
US20060260341A1 (en) Refrigerator with integrated air cleaner
JP2005003321A (ja) 換気システム
CN113631864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KR20180067874A (ko) 욕실관리시스템
KR102243305B1 (ko) 가정용 에어 샤워기
CN201368538Y (zh) 自动干燥防霉空调
KR20200074630A (ko) 인공지능 냉장고
KR20130136121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한 발판장치
JP2011163645A (ja) 空気調和機
KR101930809B1 (ko) 수납장용 받침대
JP5462517B2 (ja) 機器制御方法及びそれを採用した空気調和機
KR20170069393A (ko) 세라믹 허니컴 히터를 구비한 에어 커튼
CN114270103B (zh) 空调机
JP2011163644A (ja) 空気調和機
KR200800597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87298A (ko) 기능성 필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321509Y1 (ko) 향발생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0334441Y1 (ko) 다목적 블로워
KR20170079558A (ko) 환풍 장치
JP2004156796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JP3014175U (ja) 空気調和装置
JP2002228180A (ja) 空気調和機
KR200379898Y1 (ko) 클린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