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753B1 -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753B1
KR102254753B1 KR1020200020668A KR20200020668A KR102254753B1 KR 102254753 B1 KR102254753 B1 KR 102254753B1 KR 1020200020668 A KR1020200020668 A KR 1020200020668A KR 20200020668 A KR20200020668 A KR 20200020668A KR 102254753 B1 KR102254753 B1 KR 10225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main body
frame
modul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화
김기형
Original Assignee
김필화
김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화, 김기형 filed Critical 김필화
Priority to KR102020002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35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격벽이 구비되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유입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본체배출구가 포함되는 본체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시키는 제습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송풍부, 냉각부, 응축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구성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공간 효율을 향상시켜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A INTEGRAL THERMO-HYGROSTAT}
본 발명은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송풍부, 냉각부, 응축부, 가열부 및 제습부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공간 효율을 향상시켜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는 실내의 온도, 습도, 세균, 냄새, 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여 주택, 호텔, 회관, 사무실, 전산실 및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생활하는 실내의 사람을 쾌적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람에게 쾌적한 공기상태는 기후 조건, 복장, 생활수준, 건강상태 등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일정한 값이 있는 것은 아니나, 여름에는 온도 26∼28℃, 상대습도 약 50%, 겨울에는 온도 20∼22℃, 상대습도 약 40%를 목표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값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공장의 작업장, 창고, 실험실, 전산실 등의 장소가 그 기능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거기서 생산되고 가공되며 저장 또는 시험되는 물건이나 해당 장소에서 운영 중인 각종 기기에 가장 알맞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연초 공장에서는 잎을 잘게 썰 때 너무 건조하여 가루가 되는 일이 없도록 비교적 습도를 높게 하고, 초콜릿 공장에서는 초콜릿이 녹아서 제모양을 잃는 일이 없도록 온도를 낮게 하며, 트랜지스터 제작공장에서는 먼지를 극도로 줄이고, 생리학 실험실에서는 바람이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공기의 흐름을 느리게 하는 등, 생산되는 물품의 품질이 고르지 않거나 불량품이 많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조화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정한 온습도를 요구하는 제품 처리과정이라든지 보관과정 등 산업분야로의 응용을 그 목적으로 할 때에는 난방과 냉방뿐만 아니라 습도도 제어해야 하는데, 이러한 공기조화를 할 수 있는 항온항습기는, 실내 공간의 현재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값으로 유지시켜주는 장치로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기 및 온기를 공급하는 온풍기와 실내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제습기로 이루어져, 증발기와 응축기 및 펌프와 밸브 등으로 구성되는 냉각기가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발생시키고, 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온기를 송풍 팬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며, 물속에 열 파이프의 가열로 물을 수증기화시키거나, 물 전도율을 이용한 전기 통전으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습기를 통해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한다.
즉, 주지된 항온항습기는 항상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로서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정밀 제어기기가 설치된 방이나 고가의 통신 기기가 설치된 방, 실험실 및 전산실 등 여러 분야에 설치 사용되어 각종기기의 오동작을 예방하고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이다.
상기 항온항습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실내의 유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필터, 찬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쿨링코일, 따뜻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기 위한 히팅코일, 송풍팬과, 실내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제습기로 구성되는데, 종래의 항온항습기에서는 위 부품들이 실외기와 실내기에 분리 구성되며, 압축기, 응축기는 실외기에 위치하며, 에어필터, 쿨링코일, 히팅코일, 송풍팬, 제습기는 실내기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항온항습기는 실내기는 항온항습을 요하는 실내에 위치하지만, 실외기는 실내기로 부터 분리되어 따로 위치하게 되며 이들 간에는 동파이프 등을 사용하여 냉매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공간을 넓게 차지하여 협소한 공간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9-0089313 호(2019.07.3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85562 호(2018.01.19.) 등록특허공보 제 10-1549691 호(2015.08.2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체부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송풍부, 냉각부, 응축부, 가열부 및 제습부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공간 효율을 향상시켜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는, 격벽이 구비되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유입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본체배출구가 포함되는 본체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시키는 제습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공간에 구비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모듈; 상기 본체부의 하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모듈에 의해 압축된 냉매 가스를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시켜 응축하는 응축모듈; 상기 응축모듈에 의해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밸브을 통과한 냉매를 공기와 열 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모듈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저장되는 집수탱크;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되, 일 측은 상기 집수탱크와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응축모듈의 냉매와 열 교환되도록 구성되는 제습코일; 및 상기 집수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제습코일에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펌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유입구 및 본체배출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본체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프리필터(Pre-Filter), 미디움필터(Medium-Filter), 헤파필터(Hepa-Filter), 울파필터(Ulpa-Filter) 및 케미칼필터(Chemical-Filter)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내 및 실외에 위치하는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따라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미세먼지 측정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별도로 실외에 구비되되 환기밸브로 개폐 가능한 환기관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연결되며, 외부공기유입구 및 외부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미세먼지측정본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의 외부공기본체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외부공기유입팬;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의 미세먼지측정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1광조사모듈;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의 내부에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1수광모듈; 상기 본체부의 본체유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광조사모듈; 상기 본체부의 상부 공간에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2수광모듈; 및 상기 제1수광모듈 및 제2수광모듈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통해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는, 상기 제1수광모듈을 통해 측정된 제1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제2수광모듈을 통해 측정된 제2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 정보 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은, 개방이 가능한 분리형 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도어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 상부 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의 진입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형 도어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 상부 공간의 하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형 도어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분리형 도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형 도어의 결합 시에 상기 스토퍼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에 결합되는 제1결합면, 상기 제1결합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측면, 상기 제1측면에서 직교되어 형성되는 전면, 상기 전면에서 직교되어 형성되는 제2측면, 상기 제2측면에서 직교되어 상기 분리형 도어에 결합되는 제2결합면, 상기 전면의 상부를 일부 절삭하여 형성되는 개방면 및 상기 제1측면의 내면과 상기 제2측면의 내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축이 포함되는 고정모듈; 상기 고정모듈의 개방면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쇠, 상기 걸림쇠의 후단에서 전면이 예각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모듈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피가압걸쇠, 상기 걸림쇠가 상기 고정모듈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동축 및 상기 걸림쇠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고정축이 포함되는 회동모듈; 및 상기 제1고정축과 제2고정축을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외부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송풍부, 냉각부, 가열부 및 제습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외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습도 정보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메모리;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판단모듈;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에 의한 판단 결과,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판단 결과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풍부, 냉각부, 가열부 및 제습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구동시키는 처리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온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송풍부, 냉각부, 가열부 및 제습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 의하면, 본체부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송풍부, 냉각부, 응축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구성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공간 효율을 향상시켜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본체유입구에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어 프레임의 내부에 쌓이게 되거나 각 구성에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하부 공간에 위치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미세먼지 측정부의 미세먼지측정본체에 위치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측정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미세먼지측정본체에 위치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프레임의 하부 공간에 위치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세먼지측정본체에 위치한 공기가 본체부의 프레임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구가 형성되는 프레임의 하부 측면이 개방 가능한 분리형 도어로 구성됨으로써, 프레임의 뼈대를 형성하기 위한 나사 등을 분리하지 않아도 프레임 내부의 장비 수리나 교체 등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부의 증발모듈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모듈의 열 교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본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외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습도 정보 등을 측정하여 이를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어부가 프레임의 외부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송풍부, 냉각부, 가열부 및 제습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프레임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냉각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제습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냉매순환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미세먼지 측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분리형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분리형 도어의 체결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분리형 도어의 체결수단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본체부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송풍부, 냉각부, 응축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구성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공간 효율을 향상시켜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프레임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냉각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제습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냉매순환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d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는 본체부(100),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가 포함되며, 이러한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는 본 발명의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공기 조화 장치라고도 한다.
이러한 상기 항온 항습 장치는 공기의 가열, 냉각, 증습 및 감습 등을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을 조합하여 온도와 습도의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이들을 적절하게 작동시켜 희망하는 일정 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소규모의 실험실적 목적에는 습도를 조절하는데 공기 중에 진한 황산과 묽은 황산 등과 같은 흡습 능력이 다른 두 종류의 흡습성 액체를 두고 양자의 온도를 자동 제어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지만, 대규모 목적에는 일반적으로 증습 장치와 감습 장치를 조합시킨 장치 등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격벽(113)이 구비되어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으로 분리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유입구(12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본체배출구(13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본체부(100)의 형상은 상기 본체부(100)의 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부(200), 냉각부(300) 및 가열부(4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유입구(120)에는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부재는 후술되는 본체배출구(130)에 설치되는 필터부재(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유입구(120)에 설치되는 필터부재(140)는 프리필터(Pre-Filter), 미디움필터(Medium-Filter), 헤파필터(Hepa-Filter), 울파필터(Ulpa-Filter) 및 케미칼필터(Chemical-Filter)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본체배출구(130)에는 상기 본체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부재는 상기 본체유입구(120)에 설치되는 필터부재(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배출구(130)에 설치되는 필터부재(140)는 프리필터(Pre-Filter), 미디움필터(Medium-Filter), 헤파필터(Hepa-Filter), 울파필터(Ulpa-Filter) 및 케미칼필터(Chemical-Filter)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유입구(120)에 형성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본체배출구(130)에 형성되는 필터부재는 각각 서로 다른 필터로 구성되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유입구(120)에 형성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본체배출구(130)에 형성되는 필터부재의 필터 조합은 본 발명의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가 설치되는 영역 및 사용되는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송풍부(200)에는, 상기 본체유입구(120)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으로 유입시키는 본체송풍팬(210) 및 상기 본체송풍팬(21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부(200)는 후술되는 제어부(800)의 제어 등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송풍부(2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송풍팬(210)이 상기 본체유입구(120)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이나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의 공간적 여유에 따라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송풍팬(210)이 상기 본체배출구(130)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기가 상기 본체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송풍부(200)의 역할이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 공기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기가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본체송풍팬(210) 및 송풍모터 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각부(300)는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냉각부(300)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공간(112)에 구비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모듈(310),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공간(112)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모듈(310)에 의해 압축된 냉매 가스를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시켜 응축하는 응축모듈(320), 상기 응축모듈(320)에 의해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팽창밸브(33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밸브(330)을 통과한 냉매를 공기와 열 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모듈(34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부(300)는 후술되는 제어부(800)의 제어 등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모듈(310)에 의해 압축된 냉매 가스를 열 교환시킨 공기는 상기 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별도의 배기관(150) 등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4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가열부(4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한 가열 코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가열부(400)는 후술되는 제어부(800)의 제어 등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부(500)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습부(500)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모듈(34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저장되는 집수탱크(510), 상기 집수탱크(510)로부터 전달받은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배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집수탱크(510)로부터 전달받은 응축수가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제습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습코일(520) 및 상기 집수탱크(510)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탱크(510)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제습코일(520)에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펌프(5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부(500)는 후술되는 제어부(800)의 제어 등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탱크(5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모듈(340)의 표면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직접 집수 또는 간접적으로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응축수와 냉매 간의 적절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응축수의 저장 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집수탱크(510)의 내부에는 응축수와 냉매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매순환관(51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순환관(511)은 바람직하게 집수탱크(510) 내부의 응축수에 잠기도록 배관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모듈(32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매와 응축수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열 교환된 냉매가 상기 응축모듈(320)로 다시 이동되어 순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냉매순환관(511)는 제습 시에만 사용되는 것이므로, 유입 측 및 토출 측에는 각각 체크밸브 등이 설치되어 별도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순환관(511)은 상기 압축모듈(310)의 토출 측과 연결되어 압축모듈(310)에서 토출되는 냉매(고온고압의 가스)를 집수탱크(510)로 순환시켜 응축수와 열 교환한 후 상기 응축모듈(320)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습코일(520)은 상기 펌프(530)에 의해 펌핑되는 응축수와 제습 공기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예를 들어, 상기 증발모듈(340)의 전방에 사행 형상(좌우로 구부러져 흐르는 형상)으로 배관될 수 있고, 상기 제습코일(520)은 제습 공기와 열 교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관될 수 있다.
상기 펌프(530)는 집수탱크(510)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제습코일(520)로 강제 공급하는 것이며, 제습 모드(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습모드) 시에만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미세먼지 측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는 실내 및 실외에 위치하는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따라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미세먼지 측정부(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600)에는, 상기 본체부(100)와 별도로 실외에 구비되되 환기밸브(612)로 개폐 가능한 환기관(611)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연결되며, 외부공기유입구(613) 및 외부공기배출구(614)가 형성되는 미세먼지측정본체(610),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외부공기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외부공기유입팬(620),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미세먼지측정본체(610)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1광조사모듈(630),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에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1수광모듈(640), 상기 본체부(100)의 본체유입구(12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공간(111)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광조사모듈(65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공간(111)에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2수광모듈(660) 및 상기 제1수광모듈(640) 및 제2수광모듈(660)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통해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모듈(67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600)는, 상기 제1수광모듈(640)을 통해 측정된 제1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제2수광모듈(660)을 통해 측정된 제2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 정보 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기밸브(612)를 제어하여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600)는 상기 프레임(110)이 설치되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와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기밸브(612)를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과 환기관(611)으로 연결되는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 공기가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600)에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기관(611)을 통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 공기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으로 전달하기 위한 환기팬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환기팬의 회전 속도는 분당 60회 내지 120회가 되도록 15초 내지 30초간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제1수광모듈(640) 및 제2수광모듈(660)은 상기 환기팬의 구동이 정지될 때마다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 및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공간(111)에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모듈(670)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판단하고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6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존재하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에 존재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기밸브(612)를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가 환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분리형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분리형 도어의 체결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분리형 도어의 체결수단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6c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본체유입구(120)가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측면은 개방 가능한 분리형 도어(70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분리형 도어(700)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110) 상부 공간(111)의 상부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700)의 진입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7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형 도어(700)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110) 상부 공간(111)의 하부에는 결합홈(7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분리형 도어(700)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7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72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740) 및 상기 분리형 도어(7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형 도어(700)의 결합 시에 상기 스토퍼(71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수단(73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형 도어(700)는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체결수단(730)의 체결 상태에 따라 고정 및 미고정 상태로 분류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730)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700)에 결합되는 제1결합면(731a), 상기 제1결합면(731a)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측면(731b), 상기 제1측면(731b)에서 직교되어 형성되는 전면(731c), 상기 전면(731c)에서 직교되어 형성되는 제2측면(731d), 상기 제2측면(731d)에서 직교되어 상기 분리형 도어(700)에 결합되는 제2결합면(731e), 상기 전면(731c)의 상부를 일부 절삭하여 형성되는 개방면(731f) 및 상기 제1측면(731b)의 내면과 상기 제2측면(731d)의 내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축(731g)이 포함되는 고정모듈(731), 상기 고정모듈(731)의 개방면(731f)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쇠(732a), 상기 걸림쇠(732a)의 후단에서 전면이 예각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모듈(73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피가압걸쇠(732b), 상기 걸림쇠(732a)가 상기 고정모듈(731)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회동축(732c) 및 상기 걸림쇠(732a)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고정축(732d)이 포함되는 회동모듈(732) 및 상기 제1고정축(731g)과 제2고정축(732d)을 연결하는 탄성부재(733)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수단(730)은, 상기 고정모듈(731)이 상기 분리형 도어(7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도어(700)가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동모듈(732)의 피가압걸쇠(732b)가 상기 프레임(110)의 스토퍼(710)에 의해 밀림되는 경우 상기 회동모듈(732)이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쇠(732a)가 상기 스토퍼(71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동모듈(732)의 걸림쇠(732a)에 의한 체결은 상기 탄성부재(733)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탄성부재(733)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분리형 도어(700)에 힘을 가하여 상기 분리형 도어(700)를 상기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걸림쇠(732a)가 상기 스토퍼(710)에 의해 밀림되어 상기 회동모듈(732)이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쇠(732a)에 의한 체결이 해제되게 된다.
즉 반대로 말하자면, 상기 분리형 도어(700)를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시킬 때에도 상기 분리형 도어(700)를 상기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와 유사한 크기의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피가압걸쇠(732b)가 상기 스토퍼(710)에 의해 밀림되어 상기 회동모듈(732)이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쇠(732a)에 의한 체결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수단(730)에 의한 체결구조는 상기 분리형 도어(700)가 상기 프레임(110)에 용이하게 원터치로 고정 및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분리형 도어(700)가 상기 프레임(110)에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8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800)는 본 발명의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가 자동 또는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800)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습도 정보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810), 상기 온습도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메모리(820), 상기 온습도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판단모듈(830)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830)에 의한 판단 결과, 상기 온습도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판단 결과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모듈(84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판단모듈(830)은 미세먼지 측정부(600)의 판단모듈(670)과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에는 상기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구동시키는 처리모듈(85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모듈(850)은 상기 온습도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통신모듈(840)을 통해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습도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온도 정보 및 외부 습도 정보가 상기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태판단모듈(830)에 의해 생성되는 판단 결과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IT 기기로 구성되는 작업자단말부를 통해 상기 판단 결과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작업자단말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8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격으로 본 발명의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에는 상기 프레임(110)이 설치되는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인원 수를 감지하는 인원 수 감지모듈(86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인원 수 감지모듈(860)에 의해 감지되는 인원 수 정보에 따라 상기 프레임(110)이 설치되는 영역의 온도와 습도를 인원 수 정보에 대해 최적화된 설정 값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인원 수 감지모듈(860)에 의해 감지되는 인원 수 정보에 따라 상기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때 인원 수 정보에 대해 최적화된 설정 값은 상기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원 수 감지모듈(860)은 열화상카메라 등으로 구성되어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 등을 통해 상기 프레임(110)이 설치되는 영역의 인원 수를 감지하여 인원 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송풍부, 냉각부, 응축부, 가열부 및 제습부의 구성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공간 효율을 향상시켜 좁은 공간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본체부
110 : 프레임
111 : 상부 공간 112 : 하부 공간
113 : 격벽
120 : 본체유입구 130 : 본체배출구
140 : 필터부재 150 : 배기관
200 : 송풍부
210 : 본체송풍팬 220 : 구동모터
300 : 냉각부
310 : 압축모듈 320 : 응축모듈
330 : 팽창밸브 340 : 증발모듈
400 : 가열부
500 : 제습부
510 : 집수탱크 511 : 냉매순환관
520 : 제습코일 530 : 펌프
600 : 미세먼지 측정부
610 : 미세먼지측정본체
611 : 환기관 612 : 환기밸브
613 : 외부공기유입구 614 : 외부공기배출구
620 : 외부공기유입팬 630 : 제1광조사모듈
640 : 제1수광모듈 650 : 제2광조사모듈
660 : 제2수광모듈 670 : 판단모듈
700 : 분리형 도어
710 : 스토퍼 720 : 결합홈
730 : 체결수단
731 : 고정모듈 731a : 제1결합면
731b : 제1측면 731c : 전면
731d : 제2측면 731e : 제2결합면
731f : 개방면 731g : 제1고정축
732 : 회동모듈 732a : 걸림쇠
732b : 피가압걸쇠 732c : 회동축
732d : 제2고정축
733 : 탄성부재
740 : 결합돌기
800 : 제어부
810 : 온습도센서 820 : 저장메모리
830 : 상태판단모듈 840 : 통신모듈
850 : 처리모듈 860 : 인원 수 감지모듈

Claims (10)

  1. 격벽(113)이 구비되어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으로 분리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유입구(12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본체배출구(130)가 포함되는 본체부(100);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200);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부(300);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400); 및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시키는 제습부(500);
    가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냉각부(300)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공간(112)에 구비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모듈(310);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공간(112)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모듈(310)에 의해 압축된 냉매 가스를 공기와 열 교환시켜 응축하는 응축모듈(320);
    상기 응축모듈(320)에 의해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팽창밸브(33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밸브(330)을 통과한 냉매를 공기와 열 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모듈(340);
    이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제습부(500)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모듈(340)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저장되는 집수탱크(510);
    상기 집수탱크(510)로부터 전달받은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배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집수탱크(510)로부터 전달받은 응축수가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제습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습코일(520); 및
    상기 집수탱크(510)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탱크(510)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제습코일(520)에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펌프(530);
    가 포함되도록 하며,
    실내 및 실외에 위치하는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따라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미세먼지 측정부(6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600)에는,
    상기 본체부(100)와 별도로 실외에 구비되되 환기밸브(612)로 개폐 가능한 환기관(611)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에 연결되며, 외부공기유입구(613) 및 외부공기배출구(614)가 형성되는 미세먼지측정본체(610);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외부공기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외부공기유입팬(620);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미세먼지측정본체(610)에 구비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제1광조사모듈(630);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에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1수광모듈(640);
    상기 본체부(100)의 본체유입구(12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공간(111)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광조사모듈(65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공간(111)에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을 수광하는 제2수광모듈(660); 및
    상기 제1수광모듈(640) 및 제2수광모듈(660)에서 측정된 산란광을 통해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모듈(670);
    이 포함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600)는,
    상기 제1수광모듈(640)을 통해 측정된 제1미세먼지 농도 정보 및 제2수광모듈(660)을 통해 측정된 제2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상기 제2미세먼지 농도 정보 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기밸브(612)를 제어하여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부(100)의 프레임(110)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600)에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환기관(611)을 통해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 공기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111)으로 전달하기 위한 환기팬이 더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환기팬의 회전 속도는 분당 60회 내지 120회가 되도록 15초 내지 30초간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1수광모듈(640) 및 제2수광모듈(660)은 상기 환기팬의 구동이 정지될 때마다 상기 미세먼지측정본체(610)의 내부 및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공간(111)에 있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유입구(120)가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측면은, 개방이 가능한 분리형 도어(700)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도어(700)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110) 상부 공간(111)의 상부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700)의 진입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710)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형 도어(700)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110) 상부 공간(111)의 하부에는 결합홈(720)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형 도어(700)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7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72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740) 및 상기 분리형 도어(7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형 도어(700)의 결합 시에 상기 스토퍼(71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수단(730)이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수단(730)에는,
    상기 분리형 도어(700)에 결합되는 제1결합면(731a), 상기 제1결합면(731a)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측면(731b), 상기 제1측면(731b)에서 직교되어 형성되는 전면(731c), 상기 전면(731c)에서 직교되어 형성되는 제2측면(731d), 상기 제2측면(731d)에서 직교되어 상기 분리형 도어(700)에 결합되는 제2결합면(731e), 상기 전면(731c)의 상부를 일부 절삭하여 형성되는 개방면(731f) 및 상기 제1측면(731b)의 내면과 상기 제2측면(731d)의 내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축(731g)이 포함되는 고정모듈(731);
    상기 고정모듈(731)의 개방면(731f)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쇠(732a), 상기 걸림쇠(732a)의 후단에서 전면이 예각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모듈(73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피가압걸쇠(732b), 상기 걸림쇠(732a)가 상기 고정모듈(731)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동축(732c) 및 상기 걸림쇠(732a)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고정축(732d)이 포함되는 회동모듈(732); 및
    상기 제1고정축(731g)과 제2고정축(732d)을 연결하는 탄성부재(733);
    가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8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800)에는,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습도 정보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810);
    상기 온습도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메모리(820);
    상기 온습도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판단모듈(830);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830)에 의한 판단 결과, 상기 온습도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판단 결과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모듈(840);
    이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800)에는,
    상기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구동시키는 처리모듈(850)이 포함되며,
    상기 처리모듈(850)은,
    상기 온습도센서(8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 정보 및 기준 습도 정보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통신모듈(840)을 통해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송풍부(200), 냉각부(300), 가열부(400) 및 제습부(50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본체유입구(120) 및 본체배출구(13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본체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재(1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140)는,
    프리필터(Pre-Filter), 미디움필터(Medium-Filter), 헤파필터(Hepa-Filter), 울파필터(Ulpa-Filter) 및 케미칼필터(Chemical-Filter)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20668A 2020-02-19 2020-02-19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KR102254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68A KR102254753B1 (ko) 2020-02-19 2020-02-19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68A KR102254753B1 (ko) 2020-02-19 2020-02-19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753B1 true KR102254753B1 (ko) 2021-05-24

Family

ID=7615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668A KR102254753B1 (ko) 2020-02-19 2020-02-19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953B1 (ko) * 2021-07-14 2021-10-20 주식회사 지티피에스 초절전형 항온항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427A (ko) * 1992-09-02 1994-04-29 윤종용 윈도우(Window) 신호발생장치
KR101549691B1 (ko) 2015-04-15 2015-09-04 현대기술산업(주) 응축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 항습기
KR200485562Y1 (ko) 2016-08-31 2018-01-25 드림에어 (주)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KR20190089313A (ko)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센트라 항온항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427A (ko) * 1992-09-02 1994-04-29 윤종용 윈도우(Window) 신호발생장치
KR101549691B1 (ko) 2015-04-15 2015-09-04 현대기술산업(주) 응축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 항습기
KR200485562Y1 (ko) 2016-08-31 2018-01-25 드림에어 (주)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KR20190089313A (ko)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센트라 항온항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953B1 (ko) * 2021-07-14 2021-10-20 주식회사 지티피에스 초절전형 항온항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6826B1 (en) Dehumidifier
US4719761A (en) Cooling system
US6575228B1 (en) Ventilating dehumidifying system
KR102047754B1 (ko) 다기능 스마트 공조시스템
KR102102831B1 (ko) 실내 정원을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JPH0260937B2 (ko)
KR102388708B1 (ko) 옷장
CN104676782B (zh) 一种多级叉流的溶液调湿空气处理装置
JP2001272086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方法
CN110375404A (zh) 双蒸发温度的新风空调及其控制方法
KR101825873B1 (ko) 바이패스를 이용한 히트파이프 공기조화장치
CN107726531B (zh) 一种热泵新风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8185330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方法
JP5110152B2 (ja) 空気調和装置
CN106232402A (zh) 加湿装置
CN107270427A (zh) 一种带热回收功能的新型溶液调湿新风机组
CN108286755A (zh) 一种自带冷源的空气处理机组
KR102254753B1 (ko)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KR101840588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CN209558595U (zh) 自耦换热及冷热回收新风除湿空调机
CN105758056A (zh) 空调系统及具有其的空调器
CN110469927A (zh) 自耦换热及冷热回收新风除湿空调机
KR101636263B1 (ko) 다기능 공조시스템
US20230063572A1 (en) Heat Pump-Based Water Harvesting Systems
CN207849566U (zh) 一种带独立新风除湿的多联式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