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62Y1 -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62Y1
KR200485562Y1 KR2020160005064U KR20160005064U KR200485562Y1 KR 200485562 Y1 KR200485562 Y1 KR 200485562Y1 KR 2020160005064 U KR2020160005064 U KR 2020160005064U KR 20160005064 U KR20160005064 U KR 20160005064U KR 200485562 Y1 KR200485562 Y1 KR 200485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spring
thermo
hygrost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환
Original Assignee
드림에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에어 (주) filed Critical 드림에어 (주)
Priority to KR2020160005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 항온항습기 기계실의 입구 상단에 마련되어 도어의 진입한계를 설정하는 판형의 스톱퍼와, 상기 항온항습기 기계실의 입구 바닥프레임에 형성된 홈과, 하단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홈을 중심으로 항온항습기 기계실의 입구 방향으로 밀거나 반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닫힐 때 상기 스톱퍼와 마주보는 지점에는 걸림쇠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톱퍼 배면에 체결되는 록킹 장치가 부착된 도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THERMOHYGROSTAT WITH SEPARABLE DOOR FOR MACHINE ROOM}
본 고안은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의 도어를 분리할 수 있는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온 항습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면서, 냉방, 난방, 제습, 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항온항습기 내에 기계실을 마련하여 기계실에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송풍기, 가습기 등을 구비하고, 기계실에는 이들 장치의 조립이나 설치 후 보수 등을 위하여 도어를 형성한다. 이 도어에는 흡기 과정에서 공기 여과를 할 수 있는 필터를 구비한다.
종래, 항온항습기의 도어는 항온항습기 본체에 나사 체결에 의하여 부착하고 필요시 나사를 해체하여 기계실을 열수 있게 하거나, 도어와 본체를 힌지 결합하여 여닫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항온항습기의 도어를 본체에 나사 체결할 경우, 작업자가 도어를 여는 데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어와 본체를 힌지 결합하여 여닫을 수 있게 한 경우에는, 좁은 공간에서는 도어를 완전히 열 수 없기 때문에 항온항습기를 좁은 공간을 설치할 수 없고, 작업 도중에 도어가 본체에 매달려 있게 되어 기계실에의 장치 설치나 보수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도어와 본체를 힌지 결합할 경우, 도어와 본체가 견고하게 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압축기의 모터 동작시 그 진동이 도어에 전달되어 도어가 진동하면서 이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도어의 개폐 용이성과 본체와의 밀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실용신안공보 실1985-0001718호에는, 항온 항습기 본체 개방부 상단부에 경사부가 형성된 걸고리를 장착하고 문짝의 상단부를 절곡하여 이 절곡부가 본체의걸고리에 걸리게 하고, 문짝의 하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받침고리를 장착하여 본체의 하단부에 걸리게 한 항온 항습기의 악세스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도어 구조는 걸고리와 받침고리가 문짝의 하중을 모두 견뎌야 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되고, 문짝의 하중에 의한 밀폐만 이루어지므로 밀착성이 크게 떨어진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7530호에는, 항온 항습기의 프레임 상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일 단부가 프레임 내벽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가 도어의 내벽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항온 항습기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항온 항습기 도어는, 개폐시 프레임에서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장치의 기계실 설치나 보수를 어렵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 도어 하부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기계실 내부의 진동에 의하여 도어가 함께 진동하기 쉽고 이로 인해 도어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1. 실용신안공보 실1985-0001718(공고일 : 1985. 8. 16) 2.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97530호(등록일 : 2000.07. 12)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항온 항습기의 도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계실 내의 장치 설치나 보수를 할 때 또는 기계실 내의 장치를 점검할 때 항온 항습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상하부가 항온 항습기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긴밀하게 밀착되어 도어의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기계실의 진동에 의하여 도어의 떨림이 발생하지 않는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과제는, 항온항습기 기계실의 입구 상단에 마련되어 도어의 진입한계를 설정하는 판형의 스톱퍼와, 상기 항온항습기 기계실의 입구 바닥프레임에 형성된 홈과, 하단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홈을 중심으로 항온항습기 기계실의 입구 방향으로 밀거나 반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닫힐 때 상기 스톱퍼와 마주보는 지점에는 걸림쇠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톱퍼 배면에 체결되는 록킹 장치가 부착된 도어을 구비하는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장치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양측면부와 전면부와 양측면부 후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의 높이는 상기 양측면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도어에 부착한 고정지지체와, 상기 고정지지체의 전면부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용되는 상기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 후단에서 전면이 예각 경사지게 돌출된 피가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가압부가 고정지지체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도록 상기 고정지지체에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를 닫을 때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스톱퍼에 걸려 밀리면 상기 걸림쇠가 상기 스토퍼의 배면에 접할 때까지 회전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상기 회전축 결합 지점에서 상기 걸림쇠 선단부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된 스프링 제1고정축과, 상기 고정지지체에 상기 회전축 결합 지점에서 상기 체결부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된 스프링 제2고정축과, 일단은 상기 스프링 제1고정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 제2고정축에 연결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스톱퍼 배면까지 회전한 상기 걸림쇠를 상기 스톱퍼 배면에 인장력에 의하여 밀착시키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밀어 넣거나 당기는 것만으로 항온항습기 기계실 도어를 열거나, 닫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항온항습기 기계실 도어의 닫힘, 열림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항온항습기를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 기계실 내의 장치 설치나 보수를 할 때 또는 기계실의 장치 점검시 매우 편리하고, 일단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의 하부가 바닥프레임의 홈에 삽입된 돌기에 의하여 고정되고 도어의 상부가 스토퍼 배면에 강하게 밀착된 걸림쇠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항온항습기의 본체와 도어간의 밀착성이 좋고 기계실의 진동에 의하여 도어의 떨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빈번히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어의 손상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어의 하단 돌기를 바닥프레임의 홈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어의 하단 돌기를 바닥프레임의 홈에 삽입하여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어를 닫은 상태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정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리형 기계실 도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분리형 기계실 도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분리형 기계실 도어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배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걸림쇠가 수평방향으로 풀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걸림쇠가 상방으로 잠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어에 부착된 록킹장치가 기계실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록킹장치의 걸림쇠가 스톱퍼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돌기를 바닥프레임의 홈에 삽입한 상태로 도어를 닫을 때 돌기와 록킹장치가 각각 바닥프레임과 스톱퍼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온항습기는 통상 내부 공간을 상하부로 구분하여 하부 기계실(53)에는 압축기(49), 열교환기(47), 팽창밸브(48), 드레인 팬(51), 가습장치(도면에 미도시) 등을 설치하고, 상부에는 송풍기(55), 열교환기(57) 등을 설치한다. 기계실(53)의 전면에는 바닥프레임(39) 상에 도어(1)를 마련하여 작업자가 도어를 열고, 제작시 냉동사이클 부품이나 가습장치 등을 설치하거나, 항온항습기 사용 중 고장시 이들 장치를 수리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측프레임(43)과 도어 사이에 힌지를 달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따른 여러가지 단점을 개선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는 항온항습기 기계실(53)의 입구 상단에 마련되어 도어(1)의 진입한계를 설정하는 판형의 스톱퍼(45)를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45)의 폭은 좁고 기계실(53)의 입구 상단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항온항습기의 측프레임(43) 등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항온항습기 기계실(53)의 입구 바닥프레임(39)에는 폭이 좁은 홈(41)을 바닥프레임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한다. 홈(41)의 개수는 1개 이상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홈(41)의 개수가 3개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1)의 하단에는 상기 홈(41)에 삽입되는 돌기(9)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홈(41)을 중심으로 항온항습기 기계실(53)의 입구 방향으로 밀거나 반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손잡이(3)가 형성되며, 닫힐 때 상기 스톱퍼(45)와 마주보는 지점에는 걸림쇠(27)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톱퍼(45) 배면에 체결되는 록킹 장치(13)가 부착된다. 또한, 도어 몸체(5)에는 다수의 흡기공(7)이 형성된다.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도어 몸체(5)의 배면에는 에어 필터와 설치되고, 에어 필터 주위에는 흡음재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도어(1)의 손잡이(3)를 잡고 상기 바닥프레임(39)의 홈(41)에 상기 돌기(9)를 삽입하거나 빼는 방법으로 도어(1)를 바닥프레임(39)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도어(1)의 손잡이(3)를 잡고 상기 도어(1)의 돌기(9)가 상기 바닥프레임(39)의 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계실(53)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 도어를 닫아 록킹 장치(13)에 의하여 잠글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으 손잡이(3)를 잡아 당기는 것만으로 록킹 장치(13)를 해제하고 도어(1)를 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9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장치(13)는, 도어 몸체(5)의 상단(닫힐 때 스톱퍼와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지지체(15)와 상기 고정지지체(15)에 결합되어 도어(1)가 닫힐 때 상기 스톱퍼(45)와의 간섭에 의하여 밀려 회전하면서 스톱퍼(45) 배면에 체결되는 회동체(2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록킹 장치(13)의 고정지지체(15)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양측면부(17)와 전면부(19)와 양측면부(17) 후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체결부(2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19)의 높이는 상기 양측면부(17)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21)를 상기 도어(1)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록킹 장치(13)의 고정지지체(15)를 도어(1)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도어(1)의 상기 돌기(9)를 바닥프레임(39)의 홈(41)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어(1)를 상기 스톱퍼(45)측으로 밀때, 스톱퍼(45)의 하단이 상기 고정지지체(15)의 측면부(17) 상면에 3mm 이내로 근접하여 지나갈 수 있는 높이에 고정한다.
상기 회동체(25)는, 상기 고정지지체(15)의 전면부(19)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용되는 상기 걸림쇠(27)와, 상기 걸림쇠(27) 후단에서 전면이 예각 경사지게 돌출된 피가압부(29)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가압부(29)가 고정지지체(15)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도록 상기 고정지지체(15)에 회전축(3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1)를 닫을 때 상기 피가압부(29)가 상기 스톱퍼(45)에 걸려 밀리면 상기 걸림쇠(27)가 상기 스톱퍼(45)의 배면에 접할 때까지 회전한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1)가 진동에 움직이지 않게 견고하게 스톱퍼(45)에 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쇠(23)에는 스톱퍼(45)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인장스프링(23)의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회동체(25)에 스프링 제1고정축(35)을 설치하고, 고정지지체(15)에 스프링 제2고정축(37)을 설치하며, 인장스프링(23)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제1고정축(3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 제2고정축(37)에 연결한다.
도어(1)가 닫혔을 때 상기 스톱퍼(45) 배면까지 회전한 상기 걸림쇠(27)를 상기 스톱퍼(45) 배면에 인장력에 의하여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스프링 제1고정축(35)을 상기 회동체(25)에 설치할 때 상기 회전축(33) 결합 지점에서 상기 걸림쇠(27) 선단부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하고, 스프링 제2고정축(37)은 상기 고정지지체(15)에 설치할 때 상기 회전축 결합 지점에서 상기 체결부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스프링 제1고정축(35)과 스프링 제2고정축(37)을 회전축(33) 결합 지점에서 반대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할 경우, 도어를 밀어 고정지지체(15)가 스톱퍼(45)측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회동체(25)의 피가압부(31)가 스톱퍼(45)에 걸리면 회동체(25)는 회전축(33)을 중심으로 a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대로 인장스프링(23)은 반대 방향의 토크를 회동체(25)에 작용한다. 그러나, 인장스프링(23))에 의한 토크를 극복할 수 있는 큰 힘으로 계속 밀면 a방향의 토크가 더 커지기 때문에 회동체(25)는 계속 회전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체(25)가 회전을 계속하여 회전축(33)과 스프링 제1고정축(35)과 스프링 제2고정축(37)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지점을 넘어서면, 회동체(25)에는 스톱퍼(45)가 피가압부(29)에 걸리면서 작용하는 토크와 인장스프링(23)에 이하여 작용하는 토크가 모두 a방향으로 작용하여 회동체(27)의 걸림쇠(27)가 큰 토크에 의하여 스톱퍼(45) 배면에 체결되어 밀착된다.
도어(1)를 열 때는 스톱퍼(45)에 걸리는 부분이 피가압부(27)가 아닌 걸림쇠(27)라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동작은 역순이 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위와 같은 과정을 바닥프레임(39)의 홈(41)에 도어(1)의 돌기(9)를 삽입한 상태에서 진행한 상태를 보여준다. 작업자가 손잡이(3)를 잡고 밀어 넣거나 당기는 것만으로 항온항습기 기계실 도어를 열거나, 닫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항온항습기 기계실 도어의 닫힘, 열림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항온항습기를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 기계실 내의 장치 설치나 보수를 할 때 또는 기계실의 장치 점검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일단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의 하부가 바닥프레임(39)의 홈(41)에 삽입된 돌기(9)에 의하여 고정되고 도어(1)의 상부가 스톱퍼(45) 배면에 강하게 밀착된 회동체(25)의 걸림쇠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항온항습기의 본체와 도어간의 밀착성이 좋고 기계실의 진동에 의하여 도어의 떨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빈번히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어의 손상이 없는 장점이 있다.
1 : 도어 3 : 손잡이
5 : 도어몸체 7 : 흡기공
9 : 돌기 11 : 브라켓
13 : 록킹장치 15 : 고정지지체
17 : 측면부 19 : 전면부
21 : 체결부 23 : 인장스프링
24 : 나사공 25 : 회동체
27 : 걸림쇠 29 : 피가압부
31 : 경사면 33 : 회전축
35 : 스프링 제1고정축 37 : 스프링 제2고정축
39 : 바닥프레임 41 : 홈
43 : 측프레임 45 : 스토퍼
47 : 열교환기 48 : 팽창밸브
49 : 압축기 51 : 드레인 팬
53 : 기계실 55 : 송풍기
57 : 열교환기

Claims (2)

  1. 항온항습기 기계실(53)의 입구 상단에 마련되어 도어(1)의 진입한계를 설정하는 판형의 스톱퍼(45);
    상기 항온항습기 기계실(53)의 입구 바닥프레임(39)에 형성된 홈(41);
    하단에는 상기 홈(41)에 삽입되는 돌기(9)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홈(41)을 중심으로 항온항습기 기계실(53)의 입구 방향으로 밀거나 반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손잡이(3)가 형성되며, 닫힐 때 상기 스톱퍼(45)와 마주보는 지점에는 걸림쇠(27)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톱퍼(45) 배면에 체결되는 록킹 장치(13)가 부착된 도어(1);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 장치(13)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양측면부(17)와 전면부(19)와 양측면부(17) 후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체결부(2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19)의 높이는 상기 양측면부(17)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21)를 상기 도어(1)에 부착한 고정지지체(15);
    상기 고정지지체(15)의 전면부(19)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용되는 상기 걸림쇠(27)와 상기 걸림쇠(27) 후단에서 전면이 예각 경사지게 돌출된 피가압부(29)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가압부(29)가 고정지지체(15)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도록 상기 고정지지체(15)에 회전축(3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1)를 닫을 때 상기 피가압부(29)가 상기 스톱퍼(45)에 걸려 밀리면 상기 걸림쇠(27)가 상기 스톱퍼(45)의 배면에 접할 때까지 회전하는 회동체(25);
    상기 회동체(25)에 마련된 스프링 제1고정축(35);
    상기 고정지지체(15)에 마련된 스프링 제2고정축(37);
    일단은 상기 스프링 제1고정축(3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 제2고정축(37)에 연결된 인장스프링(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제1고정축(35)은 상기 회동체의 회전축(33) 결합 지점에서 상기 걸림쇠(27) 선단부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제2고정축(37)은 상기 고정지지체(15)의 회전축(33) 결합 지점에서 상기 체결부(21)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도어(1)가 닫혔을 때 상기 스톱퍼(45) 배면까지 회전한 상기 걸림쇠(27)를 상기 인장스프링이 상기 스톱퍼(45) 배면에 인장력에 의하여 밀착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2. 삭제
KR2020160005064U 2016-08-31 2016-08-31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KR200485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64U KR200485562Y1 (ko) 2016-08-31 2016-08-31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64U KR200485562Y1 (ko) 2016-08-31 2016-08-31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562Y1 true KR200485562Y1 (ko) 2018-01-25

Family

ID=6127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064U KR200485562Y1 (ko) 2016-08-31 2016-08-31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59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항온항습장치
KR102254753B1 (ko) 2020-02-19 2021-05-24 김필화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30Y1 (ko) 2000-04-10 2000-09-15 주식회사한일플랜트엔지니어링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KR100628849B1 (ko) * 2006-06-09 2006-09-27 주식회사 에이알 항온항습기의 점검시 외부공기 유입방지장치
KR20100055032A (ko) * 2008-11-17 2010-05-26 주식회사 이피텍 홈바 잠금장치
JP2013078719A (ja) * 2011-10-03 2013-05-02 Sharp Corp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30Y1 (ko) 2000-04-10 2000-09-15 주식회사한일플랜트엔지니어링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KR100628849B1 (ko) * 2006-06-09 2006-09-27 주식회사 에이알 항온항습기의 점검시 외부공기 유입방지장치
KR20100055032A (ko) * 2008-11-17 2010-05-26 주식회사 이피텍 홈바 잠금장치
JP2013078719A (ja) * 2011-10-03 2013-05-02 Sharp Corp 空気清浄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59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항온항습장치
KR102183295B1 (ko) * 2019-03-26 2020-11-26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항온항습장치
KR102254753B1 (ko) 2020-02-19 2021-05-24 김필화 일체형 항온 항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9584B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KR200485562Y1 (ko)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JP6990718B2 (ja) エアコン室内機及びエアコン
WO2019037518A1 (zh) 空调器
JP2003049812A (ja) 脱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537019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6536124B2 (ja) 天井設置型空調装置の取付構造
US6182848B1 (en) Luminaire housing with universal dual surface cantilever hinge
JP4265467B2 (ja) 換気扇
JPH0330737Y2 (ko)
KR200461930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JPH03207935A (ja) エアフィルタの取付装置
JP2830676B2 (ja) 換気装置
CN214148307U (zh) 空调外壳和空调器
KR20000016399U (ko) 환기창
JPH0336819Y2 (ko)
KR101224645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팽창밸브 설치장치
KR0124316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25294Y1 (ko) 공기조화기
CN214198892U (zh) 门体组件、出风部件、空调柜机和空调器
KR20090061941A (ko) 흡입안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JPH0336818Y2 (ko)
KR20100042195A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JP6510260B2 (ja) 結露水案内板の取付構造
KR20020006995A (ko)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