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995A -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995A
KR20020006995A KR1020000040640A KR20000040640A KR20020006995A KR 20020006995 A KR20020006995 A KR 20020006995A KR 1020000040640 A KR1020000040640 A KR 1020000040640A KR 20000040640 A KR20000040640 A KR 20000040640A KR 20020006995 A KR20020006995 A KR 2002000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lower
lower panel
hook
air conditioner
cabin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4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995A/ko
Publication of KR2002000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99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전면 하부패널 양측의 손잡이를 누르게 되면 전면하부패널이 캐비닛의 본체 측에서 무리없이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내장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 본체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에 측방향으로 절곡된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각각에 걸림홈이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걸림홈에 걸림 작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는 전면 하부패널의 내측면 양측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후크와; 상기 전면 하부패널이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기 용이하도록 일끝단에 누름 조작되면 타끝단이 상기 후크의 걸림부가 휘도록 누르며 상기 전면 하부패널의 양측에 설치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크 휨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하부패널의 열고 닫힘이 자연스럽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An attachment divice of front panel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렛대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에 형성된 후크를 구부릴 수 있도록 하여 전면하부패널의 착탈이용이하도록 한 고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면 하부패널이 공기조화기 측에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캐비닛(1) 내에 각종 공기 조화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1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구(16)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은 양 측면이 '<'와 '>'모양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의 모양이 6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1)의 양 측면 하부에는 흡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의 전면 상부와 양 측면 상부에는 전면 토출구(16a)와 측면 토출구(16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은 전면이 개구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는 캐비닛 본체(2)와, 상기 캐비닛 본체(2)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는 전면 하부패널(6)과 상기 캐비닛 본체(2)의 전면 상부에 결합되는 전면 상부패널(8)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하부패널(6)과 캐비닛 본체(2) 사이에는 흡입구(12)가 형성된 흡입 그릴(14)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내면 가장자리부 일측에는 전면 하부패널(6)이 캐비닛 본체(2) 측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측에 걸림부(32)가 형성된 후크(3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저면에는 길게 삽입부(6a)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본체(2)와 전면 하부패널(6)의 하측에는 상기 캐비닛 본체(2)와 전면 하부패널(6)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8)가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8)의 상면 앞쪽에는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삽입부(6a)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게 삽입홈(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본체(2)와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사이에는 브래킷(20)이 설치되는데, 상기 브래킷(20)은 볼트(22)를 이용하여 상기 캐비닛 본체(2)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이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크(30)의 걸림부(32)가 삽입되는 걸림홈(24)이 각각 형성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를 닫고자 하는 때에는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양측을 손(A)으로 잡고 상기 받침대(8)의 삽입홈(8a)에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삽입부(6a)를 끼운 후, 상기 후크(30)의 걸림부(32)가 외측으로 휘도록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양측을 구부린다. 상기 후크(30)의 걸림부(32)가 상기 브래킷(20)의 홈(24) 전방측에 놓이도록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을 민 다음 상기 후크(30)의 걸림부(32)가 상기 브래킷(20)의 홈(24)에 삽입되도록 상기 전면 하부패널(6)에 가한 힘을 뺀다.
또한,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을 상기 캐비닛 본체(2) 측에서 분리하는 때에는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양측을 손(A)으로 잡아당겨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을 휘어서 상기 후크(30)의 걸림부(32)가 상기 브래킷(20)의 걸림홈(24)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대(8)의 삽입홈(8a)에서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을 상측으로 올린다.
그러나, 종래의 전면 하부패널(6)에서 돌출 형성된 후크(30)의 탄성이 강한데다가 상기 브래킷(20)의 걸림홈(24)에 꽉 끼이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무리한 힘을 가하여야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손으로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을 휘면서 열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전면 하부패널(6)의 외형이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하부패널(6)에 너무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상기 후크(30)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면 하부패널 양측의 손잡이부를 누르게 되면 전면하부패널이 캐비닛의 본체 측에서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면 하부패널이 공기조화기 측에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렛대의 손잡이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캐비닛 51: 캐비닛 본체
52: 전면 하부패널 52a: 삽입부
53: 전면 상부패널 54: 고정대
54a: 삽입홈 62: 흡입구
64: 흡입그릴 70: 토출구
72: 전면 토출구 74: 전면 토출구
100: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114.114': 후크
115,115': 걸림부 120: 브래킷
122,122': 걸림홈 126,126': 고정부
130,130': 설치수단 132: 회전축
135: 삽입홈 137: 삽입홈
136: 상측 회전축지지부 138: 하측 회전축지지부
140,140': 후크 휨수단 142: 누름면
147: 누름홈 146: 손잡이부
150: 지렛대 152: 후크관통부
156: 누름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개폐장치는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내장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 본체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에 측방향으로 절곡된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각각에 걸림홈이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걸림홈에 걸림 작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는 전면 하부패널의 내측면 양측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후크와; 상기 전면 하부패널이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기 용이하도록 일끝단에 누름 조작되면 타끝단이 상기 후크의 걸림부가 휘도록 누르며, 상기 전면 하부패널의 양측에 설치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크 휨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렛대의 손잡이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하부패널 개폐장치가 구비된 공기조화기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캐비닛(50) 내에 각종 공기 조화장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50)의 하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6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구(70)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50)은 양 측면이 '<'와 '>'모양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의 모양이 6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50)의 양 측면 하부에는 흡입구(62)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50)의 전면 상부와 양 측면 상부에는 전면 토출구(72)와 측면 토출구(7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50)은 전면이 개구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는캐비닛 본체(51)와, 상기 캐비닛 본체(51)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는 전면 하부패널(52)과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상부에 결합되는 전면 상부패널(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하부패널(52)과 캐비닛 본체(51) 사이에는 흡입구(62)가 형성된 흡입 그릴(6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본체(51)와 전면 하부 패널(52)의 하측에는 상기 캐비닛 본체(51) 및 전면 하부패널(52)을 지지하는 받침대(54)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54)의 상면 앞쪽에는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하부에 길게 돌출 형성된 삽입부(52a)가 삽입되는 삽입홈(54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100)는 상기 캐비닛 본체(51)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에 측방향으로 절곡된 고정부(126,126')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26,126')의 각각에 걸림홈(122,122')이 형성된 브래킷(120)과; 상기 브래킷(120)의 걸림홈(122,122')에 걸림 작용되는 걸림부(115,115')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본체(51)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는 전면 하부패널(52)의 내 측면 양측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후크(114,114')와;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이 상기 캐비닛 본체(51)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기 용이하도록 일끝단에 누름 조작되면 타끝단이 상기 후크(114,114')의 걸림부(115,115')가 휘도록 누르며,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양측에 설치수단(130,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크 휨수단(140,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120)은 양 끝단이 상기 캐비닛 본체(51)에 볼트(128)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후크(114,114')는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좌측 가장자리의 내측면에서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좌측후크(114)와,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우측 가장자리의 내측면에서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우측후크(114')로 2개 설치된다.
상기 좌측후크(114)는 그 상단이 걸림 작용이 용이하도록 우측을 향하여 걸림부(1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우측후크(114')는 그 상단이 걸림 작용이 용이하도록 좌측을 향하여 걸림부(115')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설치수단(130,130')은 상기 후크 휨수단(140,140')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35)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에서 돌출 형성된 상측 회전축지지부(136)와, 상기 회전축(132)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37)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에서 돌출 형성된 하측 회전축지지부(138)로 이루어져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후크 휨수단(140,140')은 일측에 손으로 누름 조작되는 누름면(142)이 형성된 손잡이부(146)와, 상기 손잡이부(146)에서 후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이 개방되며 상기 손잡이부(146)의 누름면(142)이 누름 조작되면 상기 후크(110)의 상부가 휠 수 있도록 일끝단이 상기 후크(110)의 일측에 걸림 작용되는 지렛대(150)로 구성되어 상기 좌측후크(114)와 우측후크(114')의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146)는 일측에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누름홈(147)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회전축지지부(136)와 하측 회전축 지지부(138) 사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상기 회전축(132)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지렛대(150)는 상기 손잡이부(146)에서 후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이 상기 후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개방된 후크관통부(152)와, 상기 후크관통부(152)의 끝단에서 상기 후크(114,114')의 걸림부(115,115') 방향으로 절곡되어 끝단이 상기 후크(114,114')의 걸림부(115,115') 하측에 걸림 작용되는 누름부(15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를 개방시킬 때는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후크 휨수단(140,140')의 손잡이부(146)의 누름홈(147)을 손(A)으로 누르면, 상기 후크 휨수단(140,140')은 그 중앙부가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렛대(150)의 누름부(156)는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후크(114,114')의 일측을 누르게 되고 상기 좌측후크(114)와 우측후크(114')의 상부는 외측을 향하여 휘게 된다.
상기 좌측후크(114)와 우측후크(114')의 상부가 외측으로 휘게 되어 상기 브래킷(120)의 걸림홈(122,122')에서 상기 좌측후크(114)와 우측후크(114')를 무리 없이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공기조화기 측에서 상기 전면 상부패널(52)이 분리되도록 한다.
반대로,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를 밀폐시킬 때는 손(A)으로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양측을 잡고, 상기 받침대(54)의 삽입홈(54a)에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삽입부(52a)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후크 휨수단(140)의 손잡이부(146)의 누름홈(147)을 손(A)으로 누르면서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의 후크(114,114')가 상기 브래킷(120)의 걸림홈(122,122') 양측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46)의 누름홈(147)에서 손(A)을 떼면 상기 후크(114,114')의 탄성에 의해 상기 후크(114,114')의 상부는 원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후크(114,114')의 걸림부(115,115')는 자동으로 상기 브래킷(120)의 걸림홈(122,122')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 하부패널(52)이 캐비닛 본체(51) 측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개폐장치는 전면 하부패널에서 돌출 형성된 후크의 상부를 지렛대를 이용하여 일정범위만큼 휠 수 있도록 하여 전면 하부패널의 열고 닫힘이 자연스럽고, 손잡이부를 누르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전면 하부패널의 외형이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내장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 본체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에 측방향으로 절곡된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각각에 걸림홈이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걸림홈에 걸림 작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는 전면 하부패널의 내측면 양측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후크와; 상기 전면 하부패널이 상기 캐비닛 본체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기 용이하도록 일끝단에 누름 조작되면 타끝단이 상기 후크의 걸림부가 휘도록 누르며, 상기 전면 하부패널의 양측에 설치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크 휨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휨수단은 일측에 손으로 누름 조작되는 누름면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상기 후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이 개방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면이 누름 조작되면 상기 후크의 걸림부가 휠 수 있도록 일끝단이 상기 후크의 일측에 걸림 작용되는 지렛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후크휨 수단의 중앙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패널에서 돌출 형성된 상측 회전축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패널에서 돌출 형성된 하측 회전축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의 착탈장치.
KR1020000040640A 2000-07-14 2000-07-14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KR20020006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40A KR20020006995A (ko) 2000-07-14 2000-07-14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40A KR20020006995A (ko) 2000-07-14 2000-07-14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995A true KR20020006995A (ko) 2002-01-26

Family

ID=1967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640A KR20020006995A (ko) 2000-07-14 2000-07-14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9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29B1 (ko) * 2004-12-21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70537B1 (ko) * 2009-01-23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0111447A1 (ko) * 2018-11-26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12000617B2 (en) 2018-11-26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29B1 (ko) * 2004-12-21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70537B1 (ko) * 2009-01-23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0111447A1 (ko) * 2018-11-26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12000617B2 (en) 2018-11-26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9584B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CN106123275B (zh) 空调器室内机
JP537019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20006995A (ko) 공기조화기의 전면 하부패널 착탈장치
KR2001001140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14026B1 (ko) 공기조화기
KR200485562Y1 (ko)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JP2003307323A (ja) 空気調和機
JP3071081B2 (ja) 空気調和機
JP2001254982A (ja) 設備機器
JP2000111117A (ja) 送風機据付型の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100381161B1 (ko) 공기조화기
JPH0336819Y2 (ko)
JP3485203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CN212987492U (zh) 通风组件和天井机
JPS6227777Y2 (ko)
CN211177078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89811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9990034170U (ko) 에어컨 인서트 그릴의 착탈구조
KR20020088791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전원스위치장치
KR100437050B1 (ko)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CN108006833B (zh) 空调柜机和空调器
JP3030158B2 (ja) 空気調和機
KR200345411Y1 (ko) 욕실용 온풍기의 커버 착탈구조
KR20020036411A (ko)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그릴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