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530Y1 -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530Y1
KR200197530Y1 KR2020000010069U KR20000010069U KR200197530Y1 KR 200197530 Y1 KR200197530 Y1 KR 200197530Y1 KR 2020000010069 U KR2020000010069 U KR 2020000010069U KR 20000010069 U KR20000010069 U KR 20000010069U KR 200197530 Y1 KR200197530 Y1 KR 200197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opening
gas spring
ther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일플랜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일플랜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일플랜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10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24F11/02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전면에 마련된 개방부와, 그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하나의 단부(端部)가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프레임의 내벽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도어의 내벽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 본 고안에 있어서, 도어는 소정 위치까지만 힘을 가해 들어올리면 가스 스프링에 의해 지면과 대체로 수평인 개방 위치까지 상향 회전되어 그 개방 위치에 지지되며, 소정 위치까지만 힘을 가해 내리면 이후에는 자체적으로 하향 회전하여 지면과 대체로 수직인 폐쇄 위치에 도달한다.

Description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TEMPERATURE AND WETNESS REGULATOR HAVING GAS SPRING FOR HOLDING DOOR THEREOF}
본 고안은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하고 아울러 실내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의 개폐와 지지에 사용되는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항온항습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항온항습기에서는, 내부에 장착된 필터, 가습기 등의 부품을 청소, 점검, 수선 또는 교체하기 위해 종종 도어를 개방해야 한다. 이와 같은 항온항습기의 도어는 통상 그 상측이 개방부와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아래로부터 위로 회전시켜서 개방해야 한다. 따라서, 항온항습기에는 일단 개방된 도어를 지면과 대체로 수평인 상태로 지지하는 수단이 제공되어야 사용자 또는 기술자가 예컨대 손으로 도어를 받치는 일 없이 항온항습기 내부를 들여다보고 전술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이와 같은 항온항습기를 개방 및 폐쇄하고 도어를 지지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항온항습기의 프레임, 2는 이 프레임(1) 전면의 개방부, 3은 도어, 4는 이 도어(3)와 개방부(3)를 연결하는 힌지, 5는 프레임(1)의 상판, 그리고 6은 환봉을 의미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개방부(2)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3)는 그 상측이 힌지(4)에 의해 프레임(1)의 상판(5)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힌지(4)를 중심으로 도어(3)를 회전시켜 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도어(3)를 들어올린 후, 프레임(1)의 상판(5) 내에 수납되어 있는 환봉(6)을 끌어내고 그 위에 도어(3)를 걸쳐놓아 도어(3)를 지지함으로써, 개방부(2)를 개방된 상태로 지지한다. 한편, 도어(3)를 닫을 때에는, 도어(3)를 환봉(6)으로부터 약간 들어올리고 환봉(6)을 상판(5) 안으로 밀어 넣어 다시 수납시킨 후, 도어(3)를 내려 원위치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및 환봉이 설치된 항온항습기는 일일이 환봉(6)을 빼내고 밀어 넣고 해야 하므로 개방부(2)의 개폐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봉을 사용하지 않아도 개방부가 개방 위치에 지지될 수 있는 항온항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항온항습기 도어를 지지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도어와 가스 스프링의 협동에 의한 도어의 개폐 및 지지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항온항습기 20 : 프레임
24 : 상판 30 : 개방부
40 : 도어 50 : 가스 스프링
52, 54 : 가스 스프링의 단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일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전면에 마련된 개방부와, 그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하나의 단부(端部)가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프레임의 내벽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도어의 내벽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가스 스프링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벽과 도어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스프링의 각각의 단부는 브래킷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내벽 및 상기 도어 내벽의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스 스프링은 지면과 수직인 상태로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만큼 들어올려지면 상기 도어를 지면과 대체로 수평인 위치까지 들어올리며, 상기 도어가 상기 수평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내려지면 상기 도어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향 회전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10)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로, 도어(40)와 가스 스프링(50)의 협동에 의해 개방부(30)가 폐쇄된 상태(도 3a)로부터 일부 개방된 중간 상태(도 3b)를 거쳐 완전히 개방된 상태(도 3c)로 바뀌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도 3a는 부분 절개된 단면도로 도시하였고, 도 3b와 도 3c는 구성 요소의 단면을 투시하여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편의상 도 2와 도3a 내지 도 3c를 연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10)는 부품들(도시 생략)이 내장된 프레임(20)과, 이 프레임(20) 전면에 마련된 3개의 개방부(30; 하나만 도시)와, 이들 개방부(30)를 개폐시키는 3개의 도어(40)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20)은 하나의 기부(22), 3개의 상판(24; 2개만 도시), 2개의 측벽(26; 하나만 도시) 및 하나의 후부 벽(도시 생략)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개방부(30)는 각각의 상판(24) 및 기부(22)와 2개의 측벽(2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어(40)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상판(24)과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들어올려져 하나의 개방부(30)를 개방시키고 있다. 또한, 항온항습기(10)에는 가스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가스 스프링(50)은 하나의 단부(52)가 브래킷(44)에 의해 도어(40)의 내벽(42)의 측면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다른 단부(54)가 브래킷(28)에 의해 측벽(26)의 내벽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도어(40)와 가스 스프링(50)의 협동에 의해 개방부(30)를 개폐하고 가스 스프링(50)에 의해 도어(40)를 지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40)를 들어올리면 도어(40)는 상향 회전되어 도 3b에 도시된 일부 개방된 상태에 도달하며, 이 상태에서는 가스 스프링(50) 내부의 가스압에 의해 도어(40)가 지면과 대체로 수평한 위치까지 올라가게 된다. 즉, 사용자가 도어(40)를 일정한 높이까지만 들어올리면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도어(40)가 상향 회전하여 최고점의 개방된 상태에 도달하고, 도어(40)가 완전히 들어올려진 후에도 도어(40)는 가스 스프링(50)에 의해 계속해서 위쪽으로 힘을 받으므로 이 위치에 도어(4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 없게 된다. 이 경우, 가스압은 도어(40)가 대략 45°의 위치에서 가스압에 의해 상향 회전하기 시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가스 스프링의 유효장(長) 조절 및 단부의 위치 조정으로 이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40)가 들어올려져 개방부(30)가 개방되면, 사용자나 기술자는 개방부(30)를 통해 프레임(20)에 내장된 부품을 살펴보거나 청소, 수리 또는 교체 등의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어(40)를 다시 내릴 때는 전술한 소정 위치(예컨대 45° 위치)까지만 도어(40)를 내리면 그 후에는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도어(40)는 자체적으로 지면과 수직인 폐쇄 위치까지 도달한다. 이러한 과정은 개방 과정의 역과정이며, 도면을 참조하면 도 3c로부터 도 3b를 거쳐 도 3a로 이행되는 과정이다.
한편, 가스 스프링의 단부(52, 54)를 측벽(26)과 도어(40)에 연결시키는 브래킷(28, 44)은 각각 측벽(26)의 내벽과 도어(40)의 내벽의 측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재되고 도시되었지만, 이들 브래킷(28, 44)은 필요한 경우 측벽(26)의 외벽과 도어(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에 사용되는 도어는 소정 위치까지만 힘을 가해 들어올리면 가스 스프링에 의해 지면과 대체로 수평인 개방 위치까지 상향 회전되어 그 개방 위치에 지지되며, 소정 위치까지만 힘을 가해 내리면 이후에는 자체적으로 하향 회전하여 지면과 대체로 수직인 폐쇄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장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들어올리고 내릴 때에도 약간의 힘만 가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전면에 마련된 개방부와,
    그 상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하나의 단부(端部)가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게 상기 프레임의 내벽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상기 도어의 내벽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의 각각의 단부는 브래킷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내벽 및 상기 도어 내벽의 가장자리에 각각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은 지면과 수직인 상태로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만큼 들어올려지면 상기 도어를 지면과 대체로 수평인 위치까지 들어올리며, 상기 도어가 상기 수평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내려지면 상기 도어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향 회전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KR2020000010069U 2000-04-10 2000-04-10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KR200197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69U KR200197530Y1 (ko) 2000-04-10 2000-04-10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69U KR200197530Y1 (ko) 2000-04-10 2000-04-10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530Y1 true KR200197530Y1 (ko) 2000-09-15

Family

ID=1965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069U KR200197530Y1 (ko) 2000-04-10 2000-04-10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5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62Y1 (ko) 2016-08-31 2018-01-25 드림에어 (주)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62Y1 (ko) 2016-08-31 2018-01-25 드림에어 (주) 분리형 기계실 도어를 갖는 항온항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0661A (en) Blind for rounded window section
US4848498A (en) Combined door and tool tray in tractor engine housing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JPH04231576A (ja)
EP2792810B1 (en) Skylight
WO2005040956A3 (en) Hinge assembly for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a vertically opening panel to a furniture element
KR200197530Y1 (ko) 도어 지지용 가스 스프링을 구비한 항온항습기
US6050032A (en) Safety fence for a hatch formed in a slab
US20070289219A1 (en) Sash Lift Mechanism
JP2987122B2 (ja) 扉の上部ヒンジピン昇降装置
KR100416915B1 (ko) 에어컨디셔너의 셔터 개폐장치
JP2010216170A (ja) 上げ下げ窓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JPH10306664A (ja) 引戸下部の気密機構を具える気密性引戸及びそれを用いる気密性引戸装置
KR200173252Y1 (ko) 건물용 환기장치
KR930002623Y1 (ko) 중간접이창
KR200196550Y1 (ko)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JP3977702B2 (ja) 引き戸ロック装置
WO2001077472B1 (en) Window assembly
KR200323752Y1 (ko) 차양장치
JP2002115447A (ja) 建物の窓構造
JPH0616100Y2 (ja) ブラインドを内蔵した引戸
KR200318564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아트월
KR200375732Y1 (ko) 도어상부 개폐기능을 갖는 무빙 그릴장치
JP3663592B2 (ja) 換気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