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375B1 -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375B1
KR102185375B1 KR1020200080633A KR20200080633A KR102185375B1 KR 102185375 B1 KR102185375 B1 KR 102185375B1 KR 1020200080633 A KR1020200080633 A KR 1020200080633A KR 20200080633 A KR20200080633 A KR 20200080633A KR 102185375 B1 KR102185375 B1 KR 10218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storage box
modular storage
upper sid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주
Original Assignee
김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주 filed Critical 김학주
Priority to KR102020008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 창고에 보관되는 침구류의 입출력을 인지하여 재고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침구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침구류를 보관하기 위해 설계된 보관 창고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각각의 침구류를 식별하기 위한 침구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 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들을 식별하여 해당 식별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침구류의 침구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식별부; 및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각 침구류의 침구류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부로부터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 저장해 두며, 상기 식별부로부터 수신되는 침구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보관 창고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침구류를 판독하여 보관 창고에 적재되어 있는 침구류의 실시간 재고를 관리하는 제품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BEDDING INVENTO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 창고에 보관되는 침구류의 입출력을 인지하여 재고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보관하는 옷장은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는 보편적인 가구 중에 하나이다.
의류를 보관할 때는, 옷걸이에 걸어서 보관하는 것이 의류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곰팡이 발생과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서 보관하는 의류의 크기가 다양한데, 통상의 옷장은 사용자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다양하지 않다.
따라서, 노약자나 어린이는 일반적인 옷장에서 의류를 걸거나 내릴 때 매우 불편함을 격을 수밖에 없으며, 수직으로 2단으로 나누어진 옷장은,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어서, 옷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높이 가변형 옷장은 옷장 자체의 높낮이를 변형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옷장 자체의 구조가 일반적인 옷장 구조와 상이하고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854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625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보관 창고에 보관되는 침구류의 입출력을 인지하여 재고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거치대는, 침구류를 올려놓기 위한 적재면을 형성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은, 침구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침구류를 보관하기 위해 설계된 보관 창고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각각의 침구류를 식별하기 위한 침구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 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들을 식별하여 해당 식별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침구류의 침구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식별부; 및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각 침구류의 침구류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부로부터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 저장해 두며, 상기 식별부로부터 수신되는 침구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보관 창고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침구류를 판독하여 보관 창고에 적재되어 있는 침구류의 실시간 재고를 관리하는 제품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침구류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적재되는 다수 개의 모듈형 수납 박스로 이울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형 수납 박스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일측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바닥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바닥면의 후단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각 후단 사이에 형성되는 후면; 상기 바닥면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각 전단 사이에 형성되며, 침구류를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투입구를 형성하는 전면; 및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후면 및 상기 전면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후면 및 상기 전면의 각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형 수납 박스는, 상기 제1 측면의 외측면 상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 바아; 상기 제2 측면의 외측면 상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 바아; 상기 제1 측면의 외측면 하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1 측면의 외측면 상부를 덮으며, 상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1 체결 바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1 체결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면을 따라 제1 체결홈이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의 외측면 하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2 측면의 외측면 상부를 덮으며, 상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2 체결 바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2 체결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면을 따라 제2 체결홈이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형 수납 박스는,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상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낙하하지 않도록 거치시키는 박스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 거치부는, 상기 바닥면 상측의 전단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상기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전단 일측을 거치하는 제1 전단 거치대; 상기 제1 전단 거치대와 대칭되면서 상기 바닥면 상측의 전단 다른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상기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전단 다른 일측을 거치하는 제2 전단 거치대; 상기 바닥면 상측의 후단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상기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후단 일측을 거치하는 제1 후단 거치대; 상기 제1 후단 거치대와 대칭되면서 상기 바닥면 상측의 후단 다른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상기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후단 다른 일측을 거치하는 제2 후단 거치대; 상기 제1 전단 거치대와 상기 제1 후단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1 전단 거치대와 상기 제1 후단 거치대를 회동시켜 주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단 거치대와 상기 제2 후단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2 전단 거치대와 상기 제2 후단 거치대를 회동시켜 주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측면의 내측면의 전단 상부, 전단 하부, 후단 상부 및 후단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거치 풀리에 의해 거치되며, 상기 바닥면의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는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거치 풀리에 거치된 상태로 회전하는 구동 벨트; 상기 슬라이딩홈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후단 거치대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2 후단 거치대의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구동 벨트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 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제2 후단 거치대를 직립시켜 주는 구동 기어; 및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전단 거치대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후단 거치대는,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가 상기 구동 벨트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직접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 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직립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보관 창고에 보관되는 침구류의 입출력을 인지하여 재고를 파악함으로써, 창고에 보관되는 침구류의 악성 재고를 방지하고 창고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적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모듈형 수납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모듈형 수납 박스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모듈형 수납 박스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제2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거치대는, 거치부(1)를 포함한다.
거치부(1)는, 침구류(P)를 올려놓기 위한 적재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거치대는, 설치 장소의 공간에 알맞게 설치하는데 있어서 좋으면서도 침구류(P) 적재를 위한 공간 활용도 등의 측면에서도 우수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부(100-1, 100-2), 식별부(200) 및 제품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적재부(100-1, 100-2)는, 침구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침구류를 보관하기 위해 설계된 보관 창고에 구비되며, 적재된 침구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C)가 부착된다.
이때, 식별 코드(C)는,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과 같이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코드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식별부(200)는, 적재부(100-1, 100-2)에 적재되어 있는 각각의 침구류를 식별하기 위한 침구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적재부(100) 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C)들을 식별하여 해당 식별된 식별 코드(C)에 대응하는 침구류의 침구류 식별 정보를 판독하며,
일 실시예에서, 적재부(100)는, 침구류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적재되는 다수 개의 모듈형 수납 박스(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품 관리 서버(300)는,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각 침구류의 침구류 식별 정보를 식별부(200)로부터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 시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해 두며, 식별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침구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보관 창고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침구류를 판독하여 보관 창고에 적재되어 있는 침구류의 실시간 재고를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10)은, 보관 창고에 보관되는 침구류의 입출력을 인지하여 재고를 파악함으로써, 창고에 보관되는 침구류의 악성 재고를 방지하고 창고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모듈형 수납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듈형 수납 박스(500)는, 바닥면(505), 제1 측면(510), 제2 측면(515), 후면(520), 전면(525) 및 지지 프레임(530)을 포함한다.
바닥면(505)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각 면으로부터 제1 측면(510), 제2 측면(515), 후면(520) 및 전면(525)이 절곡된다.
제1 측면(510)은, 바닥면(505)의 일측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제2 측면(515)은, 바닥면(505)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후면(520)은, 바닥면(505)의 후단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측면(510)과 제2 측면(515)의 각 후단 사이에 형성된다.
전면(525)은, 바닥면(505)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측면(510)과 제2 측면(515)의 각 전단 사이에 형성되며, 침구류를 제1 측면(510)과 제2 측면(5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투입구(5251)를 형성한다.
지지 프레임(530)은, 제1 측면(510), 제2 측면(515) 및 후면(520) 및 전면(525)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측면(510), 제2 측면(515) 및 후면(520) 및 전면(525)의 각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모듈형 수납 박스(500)는, 상하 방향으로 적재가 용이한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다른 박스와의 적재 용이성이 향상되어 침구류의 수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창고의 공간 활용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모듈형 수납 박스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는, 바닥면(505), 제1 측면(510), 제2 측면(515), 후면(520), 전면(525), 지지 프레임(530), 제1 체결 바아(535), 제2 체결 바아(540), 제1 체결 프레임(545) 및 제2 체결 프레임(5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면(505), 제1 측면(510), 제2 측면(515), 후면(520), 전면(525) 및 지지 프레임(530)은,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체결 바아(535)는, 제1 측면(510)의 외측면 상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의 제1 체결 프레임(545)에 체결된다.
제2 체결 바아(540)는, 제2 측면(515)의 외측면 상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의 제2 체결 프레임(550)에 체결된다.
제1 체결 프레임(545)은, 제1 측면(510)의 외측면 하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측면(510)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의 제1 측면(510)의 외측면 상부를 덮으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의 제1 체결 바아(535)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의 제1 체결 바아(535)와 대향하는 내측면을 따라 제1 체결홈(546)이 연장 형성된다.
제2 체결 프레임(550)은, 제2 측면(515)의 외측면 하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측면(515)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의 제2 측면(515)의 외측면 상부를 덮으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의 제2 체결 바아(54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의 제2 체결 바아(540)와 대향하는 내측면을 따라 제2 체결홈(551)이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예에 따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는, 상하 방향으로 적재되는 수납 박스와 슬라이딩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적재된 박스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여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모듈형 수납 박스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b)는, 바닥면(505), 제1 측면(510), 제2 측면(515), 후면(520), 전면(525), 지지 프레임(530), 제1 체결 바아(535), 제2 체결 바아(540), 제1 체결 프레임(545), 제2 체결 프레임(550) 및 박스 거치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면(505), 제1 측면(510), 제2 측면(515), 후면(520), 전면(525), 지지 프레임(530), 제1 체결 바아(535), 제2 체결 바아(540), 제1 체결 프레임(545) 및 제2 체결 프레임(550)은, 도 3 또는 도 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박스 거치부(600)는,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상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경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3)가 낙하하지 않도록 거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박스 거치부(600)는, 제1 전단 거치대(610), 제2 전단 거치대(620), 제1 후단 거치대(630), 제2 후단 거치대(640), 제1 구동부(650) 및 제2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거치대(610)는, 바닥면(505) 상측의 전단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505)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3)의 전단 일측을 거치한다.
제2 전단 거치대(620)는, 제1 전단 거치대(610)와 대칭되면서 바닥면(505) 상측의 전단 다른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505)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3)의 전단 다른 일측을 거치한다.
제1 후단 거치대(630)는, 바닥면(505) 상측의 후단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505)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3)의 후단 일측을 거치한다.
제2 후단 거치대(640)는, 제1 후단 거치대(630)와 대칭되면서 바닥면(505) 상측의 후단 다른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505)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3)의 후단 다른 일측을 거치한다.
제1 구동부(650)는, 제1 전단 거치대(610)와 제1 후단 거치대(630)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분리됨에 따라 구동되어 제1 전단 거치대(610)와 제1 후단 거치대(630)를 회동시켜 준다.
제2 구동부(660)는, 제2 전단 거치대(620)와 제2 후단 거치대(640)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분리됨에 따라 구동되어 제2 전단 거치대(620)와 제2 후단 거치대(640)를 회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예에 따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b)는,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상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경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3)가 낙하하지 않도록 거치시킴으로써, 수납 박스의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하여 배관 창고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제2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구동부(660)는, 구동 벨트(661), 제1 회동 프레임(662), 구동 기어(663) 및 제2 회동 프레임(664)을 포함한다.
구동 벨트(661)는, 제2 측면(515)과 대향하는 제2 측면(515)의 내측면의 전단 상부, 전단 하부, 후단 상부 및 후단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거치 풀리(P)에 의해 거치되며, 바닥면(505)의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5051)에 하부가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의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홈(H)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6611)가 안착홈에 대응하는 상측에 형성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500-2)가 전진함에 따라 거치 풀리(P)에 거치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제2 전단 거치대(620) 및 제2 후단 거치대(640)를 직립시켜 준다.
제1 회동 프레임(662)은, 슬라이딩홈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제2 후단 거치대(64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후단 거치대(640)의 하측에 구동 기어(663)가 연결 설치된다.
구동 기어(663)는, 제1 회동 프레임(662)의 하부에서 제2 후단 거치대(640)의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구동 벨트(661)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6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6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누워 있던 제2 후단 거치대(640a)를 직립 제2 후단 거치대(640b)시켜 줄 수 있다.
제2 회동 프레임(664)은, 슬라이딩홈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전단 거치대(6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이때, 제2 전단 거치대(620)는, 하측에 형성되는 기어(621)가 구동 벨트(661)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6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후단 거치대(630)는,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가 구동 벨트(661)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직접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61)가 회전함에 따라 직립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거치부
10: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100: 적재부
200: 식별부
300: 제품 관리 서버
400: 관리자 단말기
500: 수납 박스
700: 박스 거치부

Claims (1)

  1. 침구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침구류를 보관하기 위해 설계된 보관 창고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어 있는 각각의 침구류를 식별하기 위한 침구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 마다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들을 식별하여 해당 식별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침구류의 침구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식별부; 및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각 침구류의 침구류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부로부터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 저장해 두며, 상기 식별부로부터 수신되는 침구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보관 창고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침구류를 판독하여 보관 창고에 적재되어 있는 침구류의 실시간 재고를 관리하는 제품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침구류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적재되는 다수 개의 모듈형 수납 박스로 이울어지며,
    상기 모듈형 수납 박스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일측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바닥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바닥면의 후단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각 후단 사이에 형성되는 후면; 상기 바닥면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각 전단 사이에 형성되며, 침구류를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투입구를 형성하는 전면; 및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후면 및 상기 전면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후면 및 상기 전면의 각 하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수납 박스는, 상기 제1 측면의 외측면 상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 바아; 상기 제2 측면의 외측면 상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 바아; 상기 제1 측면의 외측면 하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1 측면의 외측면 상부를 덮으며, 상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1 체결 바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1 체결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면을 따라 제1 체결홈이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의 외측면 하부를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2 측면의 외측면 상부를 덮으며, 상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2 체결 바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제2 체결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면을 따라 제2 체결홈이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수납 박스는,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상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낙하하지 않도록 거치시키는 박스 거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박스 거치부는, 상기 바닥면 상측의 전단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상기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전단 일측을 거치하는 제1 전단 거치대; 상기 제1 전단 거치대와 대칭되면서 상기 바닥면 상측의 전단 다른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상기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전단 다른 일측을 거치하는 제2 전단 거치대; 상기 바닥면 상측의 후단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상기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후단 일측을 거치하는 제1 후단 거치대; 상기 제1 후단 거치대와 대칭되면서 상기 바닥면 상측의 후단 다른 일측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회동되어 직립하여 상기 또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후단 다른 일측을 거치하는 제2 후단 거치대; 상기 제1 전단 거치대와 상기 제1 후단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1 전단 거치대와 상기 제1 후단 거치대를 회동시켜 주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전단 거치대와 상기 제2 후단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분리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2 전단 거치대와 상기 제2 후단 거치대를 회동시켜 주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측면의 내측면의 전단 상부, 전단 하부, 후단 상부 및 후단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거치 풀리에 의해 거치되며, 상기 바닥면의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안착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의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는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에 안착되는 다른 모듈형 수납 박스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거치 풀리에 거치된 상태로 회전하는 구동 벨트; 상기 슬라이딩홈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후단 거치대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2 후단 거치대의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구동 벨트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 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제2 후단 거치대를 직립시켜 주는 구동 기어; 및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전단 거치대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후단 거치대는,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가 상기 구동 벨트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직접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 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직립되는,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0200080633A 2020-06-30 2020-06-30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18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33A KR102185375B1 (ko) 2020-06-30 2020-06-30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33A KR102185375B1 (ko) 2020-06-30 2020-06-30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375B1 true KR102185375B1 (ko) 2020-12-02

Family

ID=7379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633A KR102185375B1 (ko) 2020-06-30 2020-06-30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238B1 (ko) * 2021-12-07 2022-05-18 차미현 소스 보관 관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497U (ko) * 1987-12-05 1989-06-15
KR101335371B1 (ko) * 2012-10-23 2013-12-02 오종찬 최하단에 다용도 수납이 가능한 다단의 하이렉 구조
KR20180039899A (ko) * 2016-10-11 2018-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동식 라이저 적재장치
KR20180128549A (ko) 2017-05-23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
KR20190006254A (ko) 2017-07-10 2019-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옷장
KR20190012452A (ko) * 2017-07-27 2019-02-11 김예지 승하강 기능 진열 구조를 갖는 가구 시스템
KR102107764B1 (ko) * 2019-11-25 2020-05-07 김상욱 창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497U (ko) * 1987-12-05 1989-06-15
KR101335371B1 (ko) * 2012-10-23 2013-12-02 오종찬 최하단에 다용도 수납이 가능한 다단의 하이렉 구조
KR20180039899A (ko) * 2016-10-11 2018-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동식 라이저 적재장치
KR20180128549A (ko) 2017-05-23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
KR20190006254A (ko) 2017-07-10 2019-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옷장
KR20190012452A (ko) * 2017-07-27 2019-02-11 김예지 승하강 기능 진열 구조를 갖는 가구 시스템
KR102107764B1 (ko) * 2019-11-25 2020-05-07 김상욱 창고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238B1 (ko) * 2021-12-07 2022-05-18 차미현 소스 보관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0922A1 (en) Wooden shoe rack construction
US10486724B2 (en) Configurable cart system
US20040007549A1 (en) Wire basket construction for storage rack
US3977529A (en) Display rack
US6726038B2 (en) Shelf with various storage devices for a rack
KR102185375B1 (ko)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US2305629A (en) Collapsible wardrobe rack
US9538861B2 (en) Storage system
US20040206013A1 (en) Modular shelf unit enclosure or greenhouse
US6626306B1 (en) Storage system
KR101922673B1 (ko) 지진을 대비한 안전선반
US20070125736A1 (en) Shelving with a drop leaf
US6220463B1 (en) Shelving system
KR102199840B1 (ko) 의료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US11109678B2 (en) Collapsible hanging shelf
US4936536A (en) Pot lid holder
US9462906B2 (en) Bra storage device
US955589A (en) Display rack or stand.
CN103903346A (zh) 自动售货机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US234461A (en) Book-case
US20070080125A1 (en) Corner closet
KR200401934Y1 (ko) 회전선반
US11299339B2 (en) Shoe holder
US1089810A (en) Seed-corn-drying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