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64B1 - 창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64B1
KR102107764B1 KR1020190151890A KR20190151890A KR102107764B1 KR 102107764 B1 KR102107764 B1 KR 102107764B1 KR 1020190151890 A KR1020190151890 A KR 1020190151890A KR 20190151890 A KR20190151890 A KR 20190151890A KR 102107764 B1 KR102107764 B1 KR 10210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ading
shelf
storage groove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김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욱 filed Critical 김상욱
Priority to KR102019015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창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물품 적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고 관리 시스템{WAREHOUS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창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창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창고란, 철재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결합하고, 그 프레임에 판넬을 조립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창고는 프레임의 외면에 판넬을 일일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기 때문에 조립식 창고의 조립 시간 증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볼트로 인해 조립식 창고의 외관이 미려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창고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식 창고의 상면에는 물이 고이거나 낙엽, 눈, 먼지 등이 쌓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종래의 조립식 창고 시스템의 문제점은 육면체로 조립된 메인 트러스의 상단에 박봉 지붕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메인 트러스의 모퉁이에 다수의 로드빔을 대각선 모양으로 결합하고, 그 로드빔에 고정부를 결합하여 이루기 때문에 상기 조립식 창고의 제작 시간 증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적재되는 물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선반의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140442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5577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재 선반의 적재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한 창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만으로 물품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2 플레이트를 제1 수납홈으로부터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하며, 제2 플레이트만으로 물품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3 플레이트를 제2 수납홈으로부터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하며, 제3 플레이트만으로 물품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4 플레이트를 제3 수납홈으로부터 차례로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현한 창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적재의 필요성이 없으면 각 플레이트를 각 수납홈에 차례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창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은, 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물품 적재부; 및 물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식별을 통해 상기 물품 적재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 적재부는, 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평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선반;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재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 선반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수납홈에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수납 설치되며, 후단 양측이 상기 제1 수납홈의 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전단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 펼쳐진 상태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수납홈에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수납 설치되며, 후단 양측이 상기 제2 수납홈의 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전단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제3 플레이트; 및 펼쳐진 상태의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수납홈에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각각 수납 설치되며, 각 일측의 전단 및 후단이 상기 제3 수납홈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전단 및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수납홈; 상기 제1 수납홈의 하측에 안착되면,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수납홈으로 수납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수납홈의 하측으로 하강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펼쳐지면 상기 제1 수납홈의 상측으로 승강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면과 수평면을 이루는 적재면을 형성하는 보조 선반; 상기 보조 선반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선반을 지지하는 탄성체; 상기 제1 수납홈의 후단 벽체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보조 선반이 승강된 뒤 후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보조 선반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 걸림턱; 및 상기 제1 수납홈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 벽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회동 및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전단으로 펼쳐진 뒤 상기 제1 수납홈을 따라 후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조 선반을 후단으로 밀어 상기 내측 걸림턱에 안착시켜 주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후단 상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조 선반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외측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수납홈에 수납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펼쳐진 뒤 단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고 관리부는,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는 식별 단말기; 및 상기 식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물품의 식별 코드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물품 적재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물품의 재고 여부를 판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날개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양측이 상기 하부 수납홈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날개;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날개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날개가 상기 하부 수납홈으로부터 펼쳐지면 후단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면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 체결되는 제2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날개가 상기 하부 수납홈으로부터 펼쳐지면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체결 바아를 체결하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재 선반의 적재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에 보관되는 물품의 무게, 형태 또는 부피 등의 조건에 따라 물품이 적재되는 선반의 형태를 다단으로 변형시켜 적재 효율성을 극대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재 선반의 적재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한 창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만으로 물품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2 플레이트를 제1 수납홈으로부터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하며, 제2 플레이트만으로 물품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3 플레이트를 제2 수납홈으로부터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하며, 제3 플레이트만으로 물품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4 플레이트를 제3 수납홈으로부터 차례로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서는 필요한 만큼의 플레이트를 펼쳐 물품(P)의 적재에 필요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적재의 필요성이 없으면 각 플레이트를 각 수납홈에 차례로 수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선반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물품 적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적재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3의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적재 선반이 펼쳐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 적재부(10) 및 재고 관리부(20)를 포함한다.
물품 적재부(10)는, 물품(P)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 등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물품(P)을 올려놓기 위한 다단의 선반형 공간을 형성한다.
재고 관리부(20)는, 물품(P)에 부착된 식별 코드(C)의 식별을 통해 물품 적재부(10)에 적재되는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고 관리부(20)는, 식별 단말기(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식별 단말기(300)는,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품(P)에 부착된 식별 코드(C)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 데이터를 추출한 뒤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 단말기(3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관리 서버(400)는, 식별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물품의 식별 코드 데이터를 통해 물품 적재부(10)에 적재되는 물품(P)의 입고 또는 출고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물품의 재고 여부를 판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1)은, 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재 선반의 적재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에 보관되는 물품의 무게, 형태 또는 부피 등의 조건에 따라 물품이 적재되는 선반의 형태를 다단으로 변형시켜 적재 효율성을 극대회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물품 적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물품 적재부(10)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선반(100) 및 지지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적재 선반(100)은, 물품(P)을 올려놓기 위한 평면을 형성하며, 지지 프레임(2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재 선반(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단(100a, 100b)으로 형성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보다 많은 양의 물품(P)을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지 프레임(200)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적재 선반(100)을 지지한다.
도 3은 도 2의 적재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재 선반(100)은,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제3 플레이트(130) 및 두 개의 제4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제2 플레이트(120)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홈(112)을 형성한다.
제2 플레이트(120)는, 제1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수납홈(112)에 제1 플레이트(110)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수납 설치되며, 후단 양측이 제1 수납홈(112)의 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플레이트(110)의 전단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제3 플레이트(130)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수납홈(123)을 형성한다.
제3 플레이트(130)는, 펼쳐진 상태의 제2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수납홈(123)에 제2 플레이트(120)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수납 설치되며, 후단 양측이 제2 수납(123)홈의 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플레이트(120)의 전단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제4 플레이트(140)를 수납하기 위한 제3 수납홈(135)을 형성한다.
제4 플레이트(140)는, 펼쳐진 상태의 제3 플레이트(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수납홈(135)에 제3 플레이트(130)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각각 수납 설치되며, 각 일측의 전단 및 후단이 제3 수납홈(135)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전단 및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3 플레이트(1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재 선반(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10)만으로 물품(P)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2 플레이트(120)를 제1 수납홈(112)으로부터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하며, 제2 플레이트(120)만으로 물품(P)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3 플레이트(130)를 제2 수납(123)으로부터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하며, 제3 플레이트(130)만으로 물품(P)을 충분히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지 못하면 제4 플레이트(140)를 제3 수납홈(135)으로부터 차례로 펼쳐서 추가 적재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서는 필요한 만큼의 플레이트를 펼쳐 물품(P)의 적재에 필요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적재의 필요성이 없으면 각 플레이트를 각 수납홈에 차례로 수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선반(100)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10)는, 본체(111), 제1 수납홈(112), 보조 선반(113), 탄성체(114), 내측 걸림턱(115) 및 슬라이딩 체결홈(116)을 포함한다.
본체(11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제2 플레이트(120)를 수납시키기 위한 제1 수납홈(112)이 형성된다.
제1 수납홈(112)은, 제2 플레이트(1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본체(111)의 상부에 제2 플레이트(1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11)의 전단으로 제2 플레이트(120)가 펼쳐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1121)를 형성한다.
보조 선반(113)은, 제1 수납홈(112)의 하측에 안착되면, 제2 플레이트(120)가 제1 수납홈(112)으로 수납되면 제2 플레이트(120)에 의해 제1 수납홈(112)의 하측으로 하강되며, 제2 플레이트(120)가 펼쳐지면 탄성체(1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수납홈(112)의 상측으로 승강되어 본체(111)의 상측면과 수평면을 이루는 적재면을 형성한다.
탄성체(114)는, 보조 선반(11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조 선반(113)을 지지한다.
내측 걸림턱(115)은, 제1 수납홈(112)의 후단 벽체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며, 보조 선반(113)이 승강된 뒤 후단으로 이동되면 보조 선반(113)의 후단을 지지한다.
슬라이딩 체결홈(116)은, 제1 수납홈(112)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 벽체에 형성되며, 제2 플레이트(120)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121)가 각각 삽입되어 회동 및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120)는, 제1 플레이트(110)의 전단으로 펼쳐진 뒤 제1 수납홈(112)을 따라 후단으로 이동하면서 보조 선반(113)을 후단으로 밀어 내측 걸림턱(115)에 안착시켜 주며, 제1 플레이트(110)와 대향하는 후단 상측을 따라 형성되어 보조 선반(113)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외측 걸림턱(122)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플레이트(110)는, 제2 플레이트(120)를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플레이트(120)가 제1 수납홈(112)으로부터 펼쳐지면 보조 선반(113)이 제1 수납홈(112)으로부터 승강되어 적재면을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적재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플레이트(110)의 각각의 구성은 제2 플레이트(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의 제3 플레이트 및 제4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플레이트(13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31), 두 개의 제4 플레이트(140)를 수납하기 위한 본체(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수납홈(135), 제3 수납홈(135)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체(133)에 의하여 지지되며 승강되어 적재면을 형성하는 보조 선반(132), 제4 플레이트(140)의 체결 돌기(141)이 체결 및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회전 슬라이딩홈(13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4 플레이트(140)는, 제3 수납홈(135)에 수납되며, 제3 수납홈(135)으로부터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면을 형성하며, 펼쳐진 뒤 본체(13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뒤 본체(13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42)을 형성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110a)는, 본체(111), 제1 수납홈(112), 보조 선반(113), 탄성체(114), 내측 걸림턱(115), 슬라이딩 체결홈(116) 및 지지 날개(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11), 제1 수납홈(112), 보조 선반(113), 탄성체(114), 내측 걸림턱(115) 및 슬라이딩 체결홈(116)은,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날개(118)는, 본체(111)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수납홈(117)에 수납되며, 제2 플레이트(120)가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펼쳐진 뒤 단부가 제2 플레이트(120)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123)에 체결되어 제2 플레이트(12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날개(118)는, 제1 날개(1181), 제2 날개(1182) 및 걸쇠(1183)를 포함한다.
제1 날개(118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양측이 하부 수납홈(117)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날개(1182)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날개(1182)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날개(1181)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날개(1181)가 하부 수납홈(117)으로부터 펼쳐지면 후단이 제2 플레이트(120)의 하측면 방향으로 회동되어 걸림홈(123)에 삽입 체결되어 제2 플레이트(120)를 지지한다.
걸쇠(1183)는, 제1 날개(118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제1 날개(1181)가 하부 수납홈(117)으로부터 펼쳐지면 본체(111)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체결 바아(119)를 체결함으로써, 제1 날개(1181)가 본체(111)로부터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110a)는, 제2 플레이트(120)에 적재되는 물품(P)의 무게에 의해 제2 플레이트(120)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플레이트(120)의 하측을 지지 날개(118)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물품(P)의 무게에 따라 각 플레이트가 쳐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창고 관리 시스템
10: 물품 적재부
20: 재고 관리부
100: 적재 선반
200: 지지 프레임
300: 식별 단말기
400: 관리 서버

Claims (2)

  1. 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물품 적재부;를 포함하고,
    물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의 식별을 통해 상기 물품 적재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품 적재부는, 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평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선반;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재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 선반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수납홈에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수납 설치되며, 후단 양측이 상기 제1 수납홈의 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전단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 펼쳐진 상태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수납홈에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수납 설치되며, 후단 양측이 상기 제2 수납홈의 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전단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제3 플레이트; 및 펼쳐진 상태의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수납홈에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상측면과 평면을 이루면서 각각 수납 설치되며, 각 일측의 전단 및 후단이 상기 제3 수납홈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전단 및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펼쳐지면서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수납홈; 상기 제1 수납홈의 하측에 안착되면,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수납홈으로 수납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수납홈의 하측으로 하강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펼쳐지면 상기 제1 수납홈의 상측으로 승강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면과 수평면을 이루는 적재면을 형성하는 보조 선반; 상기 보조 선반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선반을 지지하는 탄성체; 상기 제1 수납홈의 후단 벽체의 상측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보조 선반이 승강된 뒤 후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보조 선반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 걸림턱; 및 상기 제1 수납홈의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 벽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회동 및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전단으로 펼쳐진 뒤 상기 제1 수납홈을 따라 후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조 선반을 후단으로 밀어 상기 내측 걸림턱에 안착시켜 주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후단 상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조 선반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외측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수납홈에 수납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펼쳐진 뒤 단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고 관리부는,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는 식별 단말기; 및 상기 식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물품의 식별 코드 데이터를 통해 상기 물품 적재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물품의 재고 여부를 판독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51890A 2019-11-25 2019-11-25 창고 관리 시스템 KR10210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90A KR102107764B1 (ko) 2019-11-25 2019-11-25 창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90A KR102107764B1 (ko) 2019-11-25 2019-11-25 창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64B1 true KR102107764B1 (ko) 2020-05-07

Family

ID=7073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90A KR102107764B1 (ko) 2019-11-25 2019-11-25 창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6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375B1 (ko) * 2020-06-30 2020-12-02 김학주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190581B1 (ko) 2020-06-01 2020-12-14 박민욱 의약품 창고 내 보관 공간 확보가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KR102199840B1 (ko) * 2020-08-12 2021-01-07 (주)태성메디 의료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326542B1 (ko) * 2021-05-13 2021-11-12 공부식 아파트 자재 거래 시스템
KR20210149485A (ko) 2020-06-02 2021-12-09 유재원 창고의 자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99238B1 (ko) * 2021-12-07 2022-05-18 차미현 소스 보관 관리 시스템
KR102524317B1 (ko) * 2022-12-10 2023-04-20 양진우 유리 유통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76B1 (ko) 2011-10-31 2013-04-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KR101404420B1 (ko) 2013-12-06 2014-06-27 안기풍 Diy 조립식 창고 시스템
KR102034467B1 (ko) * 2019-08-05 2019-10-21 주식회사 코너스톤에스에이치 창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76B1 (ko) 2011-10-31 2013-04-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KR101404420B1 (ko) 2013-12-06 2014-06-27 안기풍 Diy 조립식 창고 시스템
KR102034467B1 (ko) * 2019-08-05 2019-10-21 주식회사 코너스톤에스에이치 창고 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581B1 (ko) 2020-06-01 2020-12-14 박민욱 의약품 창고 내 보관 공간 확보가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KR20210149485A (ko) 2020-06-02 2021-12-09 유재원 창고의 자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5375B1 (ko) * 2020-06-30 2020-12-02 김학주 침구류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199840B1 (ko) * 2020-08-12 2021-01-07 (주)태성메디 의료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326542B1 (ko) * 2021-05-13 2021-11-12 공부식 아파트 자재 거래 시스템
KR102399238B1 (ko) * 2021-12-07 2022-05-18 차미현 소스 보관 관리 시스템
KR102524317B1 (ko) * 2022-12-10 2023-04-20 양진우 유리 유통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764B1 (ko) 창고 관리 시스템
US9686882B2 (en) Modular data center cabinet rack guide and retention mechanism
KR102056827B1 (ko) 창고 관리 시스템
CN204861920U (zh) 储物柜
KR102034467B1 (ko) 창고 관리 시스템
CN204264588U (zh) 折叠式货架
CN204660575U (zh) 货架与承载模块
CN211747957U (zh) 一种双层移动式密集架
CN202704076U (zh) 滑移式折叠周转箱
CN209467647U (zh) 一种用于水电站地下式厂房仓库的智能仓储设备
CN208640020U (zh) 一种随意分隔板组件
CN215126585U (zh) 一种环保金属木制展柜
CN203031577U (zh) 供料器存放柜
CN213975620U (zh) 一种新型多功能自动化立体仓库用t型立柱货架
CN216822555U (zh) 多功能样板箱
CN201709906U (zh) 转角柜
CN112137361B (zh) 一种多功能组装式银行营业柜台
CN211076865U (zh) 一种方便使用的仓储物流用转运框体
CN216166184U (zh) 一种嵌入式可折叠书立
US11825937B1 (en) Freestanding support structure
CN212852968U (zh) 一种储物柜
CN209909494U (zh) 一种智能消防宣教机的支撑架
JP7116535B2 (ja)
CN216059790U (zh) 枪架
CN212368608U (zh) 一种斜放式可组合藏书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