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934Y1 - 회전선반 - Google Patents

회전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934Y1
KR200401934Y1 KR20-2005-0023896U KR20050023896U KR200401934Y1 KR 200401934 Y1 KR200401934 Y1 KR 200401934Y1 KR 20050023896 U KR20050023896 U KR 20050023896U KR 200401934 Y1 KR200401934 Y1 KR 200401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ed
support
rotating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현
김갑범
Original Assignee
김일현
김갑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현, 김갑범 filed Critical 김일현
Priority to KR20-2005-0023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은 가구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재; 상기 하부 지지부재와 이격져서 가구 내부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지지부재;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회전부재; 상기 하부 회전부재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3개의 하부 수평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재; 상기 상부 회전부재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3개의 상부 수평지지대; 상기 3개의 하부 수평지지대와 상기 3개의 상부 수평지지대가 이격져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3개의 수직지지대; 및 상기 3개의 수직지지대 내측면에 일정높이 간격에 외측면 3곳이 고정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원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선반의 외측면 3곳이 수직지지대에 고정되므로 선반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고 회전시킬 때에는 수직지지대를 잡고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반의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래도록 사용이 가능한 회전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선반{Rotary shelf}
본 고안은 회전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합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선반의 고정상태가 견고한 회전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내부에는 의류나 신변 장신구 등을 수납하여 정리,보관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이 판으로 좌우측이 구분되어 있는데, 구분된 일측에는 걸이봉이 설치되어 있어 의복을 옷걸이에 걸어서 걸어둘 수 있고, 타측에는 상,하 일정간격에 판으로 구분하여 전면이 개방된 수납함에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납구조로 되어 있는 수납함은 내부 깊숙이 물품을 정리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내부 깊숙이 물품이 감춰져 있으므로 원하는 물품을 찾기 위해 각각의 수납함을 뒤적이게 되어 물품의 정리된 상태가 흐트러지게 되기 때문에 이를 다시 정리해서 수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수납함의 양측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수납바구니를 넣고 뺄수 있게되어 있는 것도 있으나, 이것도 마찬가지로 원하는 물품을 찾고자 할 때에는 각각의 수납바구니를 빼고 넣고 반복해서 일일이 확인하면서 찾게 되므로 매번 원하는 물품을 찾는 일이 불편하였다.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 20-0371627호에서 360도 회전되는 회전식 수납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이 회전식 수납장치는 상부 지지부재 및 하부 지지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에 설치된 각 회전 지지부에 상,하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고, 걸림부를 구비한 회전축 부재 및 상,하부로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 부재에 다층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납부재(이하,'선반'으로 지칭함.)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은 회전식 수납장치는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 부재에 선반의 중심부가 고정된 구조로서,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하기 위해서 회전시킬 때에는 선반의 외주연을 잡고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선반의 외주연을 누르게 될 경우에는 선반의 중심부는 회전축 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나 선반의 외주연은 전혀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선반의 외주연이 눌려져서 선반의 수평상태가 비틀려지게 되고, 이렇게 선반의 수평상태가 조금이라도 비틀려져서 회전축 부재를 중심축으로 하여 불균형 상태를 이루게 되면, 이로 인해서 회전상태가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선반에 물품을 수납하더라도 낮아진 외주연 쪽으로 물품이 미끄러져서 떨어지게 되며, 비틀려진 선반의 외주연 부분을 매번 회전시킬 때마다 누르게 되면 더욱더 비틀림 이 커지게 되고 결국, 그 선반은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회전식 수납장치는 회전축 부재에 선반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회전축 부재에 구비된 걸림부의 구조가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편이 회전축 부재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부에 길이방향(축방향)으로 끼워지고, 이 고정편의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편이 끼워지는 끼움부와 교차되도록 형성된 끼움부 측으로 삽입되게 되어 있으며, 선반에 구비된 고정부는 상기 고정편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선반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이 형성된 수납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렇게 회전축 부재에 선반을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그 구성요소가 많고 복잡하여 조립하기가 불편하였다.
또, 상기한 회전식 수납장치는 걸이봉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에 옷을 옷걸이에 걸어서 걸어둘 수 없고, 회전축 부재가 선반의 중심에 위치되므로 선반의 수납공간 전체를 차지하는 넓은 표면을 가진 물품을 선반에 수납하거나 옷을 넓게 개어서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결합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선반의 고정상태가 견고한 회전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반과 함께 걸이봉이 형성되고, 선반의 수납공간을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은 가구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재; 상기 하부 지지부재와 이격져서 가구 내부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지지부재;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회전부재; 상기 하부 회전부재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3개의 하부 수평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재; 상기 상부 회전부재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3개의 상부 수평지지대; 상기 3개의 하부 수평지지대와 상기 3개의 상부 수평지지대가 이격져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3개의 수직지지대; 및 상기 3개의 수직지지대 내측면에 일정높이 간격에 외측면 3곳이 고정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3개의 수직지지대 일지점에는 걸이봉이 설치되고, 상기 걸이봉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내측면에 그 선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부 회전부재의 저면에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상부 회전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의 바로 위에 원판이 고정되고, 이 원판의 외주연 상부로 금속망 테가 둘러져서 형성된 하단선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반(14)과, 상기 선반(14)의 외측면이 고정되는 3개의 수직지지대(10)와, 3개의 상부 수평지지대(11A)가 외주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상부 회전부재(12) 및 3개의 하부 수평지지대(11B)가 외주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하부 회전부재(13)와, 상기 상,하부 회전부재(12, 1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15) 및 하부 지지부재(16)로 이루어지며, 수직지지대(10)의 일지점에는 연결부재(19)에 연결된 3개의 걸이봉(20)이 결합되고, 하단선반(18)과 사각판(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14)은 금속망으로 형성되고 수납되는 물품이 이탈되거나 수납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외주연에 일정높이 테가 둘러진 형태인데, 상기 선반(14)은 금속망 형태인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게가 가벼운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된 선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대(10)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정간격에 결합공(10a)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이 결합공에 상기 선반(14)의 외측면이 고정되는데, 각 수직지지대(10)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0a)에 선반의 외측면을 맞대어서 금속망이 교차해서 생긴 틈으로 머리부가 큰 평볼트(B)를 이용하여 선반의 외측면 3곳을 3개의 수직지지대(10) 내측면에 고정시켜 여러개의 선반(14)을 일정높이 간격에 다단으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3개의 수직지지대(10)의 내측면에 선반(14)의 외측면 3곳이 고정되어서 삼각기둥 형태를 이루게 된 수직지지대(10)들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심에는, 상기 수직지지대를 향해서 3개의 상,하부 수평지지대(11A, 11B)가 각각 방사상으로 연결된 상부 회전부재(12) 및 하부 회전부재(13)가 각각 위치되고, 상,하부 수평지지대(11A, 11B)들의 선단면은 각각 수직지지대(10) 내측면에 맞대어져 수직지지대(10)의 외측면에서 평볼트(B)로 고정된다. 상기 3개의 상,하부 수평지지대(11A, 11B)는 상부 회전부재(12)와 하부 회전부재(13)의 외주에 120도 각도로 연결된다.
상기 상,하부 회전부재(12, 13)는 가구(22) 내부의 천정과 바닥면에 고정되는 상,하부 지지부재(15, 16)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 지지부재(15)의 저면에는 축(15a)이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부 회전부재(12)에는 축공(12a)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 회전부재(13)의 저면에 축(13a)이 형성되고 상기 축은 하부 지지부재(16)의 중앙에 형성된 축공(17a)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축공(17a) 내부에는 상기 하부 회전부재(13)의 축(13a)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된 회전부재(17)를 부착하는 것이 좋으며, 이렇게 상기 하부 회전부재(13)가 하부 지지부재(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지지부재(15)에 형성된 축(15a)은 다소 길게 형성되고 상부 회전부재(12)에 형성된 축공(12a)은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가구(22) 내부의 바닥면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보다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높이가 다소 낮게 형성되는 것이 본 고안을 가구 내부에 설치할 때 불편하지 않을 것이며, 가구 내부의 바닥면에 하부 지지부재(16)을 먼저 고정시킨 후, 가구 내부의 천정에 밀착시키기 위해 상부 지지부재(15)를 들어서 고정하면 길게 형성된 축(15a)이 상부 회전부재(12)의 축공(12a)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한편, 수직지지대(10)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전체적으로 선반(14)을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고, 수직지지대(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집중해서 선반(14)을 다단으로 고정할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집중해서 선반을 다단으로 고정하고 맨 아래에 고정된 선반의 바로 아래인 수직지지대(10)의 일지점에 걸이봉(20)을 결합하여 옷걸이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선반(14)을 하부에 집중해서 고정하고 수직지지대(10)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부 수평지지대(11A)를 옷걸이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걸이봉(20)은 3개의 수직지지대(10)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지지대가 이루고 있는 내측 중심에서 연결부재(19)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로서, 상기 수직지지대(10)의 상,하단부에 결합된 상,하부 수평지지대(11A, 11B)와 동일한 형태인데 단지, 축 또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뿐이다.
아울러, 수직지지대(10)의 하단부에 연결된 하부 수평지지대(11B)의 바로 위에는 금속망으로 된 선반(14)의 외측면을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이 금속망 선반(14) 보다는 무거운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원판(18a)을 하부 수평지지대(11B)의 저면에서 고정브라켓(18d)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이 원판의 외주연 상부로 금속망 테(18b)를 둘러서 하단선반(18)을 설치하며, 이 하단선반(18)의 수납공간은 3개의 부분으로 구분되도록 칸막이(18c)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중량이 무거운 원판(18a)을 수직지지대(10)의 하단부에 결합시켜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있게 하는 것은, 회전시킬 때에 수직상태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은 3개의 수직지지대(10)에 선반의 외측면 3곳이 고정되어 다단으로 설치되고, 수직지지대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3개의 상,하부 수평지지대(11A. 11B)가 방사상으로 연결된 상,하부 회전부재(12, 13)가 결합되어 각각 상,하부 지지부재(15, 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의 결합이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하기가 간편하다.
한편, 하부 지지부재(16)를 가구(30) 내부의 바닥면에 바로 고정시키지 않고 하부 지지부재의 저면에 사각판(21)을 고정하여 가구(22) 내부의 바닥면 모서리에 밀착시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을 설치하면, 회전시킬 때에 밀착된 사각판(21)에 의해 수직상태가 흔들리지 않으며, 가구 내부의 구석진 모서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각판(21)은 가구의 바닥면에서 일부 돌출되므로 하나의 각부분은 모따기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설명에서 상부 수평지지대(11A)와 상부 회전부재(12), 하부 수평지지대(11B)와 하부 회전부재(13)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회전부재 부위와 수평지지대 부위가 서로 분리되게 형성시킬 수 있는데, 분리된 수평지지대의 선단면에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회전부재 부위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도록 결합돌기를 형성하거나, 결합공을 암나사로 형성하고 결합돌기는 수나사로 형성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을 가구 내부에 설치할 때에는 우선, 하부 지지부재(16)를 가구(22) 내부의 바닥면에 바로 고정시키거나, 하부 지지부재의 저면에 사각판(21)을 고정시킨 상태로 가구 내부의 모서리에 밀착시키고 수직상태를 확인하여 상부 지지부재(15)를 피스 또는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설치한 후, 각종 물품을 다단의 선반(14)에 수납하고 상부 수평지지대(11A) 또는 수직지지대(10)의 일지점에 결합된 걸이봉(20)은 옷걸이봉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은 360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에 닿는 가까운 위치로 비어있는 선반(14)이나 걸이봉(20)이 위치되도록 수직지지대(10)를 잡고 회전시켜서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물품을 꺼낼 때에는 선반(14)에 수납된 물품이나 걸이봉(20)에 걸려져 있는 옷이 모두 입체적으로 한눈에 들어오므로 원하는 물품이 손에 닿지 않는 먼 곳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수직지지대를 잡고 회전시켜서 손쉽게 꺼낼 수 있고, 이렇게 손이 잘 닿지 않는 곳에 있는 것을 애써 꺼내지 않아도 되므로 물품의 수납된 상태가 전혀 흐트러지지 않는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은 수직지지대(10)를 잡고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고안과 같이 선반의 외주연을 잡지 않아도 되므로 선반의 수평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만약 선반(14)의 외주연을 잡고서 회전시키더라도 선반의 외측면 3곳이 3개의 수직지지대(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반의 고정상태도 보다 견고하여 선반의 수평상태가 비틀려지는 일은 없게 된다.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선반(14) 및 하단선반(18)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회전반경에 의해 생기게 되는 원형에 내접하는 6각 또는 8각의 다각형으로 선반을 형성하고, 다각형의 선반 외측면 3곳을 3개의 수직지지대(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을 2개 구비하여 하나의 회전선반은 선반(14)만을 다단으로 고정하고, 다른 하나는 걸이봉(20)만을 수직지지대(10)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10a)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에 의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선반의 외측면 3곳이 3개의 수직지지대에 고정되므로 선반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고, 회전시킬 때에는 수직지지대를 잡고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반의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전선반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 물품을 수납하는 선반과 함께 걸이봉을 결합하여 옷걸이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선반의 외측면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선반의 수납공간을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선반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직지지대 10a : 결합공
11A, 11B : 상,하부 수평지지대 12, 13 : 상,하부 회전부재
12a, 17a : 축공 13a, 15a : 축
14 : 선반 15, 16 : 상,하부 지지부재
17 : 회전부재 18 : 하단선반
18a : 원판 18b : 금속망 테
18c : 칸막이 18d : 고정브라켓
19 : 연결부재 20 : 걸이봉
21 : 사각판 22 : 가구
B : 평볼트

Claims (4)

  1. 가구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재;
    상기 하부 지지부재와 이격져서 가구 내부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지지부재;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회전부재;
    상기 하부 회전부재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3개의 하부 수평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회전부재;
    상기 상부 회전부재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3개의 상부 수평지지대;
    상기 3개의 하부 수평지지대와 상기 3개의 상부 수평지지대가 이격져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3개의 수직지지대;
    상기 3개의 수직지지대 내측면에 일정높이 간격에 외측면 3곳이 고정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수직지지대 일지점에는 걸이봉이 설치되고, 상기 걸이봉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내측면에 그 선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부재의 저면에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상부 회전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의 바로 위에 원판이 고정되고, 이 원판의 외주연 상부로 금속망 테가 둘러져서 형성된 하단선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선반.
KR20-2005-0023896U 2005-08-19 2005-08-19 회전선반 KR200401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896U KR200401934Y1 (ko) 2005-08-19 2005-08-19 회전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896U KR200401934Y1 (ko) 2005-08-19 2005-08-19 회전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934Y1 true KR200401934Y1 (ko) 2005-11-23

Family

ID=4370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896U KR200401934Y1 (ko) 2005-08-19 2005-08-19 회전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9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560B1 (ko) 2005-11-11 2007-03-20 신장공업주식회사 싱크대용 코너 수납장의 회전식 수납장치
WO2008128151A1 (en) * 2007-04-12 2008-10-23 Elliot Anker A novel pot and pan storage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560B1 (ko) 2005-11-11 2007-03-20 신장공업주식회사 싱크대용 코너 수납장의 회전식 수납장치
WO2008128151A1 (en) * 2007-04-12 2008-10-23 Elliot Anker A novel pot and pan storag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4958B1 (en)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for articles
US6786337B2 (en) Wooden shoe rack construction
US8640889B2 (en) Utility storage rack
US7997429B2 (en) Pot and pan storage unit
US20040040922A1 (en) Shelf with various storage devices for a rack
US7051984B2 (en) Assembly for supporting and displaying objects
US2014033938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hanging an item
CN112690679A (zh) 悬挂式置物架系统
KR200401934Y1 (ko) 회전선반
US10165872B2 (en) Panel assembly, panel system including the panel assembly, and method thereof
US5152230A (en) Joining means for securing articles together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200452483Y1 (ko)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JP2005125068A (ja) 組立て整理棚
JP3466267B2 (ja) 多段棚
JP6963422B2 (ja) 天板付き家具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KR200411307Y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0360979Y1 (ko) 어린이용 물품진열대
JP2019072426A (ja) 収納家具
KR200497137Y1 (ko)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KR0139529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
KR200273682Y1 (ko) 조립식 진열장
KR100657400B1 (ko) 다목적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