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307Y1 - 주방용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주방용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307Y1
KR200411307Y1 KR2020050034864U KR20050034864U KR200411307Y1 KR 200411307 Y1 KR200411307 Y1 KR 200411307Y1 KR 2020050034864 U KR2020050034864 U KR 2020050034864U KR 20050034864 U KR20050034864 U KR 20050034864U KR 200411307 Y1 KR200411307 Y1 KR 200411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kitchen
prefabricated
ho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남용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오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남용 filed Critical 오남용
Priority to KR2020050034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주방용 조립식 선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주방용 조립식 선반은, 상호 대향되게 기립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나사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선반기둥; 선반기둥의 나사관통공과 연결되는 선반부재공이 양 단부에 형성되며, 선반기둥의 내측에서 선반기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물품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 및 선반기둥의 나사관통공을 관통하여 선반부재의 선반부재공에 나사결합되어 선반기둥과 선반부재를 결합시키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각 부재들을 용접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에도 분리가 용이하여 파손된 부재만의 교환 또는 다른 색상의 부재로 교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종래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선반, 조립, 주방용 선반, 조립식 선반

Description

주방용 조립식 선반{Divisable kitchen shelf}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립식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반기둥 12 : 나사관통공
13 : 걸림돌기 15 : 이격돌기
16 : 세로부재 17 : 가로부재
20 : 선반부재 22 : 선반부재공
23 : 선반판 25 : 선반봉
30 : 피스캡 31 : 캡몸체
33 : 삽입돌기 40 : 나사
41 : 두부 42 : 캡공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부재들을 용접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이나 근자 들어 아파트에 마련되는 보조 주방 등에는 컵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도구인 주방용 기구, 요리 시 사용되는 양념통과 같은 주방물품을 수납하거나, 주방 주위를 청소하기 위한 행주를 걸 수 있는 주방용 선반이 설치된다. 이하에서 주방용 선반이라 함은 접시꽂이, 주방용품 걸이대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주방용 선반은 통상적으로 주방용 선반을 구성하는 각 부재들, 예들 들어 컵이나 주방용품 혹은 간단한 주방물품 등을 수납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선반부재들과 프레임을 각각 용접하여 조립 제작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용접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주방용 선반을 구성하는 각 부재들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고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우 용접이 그다지 용이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제작 시간이 증가되는 등 생산성이 저하되며 제작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하여 제작된 주방용 선반의 경우에는 각 부재들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한 채 상호 분리되기 어렵기 때문에, 일부분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이를 수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디자인을 위해서 또는 다른 용도를 위해 일부분을 교체하고 자 하는 경우에 적절히 대체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일단 제작된 주방용 선반은 그 부피를 유지한 채로 보관 및 운송하여야 하므로, 보관 및 운반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부재들을 용접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에도 분리가 용이하여 파손된 부재만의 교환 또는 다른 색상의 부재로 교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종래 보다 용이할 수 있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서 각 부재를 조립할 때 사용된 나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고급스런 디자인을 추구할 수 있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호 대향되게 기립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나사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선반기둥; 상기 선반기둥의 나사관통공과 연결되는 선반부재공이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선반기둥의 내측에서 상기 선반기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물품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 및 상기 선반기둥의 나사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선반부재의 선반부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선반기둥과 상기 선반부재를 결합시키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나사에는 상단부에 소정 깊이 함몰형성된 캡공이 마련되며, 상기 주방 용 조립식 선반은 상기 캡공에 결합되는 피스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스캡은, 상기 캡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돌기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캡공에 결합될 때 상기 나사의 두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나사의 두부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캡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선반기둥의 후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선반기둥을 외부의 지지벽과 이격시키는 이격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격돌기는 단부가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기둥은,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가로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로부재에는 별도의 걸이부재가 걸림가능한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반기둥의 상단부에는 외부의 지지대에 걸림가능한 걸림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선반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되, 상기 선반기둥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봉과, 상기 봉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선반기둥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판이 복수 개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선반판에는 소정 영역이 절취되어 수저통이 거치 가능한 거치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립식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립식 선반(1)은, 한 쌍의 선반기둥(10)과, 복수의 선반부재(20)와, 선반기둥(10)과 선반부재(20)를 결합시키는 나사(40)와, 나사(40)의 캡공(42)에 결합되어 나사(40)의 두부(41)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피스캡(30)을 구비한다.
주방용 조립식 선반(1)은 주방이나 보조 주방에 주로 설치되어 식기류나 주방용품 등을 수납하므로 물과 습기에 쉽게 노출된다. 따라서 내부식성과 내방부성이 특히 더 요구되기 때문에 주방용 조립식 선반(1)을 구성하는 이들 각 부재는 주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된다.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는, 목재와 플라스틱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견고하며 소재 자체에서 오는 광택에 의하여 미적 효과를 야기한다.
선반기둥(10)은, 상호 대향되게 기립배치되며, 복수의 나사관통공(12)이 형 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선반기둥(10)은 대략 2mm 내지 8mm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선반기둥(10)은, 세로부재(17)와, 세로부재(17)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연장된 가로부재(16)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로부재(16)는 세로부재(17)의 중앙부와 하단부에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가로부재(16)에는 각각 두 개씩의 나사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선반부재(20)는 가로부재(16) 사이에 배치되어 선반기둥(10)의 가로부재(16)와 나사(40)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가로부재(16)는 선반부재(20)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이는 선반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한 적절한 강도를 확보하고 나사관통공(12)을 형성하기 위한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선반기둥(10)의 하단부 즉 가로부재(16)의 하단부에는 선반기둥(10)의 후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선반기둥(10)을 외부의 지지벽(W)과 이격시키는 이격돌기(15)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격돌기(15)는 벽체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한편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격돌기(15)는 단부가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데, 이에 의하여 벽체와 접촉되는 면적이 보다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선반기둥(10)의 상단부 즉 가로부재(16)의 상단부에는 외부의 지지대(H)에 걸림가능한 걸림돌기(13)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돌기(13)는, 외부의 지지대(H)에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 모양을 가지거나 '??'자의 절곡부분에 홈이 존재하는 형상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지지대(H)에 걸림되어 주방용 선반이 외부의 지지대(H)에 지지되도록 한다. 외부의 지지대(H)는 싱크대 상부 수납장의 하부에 있을 수도 있고 주방의 벽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선반부재(20)는, 선반기둥(10)의 나사관통공(12)과 연결되는 선반부재공(22)이 양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선반부재(20)는 복수 개로 마련되는데, 선반기둥(10)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두 개의 선반봉(25)과, 봉부재와 이격되어 선반기둥(10)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선반판(23)이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선반봉(25)과 선반판(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선반기둥(10)의 가로부재(16) 사이에 배치된다. 선반판(23)은 판 형상을 가지므로 주로 컵, 접시, 그릇 등 표면적이 넓은 물건을 수납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선반봉(25)은 수건이나 행주 등의 천 소재나 랩, 쿠킹호일(aluminum foil), 키친타월 등 펼쳐서 사용하는 물건이나 원형으로 된 형상의 물품을 거치시키는 데 주로 사용된다.
선반부재(20)의 선반부재공(22)은 나사(40)가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선반부재(20)의 압출성형 시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선반부재공(22)을 나사(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 뒤 선반부재(20)를 선반기둥(10)에 배치한 뒤 나사(40)를 선반부재공(22)으로 삽입하면 선반부재공(22)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나사(40)가 선반기둥(10)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사(40)는, 나사관통공(12)을 관통하여 선반부재(20)의 선반부재공(22)에 나사결합되어 선반기둥(10)과 선반부재(2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종래 용접으로 조립하는 방식 대신에 선반부재(20)와 선반기둥(10)을 나사(40)로 체결함으로써 단순하게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립 후에도 분리가 용이하여 파손된 부재만의 교환 또는 다른 색상의 부재로 교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 시에도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운반이 종래 보다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나사(40)의 상단부에는 소정 깊이 함몰형성된 캡공(42)이 마련된다.
이 캡공(42)에는 피스캡(30)이 결합된다. 피스캡(30)은, 캡공(4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3)와, 삽입돌기(33)의 단부에 마련되며 삽입돌기(33)가 캡공(42)에 결합될 때 나사(40)의 두부(41)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나사(40)의 두부(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캡몸체(31)를 구비한다. 삽입돌기(33)는 캡공(42)에 물림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피스캡(30)은 선반부재(20)와 선반기둥(10)을 결합시키는 나사(40)가 외부로 드러나면서 미관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선반기둥(10)이나 선반부재(20)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상이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적절한 위치에 각 부재를 배치하고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선반부재(20)와 선반기둥(10)을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나사(40)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캡공(42)이 마련되어 있다. 나사(40)에 캡공(42)이 마련되어 있더라도 드라이버와 결합되는, 예를 들어 십자홈은 그 형태를 대부분 유지하게 되므로 드라이버로 나사(40)를 체결하는 데에는 별 어려움이 없다.
그런 다음에 피스캡(30)의 삽입돌기(33)를 나사(40)의 캡공(42)에 삽입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주방용 조립식 선반(1)은 예를 들어 싱크 대의 상부 수납장의 하부에 마련되는 외부의 지지대(H)에 걸린 뒤 각종 주방용품을 수납시키거나 거치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판(23)에는 컵을 수납할 수 있고, 선반판(23) 하부의 선반봉(25)에는 행주를 걸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종래 용접에 의하여 조립하는 방법에 비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조립이 완료된 주방용 조립식 선반(1)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조립이 용이하므로 구매자가 직접 조립할 수 있도록 부품으로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또한 언제든지 분리가 가능하므로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도 있고 미감을 고려하여 일부 부재를 다른 색깔의 부재로 교체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보관이나 운반 시에는 분리하여 보관이나 운반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a’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립식 선반(1a)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와 달리, 가로부재(16a)에 별도의 걸이부재가 걸림가능한 걸림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홈(18)에는 선반봉(25a)이 걸림결합된다. 즉 선반봉(25a)에 키친타월 등을 주기적으로 용이하게 걸기 위해서 선반봉 (25a)이 가로부재(16a)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선반봉(25a)이 보다 용이하게 가로부재(16a)에 거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걸림홈(18)을 형성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b’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조립식 선반(1b)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와 달리, 선반판(23b)에는 소정 영역이 절취되어 수저통이 거치 가능한 거치공(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로 제작되는 수저통이 이 거치공(24)에 용이하게 거치 및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선반부재(20)가 선반판(23)과 선반봉(25)으로 구현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선반부재(20)는 접시꽂이와 물받침대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 부재들을 용접하지 않고 단순 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에도 분리가 용이하여 파손된 부재만의 교환 또는 다른 색상의 부재로 교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종래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작 시간 및 제작 원가를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의 상단부에 캡공을 형성하고, 캡공에 결합되어 나사의 두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피스캡을 구비함으로써 각 부재를 조립할 때 사용된 나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고급스런 디자인을 추구할 수 있다.

Claims (8)

  1. 상호 대향되게 기립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나사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선반기둥;
    상기 선반기둥의 나사관통공과 연결되는 선반부재공이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선반기둥의 내측에서 상기 선반기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물품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 및
    상기 선반기둥의 나사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선반부재의 선반부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선반기둥과 상기 선반부재를 결합시키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에는 상단부에 소정 깊이 함몰형성된 캡공이 마련되며,
    상기 캡공에 결합되는 피스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스캡은,
    상기 캡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돌기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캡공에 결합될 때 상기 나사의 두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나사의 두부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캡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선반기둥의 후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선반기둥을 외부의 지지벽과 이격시키는 이격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기는 단부가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기둥은,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가로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로부재에는 별도의 걸이부재가 걸림가능한 걸림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기둥의 상단부에는 외부의 지지대에 걸림가능한 걸림돌기가 마련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되, 상기 선반기둥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봉과, 상기 봉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선반기둥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판이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판에는 소정 영역이 절취되어 수저통이 거치 가능한 거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20050034864U 2005-12-12 2005-12-12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0411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864U KR200411307Y1 (ko) 2005-12-12 2005-12-12 주방용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864U KR200411307Y1 (ko) 2005-12-12 2005-12-12 주방용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307Y1 true KR200411307Y1 (ko) 2006-03-13

Family

ID=4176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864U KR200411307Y1 (ko) 2005-12-12 2005-12-12 주방용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3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50B1 (ko) * 2011-05-09 2013-12-20 주식회사 한샘 조립식 수납장
KR20200112134A (ko) * 2019-03-21 2020-10-05 김민성 조립식 다용도 선반 걸이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50B1 (ko) * 2011-05-09 2013-12-20 주식회사 한샘 조립식 수납장
KR20200112134A (ko) * 2019-03-21 2020-10-05 김민성 조립식 다용도 선반 걸이대
KR102169348B1 (ko) 2019-03-21 2020-10-23 김민성 조립식 다용도 선반 걸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200411307Y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0475324Y1 (ko) 주방용 선반
KR20170115812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KR200424765Y1 (ko) 주방용 선반
KR200405626Y1 (ko) 주방용 착탈식 선반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KR200455852Y1 (ko) 주방용 구획 프레임
JPH07250714A (ja) 収納棚
KR200443182Y1 (ko) 주방용 선반
KR200341870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KR200343373Y1 (ko) 다용도 선반
JP3181758U (ja) ダイニングテーブル
KR200484007Y1 (ko)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KR200329201Y1 (ko) 다용도 바스켓 선반
KR20170003004U (ko)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 선반
KR200216204Y1 (ko) 조립식 선반의 지지부재
KR102216776B1 (ko) 블록형 식기건조대
KR102060226B1 (ko) 블록형 식기건조대
KR102047593B1 (ko) 주방 선반 설치용 조립기구
KR200357294Y1 (ko) 선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테이블
KR200169246Y1 (ko) 조립식 다목적 집기
KR200384820Y1 (ko) 가구용 보조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