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37Y1 -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137Y1
KR200497137Y1 KR2020210001874U KR20210001874U KR200497137Y1 KR 200497137 Y1 KR200497137 Y1 KR 200497137Y1 KR 2020210001874 U KR2020210001874 U KR 2020210001874U KR 20210001874 U KR20210001874 U KR 20210001874U KR 200497137 Y1 KR200497137 Y1 KR 200497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helf
locking
suppor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995U (ko
Inventor
안희성
Original Assignee
안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성 filed Critical 안희성
Priority to KR2020210001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3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92Furniture assembled by mutually slotted joi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물품을 올려놓거나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적층할 수 있고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락킹부재를 사용하며 하단부에 물품수납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수납박스가 결합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양측으로 분기되는 받침대(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2)의 가운데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가로방향의 하부 결합공(16) 및 상부 결합공(18)이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부(20)가 형성된 지지몸체(10)로 형성되는 좌측 세로 지지판(102) 및 우측 세로 지지판(104)과;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 및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하부 결합공(16) 및 상부 결합공(18)에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몸체(22)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는 제1 결합돌부(24) 및 제2 결합돌부(2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돌부(24)와 제2 결합돌부(26)의 사이에 락킹 결합홈(28)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돌부(26)에는 락킹공(30)이 각각 형성되는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와; 상기 하부 결합공(16)과 상부 결합공(18)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제2 결합돌부(26)의 락킹공(30)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락킹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은, 다양한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고 선반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경우,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밀리거나 쓰러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다양한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박스와 결합하여 이동성이 우수하고 물품 수납 및 조립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SHELF FOR POSIBLE STACKABLE}
본 고안은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물품을 올려놓거나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적층할 수 있고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락킹부재를 사용하며 하단부에 물품수납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수납박스가 결합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올려 놓거나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은 사용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 등으로 만들어지고 필요한 경우 필요한 경우 상부와 하부에 적층하여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러개의 받침대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반 양측 지지대가 일정한 두께의 평판 형태로 되어 있어서 3개 이상의 선반을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올려 놓고자 하는 경우에는 무너지거가 측면으로 기울어져서 쓰러져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다단 적층 선반은 측면에 적층되는 면적이 아주 적기 때문에 실질적인 다단 조립식 다용도 선반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17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675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평판형상의 선반부를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함과 동시에 전후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단의 선반부를 적층시에 측면부에 락킹부재를 설치하여 선반과 선반 사이의 경계부를 잡아줌으로써 견고하게 버틸 수 있고 내구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킨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각각의 지지판과 선반부와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고 손쉬우며 캠핑 및 근거리의 야외 이동시 운반 및 이동성이 매우 뛰어난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적층이 가능하면서도 수납이 가능한 수납박스와의 결합을 통하여 운반용 및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이드 선반 및 물품걸이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양측으로 분기되는 받침대(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2)의 가운데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가로방향의 하부 결합공(16) 및 상부 결합공(18)이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부(20)가 형성된 지지몸체(10)로 형성되는 좌측 세로 지지판(102) 및 우측 세로 지지판(104)과;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 및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하부 결합공(16) 및 상부 결합공(18)에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몸체(22)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는 제1 결합돌부(24) 및 제2 결합돌부(2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돌부(24)와 제2 결합돌부(26)의 사이에 락킹 결합홈(28)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돌부(26)에는 락킹공(30)이 각각 형성되는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와; 상기 하부 결합공(16)과 상부 결합공(18)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제2 결합돌부(26)의 락킹공(30)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락킹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부재(110)는, 평판형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락킹몸체(34)와;
상기 락킹몸체(34)의 전부에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락킹돌부(36)와;
상기 락킹몸체(34)의 하부에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 막음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부재(110)는, 상기 지지몸체(10)의 하부 결합공(16) 및 상부 결합공(18)에 결합되는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제2 결합돌부(26)의 락킹공(30)에 고정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는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측면방향으로의 힘에 대응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킹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부재(110)는, 평판형상의 락킹몸체(34)로 이루어지고 상기 락킹몸체(34)는 평판형상의 일중간부에 락킹홈(38)이 형성되어 일측부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폭이 상기 락킹 결합홈(28)에 끼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은, 다양한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고 선반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경우,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밀리거나 쓰러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다양한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박스와 결합하여 이동성이 우수하고 물품 수납 및 조립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락킹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선반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락킹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상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10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100)을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는 좌측 세로 지지판(102), 세로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되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설치되는 우측 세로 지지판(104),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단 받침 선반부(106),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상기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단 받침 선반부(108) 및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와 상단 받침 선반부(108)를 고정하는 락킹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우측 세로 지지판(104)은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마주부도록 대칭으로 세워진다.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하단부에는 하단 받침 선반부(106)가 가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상기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상단부에는 상단 받침 선반부(108)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의 좌측 외부면과 상기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우측 외부면에는 다수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락킹부재(11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락킹부재(110)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판(102,104)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바, 상기 세로 지지판(102,104)에 대해서 수직하게 결합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와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흔들림과 측면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공간의 제약을 피하기 위해 상기 락킹부재(110)는 90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몸체(10)로 이루어진 좌측 세로 지지판(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몸체(10)의 하단부에는 양측으로 분기된 두개의 받침대(1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12)의 사이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10)의 중앙부에는 전후로 관통된 통공(도면부호 도시안함)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직사각형상의 하부 결합공(1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공(16)과 대칭하여 상부 결합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몸체(10)의 상단부는 요철형상으로 굴곡되고 중앙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결합부(2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0)에는 다용도 선반의 적층이 필요할 경우 또 다른 지지몸체(10)의 결합홈(14)에 끼워서 상방에서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하부 결합공(16)에는 하단 받침 선반부(106)가 가로 방향으로 끼워져서 설치되는바,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몸체(22)의 좌측 및 우측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결합돌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부(24)의 후부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2 결합돌부(26)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돌부(24)와 제2 결합돌부(26)의 사이에는 락킹 결합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킹 결합홈(28)은 후술되는 락킹부재(110)의 락킹몸체(34)의 가로폭과 동일하거나 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락킹몸체(34)가 90도 회전하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2 결합돌부(26)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락킹공(30)이 좌측 및 우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몸체(22)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직사각형상의 슬릿(32)이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전부 및 후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슬릿(32)에는 다양한 캠핑고리들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 및 우측 세로 지지판(104)에 형성된 상부 결합공(18)에는 상단 받침 선반부(108)가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끼워져서 설치된다.
상기 상단 받침 선반부(108)는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와 동일하게 받침몸체(22)로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부에 각각 제1 결합돌부(24), 제2결합돌부(26), 락킹 결합홈(28) 및 락킹공(30)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받침 선반부(108)와 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물품이 수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의 제1 결합돌부(24) 및 제2 결합돌부(26)는 상기 하부 결합공(16)에 끼워지고 상기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제1 결합돌부(24) 및 제2 결합돌부(26)는 상부 결합공(18)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상기 락킹공(30)에는 상기 락킹부재(110)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락킹부재(110)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락킹몸체(34)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몸체(34)의 전부에는 기역자(ㄱ) 형상으로 하향으로 꼬부라진 락킹돌부(36)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돌부(36)의 내측에는 락킹홈(38)이 형성되며 상기 락킹몸체(34)의 하부에는 니은자(ㄴ) 형상으로 측면 막음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 막음부(40)는 세로방향으로 후술되는 결합경계부(112)를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지키할 수 있도록 90도 회전시키면서 막을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장소 및 물품의 하중 사용 선택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락킹몸체(34)는 소정의 폭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소정의 폭은 상기 락킹 결합홈(28)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락킹몸체(34)의 폭이 상기 락킹 결합홈(28)의 폭에 비하여 클 경우에는 90도 회전시켜서 조립하여 고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락킹돌부(36)는 본 고안에서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원형, 타원,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락킹공(30)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락킹몸체(34)의 측면 막음부(40)에는 좌우로 관통되어 연결 고리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리공(42)에는 다수의 미도시된 고리가 끼워져서 확장 설치될 수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와 우측 세로 지지판(104)이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단 받침 선반부(108)가 결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와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락킹부재(110)가 각각 결합 고정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우측 세로 지지판(104)이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와 상기 상단 받침 선반부(108)와 조립 설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다용도 조립식 선반(100)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다용도 조립식 선반(100)은 다양하게 물품을 수납할수 있고 3단 이상의 높은 다단으로 적층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도 조립식 선반(100)의 양측면부에서 다수의 락킹부재(100)가 결합 고정됨으로써 고층의 조립식 선반(100)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식 선반(100)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과 우측 세로 지지판(104)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 경계부(112)가 형성되는바, 상기 결합 경계부(112)는 상방으로 적층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측면으로 작용하는 힘이나 흔들림에는 매우 취약하므로 상기 락킹부재(100)가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를 고정함과 동시에 측면부에서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측면 막음부(40)가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락킹부재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기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외측면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의 락킹공(30)에 상기 락킹부재(110)의 락킹돌부(36)가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락킹부재(110)는 90도 회전된 상태로서 상기 락킹몸체(34)가 상기 회전하여 락킹몸체(34)의 폭이 상기 락킹 결합홈(28)과 밀착되도록 끼워 맞춰져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재(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측면 막음부(40)는 상기 결합 경계부(112)를 측면의 넓으면이 넓게 분포되어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합 경계부(112)를 폭 넓게 밀착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조립식 선반(101)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는 좌측 지지판부(114), 세로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되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와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설치되는 우측 지지판부(116),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와 우측 지지판부(116)의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반부(118) 및 상기 선반부(118)를 외측면부에서 고정하는 락킹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우측 지지판부(116)는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와 마주부도록 대칭으로 세워진다.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와 우측 지지판(116)의 상단부에는 선반부(118)가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의 좌측 외부면과 상기 우측 지지판부(116)의 우측 외부면에는 다수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락킹부재(11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락킹부재(110)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판부(114,116)의 외측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바,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판부(114,116)에 대해서 수직하게 결합 고정되어 있으나 다단으로 적층시 상기 선반부(118)의 좌우 흔들림 현상과 측면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좁은공간의 제약을 피하기 위해 상기 락킹부재(110)는 90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는 평판형상의 지지몸체(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몸체(44)의 하단부에는 하방향 양측으로 분기되는 받침 결합돌부(46,4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 결합돌부(46,47)의 외측부에는 받침 결합홈부(48,49)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 결합돌부(46,47)의 중간부분에는 라운드형상으로 오목한 손잡이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44)의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층돌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돌부(52)의 양측부에는 하방향으로 계단식으로 굴절되어 단차가 형성된 적층홈부(54,55)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44)에는 좌우측 방향으로 관통하고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공(5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44)의 중앙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사각형상의 확장공(58)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공(58)은 다양한 물품을 걸수 있도록 물품걸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56)에는 상기 선반부(118)가 결합 설치되는바, 상기 선반부(118)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선반몸체(60)가 형성되고 상기 선반몸체(60)의 좌우 양측면부에는 제1 결합돌부(6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돌부(62)의 후부에는 제2 결합돌부(6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돌부(62) 및 제2 결합돌부(64)의 사이에는 락킹홈(66)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돌부(64)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락킹부재(110)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사각형상의 락킹공(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지지판부(114)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우측 지지판부(116)가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와 대칭으로 세워지되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와 상기 우측 지지판부(116)를 서로 연결하도록 선반부(118)가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측 지지판부(114)와 우측 지지판부(116)의 외측면부에 돌출되는 제2 결합돌부(64)의 락킹공(30)에 상기 락킹부재(110)의 락킹돌부(36)가 상방향에서 하방으로 결합 고정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선반이 수납박스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박스(2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박스(200)의 상부에 상기 조립식 선반(101)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수납박스(200)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조립식 선반(101)의 좌측 지지판부(114)와 우측 지지판부(116)에 형성된 손잡이부(50)와 일치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조립식 선반(101)을 상기 수납박스(200)의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조립식 선반(101)이 내측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조립식 선반(101)의 손잡이부(50)가 상기 수납박스(200)의 관통되서 형성된 손잡이와 일치하도록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조립식 선반(101)은 물품을 수납하고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한 수납박스(200)와 결합하여 이동선과 운반성이 우수하고 조립식 선반을 해체하여 수납박스(101)에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으며, 결합시에는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지지몸체 12 : 받침대
14 : 결합홈 16 : 하부 결합공
18 : 상부 결합공 20 : 결합부
22 : 받침몸체 24 : 제1 결합돌부
26 : 제2 결합돌부 28 : 락킹 결합홈
30 : 락킹공 32 : 슬릿
34 : 락킹몸체 36 : 락킹돌부
38 : 락킹홈 40 : 측면 막음부
42 : 연결 고리공 44 : 지지몸체
46,47 : 받침대 48,49 : 수납박스 결합부
50 : 손잡이부 52 : 적층돌부
54,55 : 적층 결합부 56 : 결합공
58 : 확장공 60 : 선반몸체
62 : 제1 결합부 64 : 제2 결합부
66 : 락킹홈 68 : 확장슬릿
100 : 조립식 선반 102 : 좌측 세로 지지판
104 : 우측 세로 지지판 106 : 하단 받침 선반부
108 : 상단 받침 선반부 110 : 락킹부재
112 : 결합 경계부 114 : 좌측 지지판부
116 : 우측 지지판부 118 : 선반부
200 : 수납박스

Claims (4)

  1.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양측으로 분기되는 받침대(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2)의 가운데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가로방향의 하부 결합공(16) 및 상부 결합공(18)이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부(20)가 형성된 지지몸체(10)로 형성되는 좌측 세로 지지판(102) 및 우측 세로 지지판(104)과;
    상기 좌측 세로 지지판(102) 및 우측 세로 지지판(104)의 하부 결합공(16) 및 상부 결합공(18)에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몸체(22)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는 제1 결합돌부(24) 및 제2 결합돌부(2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돌부(24)와 제2 결합돌부(26)의 사이에 락킹 결합홈(28)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돌부(26)에는 락킹공(30)이 각각 형성되는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와;
    상기 하부 결합공(16)과 상부 결합공(18)에 결합되는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제2 결합돌부(26)의 락킹공(30)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락킹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110)는,
    평판형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락킹몸체(34)와;
    상기 락킹몸체(34)의 전부에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락킹돌부(36)와;
    상기 락킹몸체(34)의 하부에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 막음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몸체(10)의 하부 결합공(16) 및 상부 결합공(18)에 결합되는 상기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제2 결합돌부(26)의 락킹공(30)에 고정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는 하단 받침 선반부(106) 및 상단 받침 선반부(108)의 측면방향으로의 힘에 대응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락킹몸체(34)는 평판형상의 일중간부에 락킹홈(38)이 형성되어 일측부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폭이 상기 락킹 결합홈(28)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10001874U 2021-06-16 2021-06-16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KR200497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74U KR200497137Y1 (ko) 2021-06-16 2021-06-16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74U KR200497137Y1 (ko) 2021-06-16 2021-06-16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95U KR20220002995U (ko) 2022-12-23
KR200497137Y1 true KR200497137Y1 (ko) 2023-08-07

Family

ID=8453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74U KR200497137Y1 (ko) 2021-06-16 2021-06-16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3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6022A (en) 1997-08-02 2000-10-03 KR--Porsiplast Verpackungssysteme GmbH Component shelf system
KR100881781B1 (ko) 2007-07-19 2009-02-09 주식회사 투렉스 선반의 다단 적층구조
US7533940B1 (en) 2007-05-01 2009-05-19 Zook Jimmy D Convertible storage box assembly
KR101378815B1 (ko) 2013-03-05 2014-03-28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수납 구조물
US10130893B2 (en) 2014-11-18 2018-11-20 Christian G. Heston Interlocking toy struct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2389A (en) * 1977-01-28 1978-04-04 Stewart Glenn M Collapsible camp supply unit
KR20110016753A (ko) 2009-08-12 2011-02-18 성원제이에스(주) 진열대용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6022A (en) 1997-08-02 2000-10-03 KR--Porsiplast Verpackungssysteme GmbH Component shelf system
US7533940B1 (en) 2007-05-01 2009-05-19 Zook Jimmy D Convertible storage box assembly
KR100881781B1 (ko) 2007-07-19 2009-02-09 주식회사 투렉스 선반의 다단 적층구조
KR101378815B1 (ko) 2013-03-05 2014-03-28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수납 구조물
US10130893B2 (en) 2014-11-18 2018-11-20 Christian G. Heston Interlocking toy struct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95U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1107B1 (en) Foldable shelf assembly
US9456688B2 (en) Modular storage and work station
ES2905897T3 (es) Mesa con tablero encajable
US7424958B1 (en)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for articles
US9538846B2 (en) Shelving system and shelf for same
US7195125B1 (en) Wine bottle supports
US4942967A (en) Bottle rack component and assembly
US8020497B2 (en) Two-tiered, interlocking, knockdown furniture
US4095858A (en) Book case apparatus
US2526246A (en) Self-locking structure
US10709238B1 (en) Shelf system improvements
US20180146777A1 (en) Modular food product display stand
US4763579A (en) Modular shelving system
JPH08224149A (ja) 多面型ディスプレスタンド組立体
US4403701A (en) Expansible rack for locker baskets and garment storage
KR200497137Y1 (ko) 적층이 가능한 다용도 조립식 선반
JP6313596B2 (ja) 組立式ブロック構造に用いられるロック解除具
US4546883A (en) Portable wine rack
US3347186A (en) Nestable supports
US6321921B1 (en) Foldable and stackable rack
US11109678B2 (en) Collapsible hanging shelf
US7083057B1 (en) Article organizer assembly
US4628625A (en) Adjustable knockdown tray assembly
US3480154A (en) Collapsible sorting trays
KR20230060122A (ko) 가변 조립식 다용도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