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258A -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 Google Patents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258A
KR20220004258A KR1020200081856A KR20200081856A KR20220004258A KR 20220004258 A KR20220004258 A KR 20220004258A KR 1020200081856 A KR1020200081856 A KR 1020200081856A KR 20200081856 A KR20200081856 A KR 20200081856A KR 20220004258 A KR20220004258 A KR 20220004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unit
clothes
dust removal
remov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엽
이동훈
김진민
강태경
허성환
박일송
김효성
이경수
백인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258A/ko
Publication of KR2022000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5/00Washing machines having beating, rubbing or squeezing means in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의 내부에 타격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러한 타격부를 통해 의류에 직접 물리적인 타격을 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고, 의류가 걸려있는 걸이부가 정지된 상태에서 의류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부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DUST REMOVING MODULE AND CLOTHES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의 내부에 타격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러한 타격부를 통해 의류에 직접 물리적인 타격을 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고, 의류가 걸려있는 걸이부가 정지된 상태에서 의류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부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청정기는 의류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 내로 물을 분사하여 의류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거나, 건조 공기를 분사하여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처리 공간 내로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의류 청정기의 경우 처리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별도의 순환 유로를 따라 순환시킨 후 다시 처리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되, 이러한 순환 유로 상에 별도의 히트 펌프를 구비해서 공기를 가열한 후 처리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28313호는 종래의 의류 청정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의류 청정기는 처리 공간 내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지지바를 구비하고, 지지바에는 고리수용홈이 형성되어 의류가 걸쳐지는 옷걸이의 고리가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옷걸이가 걸린 상태에서 지지바가 왕복 운동하게 되면 의류가 흔들리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의류에 묻은 먼지들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옷걸이가 관성에 의해 지지바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과정에서 의류가 함께 흔들리면서 먼지가 의류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나, 먼지의 정전기적 특성 등으로 인해 먼지 제거 효과가 미미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지지바가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옷걸이와 이에 걸린 의류도 관성에 의해 함께 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지지바와 옷걸이가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호 공진이 발생하게 되면 진동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많은 사용자 불만이 제기되는 문제가 있다.
주식회사 하나마이크로텍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43910호에 개시된 이불 살균 및 먼지 제거장치에 의하면 의류나 이불 및 타올 등이 수용된 수용 공간 내부에 일측에 타격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의 외부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타격 장치는 의류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격하게 되므로 의류의 타측에 붙어 있는 먼지는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타격 장치를 이용해서 강하게 타격할 경우 의류의 타측에 붙어 있는 먼지까지 제거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강하게 타격할 경우 의류가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타격 장치는 캠 구동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해서 털이 봉이 의류를 타격하도록 구성되나, 이와 같은 구조는 부피가 커서 콤팩트화 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정순규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113560호에 개시된 침구와 의류용 살균 및 건조장치에 의하면 하부케이스의 고정브라켓에 타격봉을 설치해서 이동하는 의류 및 침구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먼지 등을 털어내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러한 타격 봉은 이동하는 의류의 일측에 구비되어 의류의 타측에 붙어 있는 먼지는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타격 봉을 의류의 양측에 구비할 경우 장치의 부피가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어 콤팩트화 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2831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4391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113560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의 내부에 타격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러한 타격부를 통해 의류에 직접 물리적인 타격을 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고, 의류가 걸려있는 걸이부가 정지된 상태에서 의류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부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타격부에 구비된 타격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의류의 내부를 타격하게 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되고, 타격 부재의 회전 각도,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걸이부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타격 부재가 구비되어 여러 벌의 의류에 대해 동시에 먼지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타격 부재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의 무게에 따라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걸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타격 부재가 구비되어 한 벌의 의류에 대해 넓은 면적을 동시에 타격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타격 부재의 양단에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 바가 구비되어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타격 위치를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의류의 내부에 타격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러한 타격부를 통해 의류에 직접 물리적인 타격을 가해서 먼지를 분리함과 동시에 공기 유동부를 이용해서 분리된 먼지가 제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고, 의류가 걸려있는 걸이부가 정지된 상태에서 의류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부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타격부의 동작 속도와 공기 유동부의 동작 속도가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과 전력 소비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구동부가 별도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의류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가 걸리는 암 부재와, 상기 암 부재를 고정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에 연결되되, 상기 의류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가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해서 상기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전달 부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일 방향과 타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의 내부를 타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제1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를 1차 타격한 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의류를 1차 타격한 후에 상기 제1 각도의 두 배 만큼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를 2차 타격한 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타격 부재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제1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를 1차 타격한 후에 제2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추가 회전하면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제1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속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제2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추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감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걸이부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타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타격 부재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타격 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를 타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호 교번하여 배치되는 상기 타격 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는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 부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상기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무게에 비례해서 상기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걸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타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타격 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어하되, 상호 인접한 상기 타격 부재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타격 부재의 양단에는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 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바는 상기 타격 부재 회전 시 상기 타격 부재의 양단에 형성되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장 바의 연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전달 부재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걸이부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전달 부재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걸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의류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유동부; 상기 처리 공간에 배치되어 의류가 걸리는 암 부재와, 상기 암 부재를 고정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에 연결되되, 상기 의류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가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공기 유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해서 상기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부에는 공기 흐름 생성을 위한 송풍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부의 동작 속도에 비례해서 상기 송풍 부재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부의 동작 초기에는 상기 타격부와 상기 공기 유동부의 동작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타격부와 상기 공기 유동부의 동작 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는 상기 처리 공간과 구획된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에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의 내부에 타격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러한 타격부를 통해 의류에 직접 물리적인 타격을 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고, 의류가 걸려있는 걸이부가 정지된 상태에서 의류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부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타격부에 구비된 타격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의류의 내부를 타격하게 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되고, 타격 부재의 회전 각도,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걸이부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타격 부재가 구비되어 여러 벌의 의류에 대해 동시에 먼지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타격 부재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의 무게에 따라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걸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타격 부재가 구비되어 한 벌의 의류에 대해 넓은 면적을 동시에 타격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타격 부재의 양단에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 바가 구비되어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타격 위치를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의류의 내부에 타격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러한 타격부를 통해 의류에 직접 물리적인 타격을 가해서 먼지를 분리함과 동시에 공기 유동부를 이용해서 분리된 먼지가 제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제고하고, 의류가 걸려있는 걸이부가 정지된 상태에서 의류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부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타격부의 동작 속도와 공기 유동부의 동작 속도가 상호 연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과 전력 소비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구동부가 별도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의류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이 구비된 의류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 부재가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 부재가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타격 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타격 부재가 교번하여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 부재가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회전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회전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이 구비된 의류 청정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이 구비된 의류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x 방향은 걸이부의 길이 방향이고, y 방향은 걸이부의 폭 방향이며, z 방향은 걸이부의 높이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후술하는 하우징부(5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부(500)의 내부에는 먼지 제거 모듈과 의류(10)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510)이 형성된다. 하우징부(500) 내부의 처리 공간(510)을 개폐하도록 도어(5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530)에는 먼지 제거 모듈의 동작을 위한 제어 버튼(53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10)가 걸리는 걸이부(100)와, 이러한 걸이부(100)에 연결되어 의류(10)를 타격하는 타격부(200)와, 타격부(200)가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및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걸이부(100)에는 의류(10)가 걸리는 암 부재(120)와, 이러한 암 부재(120)를 고정하는 연결 부재(110)가 구비된다. 암 부재(120)는 에어샷 기능이 있는 에어샷 옷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샷 옷걸이는 중공 형상으로서 옷걸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역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 부재(120)에는 에어샷이 토출되는 에어샷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샷 토출구는 역 Y자 형상의 양측 말단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한 쌍이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는 공기 유동부(600)에 구비된 송풍 부재(610)가 동작하게 되면 공기 흐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공기가 암 부재(120)를 통과하여 에어샷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0)는 암 부재(120)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통 고정하게 된다. 암 부재(12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면 걸려 있는 의류(10) 내부의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을 제거하고 주름을 개선할 수 있게 되며, 만일 의류(10)가 걸려있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하우징부(500)에 형성된 처리 공간(510)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서 처리 공간(510)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제거 모듈을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부(500)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1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먼지 제거 모듈은 이러한 지지 프레임(14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타격부(200)에는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210)와, 이러한 전달 부재(21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해서 의류(10)를 타격하는 타격 부재(220)가 구비된다. 타격 부재(220)가 의류(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의류(10)를 타격하면서 의류(10)에 붙어있는 먼지를 분리하게 되고, 이와 같이 분리된 먼지는 전술한 에어샷을 이용한 공기 흐름과 함께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거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타격 부재(220)는 암 부재(12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암 부재(120)에 의류(10)를 걸게 되고, 암 부재(120)에 의류(10)가 걸리고 난 후 먼지 제거 모듈이 동작하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부재(220)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의류(10)에 물리적인 타격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타격 부재(22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만큼만 반복 회전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도 4의 (c)에 도시된 만큼 반복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타격부(200)를 이용해서 의류(10)에 물리적인 타격을 직접 인가함으로써 정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먼지의 경우에도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먼지 제거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타격부(200)를 통해 물리적인 타격을 인가하는 과정에서도 의류(10)가 걸려있는 걸이부(10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타격부(200)만 동작하게 되므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 부재가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타격 부재(220)가 전달 부재(21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일 방향(a)과 타 방향(b)을 따라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의 내부를 타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격 부재(220)가 일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되면 타격 부재(220)의 일단이 의류(10)의 내면 일측을 타격함과 동시에 타격 부재(220)의 타단이 의류(10)의 내면 타측을 타격하게 된다. 이후 타격 부재(220)가 타 방향(b)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전과는 반대로 타격 부재(220)의 일단이 의류(10)의 내면 타측을 타격함과 동시에 타격 부재(220)의 타단이 의류(10)의 내면 일측을 타격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타격 부재(220)가 전달 부재(2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의류(10)에 물리적인 타격이 가능하게 되므로 먼지 제거 모듈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타격 부재(220)가 제1 각도(α) 만큼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1차 타격한 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타격 부재(220)가 제1 각도(α) 만큼 일 방향(a)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타격 부재(220)의 회전 속도가 가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타격 부재(220)가 의류(10)에 인가할 수 있는 충격량이 증가하게 되어 먼지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격 부재(220)가 제1 각도(α) 만큼 회전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한 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하게 되면 관성력이 극대화되어 먼지 제거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타격 부재(220)가 의류(10)를 1차 타격한 후에 제1 각도(α)의 두 배 만큼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2차 타격한 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하되, 타격 부재(220)가 일 방향(a) 또는 타 방향(b)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먼지 제거 모듈의 최초 동작 시에는 타격 부재(220)가 암 부재(120)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타격 부재(220)가 일 방향(a)으로 가속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1차 타격 시에는 제1 각도(α) 만큼만 타격 부재(220)가 가속될 수 있으나, 타격 부재(220)가 2차 타격을 위해 타 방향(b)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도(α)의 두 배 만큼 가속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충격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먼지를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타격 부재(220)는 2차 타격 이후에 3차 타격을 위해 다시 일 방향(a)으로 가속되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2차 타격 이후부터는 타격 부재(220)가 제1 각도(α)의 두 배 만큼 가속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먼지가 더욱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격 부재(220)가 의류(10)를 타격한 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관성력을 극대화해서 먼지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 부재가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타격 부재(220)가 제1 각도(α) 만큼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1차 타격한 후에 제2 각도(β) 만큼 일 방향(a)으로 추가 회전하면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타격 부재(220)가 제1 각도(α) 만큼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1차 타격한 상태에서 타격 부재(220)를 바로 정지시키지 않고, 제2 각도(β) 만큼 일 방향(a)으로 추가 회전시킨 후에 정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타격 부재(2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00)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타격 부재(220)가 제1 각도(α) 만큼 일 방향(a)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속되도록 제어하고, 타격 부재(220)가 제2 각도(β) 만큼 일 방향(a)으로 추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감속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타격 부재(220)가 제1 각도(α) 만큼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가속된 상태에서 의류(10)를 타격하게 되므로 충격량이 증가하게 되어 먼지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타격 부재(220)가 제2 각도(β) 만큼 일 방향(a)으로 추가 회전하면서 감속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므로 구동부(300)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타격 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타격 부재가 교번하여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200)에는 걸이부(100)의 폭 방향(y)을 따라 복수 개의 타격 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걸이부(100)에는 의류(10)가 걸리는 암 부재(120)도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타격 부재(220)는 이러한 각각의 암 부재(120)에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는 각각의 암 부재(120)를 이용해서 복수 벌의 의류(10)를 걸어 둔 상태에서 동시에 먼지 제거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각각의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타격 부재(22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우징부(500) 내부에 형성되어 의류(10)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510)의 크기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처리 공간(510)에 복수 개의 암 부재(120)와 타격 부재(220)가 구비된 상태에서 각각의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동작할 경우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타격 부재(220)의 파손 뿐만 아니라 의류(10)의 훼손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동작하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각각의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1차 타격하고, 이후 각각의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2차 타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타격 부재(220)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먼지 제거 모듈의 안정적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 벌의 의류(10)에 대해서 먼지를 제거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상호 교번하여 배치되는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걸이부(100)의 폭 방향(y) 좌측에서 우측 방향을 따라 제1 암 부재와 제1 타격 부재, 제2 암 부재와 제2 타격 부재, 제3 암 부재와 제3 타격 부재라고 지칭할 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타격 부재(홀수 번째 타격 부재)가 동시에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1차 타격하고, 이러한 제1 및 제3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2차 타격하게 되면 제1 및 제3 타격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이와 같이 제1 및 제3 타격 부재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격 부재(짝수 번째 타격 부재)가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1차 타격하고, 이러한 제2 타격 부재가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2차 타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타격 부재(220)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먼지 제거 모듈의 안정적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호 교번하여 배치되는 타격 부재(220)만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부(100)에는 의류(10)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부재(130)가 더 구비되고, 제어부(400)는 무게 감지 부재(130)를 통해 입력되는 의류(10)의 무게에 따라 타격 부재(220)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걸이부(100)에 걸려 있는 의류(10)가 여름철에 입는 얇은 소재의 의류(10)와 같이 무게가 가벼운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타격을 통해서도 의류(10)가 물리적인 타격을 받으면서 먼지가 분리될 수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겨울철에 입는 두꺼운 소재의 의류(10)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의류(10)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타격을 의류(10) 자체가 흡수하게 되므로 큰 크기의 타격을 인가할 필요가 있게 된다. 다만, 타격 부재(220)가 큰 크기의 타격만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무게가 무거운 의류(10)는 문제가 없지만, 무게가 가벼운 의류(10)는 지나치게 큰 타격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면서 의류(10)가 훼손될 수 있고, 타격 부재(220) 동작 시 소모되는 전력 소모량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게 감지 부재(130)를 통해 걸이부(100)에 걸려 있는 의류(10)의 무게를 감지하게 되면 이러한 의류(10)의 무게에 따라 타격 부재(220)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해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10)의 훼손도 방지하고, 더 나아가 타격 부재(220) 동작 시 소모되는 전력 소모량도 감소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의류(10)의 무게에 비례해서 타격 부재(22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게가 가벼운 얇은 소재의 의류(10)는 작은 크기의 타격을 가할 필요가 있으므로 타격 부재(22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서 물리적인 타격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구성하고, 무게가 무거운 두꺼운 소재의 의류(10)는 큰 크기의 타격을 가할 필요가 있으므로 타격 부재(22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서 물리적인 타격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타격 부재(220)를 통해 인가되는 물리적인 타격의 크기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200)에는 걸이부(100)의 높이 방향(z)을 따라 복수 개의 타격 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타격 부재(220)가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더라도 한 벌의 의류(10)에 대해서 넓은 면적을 타격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복수 개의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타격 부재(220)가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한 후에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는, 제어부(400)는, 각각의 타격 부재(220)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어하되, 상호 인접한 타격 부재(220)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걸이부(100)의 높이 방향(z)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따라 제1 타격 부재, 제2 타격 부재, 제3 타격 부재라고 지칭할 때, 제1 및 제3 타격 부재(홀수 번째 타격 부재)가 동시에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1차 타격할 때 제2 타격 부재(짝수 번째 타격 부재)는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1차 타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후 제1 및 제3 타격 부재는 동시에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2차 타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타격 부재는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2차 타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홀수 번째 타격 부재와 짝수 번째 타격 부재가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하게 되면 의류(10)가 비틀리면서 물리적인 타격이 인가되므로 먼지가 더욱 쉽게 분리될 수 있고, 홀수 번째 타격 부재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과 짝수 번째 타격 부재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호 상쇄되면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 부재가 회전하면서 의류를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 부재(220)의 양단에는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 바(2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연장 바(221)를 이용해서 타격 부재(220) 회전 시 의류(10)를 타격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위치에서의 먼지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연장 바(221)는 타격 부재(220) 회전 시 타격 부재(220)의 양단에 형성되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장 바(221)의 길이 변경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타격 부재(220)의 회전 시 양단에 형성되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연장 바(221)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으며, 고장 우려가 적어서 장기간 동안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제어부(400)는, 연장 바(221)의 연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타격 부재(220)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바(221)는 타격 부재(220) 회전 시 양단에 형성되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길이가 변경되며, 원심력은 회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타격 부재(220)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만으로도 연장 바(221)의 길이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회전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회전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0)에는 전달 부재(210)에 연결되는 회전축(310)이 구비되되, 회전축(310)은 걸이부(100)의 높이 방향(z)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이 걸이부(100)의 높이 방향(z)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부(300)의 동작에 따라 회전축(310)이 회전하게 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부재(220)가 이러한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일 방향(a) 또는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0)에는 전달 부재(210)에 연결되는 회전축(310)이 구비되되, 회전축(310)은 걸이부(100)의 길이 방향(x)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이 걸이부(100)의 길이 방향(x)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부(300)이 동작에 따라 회전축(310)이 회전하게 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부재(220)가 걸이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진자 운동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격 부재(220)가 진자 운동하면서 의류(10)를 타격하도록 구성하면 타격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먼지가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이 구비된 의류 청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의류(10)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510)이 형성된 하우징부(500)와, 이러한 하우징부(5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유동부(6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500)는 의류 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부(500)의 전방에는 도어(53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도어(530)를 개방하여 하우징부(500) 내부에 형성된 처리 공간(510)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어(530)에는 제어 버튼(531)이 구비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제어 버튼(531)을 이용해서 의류 청정기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도어(530)에는 현재의 작동 상태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530)는 하프 미러(half-mirro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 시 처리 공간(510) 내부에 위치한 의류(10)를 사용자에게 그대로 보여줄 수 있으면서도, 경우에 따라 거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10)를 입은 상태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공기 유동부(600)는 하우징부(500) 내부에 공기 흐름을 생성하여 의류(10)로부터 분리된 먼지 등을 제거하고,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공기 유동부(600)에는 온습도 조절부재(620)가 구비되어 하우징부(500) 내부에 자연가습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부(500) 내부의 처리 공간(510)에는 의류가 걸리는 암 부재(120)와, 암 부재(120)를 고정하는 연결 부재(110)가 구비되는 걸이부(100)와, 걸이부(100)에 연결되되, 의류(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부(200)와, 타격부(200)가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및 공기 유동부(600)와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타격부(200)에는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210)와, 이러한 전달 부재(21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해서 의류(10)를 타격하는 타격 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부(600)에는 공기 흐름 생성을 위한 송풍 부재(610)가 구비되고, 제어부(400)는 타격부(200)의 동작 속도에 비례해서 송풍 부재(61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타격부(200)의 동작 속도와 송풍 부재(610)의 회전 속도를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공기 유동부(600)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제어부(400)는, 타격부(200)의 동작 초기에는 타격부(200)와 공기 유동부(600)의 동작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타격부(200)와 공기 유동부(600)의 동작 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걸이부(100)에 의류를 걸어서 투입한 초기에는 다량의 먼지가 발생하게 되므로 타격부(200)와 공기 유동부(600)의 동작 속도를 증가시켜서 먼지를 빠르게 제거(급속 제거 과정)하고, 일정 시간 이후에는 타격부(200)와 공기 유동부(600)의 동작 속도를 감소시켜서 먼지를 지속적으로 제거(지속 제거 과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500)의 상부에는 처리 공간(510)과 구획된 이격 공간(520)이 형성되고, 이러한 이격 공간(520)에는 구동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만일 구동부(300)가 처리 공간(510) 내부에 배치되면 이러한 구동부(300)로 인해 먼지 제거 모듈의 부피가 증가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의류(10)를 투입할 때 불편함으로 느낄 수 있고, 투입될 수 있는 의류(10)의 크기나 수량도 제한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공간(510)과 구획된 별도의 이격 공간(520)에 구동부(300)를 배치하면 먼지 제거 모듈의 부피가 감소하게 되어 처리 공간(510)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10)를 편하게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될 수 있는 의류(10)의 크기나 수량도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는 의류(10)의 내부에 타격부(2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이러한 타격부(200)를 통해 의류(10)에 직접 물리적인 타격을 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먼지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고, 의류(10)가 걸려있는 걸이부(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의류(10)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부(200)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의류(10)를 타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의류 100 : 걸이부
110 : 연결 부재 120 : 암 부재
130 : 무게 감지 부재 140 : 지지 프레임
200 : 타격부 210 : 전달 부재
220 : 타격 부재 221 : 연장 바
300 : 구동부 310 : 회전축
400 : 제어부 500 : 하우징부
510 : 처리 공간 520 : 이격 공간
530 : 도어 531 : 제어 버튼
600 : 공기 유동부 610 : 송풍 부재
620 : 온습도 조절부재
a : 일 방향 b : 타 방향
x : 걸이부의 길이 방향 y : 걸이부의 폭 방향
z : 걸이부의 높이 방향
α : 제1 각도 β : 제2 각도

Claims (22)

  1. 의류가 걸리는 암 부재와, 상기 암 부재를 고정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에 연결되되, 상기 의류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가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해서 상기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전달 부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일 방향과 타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의 내부를 타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제1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를 1차 타격한 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의류를 1차 타격한 후에 상기 제1 각도의 두 배 만큼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를 2차 타격한 후에 정지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타격 부재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제1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를 1차 타격한 후에 제2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추가 회전하면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제1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속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제2 각도 만큼 일 방향으로 추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감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걸이부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타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타격 부재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타격 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의류를 타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호 교번하여 배치되는 상기 타격 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는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 부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상기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무게에 비례해서 상기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걸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타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타격 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어하되,
    상호 인접한 상기 타격 부재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부재의 양단에는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 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바는 상기 타격 부재 회전 시 상기 타격 부재의 양단에 형성되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장 바의 연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타격 부재의 회전 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전달 부재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걸이부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전달 부재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걸이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19. 의류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유동부;
    상기 처리 공간에 배치되어 의류가 걸리는 암 부재와, 상기 암 부재를 고정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에 연결되되, 상기 의류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가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공기 유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에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해서 상기 의류를 타격하는 타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부에는 공기 흐름 생성을 위한 송풍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부의 동작 속도에 비례해서 상기 송풍 부재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격부의 동작 초기에는 상기 타격부와 상기 공기 유동부의 동작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타격부와 상기 공기 유동부의 동작 속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는 상기 처리 공간과 구획된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에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기.
KR1020200081856A 2020-07-03 2020-07-03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KR20220004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56A KR20220004258A (ko) 2020-07-03 2020-07-03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56A KR20220004258A (ko) 2020-07-03 2020-07-03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58A true KR20220004258A (ko) 2022-01-11

Family

ID=7935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856A KR20220004258A (ko) 2020-07-03 2020-07-03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2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5058A (zh) * 2023-08-28 2023-11-17 南通亿仕得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医用消毒装置
WO2024101971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560A (ko) 2007-06-25 2008-12-31 정순규 침구와 의류용 살균 및 건조장치
KR20100043910A (ko) 2008-10-21 2010-04-29 (주)하나마이크로텍 이불 살균 및 먼지 제거장치
KR20200028313A (ko) 2018-09-06 2020-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560A (ko) 2007-06-25 2008-12-31 정순규 침구와 의류용 살균 및 건조장치
KR20100043910A (ko) 2008-10-21 2010-04-29 (주)하나마이크로텍 이불 살균 및 먼지 제거장치
KR20200028313A (ko) 2018-09-06 2020-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971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7065058A (zh) * 2023-08-28 2023-11-17 南通亿仕得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医用消毒装置
CN117065058B (zh) * 2023-08-28 2024-04-12 南通亿仕得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医用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4258A (ko)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EP283906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JP5325001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KR101346678B1 (ko) 빨래 건조대
KR20130123655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85274A (ko) 먼지제거장치
US20150135476A1 (en) Vacuum Cleaning Apparatus
JP6098696B1 (ja) 衣類メンテナンス装置
JP2010082199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CN110409157A (zh) 一种毛纺织物抗起毛起球装置
KR20220055870A (ko)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KR100857380B1 (ko) 차량용 매트의 세척장치
KR20090083640A (ko) 먼지 털이 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치
JPH0673591B2 (ja) 布団類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90068429A (ko) 의류 처리 장치
JP545242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TWI725531B (zh) 洗衣烘衣機
JP4866821B2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JP5674612B2 (ja) 洗濯乾燥機
KR101528684B1 (ko) 먼지털이기
JP2010075216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JP6474553B2 (ja) 洗濯工場の床面清掃装置
CN113405184B (zh) 一种基于机器学习的智能机器人
KR102409890B1 (ko) 의류 관리기
KR20130000658U (ko) 의류 처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