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429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429A
KR20190068429A KR1020180148692A KR20180148692A KR20190068429A KR 20190068429 A KR20190068429 A KR 20190068429A KR 1020180148692 A KR1020180148692 A KR 1020180148692A KR 20180148692 A KR20180148692 A KR 20180148692A KR 20190068429 A KR20190068429 A KR 20190068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eccentric portion
axis
vibrati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301B1 (ko
Inventor
강형하
김재형
장세민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685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8910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301B1/ko
Priority to RU2020122219A priority patent/RU2741904C1/ru
Priority to CN202310545108.8A priority patent/CN116536899A/zh
Priority to AU2018380776A priority patent/AU2018380776B2/en
Priority to RU2021101442A priority patent/RU2021101442A/ru
Priority to EP18885041.6A priority patent/EP3722490A4/en
Priority to US16/957,866 priority patent/US11686039B2/en
Priority to CN201880088609.5A priority patent/CN111684122B/zh
Priority to PCT/KR2018/015555 priority patent/WO2019112386A1/ko
Publication of KR2019006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429A/ko
Publication of KR10230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8/091,659 priority patent/US2023013854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진동 바디; 상기 진동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 상기 진동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2편심부; 및 상기 진동 바디와 상기 행거 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진동 바디의 진동을 상기 행거 바디에 전달하는 행거 주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편심부 및 상기 제 2편심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서로 같은 각속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의 의류를 진동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춤으로써,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의류가 걸리는 옷걸이봉을 소정 방향으로 진동 운동(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옷의 구김을 펴는 기능을 발휘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
종래 기술에서 상기 옷걸이봉을 진동 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운동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도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불필요한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불필요한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옷걸이봉에 가해지는 상기 진동 운동 방향의 가진력을 효율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옷걸이봉의 진동수(주파수)를 변경시킬 경우에도 진폭이 유지되어, 제품에 무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주파수를 변경시키더라도 제품에 무리를 줄이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옷걸이봉이 진동 운동할 때, 다양한 진동수 및 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진동 운동 모션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처리 공간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모듈;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축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중심 축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행거모듈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듈은, 중심축에 수직한 모터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편심부와 반대방향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2편심부; 상기 모터를 지지하고, 상기 제 1편심부와 상기 제2편심부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 1회전축에 대한 상기 제 1편심부의 원심력과 상기 제 2회전축에 대한 상기 제 2편심부의 원심력으로,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진동 바디; 및 상기 진동바디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힘을 상기 행거모듈에 전달하는 행거주동부를 포함하여, 제1편심부와 제2편심부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힘으로 진동바디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진동바디의 회전력을 행거주동부가 행거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행거주동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회전축에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제 1편심부 및 상기 제 2편심부가 회전하는 제 1회전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에 상기 모터가 배치된다.
상기 제 1편심부와 상기 제 2편심부는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편심부와 상기 제 2편심부에 각각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 기어를 포함하여, 제1편심부와 제2편심부가 상하로 배치되고, 모터가 상하로 배치되는 제1편심부와 제2편심부에 베벨기어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편심부는 상기 제 2편심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편심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베벨 기어의 상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편심부의 상측면에는 상기 베벨 기어의 하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톱니부를 포함하여, 제1편심부와 제2편심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편심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무게 편심을 유도하며 회전하는 제 1웨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편심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무게 편심을 유도하며 회전하는 제 2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 1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상기 상기 제 1웨이트 부재의 무게 중심이 위치할 때, 상기 제 2웨이트 부재의 무게 중심은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 1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서 상기 제 1웨이트 부재의 무게 중심에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제1회전축과 중심축을 연결하는 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쇄할 수 있다.
상기 제 1편심부와 상기 제 2편심부 각각이 회전할 때, 상기 중심축와 상기 제 1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진동 바디에 작용하는 힘은 서로 상쇄되고,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 1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진동 바디에 작용하는 힘은 서로 보강된다.
일단이 상기 진동 모듈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 바디가 진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여, 진동바디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진동바디와 함께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행거주동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되어, 탄성부재가 진동바디의 운동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바디는, 상기 중심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 케이싱; 상기 제 1편심부 및 상기 제 2편심부를 수용하는 웨이트 케이싱; 상기 웨이트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회전축에 반대측의 원심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행거 주동부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 마운트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 마운트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이 걸림되어, 상기 진동 모듈이 회전 진동 운동을 할 때,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복원력을 전달받도록 배치되어, 탄성부재가 행거주동부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마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 안착부는 상기 행거주동부의 중심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안착부와 제 2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 모듈은, 상기 진동 모듈에 의해 진동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 상기 행거 주동부 및 상기 행거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진동바디와 함께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행거 주동부의 운동을 상기 진동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경하여 상기 행거 바디로 전달하는 행거 종동부를 더 포함하여, 행거주동부와 행거종동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행거 종동부는 상기 진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행거 주동부는 중심축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형성하여, 행거주동부의 회전운동을 행거 종동부가 직선운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3d는 도 1의 진동 모듈(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들로서, 도 2a 내지 도 2d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3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4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a 내지 도 3d의 진동 모듈(350, 450)의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a 내지 도 2d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350), 탄성 부재(360) 및 지지 부재(370)의 구조 예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로서, 외부 프레임(11b)을 제외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구조 예시의 상측 입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구조 예시에 따른 진동 모듈(350), 탄성 부재(360), 지지 부재(370), 및 행거 모듈(330)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행거 주동부(358) 및 행거 종동부(331b)를 라인 S4-S4’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구조 예시를 라인 S3-S3’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a 내지 도 3d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450), 탄성 부재(460) 및 지지 부재(470)의 구조 예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로서, 외부 프레임(11b)을 제외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조 예시의 상측 입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구조 예시에 따른 진동 모듈(450), 탄성 부재(460), 지지 부재(470), 및 행거 모듈(430)의 입면도와, 행거 주동부(458) 및 행거 종동부(431b)를 라인 S5-S5’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도 6 내지 도 12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외부의 바닥에 놓이거나 외부의 벽에 고정되는 프레임(1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10s)을 형성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에 공기, 스팀, 방향제 및 정전기 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20)를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모듈(30, 330, 430)을 포함한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50, 350, 450)을 포함한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행거 모듈(30, 330, 430)을 진동시킨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행거 모듈(30, 330, 430)이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는 탄성 부재(360, 46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360, 460)는, 진동 모듈(50, 350, 450)이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탄성 부재(360, 46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370, 47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70, 470)는 진동 모듈(50, 350, 450)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370, 470)는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공급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진동 모듈(50, 350, 450)의 동작 여부 및 동작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감지하는 의류 인식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외관을 형성한다. 프레임(10)은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 공간(10s)을 형성한다. 프레임(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프레임(11)과,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2)과, 후측면을 형성하는 리어 프레임(미도시)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11a)과,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11b)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프레임(11a)의 내측면은 처리 공간(10s)을 형성시킨다. 내부 프레임(11a)과 외부 프레임(11b) 사이에 배치 공간(11s)이 형성된다. 배치 공간(11s) 내에 진동 모듈(50, 350, 450)이 배치될 수 있다. 배치 공간(11s) 내에 탄성 부재(360, 460) 및 지지 부재(370, 470)가 배치될 수 있다.
처리 공간(10s)은, 의류에 공기(예를 들어, 열풍), 스팀, 방향제 및/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가해 의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변하도록 처리하는 공간이다. 예를 들어, 처리 공간(10s)에서, 의류에 열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하거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펴거나, 방향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향기가 나도록 처리하거나, 정전기 방지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의류 처리가 이루어진다.
처리 공간(10s) 내에 행거 모듈(30, 330, 43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처리 공간(10s) 내에 행거 바디(331, 431)가 배치된다. 처리 공간(10s)은 의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면은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5)가 닫히면 처리 공간(10s)은 외부와 격리되고, 도어(15)가 열리면 처리 공간(10s)은 외부로 노출된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순환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급부(20)는, 외부의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공급부(20)는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친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부(20)는 가열시킨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냉각시킨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부(20)는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은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부(20)는 공기에 스팀, 방향제 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첨가시켜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0a)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구(20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0a)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공기 토출구(20b)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20c)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공기를 가압하는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된 공기 및/또는 스팀은 처리 공간(10s) 내에 수용된 의류에 가해져 의류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열풍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주름이 펴지게 되고, 의류에 베어있는 냄새 분자가 스팀과 반응함으로써 불쾌한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부(20)에 의해 발생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의류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다.
도 1, 도 8, 도 9 및 도 12을 참고하여, 행거 모듈(30, 330, 430)은 처리 공간(10s)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된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된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진동 모듈(50, 350, 450)에 연결되어, 진동 모듈(50, 350, 450)의 진동을 전달받는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331, 4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행거 바디(331, 431)는 옷걸이가 걸리도록 걸림 홈(31a)을 형성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행거 바디(331, 431)는 옷을 직접 걸 수 있도록 후크(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행거 바디(331, 431)는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된다. 행거 바디(331, 431)는 행거 유동부(33) 및 행거 지지부(35)를 통해 프레임(10)과 연결될 수 있다. 행거 바디(331, 431)는 프레임(10)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행거 바디(331, 431)는 프레임(10)에 대해 소정의 진동 방향(+X, -X)으로 운동(진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행거 바디(331, 431)는 프레임(10)에 대해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할 수 있다. 행거 바디(331, 431)는 진동 모듈(50, 350, 450)에 의해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한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처리 공간(10s)의 상부에 매달린 채 왕복 운동한다.
행거 바디(331, 431)는 진동 방향(+X, -X)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바디(331, 431)의 상측면에 복수의 걸림 홈(31a)이 진동 방향(+X, -X)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걸림 홈(31a)은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행거 바디(331, 431)를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행거 유동부(33)를 포함한다. 행거 유동부(33)는 진동 방향(+X, -X)으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31, 431)가 운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31, 431)가 운동할 때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은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하단은 행거 바디(331, 431)에 고정된다. 행거 유동부(33)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은 행거 지지부(35)에 안착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지지부(35)와 행거 바디(331, 431)를 연결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가이드부(37)를 상하로 관통하며 배치된다. 행거 유동부(33)의 수평 단면의 진동 방향(+X, -X)의 길이가 진동 방향(+X, -X)에 수직한 방향(+Y, -Y)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행거 지지부(35)를 포함한다. 행거 지지부(35)는 행거 유동부(33)를 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행거 지지부(35)는 내부 프레임(11a)에 고정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부는 행거 지지부(35)에 걸림되어 매달릴 수 있다. 행거 지지부(35)는 수평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지지부(35)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 330, 430)은 행거 유동부(33)의 위치를 안내하는 행거 가이드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행거 가이드부(37)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행거 가이드부(37)의 상측면과 행거 유동부(33) 사이는 실링 처리될 수 있다. 행거 가이드부(37)의 하측부는 상측으로 함몰됨 홈을 형성되고,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가이드부(37)의 상기 상측으로 함몰된 홈 내에서 진동 방향(+X, -X)으로 유동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행거 모듈(30, 330, 430)과 연결되는 행거 주동부(358, 458)를 포함한다. 행거 바디(331, 431)는 행거 주동부(358, 458)와 연결되는 행거 종동부(331b, 431b)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행거 주동부(358) 및 행거 종동부(331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행거 주동부(358) 및 행거 종동부(331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후술할 중심축(Oc)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종동부(331b)는 상기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331bh)을 형성하고, 행거 주동부(358)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슬릿(331bh)에 삽입되는 돌기부(358a)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행거 종주동부는 상기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행거 종동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행거 주동부의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 돌기부(358a)는 중심축(Oc)과 평행하게 돌출된다. 돌기부(358a)는 후술할 소정의 연결축(Oh)을 따라 연장된다. 돌기부(358a)는 연결축(Oh) 상에 배치된다. 슬릿(331bh)은 행거 모듈(330)의 진동 방향(+X, -X)과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길게 형성된다. 돌기부(358a)는 슬릿(331bh)에 삽입된 채 중심축(Oc)를 기준으로 회전 시, 상기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슬릿(331bh)에 대해 돌기부(358a)가 상대 운동하면서, 행거 바디(331)는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도 8의 부분 단면도에는, 돌기부(358a)는 슬릿(331bh)에 삽입된 채로 소정 범위 내 호 운동(회전 운동)하는 방향이 화살표로 도시되고, 이에 따라 좌우 방향(+X, -X)으로 진동하는 행거 종동부(331b)의 이동 범위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12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행거 주동부(458) 및 행거 종동부(431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행거 주동부(458)는, 진동 바디(451) 및 행거 바디(431)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행거 주동부(458)는, 진동 바디(451)의 하측부 및 행거 바디(431)의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바디(451) 및 행거 바디(431)은 일체로 진동하게 된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 행거 주동부(458)는 중심축(Oc)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458)는 봉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458)는 후술할 소정의 연결축(Oh)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458)는 연결축(O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종동부(431b)는 상측이 개구된 케이싱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행거 주종동부(458431b)에 행거 주동부(458)가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458)의 상단은 진동 바디(451)에 고정되고 하단은 행거 종동부(431b)에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458)는 행거 종동부(431b)에 고정된 채 진동 바디(451)의 진동 방향(+X, -X) 왕복 운동 시, 행거 바디(431)는 진동 바디(451)과 일체로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도 12의 부분 단면도에는, 행거 주동부(458)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방향이 화살표로 도시되고, 이에 따라 좌우 방향(+X, -X)으로 진동하는 행거 종동부(431b)의 이동 범위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탄성 부재(360, 460)는, 진동 모듈(50, 350, 450)이 진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360, 460)는, 진동 바디(351, 451)가 진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360, 460)는 진동 모듈(50, 350, 450)이 소정 범위 내로 진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탄성 부재(360, 460)의 탄성력과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의 원심력이 종합되어 진동 모듈(50, 350, 450)의 진동 패턴(진폭 및 진동수)을 결정할 수 있다.
탄성 부재(360, 460)의 일단은 진동 모듈(50, 350, 4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370, 47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360, 460)는 스프링이나 테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70, 470)는 장력 스프링, 압축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360)는, 진동 모듈(3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360)는, 진동 바디(351)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360)는 진동 모듈(350)이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진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460)는, 진동 모듈(450)이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460)는, 진동 바디(451)가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460)는 진동 모듈(450)이 소정 거리 범위 내로 진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지지 부재(370, 470)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370, 470)는 내부 프레임(11a)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370, 470)는 탄성 부재(360, 46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70)는 진동 모듈(350)을 지지한다. 진동 모듈(350)은 내부 프레임(1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진동 모듈(350)은 지지 부재(370)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370)는 진동 모듈(350)이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370)는 진동 모듈(3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370)는 진동 모듈(3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370)는 진동 바디(351)를 지지한다. 진동 바디(351)는 지지 부재(370)에 의해 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470)는 진동 모듈(450)을 지지할 필요가 없다. 진동 모듈(450)은 행거 모듈(4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470)는 진동 모듈(4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470)는 진동 모듈(450)의 진동 방향(+X, -X)을 안내해줄 수 있다. 지지 부재(470)는 진동 모듈(450)이 소정 방향(+X, -X) 이외의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진동 모듈(50, 350, 450)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행거 바디(331, 431)를 운동(진동)시킨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행거 바디(331, 431)에 연결되어, 진동 모듈(50, 350, 450)의 진동을 행거 바디(331, 431)에 전달한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내부 프레임(11a)과 외부 프레임(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의 내부 프레임(11a)은 하측으로 함몰되어 배치 공간(11s)을 형성하고, 진동 모듈(50, 350, 450)은 배치 공간(11s)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처리 공간(10s)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행거 바디(331, 4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프레임(10)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진동 바디(351, 451)를 포함한다. 진동 바디(351, 451)는 진동 모듈(50, 350, 45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바디(351)는 소정의 중심축(Oc)이 기설정된다. 진동 바디(351)는 프레임(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 소정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지지 부재(370)는 진동 바디(3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진동 바디(351)는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 또는 지지 부재(370)는, 진동 바디(351)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진동 바디(351)와 접촉 가능한 리미트(limit)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탄성 부재(360)는, 진동 바디(351)가 회전함에 따라 탄성력이 커지고, 이에 의해 진동 바디(351)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바디(451)는 중심축(Oc)이 기설정되지 않는다. 진동 바디(451)는 행거 바디(431)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458)는 진동 바디(451)와 행거 바디(431)을 연결하여 서로 고정시킨다. 진동 바디(451)는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만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 또는 지지 부재(470)는, 진동 바디(451)의 왕복 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진동 바디(451)와 접촉 가능한 리미트(limit)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탄성 부재(460)는, 진동 바디(451)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력이 커지고, 이에 의해 진동 바디(451)의 이동(진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진동 바디(351, 451)는 모터(52)를 지지한다. 진동 바디(351, 451)는와 행거 주동부(358, 458)를는 서로 지지고정한된다. 진동 바디(351, 451)는 웨이트 샤프트(54)를 지지한다. 진동 바디(351, 451)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지지한다. 진동 바디(351, 451)는 내부에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수용할 수 있다.
진동 바디(351, 451)는 내부에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수용하는 웨이트 케이싱(51b)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케이싱(51b)은, 상측부를 형성하는 제 1파트(51b1)와, 하측부를 형성하는 제 2파트(51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파트(51b2)는 하측면과 둘레면을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제 1파트(51b1)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부를 덮어줄 수 있다. 상기 웨이트 케이싱(51b)의 상기 내부 공간에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웨이트 케이싱(51b)은 모터(52)와 결합될 수 있다. 웨이트 케이싱(51b)의 일측면에 모터축(52a)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2)는 진동 바디(351, 451)에 배치된다. 모터(52)는 회전하는 모터축(52a)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모터(52)는 회전자(로터)와 고정자(스테이터)를 포함하고, 모터축(52a)은 상기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축(52a)은 전달부(53)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모터축(52a)은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의 사이로 삽입되며 돌출된다. 모터축(52a)은 전달부(53)에 연결된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모터(52)의 회전력을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에 각각 전달하는 전달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53)는 진동 바디(351, 451)에 배치된다. 전달부(53)는 기어, 벨트 및/또는 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53)는, 모터축(52a)과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 기어(53a)를 포함한다. 베벨 기어(53a)는 모터축(52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한다. 모터축(52a)의 회전축을 따라 배치되는 가상의 직선을 가정할 때, 베벨 기어(53a)는 모터축(52a)의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상의 직선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가진 복수의 기어이를 구비한다. 베벨 기어(53a)는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의 사이에 배치된다.
전달부(53)는 베벨 기어(5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축(53g)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축(53g)는 웨이트 샤프트(54)에 지지될 수 있다. 전달축(53g)의 일단은 웨이트 샤프트(54)에 고정되고 타단은 베벨 기어(53a)의 중심에 삽입될 수 있다. 전달축(53g)은 웨이트 샤프트(54)의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전달축(53g)은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의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소정의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55)를 포함한다. 제 1편심부(55)는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어 회전하게 기설정된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소정의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2편심부(56)를 포함한다. 제 2편심부(56)는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어 회전하게 기설정된다. 제 1회전축(Ow1)과 제 2회전축(Ow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제 2회전축(Ow2)은 상기 제 1회전축(Ow1)과 동일하거나 평행하게 기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회전축(Ow1)과 제 2회전축(Ow2)이 서로 동일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회전축(Ow1)과 제 2회전축(Ow2)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편심부(55)의 원심력(F1) 및 제 2편심부(56)의 원심력(F2)이 서로 보강 및 상쇄를 반복하기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회전축(Ow1) 및 상기 제 2회전축(Ow2)은 서로 동일하다. 이를 통해, 제 1편심부(55)의 원심력(F1) 및 제 2편심부(56)의 원심력(F1)이 발생하는 작용점을 하나의 회전축(Ow1) 상에 위치하게 하여, 원심력(F1)과 원심력(F2)의 효율적인 보강 및 상쇄가 가능해지며, 원심력(F1)의 작용점과 원심력(F2)의 작용점 사이의 수평 거리차에 따른 국부적인 모멘트 하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은 모터(52)에 대해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편심부(55)는 진동 바디(351, 451)에 의해 지지된다. 제 1편심부(55)는 진동 바디(351, 451)에 배치된 웨이트 샤프트(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2편심부(56)는 진동 바디(351, 451)에 의해 지지된다. 제 1편심부(55)는 진동 바디(351, 451)에 배치된 웨이트 샤프트(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1편심부(55)는 전달부(53)와 접촉하여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회전부(55b)를 포함한다. 제 1회전부(55b)는 전달부(5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 1회전부(55b)는 전체적으로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회전부(55b)는 웨이트 샤프트(54)와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중심부(55b1)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4)는 중심부(55b1)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중심부(55b1)는 회전축(Ow1, Ow2)을 따라 연장된다. 중심부(55b1)는 회전축(Ow1, Ow2)을 따라 중앙 홀을 형성한다. 중심부(55b1)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회전부(55b)는 중심부(55b1)에 안착되는 주변부(55b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55b1)는 주변부(55b2)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주변부(55b2)는 전체적으로 회전축(Ow1, Ow2)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5b2)에는 제 1웨이트 부재(55a)가 안착되는 안착 홈(55b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5b3)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5b3)의 회전축(Ow1, Ow2)을 중심으로 한 원심 방향 측면은 막혀있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5b2)와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일체로 회전한다.
제 1편심부(55)는 베벨 기어(53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톱니부(55b4)를 포함한다. 톱니부(55b4)는 주변부(55b2)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톱니부(55b4)는 회전축(Ow1, Ow2)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다. 톱니부(55b4)는 회전축(Ow1, Ow2)에서 멀어질수록 상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가진다.
제 1편심부(55)는 제 1회전부(55b)에 고정되는 제 1웨이트 부재(55a)를 포함한다.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제 1회전부(55b)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제 1회전부(55b)에 비해 비중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제 1편심부(55)의 무게 편심을 유도한다.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전체적으로 밑면이 반원형인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제 1편심부(55)의 회전 중 임의의 시점에,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180도 이내의 각도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임의의 시점에,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180도의 범위에 배치된다.
제 2편심부(56)는 전달부(53)와 접촉하여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회전부(56b)를 포함한다. 제 2회전부(56b)는 전달부(5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제 2회전부(56b)는 전체적으로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회전부(56b)는 웨이트 샤프트(54)와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중심부(56b1)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4)는 중심부(56b1)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중심부(56b1)는 회전축(Ow1, Ow2)을 따라 연장된다. 중심부(56b1)는 회전축(Ow1, Ow2)을 따라 중앙 홀을 형성한다. 중심부(56b1)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회전부(56b)는 중심부(56b1)에 안착되는 주변부(56b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56b1)는 주변부(56b2)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주변부(56b2)는 전체적으로 회전축(Ow1, Ow2)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6b2)에는 제 2웨이트 부재(56a)가 안착되는 안착 홈(56b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6b3)은 하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6b3)의 회전축(Ow1, Ow2)을 중심으로 한 원심 방향 측면은 막혀있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6b2)와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일체로 회전한다.
제 2편심부(56)는 베벨 기어(53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톱니부(56b4)를 포함한다. 톱니부(56b4)는 주변부(56b2)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톱니부(56b4)는 회전축(Ow1, Ow2)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다. 톱니부(56b4)는 회전축(Ow1, Ow2)에서 멀어질수록 하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가진다.
제 2편심부(56)는 제 2회전부(56b)에 고정되는 제 2웨이트 부재(56a)를 포함한다.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제 2회전부(56b)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제 2회전부(56b)에 비해 비중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제 2편심부(56)의 무게 편심을 유도한다.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전체적으로 밑면이 반원형인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제 2편심부(56)의 회전 중 임의의 시점에,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180도 이내의 각도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임의의 시점에,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180도의 범위에 배치된다.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는 중심축(Oc)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는 상하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제 1편심부(55)는 제 2편심부(5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부(55b) 및 제 2회전부(56b)는 서로 동일한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웨이트 부재(55a) 및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서로 동일한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모터축(52a) 및 베벨 기어(53a)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편심부(5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편심부(5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의 기능을 제공하는 웨이트 샤프트(5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웨이트 샤프트(54)가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4)는 진동 바디(351, 451)에 고정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4)의 상단 및 하단은 웨이트 케이싱(51b)에 고정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4)는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 상에 배치된다. 웨이트 샤프트(54)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진동 바디(351, 451)와 행거 바디(331, 431)를 연결하는 행거 주동부(358, 458)를 포함한다. 행거 주동부(358, 458)는 진동 바디(351, 451)와 진동 모듈(50, 350, 450) 외부의 행거 바디(331, 431)를 연결하도록 기설정된다. 행거 주동부(358, 458)는 진동 바디(351, 451)에 배치된다. 행거 주동부(358, 458)는 진동 바디(351, 451)의 진동을 행거 바디(331, 431)에 전달한다. 행거 주동부(358, 458)는 연결축(Oh) 상에서 진동 바디(351, 451)의 진동을 행거 바디(331, 431)에 전달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350, 450)은 탄성 부재(360, 4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걸림부(359, 459)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 걸림부(359, 459)는 진동 바디(351, 451)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부(359, 459)는 진동 모듈(50, 350, 450)의 운동시 탄성 부재(360, 460)를 가압하거나 탄성 부재(360, 46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3d를 참고하여, 진동 모듈(50, 350, 450)의 동작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방향(+X, -X)이란 행거 바디(331, 431)가 왕복 운동을 하도록 기설정된 방향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이 진동 방향(+X, -X)으로 기설정된다.
본 설명 전체에서 언급하는 ‘중심축(Oc), 제 1회전축(Ow1), 제 2회전축(Ow2) 및 연결축(Oh)’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제 1회전축(Ow1)은 제 1편심부(55)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제 1회전축(Ow1)은 진동 바디(351, 451)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즉, 진동 바디(351, 451)가 운동하더라도, 제 1회전축(Ow1)은 진동 바디(351, 451)와 일체로 운동하며 진동 바디(351, 451)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한다. 제 1회전축(Ow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w1)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제 1회전축(Ow1) 상에 배치되는 웨이트 샤프트(54)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w1)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제 1편심부(55) 및 진동 바디(351, 451)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회전축(Ow1)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서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회전축(Ow2)은 제 2편심부(56)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제 2회전축(Ow2)은 진동 바디(351, 451)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즉, 진동 바디(351, 451)가 운동하더라도, 제 2회전축(Ow2)은 진동 바디(351, 451)와 일체로 운동하며 진동 바디(351, 451)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한다. 제 2회전축(Ow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회전축(Ow2)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제 2회전축(Ow2) 상에 배치되는 웨이트 샤프트(54)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 2편심부(56) 및 진동 바디(351, 451) 중 어느 하나에서 제 2회전축(Ow2)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서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은 상기 진동 방향(+X, -X)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축(Oh)은, 진동 모듈(50, 350, 450)의 진동 발생에 따라 행거 바디(351, 451)에 가해지는 가진력(Fo)의 작용점이 배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축(Oh)은 상기 가진력(Fo)의 작용점을 지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결축(Oh)은 진동 바디(351, 451)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즉, 진동 바디(351, 451)가 운동하더라도, 연결축(Oh)은 진동 바디(351, 451)와 일체로 운동하며 진동 바디(351, 451)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한다.
도 2a 내지 도 3d에는, 제 1편심부(55)의 무게 중심(m1), 제 2편심부(56)의 무게 중심(m2), 무게 중심(m1)의 제 1회전축(Ow1)에 대한 회전 반경(r1), 무게 중심(m2)의 제 2회전축(Ow2)에 대한 회전 반경(r2), 제 1편심부(55)의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한 각속력(w), 및 제 2편심부(56)의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한 각속력(w), 중심축(Oc)과 제 1회전축(Ow1) 사이의 거리(A1), 중심축(Oc)과 제 2회전축(Ow2) 사이의 거리(A2),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의 거리(B)가 도시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3d에는, 제 1회전축(Ow1)에 대한 제 1편심부(55)의 원심력(F1) 및 제 2회전축(Ow2)에 대한 제 2편심부(56)의 원심력(F2)의 방향이 도시된다. 상기 원심력(F1) 및 상기 원심력(F2)의 합력이 진동 바디(351, 451)에 가해진다. 가진력(Fo)은, 상기 원심력(F1) 및 상기 원심력(F2)에 의해 행거 바디(331, 431)에 가해지는 힘을 의미한다.
상기 원심력(F1)의 크기는 m1?r1?w^2이고, 상기 원심력(F2)의 크기는 m2?r2?w^2이다. 원심력(F1) 및 원심력(F2)는 진동 바디(351, 451)에 가해지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작용점은 각각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 상의 위치가 된다.
도 2a, 도 2c, 도 3a, 및 도 3c를 참고하여, 상기 원심력(F1) 및 상기 원심력(F2)은, 상기 진동 방향(+X, -X)으로 서로 보강되게 구비된다. 진동 방향(+X, -X) 중 어느 한 방향(D1)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의 무게가 편심될 때, 상기 어느 한 방향(D1)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의 무게가 편심되게 구비된다. 진동 방향(+X, -X) 중 어느 한 방향(D1)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상기 어느 한 방향(D1)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키게 구비된다.
도 2b, 도 2d, 도 3b, 및 도 3d를 참고하여, 상기 원심력(F1) 및 상기 원심력(F2)은, 상기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서로 상쇄되게 구비된다.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 중 어느 한 방향(D2)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의 무게가 편심될 때, 상기 어느 한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의 무게가 편심되게 구비된다.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 중 어느 한 방향(D2)으로 상기 제 1회전축에 대해 상기 제 1편심부가 원심력을 발생시킬 때, 상기 어느 한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 2회전축에 대해 상기 제 2편심부가 원심력을 발생시키게 구비된다. 여기서, 가로지르는 방향(+Y, -Y)은, 진동 방향(+X, -X) 및 회전축(Ow1, Ow2)에 수직한 방향이다.
원심력(F1) 및 원심력(F2)는 소정의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상쇄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작용 방향은 서로 반대이므로, 원심력(F1)과 원심력(F2)의 합력의 크기는 원심력(F1)의 크기와 원심력(F2)의 크기의 차이값과 같아진다. 이에 따라, 원심력(F1)과 원심력(F2)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의해 상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소정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완전 상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편심부의 원심력 및 상기 제 2편심부의 원심력은, 상기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서로 완전 상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전 상쇄’란 원심력(F1)과 원심력(F2)의 합력이 0이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소정의 진동 방향(+X, -X)의 수직 방향(+Y, -Y)으로 불필요한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직경 방향(Dr)의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이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완전 상쇄되기 위하여, 스칼라량 m1?r1 및 스칼라량 m2?r2이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ⅰ제 1편심부(55)의 무게 중심의 제 1회전축(Ow1)에 대한 회전 반경(r1) 및 ⅱ제 2편심부(56)의 무게 중심의 제 2회전축(Ow2)에 대한 회전 반경(r2)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r1=r2) 제 1편심부(55)의 무게(m1) 및 제 2편심부(56)의 무게(m2)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m1=m2) 상기 두가지 설정(r1=r2, m1=m2)에 의해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원심력(F1) 및 원심력(F2)는 서로 완전 상쇄될 수 있다. 물론, 회전 반경(r1) 및 회전 반경(r2)가 서로 다르고 무게(m1) 및 무게(m2)가 서로 다르더라도, m1?r1 및 m2?r2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이 서로 완전 상쇄되게 할 수도 있다.
ⅰ제 1회전축(Ow1)과 중심축(Oc) 사이의 거리(A1) 및 ⅱ제 2회전축(Ow2)과 중심축(Oc) 사이의 거리(A2)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이 가진력(Fo)의 발생에 기여하는 비율을 서로 같게 하여, 제 1편심부(55)를 지지하는 부분과 제 2편심부(56)를 지지하는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 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는 서로 같은 각속력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ⅰ제 1편심부(55)의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한 각속력(w) 및 ⅱ제 2편심부(56)의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한 각속력(w)은, 서로 동일하게 기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의 회전에 따른 주기적인 원심력(F1, F2)의 보강 및 상쇄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각속력(angular speed)이란 회전 방향을 가지고 있지 않고 크기만 가지고 있는 스칼라(scalar)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회전 방향 및 크기를 가지고 있는 벡터(vector)인 각속도(angular velocity)와 구분되는 의미이다. 즉, 제 1편심부(55)의 각속력(w)과 제 2편심부(56)의 각속력(w)이 서로 동일하는 것은,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는 의미를 내포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 1편심부(55)의 각속력(w)과 제 2편심부(56)의 각속력(w)이 서로 동일하더라도,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서로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d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350)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바디(351)는, 프레임(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 소정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1실시예에서, 중심축(Oc)은 진동 모듈(35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중심축(Oc)은 프레임(1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가상의 직선이다. 중심축(Oc)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심축(Oc)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실시예와 같이 지지 부재(370)에서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375)가 형성되고, 진동 바디(351)에 상기 중심 축부(375)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Oc)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 바디(351)에서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지지 부재(370)에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실시예에서, 제 1회전축(Ow1) 및 2회전축(Ow1, Ow2)은, 중심축(Oc)으로부터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이 반드시 동일하지 않더라도, 제 1회전축(Ow1) 및 2회전축(Ow1, Ow2)이 중심축(Oc)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각각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 각속력으로 회전하면,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보강 및 상쇄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 중심축(Oc),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은 하나의 가상의 직선과 수직하게 교차하며 배치된다.
제 1실시예에서, 원주 방향(Dl)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의미하며,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Dl2)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제 1실시예에서,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Dl2)은, 중심축(Oc)의 연장 방향(+Z, -Z) 중 어느 한 방향(+Z)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된다.
제 1편심부(55)의 회전에 따른 제 1회전축(Ow1)에 대한 원심력(F1)의 방향이 원주 방향(Dl)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은 진동 바디(351)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한다. 또한, 제 2편심부(56)의 회전에 따른 제 2회전축(Ow2)에 대한 원심력(F2)의 방향이 원주 방향(Dl)이 될 때, 상기 원심력(F2)는 진동 바디(351)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한다.
제 1실시예에서, 직경 방향(Dr)은, 중심축(Oc)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의미하며, 원심(遠心) 방향(Dr1) 및 근심(近心) 방향(Dr2)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원심 방향(Dr1)은 중심축(O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근심 방향(Dr2)은 중심축(Oc)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 1편심부(55)의 회전에 따른 제 1회전축(Ow1)에 대한 원심력(F1)의 방향이 직경 방향(Dr)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은 진동 바디(351)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하지 않는다. 또한, 제 2편심부(56)의 회전에 따른 제 2회전축(Ow2)에 대한 원심력(F2)의 방향이 직경 방향(Dr)이 될 때, 상기 원심력(F2)는 진동 바디(351)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하지 않는다.
제 1실시예(도 7참고)에서, 연결축(Oh)은 중심축(Oc)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진동 모듈(350)의 회전 왕복 운동(호 운동)이 행거 바디(331)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진동 모듈(350)와 행거 바디(331)의 연결 지점에서 연결축(Oh)을 따라 돌출된 부분(358a)이 형성된다.
제 1실시예에서 진동 모듈(350)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바, 가진력(Fo)은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합력을 모멘트 팔길이(A1, A2, B)를 고려하여 연결축(Oh) 상의 작용점을 가진 외력으로 변환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c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바디(351)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때 서로 보강되게 구비된다. 중심축(Oc)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Dl2) 중 어느 한 방향(D3)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의 무게가 편심될 때, 어느 한 방향(D3)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의 무게가 편심되게 구비된다. 중심축(Oc)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Dl2) 중 어느 한 방향(D3)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을 발생시킬 때, 상기 어느 한 방향(D3)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을 발생시키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모멘트(A1?F1+A2?F2)는 가진력(Fo)에 의한 모멘트(B?Fo)와 등가인 바, Fo는 A1/B?F1+A2/B?F2이다.
도 2b 및 도 2d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바디(351)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구비된다. 중심축(Oc)을 기준으로 원심 방향(Dr1) 및 근심 방향(Dr2) 중 어느 한 방향(D4)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의 무게가 편심될 때, 상기 어느 한 방향(D4)의 반대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의 무게가 편심되게 구비된다. 중심축(Oc)을 기준으로 원심 방향(Dr1) 및 근심 방향(Dr2) 중 어느 한 방향(D4)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을 발생시킬 때, 상기 어느 한 방향(D4)의 반대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을 발생시키게 구비된다.
도 2b 및 도 2d를 참고하여, 제 1편심부(55)의 원심력(F1)과 제 2편심부(56)의 원심력(F2)이 서로 상쇄될 때,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작용 방향 중 어느 하나는 원심 방향(Dr1)이고 다른 하나는 근심 방향(Dr2)이다.
제 1실시예에서,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바디(351)의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상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작용 방향은 서로 반대이므로, 원심력(F1)과 원심력(F2)의 합력의 크기는 원심력(F1)의 크기와 원심력(F2)의 크기의 차이값과 같아진다. 이에 따라, 원심력(F1)과 원심력(F2)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의해 상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바디(351)의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완전 상쇄’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같은 각속력(w)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90도씩 회전한 각 순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2a를 참고하여, 시계 방향(Dl1)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시계 방향(Dl1)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X축 방향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X축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는 서로 보강되어 진동 바디(51)의 시계 방향(Dl1)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31)에 전달되는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2b를 참고하여, 원심 방향(Dr1)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근심 방향(Dr2)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Y축 방향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Y축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바디(51)의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31)에 전달되는 가진력(Fo)은 0이 된다. 또한, 원심력(F1) 및 원심력(F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상쇄된다.
도 2c를 참고하여, 반시계 방향(Dl2)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반시계 방향(Dl2)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X축 방향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X축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는 서로 보강되어 진동 바디(51)의 반시계 방향(Dl2)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31)에 전달되는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2d를 참고하여, 근심 방향(Dr2)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원심 방향(Dr1)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Y축 방향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Y축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바디(51)의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31)에 전달되는 가진력(Fo)은 0이 된다. 또한, 원심력(F1) 및 원심력(F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상쇄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450)의 작동 메커니즘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바디(451)는, 행거 바디(331)에 고정되어 행거 바디(331)와 일체로 운동하게 구비된다.
제 2실시예(도 11참고)에서, 회전축(Ow1, Ow2)의 연장 방향에서 바라볼 때, 연결축(Oh)은 모터(52)의 무게 중심(Mm)과 회전축(Ow1, Ow2)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w1)의 연장 방향(상측)에서 바라볼 때, 행거 주동부(458)는 모터(52)의 무게 중심(Mm)과 제 1회전축(Ow1) 사이의 위치에서 행거 바디(431)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진동 모듈(450)로부터 행거 바디(431)에 가진력이 전달될 때 모터(52)의 무게 중심(Mm)에 의한 비틀림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진동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 진동 모듈(450)은 행거 바디(431)과 일체로 진동하는 바, 가진력(Fo)은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진동 방향(+X, -X) 상의 합력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바디(351)에 진동 방향(+X, -X)으로 가해질 때 서로 보강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는 F1+F2이다.
도 3b 및 도 3d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바디(351)에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가해질 때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구비된다. 이경 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는 0이다. 또한,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가진력은 |F1-F2|이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가진력은 0가 되게 기설정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같은 각속력(w)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90도씩 회전한 각 순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3a를 참고하여, +X축 방향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X축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서로 보강되어 +X축 방향으로 진동 바디(51)에 작용한다. 행거 바디(331)에 전달되는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3b를 참고하여, -Y축 방향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Y축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 바디(51)에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의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서로 상쇄된다. 행거 바디(331)에 전달되는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은 0이 된다.
도 3c를 참고하여, -X축 방향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X축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서로 보강되어 -X축 방향으로 진동 바디(51)에 작용한다. 행거 바디(331)에 전달되는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3d를 참고하여, +Y축 방향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Y축 방향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 바디(51)에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의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서로 상쇄된다. 행거 바디(331)에 전달되는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은 0이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제 1 및 2실시예의 공통적인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서로 차이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350), 탄성 부재(360) 및 지지 부재(3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바디(351)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1실시예에서, 웨이트 케이싱(51b)은 중심축(Oc)으로부터 원심 방향(Dr1)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웨이트 케이싱(51b)과 행거 주동부(358)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축(Oh)과 회전축(Ow1, Ow2)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모터(52)는 중심축(Oc)과 회전축(Ow1, Ow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축(52a)는 원심 방향(Dr1)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터축(52a)은 -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진동 바디(351)는 중심 축부(37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 케이싱(351d)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축부(375)는 베이스 케이싱(351d)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중심 축부(375)와 베이스 케이싱(351d)의 사이에 베어링(B)이 개재된다. 베이스 케이싱(351d)은 웨이트 케이싱(51b)과 탄성 부재 마운트(351c)의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 바디(351)는 모터(52)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351e)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지지부(351e)는 모터의 하단을 받쳐줄 수 있다. 모터 지지부(351e)는 웨이트 케이싱(51b)과 베이스 케이싱(351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바디(351)는 탄성 부재(3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마운트(351c)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350)이 회전 진동 운동을 할 때, 탄성 부재 마운트(351c)는 탄성 부재(360)를 가압하거나 탄성 부재(360)로부터 복원력을 전달받는다.
탄성 부재 마운트(351c)는 진동 바디(351)의 원심 방향(Dr1)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351c)는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351c)는 원심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351c)는 중심축(Oc)을 기준으로 제 1 및 2 회전축(Ow1, Ow2)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마운트(351c)는 베이스 케이싱(351d)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351c), 베이스 케이싱(351d) 및 모터 지지부(351e)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 모터(52)는 중심축(Oc)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52)는 중심축(Oc)과 제 1 및 2 회전축(Ow1, Ow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52)는 중심축(Oc)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모터축(52a)을 구비한다. 모터축(52a)은 모터에서 원심 방향(Dr1)으로 돌출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358)는 중심축(Oc)과 이격된 위치에서 행거 바디(331)와 연결된다. 행거 주동부(358)는, 중심축(Oc)과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의 행거 바디(331)와 연결되도록 기설정된다.
행거 주동부(358)는, 연결축(Oh)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358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358a)는 행거 주동부(358)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돌기부(358a)는 연결축(Oh)을 따라 돌출된다. 행거 주동부(358)는 돌기부(358a)를 포함하는 커넥팅 로드(358a, 358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58a, 358b)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58a, 358b)의 일단(358a)은 행거 종동부(331b)의 슬릿(331bh)에 삽입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58a, 358b)는 진동 모듈(350)의 회전 운동을 변환하여 행거 바디(331)를 좌우 왕복 운동시킨다.
커넥팅 로드(358a, 358b)는 진동 바디(351)에 고정된다. 커넥팅 로드(358a, 358b)의 상단부는 진동 바디(351)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58a, 358b)는 진동 바디(351)와 일체로 회전한다. 커넥팅 로드(358a, 358b)는 연결축(O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58a, 358b)는 진동 바디(351)의 회전력을 행거 바디(331)에 전달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58a, 358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35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연장부(358b)는 연결축(Oh)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하 연장부(358b)의 상단은 탄성 부재 마운트(351c)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358a, 358b)는 상하 연장부(358b)의 말단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358a)를 포함한다. 돌기부(358a)는 상하 연장부(358b)의 하단에 배치된다.
진동 모듈(350)은 탄성 부재(3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걸림부(359)를 포함한다. 진동 모듈(3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탄성 부재 걸림부(359)에 의해 탄성 부재(360)가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부재(360)의 복원력이 탄성 부재 걸림부(359)에 전달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359)는 탄성 부재 마운트(351c)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359)는 제 1탄성 부재(360a)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1걸림부(35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걸림부(359a)는 탄성 부재 마운트(351c)의 일측(+X)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부(359)는 제 2탄성 부재(360b)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2걸림부(35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걸림부(359b)는 탄성 부재 마운트(351c)의 타측(-X)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360)는 진동 모듈(350)과 지지 부재(3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360)의 일단은 진동 모듈(350)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370)의 탄성 부재 안착부(377)에 걸림된다. 탄성 부재(360)는 인장 스프링 및/또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부재(360a, 360b)가 연결축(Oh)의 진동 방향(+X, -X)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360)는 중심축(Oc)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360a, 360b)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360a, 360b)는, 진동 모듈(350)이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Dl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360a, 360b)는, 행거 바디(331)가 진동 방향(+X, -X)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360a)는 진동 바디(351)의 일측(+X)에 배치된다. 제 1탄성 부재(360a)의 일단은 제 1걸림부(359a)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370)의 제 1안착부(377a)에 걸림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360a)는 진동 방향(+X, -X)으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360b)는 진동 바디(351)의 타측(-X)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마운트(351c)는 제 1탄성 부재(360a)와 제 2탄성 부재(360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2탄성 부재(360b)의 일단은 제 2걸림부(359b)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370)의 제 2안착부(377b)에 걸림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360b)는 진동 방향(+X, -X)으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70)는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375)를 포함한다. 중심 축부(375)는 중심축 지지부(376)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중심 축부(375)는 진동 바디(351)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다. 중심 축부(375)는 베어링(B)을 통해 진동 바디(3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370)는 중심 축부(375)가 고정되는 중심축 지지부(376)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축 지지부(376)는 진동 바디(351)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심축 지지부(376)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370)는 탄성 부재(360)의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377)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 안착부(377)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 안착부(377)는 내부 프레임(1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안착부(377a)와 상기 제 2안착부(377b)는 연결축(Oh)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450), 탄성 부재(460) 및 지지 부재(4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바디(451)는, 행거 바디(431)에 고정되어 행거 바디(431)와 일체로 운동하게 구비된다.
진동 바디(451)는 웨이트 케이싱(51b)을 포함한다. 진동 바디(451)는 모터(52)를 지지한다. 웨이트 케이싱(51b)는 모터(5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축(52a)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축(Oh)은 회전축(Ow1, Ow2)과 모터(52)의 무게 중심(Mm)의 사이에 배치된다.
행거 주동부(458)는 진동 바디(451) 및 행거 바디(431)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행거 주동부(458)는 진동 바디(451)에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458)는 진동 바디(451)의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하단이 행거 바디(431)에 고정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458)의 하단은 행거 종동부(431b)에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458)는 행거 종동부(431b)와 일체로 진동한다.
행거 주동부(458)는 연결축(O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458)는 회전축(Ow1, Ow2)과 모터(52)의 무게 중심(Mm)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458)는, 제 1회전축(Ow1)의 연장 방향에서 바라볼 때, 모터(52)의 무게 중심(Mm)과 제 1회전축(Ow1)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행거 바디에 고정된다.
진동 모듈(450)은 탄성 부재(4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걸림부(459)를 포함한다. 진동 모듈(450)이 좌우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부재 걸림부(459)에 의해 탄성 부재(460)가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부재(460)의 복원력이 탄성 부재 걸림부(459)에 전달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459)는 웨이트 케이싱(51b)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459)는 제 1탄성 부재(460a)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1걸림부(45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걸림부(459a)는 웨이트 케이싱(51b)의 일측(+X)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부(459)는 제 2탄성 부재(460b)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2걸림부(45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걸림부(459b)는 웨이트 케이싱(51b)의 타측(-X)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60)는 진동 모듈(450)과 지지 부재(4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60)의 일단은 진동 모듈(450)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470)의 탄성 부재 안착부(477)에 걸림된다. 탄성 부재(460)는 인장 스프링 및/또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부재(460a, 460b)가 연결축(Oh)의 진동 방향(+X, -X)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460a, 460b)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460a, 460b)는, 진동 모듈(450)이 진동 방향(+X, -X)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460a, 460b)는, 행거 바디(431)가 진동 방향(+X, -X)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460a)는 진동 바디(451)의 일측(+X)에 배치된다. 제 1탄성 부재(460a)의 일단은 제 1걸림부(459a)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470)의 제 1안착부(477a)에 걸림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460a)는 진동 방향(+X, -X)으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460b)는 진동 바디(451)의 타측(-X)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마운트(451c)는 제 1탄성 부재(460a)와 제 2탄성 부재(460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2탄성 부재(460b)의 일단은 제 2걸림부(459b)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470)의 제 2안착부(477b)에 걸림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460b)는 진동 방향(+X, -X)으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470)는 탄성 부재(460)의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477)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 안착부(477)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 안착부(477)는 내부 프레임(1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안착부(477a)와 상기 제 2안착부(477b)는 연결축(Oh)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지지 부재(470)는 진동 모듈(450)이 진동 방향(+X, -X)으로 이동 가능하되,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모듈 가이드(4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가이드(478)는 행거 주동부(458)에 접촉하여 행거 주동부(458)의 진동 방향(+X, -X)을 안내할 수 있다. 모듈 가이드(478)는 상기 한 쌍의 안착부(477a, 477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478)는 진동 바디(45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478)는 수평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478)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1 : 의류 처리 장치 ` 20 : 공급부
30, 330, 430 : 행거 모듈 331, 431 : 행거바디
331b, 431b : 행거 종동부 50, 350, 450 : 진동 모듈
351, 451 : 진동 바디 52 : 모터
53 : 전달부 54 : 웨이트 샤프트
55 : 제 1편심부 55a : 제 1웨이트 부재
55b : 제 1회전부 56 : 제 2편심부
56a : 제 2웨이트 부재 56b : 제 2회전부
358, 458 : 행거 주동부 359, 459 : 탄성 부재 걸림부
360, 460 : 탄성 부재 370, 470 : 지지 부재
Ow1 : 제 1회전축 Ow2 : 제 2회전축
Oc : 중심축 Oh : 연결축
Dl : 원주 방향 Dl1 : 시계 방향
Dl2 : 반시계 방향 Dr : 직경 방향
Dr1 : 원심 방향 Dr2 : 근심 방향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처리 공간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모듈;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축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중심 축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행거모듈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듈은,
    중심축에 수직한 모터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편심부와 반대방향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2편심부;
    상기 모터를 지지하고, 상기 제 1편심부와 상기 제2편심부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 1회전축에 대한 상기 제 1편심부의 원심력과 상기 제 2회전축에 대한 상기 제 2편심부의 원심력으로,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진동 바디; 및
    상기 진동바디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힘을 상기 행거모듈에 전달하는 행거주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주동부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회전축에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편심부 및 상기 제 2편심부가 회전하는 제 1회전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에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편심부와 상기 제 2편심부는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편심부와 상기 제 2편심부에 각각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편심부는 상기 제 2편심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편심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베벨 기어의 상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편심부의 상측면에는 상기 베벨 기어의 하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톱니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편심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무게 편심을 유도하며 회전하는 제 1웨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편심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무게 편심을 유도하며 회전하는 제 2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 1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상기 상기 제 1웨이트 부재의 무게 중심이 위치할 때, 상기 제 2웨이트 부재의 무게 중심은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 1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서 상기 제 1웨이트 부재의 무게 중심에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편심부와 상기 제 2편심부 각각이 회전할 때,
    상기 중심축와 상기 제 1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진동 바디에 작용하는 힘은 서로 상쇄되고,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 1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진동 바디에 작용하는 힘은 서로 보강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일단이 상기 진동 모듈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 바디가 진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진동바디와 함께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행거주동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바디는
    상기 중심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 케이싱;
    상기 제 1편심부 및 상기 제 2편심부를 수용하는 웨이트 케이싱;
    상기 웨이트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회전축에 반대측의 원심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행거 주동부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 마운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마운트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이 걸림되어, 상기 진동 모듈이 회전 진동 운동을 할 때,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복원력을 전달받도록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안착부는 상기 행거주동부의 중심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안착부와 제 2안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모듈은
    상기 진동 모듈에 의해 진동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
    상기 행거 주동부 및 상기 행거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진동바디와 함께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행거 주동부의 운동을 상기 진동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경하여 상기 행거 바디로 전달하는 행거 종동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종동부는 상기 진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행거 주동부는 중심축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148692A 2017-12-08 2018-11-27 의류 처리 장치 KR10230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692A KR102309301B1 (ko) 2017-12-08 2018-11-27 의류 처리 장치
RU2021101442A RU2021101442A (ru) 2017-12-08 2018-12-07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202310545108.8A CN116536899A (zh) 2017-12-08 2018-12-07 衣物处理装置
AU2018380776A AU2018380776B2 (en) 2017-12-08 2018-12-07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RU2020122219A RU2741904C1 (ru) 2017-12-08 2018-12-07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18885041.6A EP3722490A4 (en) 2017-12-08 2018-12-07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US16/957,866 US11686039B2 (en) 2017-12-08 2018-12-07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1880088609.5A CN111684122B (zh) 2017-12-08 2018-12-07 衣物处理装置
PCT/KR2018/015555 WO2019112386A1 (ko) 2017-12-08 2018-12-07 의류 처리 장치
US18/091,659 US20230138542A1 (en) 2017-12-08 2022-12-30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14A KR101989104B1 (ko) 2017-12-08 2017-12-08 의류 처리 장치
KR1020180148692A KR102309301B1 (ko) 2017-12-08 2018-11-27 의류 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514A Division KR101989104B1 (ko) 2017-12-08 2017-12-08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429A true KR20190068429A (ko) 2019-06-18
KR102309301B1 KR102309301B1 (ko) 2021-10-06

Family

ID=6674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692A KR102309301B1 (ko) 2017-12-08 2018-11-27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686039B2 (ko)
EP (1) EP3722490A4 (ko)
KR (1) KR102309301B1 (ko)
CN (2) CN111684122B (ko)
AU (1) AU2018380776B2 (ko)
RU (2) RU2021101442A (ko)
WO (1) WO20191123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59A1 (en) * 2020-09-04 2022-03-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2367B (zh) * 2020-12-14 2023-12-29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功能板及衣物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7209A1 (en) * 2004-08-18 2006-02-23 Maytag Corporation Drying cabinet shaker mechanism
KR20100022382A (ko) * 2008-08-19 2010-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00073142A (ko) * 2008-12-22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6386A (en) * 1938-10-25 1940-07-02 Rudolf K Bernhard Testing apparatus
SU1442582A1 (ru) 1987-04-24 1988-12-07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Азерэлектромаш"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ушки текстильных изделий
US4942776A (en) * 1989-04-17 1990-07-24 Renold, Inc. Non-metallic gear shaker
US5177386A (en) * 1990-08-30 1993-01-05 Kencho Kobe Co., Ltd. Vibration generator adjustable during operation
US5134893A (en) * 1991-05-07 1992-08-04 Sweco, Incorporated Adjustable counterweight assembly
KR0166924B1 (ko) * 1995-11-07 1999-04-15 구자홍 저주파 진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US7103996B2 (en) * 2002-05-15 2006-09-12 Ark-Les Corporation Agitator f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US7097051B2 (en) * 2003-08-15 2006-08-29 Maytag Corporation Hanger rod for drying cabinet
KR101156705B1 (ko) * 2005-02-05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EP1867402A1 (en) 2006-06-15 2007-12-19 Visam S.r.l. Improved vibrator
US8539694B2 (en) * 2007-08-03 2013-09-2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457594B1 (ko) * 2008-08-2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US8296967B2 (en) * 2008-12-09 2012-10-30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CN103276571B (zh) 2008-12-09 2015-10-2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KR101525568B1 (ko) *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155002B1 (ko) * 2009-01-15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01997357B (zh) * 2010-11-19 2013-01-16 西安理工大学 单电机单向非周期振动产生方法及单向非周期振动装置
EP2686941A4 (en) 2011-03-17 2014-12-03 Coactive Drive Corp ASYMMETRIC AND GENERAL VIBRATION WAVE SHAPES FROM MULTIPLE SYNCHRONIZED VIBRATION ACTUATORS
KR102043197B1 (ko) * 2013-02-28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05957B1 (ko) 2013-02-28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83959B1 (ko) * 2013-04-25 2020-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3510357B (zh) * 2013-09-23 2015-10-21 北京中家智铭设计有限公司 衣物震荡装置
KR101618944B1 (ko) 2014-02-24 2016-05-10 곽준영 진폭제어 진동발생기 및 그 방법
JP6426916B2 (ja) * 2014-05-27 2018-11-21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KR102606117B1 (ko) * 2016-06-03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258445B1 (ko) * 2017-12-08 2021-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003820B1 (ko) * 2017-12-08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7209A1 (en) * 2004-08-18 2006-02-23 Maytag Corporation Drying cabinet shaker mechanism
KR20100022382A (ko) * 2008-08-19 2010-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00073142A (ko) * 2008-12-22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59A1 (en) * 2020-09-04 2022-03-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959222B2 (en) 2020-09-04 2024-04-1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22490A1 (en) 2020-10-14
CN111684122A (zh) 2020-09-18
KR102309301B1 (ko) 2021-10-06
EP3722490A4 (en) 2021-09-15
RU2741904C1 (ru) 2021-01-29
CN111684122B (zh) 2023-06-02
CN116536899A (zh) 2023-08-04
WO2019112386A1 (ko) 2019-06-13
US11686039B2 (en) 2023-06-27
US20210292963A1 (en) 2021-09-23
AU2018380776B2 (en) 2022-03-17
RU2021101442A (ru) 2021-03-24
US20230138542A1 (en) 2023-05-04
AU2018380776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8440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003820B1 (ko) 의류 처리 장치
EP2329073B1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US2023013854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96464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439471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89104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89103B1 (ko) 의류 처리 장치
EP3964641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30126032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