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684B1 - 먼지털이기 - Google Patents

먼지털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684B1
KR101528684B1 KR1020130148370A KR20130148370A KR101528684B1 KR 101528684 B1 KR101528684 B1 KR 101528684B1 KR 1020130148370 A KR1020130148370 A KR 1020130148370A KR 20130148370 A KR20130148370 A KR 20130148370A KR 101528684 B1 KR101528684 B1 KR 101528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ase
rotating body
hairs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700A (ko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조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진 filed Critical 조성진
Priority to KR102013014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6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먼지털이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먼지털이기는 내부에 먼지털이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을 걸어두는 거치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타격하여 상기 대상물로부터 먼지를 털어내는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 각각은, 상기 케이스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 1 회전체 및 제 2 회전체; 및, 탄력성 소재로 갖으며,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제 1 회전체의 측면에 편심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회전체의 측면에 편심되게 고정되는 먼지털이 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먼지털이 띠가 요동치면서 상기 대상물을 타격하여 먼지가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 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먼지털이기{DUST CLEANER}
본 발명은 먼지털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불, 담요, 베개, 방석, 옷가지, 인형 등 각종 섬유소재 제품에 붙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기타 오염없이 자동으로 손쉽게 제거하는 먼지털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이불에 먼지가 낀 경우, 사용자는 마스크를 끼고 한 손으로 이불을 들고 막대기로 쳐서 먼지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이불이 무거운 경우, 두 사람이 이불 양쪽으로 잡고 털어야 하며 먼지가 비산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시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먼지털이기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20040호에는 진공청소기에 흡입헤드를 연결하여, 이 흡입헤드를 잡고 침구류를 타격하여 털어주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흡입헤드를 잡고 침구류를 타격해야 하는 방식이어서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사용자가 힘들어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산되는 먼지로 인한 2차 오염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9715호에는 먼지털이 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치가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9715호는 회전축에 결합된 털이부재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사각판 형태의 털이부재가 회전하면서 옷이나 이불과 마찰함으로써, 옷이나 이불에 묻어 있는 먼지를 긁어 떨어뜨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먼지털이효율에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옷이나 이불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먼지털이 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섬유의 손상을 방지하고 실내에서도 비산 먼지로 인한 2차 오염없이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먼지털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먼지털이기는 내부에 먼지털이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을 걸어두는 거치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타격하여 상기 대상물로부터 먼지를 털어내는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 각각은, 상기 케이스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 1 회전체 및 제 2 회전체; 및, 탄력성 소재로 갖으며,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제 1 회전체의 측면에 편심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회전체의 측면에 편심되게 고정되는 먼지털이 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먼지털이 띠가 요동치면서 상기 대상물을 타격하여 먼지가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 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털이 띠는 상하좌우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파형으로 요동치거나, 나선형의 파형을 나타내도록 요동치면서 상기 대상물을 타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털이 띠는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복수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 각각은,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외부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 일측면에는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호스와 연결되는 먼지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가동시, 상기 외부공기유입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어 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하향기류가 형성되고,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상기 하향기류에 합류하여, 상기 케이스 저면으로 이동된 후, 상기 진공청소기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기유입공과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힌지축에 의해 상호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케이스 및 후방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탄력재질의 먼지털이 띠가 상하좌우 혹은 나선형으로 움직이는 형태로 요동치면서 이불의 전후면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타격해 먼지를 분리해 낼 뿐 아니라, 이불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수용공간에 형성된 하향기류에 실려 케이스의 저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불로부터 먼지가 분리되는 분리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이불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재차 이불에 붙어버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존방식에 비해, 전체적으로 먼지털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먼지털이 띠가 요동치면서 이불을 타격해 먼지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비해, 이불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털이기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털이기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이불이 걸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먼지털이기에서 전방케이스 내부를 투시하여 전방먼지털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방먼지털이유닛의 구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털이기의 작동에 따라 먼지털이 띠가 요동치면서 이불을 타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갖는 매입형 먼지털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먼지털이기에 팬이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는 도 1에 도시된 먼지털이기의 케이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털이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먼지털이기(100)는 이불 등의 침구류 또는 의류 등의 먼지털이 대상물로부터 먼지를 털어내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불(w)에서 먼지를 털어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지털이기(100)는 케이스(110), 거치대(120),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130,14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10)는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로 이루어져,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가 힌지축(112)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접철가능하게 형성된다.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 각각은 내부가 빈 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의 접하는 부분에 힌지축(112)이 설치되어, 서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 각각은 중앙에 서로 마주하도록 사각형의 수용홈(S1,S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를 도 1과 같이 접으면, 상기 두 수용홈(S1,S2)이 서로 연결되어, 케이스(100) 내부에 하나의 독립된 수용공간(S1,S2)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은 이불(w)이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는 각각의 수용홈(S1,S2)의 양측단을 이루는 수직벽(117)과 각각의 수용홈(S1,S2)의 하단을 이루는 그릴판(119a,119b)을 갖으며, 이때, 그릴판(119a,119b)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판상으로 이루어져, 수용홈(S1,S2)은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 내부와 그릴판(119a,119b)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연통되게 된다.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는 각각의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 즉, 두 수용홈(S1,S2) 연통되는 외부공기유입공(114a,114b)이 다수개 형성되고, 케이스(110)의 하부 일측면, 즉, 전방케이스(110)의 하부 일측면에는 수용공간(S1,S2)과 연결되는 먼지배출공(116)이 형성되며, 이 먼지배출공(116)의 통상의 진공청소기(V)의 플렉시블호스(F)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연통공(118a,118b)이 형성되어, 도 1과 같이,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가 접힌 상태에서, 두 연통공(118a,118b)이 서로 일치함으로써,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도 1과 같이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가 접힌 상태에서, 진공청소기(v)가 가동되면, 외부공기가 외부공기유입공(114a,114b)을 통해, 두 수용홈(S1,S2)으로 이루어진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이 수용공간에서 하향기류를 형성한 후, 그릴판(119a,119b)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의 내부로 들어간 다음, 전방케이스(111) 내의 공기는 먼지배출공(116)을 통해 플렉시블호스(F)를 거쳐 진공청소기(v)로 배출되고, 후방케이스(113) 내의 외부공기는 연결공(118a,118b)을 통해 전방케이스(111) 내부로 이동한 후, 먼지배출공(116)을 통해 플렉시블호스(F)를 거쳐 진공청소기(v)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외부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진공청소기(v)의 흡입력에 의해,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의 내부 저면에 수집된 먼지가 플렉시블호스(F)를 통해 진공청소기(v)로 배출되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의 마주하는 면의 하부 각각에는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도어(115a,115b)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도어(115a,115b)를 개방하여,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에 고착된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거치대(120)는 "ㄷ"형 틀(121)에 상하로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수평바(122)가 설치된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케이스(111,113) 사이에 위치하도록 틀(121)과 수평바(122)의 측단이 회전축(112)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도 1과 같이, 전방 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를 접은 상태에는 거치대(120)가 두 수용홈(S1,S2)이 이루는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도 3과 같이,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불(w)을 거치대(120)에 걸고,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를 도 1과 같이 접으면, 이불(w)은 두 수용홈(S1,S2)이 이루는 수용공간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130,140)는 각각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에 설치되어, 두 수용홈(S1,S2)이 이루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이불(w)을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타격하여 이불로부터 먼지를 털어내기 위한 것이다.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130,140) 각각은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에 각각 설치될 뿐, 그 구성은 동일하므로, 전방 먼지털이유닛(13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고, 후방먼지털이유닛(14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먼지털이유닛(130)은 제 1 회전체(131), 제 2 회전체(132), 먼지털이 띠(134), 구동모터(136), 동력전달부재(138)를 포함한다.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131a,132a)이 전방케이스(111)의 내부에서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는 도 4와 같이, 전방케이스(111)의 내부 양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수직벽(117)을 관통하여 수용홈(S1) 내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는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또한,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방케이스(111)의 내부 양측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는 다수 쌍이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한 조를 이루는 한 쌍은 서로 수평위치에 설치된다.
먼지털이 띠(134)는 탄력재질로 이루어지고,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 위치에 설치된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수용홈(S1) 내부에 배치된다. 일측단은 제 1 회전체(131)의 회전중심축에서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제 2 회전체(132)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고정설치된다. 먼지털이 띠(134)는 다수 쌍의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에 모두 설치됨으로, 먼지털이 띠(134)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이격배치되게 된다.
구동모터(136)는 전방케이스(111)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며, 전기제어에 의해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동모터(136)는 양측으로 구동축(139)이 연장형성되며, 이 구동축(139)의 양측단에는 각각 제 1 구동풀리(137a)와 제 2 구동풀리(137b)가 설치된다.
동력전달부재(138)는 동력전달용 벨트로 이루어지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 1 구동풀리(137a)와 복수의 제 1 회전체(131)를 동력이 각각 전달되도록 연결하고, 제 2 구동풀리(137b)와 복수의 제 2 회전체(132)를 동력이 각각 전달되도록 연결한다.
본 발명은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3)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3)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 1 구동풀리(137a) 및 제 2 구동풀리(137b)의 외경을 달리하고, 하나의 구동모터(136)와 연결하도록 구성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모터(136)를 2개 설치하고, 제 1 구동풀리(137a)에 하나의 구동모터를 연결하고, 제 2 구동풀리(137b)에 나머지 하나의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이 2개의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3)의 속도가 달라지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2개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 1 회전체(131)가 제 2 회전체(133)에 비해 고속회전되게 하다가 제 2 회전체(133)가 제 1 회전체(131)에 고속회전되도록 제어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 1 회전체(131)와 제 2 회전체(133)가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 제 1 구동풀리(137a), 제 2 구동풀리(137b)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동력전달부재(138)도 타이밍벨트와 같이 다수의 기어삽입홈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모터(136)이 동력전달부재(137a,137b)에 의해 전달되어,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가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이며, 기어형이 아니고,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2), 제 1 구동풀리(137a), 제 2 구동풀리(137b)의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될 필요 없이 일반 풀리형상의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구동모터(136)가 가동되어, 구동축(139)이 회전되면, 이 회전은 동력전달부재(138)를 통해 복수의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3)에 전달되어,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3)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따라, 먼지털이 띠(134)도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3)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회전체(131) 및 제 2 회전체(133)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고, 먼지털이 띠(134) 양단이 제 1 및 제 2 회전체(133)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연결되어, 탄력소재의 먼지털이 띠(134)가 도 6과 같이, 원심력에 의해 늘어나면서 좌우상하로 요동치거나 나선형태를 그리면서 요동치면서 이불(w)의 전방면 을 타격함으로써, 이불(w)로부터 먼지를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후방 먼지털이유닛(140)도 전방 먼지털이유닛(130)과 동일한 형태로 후방 케이스(113)에 설치되고, 이 후방먼지털이유닛(140)의 제 1 회전체(141) 및 제 2 회전체(142)가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후방먼지털이유닛(140)의 먼지털이 띠(144)도 좌우상하로 요동치거나, 나선형태를 그리면서 요동치면서, 이불(w)의 후방면을 타격함으로써, 이불(w)로부터 먼지를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먼지털이 띠(134,144)가 요동치면서 이불(w) 전후면의 전체부분을 골고루 타격해 주기 때문에, 먼지털이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미설명 부호 c는 전방먼지털이유닛(130)의 구동모터(136) 및 후방먼지털이유닛(140)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 부호 (150)은 구동모터(136)의 제어, 전원온오프 등을 조작하는 제어패널(control panel)을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털이(100)의 사용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를 펼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이불(w)을 거치대(120)에 걸어 준 다음, 도 1과 같이,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를 접어준 상태에서, 먼지털이기(100)를 가동하고, 진공청소기(v)를 가동한다.
이렇게 먼지털이기(100)가 가동되면, 전방먼지털이유닛(130)의 구동모터(136) 및, 후방먼지털이유닛(14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도 6과 같이, 전방먼지털이유닛(130)의 복수의 제 1 회전체(131)와 제 2 회전체(132)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여 전방먼지털이유닛(130)의 먼지털이 띠(134)가 서로 요동치고, 이와 마찬가지로 후방먼지털이유닛(140)의 복수의 제 1 회전체(141) 및 제 2 회전체(142)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여, 후방먼지털이유닛(140)의 먼지털이 띠(144)가 서로 요동치면서, 이불(w)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타격해 줌으로써, 이불(w)로부터 먼지가 분리되게 된다. 즉, 먼지털이 띠(134,144)가 이불(w)을 타격하게 되면, 이불(w)에 붙어 있는 먼지는 정지관성에 의해 정지되고, 이불(w)이 타격에 의해 뒤로 이동하여, 이불(w)로 부터 먼지가 분리된다.
이때, 진공청소기(v)의 흡입력에 따라, 두 수용홈(S1,S2)이 이루는 수용공간에는 하향기류가 형성되며, 이 하향기류에 의해, 이불(w)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하향기류와 함께, 그릴판(119a,119b)을 통해 전방케이스(111) 및 후방케이스(113)의 내측 저부에 떨어져 수집되고, 이 수집된 먼지는 먼지배출공(116)을 통해 진공청소기(v)에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복수의 먼지털이 띠(134,144)가 요동치면서 이불(w)의 전후면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타격해 이불(w)로부터 먼지를 털어주며, 아울러, 이불(w)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수용공간(S1,S2)에 형성된 하향기류를 타고 전방케이스(111) 및 후방케이스(113)의 내측 저부로 이동한 후, 진공청소기(v)로 배출되기 때문에, 이불(w)로부터 먼지가 분리되는 분리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이불(w)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재차 이불(w)에 붙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사각판이 회전하면서 이불(w)을 긁어 마찰함으로써 먼지를 분리해내는 방식에 비해, 전체적으로 먼지털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먼지털이 띠(134,144)가 요동치면서 이불(w)을 전체적으로 타격해 먼지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기존과 같이, 사각판이 회전하면서 이불(w)을 긁어 마찰함으로써 먼지를 분리해내는 방식에 비해, 이불(w)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판의 속도를 조절하여 먼지털이 띠(144)의 요동을 제어함으로써, 섬유 종류에 따라 먼지를 터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먼지털이기(100)는 케이스(110)의 하면에 바퀴를 달아 이동성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먼지털이기(100')는 가변형 벽체를 사용하는 아파트 등에서 매입형(Built-in)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0')의 일측면으로부터 거치대(1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하는 구성을 적용하여, 거치대(120')에 이불(w)을 걸친 후, 거치대(120')를 다시 케이스(110')로 인입시킨 다음, 먼지털이기(100')를 가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1의 일반 캐니스터 진공청소기(v)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청소기 호스를 벽에서 직접 꼽아 사용하는 중앙집진방식의 아파트의 경우, 매입형과 결합하여 별도의 캐니스터 진공청소기 연결이 필요 없이 중앙집진방식의 아파트 연결호스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외선 램프를 케이스(110)의 수용공간(S1,S2) 내부에 설치하여 이불(w)의 살균, 소독 기능도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케이스(110) 내에 탈취제 분사장치, 오존발생기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110) 내에 수용된 이불, 의류, 인형 들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먼지털이기는 가정용, 의료시설용(,병원,산후조리원, 노인요양소 등), 숙박업소용(호텔,콘도,펜션 등) 등 이불, 담요, 베개, 의상 등 섬유소재의 이물질 제거가 필요한 모든 장소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외부공기유입공(114a,114b)과 인접하도록 케이스(110)의 내측에 팬(161,162)이 설치될 수 있다. 팬(161,162)이 가동되면, 외부공기가 외부공기유입공(114a,114b)을 통해 수용공간(s1,s2)으로 강제적으로 흡입되게 된다.
진공청소기(v)의 흡입력만으로, 외부공기가 외부공기유입공(114a,114b)을 통해 수용공간(s1,s2)에서 하향기류를 형성하는 것보다, 팬(161,162)이 강제적으로 외부공기를 외부공기유입공(114a,114b)을 통해 수용공간(s1,s2)으로 흡입시켜 줌으로써, 팬(161,162)과 진공청소기(v)의 흡입력으로 인해, 수용공간(s1,s2)에는 더 강한 하강기류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불(w)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이불(w)에 다시 고착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불(w)에 묻어 있는 먼지가 이 강한 하강기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0a와 도 10b와 같이, 케이스(110)의 상하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 즉, 전방케이스(111)와 후방케이스(113)는 각각 상하로 두 부분씩(111a,111b,113a,113b)으로 나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상측부분(111a,113a)이 하측부분(111b,113b)에 대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 10a와 같이 신장시킨 상태로 사용하거나, 도 10b와 같이 축소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불, 의류, 인형의 크기나 길이에 맞춰 케이스(110)의 상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케이스
111...전방케이스
113...후방케이스
114a,114b...외부공기유입공
116...먼지배출공
117...수직벽
118a,118b...연결공
119a,119b...그릴판
120...거치대
130...전방먼지털이유닛
131...제1회전체
132...제2회전체
134...먼지털이 띠
136...구동모터
138...동력전달부재
140...후방먼지털이유닛
141...제1회전체
142...제2회전체
144...먼지털이 띠
150...제어패널
161...전방팬
162...후방팬

Claims (8)

  1. 내부에 먼지털이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을 걸어두는 거치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타격하여 상기 대상물로부터 먼지를 털어내는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 각각은,
    상기 케이스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 1 회전체 및 제 2 회전체; 및,
    탄력성 소재로 갖으며,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제 1 회전체의 측면에 편심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회전체의 측면에 편심되게 고정되는 먼지털이 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먼지털이 띠가 요동치면서 상기 대상물을 타격하여 먼지가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 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털이 띠는 상하좌우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파형으로 요동치거나, 나선형의 파형을 나타내도록 요동치면서 상기 대상물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털이 띠는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먼지털이유닛 각각은,
    상기 케이스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2 회전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먼지털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하는 외부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 일측면에는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호스와 연결되는 먼지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가동시, 상기 외부공기유입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어 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하향기류가 형성되고,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상기 하향기류에 합류하여, 상기 케이스 저면으로 이동된 후, 상기 진공청소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유입공과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힌지축에 의해 상호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케이스 및 후방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축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KR1020130148370A 2013-12-02 2013-12-02 먼지털이기 KR10152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70A KR101528684B1 (ko) 2013-12-02 2013-12-02 먼지털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370A KR101528684B1 (ko) 2013-12-02 2013-12-02 먼지털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00A KR20150063700A (ko) 2015-06-10
KR101528684B1 true KR101528684B1 (ko) 2015-06-12

Family

ID=5350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370A KR101528684B1 (ko) 2013-12-02 2013-12-02 먼지털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165A (ko) 2018-12-10 2020-06-1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복 먼지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222A (ko) * 2009-08-07 2011-02-15 김병훈 이불의 각질과 먼지 및 습분 제거장치
KR20110022819A (ko) * 2009-08-28 2011-03-08 정성현 타격에 의해서 이불을 크리닝하는 이불 크리닝 장치
KR20110133844A (ko) * 2010-06-07 2011-12-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불 청소기
KR20130119097A (ko) * 2012-04-23 2013-10-31 이동원 이불 세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222A (ko) * 2009-08-07 2011-02-15 김병훈 이불의 각질과 먼지 및 습분 제거장치
KR20110022819A (ko) * 2009-08-28 2011-03-08 정성현 타격에 의해서 이불을 크리닝하는 이불 크리닝 장치
KR20110133844A (ko) * 2010-06-07 2011-12-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불 청소기
KR20130119097A (ko) * 2012-04-23 2013-10-31 이동원 이불 세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165A (ko) 2018-12-10 2020-06-1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복 먼지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00A (ko)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3173B2 (en) Air purifier,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purifying system
PT2449937T (pt) Aspirador para pavimentos sem revestimento
CN101247750A (zh) 手持机械式软表面修复(ssr)装置及其使用方法
CN211571148U (zh) 一种纺织面料清洗装置
CN208600263U (zh) 一种新型键盘消毒杀菌装置
KR20050096037A (ko) 먼지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옷장
KR101528684B1 (ko) 먼지털이기
CN103479290A (zh) 具有拍打器的手持式吸尘器
CN105919513A (zh) 一种滚刷体及包含该滚刷体的清洁器具
CN202681826U (zh) 具有拍打器的手持式吸尘器
KR100857380B1 (ko) 차량용 매트의 세척장치
JP3129636U (ja) 花粉等の吸取装置
CN202681828U (zh) 手提式吸尘器
JPH08103403A (ja) 電気掃除機
KR20170050974A (ko) 섬유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676767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WO2010084362A1 (en) Portable device for dry cleaning of mattresses, carpets and rugs
TW202203832A (zh) 吸嘴部及包含該吸嘴部的清掃機器人
KR101765896B1 (ko)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KR100767061B1 (ko) 청소기
JPH02299627A (ja) ふとん類用電気掃除機
CN219895566U (zh) 一种除尘螨装置及设有该装置的清洁设备
CN210394940U (zh) 一种印染胚布用的毛絮清理设备
CN214180296U (zh) 除螨仪刷头及吸尘器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