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896B1 -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896B1
KR101765896B1 KR1020150189262A KR20150189262A KR101765896B1 KR 101765896 B1 KR101765896 B1 KR 101765896B1 KR 1020150189262 A KR1020150189262 A KR 1020150189262A KR 20150189262 A KR20150189262 A KR 20150189262A KR 101765896 B1 KR101765896 B1 KR 101765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pinion
roller
brush
brush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081A (ko
Inventor
이호섭
정종환
Original Assignee
이호섭
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섭, 정종환 filed Critical 이호섭
Priority to KR1020150189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8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개구되는 수용부를 갖는 상부커버체와; 상기 상부커버체의 수용부측으로 인입 가능도록 구비되도록 일단이 손잡이부를 이루고 손잡이부 타단으로 먼지털이용브러쉬가 구비되는 먼지털이부와; 상기 상부커버체 하단부와 결합되는 하부커버체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커버체는 상방이 개구되며 내부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벽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각 영역으로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가 축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부커버체 일단측 내부에 상기 점착로울러의 축과 브러쉬로울러의 축에 각각 연동 연결되는 제1피니언 및 제2피니언을 치차 결합하는 중앙피니언이 수용되기 위한 치차수용부를 구비하고, 하부커버체 하단측은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의 하단부가 돌출되도록 각각 구획 개구되도록 하여,
표면층이 불규칙한 침대 매트리스나 카펫은 물론, 표면층이 매끄러운 마루바닥 표면, 책상 표면 등 청소 대상 표면층의 매끄러움 또는 불규칙적인 표면에 부착된 먼지는 물론이고 침대 매트리스 및 이부자리 표면 등에 서식하는 집진드기 등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하되,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의 회전비를 다르게 하여 집진드기 및 먼지의 포집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위생적 실내 환경 조성은 물론 사용 후 편리한 보관성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먼지 및 진드기 제거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먼지 및 진드기 제거 청소장치{Cleaner to remove dust and mites}
본 발명은 표면층이 불규칙한 침대 매트리스나 카펫은 물론, 표면층이 매끄러운 마루바닥표면, 책상 표면 등 청소 대상 표면층의 매끄러움 또는 불규칙적인 표면에 부착된 먼지는 물론이고 침대 매트리스 및 이부자리 표면 등에 서식하는 진드기 등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하되, 먼지를 표면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로울러와 진드기를 포집하기 위한 브러쉬로울러를 연동 회동 가능하도록 하되 치차 연결에 의한 회전비의 감속 작동에 의해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의 회전비를 다르게 하여 진드기 및 먼지의 포집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본 발명의 상단부로는 먼지털이부가 수용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위생적 실내 환경 조성은 물론 사용 후 편리한 보관성을 제공하기 위한 먼지 및 집진드기 제거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기관지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들 알레르기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이 소위 알레르겐이며, 현재 확인되어 있는 것만으로 그 수는 약 200 종류에 다다른다. 진드기, 진드기의 사체, 애완 동물의 털, 꽃가루 등은 그 대표 예이며, 이들 알레르겐이 어떠한 형태로 인체와 접촉하거나 또는 체내에 들어감으로써 여러 가지 알레르기 증상이 유발된다.
이 경우, 만일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진드기 등을 약제 등으로 사멸시켜도 그 사충도 항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질환의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못한다. 따라서,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혹은 새로운 감작(感作)을 막기 위해서는 생활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알레르겐을 제거하거나 알레르겐을 변성시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시키는 유발인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는 피대상물 즉 침대커버, 침대 매트리스, 카펫 등의 표면에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액상화하여 사용하는 습식 청소방법을 채택한 청소용구가 있고, 이와는 달리 일회용이거나 교환이 가능하고, 시트 형상이나 솔 형상의 섬유상 기재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건식 형태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가 시장에서 많은 호평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진공청소기와 같은 청소 용구의 경우 열풍에 의해 침구류 및 카펫 등 직물류에 서식하고 있는 진드기 알레르겐을 사멸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으나 크기가 상당하고, 비교적 간편한 청소를 요구하는 경우 진공청소기를 운반하여 청소하는데에는 다소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으면서도 청소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09365 호의 먼지 제거장치나, 특허문헌 3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195012 호인 브러쉬나, 특허문헌 4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1129 호인 이부자리 청소 겸용 건조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 2인 경우 본체의 내부에 브러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본체와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의 내부에 모터와 충전지를 장착하여 상기 모터에 의해 브러쉬를 강제 회전토록 하여 상기 브러쉬의 흡착력을 향상시키므로서 표면이 불규칙한 매트리스나 카펫트 등의 상부면에 떨어진 먼지, 각질, 과자부스러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어 집진드기의 발생을 억제토록 하여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경우 모터 및 충전기의 장착이 필요하고 물기 등이 내부로 인입되어질 경우 장치의 손상 및 작동 불능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모터의 회전력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청소 효율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경우, 카펫트 또는 마루바닥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손쉽게 크리닝하도록 하는 브러쉬를 제공하되, 브러쉬 솔과 상기 브러쉬 솔이 장착되며 브러쉬 솔이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통공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상측에서 복개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브러쉬에서, 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베이스에 형성되는 일측 힌지공을 개구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개구된 힌지공에서 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쉬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브러쉬 솔의 착탈 수단을 갖도록 하므로서, 청소 대상품의 재질 등에 따라 선택적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다양한 브러쉬 솔의 보관이 뒤따르는 등 보관 및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4의 경우, 본체의 하부 면 모서리부분 근처에 장착된 다수개의 바퀴와 소정 형태를 가지며 몸체 하부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 근처를 따라 배치되어 외부로 열을 발생하기 위한 열선 및, 상기 열선 내측을 따라 형성된 두개의 흡입 구멍과, 그 외부 측면상에 코팅된 접착 물질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전원을 통해 코팅된 접착 물질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측면 근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먼지, 해충 및 곰팡이가 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롤러로 구성되고, 전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스위치가 턴온 되면 열선이 가열되어 이부자리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하고,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구멍을 통하여 흡수 및 롤러의 회전에 의해 먼지, 해충 및 곰팡이를 점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술의 경우 접착물질로 코팅된 롤러를 이용하여 먼지나 해충, 곰팡이 등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이부자리의 습기 등을 열선으로 건조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점착물질로 코팅된 롤러를 통하여 해충이나 진드기 등의 포집이 어려워 완전한 제거가 힘들게 된다.
공개특허 특 2000-0015202 특허등록 제 10-1309365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0195012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0361129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 제거는 물론, 이부자리나 침대매트리스 등의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진드기등도 동시에 포집,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먼지 및 집진드기 제거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개구되는 수용부를 갖는 상부커버체와,
상기 상부커버체의 수용부측으로 인입 가능도록 구비되도록 일단이 손잡이부를 이루고 손잡이부 타단으로 먼지털이용브러쉬가 구비되는 먼지털이부와,
상기 상부커버체 하단부와 결합되는 하부커버체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커버체는 상방이 개구되며 내부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벽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각 영역으로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가 축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부커버체 일단측 내부에 상기 점착로울러의 축과 브러쉬로울러의 축에 각각 연동 연결되는 제1피니언 및 제2피니언을 치차 결합하는 중앙피니언이 수용되기 위한 치차수용부를 구비하고, 하부커버체 하단측은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의 하단부가 돌출되도록 각각 구획 개구되도록 하여,
상하부커버체가 결합 된 상태에서 청소 대상물의 표면에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가 접하는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를 연동 회전시켜 먼지, 머리카락, 이물질들은 점착로울러의 표면에 점착 포집되고, 진드기, 해충은 브러쉬로울러를 통하여 포집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층이 불규칙한 침대 매트리스나 카펫은 물론, 표면층이 매끄러운 마루바닥표면, 책상 표면 등 청소 대상 표면층의 매끄러움 또는 불규칙적인 표면에 부착된 먼지는 물론이고 침대 매트리스 및 이부자리 표면 등에 서식하는 진드기 등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먼지를 표면에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로울러와 집진드기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브러쉬로울러를 연동 회동 가능하도록 하되 치차 연결에 의한 회전비의 감속 작동에 의해 점착로울러와 브러쉬로울러의 회전비를 다르게 하여 집진드기 및 먼지의 포집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본 발명의 상단부로는 먼지털이개가 수용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위생적 실내 환경 조성은 물론 사용 후 편리한 보관성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청소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장치 저면을 보여준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청소장치를 분리 도시한 분리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커버체의 구성요소를 분리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중앙피니언과 점착로울러 및 브러쉬로울러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제1,2피니언의 치차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개괄적 단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갖는 청소용 도구 또는 장치를 제공하여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 제거는 물론 진드기의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먼지나 머리카락류 등의 이물질 제거는 점착로울러를 통하여 포집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이부자리나 침대매트리스 및 카펫트류 등 표면이 불규칙하면서도 진드기의 서식이 가능한 대상물에는 브러쉬로울러에 의해 상기 진드기의 포집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먼지털이부(10)가 일측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상부커버체(100)와, 상기 상부커버체(100)의 하단과 결합 되는 하부커버체(200)와, 상기 하부커버체(200) 내부에 구획되며 구비되는 점착로울러(300) 및 브러쉬로울러(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상부커버체(100)는, 도면에서 보듯이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일단측은 개구되어 수용부(110)를 형성하고 하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이루며 막혀지게 되는 하단격벽(120)을 이루고, 상기 수용부(110)의 타측면은 막혀지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110)측으로는 먼지털이부(10)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먼지털이부(10)는 도 3에서 보듯이, 손잡이부(11)가 일측에 구성되고 손잡이부(11) 타측방향으로 연하여 이루어지는 먼지털이용브러쉬(12)가 구비된다.
상기 먼지털이부(10)는 청소시 상부커버체(100)의 수용부(110)로부터 인출하여 가구 등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들을 포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용부(110)에 인입한 후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하부커버체(100,200)를 측면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체(200)는 상부커버체(1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커버체(200)의 상방은 개구되며 내부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벽(210)이 하부커버체(20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 구성된다.
상기 구획벽(210)에 의해 하부커버체(200) 내부를 영역 구획하여 얻게 되는 각 영역으로는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가 안착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점착로울러(300)가 안착 구비되는 구획 영역을 제1구획영역(220)이라 칭하고, 브러쉬로울러(400)가 안착 구비되는 구획 영역을 제2구획영역(230)이라 칭한다.
한편 상기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가 구획벽(210)에 의해 구획되는 제1구획영역(220)과 제2구획영역(230)에 안착되며, 상기 점착로울러(300)의 축(310)과 브러쉬로울러(400)의 축(410)이 각각의 로울러(300,400) 양단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커버체(200)의 양단측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축지지격벽(240)의 축지지홈(241)에 각각 안착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점착로울러(300)의 축(310) 및 브러쉬로울러(400)의 축(410) 선단부측으로 각각 제1피니언(320)과 제2피니언(4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피니언(320)과 제2피니언(420)의 중앙에 중앙피니언(260)이 치차 결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1피니언(320) 및 제2피니언(420)과 중앙피니언(260)이 수용되도록, 하부커버체(200)의 선단 내측으로 치차수용부(250)를 형성한다.
상기 중앙피니언(260)은 치차수용부(250)의 중앙에 위치되며 중앙피니언(260)의 피니언축(261)이 치차수용부(250) 내부 전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였다.
예컨데 치차수용부(250)의 내부 전후면에 각각 피니언축(261)을 지지하기 위한 축홈(도면부호 미기재) 등을 형성하게 되면, 중앙피니언(260)은 피니언축(261)에 의해 고정 지지 된 상태에서 제1피니언(320)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2피니언(420)측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1피니언(320)은 점착로울러(300)와 연결되는바, 점착로울러(300)는 주로 매끄러운 표면인 바닥재 또는 표면이 불규칙한 매트리스 등에 국한되지 않고 청소대상체의 표면에 접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되며, 제2피니언(420)은 브러쉬로울러(400)와 연결되는바 상기 브러쉬로울러(400)는 매트리스, 이부자리등 표면이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청소대상물 표면에서 회동되어지는데, 상기 점착로울러(300)의 점착 표면층으로 인하여 마찰계수가 브러쉬로울러(400) 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되므로, 주로 점착로울러(300)의 회전이 주 회동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브러쉬로울러(400)는 상기 점착로울러(3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브러쉬로울러(400)의 브러쉬는 진드기 등의 포집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말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중앙피니언(260)은 제1피니언(320)의 회동력을 제2피니언(420)으로 전달하게 되는 전달자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의 회전비를 다르게 구성하였다.
점착로울러(300)의 제1피니언(320) 직경을 크게 하고, 브러쉬로울러(400)의 제2피니언(420)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하도록 구성하여, 중앙피니언(260)과 각각 치차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점착로울러(300)의 회전비에 대비하여 브러쉬로울러(400)는 상대적으로 빠른 회전 속도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즉, 점착로울러(300)의 회전비에 대비하여 브러쉬로울러(400)의 회전비를 빠르게 구성하므로서, 브러쉬로울러(400)를 통하여 진드기 등이 포집된 후 브러쉬로울러(400)가 위치되는 제2구획영역(230)의 측방면에 형성되는 진드기포집공간(231)으로 원심력에 의해 진드기 등이 브러쉬로울러(400)로부터 이탈된 후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진드기포집공간(231)은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하부커버체(200)의 제1,2구획영역(220,230)에서 브러쉬로울러(400)가 구비되는 제2구획영역(230)의 측면으로, 하부커버체(200) 저면으로부터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포집격벽(232)을 형성하여, 진드기포집공간(231)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확보되는 진드기포집공간(231)에 의해, 브러쉬로울러(400)가 표면이 불규칙한 침대매트리스, 이부자리, 카펫 등의 표면을 훑을 때 그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진드기등이 브러쉬로울러(400)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브러쉬에 걸려 포집되는데, 빠르게 회전되는 브러쉬로울러(400)의 원심력에 의해 그 포집된 진드기 등은 포집격벽(232)에 의해 구성되는 진드기포집공간(231)측으로 수용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드기포집공간(231)에 포집 처리되는 진드기 등을 박멸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드기포집공간(231)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부커버체(100)의 저부면측으로 살균처리부(13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살균처리부(130)는 통상적인 자외선 살균 램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살균처리부(1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건전지 수납에 의한 전원 공급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점착로울러(300)가 수용되는 제1구획영역(220)의 상단부를 개페하기 위한 커버체(221)를 형성하여 점착로울러(300)의 표면에 포집되는 각종 먼지류 등이 구획벽(210)을 넘어 제2구획영역(230)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착로울러(300)는 수용성 점착물질에 의해 로울러 표면에 도포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청소 후 점착로울러(300)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하여 물에 의해 세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점착로울러(300) 표면층으로 수용성 점착물질의 도포 처리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도포 처리 가능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실내 청소를 할 때,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가 각각 피청소대상물의 표면에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점착로울러(300)는 피청소대상물 표면과 접하는 상태를 이루고 브러쉬로울러(400)의 브러쉬는 피청소대상물 표면에 브러쉬 단부가 닿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커버체(100)의 수용부(110)측에 수납되어 있는 먼지털이부(10)의 손잡이부(11)를 이용하여 측방향으로 본 발명을 이동하게 되면, 점착로울러(300)와 피청소대상물 표면간 접촉에 의해 점착로울러(300)는 회전되며 피청소대상물 표면에 잔존하는 먼지, 머리카락 등을 점착시키며 포집 처리하게 된다.
아울러 동시에, 점착로울러(300)의 축(310)에 연동되도록 축설되는 제1피니언(320)과 치차결합되어 있는 중앙피니언(260) 및, 상기 중앙피니언(260)과 치차결합되어 있는 제2피니언(420)은, 상기 점착로울러(300)의 회동에 따라 연동 회동되며 제2피니언(420)이 회전됨에 따라 제2피니언(420)의 축(410)과 연동 회전되도록 구성된 브러쉬로울러(400)도 동시에 회전되면서 피청소대상물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진드기 등을 포집처리한 후, 진드기포집공간(231)으로 진드기를 수용 포집할 수 있을 것이다.
진드기포집공간(231)에 포집 된 진드기는 상방에 구비되는 살균처리부(130)에 의해 살균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청소대상물이 침대 매트리스, 이부자리, 카펫과 같은 경우에는 표면층에 잔존하는 먼지, 머리카락 등 이물질들과 진드기 등을 동시에 포집 처리할 수 있을 것이며, 마루바닥재 등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운 피청소대상물일 경우 주로 점착로울러(300)에 의해 먼지와 머리카락 등 이물질을 포집처리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피청소대상물 표면의 머리카락, 먼지, 진드기 등의 제거가 완료된 후에는 필요에 따라 상부커버체(100)의 상면측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있는 먼지털이부(10)를 인출 한 후 먼지털이용브러쉬(12)를 이용하여 가구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등을 포집처리하여 털어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청소 작업이 완료된 후 본 발명을 수직상으로 입설하여 실내 적정 장소에 정리된 상태로 보관 처리할 수 있어, 기존의 청소 동구와 같이 분산되어 보관함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먼지털이부 11; 손잡이부
12; 먼지털이용브러쉬 100; 상부커버체
110; 수용부 120; 하단격벽
130; 살균처리부 200; 하부커버체
210; 구획벽 220; 제1구획영역
221; 커버체 230; 제2구획영역
231; 진드기포집공간 232; 포집격벽
240; 축지지격벽 241; 축지지홈
250; 치차수용부 260; 중앙피니언
261; 피니언축 300; 점착로울러
310; 축 320; 제1피니언
400; 브러쉬로울러 410; 축
420; 제2피니언

Claims (7)

  1. 내부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개구되는 수용부(110)를 갖는 상부커버체(100)와, 상기 상부커버체(100)의 수용부(110)측으로 인입 가능도록 구비되도록 일단이 손잡이부(11)를 이루고 손잡이부(11) 타단으로 먼지털이용브러쉬(12)가 구비되는 먼지털이부(10)와, 상기 상부커버체(100) 하단부와 결합되는 하부커버체(200)를 구비하는 먼지 및 진드기 제거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체(200) 내부에 구비되는 브러쉬로울러(400)와, 상기 브러쉬로울러(400) 보다 큰 마찰계수를 가지며 그 회전이 주 회동력으로 작용하여 브러쉬로울러(400)을 연동시키도록 수용성 점착물질이 표면에 도포된 점착로울러(300); 및
    상기 점착로울러(300)의 축(310)에 연동되도록 축설되는 제1피니언(320)과, 상기 제1피니언(320)에 치차결합 되는 중앙피니언(260), 및 상기 중앙피니언(260)에 치차결합 되며 브러쉬로울러(400)의 축(410)에 연결되는 제2피니언(42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체(200)는 상방이 개구되며 내부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벽(210)이 형성되고, 하부커버체(200)의 양단측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축지지격벽(240)의 축지지홈(241)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벽(210)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각 영역으로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가 축회전 가능하도록 각각의 축(310, 410)이 상기 축지지홈(241)에 각각 안착되고, 하부커버체(200) 일단측 내부에 제1피니언(320)과 제2피니언(420) 및 중앙피니언(260)이 수용되기 위한 치차수용부(250)를 구비하고, 하부커버체(200) 하단측은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의 하단부가 돌출되도록 각각 구획 개구되도록 하여,
    피청소대상물의 표면에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가 접하는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점착로울러(300)와 브러쉬로울러(400)를 연동 회전시켜 먼지와 머리카락 및 이물질들은 점착로울러(300)의 표면에 점착 포집되고, 진드기와 해충은 브러쉬로울러(400)를 통하여 포집 처리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커버체(200)의 제1,2구획영역(220,230)에서 브러쉬로울러(400)가 구비되는 제2구획영역(230)의 측면으로, 하부커버체(200) 저면으로부터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포집격벽(232)을 형성하여 진드기포집공간(231)을 확보하고,
    상기 진드기포집공간(231)에 포집 처리되는 진드기 등을 박멸하기 위하여 진드기포집공간(231)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부커버체(100)의 저부면측으로 살균처리부(130)를 구성하며,
    상기 점착로울러(300)가 수용되는 제1구획영역(220)의 상단부를 개페하기 위한 커버체(221)를 형성하는 먼지 및 진드기 제거 청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로울러(300)의 제1피니언(320) 직경을 크게 하고, 브러쉬로울러(400)의 제2피니언(420)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하도록 구성하며 중앙피니언(260)과 각각 치차 결합되도록 하여, 점착로울러(300)의 회전비에 대비하여 브러쉬로울러(400)는 상대적으로 빠른 회전 속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먼지 및 진드기 제거 청소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로울러(400)의 브러쉬는 말총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먼지 및 진드기 제거 청소장치.
KR1020150189262A 2015-12-30 2015-12-30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KR101765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62A KR101765896B1 (ko) 2015-12-30 2015-12-30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62A KR101765896B1 (ko) 2015-12-30 2015-12-30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81A KR20170079081A (ko) 2017-07-10
KR101765896B1 true KR101765896B1 (ko) 2017-08-16

Family

ID=5935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262A KR101765896B1 (ko) 2015-12-30 2015-12-30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174A (ko) 2022-03-23 2023-10-05 주식회사 이바이오젠 진드기와 유해물질의 검출이 가능한 무선 핸디형 진공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012Y1 (ko) * 2000-03-23 2000-09-01 강세환 브러쉬
KR100444717B1 (ko) * 2003-03-19 2004-08-25 주태숙 자외선 살균 기능이 있는 브러시형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012Y1 (ko) * 2000-03-23 2000-09-01 강세환 브러쉬
KR100444717B1 (ko) * 2003-03-19 2004-08-25 주태숙 자외선 살균 기능이 있는 브러시형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174A (ko) 2022-03-23 2023-10-05 주식회사 이바이오젠 진드기와 유해물질의 검출이 가능한 무선 핸디형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81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2983T3 (es) Aspirador de suelos desnudos
US20140165313A1 (en) Lightweight sweeper
US20060288516A1 (en) Handheld mechanical soft-surface remediation (SSR)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8521707A (ja) デュアル回転アジテータを備える表面清掃ヘッド
US20150230682A1 (en) Floor and Mat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08536547A (ja) 柔軟な表面の修復用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710121B1 (ko) 반려동물 드라이 룸
US8769769B1 (en) Floor cleaning apparatus
KR101765896B1 (ko)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KR20120037057A (ko) 다목적 살균장치
KR200484990Y1 (ko) 청소기
US20160100725A1 (en) Vacuum portals to alleviate strains and stresses of vacuum cleaning
US20180135656A1 (en) Ceiling fan blade cleaner
JP2016030055A (ja) 布団清掃用吸込具及び、布団用清掃機
US20060054187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propelled cleaning
US7987549B2 (en) Vacuum cleaner with a massage head
US10980384B2 (en) Surface cleaning device
WO2020098144A1 (zh) 除尘清洁装置及其使用方法
TWM277424U (en) Remote controlled sweeper
CN108937495A (zh) 自清洁地垫
JPH0639621Y2 (ja) 抜け毛等の回収装置
KR101302659B1 (ko) 이불청소기
KR200416717Y1 (ko) 진공청소기의 진드기 흡입장치
KR101309365B1 (ko) 먼지 제거장치
KR20150063700A (ko) 먼지털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