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012Y1 - 브러쉬 - Google Patents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012Y1
KR200195012Y1 KR2020000008312U KR20000008312U KR200195012Y1 KR 200195012 Y1 KR200195012 Y1 KR 200195012Y1 KR 2020000008312 U KR2020000008312 U KR 2020000008312U KR 20000008312 U KR20000008312 U KR 20000008312U KR 200195012 Y1 KR200195012 Y1 KR 200195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ver
base
slide plat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세환
Original Assignee
강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세환 filed Critical 강세환
Priority to KR2020000008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2Carpet-sweepers
    • A47L11/33Carpet-sweepers having means for storing di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페트 또는 마루바닥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의 손쉽게 크리닝하는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브러쉬 솔과, 상기 브러쉬 솔이 장착되며 브러쉬 솔이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통공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상측에서 복개하는 커버로구성되는 브러쉬에서 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일측 힌지공을 개구되게 형성하되, 상기 개구된 힌지공에서 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기존 브러쉬 솔 고정타입의 브러쉬가 제한된 종류의 크리닝 대상물에서만 크리닝 효과를 거두는데 비하여 크리닝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간편하게 브러쉬 솔을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크리닝 대상물에서 최대한 크리닝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며, 아울러 브러쉬 솔에 잔류하는 올이 긴 이물질들도 브러쉬홀의 회전과 동시에 제거토록 함으로써 크리닝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러쉬{Brush}
본 고안은 통상 카패트 또는 마루바닥을 청소할 수 있는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러쉬 솔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피크리닝 대상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브러쉬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장방형의 사각통공(1a)이 천공된 베이스(1)의 상부에 커버(2)가 복개되어 케이싱을 구성하도록 하고, 베이스(1)의 상측으로 사각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칸막이(1b)를 형성하여 사각통공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수납되는 이물질 수납부(1c)를 형성하며, 사각통공의 양단 칸막이에는 힌지공(1d)을 형성하여 이 힌지공에 브러쉬 솔(3)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브러쉬 솔(3)의 양단부에는 회전체(4)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브러쉬의 사용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리닝 대상물 위에 브러쉬를 올려놓아 브러쉬 솔(3)이 대상물과밀착된 상태에서 브러쉬의 케이싱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브러쉬 솔(3)이 회전되면서 대상물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대상물에서 감아올려 이물질 수납부(1c)에 적재토록함으로써 크리닝 대상물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브러쉬는 브러쉬 솔(3)의 양단에결합된 회전체(4)가 프라스틱 재질과 같은 마찰력이 작은 재질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일반 카페트와 같이 마찰력이 비교적 큰 크리닝 대상물에서는 브러쉬 솔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브러쉬 솔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나, 마루바닥과 같은 마찰력이 매우 작은 크리닝 대상물을 크리닝하는 경우에는회전체(4)와 크리닝 대상물 상호간의 마찰력이 작용되지 않아 회전체의 회전이 어렵기때문에 브러쉬 솔(3)도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게 되며, 브러쉬 솔이 정지상태에서 케이싱만 이동되기 때문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마루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마찰력이 큰 재질 즉, 고무 재질의 회전체를 갖는 브러쉬를 별도를 구입해야 하므로 소비자가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있다.
또한, 통상의 브러쉬 솔은 말총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올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퍼져나가도록 결합한 상태이기 때문에 크리닝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이 올이 긴 실 또는, 머리카락인 경우에 브러쉬 솔(3)에 엉켜있는 실 또는 머리카락이 이물질 수납부(1c)측으로 옮겨지지 않은 상태로 계속 잔류함으로써 브러쉬 솔이 이물질을 분리하는 작용을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주목적은 브러쉬가 크리닝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재질에 관계없이 브러쉬의 원활한 크리닝 동작을 구현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크리닝 되는 이물질이 올이 긴 경우에 브러쉬 솔에서이물질을 분리하도록 하여 이물질 제거 기능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브러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개략 횡단면도.
도 3은 종래 브러쉬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브러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부분절결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6의 커버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13b ; 개구된 힌지공
14 ; 가이드레일 20 ; 커버
21 ; 빗 22 ; 스토퍼
30 ; 브러쉬 솔 40 ; 회전체
51 ; 슬라이드 플레이트 52 ; 판스프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브러쉬는 브러쉬 솔과, 상기 브러쉬 솔이 장착되며 브러쉬 솔이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통공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상측에서 복개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브러쉬에 있어서,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일측 힌지공을 개구되게 형성하되, 상기 개구된 힌지공에서 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브러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부분절결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커버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는 중앙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사각통공(11)이 형성된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부를 복개하는 커버(20)와, 베이스의 사각통공(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베이스(10)에 장착되는 브러쉬 솔(30)과, 브러쉬 솔(30)을 착탈하기 위한 착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0)에는 사각통공(11)의 가장자리에 수거되는 이물질이 적재되는 이물질 수납부(12)를 구획하는 칸막이(13)가 형성되어 있는 바, 사각통공의 양측에 형성된 칸막이중 일측 칸막이에는 폐쇄된 힌지공(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칸막이에는 상부가 개구된 힌기공(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각통공의 양측 칸막이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2열의 가이드레일(1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0)의 내측면에는 브러쉬 솔(30)에 잔류하는 올이 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빗(21)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설치되어 있고, 일측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22)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20)의 일부에는 투명재질의 투시창(23)을 장착하여 커버의 내측으로 베이스의 이물질 수납부(12)에 수납되는 이물질의 적재량을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한다.
브러쉬 솔(30)의 양단부에는 브러쉬 솔이 크리닝 대상물에서 원활하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체(40)가 결합되어 있다.
브러쉬 솔을 교체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 착탈수단은 상술한 가이드레일(14)과, 가이드레일(14)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1)와, 슬라이드 플레이트(51)를 브러쉬 솔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판스프링(52)이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4)의 단면은 키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1)의 양측에는 하방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드홈(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중앙 상부에는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40a)가 규제되는 고정공(51b)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공의 하측에는 판스프링(52)의 중앙 선단부를 상측에서 지지고정하는 절곡부(51c)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52)은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양단부는 가이드레일의 스프링 고정홈(14a)에 고정되고, 볼록형성된 중앙의 선단부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절곡부(51c)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4)은 후단부에 슬라이드 플레이트(51)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 브러쉬는 브러쉬 홀의 양단부에 결합되는회전체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의 회전체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이다.
평상시에는 회전체(40)를 플라스틱 재질로 된 브러쉬 솔을 장착한 상태로 사용하다가 크리닝 대상물체가 마루바닥 등과 같이 마찰력이 작은 경우에는 회전체가고무재질인 브러쉬 솔로 교체하게 된다.
브러쉬 솔의 교체 순서를 설명하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커버(20)를 베이스(10)에서 분리한 후에,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40a)를 규제하고 있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1)를 외측방향 즉,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판스프링(5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밀어주면, 슬라이드 플레이트(51)는 가이드레일(14)에 안내되어 도 9B에서 처럼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40a)가 슬라이드 플레이트(51)의 고정공(51b)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일측 힌지부(40a)를 개구된 힌지공(13b)에서 이탈시킨 후에 타측 힌지부를 폐쇄된 힌지공(13a)에서 잡아당기면 브러쉬 솔(30)이 베이스에서 분리된다.
다음에는 교체하려는 브러쉬 솔을 베이스에서 분리하는 순서와 역순으로 결합하면 되는 바, 먼저 회전체가 고무 재질인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를 폐쇄된 힌지공(13a)에 끼운 상태에서 타측 힌지부를 개구된 힌지공(13b)에 삽입한 후에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있던 슬라이드 플레이트(51)에서 힘을 제거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51)는 판스프링(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가이드레일(14)을 타고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고정공(51b)에 브러쉬 솔의 타측 힌지부(40a)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 플레이트(51)는 판스프링(52)에 지지되어 브러쉬 솔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후 커버(20)를 베이스(10)에 복개시키면 커버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스토퍼(22)가 슬라이드 플레이트(51)를 하측으로 눌러주게 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며, 브러쉬 솔의 교체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브러쉬 솔을 교체한 후에 브러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브러쉬 솔에 달라붙거나, 엉기는 올이 긴 타입의 이물질들은 브러쉬 솔의 상측 커버(20)의 내주면에 마련된 빗(21)에 의하여 브러쉬 솔이 회전되는 동작시 브러쉬 솔에서 분리하므로 브러쉬 솔이 잔류하는 이물질로 인해 청소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과 같이 교체가 간편한 브러쉬는 기존에브러쉬 솔 고정타입의 브러쉬가 제한된 종류의 크리닝 대상물에서만 크리닝 효과를거두는데 비하여 크리닝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간편하게 브러쉬 솔을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크리닝 대상물에서 최대한 크리닝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브러쉬 솔에 잔류하는 올이 긴 이물질들도 브러쉬 홀의 회전과 동시에 제거토록 함으로써 크리닝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브러쉬 솔과, 상기 브러쉬 솔이 장착되며 브러쉬 솔이 하부측으로 노출되는통공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상측에서 복개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일측 힌지공을 개구되게 형성하되, 상기 개구된 힌지공에서 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을 구비한 브러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브러쉬 솔의 일측 힌지부가 고정되는 고정공을 갖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레일과,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양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고 중앙의 선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탄지하는 방향에서 고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브러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부에는 커버가 베이스를 복개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하향되게 설치되는 브러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하방향으로 상기 브러쉬 솔과 접촉되도록 빗이 구비되는 브러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부에는 커버의 내측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이 구비되는 브러쉬.
KR2020000008312U 2000-03-23 2000-03-23 브러쉬 KR200195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312U KR200195012Y1 (ko) 2000-03-23 2000-03-23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312U KR200195012Y1 (ko) 2000-03-23 2000-03-23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012Y1 true KR200195012Y1 (ko) 2000-09-01

Family

ID=1964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312U KR200195012Y1 (ko) 2000-03-23 2000-03-23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0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896B1 (ko) * 2015-12-30 2017-08-16 이호섭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896B1 (ko) * 2015-12-30 2017-08-16 이호섭 먼지 및 진드기제거 청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01196B2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CN104080384B (zh) 用于真空吸尘器吸嘴的清洁装置
JP3641618B2 (ja) 清掃器具
US5150491A (en) Hair brush
KR200403071Y1 (ko)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KR200195012Y1 (ko) 브러쉬
JP2010150848A (ja) 開閉装置用清掃装置及び開閉装置
US1057541A (en) Rack for holding brushes.
KR200451606Y1 (ko) 세척이 용이한 머리빗
US3885264A (en) Cleaning brush with dust removing and collecting means
JP3951295B2 (ja) ヘアーキャッチャー
US3925843A (en) Cleaning brush device
KR100614878B1 (ko) 양면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JP2002315704A (ja) 清掃具
KR200310237Y1 (ko) 간이식 청소기
KR200171281Y1 (ko) 치솔
JP3849351B2 (ja) 清掃装置
JPH08164098A (ja) 掃除機用床ノズル
CN219500940U (zh) 一种磁吸式组合扫把
JPS6013049Y2 (ja) 電動式レコ−ドクリ−ナ−
KR200415198Y1 (ko) 먼지제거구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스팀청소기
JPS6317041Y2 (ko)
JP2939130B2 (ja) 花卉の下葉取り機
US4442565A (en) Portable pocket clothes brush
KR200276412Y1 (ko) 원터치 컷팅 크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