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138A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138A
KR20090126138A KR1020080052326A KR20080052326A KR20090126138A KR 20090126138 A KR20090126138 A KR 20090126138A KR 1020080052326 A KR1020080052326 A KR 1020080052326A KR 20080052326 A KR20080052326 A KR 20080052326A KR 20090126138 A KR20090126138 A KR 2009012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t wind
hot air
dry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331B1 (ko
Inventor
정기욱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331B1/ko
Priority to CN2009801179266A priority patent/CN102037179B/zh
Priority to EP09758503.8A priority patent/EP2287392A4/en
Priority to US12/935,227 priority patent/US8479410B2/en
Priority to PCT/KR2009/002934 priority patent/WO2009148250A2/ko
Publication of KR2009012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및 건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강한 열풍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과정과;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약한 열풍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제2 건조 과정;을 포함하는 건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안한 건조 알고리즘에 따라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울(wool) 섬유 재질의 피건조물의 수축과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조기 및 건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강한 열풍과 약한 열풍으로 울(wool) 섬유 재질의 피건조물을 건조함으로써,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피건조물의 수축과 주름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 및 건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의 일종으로써,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구분하는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우선,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또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또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건조기 내부로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분류방식과 무관하게 고온의 열기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피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고온의 공기와 시간 접촉할 수 있는 시간과, 공기의 온도대역이 상이하다. 즉, 피건조물과 접촉하는 공기의 온도나 접촉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피건조물의 재질에 따라 피건조물에 심한 열적손상을 입히거나 주름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수용된 피건조물이 울(wool) 섬유의 재질인 경우에는 고온의 열풍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 피건조물에 열적 손상을 입히고, 심한 수축이나 주름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열풍공급과 함께 피건조물이 수용된 드럼을 텀블링함으로써, 울(wool) 재질의 피건조물이 건조과정에서 열풍과 접촉하여 심하게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과정의 종료단계에 소정시간의 쿨링과정을 수행함으써, 울(wool) 재질의 피건조물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제어방법은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강한 열풍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과정과;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약한 열풍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제2 건조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건조과정은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상기 드럼 내부로 고용량의 히터에 의한 강한 열풍을 공급하는 강열풍 공급단계와; 상기 강한 열풍의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냉각하는 강열풍 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건조과정은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상기 드럼 내부로 저용량의 히터에 의한 약한 열풍을 공급하는 약열풍 공급단계와; 상기 약한 열풍의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냉각하는 약열풍 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건조과정은 배출열풍의 온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배출열풍의 온도 및 상기 제1,2 건조과정의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제될 수 있다.
상기 제1,2 건조과정은 각각의 단계의 수행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측정단계와; 상기 각각의 단계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검출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열풍 공급단계는 상기 검출된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측정된 텀블링시간이 제1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상기 강열풍 차단단계는 상기 검출된 열풍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까지 하강하거나 상기 측정된 텀블링시간이 제2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상기 약열풍 공급단계는 상기 검출된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측정된 수행시간이 제1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상기 약열풍 차단단계는 상기 검출된 열풍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까지 하강하거나 상기 측정된 수행시간이 제2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각각의 과정의 수행시간 또는 상기 배출 열풍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과정과, 상기 제2 건조과정 후에 피건조물을 냉각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 제거과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드럼 과, 히터 유닛과, 상기 히터 유닛이 생성한 열풍을 드럼으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과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을 강한 열풍과 약한 열풍으로 반복건조하도록 상기 히터 유닛과 모터를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피건조물을 냉각하여 주름을 제거하도록 상기 히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 유닛은 고용량의 히터와, 저용량의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열풍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 및 모터를 온-오프제어하며, 바람직하게는 열풍온도 및 상기 건조기의 각각의 행정이 수행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히터 및 모터를 온-오프제어한다.
본 발명은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에 열풍을 공급하고 냉각하는 강열풍의 건조과정과 약열풍의 건조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울(wool) 섬유 재질의 피건조물을 수축없이 건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과정이 종료된 후에 울(wool) 섬유 재질의 피건조물을 냉각함으로써, 피건조물에 발생하는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프런트 로딩 방식, 전기식, 응축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탑 로딩 방식, 가스식, 응축식 건조기 등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부를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다.
건조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 도어(111)가 형성된 캐비넷(110)과, 캐비넷(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12)과, 드럼(112)의 내부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열풍 안내덕트(113)와, 드럼(112)의 내부를 통과한 열풍을 배출하기 위한 열풍 배출덕트(114)와, 외부의 공기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송풍팬(115)과, 열풍 배출덕트(114)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222)를 포함한다.
개구부(16)는 의류를 드럼(112)의 내부로 투입하거나 꺼내기 위하여 도어(111)가 장착된 캐비넷(110)의 전면에 형성된다. 드럼(112)은 캐비넷(110)의 저부에 설치된 모터(117)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117)는 드럼(112)과 송풍팬(115)을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모터(117)의 구동축(118)이 모터(117)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구동축(118)의 일단은 송풍팬(115)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드럼(112)을 회전시키기 위한 풀리(119)에 연결된다. 풀리(119)에는 드럼(112)을 감싸도록 설치된 벨트(120)가 연결된다.
열풍 배출덕트(114)는 드럼(112)의 전면의 하부와 송풍팬(115) 사이에 배치 되는데, 그 일단에는 필터(121)가 설치되어 드럼(112)을 통과한 열풍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거르게 된다. 송풍팬(115)의 출구에는 원통형상의 파이프로 만들어지며, 그 개방단이 캐비넷(110)의 외부로 연장된 배기덕트(122)가 결합된다. 배기덕트(122)의 개방단에는 개폐밸브(123)가 설치되어서, 송풍팬(115)이 작동될 때에는 열풍에 의해 배기덕트(122)를 개방하며, 송풍팬(115)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배기덕트(122)를 폐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열풍 안내덕트(113)의 상부에는 히터 유닛(125)이 설치되어서 모터(117)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115)과 드럼(112)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이 히터 유닛(125)을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열풍 안내덕트(113)를 통하여 드럼(112)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드럼(112)의 내부에 투입된 의류는 이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한편, 드럼(112)을 통과한 열풍은 열풍 배출덕트(114)와 배기덕트(1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히터 유닛(125)은 1750W의 고용량 히터(131)와, 750W의 저용량 히터(132)로 이루어진다.
한편, 캐비넷(110)의 소정 위치에는 워터 탱크(미도시)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스팀발생기(미도시)(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가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 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을 참조하여, 제어부(2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소정 위치에는 피건조물에 대한 열풍공급과 쿨링을 조절하기 위하여 모터(117)와 히터 유닛(125)을 제어하는 제어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열풍공급 및 쿨링 과정의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221)와, 드럼(112)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222)가 구비된다.
온도검출부(222)는 열풍 배출덕트(114)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열풍 배출덕트(114)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한다. 시간측정부(221)는 히터 유닛(125)에 의해서 발생된 열풍이 드럼(112) 내부로 공급되는 시간, 드럼(112) 내부의 피건조물이 냉각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제어부(210)는 상기 검출된 온도, 측정된 시간 등을 포함한 상술된 건조기의 각종 구성부분으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히터 유닛(125), 송풍팬(115), 모터(117)의 제어를 통하여 건조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온도검출부(222)는 드럼(112)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어부(210)는 상기 검출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범위 이내의 값인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히터 유닛(125) 및 모터(117)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시간측정부(221)는 히터 유닛(125)에 의해서 생성된 열풍이 드럼(112) 내부로 공급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측정된 시간이나 검출된 온도와 기설정된 시간이나 온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피건조물에 대한 처리과정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강한 열풍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112)을 텀블링하는 과정과, 약한 열풍을 공급하면서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112)을 텀블링하는 과정으로 건조기를 제어한다.
강한 열풍으로 건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1750W의 고용량 히터(131)를 온(on) 시키고, 송풍팬(115)을 정회전시켜 드럼 내부로 강한 열풍을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112)이 텀블링하도록 모터(117)를 제어한다.
약한 열풍으로 건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750W의 저용량 히터(131)를 온(on) 시키고, 송풍팬(115)을 정회전시켜 드럼 내부로 약한 열풍을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112)이 텀블링하도록 모터(117)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강한 열풍 건조와 약한 열풍 건조가 종료하면, 제어부(210)는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피건조물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냉각하도록 상기 건조기를 제어한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각각의 과정의 수행시간 또는 상기 배출 열풍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검출부(222)의 위치가 열풍 배출덕터(114)에 구비되어 있으나, 열풍 안내덕트(113)나 드럼(112)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검출부(222)는 드럼(112)의 내부에 구비되어 드럼(112) 내부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열풍의 공급과 드럼의 텀블링으로 울재질의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모터와 히터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열풍 건조과정과정을 종료시키기 위한 모터와 히터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열풍의 공급과 드럼의 텀블링으로 울재질의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모터와 히터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열풍 건조과정과정을 종료시키기 위한 모터와 히터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건조기 제어방법은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112)을 텀블링하면서 강한 열풍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과정(S310)과,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약한 열풍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제2 건조 과정(S320)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건조과정은 열풍온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건조 과정은 강열풍을 공급하는 강열풍 공급단계(S311)과 강열풍 공급을 중단하는 강열풍 차단단계(S313)로 수행되고, 상기 제2 건조 과정은 약한 열풍을 공급하는 약열풍 공급단계(S321)과 약한 열풍의 공급을 중단하는 약열풍 차단단계(S323)로 수행된다.
상기 강열풍 공급단계가 시작되면, 제어부(210)는 송풍팬(115)이 정회전하도 록 모터(117)를 온시키고(S411), 1750W의 고용량 히터(131)를 온시킨다(S412). 그리고 나서, 송풍팬(115)은 고용량 히터(131)에 의해서 생성된 강한 열풍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제어부(210)는 드럼(112)을 텀블링시킨다(S311).
상기 강열풍 공급단계는 상기 강한 열풍공급 및 텀블링 동작을 강한 열풍의 온도(Temp.h1) 또는 수행시간(Time.h1)이 각각의 기준온도(temp_ref.h1) 또는 기준시간(Time_ref.h1)에 도달하는 경우까지 유지된다(S312).
여기서, 기준온도(temp_ref.h1)는 43℃이고, 기준시간(Time_ref.h1)은 4분이다.
상기 강한 열풍이 공급되는 과정이 종료되고 상기 강열풍 차단단계가 시작되면, 제어부(210)는 상기 고용량 히터(131)와 모터(117)를 오프시킨다(S511,S512). 상기 강열풍 차단단계는 강한 열풍의 온도(Temp.h2) 또는 수행시간(Time.h2)이 각각의 기준온도(temp_ref.h2) 또는 기준시간(Time_ref.h2)에 도달하는 동안까지 유지된다(S314).
여기서, 기준온도(temp_ref.h2)는 35℃이고, 기준시간(Time_ref.h2)은 3분이다.
상기 약열풍 공급단계가 시작되면, 제어부(210)는 송풍팬(115)이 정회전하도록 모터(117)를 온시키고(S611), 750W의 저용량 히터(132)를 온시킨다(S612). 그리고 나서, 송풍팬(115)은 저용량 히터(132)에 의해서 생성된 약한 열풍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제어부(210)는 드럼(112)을 텀블링시킨다(S321).
상기 약열풍 공급단계는 상기 약한 열풍공급 및 텀블링 동작을 약한 열풍의 온도(Temp.l1) 또는 수행시간(Time.l1)이 각각의 기준온도(temp_ref.l1) 또는 기준시간(Time_ref.l1)에 도달하는 동안까지 유지된다(S322).
여기서, 기준온도(temp_ref.l1)는 43℃이고, 기준시간(Time_ref.l1)은 4분이다.
상기 약한 열풍이 공급되는 과정이 종료되고 상기 약열풍 차단단계가 시작되면, 제어부(210)는 상기 저용량 히터(132)를 오프시키고(S711), 송풍팬(115)를 구동하는 모터(117)를 오프시킨다(S712). 상기 약열풍 차단단계는 약한 열풍의 온도(Temp.l2) 또는 수행시간(Time.l2)이 각각의 기준온도(temp_ref.l2) 또는 기준시간(Time_ref.l2)에 도달하거나 상기 제1,2 건조과정의 전 운행시간(Time.tot)이 기준 전 운행시간(Time_ref.tot)에 도달하는 동안까지 유지된다(S324).
여기서, 기준온도(Temp_ref.l2)는 35℃이고, 기준시간(Time_ref.l2)은 3분이다. 그리고, 기준 전 운행시간(Time_ref.tot)은 21분이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각각의 과정의 수행시간 또는 상기 배출 열풍의 온도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2 건조과정 이후에 피건조물을 냉각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 제거과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 제거과정은 1분 동안 지속되고, 상기 피건조물은 울(wool)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원리 다양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부를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열풍의 공급과 드럼의 텀블링으로 울재질의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모터와 히터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열풍 건조과정과정을 종료시키기 위한 모터와 히터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열풍의 공급과 드럼의 텀블링으로 울재질의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모터와 히터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열풍 건조과정과정을 종료시키기 위한 모터와 히터에 대한 제어 순서도이다.

Claims (15)

  1. 피건조물을 수용한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강한 열풍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과정과;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약한 열풍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제2 건조 과정;을 포함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과정은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상기 드럼 내부로 고용량의 히터에 의한 강한 열풍을 공급하는 강열풍 공급단계와;
    상기 강한 열풍의 공급을 중단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냉각하는 강열풍 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과정은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상기 드럼 내부로 저용량의 히터에 의한 약한 열풍을 공급하는 약열풍 공급단계와;
    상기 약한 열풍의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피건조물을 냉각하는 약열풍 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각각의 단계의 수행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측정단계와;
    상기 각각의 단계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열풍 공급단계는 상기 검출된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측정된 텀블링시간이 제1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열풍 차단단계는 상기 검출된 열풍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까지 하강하거나 상기 측정된 텀블링시간이 제2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열풍 공급단계는 상기 검출된 열풍의 온도가 제1 기준온도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측정된 수행시간이 제1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열풍 차단단계는 상기 검출된 열풍의 온도가 제2 기준온도까지 하강하거나 상기 측정된 수행시간이 제2 기준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 과정은 상기 제1,2 건조 과정의 총 수행시간이 기준 총 수행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각각의 과정의 수행시간 또는 상기 배출 열풍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과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 건조과정 이후에 피건조물을 냉각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 제거과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물은 울(wool)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제어방법.
  13. 드럼과, 히터 유닛과, 상기 히터 유닛이 생성한 열풍을 드럼으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드럼과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텀블링하면서 강한 열풍과 약한 열풍으로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을 반복건조하도록 상기 히터 유닛과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피건조물을 냉각하여 주름을 제거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열풍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 및 모터를 온-오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80052326A 2008-06-03 2008-06-03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2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326A KR101020331B1 (ko) 2008-06-03 2008-06-03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2009801179266A CN102037179B (zh) 2008-06-03 2009-06-02 干衣机及其控制方法
EP09758503.8A EP2287392A4 (en) 2008-06-03 2009-06-02 Drye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US12/935,227 US8479410B2 (en) 2008-06-03 2009-06-02 Dry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09/002934 WO2009148250A2 (ko) 2008-06-03 2009-06-02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326A KR101020331B1 (ko) 2008-06-03 2008-06-03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138A true KR20090126138A (ko) 2009-12-08
KR101020331B1 KR101020331B1 (ko) 2011-03-09

Family

ID=4139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326A KR101020331B1 (ko) 2008-06-03 2008-06-03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79410B2 (ko)
EP (1) EP2287392A4 (ko)
KR (1) KR101020331B1 (ko)
CN (1) CN102037179B (ko)
WO (1) WO20091482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302A (ko) * 2010-04-30 2011-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7354B4 (de)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275516B2 (en) * 2009-07-21 2012-09-25 Trimble Navigation Limited Agricultural vehicle autopilot rollover risk assessment system
CN102234912B (zh) * 2010-04-24 2015-07-29 海尔集团公司 干衣机的烘干方法及装置
CN104805635B (zh) * 2015-04-27 2017-10-2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干一体机及其烘干控制方法
KR20180080720A (ko) * 2016-12-27 2018-07-13 주식회사 에어로네트 음압식 의류 건조기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6191A (en) * 1925-01-12 1930-12-23 American Laundry Mach Co Controlling mechanism for drying tumblers
US2142042A (en) * 1935-10-12 1938-12-27 Us Hoffman Machinery Corp Process for drying
US2851791A (en) * 1954-05-19 1958-09-16 Gen Electric Clothes conditioner
US2796679A (en) * 1954-07-13 1957-06-25 Gen Electric Autoamtic clothes dryer control
US2842864A (en) * 1956-07-19 1958-07-15 Gen Electric Clothes drying machines
US3196553A (en) * 1960-09-19 1965-07-27 Gen Motors Corp Temperature responsive timer control for a clothes drier
US3409994A (en) * 1966-09-15 1968-11-12 Gen Motors Corp Heating control system for clothes dryer
US3397461A (en) * 1966-10-05 1968-08-20 Gen Motors Corp Clothes dryer with plural function controller operated by single control dial
US3399461A (en) * 1967-03-06 1968-09-03 Philco Ford Corp Household dryer system
US3942265A (en) * 1974-05-09 1976-03-09 General Electric Company Dryer control arrangement
GB1572618A (en) * 1977-03-24 1980-07-30 Thorn Domestic Appliances Ltd Air driers and control circuits therefor
US4231166A (en) * 1979-10-09 1980-11-04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control for a clothes dryer
DE3626391C2 (de) * 1986-08-04 1995-03-16 Siemens Ag Anordnung zur Luftfilterung für Kraftfahrzeuge
JPH02159300A (ja) * 1988-12-14 1990-06-19 Hitachi Ltd 衣類乾燥機
JP3349327B2 (ja) * 1996-02-26 2002-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乾燥機
JP3569604B2 (ja) * 1997-01-29 2004-09-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乾燥洗濯機
JP4608045B2 (ja) 2000-01-20 2011-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濯乾燥機の運転制御方法
JP2005024113A (ja) * 2003-06-30 2005-01-27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KR200339104Y1 (ko) * 2003-10-24 2004-01-24 전우금 냉·온풍 가변공급제어형 의류 건조기
CN1727564A (zh) * 2004-07-26 2006-02-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衣物烘干机烘干控制方法
JP4108072B2 (ja) * 2004-09-07 2008-06-25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機
US20060201021A1 (en) * 2005-03-14 2006-09-14 Maytag Corporation Clothes dryer wrinkle release cycle
US20060218816A1 (en) * 2005-04-04 2006-10-05 Maytag Corporation Dryer heat modulation with solid state motor switch
CN1888293A (zh) * 2005-06-29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冷凝式衣物干燥器的行程控制方法
US8156660B2 (en) * 2005-09-22 2012-04-17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clothes
DE102007007354B4 (de) *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PL1852539T3 (pl) * 2006-05-02 2010-12-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Program suszenia z fazą zapobiegającą powstawaniu zagnieceń oraz suszarka
KR100751133B1 (ko) * 2006-10-02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히터 열량 제어 방법
CN101173461A (zh) * 2006-10-30 2008-05-07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的干燥度调节装置及方法
WO2009035241A2 (en) * 2007-09-10 2009-03-19 Amo Co., Ltd. Drying heater, heating unit for drying laundry using the same, dry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167428A (ja) * 2010-02-22 2011-09-01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US20120324755A1 (en) * 2011-06-27 2012-12-27 Zhao Shuai Combination hair-hand dryer assembly, and blow dry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302A (ko) * 2010-04-30 2011-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234914A (zh) * 2010-04-30 2011-11-09 三星电子株式会社 干衣机及其控制方法
US9200840B2 (en) 2010-04-30 2015-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37179A (zh) 2011-04-27
EP2287392A2 (en) 2011-02-23
US8479410B2 (en) 2013-07-09
CN102037179B (zh) 2012-11-14
KR101020331B1 (ko) 2011-03-09
US20110016743A1 (en) 2011-01-27
EP2287392A4 (en) 2017-05-10
WO2009148250A3 (ko) 2010-03-11
WO2009148250A2 (ko)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33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66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9926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8166669B2 (en) Laundry machin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866884B1 (ko) 건조기의 포량 결정 제어방법 및 그 건조기
US8863403B2 (en) Misting control method of clothing dryer
KR101319874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02042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9353475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fluffing-state detection
US20060101588A1 (en)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70068036A1 (en) Laundry clean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8100079A1 (en) Ductless dryer
KR101253151B1 (ko) 건조기의 화재감지 방법
US8302326B2 (en) Steam dryer control method
KR20110061115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013520A (ko)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10101681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37334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100577236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KR20100053036A (ko) 세탁기
KR20100090088A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3859A (ko) 세탁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