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280B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280B1
KR101366280B1 KR1020070078118A KR20070078118A KR101366280B1 KR 101366280 B1 KR101366280 B1 KR 101366280B1 KR 1020070078118 A KR1020070078118 A KR 1020070078118A KR 20070078118 A KR20070078118 A KR 20070078118A KR 101366280 B1 KR101366280 B1 KR 10136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temperature difference
hot air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946A (ko
Inventor
문정욱
박대윤
홍석기
김종석
유승규
박혜용
최창규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280B1/ko
Priority to DE102008035797A priority patent/DE102008035797A1/de
Priority to US12/222,066 priority patent/US20090064531A1/en
Priority to FR0855353A priority patent/FR2919627A1/fr
Priority to CNA2008101756059A priority patent/CN101387073A/zh
Publication of KR2009001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0Starting machine operation, e.g. delayed start or re-start after power cu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캐비넷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둘 이상의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차이에 의해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여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의류를 건조시키는 경우에 의류의 건조도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류, 처리, 건조, 자동, 온도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Cloth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를 건조시키는 경우에 의류의 건조도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주로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기식 히터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히터의 고 온의 열이 직접 의류로 전달될 수 있어 의류가 손상되거나, 나아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식 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원하는 온도까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전기 소모량이 많아져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기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를 건조시키는 경우에 자동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캐비넷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둘 이상의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차이에 의해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여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응축기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증발기 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여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장치가 구동을 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차이가 작아질수록 상기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차이가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a)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적어도 두 군데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된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 (a)에 앞서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히트펌프를 구 비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전기 에너지 소모를 현저하게 줄이면서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를 건조시키는 경우에 자동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자동으로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수고 및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의류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의류(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캐비넷(10), 수용공간(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도 2 참조, 22), 수용공간(12)으로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도 2 참조, 30), 캐비넷(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감지센서(도 2 참조, 50, 52) 및 감지센서(50, 52)의 감지된 온도차이에 따라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여 열풍공급장치(22)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비넷(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12)은 도어(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수용공간(12)에는 의류(1)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6) 등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의류(1)를 지지하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2)으로 열풍 및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이 형성된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술한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2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도 1 참조, 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로써 히트펌프(22) 및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에 해당하는 히트펌프(22)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 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하다. 즉,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팬(32)을 연결하는 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29)에 의해 공기유입구(21)를 통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32)에 의해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를 구비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스팀을 분사하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히트펌프(22)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스팀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물공급원은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공급원을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노즐(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34)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34)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의류의 건조도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종래에는 없었다. 즉,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를 수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도 1 참조, 14)를 개방하여 수동으로 건조도를 판단하여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조절해야만 했다.
그런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법은 시간에 따라 건조를 수행하게 되므로, 의류가 건조가 완전히 되지 않고 건조가 종료하거나, 또는 의류가 너무 건조가 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또한, 수동으로 건조도를 판별하는 방법은 정확도가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일일이 판별을 해야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에 의류의 건조도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도 1 참조, 100)는 캐비넷(도 1 참조, 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감지센서(50, 52)를 구비한다. 여기서, 감지센서는 바람직하게 캐비넷(10)의 수용공간(도 1 참조, 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50) 및 캐비넷(10)의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52)를 구비한다.
제1 센서(50)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히트펌프(22)를 구성하는 응축기(28)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기(28)에서 공기가 가열되어 팬(32)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므로, 응축기(28)의 후단에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제1 센서(50)가 팬(32)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 센서(50)의 위치는 수용공간(1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즉 응축기(28)의 후단부에는 어디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응축기(28)에서 가열된 공기를 바로 측정할 수 있는 응축기(28)의 직후단에 설치된다.
한편, 제2 센서(52)는 수용공간(12)에서 배출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히트펌프(22)를 구성하는 증발기(24)의 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를 통하여 히트펌프(22)를 지나게 되므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29)의 내부를 따라 증발기(24)의 전단에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면, 수용공간(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센서(52)가 보다 정확하게 수용공간(1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기계실(20)의 공기유입구(21)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공기유입구(21)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공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바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의류의 건조도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히트펌프(2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의 온도차이에 의해 건조도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전술한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서 측정한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센서(50)에서 측정된 온도(T1), 제2 센서(52)에서 측정된 온도(T2) 및 상기 T1 및 T2의 온도차이(△T)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온도(℃)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시간경과에 따른 건조도(%)를 나타낸다. 건조도에서 0%는 구동 초기에 건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며, 10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건조가 완료되어 수분이 모두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을 살펴보면,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초기에 T1 은 대략 30℃, T2 는 20℃이므로 △T는 대략 10℃에 해당한다. 즉, 구동초기에 히트펌프(22)로 유입된 공기는 응축기(28)에서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유입되므로, 제1 및 제2 센서(50, 52)에서 감지된 온도차이는 상기와 같이 대략 10℃정도에 해당한다.
이어서, 시간이 경과하여 히트펌프(22)가 계속해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온도차이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즉,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경우,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 공기는 의류의 수분을 빼앗아 수분을 함유하여 기계실(20)의 히트펌프(22)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수분을 다량 함유한 공기가 히트펌프(22)로 유입되면, 다량의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하여 증발기(24)에서 냉매가 대량으로 증발되어 냉매에는 다량의 잠열이 포함된다. 즉, 수분이 적게 포함된 공기에 비하여 증발기(24)에서 증발된 냉매에 포함되는 잠열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량의 잠열을 포함한 냉매가 응축기(28)로 이동하여 응축하면서 공기를 가열하는 경우, 다량의 잠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수분이 적게 함유된 공기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 고온으로 가열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용공간(12)에 거치된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건조도가 낮은 경우에는 응축기(28)를 통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서 측정된 온도차이(△T)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내용은 도 3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도차이(△T)의 곡선이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조가 진행되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이 적어지게 되는 경우, 즉 의류의 건조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응축기(28)에서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차츰 내려가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히트펌프(22)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양이 적어짐에 따라, 증발기(24)에서 증발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잠열을 양도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28)에서 응축되어 방출되는 잠열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응축기(28)에서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상기 내용은 도 3에서 시간이 경과하여 건조도가 대략 40%를 넘어가게 되면, 온도차이(△T)의 곡선이 하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내용에서 제어부는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서 측정한 온도차이(△T)에 의해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온도차이(△T)가 작아질수록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차이를 입력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차이(△T)와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온도차이를 10℃로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차이(△T)를 상기 기준온도차이인 10℃와 비교하여, 측정된 온도차이(△T)가 기준온도차이보다 작게 되면 히트펌프(22)의 구동을 멈추고 건조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준온도차이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에 변형되어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준온도차이를 10℃로 설정하게 되면, 도 3에서 대략 건조 도는 60%에 해당하게 되며, 기준온도차이를 5℃로 설정하게 되면, 도 3에서 대략 건조도는 70%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기준온도차이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건조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의류의 건조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서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차이(△T)에 의해 건조도를 판별하는 경우에 구동 초기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온도차이(△T)를 기준온도차이와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초기에서 중기까지는 온도차이(△T)가 늘어나다가, 구동 중기를 넘어서게 되면서 온도차이(△T)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동초기부터 상기와 같이 측정된 온도차이(△T)와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여 제어를 하게 되면, 구동초기에 건조가 완료되지않은 상태에서 구동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히트펌프(22)가 구동을 하고 소정시간, 예를 들어 적어도 10분 이상이 경과한 후에 상기와 같이 측정된 온도차이(△T)와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여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열풍을 공급하는 단계(S410), 온도차이를 측정하는 단계(S430), 측정된 온도차이를 기준온도차이와 비교하는 단 계(S45)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의류처리장치가 구동을 하게 되면, 제어부는 히트펌프(22)를 구동시켜 수용공간으로 저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게 된다(S410).
이어서, 소정시간, 예를 들어 히트펌프(22)가 구동을 하고 나서 적어도 10분이 경과한 다음,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5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수용공간(1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차이를 측정하게 된다(S430).
후속하여,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차이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게 된다(S450). 이 경우, 측정된 온도차이가 기준온도차이에 비하여 크게 되면 아직 원하는 건조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계속해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측정된 온도차이가 기준온도차이에 비하여 작게 되면, 원하는 건조도에 도달하게 된 경우이므로 히트펌프(22)의 구동을 멈추고 건조를 완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6)

  1.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의류에 생기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캐비넷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둘 이상의 감지센서;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가 구동을 하고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차이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히트 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응축기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증발기 전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여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장치가 구동을 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 차이가 작아질수록 상기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 차이가 기준온도차이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a) 의류처리장치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가 시작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적어도 두 군데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측정된 온도 차이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 앞서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제1 온도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제2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제1 및 제2 온도의 차이에 의해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 차이가 작아질수록 상기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 차이가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로 열풍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삭제
KR1020070078118A 2007-08-03 2007-08-03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118A KR101366280B1 (ko) 2007-08-03 2007-08-03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2008035797A DE102008035797A1 (de) 2007-08-03 2008-07-31 Bekleidungsbehandlungsgerät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US12/222,066 US20090064531A1 (en) 2007-08-03 2008-07-31 Cloth treating apparatus
FR0855353A FR2919627A1 (fr) 2007-08-03 2008-08-01 Appareil de traitement des tissus.
CNA2008101756059A CN101387073A (zh) 2007-08-03 2008-08-04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118A KR101366280B1 (ko) 2007-08-03 2007-08-03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946A KR20090013946A (ko) 2009-02-06
KR101366280B1 true KR101366280B1 (ko) 2014-02-20

Family

ID=4024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118A KR101366280B1 (ko) 2007-08-03 2007-08-03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64531A1 (ko)
KR (1) KR101366280B1 (ko)
CN (1) CN101387073A (ko)
DE (1) DE102008035797A1 (ko)
FR (1) FR29196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1746B2 (en) 2018-08-31 202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8983A1 (en) * 2004-03-01 2005-12-22 Maytag Corporation Filter vent for drying cabinet
KR100662369B1 (ko) * 2004-11-3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DE102007052839A1 (de) * 2007-11-06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Wärmepumpenkreis
DE102008055087A1 (de) * 2008-12-22 2010-06-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Wärmepumpe und Umluftanteil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DE102009028931A1 (de) * 2009-08-27 2011-03-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dsorptions-Trockners und Trockner zur Realisierung des Verfahrens
KR101144710B1 (ko) * 2010-01-11 2012-05-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외기온도추출방법 및 외기습도추출방법
CN102506486B (zh) * 2011-10-11 2016-07-0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
DE102012007689A1 (de) * 2012-04-19 2013-10-24 Perkenn GmbH Handtuchtrockner
CN102733160A (zh) * 2012-07-13 2012-10-17 吕行 冷凝式干衣机及其控制方法
CN103911826A (zh) * 2012-12-31 2014-07-09 金陵科技学院 一种带调温功能的热泵式节能衣物烘干装置
WO2014187494A1 (en) 2013-05-23 2014-11-27 Arcelik Anonim Sirketi Heat pump type laundry dryer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using the same
KR101685346B1 (ko) * 2015-03-17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717962A (zh) * 2015-12-02 2016-06-29 中山益达服装有限公司 一种干衣机的温湿度控制方法及其系统
CN107313223B (zh) * 2016-04-26 2020-10-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装置及方法
KR102611054B1 (ko) 2016-07-07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8691181B (zh) * 2017-04-11 2021-11-26 上海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判断衣物干燥的方法及干衣设备
KR20190079279A (ko) * 2017-12-27 2019-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9169620A1 (zh) * 2018-03-09 2019-09-12 友隆电器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潮湿衣服的检测方法及装置
KR102638996B1 (ko) * 2018-09-12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0097831A1 (zh) * 2018-11-14 2020-05-2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闭式热泵干衣机系统
US11821137B2 (en) * 2019-07-30 2023-11-21 Lg Electronics Inc. Wrinkle removal module
DE102020121470B4 (de) * 2020-08-14 2024-03-07 Veit Gmbh Textilbearbeitungsvorrichtung und Textilbearbeitungsverfahr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179A (ja) * 2003-10-02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32916A (ko) * 2005-09-20 2007-03-2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의류 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6552A (en) * 1978-04-28 1980-06-10 Mallory Components Group Emhart Industries, Inc. Mea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rying apparatus
US20030126691A1 (en) * 2001-12-20 2003-07-10 Gerlach Christian Gerhard Friedrich Fabric articl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US7698911B2 (en) * 2005-11-30 2010-04-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dryness of clothes in an appliance
KR20070078118A (ko) 2006-01-26 200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179A (ja) * 2003-10-02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32916A (ko) * 2005-09-20 2007-03-2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의류 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1746B2 (en) 2018-08-31 202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35797A1 (de) 2009-02-26
US20090064531A1 (en) 2009-03-12
CN101387073A (zh) 2009-03-18
KR20090013946A (ko) 2009-02-06
FR2919627A1 (fr) 200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047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866884B1 (ko) 건조기의 포량 결정 제어방법 및 그 건조기
US11718950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RU2544828C9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119120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1101386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KR100902900B1 (ko) 건조기
KR1014619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477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090248206A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4361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2209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2033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618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761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77460B1 (ko) 의류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KR101397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0080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662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1681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0088A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