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079B1 -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 Google Patents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079B1
KR102199079B1 KR1020200133547A KR20200133547A KR102199079B1 KR 102199079 B1 KR102199079 B1 KR 102199079B1 KR 1020200133547 A KR1020200133547 A KR 1020200133547A KR 20200133547 A KR20200133547 A KR 20200133547A KR 102199079 B1 KR102199079 B1 KR 102199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d substrate
frame
traffic ligh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079B9 (ko
Inventor
조경억
Original Assignee
조경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억 filed Critical 조경억
Priority to KR102020013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079B1/ko
Publication of KR10219907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07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연결된 가로보의 전면에 설치되어 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멸되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장방형의 형태이되, 상기 지주와 가로보의 전면에 결합되고 일면이 개구된 단면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고 전원과 신호등 제어신호를 IN/OUT 시키기 위한 제1,2연결단자가 프레임의 저면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의 배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다수 돌출되어 LED기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와, 상기 배선공간에 충전되어 배선의 합선과 습기를 방지하고, 외부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전제; 및 상기 LED기판을 프레임에 고정하고, 표면 방수를 위해 상기 LED기판의 상부에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실링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LED기판은 한쌍씩 동일 색상을 갖는 6개의 적, 녹, 황색 LED가 군집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어느 하나의 색상 LED가 단락에 의해 소등된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LED에 의해 점멸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AN AUXILIARY SIGNALING DEVICE OF TRAFFIC LIGHT}
본 발명은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신호등의 색상 식별이 용이하도록 지주 및 상기 지주에 결합된 가로보에 설치되어 신호등과 연동되는 것은 물론, 상시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전원에 의해 점등하는 비상발광수단 구비한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운반수단은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소로 그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2,700만대를 넘어선지 오래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보유대수가 날로 늘어감에 따라 인력으로는 도저히 교통흐름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이르러 보다 효과적으로 교통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신호등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교통 신호등과 보행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적인 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등(信號燈)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빨간색, 초록색, 황색의 3색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에서 빨간색(적색등)은 정지신호, 초록색(초록색등)은 진행신호 및 황색등은 주의로 표시되나 도로교통에서는 우회하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신호등은 통상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로부터 도로 방향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신호등을 지지하는 가로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신호등만으로는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신호지시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컨대, 도로 가에 세워진 전봇대나 가로수 등과 같이 신호등 주변이 복잡함으로 인해 신호등의 디스플레이에 지시되는 신호가 가려지는 상황 등이다.
특히, 한국은 곡선도로가 많은데, 이때 운전자는 멀리서 곡선도로에 의해 신호등이 가려져서 신호등의 존재 내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며, 더러는 인명사고가 발생한다. 나아가, 어두운밤 중에는 적색 신호가 차량의 전조등과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와이어리스 복열식 신호등 지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4542호)"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신호등의 설치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고, 또한 상시전원이 차단될 경우 신호등이 소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45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신호등의 색상 식별이 용이하도록 지주 및 상기 지주에 결합된 가로보에 설치되어 신호등과 연동되는 것은 물론, 상시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전원에 의해 점등하는 비상발광수단 구비한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한쌍씩 동일 색상을 갖는 6개의 적, 녹, 황색 LED가 군집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어느 하나의 색상 LED가 단락에 의해 소등된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LED에 의해 점멸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프레임의 표면에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에 적층되는 난반사층을 형성하여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연결된 가로보의 전면에 설치되어 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멸되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장방형의 형태이되, 상기 지주와 가로보의 전면에 결합되고 일면이 개구된 단면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고 전원과 신호등 제어신호를 IN/OUT 시키기 위한 제1,2연결단자가 프레임의 저면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의 배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다수 돌출되어 LED기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와, 상기 배선공간에 충전되어 배선의 합선과 습기를 방지하고, 외부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전제; 및 상기 LED기판을 프레임에 고정하고, 표면 방수를 위해 상기 LED기판의 상부에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실링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LED기판은 한쌍씩 동일 색상을 갖는 6개의 적, 녹, 황색 LED가 군집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어느 하나의 색상 LED가 단락에 의해 소등된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LED에 의해 점멸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은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양측에 상향으로 절곡되는 측벽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측벽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그늘 유지와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빗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향 만곡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LED기판은 배선 단락 또는 상시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전원에 의해 점등하는 비상발광수단이 결합되고, 이러한 상기 비상발광수단은 지주 또는 가로보의 상부에 결합된 태양광판넬과, 상기 태양광판넬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2차전지에 의해 발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부분 돌출된 내부플레이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비상발광수단은 상기 내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광섬유번들이 각각 집속된 2개의 수광부와, 상기 각 수광부의 광섬유번들이 분기되어 집속된 상태로 상기 LED기판의 양측에 고정되는 다수의 광조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의 광조사부는 2개의 수광부에서 분기된 광섬유번들이 혼합되어 어느 하나의 수광부의 점등이 소실되어도 다른 하나의 수광부에 의해 비상점등 또는 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수광부는 광섬유번들의 집속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체결되고 LED광원이 결합된 광원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광섬유번들을 묶음 처리하여 LED기판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발광바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각 측벽플레이트의 내면에 적층되는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에 적층되는 난반사층이 더 형성되되,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 금속 또는 증착법, 스퍼터링법, 전기도금법, 용융도금법, 무전해도금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Al코팅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난반사층은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중공형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에 따르면, 지주 및 상기 지주에 결합된 가로보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신호등의 색상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호등과 연동되는 것은 물론, 상시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전원에 의해 점등하는 비상발광수단 구비하여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인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쌍씩 동일 색상을 갖는 6개의 적, 녹, 황색 LED가 군집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어느 하나의 색상 LED가 단락에 의해 소등된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LED에 의해 점멸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표면에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에 적층되는 난반사층을 형성하여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가 상호 간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가 지주와, 가로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가로보에 설치된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가 상호 간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가 지주와, 가로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가로보에 설치된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신호등의 색상 식별이 용이하도록 지주(200) 및 상기 지주(200)에 결합된 가로보(300)에 설치되어 신호등(400)과 연동되어 점멸되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프레임(10)과, 상기 LED기판(20)과 및 충전제(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200)와 가로보(300)의 전면에 결합되고 일면이 개구된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10)은 도 4와 같이, 받침플레이트(11)와, 상기 받침플레이트(11)의 양측에 상향으로 절곡되는 측벽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측벽플레이트(12) 중 어느 하나는 그늘 유지와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빗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향 만곡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저면에 지주(200)와 가로보(30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브라켓(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경우 지주(200)와 가로보(300)에 직접적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고, 밴드(미도시)를 통해 지주(200)와 가로보(300)에 간접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200)와 가로보(30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을 슬라이딩 결합시켜 결합피스로 고정하기 위한 위한 함몰레일(210, 310)이 형성된다.
상기 LED기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고 전원과 신호등 제어신호를 IN/OUT 시키기 위한 제1,2연결단자(21,22)가 프레임(10)의 저면으로 노출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100)는 지주(200) 및 가로보(300)의 길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제1,2연결단자(21,22)를 통해 직렬로 상호 간 연결하고, 더불어 신호등(400)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신호등과 연동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기판(20)은 한쌍씩 동일 색상을 갖는 6개의 적, 녹, 황색 LED(L)가 군집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어느 하나의 색상 LED(L)가 단락에 의해 소등된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LED(L)에 의해 점멸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빨, 녹, 황색상의 LED(L)가 복수로 마련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LED(L)가 단락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LED(L)가 신호등(400)의 제어신호와 연동되어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바닥면에는 LED기판(20)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14)가 더 형성되어 상기 LED기판(20)의 배선공간(15)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상기 충전제(30)는 상기 배선공간(15)에 충전되어 배선의 합선과 습기를 방지하고,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LED기판(2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충전제(30)는 합성 또는 고무 소재로 이루질 수 있으며, 이밖에도 고무발포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LED기판(20)의 표면에는 상기 LED기판(20)을 프레임(10)에 고정하고, 표면 방수를 위해 상기 LED기판(20)의 상부에 일정두께로 도포되어 구성되는데, 이러한 실링제(40)는 에폭시 또는 고무와 에폭시를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져 LED기판(20)을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LED기판(20)은 배선 단락 또는 상시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전원에 의해 점등하는 비상발광수단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비상발광수단은 지주(200) 또는 가로보(300)의 상부에 결합된 태양광판넬(60)과, 상기 태양광판넬(6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2차전지(70)에 의해 발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10)은 비상발광수단의 수광부(5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부분 돌출된 내부플레이트(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상발광수단은 상기 내부플레이트(13)에 고정되어 광섬유번들이 각각 집속된 2개의 수광부(51)와, 상기 각 수광부(51)의 광섬유번들(50)이 분기되어 집속된 상태로 상기 LED기판(20)의 양측에 고정되는 다수의 광조사부(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광조사부(52)는 2개의 수광부(51)에서 분기된 광섬유번들(50)이 혼합되어 어느 하나의 수광부(51)의 점등이 소실되어도 다른 하나의 수광부(51)에 의해 비상점등 또는 신호등(400)과 연동되어 점멸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51)는 광섬유번들(50)의 집속된 홀더(511)와, 상기 홀더(511)에 체결되고 LED(L)광원이 결합된 광원바디(5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조사부(52)는 광섬유번들(50)을 묶음 처리하여 LED기판(20)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발광바디(521)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LED(L)광원이 단일색상일 경우에는 비상점멸하게 구성될 수 있고, 또한 LED(L)광원이 RGB일 경우, 신호등(400)의 제어신호와 연동되어 점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수광부(51)에 연결된 배선의 일부는 상기 LED기판(20)의 제1,2연결단자(21,22)에 연결시킬 수 있고, 별도로 신호등(400)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는 LED기판(20)에 실장된 LED(L)와 연동될 수 있고, 더불어 상시전원이 차단될 경우 2차전지(70)에 의해 비상점멸 또는 신호등(400)의 제어부에 연동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과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각 측벽플레이트(12)의 내면에 적층되는 반사층(121)과, 상기 반사층(121)에 적층되는 난반사층(122)이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반사층(121)과 난반사층(122)은 제1실시예의 LED(L) 또는 제2실시예의 광조사부(52)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층(121)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 금속 또는 증착법, 스퍼터링법, 전기도금법, 용융도금법, 무전해도금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Al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12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Al코팅층의 경우에는 측벽플레이트의 표면 조도의 영향을 억제하고,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반사층(122)은 상기 반사층(121)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조성물은 중공형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공형 실리카는 반사 방지막의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중공형 실리카를 적용하여 굴절율을 낮추는 효과를 얻고 있다.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1.50 내지 3.50 g/㎤의 밀도를 가지며, 이를 적용함으로써 380㎚ 내지 780㎚의 가시 광선 파장대 영역에서 0.7% 이하의 평균 반사율을 달성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반사율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과는 반대되는 개념의 것인데, 이는 상기 중공형 실리카가 300㎚ 이하의 나노입자이기 때문이다. 즉, 중공형 실리카 입자가 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렌즈와 같은 굴절 효과를 일으키므로 난반사를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중공형 실리카의 특징을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1 내지 3㎛인 중공형 실리카를 제조하고 이를 난반사층에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반사판에 비해 반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로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중공형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를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경우 금속 재질의 도막 상에 도포할 때 접착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고분자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특히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에 대하여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중공형 실리카 입자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난반사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도막 형성 후 도막의 안정성이 낮아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중공형 실리카는 난반사층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중공형 실리카가 함유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난반사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중공형 실리카의 안정화를 위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최적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난반사층은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중공형 실리카의 크기와 균일한 분포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난반사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도막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너무 얇아도 반사 효율을 높일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한 두께도 도포하여 난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프레임 11: 받침플레이트 12: 측벽플레이트
121: 반사층 122: 난반사층
13: 내부플레이트 14: 지지돌기
15: 배선공간
20: LED기판 21: 제1연결단자 22: 제2연결단자
30: 충전제
40: 실링제
50: 광섬유번들 51: 수광부 511: 홀더
512: 광원바디 52: 광조사부
521: 발광바디
60: 태양광판넬
70: 2차전지
L: LED
100: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200: 지주
300: 가로보 310: 함몰레일
400: 신호등

Claims (6)

  1.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연결된 가로보의 전면에 설치되어 신호등과 연동되어 점멸되는 보조 신호장치에 있어서,
    장방형의 형태이되, 상기 지주(200)와 가로보(300)의 전면에 결합되고 일면이 개구된 단면이 "ㄷ"자 형상의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고 전원과 신호등 제어신호를 IN/OUT 시키기 위한 제1,2연결단자(21,22)가 프레임(10)의 저면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LED기판(20);
    상기 LED기판(20)의 배선공간(15)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0)의 바닥면에 다수 돌출되어 LED기판(20)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14);
    상기 배선공간(15)에 충전되어 배선의 합선과 습기를 방지하고, 외부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전제(30); 및
    상기 LED기판(20)을 프레임(10)에 고정하고, 표면 방수를 위해 상기 LED기판(20)의 상부에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실링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LED기판(20)은 한쌍씩 동일 색상을 갖는 6개의 적, 녹, 황색 LED(L)가 군집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어느 하나의 색상 LED(L)가 단락에 의해 소등된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LED(L)에 의해 점멸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LED기판(20)은 배선 단락 또는 상시전원이 차단될 경우, 비상전원에 의해 점등하는 비상발광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부분 돌출된 내부플레이트(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비상발광수단은 상기 내부플레이트(13)에 고정되어 광섬유번들이 각각 집속된 2개의 수광부(51)와, 상기 각 수광부(51)의 광섬유번들(50)이 분기되어 집속된 상태로 상기 LED기판(20)의 양측에 고정되는 다수의 광조사부(52)로 이루어지되, 상기의 광조사부(52)는 2개의 수광부(51)에서 분기된 광섬유번들(50)이 혼합되어 어느 하나의 수광부(51)의 점등이 소실되어도 다른 하나의 수광부(51)에 의해 비상점등 또는 신호등(400)과 연동되어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받침플레이트(11)와, 상기 받침플레이트(11)의 양측에 상향으로 절곡되는 측벽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측벽플레이트(12) 중 어느 하나는 그늘 유지와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빗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향 만곡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발광수단은 지주(200) 또는 가로보(300)의 상부에 결합된 태양광판넬(60)과, 상기 태양광판넬(60)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2차전지(70)에 의해 발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51)는 광섬유번들(50)의 집속된 홀더(511)와, 상기 홀더(511)에 체결되고 LED(L)광원이 결합된 광원바디(512)로 구성되고,
    상기 광조사부(52)는 광섬유번들(50)을 묶음 처리하여 LED기판(20)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발광바디(5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벽플레이트(12)의 내면에 적층되는 반사층(121)과, 상기 반사층(121)에 적층되는 난반사층(122)이 더 형성되되,
    상기 반사층(121)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 금속 또는 증착법, 스퍼터링법, 전기도금법, 용융도금법, 무전해도금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Al코팅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난반사층(122)은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중공형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KR1020200133547A 2020-10-15 2020-10-15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KR102199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47A KR102199079B1 (ko) 2020-10-15 2020-10-15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47A KR102199079B1 (ko) 2020-10-15 2020-10-15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079B1 true KR102199079B1 (ko) 2021-01-06
KR102199079B9 KR102199079B9 (ko) 2021-08-19

Family

ID=7412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547A KR102199079B1 (ko) 2020-10-15 2020-10-15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0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00B1 (ko) * 2021-08-24 2022-01-06 문은미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348803B1 (ko) * 2021-08-24 2022-01-06 문은미 보조신호등을 갖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349528B1 (ko) 2021-06-11 2022-01-07 문은미 보조신호등용 led기판 고정부재
KR102348793B1 (ko) * 2021-05-26 2022-01-07 문은미 신호등 연동 보조 신호장치
KR102538617B1 (ko) * 2022-10-27 2023-05-31 주식회사 안전한신호등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88A (ko) * 1999-09-04 1999-12-06 안세찬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KR100886619B1 (ko) * 2008-06-17 2009-03-05 셀라이텍코리아(주) 엘이디 신호등
KR20100101320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우전그린 교통신호등
KR101214542B1 (ko) 2012-03-16 2012-12-24 안승범 와이어리스 복열식 신호등 지주
KR101234779B1 (ko) * 2012-02-17 2013-02-20 송원호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101905794B1 (ko) * 2018-03-14 2018-12-05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20200020506A (ko) * 2018-08-17 2020-02-26 신용범 도로면으로 보조 교통신호가 조사되는 교통신호장치
KR102126461B1 (ko) * 2019-12-31 2020-06-24 어성진 엘이디 바닥 신호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88A (ko) * 1999-09-04 1999-12-06 안세찬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KR100886619B1 (ko) * 2008-06-17 2009-03-05 셀라이텍코리아(주) 엘이디 신호등
KR20100101320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우전그린 교통신호등
KR101234779B1 (ko) * 2012-02-17 2013-02-20 송원호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101214542B1 (ko) 2012-03-16 2012-12-24 안승범 와이어리스 복열식 신호등 지주
KR101905794B1 (ko) * 2018-03-14 2018-12-05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20200020506A (ko) * 2018-08-17 2020-02-26 신용범 도로면으로 보조 교통신호가 조사되는 교통신호장치
KR102126461B1 (ko) * 2019-12-31 2020-06-24 어성진 엘이디 바닥 신호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793B1 (ko) * 2021-05-26 2022-01-07 문은미 신호등 연동 보조 신호장치
KR102349528B1 (ko) 2021-06-11 2022-01-07 문은미 보조신호등용 led기판 고정부재
KR102348800B1 (ko) * 2021-08-24 2022-01-06 문은미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348803B1 (ko) * 2021-08-24 2022-01-06 문은미 보조신호등을 갖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538617B1 (ko) * 2022-10-27 2023-05-31 주식회사 안전한신호등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KR102538639B1 (ko) * 2022-10-27 2023-05-31 주식회사 안전한신호등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079B9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079B1 (ko)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JP2002526697A (ja) 道路標示複合体及び道路を標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9741700B2 (en) Lighting device
CN1325473A (zh) 带照明的交通单元及其带照明装置的透明塑料元件
CH664780A5 (it) Striscia composita e dispositivo per la formazione di mezzi di segnaletica attivabili dal traffico in arrivo.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1308092B1 (ko) 터널 조명 장치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20190003002U (ko) 교통경고기둥
KR101663008B1 (ko) 차단봉
KR101432755B1 (ko) 태양광 엘이디를 이용한 중앙분리대겸용 보행자 안전 휀스
CN209426324U (zh) 重复使用的反光警示带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CN113818381A (zh) 一种发光道路障碍石
CN108385563B (zh) 一种方便雾天用的具有发光系统的道路分隔栏
CN208332131U (zh) 一种双色雾光灯
KR100911243B1 (ko) 보행자 신호등
CN205999808U (zh) 一种可主动发光式道路交通标志板
CN204978482U (zh) 一种发光车牌架
JP5288525B2 (ja) 路面用標示体の製造方法
CN107909936A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社区道路分布标识牌
CN219671148U (zh) 一种主动发光的护栏贴
CN204919418U (zh) 一种发光警示公路护栏
CN214497256U (zh) 一种发光路牌
CN108999106A (zh) Led反光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