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800B1 -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 Google Patents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800B1
KR102348800B1 KR1020210111420A KR20210111420A KR102348800B1 KR 102348800 B1 KR102348800 B1 KR 102348800B1 KR 1020210111420 A KR1020210111420 A KR 1020210111420A KR 20210111420 A KR20210111420 A KR 20210111420A KR 102348800 B1 KR102348800 B1 KR 10234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case
led substrate
light
transvers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은미
Original Assignee
문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은미 filed Critical 문은미
Priority to KR102021011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지주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주신호등이 결합된 가로빔;과, 상기 가로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주신호등의 신호와 연동되어 점멸되는 보조신호등; 및 상기 가로빔에 내장되어 횡단보도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빔은 전면에 개방된 절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보조신호등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Crossbeam assembly for traffic lights}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주신호등의 색상 식별이 용이하도록 지주에 결합된 가로빔에 보조신호등을 설치한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신호등이 결합되는 가로빔의 휨응력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횡단보도에 녹색영상을 조사하여 야간에 보행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시야를 확보하는 한편, 횡단보도 통행 시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조사되는 적색광 커튼을 통해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운반수단은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소로 그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우리의 경우도 이미 1,000만대를 넘어선지 오래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보유대수가 날로 늘어감에 따라 인력으로는 도저히 교통흐름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이르러 보다 효과적으로 교통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신호등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교통 신호등과 보행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적인 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등(信號燈)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빨간색, 초록색, 황색의 3색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에서 빨간색(적색등)은 정지신호, 초록색(초록색등)은 진행신호 및 황색등은 주의로 표시되나 도로교통에서는 우회하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신호등은 통상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로부터 도로 방향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신호등을 지지하는 가로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신호등만으로는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신호지시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컨대, 도로 가에 세워진 전봇대나 가로수 등과 같이 신호등 주변이 복잡함으로 인해 신호등의 디스플레이에 지시되는 신호가 가려지는 상황 등이다.
특히, 한국은 곡선도로가 많은데, 이때 운전자는 멀리서 곡선도로에 의해 신호등이 가려져서 신호등의 존재 내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며, 더러는 인명사고가 발생한다. 나아가, 어두운밤 중에는 적색 신호가 차량의 전조등과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와이어리스 복열식 신호등 지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4542호)"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2개의 신호등이 설치됨으로,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신호등의 무게에 의해 지주에 연결된 가로빔의 휨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복열식 신호등 지주는 2개의 신호등을 설치했음에도 야간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항시적으로 존재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45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가로빔의 휨응력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횡단보도에 녹색영상을 조사하여 야간에 보행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시야를 확보하는 한편, 횡단보도 통행 시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조사되는 적색광 커튼을 통해 주의(注意)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케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하여 LED기판을 보호하고, 더불어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LED기판을 케이스에 내부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유사시 LED기판을 보다 편리하게 분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한 보조신호등이 결합된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지주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주신호등이 결합된 가로빔;과, 상기 가로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주신호등의 신호와 연동되어 점멸되는 보조신호등; 및 상기 가로빔에 내장되어 횡단보도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빔은 전면에 개방된 절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보조신호등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보조신호등은 상기 안착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삽입되는 분할된 한쌍의 LED기판;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개재되어 상기 각 LED기판의 양단을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와, 상호 간 마주보는 LED기판을 양면으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중심 영역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LED기판의 상부로 부분 노출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각 지지판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짧게 이루어지고, 상기 각 지지판에 하향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하부를 상호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걸림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장바의 양면으로는 상기 각 LED기판이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지지판은 LED기판이 들뜨지 않도록 가압하고, 상기 걸림판은 제2고정부재의 이탈시 걸림에 의해 상기 각 LED기판을 동반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가로빔에 내장되고 횡단보도를 향해 녹색영상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트와, 상기 가로빔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결합되고 지면을 향해 레이저포인트를 조사하여 적색광 커튼을 형성하는 다수의 레이저포인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연결바의 노출 부위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개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양측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이 형성되어 별도의 클램프 없이 결합피스만으로 안착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에 따르면, 횡단보도에 녹색영상을 조사하여 야간에 보행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시야를 확보하는 한편, 횡단보도 통행 시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조사되는 적색광 커튼을 통해 주의(注意)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신호등은 케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하여 LED기판을 보호하고, 더불어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LED기판을 케이스에 내부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유사시 LED기판을 보다 편리하게 분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지주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의 레이져포인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빔프로젝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보조신호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발췌된 제1,2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4의 횡단면도,
도 8은 제2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해 의해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LED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지주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의 레이져포인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빔프로젝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빔의 휨응력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횡단보도에 녹색영상을 조사하여 야간에 보행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시야를 확보하는 한편, 횡단보도 통행 시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조사되는 적색광 커튼을 통해 주의(注意)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주신호등의 색상 식별이 용이하도록 지주에 결합된 가로빔에 보조신호등을 설치한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가로빔(10)과, 보조신호등(20) 및 광조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빔(10)은 지면에 고정된 지주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고, 자유단 하부에는 주신호등(200)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가로빔(10)은 2개의 사각 각관을 결합시켜 제조비를 절감하고, 더불어 휨모멘트에 대한 휨응력을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각관의 결합은 용접 또는 리벳팅 또는 볼팅 결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신호등(20)은 상기 가로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주신호등(200)의 신호와 연동되어 점멸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가로빔(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1)에는 보조신호등(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프레임(111)이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111)은 가로빔(10)의 절개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ㄷ"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11a)가 가로빔(10)에 형성된 절개부(11) 내측 둘레에 중첩되게 밀착되어 가로빔(10)의 보강살 기능을 부가적으로 겸하고, 이에 따라 가로빔(10)의 휨응력이 더욱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프레임(111) 역시 가로빔(10)에 용접 또는 리벳팅 또는 볼팅 결합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광조사부는 보행자로 하여금 횡단보도의 시야를 확보하는 한편, 횡단보도 통행 시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조사되는 적색광 커튼을 통해 주의(注意)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상기 광조사부는 횡단보도를 향해 녹색영상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트(30a)와, 지면을 향해 다수의 적색 레이저를 조사하여 적색광 커튼을 형성하는 다수의 레이저포인터(30b)로 구성된다.
여기서 빔프로젝트(30a)는 가로빔(10)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되고, 횡단보도의 신호체계와 연동되어 녹색영상을 횡단보도에 직접적으로 조사하는 기능한다.
이러한 상기 빔프로젝트(30a)는 가로빔(10)의 내부에 단일개가 내장될 수 있고, 또한 가로의 내부에 2개가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이저포인터(30b)는 상기 가로빔(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결합되어 지면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적색광 커튼을 형성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 통행 시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적색광 커튼을 통해 주의(注意)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술된 적색광 커튼은 공기중의 먼지와,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에 의해 반사되어 줄무늬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상기 각 레이저포인터(30b)는 빔형태의 고정프레임(31)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1)은 상기 가로빔(10)의 내부에 용접 또는 리벳 또는 볼팅 또는 가로빔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패킹(12)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빔프로젝트(30a)의 렌즈(R)와 상기 각 레이저포인터(30b)의 렌즈(R)는 가로빔(10)에 타공된 타공구(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각 타공구(12)에는 패킹(13)이 결합되어 있어 외부공기나 습기가 가로빔(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보조신호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발췌된 제1,2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횡단면도이고, 도 8은 제2고정부재의 이탈에 의해 의해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LED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신호등(20)은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주신호등(200)의 색상 식별이 용이하도록 가로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보조신호등(20)은 가로빔(10)의 길이에 따라 1개 또는 2개 또는 3개가 직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신호등(20)은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케이스(21)와, LED기판(22)과, 제1고정부재(23)와, 제2고정부재(24)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는 장방형의 형태이고, 외부 충격과 내열성에 강한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21)는 양측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211)이 형성되어 별도의 클램프 없이 결합피스(미도시)만으로 안착프레임(1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21)는 LED기판(22)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21)는 LED기판(22)과 연결되는 전원선(미도시)을 정렬하기 위한 배선공간(SP)을 확보하기 위해 내벽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돌부(212)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돌부(212)는 상기 LED기판(22)을 케이스(21)의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LED기판(22)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LED기판(22)에 연결된 전원선의 배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21)의 개방된 일면에는 내부에 삽입된 LED기판(22)을 밀폐시켜 대기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판(25)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판(25)은 투명 아크릴 소재일 수 있으며, 이외에 강화플라스틱 또는 방탄글라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LED기판(22)은 케이스(2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결합피스 없이 제1,2고정부재(23,24)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LED기판(22)은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2고정부재(23,24)는 케이스(21)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하여 LED기판(22)을 보호하고, 더불어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LED기판(22)을 케이스(21)에 내부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유사시 LED기판(22)을 보다 편리하게 분해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23)는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양측에 개재되어 상기 각 LED기판(22)의 양단을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케이스(21)는 제1고정부재(23)를 이격시켜 배선공간(SP)을 확보하기 위한 한쌍의 이격판(2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3)는 타면으로 상기 케이스(21)와 접촉되게 사각테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면부(231)가 더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와의 결합시 탄력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23)의 하부에는 상기 이격판(213)에 안착되면서 상기 LED기판(22)을 수평방향을 따라 탄력적을 밀착시키는 한쌍의 접촉돌부(232)가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각 LED기판(22)의 끝단 하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23)의 접촉돌부(232)와 수평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재(24)는 상호 간 마주보는 LED기판(22)을 양면으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21)의 중심 영역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제2고정부재(24)는 상기 LED기판의 상부로 부분 노출되는 연결바(242)와, 상기 연결바(24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판(241)과, 상기 각 지지판(241)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짧게 이루어지고, 상기 각 지지판(241)에 하향 연장되는 연장바(243)와, 상기 연장바의 하부를 상호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2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걸림판(24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7과 같이, 상기 연장바(243)의 양면으로는 상기 각 LED기판(22)이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241)을 걸림판(244)에 대해 이격시켜 배선공간(SP)이 확보되도록 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바(243)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지지판(241)은 LED기판(22)이 들뜨지 않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연결바(242)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개구부(242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개구부(242a)는 제2고정부재(24)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LED기판(22)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성형하여 제2고정부재(24)를 손쉽게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도 8과 같이, 상기 걸림판(244)은 상기 케이스(21)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24)의 이탈시 걸림판(244)이 2개의 LED기판(22)을 걸림에 의해 동반 상승시켜 케이스(21)에서 손쉽게 이탈되도록 기능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고정부재(23,24)는 분할된 LED기판(22)의 양끝단을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시켜 케이스(21)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하여 LED기판(22)을 보호하고, 더불어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LED기판(22)을 케이스(21)에 내부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LED기판(22)을 유지 보수할 경우 제2고정부재(24)를 통해 보다 LED기판(22)의 손상없이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신호등(20)은 LED기판(22)은 케이스(21)에 형성된 안착돌부(212)에 의해 배선공간(SP)을 확보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23)는 케이스(21)에 형성된 이격판(213)을 통해 배선공간(SP)을 확보하고, 제2고정부재(24)는 연장바(243)를 통해 배선공간(SP)이 확보됨으로, LED기판(22)과 연결되는 전원선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가로빔 11: 절개부 111: 안착프레임
111a: 연장부 12: 타공구
13: 패킹
20: 보조신호등 21: 케이스 211: 체결공
212: 안착돌부 213: 이격판
22: LED기판 23: 제1고정부재
231: 돌출면부 232: 접촉돌부
24: 제2고정부재 241: 지지판
242: 연결바 242a: 개구부
243: 연장바 244: 걸림판
25: 커버판
30a: 빔프로젝트 30b: 레이저포인터 R: 렌즈
31: 고정프레임 32: 고정패킹
SP: 배선공간
100: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200: 신호등 300: 지주

Claims (6)

  1. 지주(300)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주신호등(200)이 결합된 가로빔(10);
    상기 가로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주신호등(200)의 신호와 연동되어 점멸되는 보조신호등(20); 및
    상기 가로빔(10)에 내장되어 횡단보도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빔(10)은 전면에 개방된 절개부(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1)에는 보조신호등(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프레임(111)이 고정되고,
    상기 보조신호등(20)은 상기 안착프레임(111)에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삽입되는 분할된 한쌍의 LED기판(22) 및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양측에 개재되어 상기 각 LED기판(22)의 양단을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23)와, 상호 간 마주보는 LED기판(22)을 양면으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21)의 중심 영역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24)는 상기 LED기판(22)의 상부로 부분 노출되는 연결바(242)와, 상기 연결바(24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지지판(241)과, 상기 각 지지판(241)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짧게 이루어지고, 상기 각 지지판(241)에 하향 연장되는 연장바(243)와, 상기 연장바의 하부를 상호간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2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걸림판(244)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장바(243)의 양면으로는 상기 각 LED기판(22)이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지지판(241)은 LED기판(22)이 들뜨지 않도록 가압하고, 상기 걸림판(244)은 제2고정부재(24)의 이탈시 걸림에 의해 상기 각 LED기판(22)을 동반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가로빔(10)에 내장되고 횡단보도를 향해 녹색영상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트(30a)와, 상기 가로빔(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결합되고 지면을 향해 레이저포인트를 조사하여 적색광 커튼을 형성하는 다수의 레이저포인터(3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42)의 노출 부위에는 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개구부(242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는 양측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공(211)이 형성되어 별도의 클램프 없이 결합피스(미도시)만으로 안착프레임(1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0210111420A 2021-08-24 2021-08-24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34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20A KR102348800B1 (ko) 2021-08-24 2021-08-24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20A KR102348800B1 (ko) 2021-08-24 2021-08-24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800B1 true KR102348800B1 (ko) 2022-01-06

Family

ID=7934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20A KR102348800B1 (ko) 2021-08-24 2021-08-24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39B1 (ko) * 2022-10-27 2023-05-31 주식회사 안전한신호등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KR102619901B1 (ko) * 2023-07-21 2024-01-03 시스텍전기통신 주식회사 우회전 차량에 의한 보행자 사고를 방지하는 보행자용신호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542B1 (ko) 2012-03-16 2012-12-24 안승범 와이어리스 복열식 신호등 지주
KR101234779B1 (ko) * 2012-02-17 2013-02-20 송원호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JP2019016156A (ja) * 2017-07-06 2019-01-31 コイト電工株式会社 光源装置
KR20200020506A (ko) * 2018-08-17 2020-02-26 신용범 도로면으로 보조 교통신호가 조사되는 교통신호장치
KR102199079B1 (ko) * 2020-10-15 2021-01-06 조경억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79B1 (ko) * 2012-02-17 2013-02-20 송원호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KR101214542B1 (ko) 2012-03-16 2012-12-24 안승범 와이어리스 복열식 신호등 지주
JP2019016156A (ja) * 2017-07-06 2019-01-31 コイト電工株式会社 光源装置
KR20200020506A (ko) * 2018-08-17 2020-02-26 신용범 도로면으로 보조 교통신호가 조사되는 교통신호장치
KR102199079B1 (ko) * 2020-10-15 2021-01-06 조경억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39B1 (ko) * 2022-10-27 2023-05-31 주식회사 안전한신호등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KR102538617B1 (ko) * 2022-10-27 2023-05-31 주식회사 안전한신호등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KR102619901B1 (ko) * 2023-07-21 2024-01-03 시스텍전기통신 주식회사 우회전 차량에 의한 보행자 사고를 방지하는 보행자용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800B1 (ko)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1244261B1 (ko)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102148458B1 (ko) 보수 편이성의 증대 및 전력소비 저감형 조명 표지판
KR102097000B1 (ko) 도로면으로 보조 교통신호가 조사되는 교통신호장치
US20200406812A1 (en) Modular light-signaling device for a vehicle
KR102348803B1 (ko) 보조신호등을 갖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348793B1 (ko) 신호등 연동 보조 신호장치
KR200432405Y1 (ko) 보조신호등램프가 설치된 보행자신호등
KR101647638B1 (ko) 엘이디 신호표시장치
KR102349528B1 (ko) 보조신호등용 led기판 고정부재
KR10261171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2538639B1 (ko)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KR20090133041A (ko) 가드레일의 식물성장 억제 및 동물진입 방지용 구조체
KR102566802B1 (ko) 지주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안전 장치
KR200265874Y1 (ko) 도로횡단보도용 발광표시장치
JP6566415B2 (ja) 車両用灯具
US9349309B1 (en) Vehicle external warning apparatus
KR20180092346A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기기
KR101306193B1 (ko) 개폐식 교통표시장치
KR101417640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0911243B1 (ko) 보행자 신호등
KR101490834B1 (ko)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KR200360002Y1 (ko) 라이트와 엘이디 전구가 장착된 횡단 보도용 교통 안전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