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988A -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988A
KR19990083988A KR1019990037552A KR19990037552A KR19990083988A KR 19990083988 A KR19990083988 A KR 19990083988A KR 1019990037552 A KR1019990037552 A KR 1019990037552A KR 19990037552 A KR19990037552 A KR 19990037552A KR 19990083988 A KR19990083988 A KR 19990083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fiber
light source
traffic
traff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세찬
Original Assignee
안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세찬 filed Critical 안세찬
Priority to KR101999003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3988A/ko
Priority to KR2019990018729U priority patent/KR200169270Y1/ko
Publication of KR1999008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비전력이 적으면서도 고휘도의 발광력을 갖는 광원(光源)과, 상기 광원을 교통신호등의 표시부까지 전송하는 광섬유(또는 광케이블)를 이용하여 교통신호등을 구성함으로써 고비용과 저효율의 조명수단(백열전구)을 갖는 종래 교통신호등에 비하여 적은 소비전력으로도 고휘도를 얻을 수 있는 저비용 및 고효율의 반영구적인 교통신호등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Traffic signal light by using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비전력이 적으면서도 고휘도의 발광력을 갖는 광원(光源)과, 플렉시블(flexible)한 광섬유(optical fiber : 또는 광케이블)의 전반사 원리를 이용하여 교통신호등이 점ㆍ소등 및 점멸되게 함으로써 저효율ㆍ고비용의 조명수단을 갖는 기존 광고물에 비하여 적은 소비전력으로도 고 휘도의 교통신호가 표출되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수단을 필요로 하는 기존의 교통신호등은 고비용 저효율의 조명원(照明源), 예컨데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게 소비전력이 매우 높은 전구를 사용하여 교통신호를 표시하므로 소비전력과 원가가 매우 높고 전구의 수명이 비교적 짧아 전구 교체주기도 비교적 짧은 편이다.
또한, 220V 이상의 교류전원을 사용하므로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있으며, 습도가 높거나 눈이나 비가오는 경우 정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누전에 의한 전력손실이 있을 뿐 아니라 충격에도 비교적 약한 전구가 파손되면 바로 고장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전구의 전면으로 내열성 카바가 부가 설치되므로 비용증가 요인도 있다.
한편, 광섬유(optical fiber)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반사 또는 지그재그를 반복하면서 입사광을 원하는 목적지로 능률적으로 전송하게 되며, 플렉시블 (flexible)한 파이버가 휘거나 굽더라도 빛이 손실없이 파이버 속을 진행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전력이 적으면서도 고휘도의 발광력을 갖는 광원(光源)과, 상기 광원을 교통신호등의 표시부까지 전송하는 광섬유(또는 광케이블)를 이용하여 교통신호등을 구성함으로써 고비용ㆍ저효율의 조명수단을 갖는 종래 교통신호등에 비하여 적은 소비전력으로 고휘도를 얻을 수 있는 저비용ㆍ고효율의 반영구적인 교통신호등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광섬유의 전반사 원리를 이용하여 기존의 교통신호등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교통신호등에 쓰이고 있는 고비용 저효율의 전구 대신 저(低) 소비전력으로 반영구적이면서 고(高)휘도의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할 수 있어서 최대의 교통신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광섬유의 물리적 성질을 살펴보면 고(高) 굴절율의 코어(core)에 저(低) 굴절율의 클래드(clad)를 씌워 이들을 광 흡수성 재킷에 수용한 스텝 인덱스형과 중심에서 외주로 굴절률을 서서히 낮추게 한 그레이디드 인덱스(분포 굴절률)형이 있으며, 코어(core)와 클래드(clad)의 매질 경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입사되는 빛의 약 99.9%까지 목적지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광섬유의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면 광선이 산란되어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없으므로 날카로운 칼날로 고르게 절단하거나, 아크릴 수지용의 연마제에 포를 적셔서 단면을 연마하거나 가열시킨 유리면에 단면을 눌러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많은 량의 광섬유를 한꺼번에 자를 때에는 핫 나이프를 사용하여 광섬유의 절단면이 고르도록 한다.
도 1 -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정면도.
도 3 - 본 발명의 내부를 도시한 배면도.
도 4 - 본 발명 홀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 - 본 발명의 홀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 - 본 발명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7 - 본 발명 홀더 부분의 다른 실시 예 단면도.
도 8 - 본 발명의 표시부 부분 단면도.
도 9 - 본 발명의 회로 블럭도.
도 10 -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회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교통 신호등 (4)--광원
(6)--광원 어레이 (8)--광원 고정구
(10)--광섬유 (10a)(10b)--광섬유 절단면
(12)--결속링 (14)(14a)--홀더
(16)--교통신호등 케이스 (16a)--차양판
(18)(18a)--표시부 (20)--돌출부
(22)(24)(24a)--삽입공 (26)--단턱부
(28)--확개 경사면 (30)--피스공
(32)(38)--피스 (34)--나사공
(36)--통공 (40)--절연기판
(42)(44)--광원 단자 (46)(48)--급전선
(50)--손잡이부 (52)--구멍
(54)--공간부 (56)--렌즈
(58)--전원부 (60)--정류부
(62)(72)--점멸부 (64)--태양전지
(66)--제어부 (68)--충전지
(70)--교통신호제어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 요소인 광섬유(optical fiber) 또는 광 케이블(optical cable)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반사 또는 지그재그를 반복하면서 입사광을 원하는 목적지로 능률적으로 전송하게 되며, 플렉시블(flexible)한 파이버가 굽더라도 빛이 손실없이 파이버 속을 진행하여 전단부(말단부)까지 전송하는 특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교통신호등(2)의 외관 사시도로, 케이스(16)의 전면으로 차양판(16a)이 고정되는 직전신호 표시부와, 정지신호 표시부와, 좌회전 신호 표시부와, 황색경고 표시부와 같은 각종 표시부(18)(18a)가 설치되며, 표시부의 구멍에는 광섬유(10)의 전단부(말단부)(10b)가 끼워져 각종 교통신호를 빛(光)으로 표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교통신호등(2)은 도 4와 같이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광원(4)이 설치되는 광원 어레이(6)와, 광원 어레이(6)가 고정되는 광원 고정구(8)와, 여러 가닥의 광섬유(10) 절단면(10a)을 한 개의 다발로 결합하는 결속링(12)과, 광원 (4)과 결속링(12)을 마주보게 결합하는 홀더(14)와, 분산되는 광섬유(10)의 끝 부분을 교통신호등(16)의 표시부(18)(18a)에 적당한 간격으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광원(4)으로부터 발광된 빛(光)이 도 1과 같이 표시부(18)(18a)의 바깥으로 다소 돌출되는 광섬유 절단면(10b)으로 전송되게 구성 한 것이다.
상기 광원(4)은 수 십㎃~수백㎃의 저 소비전력임에도 불구하고 8,000 ~ 20,000 칸델라(mcd) 이상의 고휘도 발광력을 갖는 고성능의 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함으로써 표시부(18)(18a)가 충분한 휘도(조도)로 발광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표시부의 일 실시 예로 도시한 표시부(18)(18a)의 단면도로, 투명한 상태의 전면판(11)과 신호등 표시부에 대응하는 색상의 셀로판지(13), 예컨데 직진 표시부의 전체부분과 좌회전 표시부의 화살표 부분에는 녹색 셀로판지를 접합시키고, 경고등의 전체 부분에는 황색 셀로판지를 접합시키고, 상기 셀로판지(13)의 후면에 후면판(15)을 결합시킨 다음 통공(19)이 형성된 케이스(16)의 내부 배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합시켜 표시부(18)(18a)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전면판(11)과 후면판(15)은 다소 두께가 두껍도록 형성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광섬유의 말단부(10b)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셀로판지(13)와 후면판(15)을 삭제하고, 대신 투명재질로 된 전면판(11)을 0.3㎜~10㎜ 두께로 다소 두껍게 성형하되 신호등 표시부에 대응하는 색상, 즉, 신호등 표시부에 대응하는 색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만일의 경우 신호등이 고장나더라도 신호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교통신호등(2)의 표시부(18)(18a)에는 광섬유(10)가 결합되는 구멍 (52)을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광섬유(10)의 말단부(10b)를 끼운 다음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거나 별도의 삽지수단 또는 압지수단을 이용하여 광섬유(10)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의 경우 광 표현 부분인 광섬유(10)의 말단부(10b)가 표시부(18)(18a)에 바로 설치되므로 종래 신호등 처럼 전구보호커버가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구멍(52)에 삽입하는 광섬유(10)의 개수는 표시부(18)(18a)의 크기나 광섬유의 직경 또는 필요로 하는 조명조도에 따라 1개 내지 20개까지 조정할 수 있으며, 물론 필요한 경우 20개 이상을 1개 단위로 하는 점(dot) 발광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의 절단면(10b)은 도 1과 같이 표시부(18)(18a)의 바깥으로 다소 돌출시킴으로써 광섬유(10)의 끝단부가 파손되더라도 광원(4)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빛의 전달에는 전혀 이상이 없으며, 필요한 경우 파손된 부위의 광섬유(10)를 표시부(18)(18a)의 바깥으로 필요한 길이 만큼 잡아당겨 돌출시키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도 1과 같이 광섬유(10)의 말단부(10b)를 표시부(18)(18a)의 가장자리 부분에 빙둘러 설치하거나 도 2와 같이 표시부(18)(18a)의 전체 부분에 고른 간격으로 조밀하게 설치하여 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안에 따라서는 표시부 (18)(18a)의 중심선을 따라 고른 간격으로 한 줄 또는 두 줄로 광섬유(10)의 말단부(10b)를 설치하여 교통신호 점ㆍ소등이나 점멸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광원(4)과 결속링(12)이 결합되는 홀더(14)의 저부면에는 전ㆍ후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0)를 형성하여 교통신호등(16)의 케이스나 별도의 지지수단에 접착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홀더(14)의 몸체 부분 전ㆍ후로 광원(4)이 결합되는 삽입공(22)과 결속링(12)이 결합되는 삽입공(24)을 각각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공(22)(24)에는 도 5와 같이 단턱부(26)를 각각 형성하여 결속링 (12) 삽입공(24)이 광원(4) 삽입공(22)보다 그 내경을 크게 형성시켜 결속링(12)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고 결속링(12)의 두께로 인한 광(光) 차단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홀더(14)(14a)는 성형이 쉬운 합성수지로 제작하거나 가벼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삽입공(24)(24a)의 내주면은 경면 가공하거나 보드랍게 가공하여 빛 반사율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반사율이 좋은 물질을 도포하여 반사율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 삽입공(24a)의 다른 실시 예 단면도로, 광섬유(10)의 개수가 많거나 결속링(12)의 외경이 큰 반면 광원(4)의 외경이 작은 경우 결속링 삽입공 (24) 방향으로 확개 경사면(28)을 갖는 광원 삽입공(22a)을 형성하여 광섬유(10)의 사용 개수나 광섬유의 단위크기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광원 어레이(6)에 설치되는 광원(4)과 삽입공(22)(24)(24a)은 6개를 도시하였으나 표시부(18)(18a)의 표현용량(크기)이나 필요로하는 휘도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개수로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며 물론 한 개의 광원(4)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홀더의 삽입공(24) 상부에는 피스공(30)을 각각 형성하여 결합되는 결속링(12)을 피스(32)로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결속링(12)의 유동이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고, 홀더(14)(14a)의 양측에 나사공(34)을 형성하고, 광원 고정구(8)의 양측에는 통공(36)을 형성하여 피스(38)로 광원 고정구(8)와 홀더(14)(14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광원 어레이(6)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절연기판(40) 상에 복수 개의 광원(4)을 삽입공(22)과 같은 간격으로 끼워 광원(4)의 두 단자(42)(44)를 절연기판(40)의 뒷면으로 돌출시킨 다음 병렬로 접속하여 급전선(46)(48)에 연결하면 복수 개의 광원(4)이 동시에 점ㆍ소등 또는 점멸되는 광원 고정구(8)가 구성된다.
상기 광원 고정구(8)의 상부 중앙 부분에 돌출된 손잡이부(50)는 광원 고정구(8)를 홀더(4)(4a)로부터 분리ㆍ결합할 때 잡기 편하도록 형성한 것이며 (54)는 광원(4)의 배선을 위한 공간이다.
또한, 광섬유(10)의 입사측 절단면(10a)과 광원(4) 사이에 도 6, 도 7과 같이 오목렌즈나 볼록렌즈 또는 크라운 렌즈와 같은 렌즈(56)를 삽입 설치하여 집광능력 상승과 특수효과를 가미할 수 있으며 색수차가 있는 경우 크라운 렌즈를 사용하여 색수차를 없애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광각효과가 있으므로 광섬유 결속링(12)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광섬유 집속률을 높혀 광섬유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광원(4)의 숫자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소비전력도 줄일 수 있어서 제품의 원가절감 및 수명연장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휘도의 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하는 광원(4)은 구동전원이 수V(약 2 V) 전ㆍ후이면 만족하므로 도시안된 교통신호용 제어기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거나 별도의 상용 교류전원(AC 220V)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용 교류전원(AC 220V)을 공급받는 경우 도 9와 같이 전원부(58)와, 상기 전원을 광원(4)이 필요로 하는 수 V 전ㆍ후의 전압과 수 십㎃ 내지 수 백㎃의 구동전원 수준으로 강압시켜 정류하는 정류부(60)와, 정류된 직류전원에 의해 고휘도로 발광하고 교통신호제어기(70)의 제어에 의해 점ㆍ소등되는 광원(4)과, 광원(4)의 빛(光)을 교통신호등(2)의 표시부(18)(18a)로 손실없이 전송하는 광섬유(1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또한, 광원(4)과 정류부(60) 사이에 점멸부(62)를 설치하여 광원 (4)이 점멸되게 함으로써 표시부(18)(18a)가 주기적으로 점멸되는 점멸 신호등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원부(58)와 정류부(60)를 삭제하고 대신 교통신호제어기(70)로부터 구동전원을 바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통신호 다발지역이나 교차로 등에 설치하는 점멸 신호등을 상기와 같은 상용 교류전원이 아닌 태양전지에 의한 전원을 이용하여 단순 점멸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태양전지와 충전지를 이용하여 교통신호등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교통신호기의 구성도로,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태양전지(64)와, 충전부와 조도스위치 기능을 갖는 제어부(66)와, 태양전지(64)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68)와, 충전지(68)의 충전전원에 의해 빛을 발하는(또는 충전전원에 의해 빛을 발하고 교통신호제어기(70)의 제어에 의해 점ㆍ소등되는) 광원(4)과, 광원(4)으로부터 발하는 빛을 교통신호등(2)의 표시부(18)(18a)로 손실없이 전송시켜 표출시키는 광섬유(10)로 구성된다.
상기 태양전지(64)는 도 3과 같이 태양광이 가장 잘 입사되는 교통신호등 (2)의 케이스(16) 상부면에 설치하고, 케이스(16)의 내부에 충전회로가 내장된 제어부(66)와, 광원(4)과 광섬유(10)가 결합되는 홀더(14)(14a)와, 충전지(62)를 적당한 위치에 각각 설치하면 될 것이다.
상기에서 주간에는 태양전지(64)에 의해 발생된 전하(電荷)가 충전장치를 갖는 제어부(66)에 의해 충전지(68)로 충전과 과충전이 방지되며, 충전지(68)의 전원은 광원(4)으로 공급되므로 표시부(18)(18a)의 조명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서 광원(4)의 한 실시 예로 사용한 발광 다이오드는 교통신호등의 색상에 준하는 색상, 예컨데 적색, 녹색, 황색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신호등에 맞는 색상으로 표시부(18)(18a)가 표시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도 9와 도 10을 조합시켜 상용 교류전원(AC 220V)과 태양전지(64)에 의한 전원공급을 겸용하면 정전시에 대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2V와 수십㎃ 전ㆍ후의 저 소비전력으로 고휘도 (8,000 ~ 20,000mcd)의 발광력을 갖는 광원(光源)과, 광섬유(또는 광케이블)를 이용하여 교통표시등에 표시부를 조명하게 되므로 전구와 커버를 사용하는 고비용 저효율의 기존 교통신호등에 비하여 적은 소비전력으로 높은 휘도의 교통신호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저 전력을 사용하고 광섬유(또는 광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다습하거나 비가와도 누전이나 감전의 염려가 없으며, 다습한 환경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광섬유로 필요한 부분에만 광신호를 전달하므로 빛의 손실이 거의 없어서 고성능이며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교통신호등은 전구가 파손되면 바로 고장으로 이어지게되나 본 발명은 발광부분인 광섬유의 말단부가 광원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광섬유의 끝단부가 파손되더라도 빛의 전달에는 전혀 이상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구를 사용하는 기존의 교통신호등은 충격에 약하고 수명이 짧으편이나, 본 발명은 광 표현 부분인 광섬유의 말단부가 표시부에 바로 설치되므로 종래 신호등 처럼 전구보호커버가 불필요하며, 광원은 반도체 발광부분이 몰딩되어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부충격에 강하고 반영구적이다.
또한, 태양전지와 충전수단을 구비한 교통신호등의 경우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정전시에도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구성이 간단할 뿐 아니라 부피와 무게가 가벼운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2)

  1. 한 개 이상의 광원(4)이 설치되는 광원 어레이(6)와, 광원 어레이(6)가 고정되는 광원 고정구(8)와, 여러가닥의 광섬유(10) 절단면(10a)을 한 개의 다발로 결합하는 결속링(12)과, 광원(4)과 결속링(12)을 마주보게 결합하는 홀더(14)와, 광섬유의 말단부(10b)를 교통신호등(2)의 표시부(18)(18a)에 형성한 구멍(52)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광원(4)으로부터 발광된 빛(光)에 의해 교통신호등(2)의 표시부(18) (18a)가 조명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2. 제 1 항에 있어서, 광원(4)은 수 V의 전압과 수 십㎃~수백㎃의 전류로 8,000 ~ 20,000 칸델라(mcd)의 고휘도 발광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홀더(14)(14a)의 몸체 부분 양측에 광원(4) 삽입공(22)과 결속링(12)이 삽입공(24)을 각각 형성하고, 결속링(12) 삽입공(24)이 광원(4) 삽입공(22)보다 그 내경을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4. 제 3 항에 있어서, 결속링 삽입공(24) 방향으로 확개 경사면(28)을 갖는 광원 삽입공(22a)을 형성하여 광섬유(10)의 사용 개수나 광섬유의 단위크기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5. 제 3 항에 있어서, 광원(4)과 삽입공(22)(24)(24a)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교통신호등(2)의 표시부(18)(18a) 구멍 (52)에 삽입하는 광섬유(10)의 개수는 표시부(18)(18a)의 크기나 필요로 하는 조명조도에 따라 1개 이상 복수 개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섬유(10)의 입사측 절단면(10a)과 광원 (4) 사이에 렌즈(56)를 삽입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부는 상용 교류전원(AC 220V)이 공급되는 전원부(58)와, 상기 전원을 광원(4)이 필요로 하는 수 V와 수 십㎃~수 백㎃ 전ㆍ후로 강압시켜 정류하는 정류부(60)와, 정류된 직류전원에 의해 고휘도로 발광하고 또한 교통신호제어기(70)의 제어에 의해 점ㆍ소등하는 광원(4)과, 광원(4)의 빛(光)을 광고물(16)의 표시부(18)(18a)로 전송하는 광섬유(1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태양전지(64)와, 충전부와 조도스위치 기능을 갖는 제어부(66)와, 태양전지(64)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68)와, 충전지(68)의 충전전원으로 빛을 발하는 광원(4)과, 광원(4)으로부터 발하는 빛을 표시부(18)(18a)로 손실없이 전송시켜 표출시키는 광섬유(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투명한 상태의 전면판(11)과 신호등 표시부에 대응하는 색상의 셀로판지(13)와 후면판(15)을 결합시킨 다음 통공(19)이 형성된 케이스(16)의 내부 배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합시켜 표시부(18)(18a)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셀로판지(13)와 후면판(15)을 삭제하고 전면판(11)을 신호등 표시부에 대응하는 색상의 재질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전원부(58)와 정류부(60)를 삭제하고 대신 교통신호제어기(70)로부터 점ㆍ소등용 구동전원을 바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KR1019990037552A 1999-09-04 1999-09-04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KR19990083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552A KR19990083988A (ko) 1999-09-04 1999-09-04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KR2019990018729U KR200169270Y1 (ko) 1999-09-04 1999-09-04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552A KR19990083988A (ko) 1999-09-04 1999-09-04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729U Division KR200169270Y1 (ko) 1999-09-04 1999-09-04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988A true KR19990083988A (ko) 1999-12-06

Family

ID=196101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729U KR200169270Y1 (ko) 1999-09-04 1999-09-04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KR1019990037552A KR19990083988A (ko) 1999-09-04 1999-09-04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729U KR200169270Y1 (ko) 1999-09-04 1999-09-04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927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284B1 (ko) * 2000-07-18 2002-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디오의 조명구조
KR20040022844A (ko) * 2002-09-10 2004-03-18 박대호 광섬유와 태양전지를 이용한 교통표지판
KR100884394B1 (ko) * 2007-05-31 2009-02-17 (주)중앙뷰텍 광도파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
KR200467898Y1 (ko) * 2013-03-27 2013-07-10 김지훈 광섬유 표시장치
KR101991329B1 (ko) * 2018-10-16 2019-06-21 (주)인프라텍 광섬유를 이용한 표지판
KR102199079B1 (ko) * 2020-10-15 2021-01-06 조경억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KR102556858B1 (ko) * 2023-01-25 2023-07-19 (주)인프라텍 광섬유 표지판
KR102556857B1 (ko) * 2023-02-07 2023-07-19 (주)인프라텍 광섬유 표지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56B1 (ko) * 2007-11-21 2008-07-21 백석만 운전자용 보조 신호등
KR20170018360A (ko) 2017-01-02 2017-02-17 주식회사 제이플랜 핫픽스를 이용한 광고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284B1 (ko) * 2000-07-18 2002-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디오의 조명구조
KR20040022844A (ko) * 2002-09-10 2004-03-18 박대호 광섬유와 태양전지를 이용한 교통표지판
KR100884394B1 (ko) * 2007-05-31 2009-02-17 (주)중앙뷰텍 광도파를 이용한 교통 신호등
KR200467898Y1 (ko) * 2013-03-27 2013-07-10 김지훈 광섬유 표시장치
KR101991329B1 (ko) * 2018-10-16 2019-06-21 (주)인프라텍 광섬유를 이용한 표지판
KR102199079B1 (ko) * 2020-10-15 2021-01-06 조경억 신호등 보조 신호장치
KR102556858B1 (ko) * 2023-01-25 2023-07-19 (주)인프라텍 광섬유 표지판
KR102556857B1 (ko) * 2023-02-07 2023-07-19 (주)인프라텍 광섬유 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270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004B2 (en) LED night light with more than 1 optics means
US7972053B2 (en) Lighting apparatus
US6341440B1 (en) Multi-function signboard
US20020021573A1 (en) Lighting devices using LEDs
KR200169270Y1 (ko) 광섬유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CN103210149B (zh) 内部照明式路面标志器
US5056821A (en) Illuminated ski pole and method
US6886963B2 (en) LED light bulb for use in an illuminated aircraft sign
US20080105345A1 (en) Tire having an improved sidewall illumination system
AU732015B2 (en) Vehicular lamp and method
KR102322164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KR200177002Y1 (ko) 광섬유를 이용한 광고장치
US20050128740A1 (en) Multipurpose led flashlights and components thereof
CN209165186U (zh) 组合式灯具及其led发光模块
KR19990083992A (ko) 광섬유와 태양전지를 이용한 광 표시판
KR20040011914A (ko) 광섬유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US7181876B1 (en) LED sign visibility enhancing device
KR20040022844A (ko) 광섬유와 태양전지를 이용한 교통표지판
KR100971899B1 (ko) Led 교통신호등
CN211065310U (zh) 一种光纤照明雨伞
JP2000319833A (ja) 工事灯
CN213333776U (zh) 一种长寿命led灯
KR200397684Y1 (ko) 일체형 건전지 케이스가 구비된 손전등
CN218105027U (zh) 一种摩托车夜光照明头盔
RU202573U1 (ru) Светодиодная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лам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