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054B1 -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 - Google Patents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054B1
KR102184054B1 KR1020180143386A KR20180143386A KR102184054B1 KR 102184054 B1 KR102184054 B1 KR 102184054B1 KR 1020180143386 A KR1020180143386 A KR 1020180143386A KR 20180143386 A KR20180143386 A KR 20180143386A KR 102184054 B1 KR102184054 B1 KR 10218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oller
continuum
support roll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217A (ko
Inventor
슈이치 사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90109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 B05C11/1021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4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e.g. to a moving we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021/8924Dents; Relief fl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장척상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장치에 있어서, 기재 접속시에 있어서 연속체에 형성된 주름을 고정밀도로 검지한다.
(해결 수단) 반송 경로에 있어서 도공액 공급 위치와 접속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에서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연속체에 걸어맞춤하여 지지하는 지지 롤러와, 지지 롤러에 지지된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연속체를 사이에 끼워 조사부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는 광 빔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연속체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검지하는 주름 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이 발명은, 장척상 (長尺狀) 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공 장치로서, 집전체로서 기능하는 금속 등의 도전체 시트나 표면에 금속 박막이 형성된 수지 시트 등의 장척상의 기재를 롤·투·롤 방식으로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기재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도공 장치에서는, 도공막의 형성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4630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재를 롤상으로 감아 돌린 원단 (原反) 을 2 개 준비해 두고, 일방의 원단에 있어서의 기재의 잔량이 적어지면, 기재의 공급원을 다른 일방의 원단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 전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기재의 전환 기능을 갖는 기재 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다. 기재 공급부에는, 기재가 감긴 예비의 원단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원단에 감긴 기재가 당해 하나의 원단으로부터 송출됨으로써 기재의 잔량이 감소하면, 하나의 원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기재와, 예비의 원단에 감긴 기재를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접속시켜 기재끼리를 맞붙인 기재의 연속체를 형성하여 반송시킨다. 이에 따라, 기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재를, 하나의 원단에 감긴 기재로부터, 예비의 원단에 감긴 기재로 전환하고, 기재를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2 개의 기재를 접속하는 경우, 나중에 상세히 서술하는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원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기재의 후단부와, 예비의 원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기재의 선단부를 중첩시키고, 당해 중첩 영역에서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한 기재 접속을 실시하고 있다. 이 때에, 2 개의 기재를 접속한 연속체에 주름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 기재의 박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 차 전지와 같은 전지용 전극를 제조하기 위해서 동박를 기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기재의 두께는 수 미크론 정도이고, 2 개의 기재의 이음매 (중첩 영역) 에 주름이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여기서, 주름이 들어간 채로 연속체를 노즐로부터 도공액이 공급되는 도공액 공급 위치로 반송하면, 주름이 노즐과 간섭하는 경우가 있어, 연속체 (기재) 가 노즐에 말려들어가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또, 노즐의 선단부에 데미지를 주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2 개의 기재를 접속하여 연속체를 형성했을 때에 2 개의 기재의 이음매 (중첩 영역) 에 들어가 버린 주름을 검지하고, 그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노즐을 도공액 공급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주름을 고정밀도로 검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은 제공되어 있지 않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육안 관찰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요컨대, 오퍼레이터의 눈으로 이음매 (중첩 영역) 를 확인하여, 수동으로 노즐을 도공액 공급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한편, 이음매가 도공액 공급 위치를 통과하는 것을 확인한 후, 재접근시켜 도공를 재개하고 있었다. 그 결과, 24 시간 연속적으로 자동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상기 도공 장치를 사용할 수 없었다. 또, 기재의 연속 반송은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에 의한 매뉴얼 동작을 수반하는 분만큼 도공 로스가 되어 버려, 이것이 생산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의 하나가 되고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장척상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상기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장치에 있어서, 기재 접속시에 있어서 연속체에 형성된 주름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장척상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 위치에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도공액 공급 위치에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장치로서, 반송 경로에 있어서 도공액 공급 위치와 접속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에서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연속체에 걸어맞춤하여 지지하는 지지 롤러와, 지지 롤러에 지지된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연속체를 사이에 끼워 조사부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는 광 빔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연속체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검지하는 주름 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이 발명의 다른 양태는, 장척상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 위치에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도공액 공급 위치에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방법으로서, 반송 경로에 있어서 도공액 공급 위치와 접속 위치의 사이에 배치된 지지 롤러에 대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연속체를 걸어맞춤시켜 지지하는 공정과, 지지 롤러에 지지된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 (端部) 측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으로 조사함과 함께, 지지 롤러의 타방 단부측에서 광 빔을 수광하여 광 빔의 수광량을 구하는 공정과, 광 빔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연속체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검지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서는,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제 2 기재의 선단부가 접속 위치에서 접속되어 연속체가 형성되고,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이와 같이 제 1 기재와 제 2 기재를 접속했을 때에 연속체에 대하여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연속체를 지지 롤러로 지지하면서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측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으로 조사한다. 여기서, 연속체에 주름이 존재할 때에는, 광 빔의 일부 또는 전부가 주름에 차광되고, 수광부에서의 광 빔의 수광량이 감소하여 수광량이 변화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주름을 검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지지 롤러에 지지된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조사함과 함께 주름에 의해 광 빔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광되는 것에 의한 광 빔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연속체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검지하고 있다. 따라서, 연속체에 형성된 주름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도공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도공 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도공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는, 권출부에서의 연속체의 형성 동작의 제 1 스텝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는, 권출부에서의 연속체의 형성 동작의 제 2 스텝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 는, 권출부에서의 연속체의 형성 동작의 제 3 스텝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 는, 권출부에서의 연속체의 형성 동작의 제 4 스텝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도공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채용된 조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도공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도공 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도공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공 장치 (100) 는, 롤·투·롤 방식으로 반송되는 시트상의 기재 (S) 에 대하여 페이스트상 도공액을 도공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 차 전지와 같은 전지용 전극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의 방향을 통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Z 직교 좌표계를 설정한다. 여기서 XY 평면은 수평면이고, X 축은 기재 (S)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인 한편, Y 축은 X 축과 직교하고, 기재 (S) 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Z 축은 연직축을 나타내고, (-Z) 방향이 연직 하향 방향을 나타낸다.
이 도공 장치 (100) 는, 도공액을 기재 (S) 에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포부 (1) 를 가지고 있다. 이 도포부 (1) 는, 도포해야 할 도공액을 내부에 저류하는 탱크 (11) 와, 그 탱크 (11) 로부터 공급되는 도공액을 토출하는 1 개의 노즐 (12) 을 구비하고 있다. 노즐 (12) 은 X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구 (도시 생략) 로부터 도공액을 토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노즐 (12) 은 송액계 (13) 를 통해서 탱크 (11) 와 접속되어 있다. 송액계 (13)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11) 와 노즐 (12) 사이를 접속하는 배관 (131) 과, 그 배관 (131) 의 도중에 개재 삽입되어 배관 (131) 에 도공액을 유통시키는 펌프 (132) 를 가지고 있다. 펌프 (132) 는, 고점도의 도공액을 안정된 유량으로 송출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펌프로는 예를 들어 나사 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축 나사 펌프의 1 종인 모노 펌프를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펌프 (132) 의 동작은 제어 유닛 (2) 에 의해 제어되고, 노즐 (12) 로부터의 도공액의 토출 및 토출 정지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즐 (12) 의 토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기재 (S) 가 반송 유닛 (3) 에 의해 소정의 반송 경로 (PT) 를 따라 이송된다. 반송 유닛 (3) 은 기재 (S) 를 권출하는 권출부 (31) 를 가지고 있다. 권출부 (31) 에서는, 장척 시트상의 기재 (Sa) 를 롤상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원단 (311a) 과, 장척 시트상의 기재 (Sb) 를 롤상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원단 (311b) 이 2 개 세트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원단 (311a) 에 있어서의 기재 (Sa) 의 잔량이 충분히 있는 동안, 권출부 (31) 는 원단 (311a) 으로부터 기재 (Sa) 를 상기 기재 (S) 로서 권출한다. 또, 원단 (311a) 에서의 기재 (Sa) 의 잔량이 적어지면, 타방의 원단 (311b) 으로부터 기재 (Sb) 를 권출함과 함께 당해 기재 (Sb) 의 선단부를 원단 (311a) 으로부터의 기재 (Sa) 의 후단부와 접속하여 연속체를 형성하고, 이것을 상기 기재 (S) 로서 연속적으로 도포부 (1) 를 향해서 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권출부 (31) 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서술한다.
반송 유닛 (3) 은, 권출부 (31) 로부터 권출되고, 도포부 (1) 를 경유하여 반송되는 기재 (S) 를 권취하기 위해서, 복수의 반송 롤러 (32a, 32b), 백업 롤러 (33) 및 권취 롤러 (34) 를 가지고 있다. 즉, 권출부 (31) 로부터의 기재 (S) 는 반송 롤러 (32a, 32b) 를 통해서 백업 롤러 (33) 에 반송되고, 백업 롤러 (33) 의 표면에 감아 걸린다. 또, 백업 롤러 (33) 의 표면을 통과한 기재 (S) 는 권취 롤러 (34) 를 향해서 반송되고, 권취 롤러 (34) 에 의해 권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업 롤러 (33) 및 권취 롤러 (34) 의 사이에 있어서는, 기재 (S) 는 대략 평탄한 자세를 유지하여 반송되고 있고, 이 때의 기재 (S) 의 반송 방향 (Ds) 은 (+Y) 방향이다.
요컨대, 반송 유닛 (3) 은, 도포 대상물인 기재 (S) 를 지지하여 유지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 및 이것을 반송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반송 유닛 (3) 은 또한, 제어 유닛 (2) 으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라, 권출부 (31) 의 각 부를 구동하는 권출 구동 기구 (35) 와 권취 롤러 (34) 를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 구동 기구 (36) 를 가지고 있다 (도 3).
이와 같이 반송 유닛 (3) 에 의해 지지·반송되는 기재 (S) 의 주면 (主面)중, 일방면이 백업 롤러 (33) 에 맞닿아 있는 부분의 타방면에 대향하도록, 노즐 (12) 이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노즐 (12) 과 대향 배치된 백업 롤러 (33) 의 표면에 기재 (S) 가 감아 걸림으로써, 기재 (S) 가 노즐 (12) 과 대향한다. 노즐 (12) 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이 기재 (S) 의 표면에 도포된다. 기재 (S) 가 화살표 (Ds) 방향으로 반송됨으로써, 노즐 (12) 을 기재 (S)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주사 이동시키면서 도공액을 기재 (S) 에 도포할 수 있다. 기재 (S) 표면 중, 이면측이 백업 롤러 (33) 에 맞닿는 영역에 노즐 (12) 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도공액을 도포함으로써, 소정의 도공액 공급 위치 (P2) 에 위치 결정된 노즐 (12) 과 기재 표면의 갭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도포를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12) 은 상기 도공액 공급 위치 (P2) 와 도공액 공급 위치 (P2) 로부터 반(反) 백업 롤러 측으로 이간한 이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노즐 이동 기구 (14) (도 3) 와 접속되어 있다. 이 노즐 이동 기구 (14) 가 제어 유닛 (2) 으로부터의 이동 지령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노즐 (12) 은 도공액 공급 위치 (P2) 와 이간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도공액 공급 위치 (P2) 에 위치 결정된 노즐 (12) 의 토출구로부터 일정량으로 연속적으로 도공액이 토출되면, 기재 (S) 의 표면에는 도공액에 의한 웨트막 (도시 생략) 이 Y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집전체로서 기능하는 금속 등의 도전체 시트를 기재 (S) 로서 시용하고, 도공액으로서 활물질 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사용함으로써, 집전체층의 표면에 활물질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지용 전극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도공액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고점도이며, 예를 들어 전단 속도 10 s-1 에 있어서의 점도가 50 ㎩·s 내지 300 ㎩·s 정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재 (S) 로는, 예를 들어 수지 시트의 표면에 금속 박막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 반송 유닛 (3) 에 의한 기재 (S) 의 반송 방향 (Ds) 에 있어서, 백업 롤러 (33) 보다 하류측이고 권취 롤러 (34) 보다 상류측의 위치에, 경화 유닛 (4) 이 형성되어 있다. 경화 유닛 (4) 은, 그 내부에 통송되는 기재 (S) 에 형성된 웨트막에 대하여 예를 들어 건조 공기, 열풍, 적외선 등을 공급함으로써 도공액의 용매 성분의 휘발을 촉진하고, 웨트막을 건조 경화시켜 도공막을 형성한다. 도공액이 특정한 전자파에 감응하여 경화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경우에는, 당해 전자파를 도공액에 조사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기재 (S) 의 반송 경로를 따른 경화 유닛 (4) 의 길이는, 도공액의 경화 시간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도공 장치 (100) 에서는, 반송 경로 (PT) 를 따라 기재 (S) 를 반송 방향 (Ds) 으로 반송하면서 도공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면서, 일방의 원단 (311a) 에 있어서의 기재 (Sa) 의 잔량이 적어지면, 권출부 (31) 에 의해 기재 (Sa) 의 후단부에 타방의 원단 (311b) 으로부터의 기재 (Sb) 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기재 (S) 로서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 권출부 (31)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출 롤러 (312a), 보조 롤러 (313a), 권출 롤러 (312b) 및 보조 롤러 (313b) 가 폭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회동축 (314a) 을 중심으로 등각도 간격 (90˚) 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회동축 (314a) 둘레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터릿 기구 (314) 가 구성되어 있다. 터릿 기구 (314) 의 회동축 (314a) 은 권출 구동 기구 (35) 와 접속되고, 권출 구동 기구 (35) 에 의해 터릿 기구 (314) 가 도 1 의 지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나중에 도 4a ∼ 4d 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서술하도록 기재 전환을 실시한다.
또, 기재 전환을 실시할 때에는, 잔량이 적어진 원단 (311a) 으로부터 기재 (Sa) 를 분리하는 절단 동작과, 원단 (311a) 으로부터 분리된 기재 (Sa) 의 후단부와 원단 (311b) 으로부터 권출된 기재 (Sb) 의 선단부를 접속하는 접속 동작을 실행한다. 그를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 기구 (315) 와 가압 기구 (316) 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 기구 (315) 는, 폭 방향 (X) 으로 연장 형성된 회동축 (315a) 둘레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아암 부재 (315b) 와, 아암 부재 (315b) 의 선단부에 장착된 커터 부재 (315c)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절단 기구 (315) 의 회동축 (315a) 은 권출 구동 기구 (35) 와 접속되고, 권출 구동 기구 (35) 에 의해 아암 부재 (315b) 가 도 1 의 지면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커터 부재 (315c) 가 대기 위치 (도 1 중의 실선 위치) 로부터 절단 위치 (도 4b 의 실선 위치) 로 이동하여 기재 (Sa) 를 절단한다.
가압 기구 (316) 는, 폭 방향 (X) 으로 연장 형성된 회동축 (316a) 둘레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아암 부재 (316b) 와, 아암 부재 (316b) 의 선단부에 장착된 가압 롤러 (316c)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압 기구 (316) 의 회동축 (316a) 은 권출 구동 기구 (35) 와 접속되고, 권출 구동 기구 (35) 에 의해 아암 부재 (316b) 가 도 1 의 지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가압 롤러 (316c) 가 기재 (Sa) 의 후단부를 접속 위치 (P1) 에서 원단 (311b) 에 가압한다. 이 가압 타이밍에서, 미리 오퍼레이터에 의해 기재 (Sb) 의 선단부의 표면에 첩부 (貼付) 된 양면 테이프 (TP) 가 가압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기재 (Sa) 의 후단부와 기재 (Sb) 의 선단부가 서로 겹치는 중첩 영역에 있어서, 기재 (Sa) 의 후단부와 기재 (Sb) 의 선단부가 양면 테이프 (TP) 에 의해 접속된다 (도 4c 참조).
또, 권출부 (31) 에는, 고정 롤러 (318a), 텐션 롤러 (318b) 및 고정 롤러 (318c) 가 형성되어 있고, 터릿 기구 (314) 로부터 권출되는 기재 (S) 를 도포부 (1) 를 향해서 반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권출부 (31) 에서는, 원단 (311a) 에서의 기재 (Sa) 의 잔량 저하에 수반하여 기재 (Sa, Sb) 를 접속하여 연속체를 형성하고, 이것을 기재 (S) 로서 권출한다. 이 기재 접속시에 기재 (Sa, Sb) 의 이음매 (중첩 영역) 에 주름이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를, 도 4a ∼ 도 4d 를 참조하면서 권출부 (31) 의 동작을 설명함으로써 분명히 한다.
도 4a 내지 도 4d 는 권출부에서의 연속체의 형성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공 장치 (100)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부 (1) 로의 기재 (S) 의 권출을 실시하는 소정의 기재 권출 위치에 위치 결정된 원단 (311a) 으로부터 기재 (Sa) 를 기재 (S) 로서 권출부 (31) 로부터 권출하고, 반송 방향 (Ds) 으로 기재 (S) 를 반송하면서 도포부 (1) 에 의한 도공액의 공급 및 경화 유닛 (4) 에 의한 건조 경화를 실시하여 도공막을 기재 (S) 에 형성한다. 이 기재 (Sa) 에 대한 도공 처리를 계속하여 실시함으로써 원단 (311a) 에서의 기재 잔량이 감소해 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유닛 (2) 은 기재 잔량이 일정값에 도달하면, 기재 (S) 에 대한 도공 처리를 일정 시간 동안만 계속하면서 원단의 전환 동작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연속체를 형성하고, 이것을 기재 (S) 로서 권출한다.
이 원단의 전환 동작에서는,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릿 기구 (314) 가 권출 구동 기구 (35) 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약 160˚ 회동하여 원단 (311a) 을 기재 권출 위치로부터 이간시킴과 함께 원단 (311b) 을 기재 권출 위치에 가까이 한다. 이와 같은 회동축 (314a) 을 중심으로 하는 원단 (311a, 311b) 의 선회 동작에 연동하여 권출 롤러 (312a, 312b) 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권출 롤러 (312b) 측에서는, 원단 (311b) 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선단부 (Sbf) (도 4c 참조) 가 기재 (Sa) 를 향해서 권출된다. 한편, 권출 롤러 (312a) 측에서는, 원단 (311a) 으로부터 기재 (Sa) 가 권출되어 보조 롤러 (313a) 에 감아 걸린다. 또 기재 (Sa) 의 권출에 연동하여 가압 롤러 (316c) 가 기재 권출 위치의 근방에 위치하는 원단 (311b) 을 향해서 이동하고, 기재 (Sa) 를 원단 (311b) 의 선단부 (Sbf) 로 밀어보내고, 기재 (Sa, Sb) 를 서로 겹쳐 중첩 영역 (Rs) (도 4c 참조) 을 형성한다. 이 원단 (311b) 의 선단부 (Sbf) 의 표면에는, 미리 양면 테이프 (TP) 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원단 (311a, 311b) 의 권출이 진행되면, 양면 테이프 (TP) 가 가압 롤러 (316c) 의 바로 아래 위치로 이송되고, 중첩 영역 (Rs) 에서 기재 (Sa, Sb) 를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2 개의 기재 (Sa, Sb) 가 접속되는 위치가 접속 위치 (P1) 이다.
이와 같이 접속 위치 (P1) 에서의 기재 (Sa, Sb) 의 접속이 완료되면,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 부재 (315c) 가 대기 위치 (점선 위치) 로부터 절단 위치 (실선 위치) 로 이동하여 기재 (Sa) 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기재 (Sa) 가 원단 (311a) 으로부터 분리되고, 기재 (Sa) 의 후단부 (Sar) 와 기재 (Sb) 의 선단부 (Sbf) 가 서로 겹쳐 있는 영역, 요컨대 중첩 영역 (Rs) (도 4c 참조) 의 범위가 확정된다. 한편, 상기 분리에 의해, 그 이후에 있어서는 원단 (311a) 으로부터의 도포부 (1) 로의 기재 공급은 정지된다. 또, 상기 기재 공급의 정지와 교체하여, 중첩 영역 (Rs) 에 계속해서 기재 (Sb) 가 기재 (Sa) 와 접속되어 장척 띠형상의 연속체를 형성하고, 기재 (S) 로서 도포부 (1) 를 향해서 권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기재 (Sa) 의 분리가 완료되면,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 부재 (315c) 가 대기 위치 (실선 위치) 로 되돌아간다. 또, 중첩 영역 (Rs) 이 가압 위치를 통과하면, 가압 롤러 (316c) 도 원래의 대기 위치 (실선 위치) 로 되돌아간다. 또한, 터릿 기구 (314) 가 권출 구동 기구 (35) 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약 20˚ 회동하여 원단 (311b) 을 기재 권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위치 결정한다.
이와 같이 터릿 기구 (314) 를 180˚ 회동시키는 동안에, 기재 (Sa) 의 후단부 (Sar) 와 기재 (Sb) 의 선단부 (Sbf) 의 부분적인 중첩 동작, 중첩 영역 (Rs) 에 대한 가압 롤러 (316c) 의 가압 동작 그리고 기재 (Sa) 의 절단 동작을 실시하고 있다. 이들 동작이 기재 (Sa, Sb) 에 부여되기 때문에, 특히 금속 시트 등의 박막 재료로 기재 (Sa, Sb) 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c 중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 영역 (Rs) 에 주름 (W)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주름 (W) 이 들어간 상태에서 기재 (S) 가 고정 롤러 (318a), 텐션 롤러 (318b) 및 고정 롤러 (318c) 를 통해서 권출부 (31) 로부터 반출되고, 또한 반송 롤러 (32a, 32b) 를 통해서 백업 롤러 (33) 에 반송된다 (도 4d 참조). 따라서, 노즐 (12) 이 도공액 공급 위치 (P2) 에 위치한 상태인 채로, 주름 (W) 이 백업 롤러 (33) 에 반송되어 오면, 노즐 (12) 과 간섭하여 기재 (S) 가 노즐 (12) 에 말려 들어가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또, 노즐 (12) 의 선단부에 데미지가 부여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S) 의 반송 경로 (PT) 에 있어서 접속 위치 (P1) 와 도공액 공급 위치 (P2) 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 (P3) 에서 주름 (W) 을 광학적으로 검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롤러 (32a) 에 기재 (연속체) (S) 가 감아 걸어맞춤하여 지지된 위치를 중간 위치 (P3) 로 하고, 이 중간 위치 (P3) 에 있어서 조사부 (5) 와 수광부 (6) 가 기재 (S) 를 사이에 끼워 폭 방향 (X) 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조사부 (5) 는 반송 롤러 (32a) 의 일방 단부 (32a1) 의 바로 위에 배치된 발광 소자 (51) 를 가지고 있다. 발광 소자 (51) 는 반송 롤러 (32a) 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주름 검지 높이 (H) (도 4c 참조) 만큼 연직 상방 (+Z) 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에서 광 빔 (LB) 을 폭 방향 (X) 으로 조사하도록 지지 부재 (도시 생략) 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주름 검지 높이 (H) 는
H > (기재 (Sa) 의 두께) + (양면 테이프 (TP) 의 두께) + (기재 (Sb) 의 두께)
로 설정되어 있고, 광 빔 (LB) 은 기재 (연속체) (S) 의 표면을 따라 진행된다.
또, 수광부 (6) 는 반송 롤러 (32a) 의 타방 단부 (32a2) 의 바로 위에 배치된 수광 소자 (61) 를 가지고 있다. 수광 소자 (61) 는 발광 소자 (51) 와 대향하여 광 빔 (LB) 을 수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수광 소자 (61) 는 반송 롤러 (32a) 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주름 검지 높이 (H) 만큼 연직 상방 (+Z) 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에서 광 빔 (LB) 을 수광하도록 지지 부재 (도시 생략) 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중의 1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부 (5) 의 발광 소자 (51) 로부터 광 빔 (LB) 이 백업 롤러 (33) 에 감아 걸린 기재 (S) 의 표면 상을 통과하여 수광부 (6) 의 수광 소자 (61) 에 입사되도록, 발광 소자 (51) 및 수광 소자 (61) 가 고정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 (2) 으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조사부 (5) 는 수광부 (6) 를 향해서 광 빔 (LB) 을 조사한다. 한편, 수광부 (6) 는 조사부 (5) 로부터 조사된 광 빔 (LB) 을 수광하고, 그 수광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유닛 (2) 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 (2) 은 당해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주름 검지를 실시한다.
제어 유닛 (2)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 등에 의해 구성되는 연산 처리부 (21) 와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 (22) 를 가지고 있다. 연산 처리부 (21) 는 기억부 (22) 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장치 각 부를 제어하여 기재 (S) 에 대한 도공 처리를 실시한다. 특히 원단 (311a) 에서의 기재 잔량이 감소하여 기재 (Sa) 에 기재 (Sb) 를 접속하여 장척 띠형상의 연속체를 형성하고, 이것을 기재 (S) 로 하여 도공 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수광부 (6) 에 의해 수광되는 광 빔 (LB) 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기재 (연속체) (S) 에서의 주름 (W) 의 발생을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펌프 (132) 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공액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제어함과 함께 노즐 이동 기구 (14) 를 제어하여 주름 (W) 이 도공액 공급 위치 (P2) 를 통과하는 동안만 노즐 (12) 을 도공액 공급 위치 (P2) 로부터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고, 퇴피시킨다. 이와 같이, 연산 처리부 (21) 는 본 발명의 「주름 검지부」, 「공급 제어부」 및 「노즐 위치 제어부」 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사부 (5) 및 수광부 (6) 의 조합에 의해 기재 (Sa) 의 후단부 (Sar) 와 기재 (Sb) 의 선단부 (Sbf) 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기재 (연속체) (S) 에 들어간 주름 (W) 을 중간 위치 (P3) 에서 광학적 또한 비접촉 상태에서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또, 주름 (W) 의 검지에 기초하여 주름 (W) 이 백업 롤러 (33) 중 노즐 (12) 의 토출구와 대향하는 도공액 공급 위치 (P2) 를 통과하는 동안만 노즐 (12) 을 이간 위치로 퇴피하고 있다. 이 때문에, 노즐 (12) 이 주름 (W) 과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기재 표면 중 주름 (W) 이 형성된 영역에 대한 도공액의 공급이 정지되고, 도공액이 쓸데없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Sa, Sb) 가 각각 본 발명의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 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또, 반송 롤러 (32a) 가 본 발명의 「지지 롤러」 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또, Z 방향이 본 발명의 「지지 롤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 에 상당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롤러 (지지 롤러) (32a) 에 대하여 기재 (S) 를 걸어맞춤시켜 주름 (W) 의 검지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 주름 검지에서는, 기재 (S) 가 반송 롤러 (32a) 의 표면에 밀접하고 있는 것이 전제 조건이 된다. 그렇다고 하는 것도, 반송 롤러 (32a) 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기재 (S) 가 부상하면, 부상 부분에서 광 빔 (LB) 이 차광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반송 롤러 (32a) 의 롤러 표면으로부터의 기재 (S) 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송 롤러 (32a) 로서, 기재 (S) 와 걸어맞춤하는 롤러 표면 영역에 홈이 복수 형성된 그루브 롤러, 당해 롤러 표면 영역에 흡착공이 복수 형성된 흡착 롤러 또는 당해 롤러 표면 영역이 고무 부재로 덮인 고무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소자 (51) 및 수광 소자 (61) 는 지지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롤러 (32a) 의 편심이 커지면, 중간 위치 (P3) 에서의 연직 방향 (Z) 에 있어서의 기재 (S) 의 표면 높이도 주기적으로 크게 변동하고, 그 영향에 의해 오검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반송 롤러 (32a) 의 편심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서, 조사부 (5) 및 수광부 (6) 를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이하, 도 5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도공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채용된 조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것은, 조사부 (5) 및 수광부 (6) 의 구성뿐이며,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를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채용된 조사부 (5) 는 발광 소자 (51) 를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지지 부재 (도시 생략) 에 의해 고정 배치하고 있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 채용된 조사부 (5) 는 발광 소자 (51) 의 높이 위치를 반송 롤러 (32a) 의 편심에 따라 연직 방향 (Z) 으로 변위시키면서 발광 소자 (51) 를 유지하는 발광 유지 기구 (5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발광 유지 기구 (52)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롤러 (32a) 의 일방 단부 (32a1) 의 롤러 표면에 걸어맞춤하면서 반송 롤러 (32a) 에 대하여 종동하는 회전하는 2 개의 회전 롤러 (521, 521) 를 가지고 있다. 회전 롤러 (521, 521) 는 Y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면서 발광측 유지 부재 (522)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고, 반송 롤러 (32a) 의 회전 동작에 추종하여 종동 회전한다.
발광측 유지 부재 (522)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롤러 (521, 521) 로 끼워 넣도록 하여 발광 소자 (51) 를 유지하고 있다. 또, 2 개의 스프링 부재 (523, 523) 에 의해 반송 롤러 (32a) 를 향하는 방향, 요컨대 (-Z)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장치 프레임 (FL) 에 대하여 연직 방향 (Z) 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발광측 유지 부재 (522) 로 축지지한 회전 롤러 (521, 521) 가 스프링 부재 (523, 523) 의 탄성지지력으로 반송 롤러 (32a) 의 롤러 표면을 가압하면서 안정되게 맞닿는다.
여기서, 도 5 의 (a) 란에 나타내는 편심 상태로부터 도 5 의 (b) 란에 나타내는 편심 상태로 이행하는, 요컨대 반송 롤러 (32a) 의 편심에 의해 반송 롤러 (32a) 가 연직 상방, 요컨대 (+Z)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 스프링 부재 (523, 523) 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면서 회전 롤러 (521, 521), 발광측 유지 부재 (522) 그리고 발광 소자 (51) 는 반송 롤러 (32a) 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변동시키는 일 없이, 일체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도 5 의 (b) 란에 나타내는 편심 상태로부터 도 5 의 (a) 란에 나타내는 편심 상태로 이행하는, 요컨대 반송 롤러 (32a) 의 편심에 의해 반송 롤러 (32a) 가 연직 하방, 요컨대 (-Z)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 스프링 부재 (523, 523) 의 스프링 힘에 의해 회전 롤러 (521, 521), 발광측 유지 부재 (522) 그리고 발광 소자 (51) 는 반송 롤러 (32a) 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변동시키는 일 없이, 일체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반송 롤러 (32a) 의 편심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발광 소자 (51) 는 반송 롤러 (32a) 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주름 검지 높이 (H) 만큼 연직 상방 (+Z) 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에서 광 빔 (LB) 을 폭 방향 (X) 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 도시를 생략하지만, 수광부 (6) 도 상기 발광 유지 기구 (52)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수광 유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수광 유지 기구의 수광측 유지 부재에 의해 수광 소자 (61) 가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송 롤러 (32a) 의 편심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수광 소자 (61) 도 반송 롤러 (32a) 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주름 검지 높이 (H) 만큼 연직 상방 (+Z) 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에서 광 빔 (LB) 을 수광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롤러 (32a) 의 편심량이 작은 경우에는 물론 비교적 큰 경우이더라도, 항상 광 빔 (LB) 을 기재 (연속체) (S) 의 표면을 따라 조사하고, 그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주름 (W) 을 안정적으로, 또한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광 유지 기구 (52) 의 회전 롤러 (521, 521) 가 본 발명의 「발광측 회전 롤러」 의 일례에 상당하고, 수광 유지 기구의 회전 롤러가 본 발명의 「수광측 회전 롤러」 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또, 연직 방향 (Z) 이 본 발명의 「직교 방향」 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것 이외에 여러 가지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권출부 (31) 의 외측에 배치된 반송 롤러 (32a) 에 대응하여 조사부 (5) 및 수광부 (6) 를 형성하여 주름 검지를 실시하고 있지만, 그 밖의 롤러 (318a, 318c, 32b) 등에 대응하여 조사부 (5) 및 수광부 (6) 를 형성하여 주름 검지를 실시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S) 로서 집전체가 되는 금속막을, 도공막으로서 활물질 재료를 사용하여 전지용 전극를 제조하지만, 이 발명에 적용 대상이 되는 기재 및 도공막 (도공액) 의 재료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이 발명은, 장척상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기술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5 : 조사부
6 : 수광부
12 : 노즐
14 : 노즐 이동 기구
21 : 연산 처리부 (주름 검지부, 공급 제어부, 노즐 위치 제어부)
32a : 반송 롤러 (지지 롤러)
32a1 : (반송 롤러의) 일방 단부
32a2 : (반송 롤러의) 타방 단부
51 : 발광 소자
52 : 발광 유지 기구
61 : 수광 소자
100 : 도공 장치
311a, 311b : 원단
521 : (발광측) 회전 롤러
522 : (발광측) 유지 부재
LB : 광 빔
P1 : 접속 위치
P2 : 도공액 공급 위치
P3 : 중간 위치
PT : 반송 경로
S : 기재 (연속체)
Sa : (제 1) 기재
Sar : (제 1 기재의) 후단부
Sb : (제 2) 기재
Sbf : (제 2 기재의) 선단부
W : 주름
Z : 연직 방향 (직교 방향)

Claims (10)

  1. 장척상 (長尺狀) 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 위치에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도공액 공급 위치에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상기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장치로서,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기 도공액 공급 위치와 상기 접속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연속체에 걸어맞춤하여 지지하는 지지 롤러와,
    상기 지지 롤러에 지지된 상기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상기 연속체를 사이에 끼워 상기 조사부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는 상기 광 빔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연속체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검지하는 주름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사부는 상기 지지 롤러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주름 검지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측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으로 상기 광 빔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지지 롤러의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주름 검지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상기 발광 소자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 (端部) 에서 롤러 표면과 걸어맞춤하여 상기 지지 롤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거리를 상기 주름 검지 높이로 유지하는 발광 유지 기구를 갖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수광 소자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지 롤러의 타방 단부에서 상기 롤러 표면과 걸어맞춤하여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상기 수광 소자까지의 거리를 상기 주름 검지 높이로 유지하는 수광 유지 기구를 갖는, 도공 장치.
  3. 장척상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 위치에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도공액 공급 위치에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상기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장치로서,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기 도공액 공급 위치와 상기 접속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연속체에 걸어맞춤하여 지지하는 지지 롤러와,
    상기 지지 롤러에 지지된 상기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상기 연속체를 사이에 끼워 상기 조사부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는 상기 광 빔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연속체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검지하는 주름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사부는 상기 지지 롤러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측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으로 상기 광 빔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지지 롤러의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상기 발광 소자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에서 롤러 표면과 걸어맞춤하여 상기 지지 롤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거리를 주름 검지 높이로 유지하는 발광 유지 기구를 갖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수광 소자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지 롤러의 타방 단부에서 상기 롤러 표면과 걸어맞춤하여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롤러 표면으로부터 상기 수광 소자까지의 거리를 상기 주름 검지 높이로 유지하는 수광 유지 기구를 갖는, 도공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지 기구는, 상기 지지 롤러의 상기 일방 단부의 상기 롤러 표면에 걸어맞춤하면서 상기 지지 롤러에 대하여 종동하는 회전하는 발광측 회전 롤러와, 상기 발광 소자를 유지함과 함께 상기 발광측 회전 롤러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광측 유지 부재를 갖고,
    상기 수광 유지 기구는, 상기 지지 롤러의 상기 타방 단부의 상기 롤러 표면에 걸어맞춤하면서 상기 지지 롤러에 대하여 종동하는 회전하는 수광측 회전 롤러와, 상기 수광 소자를 유지함과 함께 상기 수광측 회전 롤러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광측 유지 부재를 갖는, 도공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연속체와 걸어맞춤하는 롤러 표면 영역에 홈이 복수 형성된 그루브 롤러, 상기 롤러 표면 영역에 흡착공이 복수 형성된 흡착 롤러 또는 상기 롤러 표면 영역이 고무 부재로 덮인 고무 롤러인, 도공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검지부에 의해 주름의 발생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주름이 상기 도공액 공급 위치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노즐을 상기 도공액 공급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노즐 위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도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상기 도공액 공급 위치로부터 퇴피되는 동안,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도공액의 공급을 정지하는 공급 제어부를 구비하는, 도공 장치.
  9. 장척상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 위치에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도공액 공급 위치에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상기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기 도공액 공급 위치와 상기 접속 위치의 사이에 배치된 지지 롤러에 대하여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연속체를 걸어맞춤시켜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 롤러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주름 검지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측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으로 광 빔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지지 롤러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주름 검지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에 의해, 상기 지지 롤러에 지지된 상기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상기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측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으로 조사함과 함께, 상기 지지 롤러의 상기 타방 단부측에서 상기 광 빔을 수광하여 상기 광 빔의 수광량을 구하는 공정과,
    상기 광 빔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연속체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검지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방법.
  10. 장척상의 제 1 기재의 후단부에 대하여 장척상의 제 2 기재의 선단부를 접속 위치에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도공액 공급 위치에서 노즐로부터 도공액을 공급하여 상기 연속체에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기 도공액 공급 위치와 상기 접속 위치의 사이에 배치된 지지 롤러에 대하여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연속체를 걸어맞춤시켜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 롤러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측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으로 광 빔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지지 롤러의 롤러 표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에 의해, 상기 지지 롤러에 지지된 상기 연속체의 표면을 따라 광 빔을 상기 지지 롤러의 일방 단부측으로부터 타방 단부측으로 조사함과 함께, 상기 지지 롤러의 상기 타방 단부측에서 상기 광 빔을 수광하여 상기 광 빔의 수광량을 구하는 공정과,
    상기 광 빔의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연속체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검지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방법.
KR1020180143386A 2018-03-15 2018-11-20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 KR102184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7807A JP6974223B2 (ja) 2018-03-15 2018-03-15 塗工装置および塗工方法
JPJP-P-2018-047807 2018-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217A KR20190109217A (ko) 2019-09-25
KR102184054B1 true KR102184054B1 (ko) 2020-11-27

Family

ID=6795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386A KR102184054B1 (ko) 2018-03-15 2018-11-20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74223B2 (ko)
KR (1) KR102184054B1 (ko)
CN (1) CN1102704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5654B (zh) * 2021-03-31 2022-09-27 济南利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利用透光原理且防褶皱的薄膜光稳定剂检测装置
CN116698859B (zh) * 2023-08-04 2023-10-27 常州恒锌禹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铝箔涂炭ccd对边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754A (ja) 1999-01-14 2000-07-25 Kataoka Mach Co Ltd 帯状シ―ト搬送用の案内ロ―ラ
JP2003284994A (ja) * 2002-03-27 2003-10-07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方法および装置
JP2015157269A (ja) * 2014-02-25 2015-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媒体の平坦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3927B2 (ja) * 1987-08-05 1998-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154951A (en) * 1990-03-26 1992-10-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bead coating a web with liquid composition
US6576296B1 (en) * 1998-03-10 2003-06-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b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oating over splices
JP4278885B2 (ja) * 2000-05-25 2009-06-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539753B2 (ja) * 2008-04-10 2010-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ウェブ搬送装置及びウェブ搬送制御方法
US8297221B2 (en) * 2010-06-22 2012-10-30 Ortho-Clinical Diagnostics, Inc. Apparatus for slot die setup and control during coating
US9676202B2 (en) * 2012-05-09 2017-06-1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in an inkjet printer
JP6111651B2 (ja) * 2012-12-26 2017-04-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KR101928623B1 (ko) * 2015-09-28 2018-12-12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접속 방법, 도공 방법, 제조 방법, 접속 장치, 도공 장치, 및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754A (ja) 1999-01-14 2000-07-25 Kataoka Mach Co Ltd 帯状シ―ト搬送用の案内ロ―ラ
JP2003284994A (ja) * 2002-03-27 2003-10-07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方法および装置
JP2015157269A (ja) * 2014-02-25 2015-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媒体の平坦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217A (ko) 2019-09-25
CN110270470B (zh) 2021-10-26
CN110270470A (zh) 2019-09-24
JP6974223B2 (ja) 2021-12-01
JP2019155305A (ja)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054B1 (ko)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
KR101642626B1 (ko) 양면 도공 시스템
US8601921B2 (en) Optical film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117768B1 (ko)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
KR101761973B1 (ko) 레이저 노칭장치
JP5293498B2 (ja) ウエブ搬送装置及びその方法と電池の製造方法
KR102330719B1 (ko) 레이저와 비전을 이용한 이차전지용 전극시트 가공장치
JP2014079708A (ja) 両面塗布装置
KR20180135936A (ko) 필름 부재 첩부 장치, 필름 부재 첩부 방법 및 가이드 부재
JP2012016641A (ja) 塗布装置
JP2014107148A (ja) 蓄電装置の活物質塗布方法及び活物質塗布装置
JP6146867B2 (ja) 包装機における原反ロールのフィルム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200122728A (ko) 필름 가공 장치
JP2017016866A (ja) シート部材の塗工システム
JP2009233506A (ja) パターン塗布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塗布方法
JP2022155714A (ja) 塗布装置
JP2015015115A (ja) 電極シートの作成装置及び作成方法
JP2014236031A (ja) 貼付装置
JP2018149632A (ja) 吸着テープ自動貼着装置および吸着テープ自動貼着方法
JP6063408B2 (ja) フィルム搬送装置
JP5501177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6114216B2 (ja) 包装機における原反ロールのフィルム接続方法
JP5493545B2 (ja) ウエブ搬送装置及びその方法と電極板の製造方法,電池の製造方法
JP2022149458A (ja) 塗布装置
JP4699315B2 (ja) 保護フィルム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