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317B1 - 암형 버튼, 및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의 조합품 - Google Patents

암형 버튼, 및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의 조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317B1
KR102183317B1 KR1020197024161A KR20197024161A KR102183317B1 KR 102183317 B1 KR102183317 B1 KR 102183317B1 KR 1020197024161 A KR1020197024161 A KR 1020197024161A KR 20197024161 A KR20197024161 A KR 20197024161A KR 102183317 B1 KR102183317 B1 KR 10218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paper
piece
female butt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110A (ko
Inventor
에이지 스미우치
쇼지 마츠이
하야토 다도코로
다카히로 간노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44B17/0076Socket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38Clamping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4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deformable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11Press-button fasteners in which the elastic retaining action is obtained by a spring working in the plane of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23Press-button fasteners in which the elastic retaining action is obtained by the own elasticity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41Press-button fasteners consisting of two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47Press-button fasteners consisting of three part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암형 버튼(100)은, 회전자(140)가 제1 위치일 때,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삽입 분리가 허용되는 비로크 상태에 있고, 회전자(140)가 제2 위치일 때,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삽입 분리가 허용되지 않는 로크 상태에 있다.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축(AX)을 향하는 제지편(110)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융기부(170)가 제지편(110) 또는 탄성 부재(120)에 마련되고, 전술한 회전축(AX)을 향하는 제지편(110)의 변위가 기둥부(210)에 의해 저지되면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진다.

Description

암형 버튼, 및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의 조합품
본 개시는, 암형 버튼, 및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의 조합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도 17은, 동일한 문헌의 명세서 단락 0085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볼록부(70m5)가 오목부(60m5)에 끼워 맞춤되어, 로크 감각이 얻어지는 것을 설명한다.
국제 공개 제2013/121650호
암형 버튼에 대한 수형 버튼의 기둥부의 삽입의 유무에 관계없이 항시 로크 감각을 부여하는 것은,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이 결합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이 결합되었다고 오인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은, 회전자가 제1 위치일 때, 수형 버튼의 기둥부의 삽입 분리가 허용되는 비로크 상태에 있고, 상기 회전자가 제2 위치일 때, 상기 수형 버튼의 기둥부의 삽입 분리가 허용되지 않는 로크 상태에 있는 암형 버튼이며,
상기 수형 버튼의 기둥부를 제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으로 하여, 상기 회전자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상기 제지편의 변위가 허용되고, 상기 회전자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상기 제지편의 변위가 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과,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자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회전축을 향하는 상기 제지편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융기부가 상기 제지편 또는 상기 탄성 부재에 마련되고, 전술한 회전축을 향하는 상기 제지편의 변위가 상기 기둥부에 의해 저지되면 상기 회전자의 회전 저항이 높아진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자가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 저항이 높아진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1개소만 존재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 1개소만 존재한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으로서, 상기 기둥부를 제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지편을 구비한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제지편의 단부로 구성되는 오목부에 끼워 맞춤되는 끼워 맞춤 돌기를 갖는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끼워 맞춤 돌기는,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자가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탄성 부재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지편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볼록부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결합 볼록부가 끼워 맞춤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오목부를 갖는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융기부는, 상기 결합 오목부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지편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박육화된 박육부를 갖는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는, 수지 스프링이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으로서, 상기 기둥부를 제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지편을 구비한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제지편의 단부와 상기 회전자가 끼워 맞춤된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제지편은, 상기 한 쌍의 제지편이 결합된 환상 부재의 분할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버튼의 조합품은, 상기 어느 것에 기재된 암형 버튼과,
상기 암형 버튼의 상기 제지편에 의해 제지되는 상기 기둥부를 갖는 수형 버튼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이 결합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이 결합되었다고 오인식할 우려가 저감된다. 본 개시는, 오인을 저감할 다른 수단과도 병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비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회전자가 제1 위치에 있고, 수형 버튼의 기둥부의 삽입 분리가 허용된다. 도 1은 도 3의 I-I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회전자가 제2 위치에 있고, 수형 버튼의 기둥부의 삽입 분리가 허용되지 않는다. 도 2는 도 3의 II-II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비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에 있어서 제지편과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탄성 부재는, 회전자의 회전축으로부터 제지편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는, 제지편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에 있어서 제지편과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탄성 부재는, 제지편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저지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수형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형 버튼의 옷감에의 설치 방법에 관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에 포함되는 제지편의 개략 사시도이다. 암형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으로서, 기둥부를 제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지편을 갖는다. 한 쌍의 제지편은, 한 쌍의 제지편이 결합된 환상 부재의 분할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에 포함되는 탄성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탄성 부재는, 수지 스프링이다. 탄성 부재는,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비로크 상태에 있어서 제지편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회전축(AX)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박육화된 박육부를 갖는다.
도 9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에 포함되는 회전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회전자의 하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회전자의 하부에 마련된 제지편이나 탄성 부재와의 결합 구조가 도시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에 포함되는 회전자의 개략적인 하면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에 있어서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의 회전 시에 회전자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 부재에 마련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융기된 융기부에 의해 회전축을 향해 제지편이 가압 작동되는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회전자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암형 버튼은 로크 상태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에 있어서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의 회전 시에 회전자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 부재에 마련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융기된 융기부에 의해 회전축을 향해 제지편이 가압 작동되지만, 이 제지편의 변위가 수형 버튼의 기둥부에 의해 저지되어, 결과적으로, 회전자의 회전 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비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에 있어서 회전자에 마련된 하향 돌기와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하향 돌기는,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제지편의 단부로 구성되는 상향 오목부에 끼워 맞춤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에 있어서 회전자에 마련된 하향 돌기와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일 양태에 관한 암형 버튼에 있어서 제1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의 회전 시에 회전자가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하향 돌기가 탄성 부재를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는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회전자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암형 버튼은 비로크 상태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비한정의 다른 양태에 관한 비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에 있어서, 탄성 부재에 마련되는 융기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융기된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서 제지편 및 탄성 부재가 회전축 주위의 주위 방향으로 움직인다. 탄성 부재는, 금속 또는 수지제의 판 스프링이다. 제지편 및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의 내벽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볼록부가 마련된다.
도 17은 도 16의 암형 버튼의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암형 버튼에 있어서,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의 회전 시에 회전자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 부재에 마련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융기된 융기부에 의해 회전축을 향해 제지편이 가압 작동되는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회전자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암형 버튼은 로크 상태이다.
도 19는 도 16의 암형 버튼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IIX-IIX를 따르는 암형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암형 버튼의 탄성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의 암형 버튼의 제지편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23-X23을 따르는 제지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비한정의 또 다른 양태에 관한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에 있어서, 융기부가 제지편에 마련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융기된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서 제지편이 회전축 주위의 주위 방향으로 움직인다. 탄성 부재는, 금속 또는 수지제의 판 스프링이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축 주위로 움직이지 않는다. 제지편 및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의 내벽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볼록부가 마련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비한정의 실시 형태 예에 대해 설명한다.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 예 및 실시 형태 예에 포함되는 각 특징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과잉 설명을 요하지 않고, 각 실시 형태 예 및/또는 각 특징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이 조합에 의한 상승 효과도 이해 가능하다. 실시 형태 예 사이의 중복 설명은, 원칙적으로 생략한다. 참조 도면은, 발명의 기술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해 간략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장치 또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되는 복수의 특징은, 특징의 조합으로서 이해되는 것 외에, 다른 특징과는 독립된 개별의 특징으로서 이해된다. 개별의 특징은, 개시된 하나의 장치 또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개시되지 않은 다른 장치 또는 방법에 있어서도 통용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개별의 특징은, 다른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과의 조합으로서도 이해된다. 특징의 모든 조합을 열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용장하여,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개별의 특징은,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몇 개의 경우에 있어서」, 「몇 개의 예에 있어서」와 같은 표현에 의해 다른 기술과 명시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에 있어서는 회전자(140)의 회전축(AX)에 대해 평행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서 참조된다.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과 일치할 필요는 없다. 직경 방향은, 이하의 기술의 대부분에 있어서 회전축(AX)을 기준으로 하여 이해된다. 직경 방향 내측은, 회전축(AX)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회전축(AX)을 향하는 방향이다. 직경 방향 외측은, 회전축(AX)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회전축(AX)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다.
도 1은, 비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회전자(140)가 제1 위치에 있고,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삽입 분리가 허용된다. 도 1은, 도 3의 I-I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있고,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삽입 분리가 허용되지 않는다. 도 2는, 도 3의 II-II를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비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제지편(110)과 탄성 부재(120)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탄성 부재(120)는, 회전자(140)의 회전축(AX)으로부터 제지편(110)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120)는,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한다. 도 4는,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제지편(110)과 탄성 부재(120)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탄성 부재(120)는,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저지한다. 도 5는, 암형 버튼(100)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수형 버튼(2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형 버튼(200)의 옷감(10)에의 설치 방법에 관한 참고도이다.
암형 버튼(100)은, 복수의 부품으로 구축되며,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회전자(14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전환함으로써 암형 버튼(100)을 비로크 상태와 로크 상태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몇 개의 경우,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1 위치가 1개소만 존재하고, 제2 위치가 1개소만 존재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암형 버튼(100)이 비로크 상태일 때, 암형 버튼(100)에의 수형 버튼(200)(도 5 및 도 6 참조)의 기둥부(210)의 삽입이 가능하고, 또한 암형 버튼(100)으로부터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를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암형 버튼(100)이 로크 상태일 때, 암형 버튼(100)에의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삽입이 허용되지 않고, 또한 암형 버튼(100)으로부터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를 빼내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암형 버튼(100)의 채용에 의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효과를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호 분야에서 치매증의 요개호자가 의복을 마음대로 벗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예를 들어, 가방류나 주머니류가 개방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물품의 낙하가 억제되거나, 또는 방범성이 높아진다. 이 밖에도 여러 용도에 있어서 다양한 효과가 얻어질 것이다.
수형 버튼(20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둥부(210)와 기부(220)를 가질 수 있다. 기둥부(210)는, 넥부(211)와 헤드부(212)를 갖는다. 헤드부(212)는, 넥부(211)보다 직경 확대된 부분이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된 팽출부(213)를 갖는다. 기부(220)는, 옷감(10)에 대한 설치를 확보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6은, 수형 버튼(200)이, 하측 부재(201)와 상측 부재(202)의 조합으로 구축되는 예를 도시한다. 하측 부재(201)와 상측 부재(202) 사이에 옷감(10)이 끼워짐으로써 옷감(10)에 대한 수형 버튼(200)의 설치가 달성된다.
암형 버튼(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지편(110), 탄성 부재(120), 수용 부재(130), 회전자(140) 및 캡(150)을 가질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회전자(140)의 회전을 용이화하기 위해 캡(150)이 마련된다. 캡(150)을 손으로 돌림으로써 회전자(140)가 회전축(AX) 주위로 회전된다. 캡(150)이 회전자(140)에 대해 공회전해 버리는 것을 더 확실하게 저지하기 위해, 회전축(AX)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캡(150)의 하면에 볼록 형상의 회전 방지부(150m)가 마련된다. 볼록 형상의 회전 방지부(150m)가 끼워 맞춤되는 오목 형상의 회전 방지부가 회전자(140)의 상면에 마련된다. 오목 형상의 회전 방지부가 캡(150)에 마련되고, 볼록 형상의 회전 방지부가 회전자(140)에 마련되는 형태도 상정된다. 캡(150)은, 회전자(140)에 끼워 맞춤 및/또는 접착에 의해 고착되어, 회전자(14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캡(150)은, 몇 개의 경우, 본체부(151)와 외주부(152)를 갖는다. 본체부(151)와 외주부(152)가 동일, 또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51)가 금속제이고, 외주부(152)가 수지제이다. 외주부(152)에 손끝이 닿을 때의 냉감이 억제된다. 외주부(152)와 손끝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이 높아져, 캡(150), 나아가 회전자(140)의 회전이 원활화될 수 있다. 본체부(151)는 원판상 부재이고, 외주부(152)가 환상 부재이다. 본체부(151)가 환상 부재인 예도 상정된다. 외주부(152)에는 그 주위 방향을 따라 요철이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마련되어, 외주부(152)의 외면 상에서 손끝이 미끄러져 버리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캡(150)이 생략되는 형태도 예기된다.
몇 개의 경우, 캡(150)의 회전이 수용 부재(130)에 의해 지지된다. 캡(150)은, 후술하는 수용 부재(130)의 제3 금속 부재(137)의 상판(137a)에 접촉한다. 캡(150)의 회전이 상판(137a)에 의해 지지되어, 캡(150)의 회전이 안정화될 수 있다. 몇 개의 경우, 캡(150)의 외주부(152)는, 옷감(10)을 향해 아래로 드리워지는 수하부(152r)를 갖는다. 캡(150)이 옷감(10)으로부터 젖혀지는 것이 억제된다.
수용 부재(130)는, 적어도 한 쌍의 제지편(110)과, 탄성 부재(120)를 수용하고,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개의 경우, 회전자(140)를 더 수용한다. 몇 개의 경우, 수용 부재(130)에 의해 옷감(10)에 대한 암형 버튼(100)의 설치도 확보된다. 수용 부재(130)는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가 삽입 분리되는 개구(OP5)를 갖는다. 개구(OP5)는,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헤드부(212)의 최대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진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개의 경우, 수용 부재(130)는 합계 3개의 제1 내지 제3 금속 부재(131, 134, 137)로 구성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금속 부재(131)는, 수용 부재(130)의 통 형상 본체이다. 제1 금속 부재(131)는,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이 통과하는 개구(OP5)가 마련된 저부(131a)와, 저부(131a)의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주위벽(131b)과, 주위벽(131b)의 상단에 있어서 외측으로 말린 둥근 에지(131c)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부(131a)와 주위벽(131b)의 결합부에는 탄성 부재(120)의 위치 결정 오목부에 끼워 맞춤되는 위치 결정 볼록부(132)가 마련되고, 이에 의해 제1 금속 부재(131) 상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20)의 위치 결정이 달성된다. 2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132)가 회전축(AX)에 관하여 대칭으로 마련되지만,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위치 결정 볼록부가 마련되는 다른 예도 상정된다.
제2 금속 부재(134)는, 제1 금속 부재(131)를 옷감(10)에 대해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3 금속 부재(137)는, 제1 금속 부재(131)의 통 형상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폐쇄하는 부재이며, 또한 제1 금속 부재(131)를 옷감(10)에 대해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금속 부재(134)는, 제1 금속 부재(131)의 주위벽(131b)을 따라 연장되는 통 형상의 벽부(134a)와, 벽부(134a)의 상단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말린 둥근 에지(134b)와, 벽부(134a)의 하단에 있어서 회전축(AX)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하판(134c)을 갖는다. 제3 금속 부재(137)는, 제1 금속 부재(131)의 둥근 에지(131c) 상에 배치되는 환상의 상판(137a)과, 상판(137a)의 외주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말린 만곡 에지(137b)를 갖는다. 상판(137a)의 회전축(AX) 부근의 내측 부분이 회전자(140) 상에 배치된다. 제1 금속 부재(131)의 저부(131a)와 제3 금속 부재(137)의 상판(137a) 사이에서 제지편(110), 탄성 부재(120), 및 회전자(140)가 보유 지지되고, 제지편(110), 탄성 부재(120) 및 회전자(140)가 수용 부재(130) 내에 수용된다. 회전자(140)는, 제3 금속 부재(137)의 상판(137a)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상부(140i)를 갖는다. 상판(137a)에 마련된 진원 형상의 개구에 돌출 상부(140i)가 끼워 맞춤되어, 회전자(140)의 회전이 안정화된다.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개의 경우, 옷감(10)에 대해 금속편(15)이 박힌다. 금속편(15)이 제3 금속 부재(137)의 만곡 에지(137b)와 제2 금속 부재(134)의 하판(134c) 사이에서 끼워져, 옷감(10)에 대한 수용 부재(130)의 설치가 강화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소성 가공 후의 제1 내지 제3 금속 부재(131, 134, 137)가 도시된다. 암형 버튼(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비한정의 일례로서 다음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제1 금속 부재(131)의 주위벽(131b)의 상단은 소성 가공 전에 예리하며, 옷감(10)을 관통하고, 그 후, 소성 가공되어 둥근 에지(131c)가 형성된다. 제2 금속 부재(134)의 벽부(134a)의 상단은 소성 가공 전에 예리하며, 옷감(10)을 관통하고, 그 후, 소성 가공되어 둥근 에지(134b)가 형성된다. 제1 금속 부재(131)의 둥근 에지(131c)와 제2 금속 부재(134)의 둥근 에지(134b)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 부재(131)와 제2 금속 부재(134)를 옷감(10)에 대해 설치한 후, 제1 금속 부재(131) 내에 제지편(110), 탄성 부재(120) 및 회전자(140)를 넣는다. 계속해서, 제3 금속 부재(137)를 회전자(140) 상에 배치하고, 제3 금속 부재(137)에 만곡 에지(137b)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회전자(140)에 대해 캡(15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암형 버튼(100)이 제조될 수 있다. 제지편(110)으로서 한 쌍의 제지편(110)이 사용되는 경우, 한 쌍의 제지편(110)이 환상을 이루도록 결합된 미분할 환상 부재가 제1 금속 부재(131) 내에 배치되고, 그 후, 제1 금속 부재(131) 내에서 펀치구에 의해 환상 부재가 한 쌍의 제지편(110)으로 분할된다.
제지편(110)은,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를 제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는, 회전자(140)가 제1 위치일 때(도 1 및 도 3 참조), 회전자(140)의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허용되고, 회전자(140)가 제2 위치일 때(도 2 및 도 4 참조),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탄성 부재(120)는, 회전자(140)의 회전축(AX)에 관하여 제지편(110)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수용 부재(130) 내에 있어서 탄성 부재(120)가 제지편(110)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기둥부(210)의 헤드부(212)에 의해 회전축(AX)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제지편(110)이 탄성 부재(120)에 의해 회전축(AX)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복귀되는 것이 촉진될 수 있다.
한정할 의도 없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지편(110), 탄성 부재(120) 및 회전자(140)에 대해 더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7은, 암형 버튼(100)에 포함되는 제지편(110)의 개략 사시도이다. 암형 버튼(100)은,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110)으로서, 기둥부(210)를 제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지편(110)을 갖는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한 쌍의 제지편(110)은, 한 쌍의 제지편(110)이 결합된 환상 부재의 분할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제지편(110)이 환상 부재의 분할에 의해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제지편(110)이 파단된 단부를 보면 일목요연할 것이다. 한 쌍의 제지편(110) 중 한쪽만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가동으로 마련되는 형태도 상정된다. 도 8은, 암형 버튼(100)에 포함되는 탄성 부재(120)의 개략 사시도이다. 탄성 부재(120)는, 수지 스프링이다. 탄성 부재(120)는,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비로크 상태에 있어서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회전축(AX)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박육화된 박육부(128)를 갖는다. 도 9는, 암형 버튼(100)에 포함되는 회전자(1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회전자(140)의 하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회전자(140)의 하부에 마련된 제지편(110)이나 탄성 부재(120)와의 결합 구조가 도시된다. 도 10은, 암형 버튼(100)에 포함되는 회전자(140)의 개략적인 하면 정면도이다.
제지편(110)은, 몇 개의 경우, 회전자(140)의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지편(110)은, 제1 단부(111)와 제2 단부(112) 사이에서 호상으로 연장된다. 제지편(110)은,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헤드부(212)를 지지하는 지지면(114)을 갖는다. 지지면(114)은, 약간 오목한 면일 수 있다. 제지편(11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향 돌기(118)를 갖는다. 몇 개의 경우, 한 쌍의 제지편(110)의 각 제지편(110)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향 돌기(118)를 갖는다. 제1 상향 돌기(118)가 회전자(140)의 홈(148)(도 9 또는 도 10 참조)에 끼워 맞춤된다. 제지편(110)의 제1 상향 돌기(118)가 제지편(110)의 주위 방향 길이의 절반의 위치에 마련된다. 제1 상향 돌기(118)와 홈(148)의 끼워 맞춤에 의해 회전자(140)와 제지편(110)의 연동, 즉, 회전자(140)의 회전에 의한 제지편(110)의 주위 방향 이동이 확보된다.
제지편(110)의 제1 단부(111)와 제2 단부(112)는 각각, 상하 방향에 있어서 박육화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부(111, 112)의 각 상면은, 제지편(110)의 제1 단부(111)와 제2 단부(112)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부(113)의 상면으로부터 단이 내려가 있다. 제1 단부(111)와 중간부(113) 사이에는 단차부(115)가 마련되고, 제2 단부(112)와 중간부(113) 사이에는 단차부(115)가 마련된다.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제지편(110)의 단부(111, 112)에 의해 상향 오목부(110d)가 구성된다. 이 상향 오목부(110d)에는 회전자(140)의 하향 돌기(142)가 끼워 맞춤된다. 하향 돌기(142)는, 상향 오목부(110d)에 끼워 맞춤되는 끼워 맞춤 돌기이다. 상향 오목부(110d)와 하향 돌기(142)의 끼워 맞춤에 의해, 회전자(140)의 회전에 수반되는 제지편(110)의 주위 방향 이동이 안정화된다. 몇 개의 경우,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의 하향 돌기(142)가 단차부(115), 상세하게는 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115f)을 압박한다.
각 제지편(110)은, 금속 또는 수지 부재일 수 있다. 각 제지편(110)은, 다이캐스트 또는 사출 성형품일 수 있다.
몇 개의 경우, 탄성 부재(120)는, 회전자(140)의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부재(120)는, 제지편(110)을 둘러싸는 환상 부재이다. 탄성 부재(120)는, 1개소에 간극이 형성된, 또는 1개소에서 분단된 환상 부재이다. 탄성 부재(120)는, 제1 단부(121)와 제2 단부(122) 사이에서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탄성 부재(1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향 돌기(127)를 갖는다.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개의 경우, 복수의 제2 상향 돌기(127)가 (회전축(AX)에 관하여) 대칭으로 마련된다. 제2 상향 돌기(127) 중 한쪽이 제1 단부(121) 부근에 마련된다. 제2 상향 돌기(127)는, 제2 단부(122) 부근에 마련되지 않는다. 제2 상향 돌기(127)가 회전자(140)의 통로(147)(도 9 또는 도 10 참조)에 끼워 맞춤된다. 통로(147)의 주위 방향 길이에 따른 분만큼 회전자(140)의 회전이 허용된다.
탄성 부재(120)는, 암형 버튼(100)이 로크 상태일 때,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저지하기 위해 회전축(AX)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후육화된 후육부(126)를 갖는다. 탄성 부재(120)는, 암형 버튼(100)이 비로크 상태일 때,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회전축(AX)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박육화된 박육부(128)를 갖는다. 탄성 부재(120)의 주위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후육부(126)와 하나 이상의 박육부(128)가 마련된다.
복수(한 쌍)의 제지편(110)에 대응하여 복수(한 쌍)의 후육부(126)가 마련된다. 복수(한 쌍)의 제지편(110)에 대응하여 복수(한 쌍)의 박육부(128)가 마련된다. 탄성 부재(120)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이격되고, 이에 의해 후육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고, 이에 의해 박육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후육부(126)의 상면에 제2 상향 돌기(127)가 마련된다. 후육부(126)의 하면 및 외주면에 수용 부재(130)의 위치 결정 볼록부(132)가 끼워 맞춤되는 위치 결정 오목부가 마련된다.
도시예를 포함하는 몇 가지의 경우, 회전자(140)는, 제지편(110)의 제1 상향 돌기(118)가 끼워 맞춤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148)과,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헤드부(212)를 수용하는 수용부(140g)를 갖는다. 일예에서는, 홈(148)은, 수용부(140g)의 수용 공간에 연통되어 있고, 수용부(140g)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는, 홈(148)은, 수용부(140g)의 수용 공간에 대해 공간 연통되지 않고, 양자 사이에 벽부가 마련된다. 홈(148)과 수용 공간의 공간 연통은, 암형 버튼(100)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한 쌍의 제지편(110)의 각 제지편(110)의 제1 상향 돌기(118)에 대응하여 한 쌍의 홈(148)이 (회전축(AX)에 관하여)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제지편(110)이 마련되는 경우, 3 이상의 홈(148)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자(140)는,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몇 개의 경우,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제지편(110)의 단부(111, 112)에 의해 구성되는 오목부(110d)에 끼워 맞춤되는 하향 돌기(142)를 갖는다. 이 점의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몇 개의 경우, 하향 돌기(142)는,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홈(148)의 중간에 마련된다. 바꾸어 말하면, 홈(148)은,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하향 돌기(142)의 중간에 마련된다.
한정할 의도 없이, 더 상세하게 회전자(140)의 구조에 대해 기술한다. 회전자(140)는, 회전축(AX)을 따라 연장되는 개구(OP6)가 마련된 환상 기부(141)와, 환상 기부(141)의 하면에 마련된 복수의 호상 벽(144)과, 환상 기부(141)의 하면에 마련된 복수의 정지부(145)를 갖는다. 환상 기부(141)는, 환상이 아닌 원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단순히 기부라고 불릴 수 있다. 호상 벽(144)은,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2개)의 호상 벽(144)에 의해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헤드부(212)(의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40g)가 구축된다. 호상 벽(144)의 하면에는, 하향 돌기(142)가 마련된다.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호상 벽(144)의 사이에는 제지편(110)의 제1 상향 돌기(118)가 끼워 맞춤되는 홈(148)이 마련된다.
회전자(140)와 각 제지편(110)이 조합될 때, 호상 벽(144)은, 제지편(110)의 제1 상향 돌기(118)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호상 벽(144)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147)가 마련된다. 통로(147)에는 탄성 부재(120)의 제2 상향 돌기(127)가 끼워 맞춤된다. 통로(147)의 주위 방향 길이에 기초하여 회전자(140)의 회전 범위가 정해진다. 통로(147)에는 홈(148)이 공간 연통되고, 이에 의해 암형 버튼(100)의 소형화가 촉진될 수 있다. 정지부(145)는, 호상 벽(144)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주위 방향에 있어서 통로(147)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정지부(145)는, 탄성 부재(120)의 제2 상향 돌기(127)에 충돌하는 부분이며, 회전자(140)의 회전 한계를 결정한다. 정지부(145)가 생략되고, 통로(147)가 주위 방향에서 환상으로 연속되는 형태도 상정된다. 탄성 부재(120)의 제2 상향 돌기(127)가 생략되고, 통로(147)가 생략되는 형태도 상정된다.
몇 개의 경우, 제지편(110)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볼록부(119)를 갖고, 탄성 부재(120)는, 결합 볼록부(119)가 끼워 맞춤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오목부(129)를 갖는다. 몇 개의 경우, 결합 볼록부(119)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며, 결합 오목부(129)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부분일 수 있다. 암형 버튼(100)이 로크 상태일 때, 결합 볼록부(119)와 결합 오목부(129)가 끼워 맞춤되어, 이에 의해 로크 상태가 간단히 해제되는 것이 억제된다. 몇 개의 경우, 탄성 부재(120)에는 한 쌍의 결합 오목부(129)가 마련되어, 회전축(AX)에 대칭으로 위치되고, 또한 형상화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축(AX)을 향하는 제지편(110)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융기부(170)가 탄성 부재(120)에 마련된다. 회전축(AX)을 향하는 제지편(110)의 변위가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에 의해 저지되면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진다.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지는 경우, 암형 버튼(100)이 로크 상태로 된 것을 알리는 로크 감각을 조작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가 암형 버튼(100)에 적절하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융기부(170)에 눌리는 제지편(110)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질 수 있으므로,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지지 않아, 로크 감각을 조작자에게 부여할 수 없다. 한편,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가 암형 버튼(100)에 적절하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 융기부(170)에 기인한 제지편(110)의 변위가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에 의해 저지되어,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져, 회전자(140)의 회전에 요구되는 힘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로크 감각이 조작자에게 부여된다. 암형 버튼(100)에 대해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로크 감각을 부여하는 것이 회피된다. 암형 버튼(100)과 수형 버튼(200)이 결합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암형 버튼(100)과 수형 버튼(200)이 결합되었다고 오인식시킬 우려가 억제된다. 회전 저항은, 회전자(140)를 주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받는 저항이다. 회전 저항이 높아질 때, 회전 저항이 높아지기 전보다, 회전자(140)의 회전에 요하는 힘이 커진다. 회전 저항이 낮아질 때, 회전 저항이 낮아지기 전보다, 회전자(140)의 회전에 요하는 힘이 작아진다. 회전 저항은, 회전자(140)의 회전에 요하는 힘이라고 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융기부(170)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융기된 부분이다. 융기부(170)는, 제지편(110)의 결합 볼록부(119)에 접촉하여, 결합 볼록부(119)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누른다. 융기부(170)는, 탄성 부재(120)에 마련된다. 융기부(170)는 탄성 부재(120)의 후육부(126)에 마련된다. 융기부(170)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결합 오목부(129)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몇 개의 경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융기된 적어도 한 쌍의 융기부(170)가 대향하여 마련된다.
융기부(170)는, 몇 개의 경우, 회전축(AX)을 향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융기할 수 있다.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융기부(170)와 회전축(AX)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 방향에 있어서 융기부(170)의 정점에 근접함에 따라서, 융기부(170)와 회전축(AX)의 간격이 서서히 작아진다. 주위 방향에 있어서 융기부(170)의 정점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융기부(170)와 회전축(AX)의 간격이 서서히 커진다.
도 3에 도시하는 비로크 상태일 때, 결합 볼록부(119)가 박육부(128)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지편(110)의 제1 단부(111)가 후육부(126)의 직경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지편(110)의 제2 단부(112)가 후육부(126)의 직경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기둥부(210)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 작동되는 제지편(110)은 박육부(128)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 작동시킨다. 박육부(128)가 수용 부재(130)의 내벽면에 충돌할 때, 제지편(110)이 회전축(AX)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있어, 기둥부(210)의 헤드부(212)가 제지편(110)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0)에 의해 제지편(110)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눌려, 기둥부(210)의 헤드부(212)가 제지편(110)의 지지면(114) 상에 적재된다. 기둥부(210)의 헤드부(212)의 상부가 회전자(140)의 수용부(140g)에 수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지편(110)은, 타원 형상의 개구(OP7)를 획정하도록 마련된다. 기둥부(210)의 헤드부(212)의 상면에서 본 형상은 진원이다.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움직임이 없으면, 헤드부(212)는 제지편(110) 사이를 통과할 수 없다.
도 4에 도시하는 로크 상태일 때, 결합 볼록부(119)와 결합 오목부(129)가 끼워 맞춤되어 있다. 제지편(110)의 제1 단부(111)가 박육부(128)의 직경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지편(110)의 제2 단부(112)가 박육부(128)의 직경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으로부터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를 빼내려고 해도, 기둥부(210)의 헤드부(212)가 제지편(110)에 의해 제지되어, 암형 버튼(100)으로부터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를 빼내는 것이 저지된다. 탄성 부재(120)의 후육부(126)로 인해 제지편(110)에 허용되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량이 근소하다.
도 11은,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 부재(120)에 마련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융기된 융기부(170)에 의해 회전축(AX)을 향해 제지편(110)이 가압 작동되는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암형 버튼(100)은 로크 상태이다. 도 12는,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 부재(120)에 마련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융기된 융기부(170)에 의해 회전축(AX)을 향해 제지편이 가압 작동되지만, 이 제지편(110)의 변위가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에 의해 저지되어, 결과적으로,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지는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일 때, 융기부(170)에 의해 가압 작동되는 제지편(110)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질 수 있어,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지지 않아, 로크 감각이 조작자에게 부여되지 않는다. 도 12일 때, 융기부(170)에 의해 가압 작동되는 제지편(110)이 기둥부(210)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빠질 수 없어,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져, 로크 감각이 조작자에게 부여된다.
도 13은, 비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회전자(140)에 마련된 하향 돌기(142)와 탄성 부재(120)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회전자(140)에 마련된 하향 돌기(142)와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제1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하향 돌기(142)가 탄성 부재(120)를 회전축(AX)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는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회전자(14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암형 버튼(100)은 비로크 상태이다.
몇 개의 경우, 제1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진다. 회전자(140)를 제1 위치를 향해 회전시킬 때에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을 높임으로써 비로크 위치를 조작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 암형 버튼(100)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몇 개의 경우, 회전자(140)의 하향 돌기(142)는, 제1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축(AX)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 부재(120)를 압박한다. 회전자(140)와 탄성 부재(120)와 같은 기존의 부품을 사용하여 회전자(140)의 비로크 위치를 조작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회전자(140)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시킬 때, 하향 돌기(142)는, 탄성 부재(120)의 단부(121, 122)를 통과한다. 하향 돌기(142)가 탄성 부재(120)의 단부(121, 122)의 직경 방향 내측을 통과할 때, 하향 돌기(142)가 탄성 부재(120)의 단부(121, 122)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져, 회전자(140)의 비로크 위치를 조작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몇 개의 경우, 탄성 부재(120)의 제1 단부(121)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팽출된 팽출부(121b)가 마련된다. 회전자(140)가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회전자(140)의 하향 돌기(142)가 탄성 부재(120)의 제1 단부(121)의 팽출부(121b)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한다. 하향 돌기(142)가 팽출부(121b)를 통과한 후, 탄성 부재(120)의 제1 단부(121)가 직경 방향 내측의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예에는 복수의 개별의 특징이 포함되어 있고, 각 특징이 독립된 하나의 특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1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지는 것은, 기둥부(210)가 비삽입 시에 로크 감각을 부여하지 않는 것의 추가로서 이해되는 것 외에, 이것과는 독립된 발명으로서 이해될 여지가 있다. 다른 개별의 특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융기부(170)는, 탄성 부재(120)와 일체 또는 별체일 수 있다.
계속해서, 이하, 융기부(170)가 탄성 부재(120)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융기되어 마련되는 다른 예에 대해 기술한다. 도 16은, 비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탄성 부재(120)에 마련되는 융기부(170)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융기된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회전자(140)의 회전에 따라서 제지편(110) 및 탄성 부재(120)가 회전축(AX) 주위의 주위 방향으로 움직인다. 탄성 부재(120)는, 금속 또는 수지제의 판 스프링이다. 제지편(110) 및 탄성 부재(120)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130)의 내벽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볼록부(131f)가 마련된다. 도 17은, 도 16의 암형 버튼의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 부재(120)에 마련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융기된 융기부(170)에 의해 회전축(AX)을 향해 제지편이 가압 작동되는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암형 버튼(100)은 로크 상태이다. 도 19는, 도 16의 암형 버튼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IIX-IIX를 따르는 암형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암형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암형 버튼의 탄성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의 암형 버튼의 제지편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23-X23을 따르는 제지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융기부(170)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융기되어 마련되는 경우도 융기부(170)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융기되어 마련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도 16 내지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축(AX)을 향하는 제지편(110)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융기부(170)가 탄성 부재(120)에 마련된다. 회전축(AX)을 향하는 제지편(110)의 변위가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에 의해 저지되면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진다.
몇 개의 경우, 융기부(170)가 탄성 부재(120)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몇 개의 경우, 한 쌍의 융기부(170)가 탄성 부재(120)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한 쌍의 융기부(170)에 의해 결합 오목부(170f)가 구성된다. 로크 상태일 때, 한 쌍의 융기부(170)로 구성되는 결합 오목부(170f)에 수용 부재(130)의 내벽면에 마련된 결합 볼록부(131f)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크 상태가 간단히 해제되는 것이 억제된다.
몇 개의 경우, 탄성 부재(120)가 판 스프링, 예를 들어 금속제의 판 스프링이다. 수용 부재(130) 내에 수용되기 전의 판 스프링은, 도 21에 도시하는 직선상일 수 있다. 수용 부재(130) 내에 판 스프링이 수용되면, 판 스프링은, 호상으로 만곡된다. 탄성 부재(120)는, 제지편(110)에 대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되지 않는다. 제지편(110)의 상향 돌기(118)와 탄성 부재(120)의 상향 돌기(127')가 회전자(140)의 홈에 끼워 맞춤될 수 있다. 회전자(140)의 회전에 의해 제지편(110) 및 탄성 부재(120)가 주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회전자(140)의 상면에는 지그, 예를 들어 마이너스 드라이버가 끼워 맞춤되는 오목부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자(140)는, 지그에 의해 회전된다. 도 16 내지 도 2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지편(110)이나 탄성 부재(120)의 각 구성이나 양자의 관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융기부(170)는, 금속 부분 또는 수지 부분일 수 있다. 융기부(170)는, 탄성 부재(120)와 일체 또는 별체일 수 있다.
계속해서, 이하, 융기부(170)가 제지편(110)에 마련되는 다른 예에 대해 기술한다. 도 24는, 로크 상태의 암형 버튼(100)에 있어서, 융기부(170)가 제지편(110)에 마련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융기된 것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회전자(140)의 회전에 따라서 제지편(110)이 회전축(AX) 주위의 주위 방향으로 움직인다. 탄성 부재(120)는, 금속 또는 수지제의 판 스프링이며, 회전자(14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축(AX) 주위로 움직이지 않는다.
도 2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융기부(170)가 제지편(110)에 마련되는 경우도 융기부(170)가 탄성 부재(120)에 마련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위치를 향하는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회전자(140)가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축(AX)을 향하는 제지편(110)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융기부(170)가 제지편(110)에 마련된다. 회전축(AX)을 향하는 제지편(110)의 변위가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에 의해 저지되면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진다.
상술한 교시를 근거로 하면, 당업자라면, 각 실시 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포함된 부호는, 참고를 위함이며, 청구범위를 한정 해석할 목적으로 참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100 : 암형 버튼
200 : 수형 버튼
210 : 기둥부
211 : 넥부
212 : 헤드부
110 : 제지편
120 : 탄성 부재
130 : 수용 부재
140 : 회전자
170 : 융기부

Claims (13)

  1. 회전자(140)가 제1 위치일 때,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삽입 분리가 허용되는 비로크 상태에 있고, 상기 회전자(140)가 제2 위치일 때, 상기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의 삽입 분리가 허용되지 않는 로크 상태에 있는 암형 버튼(100)이며,
    상기 수형 버튼(200)의 기둥부(210)를 제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110)으로 하여, 상기 회전자(140)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축(AX)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상기 제지편(110)의 변위가 허용되고, 상기 회전자(140)가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축(AX)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상기 제지편(110)의 변위가 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110)과,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축(AX)에 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110)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자(140)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회전축(AX)을 향하는 상기 제지편(110)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융기부(170)가 상기 제지편(110) 또는 상기 탄성 부재(120)에 마련되고, 전술한 회전축(AX)을 향하는 상기 제지편(110)의 변위가 상기 기둥부(210)에 의해 저지되면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지는, 암형 버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자(140)가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 저항이 높아지는, 암형 버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110)으로서, 상기 기둥부(210)를 제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지편(110)을 구비하는, 암형 버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1개소만 존재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 1개소만 존재하는, 암형 버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40)는, 상기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제지편(110)의 단부로 구성되는 오목부(110d)에 끼워 맞춤되는 끼워 맞춤 돌기(142)를 갖는, 암형 버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돌기(142)는,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자(140)가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탄성 부재(120)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는, 암형 버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편(110)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볼록부(119)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120)는, 상기 결합 볼록부(119)가 끼워 맞춤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오목부(129)를 갖는, 암형 버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70)는, 상기 결합 오목부(129)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암형 버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120)는, 상기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지편(11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AX)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박육화된 박육부(128)를 갖는, 암형 버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지편(110)으로서, 상기 기둥부(210)를 제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지편(110)을 구비하는, 암형 버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AX)을 둘러싸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제지편(110)의 단부와 상기 회전자(140)가 끼워 맞춤되는, 암형 버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지편(110)은, 상기 한 쌍의 제지편(110)이 결합된 환상 부재의 분할에 의해 발생한 것인, 암형 버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암형 버튼(100)과,
    상기 암형 버튼의 상기 제지편(110)에 의해 제지되는 상기 기둥부(210)를 갖는 수형 버튼(200)을 구비하는, 버튼의 조합품.
KR1020197024161A 2017-03-23 2017-12-21 암형 버튼, 및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의 조합품 KR102183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8017A JP6847725B2 (ja) 2017-03-23 2017-03-23 雌型ボタン、及び雌型ボタンと雄型ボタンの組み合わせ品
JPJP-P-2017-058017 2017-03-23
PCT/JP2017/046007 WO2018173397A1 (ja) 2017-03-23 2017-12-21 雌型ボタン、及び雌型ボタンと雄型ボタンの組み合わせ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110A KR20190107110A (ko) 2019-09-18
KR102183317B1 true KR102183317B1 (ko) 2020-11-26

Family

ID=6358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161A KR102183317B1 (ko) 2017-03-23 2017-12-21 암형 버튼, 및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의 조합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66490B2 (ko)
JP (1) JP6847725B2 (ko)
KR (1) KR102183317B1 (ko)
CN (1) CN110234248B (ko)
DE (1) DE112017007294B4 (ko)
WO (1) WO2018173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7725B2 (ja) * 2017-03-23 2021-03-24 Ykk株式会社 雌型ボタン、及び雌型ボタンと雄型ボタンの組み合わせ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310A (ja) 2002-04-26 2003-11-05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ー用の合成樹脂製雌型部材
JP4659671B2 (ja) 2006-05-11 2011-03-30 株式会社東京錠前製作所 係止機構付き留め具
JP5859107B2 (ja) 2012-02-15 2016-02-10 Ykk株式会社 雌スナップボタン及びスナップボタン
JP2016214569A (ja) 2015-05-20 2016-12-22 Ykk株式会社 雌型スナップボ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4214A (en) * 1950-10-21 1953-07-07 United Carr Fastener Corp Three-side lock snap fastener
GB2179994B (en) * 1985-09-05 1988-12-29 Kit Hart Metal Factory Snap-type fastener
JPS62111409U (ko) * 1985-12-28 1987-07-16
CN1046666A (zh) * 1989-04-28 1990-11-07 彭炳泉 方便纽扣
JPH0742328Y2 (ja) * 1990-08-10 1995-10-0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ナツプ釦の雌ホツク
JPH05123206A (ja) * 1991-10-31 1993-05-21 Yoshida Kogyo Kk <Ykk> ボタンの止金付装飾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59096A (en) * 1992-09-22 1993-11-09 Athletic Specialties, Inc. Slide socket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641514U (ja) * 1992-11-20 1994-06-03 吉田工業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
JP3046971B2 (ja) * 1992-11-30 2000-05-2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の雌体およびその取着用カシメ型
CN2242938Y (zh) * 1995-10-16 1996-12-18 郭永隆 皮箱锁
JP3439605B2 (ja) * 1996-07-31 2003-08-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0350606A (ja) * 1999-06-11 2000-12-19 Takayuki Fujiyoshi 糸を使用しないボタン及びその留め具
US20020029444A1 (en) * 2000-09-07 2002-03-14 Lyle Michael A. Snap fastener
US20040025306A1 (en) * 2002-08-09 2004-02-12 Coffey Logan D. Sewable snap fastener apparatus and method
CN2664853Y (zh) * 2003-12-31 2004-12-22 杨家奇 一种便携式组合工具
CN2706038Y (zh) * 2004-04-07 2005-06-29 西南交通大学 摩擦自紧可调的扣锁装置
ITBO20080086A1 (it) * 2008-02-11 2009-08-12 Fashion Luxury Fasteners S P A Bottone a pressione perfezionato
JP4989520B2 (ja) * 2008-02-29 2012-08-01 Ykk株式会社 雄スナップ及び雌スナップ
WO2010084191A1 (de) * 2009-01-23 2010-07-29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teile
US8484813B2 (en) * 2009-02-23 2013-07-16 Ykk Corporation Snap button
US20110047759A1 (en) * 2009-08-25 2011-03-03 Romag Fasteners Inc. Closures with magnetic and mechanical snap fasten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1905346U (zh) * 2010-07-05 2011-07-27 王启军 组合式免缝纽扣
CN103118560B (zh) * 2010-07-26 2015-06-24 Ykk株式会社 钮扣安装构件和钮扣结构体
CN103079420A (zh) * 2010-08-31 2013-05-01 摩理都株式会社 能够锁定的按钮
WO2013121650A1 (ja) * 2012-02-15 2013-08-22 Ykk株式会社 雌スナップボタン及びスナップボタン
CN202738973U (zh) * 2012-07-31 2013-02-20 福建省石狮市华联服装配件企业有限公司 一种旋转扣具
JP6084511B2 (ja) * 2012-11-29 2017-02-22 Ykk株式会社 施錠具及び施錠具の使用方法
EP2832251B1 (en) * 2013-08-02 2017-02-08 Riri S.A. A press stud with an anti-uncoupling system
ITBO20130113U1 (it) * 2013-10-08 2015-04-09 Riri Sa Bottone a pressione perfezionato
DE102013222484A1 (de) * 2013-11-06 2015-05-07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Befestigungselement zur Anbringung an einem Bauteil, Zusammenbauteil umfassend das Befestigungselemen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Zusammenbauteils
US20180070664A1 (en) * 2014-11-11 2018-03-15 Yaron HAZAN Hair accessories and method for attaching same
US9756930B2 (en) * 2015-04-28 2017-09-12 Axon Enterpris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low-profile coupler
US11882892B2 (en) * 2016-10-11 2024-01-30 Ykk Corporation Button fastener-side die for attaching snap button
CN109890239B (zh) * 2016-10-28 2021-11-16 Ykk株式会社 揿钮的凸部件及揿钮
JP6847725B2 (ja) * 2017-03-23 2021-03-24 Ykk株式会社 雌型ボタン、及び雌型ボタンと雄型ボタンの組み合わせ品
US20190116941A1 (en) * 2017-10-24 2019-04-25 Charles A. Anderson Cover For A Male Portion of a Snap Fastener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310A (ja) 2002-04-26 2003-11-05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ー用の合成樹脂製雌型部材
JP4659671B2 (ja) 2006-05-11 2011-03-30 株式会社東京錠前製作所 係止機構付き留め具
JP5859107B2 (ja) 2012-02-15 2016-02-10 Ykk株式会社 雌スナップボタン及びスナップボタン
JP2016214569A (ja) 2015-05-20 2016-12-22 Ykk株式会社 雌型スナップボ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3397A1 (ja) 2018-09-27
JP6847725B2 (ja) 2021-03-24
US20190350317A1 (en) 2019-11-21
US10966490B2 (en) 2021-04-06
CN110234248A (zh) 2019-09-13
CN110234248B (zh) 2021-11-19
KR20190107110A (ko) 2019-09-18
JP2018158023A (ja) 2018-10-11
DE112017007294B4 (de) 2021-10-14
DE112017007294T5 (de)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869B1 (ko)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TWI524857B (zh) Mother press and buckle
JP7085769B2 (ja) スナップボタン
KR102183317B1 (ko) 암형 버튼, 및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의 조합품
EP2354575A1 (en) Safer lock nut
KR200482927Y1 (ko) 복수의 파공 구조를 가지는 탭홀더 구조 및 지퍼 슬라이더 어셈블리 구조
US8944509B2 (en) Reclining device
WO2016079873A1 (ja) 雌スナップボタン
TWI626901B (zh) Button
WO2004012550A1 (ja) ボタン
JP5465218B2 (ja) ファスナー
JP4445920B2 (ja) ボタン用キャップ、止め具およびボタン
JP5306462B2 (ja) スナップ部材
JP2009293661A (ja) プラグ
JP6355439B2 (ja)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
JP4712672B2 (ja) クリップ
KR101504455B1 (ko)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KR102172337B1 (ko) 플레이트 연결구조물
US1434245A (en) Fastener
JP6118399B2 (ja) クラッチ及びクラッチの形成用パンチ及びクラッチの製造方法
KR20090023738A (ko) 펀치 조립체
KR200417340Y1 (ko) 커튼봉 고정구
JP5859107B2 (ja) 雌スナップボタン及びスナップボタン
JP2005249073A (ja) クリップ
JP6147644B2 (ja) ワンタッチボタ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