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869B1 -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869B1
KR101981869B1 KR1020177010874A KR20177010874A KR101981869B1 KR 101981869 B1 KR101981869 B1 KR 101981869B1 KR 1020177010874 A KR1020177010874 A KR 1020177010874A KR 20177010874 A KR20177010874 A KR 20177010874A KR 101981869 B1 KR101981869 B1 KR 10198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post
post holding
peripheral wall
snap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491A (ko
Inventor
다이스케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44B17/0076Socket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41Press-button fasteners consisting of two part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암형 스냅 버튼(300)의 상부 구조체(310)는 수형 스냅 버튼(10)의 포스트(12)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 및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210)를 구비한다. 수용 부재(210)가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주위로 둘러싸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220)와, 주위벽부(2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주위벽부(2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230)와,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주위벽부(220)의 외측에 형성된 외주부(240)를 포함한다.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와 외주부(240) 사이의 주연부(250)에 의해 개구(260)가 획정된다.

Description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UPPER STRUCTURE OF FEMALE SNAP FASTENER, FEMALE SNAP FASTENER, AND METHOD FOR ATTACHING FEMALE SNAP FASTENER TO MATERIAL}
본 개시는,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제1 수용 영역(15)에 추가해서 제2 수용 영역(16)도 설치된 암형부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08/038743호
특허문헌 1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금속제의 커버(21, 26, 29)는 본체부(10)의 수용을 위하여 코오킹 공정이 요구된다. 코오킹 공정에 의해 커버 내에 본체부가 확실하게 수용되어, 커버 내로부터 본체부가 이탈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원 발명자는, 이러한 방법이 암형 스냅 버튼의 제조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음을 새로운 과제로서 발견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는,
수형 스냅 버튼(10)의 포스트(12)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 및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210)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부재(210)가,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주위로 둘러싸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220)와, 상기 주위벽부(2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위벽부(2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230)와, 상기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위벽부(220)의 외측에 형성된 외주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주위벽부(220)의 상기 상단부와 상기 외주부(240) 사이의 주연부(250)에 의해 개구(260)가 획정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와, 상기 포스트(12)를 걸기 위한 1개 이상의 걸림부(130)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150)를 구비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와, 상기 통부(120)의 내주면에 볼록 형성된, 상기 포스트(12)를 걸기 위한 1개 이상의 걸림부(130)와, 상기 통부(120)의 외주면에 볼록 형성된, 상기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접촉부(140)를 구비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와, 상기 포스트(12)를 걸기 위한 1개 이상의 걸림부(130)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하의 최대 길이가, 상기 수용 부재(210)의 상기 주연부(250)와 상기 저부(230)로부터 정해지는 상하의 깊이보다도 작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부(120)와 상기 주위벽부(220) 사이에는 간극(160)이 존재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1개 이상의 걸림부(130)가 상기 통부(120)의 상기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1개 이상의 접촉부(140)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와, 상기 통부(120)의 내주면에 볼록 형성된, 상기 포스트(12)를 걸기 위한 1개 이상의 걸림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120)의 외주면이 상기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암형 스냅 버튼은, 전술한 상부 구조체(310)와, 상기 상부 구조체(310)를 천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20)를 구비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될 때, 상기 고정구(320)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수용 부재(210)의 상기 저부(230) 상에 상기 고정구(320)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기 저부(150)가 적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은, 수형 스냅 버튼(10)의 포스트(12)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와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210)를 구비하는 암형 스냅 버튼(300)의 상부 구조체(310)를 고정구(320)에 의해 천에 대하여 설치하는 방법이며,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배치하는 제1 스텝으로서, 상기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에 대하여 외주부(240)가 연결된 주연부(250)에 의해 정해진 개구(260)를 통해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기 주위벽부(220) 내에 삽입되고, 상기 주위벽부(220)의 하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230) 상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되는, 제1 스텝과,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배치된 상태의 상기 상부 구조체(310)를 고정구(320)에 의해 천에 대하여 설치하는 제2 스텝을 포함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스텝은, 상기 개구(260)를 통해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압입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수용 부재(210)의 상기 저부(230) 상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기 저부(150)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수용 부재(210)의 상기 저부(230)와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기 저부(150)의 양쪽을 상기 고정구(320)의 돌기(322)가 통과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고정구(320)에 의해 상기 상부 구조체(310)가 상기 천에 대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에의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및 고정 효율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냅 결합 상태의 자웅 한 쌍의 스냅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암형 스냅 버튼 및 수형 스냅 버튼은, 각각이, 천에 대하여 설치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냅 결합 상태를 벗어난 비결합 상태의 자웅 한 쌍의 스냅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3의 IV-IV를 따르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수용 부재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수용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5의 VI-VI를 따르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7의 VIII-VIII를 따르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수용 부재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를 삽입 및 압입하는 것을 화살표에 의해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수용 부재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가 배치 및 수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수용 부재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가 배치 및 수용된 상태의 상부 구조체가 천 상에 배치되는 것도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수용 부재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가 배치 및 수용된 상부 구조체가 천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천의 하방에 고정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고정구의 중공 기둥상 돌기가 천을 관통하고, 중앙에 동축 배치되어서 상하로 연통한 수용 부재 및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각 바닥 구멍에 중공 기둥상 돌기의 선단부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수용 부재 및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각 바닥 구멍에 배치된 중공 기둥상 돌기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에 코오킹되고, 이 코오킹에 의해 형성된 중공 기둥상 돌기의 외권부와 고정구의 기부 사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바닥 구멍 둘레의 저부와, 수용 부재의 바닥 구멍 둘레의 저부와, 천이 끼워 넣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천에 대한 설치 전의 암형 스냅 버튼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천에 대한 설치 후의 암형 스냅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암형 스냅 버튼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베리에이션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 형태는, 개개로 독립적인 것은 아니고, 과잉 설명을 할 필요도 없이, 당업자라면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조합에 의한 상승 효과도 파악 가능하다. 실시 형태 간의 중복 설명은 원칙적으로 생략한다. 참조 도면은, 발명 설명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적절히 간략화되어 있다.
중심축 AX가 일점쇄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시의 경우, 중심축 AX는, 수형 스냅 버튼 및 암형 스냅 버튼을 정면에서 본 때의 정원의 외형의 중심에 마련된다.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도 있다. 중심축 AX는, 정지 상태의 암형 스냅 버튼에 대하여 수형 스냅 버튼을 이동시켜서 스냅 결합할 때의 수형 스냅 버튼의 이동 궤적과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중심축 AX는, 정지 상태의 수형 스냅 버튼에 대하여 암형 스냅 버튼을 이동시켜서 스냅 결합할 때의 암형 스냅 버튼의 이동 궤적과 일치한다. 중심축 AX는, 수형 스냅 버튼과 암형 스냅 버튼을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켜서 스냅 결합할 때의 수형 스냅 버튼과 암형 스냅 버튼의 각 이동 궤적과 일치한다.
본원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이 전술한 중심축 AX를 따르는 방향이다. 중심축 AX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중심축 AX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 및 반경 방향 내측이라고 칭하고, 중심축 AX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외측 및 반경 방향 외측이라고 칭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스냅 결합 상태의 자웅 한 쌍의 스냅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암형 스냅 버튼 및 수형 스냅 버튼은, 각각이, 천에 대하여 설치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스냅 결합 상태를 벗어난 비결합 상태의 자웅 한 쌍의 스냅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3의 IV-IV를 따르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수용 부재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6은,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수용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5의 VI-VI을 따르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8은,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7의 VIII-VIII을 따르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수용 부재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를 삽입 및 압입하는 것을 화살표에 의해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수용 부재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가 배치 및 수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수용 부재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가 배치 및 수용된 상태의 상부 구조체가 천 상에 배치되는 것도 모식적으로 도시된다. 도 11은,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수용 부재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가 배치 및 수용된 상부 구조체가 천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천의 하방에 고정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고정구의 중공 기둥상 돌기가 천을 관통하고, 중앙에 동축 배치되어서 상하로 연통한 수용 부재 및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각 바닥 구멍에 중공 기둥상 돌기의 선단부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고정 공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수용 부재 및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각 바닥 구멍에 배치된 중공 기둥상 돌기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코오킹되고, 이 코오킹에 의해 형성된 중공 기둥상 돌기의 외권부와 고정구의 기부 사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바닥 구멍 둘레의 저부와, 수용 부재의 바닥 구멍 둘레의 저부와, 천이 끼워 넣어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웅 한 쌍의 스냅 버튼(50)은 중심축 AX 상에 동축 배치된 수형 스냅 버튼(10) 및 암형 스냅 버튼(3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암형 스냅 버튼(300)이 수형 스냅 버튼(10)의 하방에 배치되고, 수형 스냅 버튼(10)이 암형 스냅 버튼(300)의 상방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를 보아서 당업자가 즉시에 이해하도록, 도 1에 수형 스냅 버튼(10) 및 암형 스냅 버튼(300)의 스냅 결합 상태가 도시되고, 도 2에 스냅 결합 상태를 벗어난 상태가 도시된다.
수형 스냅 버튼(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며, 도시된 것은 단지 예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스냅 버튼(10)이 천(60)에 대하여 설치 고정되어 있다. 수형 스냅 버튼(10)은 기부(11)와 포스트(12)를 갖는다. 도시된 예시의 기부(11)는 천(70)을 사이에 끼우는 끼움부이며, 상면에서 보아 또는 하면에서 보아 하여 중심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정원의 외형을 나타낸다. 포스트(12)는 외경 정원의 기부(11)의 중앙에 돌출되어서 설치되고, 중심축 AX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포스트(12)는 중심축 AX를 따른 돌출 방향에 있어서 잘록한 형상을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포스트(12)는 헤드부(122) 및 헤드부(121)를 갖고, 헤드부(121)가 헤드부(122)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 또는 돌출된다. 또한, 도시된 예시의 수형 스냅 버튼(10)은 수형 스냅 버튼(10)의 외주부에서 천(60)을 사이에 끼우고, 수형 스냅 버튼(10)의 중앙부에서 포스트(12)를 구축하도록 형상이 이루어진 2매의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형 스냅 버튼(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상은 임의이며, 이외의 구성 및 형상의 수형 스냅 버튼도 채용 가능하다.
암형 스냅 버튼(300)은 천(70) 상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310)와, 천(70) 상에 상부 구조체(3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20)를 갖는다. 또한, 상부 구조체라는 명칭은, 본원에 있어서는 본원의 도 1, 도 2, 도 10 내지 도 13에 일관하여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구에 의해 천에 설치되어야 할 암형 스냅 버튼의 구조가 천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에 의거하고 있다. 고정구에 의해 천에 설치되어야 할 암형 스냅 버튼의 구조 위치 및 배향에 상관없이, 그 구조가 후술하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와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한에 있어서 상부 구조체인 것으로 한다.
상부 구조체(310)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와 수용 부재(210)의 2 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구조체(310)에 추가적인 다른 부품을 포함시키는 것도 상정된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는 수형 스냅 버튼(10)의 포스트(12)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부품이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는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이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는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부재이다. 수용 부재(210)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수용하기 위한 부품이다. 수용 부재(210)는 예를 들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는 수지 또는 금속 부재이다.
고정구(320)는 기부(321)와 중공 기둥상 돌기(322)를 갖는다. 기부(321)는 편평한 원반부이며, 중심축 AX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정원의 외형을 나타낸다. 기부(321)는 천(70)의 하방에 배치된다. 중공 기둥상 돌기(322)는 대략 정원의 외형 기부(321)의 중앙에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중심축 AX를 따라서 연장된다. 중공 기둥상 돌기(32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 AX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시의 고정구(320)는 고정구(320)의 중앙부에서 중공 기둥상 돌기를 구축하도록 형상이 이루어진 주금속판과, 주금속판의 하면을 피복하기 위해 주금속판에 설치된 피복 금속판을 갖는다. 고정구(320)의 기부(321)는 주금속판과 피복 금속판의 적층 부분을 포함한다. 고정구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상은 임의이며, 다른 구성 및 형상의 고정구도 채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중공 기둥상 돌기(322)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외권부(323)가 형성된 상태가 도시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는 소성 변형 전의 중공 기둥상 돌기(322)가 도시된다. 중공 기둥상 돌기(322)는 천(70)을 관통하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다. 중공 기둥상 돌기(322)가 금속제의 중공 기둥이며, 천(70)의 관통이 바람직하게 확보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부재(210)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주위로 둘러싸기 위해 중심축 AX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220)와, 주위벽부(2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주위벽부(2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230)와,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주위벽부(220)의 외측에 형성된 외주부(240)를 갖는다. 저부(230)는 주위벽부(220)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외주부(240)는 주위벽부(2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주위벽부(220)는 중심축 AX 둘레에 환상으로 형성된다. 저부(230)는 중심축 AX 둘레에 환상으로 형성된다. 외주부(240)는 중심축 AX 둘레에 환상으로 형성된다. 주위벽부(220)는 내경 R10의 단면이 정원인 원통부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심축 AX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주위벽부(220)의 단면 형상이 비정원이다.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와 외주부(240) 사이에는 굴곡 또는 만곡된 주연부(250)가 형성되고, 이 주연부(250)에 의해 개구(260)가 획정되고, 이 개구(260)를 통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수용 부재(210) 내에 삽입 가능하다. 개구(260)의 개구폭은, 주위벽부(220)의 내경 R10에 대략 일치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구(260)를 통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수용 부재(210) 내에 압입 가능하다. 이 경우, 수용 부재(210)로부터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이탈 또는 빗나감이 바람직하게 저지된다.
저부(230)는 천(70) 상에의 수용 부재(210)의 안정 적재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되고, 또한 주위벽부(220) 내에 삽입되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정지 위치를 규정한다. 중심축 AX가 통과하는 저부(230)의 중앙부에는 바닥 구멍(270)이 형성된다. 바닥 구멍(270)은 중심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정원의 개구이다. 바닥 구멍(270)을 통하여 고정구(320)의 중공 기둥상 돌기(322)의 통과가 허용된다. 저부(230)의 바닥 구멍(270)의 외주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1개 이상의 융기부(235)가 형성되고, 고정구(320)의 기부(321)와 협조된 천(70)의 끼워넣기가 촉진된다.
도시된 예시의 외주부(240)는 주위벽부(220)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상면에서 보아 환상의 외주 경사부(241)와, 외주 경사부(241)의 외주 단부로부터 곧바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상의 외주벽(242)을 포함한다. 외주벽(242)의 하단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말린 말림 에지(243)가 형성된다. 외주 경사부(241)와 외주벽(242) 사이에는 굴곡부가 형성된다. 외주부(240)가 형성되어, 암형 스냅 버튼(300)의 상부 구조체(310)의 기계적강도가 높여진다. 또한 외주부(240)가 형성되고, 암형 스냅 버튼(300)의 상부 구조체(310)의 시인을 하기 쉬워져, 수형 스냅 버튼(10)의 포스트(12)를 암형 스냅 버튼(300)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 내에 삽입하는 것도 간편해진다. 외주부(24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밖에도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는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와 동일하게, 중심축 AX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를 포함한다. 통부(120)의 내주면에는 포스트(12)를 걸기 위한 1개 이상의 걸림부(130)가 볼록 형성되고, 통부(120)의 외주면에는 주위벽부(220)에 접촉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접촉부(140)가 볼록 형성된다. 걸림부(130)가 통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접촉부(140)가 통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걸림부(130)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며, 이것을 볼록상 걸림부라고 칭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5개의 걸림부(130)가 중심축 AX 둘레에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 걸림부(130)는 통부(120)의 내주면에 개별로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각 걸림부(130)는 중심축 AX 둘레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꼭 그런 것은 아니다. 도시된 것의 경우, 5개의 걸림부(130)가 중심축 AX 둘레에 72°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걸림부(130)의 사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135)가 형성된다. 5개의 걸림부(130)는 5개의 오목부(135)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걸림부(130)의 둘레 방향의 길이가, 오목부(135)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어, 포스트(12)의 헤드부(121)의 충분한 보유 지지가 확보된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30)의 사이에 반경 외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135)가 형성되어, 포스트(12)를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 내에 삽입할 때의 걸림부(1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바람직하게 확보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5개의 접촉부(140)가 중심축 AX 둘레에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 접촉부(140)는 통부(120)의 외주면에 있어서 개별로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각 접촉부(140)는 중심축 AX 둘레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꼭 그런 것은 아니다. 도시된 것의 경우, 5개의 접촉부(140)가 중심축 AX 둘레에 72° 간격으로 배치된다. 접촉부(140)가 통부(120)의 외주면에 볼록 형성된 개소에 있어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직경은,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주면 직경보다도 크다.
접촉부(14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돌기이다. 접촉부(140)는 중심축 AX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걸림부(130)보다도 짧은 거리를 연장하고, 둘레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135)보다도 약간 긴 거리만큼 연장된다. 접촉부(140)는 중심축 AX를 따른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량이 커진다. 이것 때문에 접촉부(140)의 외주면은 중심축 AX를 따라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45)이 형성된다. 경사면(145)은 수용 부재(210)에 대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구(260)를 통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수용 부재(210) 내에 압입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삽입할 때,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접촉부(140)가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이 항력에 반하여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압입되어, 수용 부재(210)의 저부(230) 상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된다. 이 경우,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계속하여 보유 지지하기 위하여 수용 부재(210)를 소성 변형할 필요가 없어, 제조 효율의 개선이 도모된다.
접촉부(140)의 수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수용 부재(210) 내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압입에 요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는, 접촉부(140)의 수가 걸림부(130)의 수와 동일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고, 접촉부(140)의 수가 걸림부(130)의 수와 상이한 경우도 상정된다. 도시된 것의 경우, 5개의 접촉부(140)가 형성되지만, 2개, 3개, 4개로 접촉부(140)의 개수를 줄여도 상관없다. 이것과는 반대로, 6개, 7개, 8개로 접촉부(140)의 개수를 늘려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에 걸림부(130)가 형성되고, 주위벽부(22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접촉부(140)가 중심축 AX 둘레의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걸림부(130)의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오목부(135)의 반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각 및 양쪽 구성에 의해, 걸림부(1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접촉부(140)에 의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부(140)가 중심축 AX 둘레의 둘레 방향에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에 의해 통부(120)의 외주면이 외주벽(242)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통부(120)의 외주면과 외주벽(242)의 내주면이 광범위하게 접촉하는 경우, 수용 부재(210) 내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압입에 과도한 힘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통부(120)의 외주면과 외주벽(242)의 내주면 사이에는 접촉부(140)분의 간극(160)이 존재한다. 간극(160)은 접촉부(140) 상, 바꾸어 말하면 접촉부(140)보다도 개구(260)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압입된다. 그러나,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헐겁게 삽입되고, 그 후, 접착제가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와 수용 부재(210) 사이에 주입되어, 양자가 고정된다. 후술하는 설명, 단적으로는 도 13으로부터 즉시 이해할 수 있도록, 고정구(320)에 의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와 수용 부재(210)의 양쪽이 천(70)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 점에 비추어, 또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제에 의한 고정도 생략된다.
도 8에 도시하는 통부(120)의 외경 R20은, 주위벽부(220)의 내경 R10보다도 작다. 중심축 AX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중심축 AX로부터 접촉부(140)의 반경 방향 외측단부까지의 간격 R25가, 동 평면에 있어서의 중심축 AX부터 통부(120)의 외주면까지의 간격 R26보다도 크다. R20<R25×2의 관계가 성립한다. R10/2<R25가 성립하고, R10/2>R26이 성립한다. 통부(120)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접촉부(14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량 또는 돌출 높이 H140은, 간격 R25로부터 간격 R26을 감산하여 산출 가능하다. 각 접촉부(140)의 돌출 높이 H140은 서로 동등하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이할 수도 있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에는 저부(150)가 형성된다. 저부(150)는 통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다. 저부(150)는 통부(120)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저부(150)는 수용 부재(210)의 저부(230) 상에 적재된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저부(150)와 수용 부재(210)의 저부(230)는 모두 고정구(320)에 의해 관통된다. 저부(150)는 중심축 AX 둘레에 환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축 AX가 통과하는 저부(150)의 중앙부에 상면에서 보아 정원의 바닥 구멍(170)이 형성된다. 바닥 구멍(170)은 중심축 AX를 중심으로 하여 정원의 개구이다. 바닥 구멍(170)을 통하여 고정구(320)의 중공 기둥상 돌기(322)의 통과가 허용된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바닥 구멍(170)과 수용 부재(210)의 바닥 구멍(270)은 중공 기둥상 돌기(322)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는 완전 동일 또는 실질 동일한 정원의 개구 형상을 나타낸다.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 부재(210)의 바닥 구멍(270) 상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바닥 구멍(170)이 배치되어서 동축 상에서 연통하여, 중공 기둥상 돌기(322)의 삽입 관통 통로가 정해진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천(70)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300)의 설치 방법 및 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텝에 있어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수용 부재(210)의 개구(260)를 통해 수용 부재(210) 내에 삽입 및 압입하고,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수용 부재(210) 내에 배치 및 수용한다. 개구(260)는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와 외주부(240) 사이의 주연부(250)에 의해 획정된다. 주연부(250)가 형을 이루는 개구(260) 둘레의 환상의 호상 주연부가,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 내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삽입 용이성을 확보한다. 통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촉부(140)의 경사면(145)이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 내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삽입 용이성을 확보한다. 통부(120)의 연장 방향에 일치하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하 최대 길이가, 수용 부재(210)의 주연부(250)와 저부(230)로부터 정해지는 상하의 깊이보다도 작고,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완전히 수용되어, 수용 부재(210)의 밖으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돌출되지 않는다.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 내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삽입 과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통부(120)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 접촉부(140)가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항력을 발생시킨다. 이 항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수용 부재(210) 내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압입하고, 접촉부(140)를 포함하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탄성 변형을 거쳐서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수용 및 위치 고정된다.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은 요철이 없는 평탄면이며, 접촉부(140)의 하방 이동이 극단적으로 저해되지 않는다. 수용 부재(210)의 외주부(240)는 기계나 사람에 의한 파지에 적합하여, 수용 부재(210) 내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삽입의 용이함을 촉진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하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 형성한, 접촉부(14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 및 수용되어, 암형 스냅 버튼(300)의 상부 구조체(310)가 구축된다. 이 상부 구조체(310)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70) 상에 놓인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70)의 하방에 고정구(320)가 공급된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320)의 중공 기둥상 돌기(322)가 천(70)을 관통하고, 수용 부재(210)의 바닥 구멍(270)을 통과하고,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바닥 구멍(170)을 통과한다. 중공 기둥상 돌기(322)의 선단부가,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저부(150)의 저면(155)보다도 상방에 위치 부여된다.
상부 구조체(310)와 천(70)을 정지 상태로 하고, 고정구(320)를 정지 상태의 천(70) 및 상부 구조체(310)를 향하여 변위해도 된다. 대체적으로, 고정구(320)를 정지 상태로 하고, 천(70) 및 상부 구조체(310)를 정지 상태의 고정구(320)를 향하여 변위시켜도 된다.
그 후, 제2 스텝에 있어서, 중공 기둥상 돌기(322)가 펀치구에 의해 코오킹된다. 이에 의해, 중공 기둥상 돌기(322)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외권부(323)가 형성된다. 외권부(323)가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저부(150)를 하방으로 누르고, 이에 의해, 외권부(323)와 고정구(320)의 기부(321) 사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저부(150)와 수용 부재(210)의 저부(230)와 천(70)이 끼워 넣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천(70)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300)의 설치 및 고정이 달성된다. 또한, 외권부(323)는 중공 기둥상 돌기(322)가 소성 변형된 부분이기 때문에, 이것을 소성 변형부라고 칭해도 상관없다.
전술한 천(70)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300)의 설치 및 고정 공정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기계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천(70)은 임의의 종류의 소재이며, 특별히 한정은 없다. 천(70)은, 시트상 부재이기만 하면 충분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14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 부재(210)의 외주부(2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의 것과는 상이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주부(240)가 외주 경사부(241)를 갖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주 경사부(241) 대신에 외주부(240)가 외주 평탄부(241')를 갖는다.
<제3 실시 형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천에 대한 설치 전의 암형 스냅 버튼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천에 대한 설치 후의 암형 스냅 버튼의 개략적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구(320)의 구체적인 구성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것과는 상이하다. 또한, 수용 부재(2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상, 및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상도 상이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정구(320)는 2개의 원기둥상 돌기(322)를 갖는다. 수용 부재(210)의 저부(230)에는 원기둥상 돌기(322)에 의해 관통되는 오목상의 취약부(236)가 형성된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저부(150)에는 각 원기둥상 돌기(322)의 통과용의 연통한 1개의 바닥 구멍(170) 또는 비연통의 2개의 바닥 구멍(170)이 개구된다. 도 1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구(320)의 원기둥상 돌기(322)는 천(70)을 관통하고, 수용 부재(210)의 저부(150)의 취약부(236)를 관통하여, 바닥 구멍(170)을 통과한다. 그 후, 2개의 원기둥상 돌기(322)의 각 선단부가, 다른 쪽 원기둥상 돌기(322)측으로 쓰러지도록 코오킹할 수 있어, 이에 의해, 고정구(320)에 의한 천(70)에 대한 상부 구조체(310)의 고정이 달성된다.
수용 부재(210)에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외주벽(242)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4 실시 형태>
도 17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암형 스냅 버튼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의 베리에이션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각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를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 도시하는 경우, 접촉부(140)가 생략되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외경 R20이,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경 R10과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수용 부재(21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삽입 및 압입하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외주면이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미끄럼 이동하여,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수용 부재(210)의 저부(230) 상에 적재되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외주면이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접촉(보다 한정하여 표현하면, 밀착)한다.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은 요철이 없는 평탄면이며, 접촉부(140)의 하방 이동이 극단적으로 저해되지 않는다.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에 외주면에 중심축 AX를 따라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홈을 형성하여, 수용 부재(210) 내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삽입 시의 저항을 저감해도 상관없다.
도 17의 (a)의 홈부(180) 및 도 17의 (b)의 노치(190)에 의해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걸림부(130)의 반경 방향 외측의 변위가 확보된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180)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통부(120)의 상면에 오목 형성된다.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190)는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통부(120)의 상면의 외주연을 잘라내도록 형성된다.
도 17의 (c)에 도시하는 경우, 접촉부(140)가 생략되어,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외경 R20이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내경 R10보다도 약간 좁다. 따라서,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 내에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삽입한 후, 수용 부재(210) 밖으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벗어나는 것이 염려된다. 제조 공정이나 제조 기계의 적절한 설정에 의해 수용 부재(210) 밖으로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빗나감이 억제된다. 고정구(320)에 의한 천(70)에의 상부 구조체(310)의 고정 후에는, 고정구(320)의 돌기에 의해 천(70)에 대하여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와 수용 부재(210)가 압박된다. 따라서, 수용 부재(210)로부터의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빗나감이 문제가 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고정구(320)의 돌기 소성 변형부가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 및 수용 부재(210) 중 어느 한쪽만을 천(70)측으로 압박하는 형태도 생각된다.
전술한 교시를 근거로 하면, 당업자라면,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포함된 부호는, 참고를 위해서이며, 청구범위를 한정 해석할 목적으로 참조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중공 기둥상 돌기와 원기둥상 돌기를 총괄하여 간단히 돌기라고 칭할 수 있다. 저부(150)와 저부(230)를 구별하기 위하여 전자를 제1 저부라고 칭하고 후자를 제2 저부라고 칭해도 된다. 이 점은, 바닥 구멍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또한 다른 동일명의 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110: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
120: 통부
130: 걸림부
140: 접촉부
150: 저부
210: 수용 부재
220: 주위벽부
230: 저부
240: 외주부
250: 주연부
260: 개구
300: 암형 스냅 버튼
310: 상부 구조체
320: 고정구

Claims (12)

  1. 고정구(320)에 의해 천에 대하여 고정되는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이며,
    수형 스냅 버튼(10)의 포스트(12)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 및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210)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부재(2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위벽부(220)와, 상기 주위벽부(2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위벽부(2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230)와, 상기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위벽부(220)의 외측에 형성된 외주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주위벽부(220)의 상기 상단부와 상기 외주부(240) 사이의 주연부(250)에 의해 개구(260)가 획정되고,
    상기 주위 벽부(2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개구(260)를 통해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삽입 가능하고, 그 공간 내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전체가 수용되고,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와, 상기 통부(120)의 내주면에 볼록 형성된, 상기 포스트(12)를 걸기 위한 1개 이상의 걸림부(130)와, 상기 통부(120)의 외주면에 볼록 형성된, 상기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접촉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1개 이상의 걸림부(130)가 상기 통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1개 이상의 접촉부(140)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1개 이상의 접촉부(140)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걸림부(1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135)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150)를 더 구비하는, 상부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하의 최대 길이가, 상기 수용 부재(210)의 상기 주연부(250)와 상기 저부(230)로부터 정해지는 상하의 깊이보다도 작은, 상부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통부(120)와 상기 주위벽부(220) 사이에는 간극(160)이 존재하는, 상부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120)의 외주면이 상기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상부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부 구조체(310)와, 상기 상부 구조체(310)를 천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20)를 구비하는 암형 스냅 버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150)를 더 구비하는 암형 스냅 버튼(300)이며,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될 때, 상기 고정구(320)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수용 부재(210)의 상기 저부(230) 상에, 상기 고정구(320)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기 저부(150)가 적재되는, 암형 스냅 버튼.
  8. 수형 스냅 버튼(10)의 포스트(12)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와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210)를 구비하는 암형 스냅 버튼(300)의 상부 구조체(310)를 고정구(320)에 의해 천에 대하여 설치하는 방법이며,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배치하는 제1 스텝으로서, 상기 수용 부재(210)의 주위벽부(220)의 상단부에 대하여 외주부(240)가 연결된 주연부(250)에 의해 정해진 개구(260)를 통해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기 주위벽부(2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고, 그 공간 내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전체가 수용되고, 또한, 상기 주위벽부(220)의 하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230) 상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배치되는, 제1 스텝과,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배치된 상태의 상기 상부 구조체(310)를 고정구(320)에 의해 천에 대하여 설치하는 제2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텝은, 상기 개구(260)를 통해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를 상기 수용 부재(210) 내에 압입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20)와, 상기 통부(120)의 내주면에 볼록 형성된, 상기 포스트(12)를 걸기 위한 1개 이상의 걸림부(130)와, 상기 통부(120)의 외주면에 볼록 형성된, 상기 주위벽부(220)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접촉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1개 이상의 걸림부(130)가 상기 통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1개 이상의 접촉부(140)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1개 이상의 접촉부(140)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걸림부(1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135)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가, 상기 통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통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저부(1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수용 부재(210)의 상기 저부(230) 상에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기 저부(150)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수용 부재(210)의 상기 저부(230)와 상기 포스트 보유 지지 부재(110)의 상기 저부(150)의 양쪽을 상기 고정구(320)의 돌기(322)가 통과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고정구(320)에 의해 상기 상부 구조체(310)가 상기 천에 대하여 설치되는,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7010874A 2014-12-01 2014-12-01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KR101981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1782 WO2016088182A1 (ja) 2014-12-01 2014-12-01 雌スナップボタンの上部構造体、雌スナップボタン及び生地への雌スナップボタンの取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491A KR20170062491A (ko) 2017-06-07
KR101981869B1 true KR101981869B1 (ko) 2019-05-23

Family

ID=5609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874A KR101981869B1 (ko) 2014-12-01 2014-12-01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68395B2 (ko)
EP (1) EP3228206B1 (ko)
KR (1) KR101981869B1 (ko)
CN (1) CN106998859B (ko)
WO (1) WO2016088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2977A1 (ja) * 2015-09-11 2017-03-16 Ykk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
WO2018231826A1 (en) 2017-06-12 2018-12-20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latching system
US11685573B2 (en) 2017-06-12 2023-06-27 Yeti Coolers, Llc Carry strap for container
US11976498B2 (en) 2017-06-12 2024-05-07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latching system
AU201717615S (en) 2017-06-12 2018-01-15 Yeti Coolers Container
EP3892148A4 (en) * 2018-12-07 2022-07-20 YKK Corporation SNAP BUTTON AND SNAP BUTTON SOCKET
USD904829S1 (en) 2018-12-11 2020-12-15 Yeti Coolers, Llc Container accessories
USD907445S1 (en) 2018-12-11 2021-01-12 Yeti Coolers, Llc Container accessories
EP3905917B1 (en) 2019-01-06 2023-07-26 Yeti Coolers, LLC Luggage system
USD954436S1 (en) 2020-06-30 2022-06-14 Yeti Coolers, Llc Luggage
USD961926S1 (en) 2020-06-30 2022-08-30 Yeti Coolers, Llc Luggage
USD963344S1 (en) 2020-06-30 2022-09-13 Yeti Coolers, Llc Luggage
USD951643S1 (en) 2020-06-30 2022-05-17 Yeti Coolers, Llc Luggage
JP2023549340A (ja) 2020-11-04 2023-11-24 カーステン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嵌合リベットを備えるスナップシステム
USD985937S1 (en) 2020-12-16 2023-05-16 Yeti Coolers, Llc Container
USD960648S1 (en) 2020-12-16 2022-08-16 Yeti Coolers, Llc Container accessory
USD994438S1 (en) 2020-12-16 2023-08-08 Yeti Coolers, Llc Container
EP4067676A1 (en) 2021-03-31 2022-10-05 YKK Europe Limited Fixture for fixing a member of a fastener, member of a fastener and snap fastener
CN117590759B (zh) * 2023-11-29 2024-04-02 华晟智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居家中控设备及其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8743A1 (ja) * 2006-09-25 2008-04-03 Ykk Corporation スナップファスナーの雌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1202A (en) * 1930-03-11 1931-11-10 Scovill Manufacturing Co Pearl cap snap fastener socket member
JPS4424643Y1 (ko) * 1965-05-26 1969-10-17
JP2582708B2 (ja) 1992-07-20 1997-02-19 日新工業株式会社 屋根の防水施工法及び防水施工体
JPH0641514U (ja) * 1992-11-20 1994-06-03 吉田工業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
JP3383900B2 (ja) * 1997-05-08 2003-03-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ボタン等の取付用止め具
DE19746908C2 (de) * 1997-10-23 2001-02-22 Stocko Fasteners Gmbh Wasserdichter Druckknopf
ITMI20040706A1 (it) * 2004-04-08 2004-07-08 Gaetano Raccosta Bottone a pressione di tipo perfezionato
JP4989520B2 (ja) * 2008-02-29 2012-08-01 Ykk株式会社 雄スナップ及び雌スナップ
CN102413726B (zh) * 2009-04-08 2014-08-13 Ykk株式会社 纽扣安装构件
CN103079420A (zh) 2010-08-31 2013-05-01 摩理都株式会社 能够锁定的按钮
BR112014016760B1 (pt) * 2012-01-06 2021-01-26 Ykk Corporation aparelho para montagem de botões e método para montagem de botões
US9504294B2 (en) * 2012-02-15 2016-11-29 Ykk Corporation Female snap button and snap button
ITBO20120574A1 (it) * 2012-10-22 2014-04-23 Riri Sa Componente femmina di un bottone automatico,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nonché bottone automatico comprendente tale componente femmina
ITMI20121953A1 (it) * 2012-11-16 2014-05-17 Fimma S P A A Socio Unico Bottone a pressione bivalente con chiusura a doppio scatto.
ITBO20130113U1 (it) * 2013-10-08 2015-04-09 Riri Sa Bottone a pressione perfezionato
TWM506893U (zh) * 2015-03-20 2015-08-11 Zentan Technology Co Ltd 扣接結構及具有提升導電穩定性之扣接結構的生理訊號偵測帶
JP6364550B2 (ja) * 2015-06-23 2018-07-25 Ykk株式会社 ボタンバック及びボタ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8743A1 (ja) * 2006-09-25 2008-04-03 Ykk Corporation スナップファスナーの雌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8206B1 (en) 2021-08-25
US10568395B2 (en) 2020-02-25
EP3228206A1 (en) 2017-10-11
KR20170062491A (ko) 2017-06-07
WO2016088182A1 (ja) 2016-06-09
CN106998859B (zh) 2020-11-06
EP3228206A4 (en) 2018-05-30
US20180242696A1 (en) 2018-08-30
CN106998859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869B1 (ko)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US9103363B2 (en) Two-piece clip assembly
KR101567355B1 (ko)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 및 방법
US3680272A (en) Structural assembly and clip
US8403272B2 (en) Clip
US20160298668A1 (en) Locking pin and grommet fastener assembly
WO2011040107A1 (ja) ボタン及びボタン取付用上金型
JP5357824B2 (ja) 留め付け構造
CN110612039B (zh) 按扣
EP2600013A1 (en) Grommet
EP2871320A1 (en) Clip
US6575439B1 (en) Ring shaped spring device
JP5465218B2 (ja) ファスナー
EP3405063B1 (en) A fastening device and a fastening system
WO2014088043A1 (ja) ホールプラグ
EP2628961B1 (en) Clip and fastening arrangement with a clip
US11111944B2 (en) Clip having two interlocking parts improving retention force
KR102183317B1 (ko) 암형 버튼, 및 암형 버튼과 수형 버튼의 조합품
KR102172337B1 (ko) 플레이트 연결구조물
JP2006055455A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用カシメパンチ
KR101468914B1 (ko) 돌기형 비드와 외측홈을 구비한 팬너트
US10863800B1 (en) Female snap assembly with caged engagement member
US10941795B2 (en) Clipping bushing device of fastener assembly
TWI457086B (zh) Buttons and buttons for mounting
KR200488194Y1 (ko)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