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355B1 -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355B1
KR101567355B1 KR1020117006294A KR20117006294A KR101567355B1 KR 101567355 B1 KR101567355 B1 KR 101567355B1 KR 1020117006294 A KR1020117006294 A KR 1020117006294A KR 20117006294 A KR20117006294 A KR 20117006294A KR 101567355 B1 KR101567355 B1 KR 10156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opening
carrier
bearing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363A (ko
Inventor
만프레트 첸게를레
토비아스 라이닝거
Original Assignee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5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4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chas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8Multiple capacitors, i.e. 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 (3), 특히 라이브 하우징들을 가진 어셈블리들을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열체는 어셈블리 (3) 들 중 하나를 도입시키기 위한 각각의 관통 개구부 (4) 를 가진 캐리어 (31) 를 구비하며, 그리고 또한 어셈블리 (3) 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링 (45) 을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 링 (45) 은, 어셈블리 (3) 가 - 그것이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뻗어 있으면 - 베어링 링 (45) 을 통해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있도록, 하지만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는 않도록 관통 개구부 (4) 의 치수와 어셈블리 (3) 의 치수에 맞춰져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 및 방법 {ARRANGEMENT AND METHOD FOR HOLDING A PLURALITY OF ELECTRIC CAPACITOR ASSEMBLIES}
본 발명은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 특히 라이브 (live) 하우징 (housing) 들을 가진 어셈블리들을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관점은 커패시터 어셈블리들의 배터리 (즉, 다수 개를 가진 배열체) 안에서의 전기 에너지의 저장에 관한 것이다.
커패시터는 몇 년 전부터 전기 에너지, 특히 레일 차량의 제동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커패시터 안에 저장된 에너지는 특히 다음 가동 과정 또는 가속화 과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커패시터 어셈블리들은 일반적으로 하우징들 안에 제조되고, 판매를 위해 제공된다. 일반적인 디자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이며, 그리고 커패시터의, 또는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다수의 커패시터의 두 전기전위 (electric potential) 중 하나 상에 놓여 있다. 다른 전위는 예컨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의 핀 모양 접촉부에 인가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디자인들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렇게 다수의 어셈블리를 서로 나란히 배치하기 위해서, 그리고 원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기 위해, 특히 라이브 하우징으로 인해 어셈블리들은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플레이트 (plate) 들의 도움으로 고정된다. 특히, 어셈블리들은 전기적으로 병렬로 및/또는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어셈블리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비용이 비교적 많이 든다. 다수의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지니기 위한 캐리어 (carrier) 가 유리하며, 상기 캐리어는 임의의 재료, 특히 선택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금속은 높은 안정성과 지속성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패시터 어셈블리들이 그들의 하우징의 둘레에 전위를 갖고 있는지 또는 갖고 있지 않은 지에 상관 없이 다수의 커패시터 어셈블리의 보유를 가능하게 하는,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배열체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캐리어 (carrier) 에 보유되어야 하는 각각의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위해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개별적인 어셈블리들은, 상기 어셈블리들이 상기 관통 개구부를 관통하여 뻗어 있도록 상기 캐리어에 배치된다. 상기 어셈블리들은 각각 베어링 링 (bearing ring) 과 조합되며, 상기 베어링 링을 통해 상기 어셈블리들은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 (inner edge) 와 접촉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 링은 어셈블리를 상기 관통 개구부 안에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링 모양 요소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셈블리의 바깥둘레는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베어링 링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접촉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 링은 예컨대 전기 절연 (electrically insulating)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로 제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른 재료들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어셈블리의 바깥둘레가 전위를 갖고 있지 않는 경우, 금속 또는 전기 전도성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베어링 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모든 이 경우에서, 캐리어, 예컨대 서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관통 개구부를 가진 플레이트 모양의 (plate-shaped) 캐리어의 재료는 임의의 재료, 예컨대 금속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어셈블리의 바깥둘레를 빙 둘러싸며 뻗어 있는 베어링 링은 상기 관통 개구부 안에서의 어셈블리의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며, 이 이외에 - 언급한 바와 같이 - 어셈블리와 캐리어 간의 직접적인 기계적 접촉을 저지한다.
특히, 다음의 것이 제안된다 :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 특히 라이브 하우징들을 가진 어셈블리들을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로서, 상기 배열체는 :
- 어셈블리들 중 하나를 도입시키기 위한 각각의 관통 개구부를 가진 캐리어,
-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링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링은, 어셈블리가 - 그것이 관통 개구부를 관통하여 뻗어 있으면 - 상기 베어링 링을 통해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있도록, 하지만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는 않도록 상기 관통 개구부의 치수와 어셈블리의 치수에 맞춰져 있다.
이 이외에,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 특히 라이브 하우징들을 가진 어셈블리들을 보유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상기 방법에서는 어셈블리들을 조립하기 위해:
- 각각 하나의 어셈블리는 다수의 관통 개구부를 가진 캐리어의 상기 관통 개구부들 중 하나 안으로 도입되며,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관통 개구부를 관통하여 뻗어 있고,
- 어셈블리를 관통 개구부 안으로 도입시키기 전에, 그 동안에 및/또는 그 후에 베어링 링이 상기 관통 개구부 안으로 도입되며, 따라서 상기 베어링 링은 상기 어셈블리의 바깥둘레와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조립이 끝나자 마자 상기 어셈블리를 상기 캐리어에 보유시키며,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베어링 링을 통해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있고, 하지만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는 않다.
상기 방법의 구현형태들은 상기 배열체의 구현형태들에 관한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 나타나 있다.
바람직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배열체는 클램핑 링 (clamping ring) 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링은, 어셈블리와 상기 클램핑 링과 베어링 링이 클램핑 작용을 통해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에 보유되도록,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에서 어셈블리의 바깥둘레와 캐리어의 재료 사이에 뻗어 있다.
클램핑 작용에 의한 어셈블리의 보유는 조립을 간단하게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셈블리와 캐리어 간의 신뢰성 있는 보유 연결 (holding connection) 을 보장한다. 특히, 그 안에 어셈블리가 보유되는 각각의 관통 개구부를 위해 각각의 경우에 있어 클램핑 링이 제공되어 있다.
특별한 구현형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부에 의해 축방향 (axial direction) 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축방향은 캐리어의 한쪽으로부터 관통 개구부를 관통하여 캐리어의 마주하고 있는 쪽으로 뻗어 있고, 이때 상기 배열체는, 어셈블리의 조립을 위한 상기 클램핑 링이 클램핑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축방향에서 움직여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핑 링은 제 1 나사산 (thread) 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링은 제 2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들은, 베어링 링 및/또는 클램핑 링의 나사 운동 (screwing motion) 을 통해 상기 클램핑 링이 축방향에서 움직여지도록, 그리고 이로 인해 축방향 위치가 되고, 상기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링이 클램핑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상호 작용한다. 하지만, 상기 클램핑 링의 축방향 운동이 다른 방식으로 초래되는 다른 실시형태들도 가능하다. 예컨대, 베어링 링은 나사산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응 나사산이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에 또는 어셈블리의 바깥둘레에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나사산이 반드시 클램핑 링에 형성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예컨대 다음의 부품들: 캐리어, 베어링 링, 어셈블리, 추가 부품 중 적어도 2 개에서 서로 상호 작용하는 나사산들을 형성함으로써, 상응하는 나사 운동에 있어서 축방향 운동이 초래되며, 상기 운동은 클램핑 링의 클램핑 작용이 발휘되도록 한다.
상기 클램핑 링은 예컨대 축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 있는 요소들을 구비하며, 상기 요소들은 그들의 치수와 관련된 진행에 있어서 방사상 방향에서 테이퍼되어 있다. 이 요소들은, 베어링 링과 상기 클램핑 링의 상대적인 축방향 운동에 있어서 클램핑 작용을 발휘하기 위해 베어링 링의 상응하는 영역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클램핑 링의 테이퍼되는 요소들은 반드시 베어링 링의 특별히 클램핑 작용을 위해 설계된 영역들과 상호 작용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상기 클램핑 링의 이 영역들은 하우징, 배열체의 추가 부품 및/또는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와 함께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축방향에서 테이퍼되는 영역들은 단 하나의 요소, 예컨대 베어링 링의 링 모양 섹션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통 개구부는 원형 개구부일 수 있으며, 즉 원형 개구부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상기 관통 개구부 안에 지지되어 있는 커패시터의 의도치 않은 비틀림이 생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것이 제안된다: 상기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방사상 방향에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recess)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베어링 링은 방사상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베어링 링이 상기 관통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리세스와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링은 축방향에서 상기 관통 개구부보다 큰 길이를 넘어 뻗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관통 개구부 안에서의 어셈블리의 보유가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축방향에서의 그의 진행에 있어서 베어링 링의 치수는, 상기 베어링 링이 한 부분 영역과 함께 상기 관통 개구부 안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또는 심지어 상기 관통 개구부를 관통하여 움직여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며, 하지만 베어링 링의 다른 부분 영역은 상기 관통 개구부보다 큰 횡단면을 구비하고 또는 적어도 상기 관통 개구부보다 넓으며, 따라서 상기 다른 부분 영역은 상기 관통 개구부 안으로 도입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캐리어에서의 어셈블리의 보유 연결이 더욱 안정화된다. 이 이외에, 클램핑 링의 사용시, 관통 개구부를 관통하여 움직여졌던 베어링 링의 부분 영역은 클램핑 작용의 발휘시 방사상 바깥쪽으로 눌려지며, 따라서 이 부분 영역은 의도치 않게 축방향에서 다시 관통 개구부를 통해 되돌아가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셈블리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는 일단부에서 베어링 링을 통해 캐리어의 관통 개구부 안에 보유될 뿐만 아니라 축방향에서 떨어져 놓여 있는 제 2 영역에서도 보유된다. 그렇기 때문에, 어셈블리는 특히 안전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상기 배열체는 어셈블리를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 개구부를 가진 제 2 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며, 이때 어셈블리는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캐리어의 관통 개구부들 중 하나를 통해, 그리고 축방향에서 제 1 캐리어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다른 영역에서는 상기 제 2 관통 개구부를 관통하여 뻗어 있고, 그리고 제 2 베어링 링을 수단으로 상기 제 2 관통 개구부 안에 보유된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은 다수의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커패시터 어셈블리들이 실제로 존재해 있는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특히, 여러 가지 커패시터 어셈블리들 안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 (energy storage device) 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면의 개별적인 그림들은 다음을 나타낸다.
도 1 은 캐리어, 베어링 링 및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가진 배열체를 위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베어링 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배열체의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에 따른 배열체의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캐리어들, 및 상기 캐리어들의 관통 개구부들 안에 배치된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가진 제 2 배열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체의 부분의 축방향 단면이며, 클램핑 링의 축방향 운동에 의한 클램핑 작용이 생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서와 같은 단면이며, 하지만 관통 개구부 안에서의 커패시터 어셈블리 조립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체의 베어링 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체의 클램핑 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나사 운동을 생성하기 위한 링 모양 공구 요소를 가진,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배열체의 부분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베어링 링 및 캐리어를 가진 배열체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1 의 배열체의 베어링 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각각 하나의 베어링 링을 가진 2 개의 캐리어에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가진 배열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따른 배열체의 부분 영역이며, 하지만 2 개의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요소는 커패시터 어셈블리들과 아직 접촉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제 3 실시예의 커패시터 어셈블리와 베어링 링의 축방향 세로방향 단면이다.
도 1 은 커패시터 어셈블리 (3), 베어링 링 (5) 및 캐리어 (1) 를 가진 배열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도 1 에 완전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캐리어 (1) 는 다수의 원형 관통 개구부 (4) 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개구부들은 열과 행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관통 개구부 (4) 들 중 하나 안에, 즉 도 1 에서 왼쪽 아래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 개구부 (4) 안에, 바람직하게는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베어링 링 (5) 이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베어링 링 (5) 은 관통 개구부 (4) (축방향에서) 를 관통하여 뻗어 있고, 이때 부분 영역 (6a) 은 도면에서 관통 개구부 (4) 의 앞에 위치하고 있으며, 베어링 링 (5) 의 그 밖의 부분 영역 (6b) 은 도면에서 관통 개구부 (4) 의 뒤에 위치한다.
이 베어링 링 (5) 을 근거로 베어링 링들의 바람직한 구현형태가 기술되며, 상기 베어링 링들은 달리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 링은 그의 바깥둘레에서 적어도 부분 영역 (6a) 에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다수의 그루브 (groove, 7) 를 구비한다. 이는 보유 연결의 수동 (manual) 조립을 쉽게 하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베어링 링 (5) 의 부분 영역 (6a) 은, 상기 부분 영역 (6a) 이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꽂힐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부분 영역 (6a) 의 지름은 관통 개구부 (4) 의 안쪽지름보다 크기 때문이다. 부분 영역 (6a) 의 단부에서의 재료 (9) 가 밀착면 (10) 을 정의하는 것을 도 4 에서 알아볼 수 있으며, 상기 밀착면은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에 위치하지 않고 관통 개구부 (4) 주위를 둘러싸며 캐리어 (1) 의 재료에 밀착한다.
베어링 링 (5) 의 형태는 베어링 링 (5) 만을 도시하고 있는 도 2 에서도 알아볼 수 있다.
도 1 에 따른 배열체에는, 예컨대 금속으로 만들어진, 도 1 에서는 알아볼 수 없는 고정링 (fastening ring, 15) 이 속해 있으며, 상기 고정링은 방사상으로 그의 안쪽에 놓여 있는 쪽에서 안쪽둘레에 걸쳐 분배되어 그의 자유 단부쪽으로 뾰족하게 뻗어 있는 다수의 돌출부 (16) 를 구비한다. 돌출부 (16) 들은 방사상 안쪽으로만 뻗어 있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에서도 뻗어 있다. 이 고정링 (15) 은, 고정링 (15) 의 둘레에 걸쳐 분배되어 있으며 돌출부 (16) 들의 뻗음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그 밖의 돌출부 (17) 들을 도입함으로써, 베어링 링 (5) 의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는 영역 (20) 안의 그루브 (19) (도 4 참조) 안으로 눌려진다. 후속하여, 한편으로는 이렇게 준비된, 고정링 (15) 을 가진 베어링 링 (5) 과 다른 한편으로는 보유되어야 하는 어셈블리 (3) 는 축방향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며 (이때 어셈블리 (3) 는 베어링 링 (5) 의 내부 속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 (16) 들은 어셈블리 (3) 의 바깥둘레에서의 원하는 축방향 상대위치에서 어셈블리 (3) 의 표면 안에 붙잡힌다.
그 안에 보유된 고정링 (15) 을 가진 베어링 링 (5) 은, 상기 베어링 링 (5) 안으로 어셈블리 (3) 를 도입하기 전에 또는 어셈블리 (3) 를 도입한 후 캐리어 (1) 의 관통 개구부 (4) 안으로 도입된다. 완전히 조립된 배열체는 도 4 의 도면에서도 알아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완전히 조립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움직여지는 부분 영역 (6b) 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영역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역들은 영역 (6b) 의 관통 운동을 아직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이 영역들은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및/또는 방사상 압력하에 끌려가며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움직여질 수 있으며,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의 베어링 링 (5) 의 의도치 않은 운동이 어려워지거나 또는 불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는 도 5 내지 도 10 에 도시되어 있다. 배열체는 캐리어 (31) 를 구비한다. 캐리어 (31) 를 관통하여 베어링 링 (45) 이 뻗어 있다. 보유된 커패시터 어셈블리 (3) 는 베어링 링 (45) 의 내부에서 캐리어 (31) 안의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뻗어 있다. 같은 방식으로, 어셈블리 (3) 는 그의 후방 단부에서 제 2 캐리어 안에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
어셈블리 (3) 의 안전한, 지속적인 고정을 위해 관통 개구부 (4) 안에는 클램핑 링 (36) 이 존재하며, 그러나 상기 클램핑 링은 (도 6 및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개구부 (4) 의 안까지 뻗어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클램핑 링은 조립된 상태에서 클램핑 작용을 발생시키며, 즉 특히 방사상 방향에서 작용하는, 그리고 어셈블리 (3) 를 클램핑 작용을 통해 캐리어 (31) 에 보유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클램핑력은 방사상 바깥쪽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우선 캐리어로부터 베어링 링 (45) 에, 그 후 이것으로부터 클램핑 링 (36) 에,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어셈블리 (3) 의 둘레에서의 바깥 표면에 전달된다. 클램핑력은 베어링 링 (45) 으로부터 어셈블리 (3) 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도 8 은 베어링 링 (45) 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으며, 상기 베어링 링은 바깥둘레의 디자인과 관련하여 도 2 에 따른 베어링 링 (5) 과 마찬가지로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베어링 링은 이 경우에도 제 1 영역 (46a) 및 제 2 영역 (46b) 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2 영역 (46b) 만 캐리어 (31) 의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꽂힐 수 있고, 제 1 영역 (46a) 은 그러하지 않다. 도 2 를 근거로 기술된, 또는 베어링 링 (5) 의 설명부에 기술된 그 밖의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도 8 에 따른 베어링 링에 존재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형태, 즉 베어링 링 (45) 의 바깥둘레에서의 형태는 베어링 링 (5) 의 형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특히, 이 베어링 링은 제 1 영역 (46a) 과 제 2 영역 (46b) 사이의 과도 영역에 제 1 부분 (46a) 으로부터 축방향에서 돌출하는 맞물림 요소 (48) 들을 구비하며, 상기 맞물림 요소들 중 2 개를 도 8 에서 알아볼 수 있다. 예컨대, 종축 둘레로 같은 각거리 (angular distance) 들을 두고 2 개의 그 밖의 이러한 맞물림 요소들이 베어링 링 (45) 의 바깥둘레에 위치한다. 하지만 이러한 돌출부들의 개수는 4 개로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원칙적으로는 이미 단 하나의 이러한 돌출부로 충분하다. 하지만 다수의 이러한 돌출부가 상이한 각거리들을 두고 제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캐리어 (31) 의 관통 개구부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부의 내부 가장자리는 (예컨대 도 5 의 캐리어 (31) 에서의 참조 부호 (39) 에 의해 암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는 리세스를 구비하며, 따라서 베어링 링에서의 모든 돌출부는 리세스 (39) 들 중 하나 안으로 도입될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축방향에서 뻗어 있는 종축 둘레의 베어링 링의 의도치 않은 비틀림이 저지된다.
도 2 에 따른 베어링 링 (5) 에서와 유사하게, 제 2 영역 (46b) 의 바깥둘레에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영역 (49) 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영역들은 예컨대 축방향에서 제 2 영역 (46a) 을 향해 높아지며 바깥둘레 (46b) 의 수평면으로부터 솟아오르고, 그리고 그의 제 1 영역 (46a) 에 가장 가까이 놓인 단부에는 방사상 방향에서 뻗어 있는 모서리를 구비한다. 제 1 영역 (46a) 으로부터 상기 모서리의 간격은 축방향에서 캐리어 (31) 의 관통 개구부의 두께와 바람직하게는 크기가 같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어링 링 (45) 은, 제 1 영역 (46a) 의 전면이 캐리어 (31) 의 재료에 밀착할 때까지 제 2 영역 (46b) 의 자유 단부와 함께 먼저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꽂힐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 (49) 는 그의 모서리와 함께, 베어링 링 (45) 이 의도치 않게 관통 개구부 밖으로 다시 이탈되거나 또는 관통 개구부의 내부에서 축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저지한다.
마찬가지로 도 8 에 따른 실시예를 근거로 설명되는 그 밖의 특징 (상기 특징은 먼저 설명되었던 다른 특징들과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형태들에서도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특징들과 조합되어 존재한다) 은 제 1 영역 (46a) 의 섹션 안의 내부 나사산이며, 상기 내부 나사산은 베어링 링 (45) 의 자유 단부로부터 제 2 영역 (46b) 의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내부 나사산은 도 8 에 참조 부호 50 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내부 나사산에 상응하여,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클램핑 링 (36) 은 그의 바깥둘레에 외부 나사산 (51) 을 구비한다. 그러나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외부 나사산 (51) 은 클램핑 링 (36) 의 자유 단부까지 축방향에서 뻗어 있지 않다. 오히려 클램핑 링 (36) 은 이 자유 단부에 다수의 원형 세그먼트 (54) 를 구비하며, 상기 세그먼트들은 그들의 이웃한 세그먼트 (54) 들로부터 각각 리세스 (55) 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도 10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리세스 (55) 들 안으로 각각 조립 공구 (58) 의 돌출부 (59) 가 삽입될 수 있다. 조립 공구 (58) 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중앙 영역에 관통 개구부 (61) 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개구부 (61) 는 예컨대 렌치를 부착시킬 수 있기 위해 단면이 정육각형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조립 공구 (58) 가 사용되면, 축방향에서 돌출하는 접촉핀 (30) (또한 도 1, 도 5 및 도 10 참조) 은 적어도 관통 개구부 (61) 안으로 뻗어 있다. 커패시터 어셈블리 (3) 의 이 접촉핀 (30) 은 어셈블리 (3) 의 전기적 연결에 사용된다.
조립 공구 (58) 의 도움으로 클램핑 링 (36) 은 축방향에서 베어링 링 (45) 안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축방향에서 전방 단부 (상기 전방 단부는 세그먼트 (54) 를 가진, 축방향에서 뒤쪽에 있는 단부와 마주하고 있다) 에서는 횡단면이 혀 모양인, 즉 뾰족하게 뻗어 있는 요소 (69) 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베어링 링 (45) 의 재료와 어셈블리 (3) 사이로 밀어지고,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클램핑 작용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즉 도 6, 도 7 및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클램핑 링의 실시형태에서 뿐만 아니라, 클램핑 링은 축방향에서 전방에 놓여 있는 그의 단부에,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테이퍼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역은 특히 방사상 방향에서 측정된 자유 단부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테이퍼된다. 이러한 유형의 혀 모양 형태는 원하는 클램핑 작용의 발생을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예컨대 도 6 및 도 7 에 따른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 링은 그의 내부둘레에, 축방향 세로 섹션 안에서 비스듬히 방사상 바깥쪽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그리고 동시에 축방향에서 뻗어 있는 표면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 영역을 따라, 클램핑 링의 혀 모양의 자유 단부는 그의 축방향 운동시 움직인다. 이러한 경사진 표면 영역은 도 6 및 도 7 에 예컨대 참조 부호 64 로 표시되어 있다. 완전히 조립된,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에서, 클램핑 링 (36) 의 자유 단부는 심지어 베어링 링 (45) 의 상기 경사진 영역을 넘어 뻗어 있다.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혀 모양 요소 (69) 들은 균일하게 둘레에 걸쳐 분배되어 있으며, 그리고 각각 리세스 (70) 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하지만, 특히 예컨대 사용된 플라스틱 재료가 클램핑 압력하에 소성 변형을 실행하면, 리세스 (70) 들이 생략될 수도 있다.
베어링 링 및 상응하는 배열체의 그 밖의 실시형태는 이제 도 11 및 도 12 를 근거로 설명된다. 베어링 링 (85) 은 이 경우에도 축방향에서 잇달아 놓여 있는 2 개의 영역 (86a, 86b) 을 구비한다. 영역 (86b) 과 함께 베어링 링은, 제 1 영역 (86a) 의 스톱면 (91) 이 캐리어 (81) 의 재료에 부딪칠 때까지 축방향에서 캐리어 (81) 의 상응하는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꽂힌다.
특히 도 12 가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링 (85) 은 그의 안쪽둘레에, 돌출하는, 선 모양으로 축방향에서 뻗어 있는 다수의 영역 (98) 을 구비한다. 이 영역 (98) 들의 방사상 방향에서 안쪽에 놓여 있는 단부들은, 베어링 링 (85) 에 의해 보유된 커패시터 어셈블리 (3) 가 영역 (98) 들에 의해 클램핑 작용을 통해 보유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6 참조).
이 이외에, 영역 (86b) 은 스톱면 (91) 의 바로 앞에 그의 바깥둘레에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영역 (99) 을 구비하며, 상기 영역들과 함께 베어링 링 (85) 은, 상기 베어링 링이 관통 개구부 (4) 안에 조립되어 있으면 클램핑 작용의 발생하에 캐리어 (81) 의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영역 (99) 들의 재료 뿐만 아니라 영역 (98) 들의 재료도 클램핑 작용의 발생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의 자유 단부에서, 영역 (86b) 은 방사상 안쪽으로 뻗어 있는 영역 (92a, 92b) 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2 개의 이러한 영역 (92) 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영역들은 방사상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다. 영역 (92) 들은 베어링 링 (85) 안에 지지되어 있는 커패시터가 제 2 영역 (86b) 의 자유 단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영역 (92) 들의 특별한 구현형태에서, 적어도 한 영역 (92) 은 그의 방사상 안쪽에 놓여 있는 가장자리에 돌출부 (94) 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응하는 가압력이 지지되어 있는 커패시터 어셈블리로부터 돌출부 (94) 에 가해지면 축방향에서 움직여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 (94) 의 자유 단부는 축방향 위치에서의 이완된 상태에 위치하며, - 축방향 힘이 그에게 가해지지 않으면 - 상기 위치는 영역 (92) 의 앞에 (도 12 의 도면에서 아래쪽에) 놓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커패시터 어셈블리는 - 그가 돌출부 (94) 의 변형을 위해 필요한 힘을 가하지 않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만 가하면 - 돌출부 (94) 만 터치 (touch) 하고, 영역 (92) 을 터치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축방향 힘에 따라 커패시터 어셈블리는 상이한 축방향 위치에서 베어링 링 (85) 안에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15 는 왼쪽에 커패시터 어셈블리 (3a) 를 보이고 있으며, 상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는 또한 영역 (92) 을 터치하고, 반면 도 15 에서 오른쪽에는 커패시터 어셈블리 (3b) 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는 돌출부 (94) 들만 터치하고, 영역 (92) 을 터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전한 역극성 보호 (reverse polarity protection) (즉, 여러 가지 커패시터 어셈블리의 틀린 전기적 연결부들의 연결로부터의 보호) 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커패시터 어셈블리 (3a) 의 연결부 (30a) 에는 돌출하는 접촉핀들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링 모양의 영역 (96) 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영역은 접촉핀 (95) 보다 큰 바깥지름을 가진다. 이 링 (96) 은, 제 1 유형의 연결 전극 (예컨대 양극) 에 관한 것임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도 15 에서 오른쪽에 도시되어 있는 커패시터의 연결핀 (97) 은 이러한 추가 링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다른 유형의 전기적 연결 전극 (예컨대 음극) 이 표시되어 있다.
예컨대, 커패시터 (3a, 3b) 들은 병렬로 접속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15 에서 위쪽에 도시되어 있는 연결요소 (100) 가 사용되며, 상기 연결요소는 각각의 접촉핀 (95, 97) 을 위해 각각 관통 개구부를 구비한다. 예컨대 도 14 는 조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링 모양 영역 (96) 의 전면쪽 자유 단부는 커패시터 (3b) 의 전면쪽 표면과는 다른 축방향 위치 (도 15 에서 보다 높이) 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결요소 (100) 는 그의 중앙 영역에 두 번 꺾인 연장부를 구비하며, 따라서 두 단부 (101a, 101b) 는 서로 평행으로 뻗어 있기는 하나 동일한 평면에서 뻗어 있지는 않다. 꺾임선은 참조 부호 (102a, 102b) 들로 표시되어 있다. 연결요소 (100) 의 이 구현형태는 마찬가지로 역극성 보호에 기여한다. 병렬로 접속되어야 하는 두 커패시터 어셈블리가 도 1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는 달리 동일한 전극 (예컨대 양극) 을 갖고 서로 나란히 놓여 있다면, 이는 두 전극이 링 모양의 영역 (96) 을 갖거나 또는 상기 영역을 갖지 않음으로써 눈에 띄일 것이다. 꺾인 상기 중앙 영역을 가진 연결요소 (100) 를 상기 접촉핀들에 고정할 때 (예컨대 접촉핀들의 외부 나사산에 너트들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연결요소 (100) 의 표면은 가능한 한 완전히 상기 링 모양 영역들의 전면쪽 단부에 또는 어셈블리의 하우징의 전면쪽 단부에 밀착하지는 않을 것이며, 그러므로 쉽게 식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어셈블리들의 마주하고 있는 축방향 단부들에서의 상기 연결요소의 이중으로 꺾인 형태는, 접촉 전극들에 상기 연결요소들을 고정시킴으로써 어셈블리들이 상응하는 축방향 위치가 되게 한다. 어셈블리들이 틀리게 전극에 연결되어 있으면, 즉 거꾸로 설치되어 있으면, 적어도 한 연결요소의 표면은 가능한 한 완전히 어셈블리들 중 하나에 밀착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도 15 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사상 방향에서 안쪽으로 뻗어 있는, 베어링 링 (85) 들의 영역 (92) 들은 그들 사이에 중간공간 (intermediate space) 을 노출시키며, 상기 중간공간 안으로 연결요소 (100) 는 조립된 상태에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13 에서는, 커패시터 어셈블리 (3) 가 어떻게 예컨대 도 11 및 도 12 를 근거로 설명되었던 베어링 링들의 유형의 2 개의 베어링 링의 도움으로, 그리고 2 개의 캐리어 (81a, 81b) 의 도움으로 안전하게 보유될 수 있는 가를 알아볼 수 있다. 캐리어 (81) 는 관통 개구부 (4) 들 사이에 커패시터 어셈블리들의 조립을 위해 그 밖의 관통 개구부 (106) 들을 구비한다. 예컨대 나사 볼트 (threaded bolt, 107) 들과 너트 (nut, 108) 들의 도움으로 캐리어 (81a, 81b) 들은 서로 나사결합되며, 따라서 어셈블리들은 의도치 않게 베어링 링 (85) 들 밖으로 이탈될 수 없다.
도 14 는 통틀어 4 개의 조립된 커패시터 어셈블리 (3) 들을 가진 조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상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들 중 각각 포개어져 놓여 있는 것들은 전방에 놓여 있는 축방향 쪽에서, 이중으로 꺾인 연결요소 (100) 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연결요소 (100) 들은 어셈블리 (3) 의 전면쪽 접촉면들에 아직 나사결합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도 16 은 커패시터 어셈블리 (3) 의 축방향 단부영역을 통한, 그리고 이 단부영역에 배치된 베어링 링 (85) 을 통한 축방향 세로방향 단면을 보이고 있다. 도면의 왼쪽에서는, 방사상 방향에서 안쪽으로 뻗어 있는, 축방향에서 약간 오프셋된 돌출부 (94) 를 가진 영역 (92) 을 알아볼 수 있다. 특히 서로 마주하고 있는, 어셈블리의 두 축방향 단부에 각각 하나 또는 다수의 이러한 돌출부가 위치하면, 돌출부 (94) 들이 커패시터 어셈블리가 축방향에서 약간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효하다. 예컨대, 축방향에서의 상기 이동은 - 언급한 바와 같이 - 연결요소 (100) 들이 접촉핀들에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연결요소들을 통해 초래된다.

Claims (19)

  1.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 (3) 들을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로서, 상기 배열체는:
    - 어셈블리 (3) 들 중 하나를 도입시키기 위한 각각의 관통 개구부 (4) 를 가진 캐리어 (31),
    - 어셈블리 (3) 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링 (45) 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링 (45) 은, 어셈블리 (3) 가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때에, 어셈블리 (3) 가 베어링 링 (45) 에 의해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있지만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는 않도록, 관통 개구부 (4) 의 치수와 어셈블리 (3) 의 치수에 맞춰져 있고,
    상기 배열체는 클램핑 링 (36) 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링은, 어셈블리 (3) 와 클램핑 링 (36) 과 베어링 링 (45) 이 클램핑 작용을 통해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에 보유되도록, 어셈블리 (3) 의 조립된 상태에서 어셈블리 (3) 의 바깥둘레와 캐리어 (31) 의 재료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관통 개구부 (4) 에 의해 축방향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축방향은 캐리어 (31) 의 한쪽으로부터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캐리어의 마주하고 있는 쪽 (31) 으로 뻗어 있고, 상기 배열체는, 어셈블리 (3) 의 조립을 위한 클램핑 링 (36) 이 클램핑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축방향에서 움직여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 링 (36) 은 제 1 나사산 (51) 을 구비하며 베어링 링 (45) 은 제 2 나사산 (50) 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들은, 베어링 링 (45) 및 클램핑 링 (36) 중 하나 이상의 나사 운동을 통해 클램핑 링 (36) 이 축방향에서 움직여지도록, 그리고 이로 인해 축방향 위치가 되고, 상기 위치에서 클램핑 링 (36) 이 클램핑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상호 작용하는,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링 (45) 은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배열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링 (45) 은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어셈블리 (3) 의 바깥둘레를 빙 둘러싸며 뻗어 있는 배열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31) 는 전기 전도 재료로 구성되는 배열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31) 는 플레이트 모양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영역에는 관통 개구부 (4) 들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배열체.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방사상 방향에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39) 가 배치되어 있으며, 베어링 링 (45) 은 방사상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 (48) 를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 (48) 는, 베어링 링 (45) 이 상기 관통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리세스 (39) 와 맞물리는 배열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부 (4) 에 의해 축방향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축방향은 캐리어 (31) 의 한쪽으로부터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캐리어 (31) 의 마주하고 있는 쪽으로 뻗어 있고, 상기 배열체는 어셈블리 (30) 들 중 하나를 도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 개구부를 가진 제 2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어셈블리 (3) 는 조립된 상태에서 캐리어 (31) 의 관통 개구부 (4) 들 중 하나를 통해, 그리고 축방향에서 캐리어 (31) 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다른 영역에서는 제 2 관통 개구부를 관통하여 뻗어 있고, 그리고 제 2 베어링 링을 수단으로 제 2 관통 개구부 안에 보유되는 배열체.
  10. 커패시터 어셈블리 (3) 들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열체를 가진 에너지 저장 장치 (energy storage device).
  11.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 (3) 들을 보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서는 어셈블리 (3) 들을 조립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가 수행되며:
    - 상기 어셈블리 (3) 가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뻗어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 하나의 어셈블리 (3) 는 다수의 관통 개구부 (4) 를 가진 캐리어 (31) 의 관통 개구부 (4) 들 중 하나 안으로 도입되는 단계;
    - 어셈블리 (3) 를 관통 개구부 (4) 안으로 도입시키기 전에, 도입 동안에, 및 도입 후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경우에 베어링 링 (45) 이 관통 개구부 (4) 안으로 도입되는 단계로서, 상기 베어링 링을 관통 개구부 안으로 도입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 링은 어셈블리 (3) 의 바깥둘레와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조립이 끝나자 마자 어셈블리 (3) 를 캐리어 (31) 에 보유시키며, 따라서 어셈블리 (3) 는 상기 베어링 링을 통해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있고, 하지만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는 않는 것인 베어링 링이 관통 개구부 안으로 도입되는 단계; 및
    - 어셈블리 (3) 의 조립된 상태에서 어셈블리 (3) 의 바깥둘레와 캐리어 (31) 의 재료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뻗어 있는 클램핑 링 (36) 을 사용하여 어셈블리 (3) 가 캐리어 (31) 에 조립되는 단계로서, 상기 어셈블리를 캐리어에 조립함에 따라 어셈블리 (3) 와 클램핑 링 (36) 과 베어링 링 (45) 은 클램핑 작용을 통해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에 보유되는 것인 어셈블리가 캐리어에 조립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개구부 (4) 에 의해 축방향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축방향은 캐리어 (31) 의 한쪽으로부터 관통 개구부 (4) 를 관통하여 캐리어 (31) 의 마주하고 있는 쪽으로 뻗어 있고, 어셈블리 (3) 의 조립을 위한 클램핑 링 (36) 은 클램핑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축방향에서 움직여지고,
    상기 클램핑 링 (36) 은 베어링 링 (45) 및 클램핑 링 (36) 중 하나 이상의 나사 운동을 통해 축방향에서 움직여지며, 그리고 이로 인해 축방향 위치가 되고, 상기 위치에서 클램핑 링 (36) 은 클램핑 작용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3) 의 바깥둘레를 형성하는 재료는 베어링 링 (45) 에 의해 캐리어 (31) 의 재료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링 (45) 은, 상기 베어링 링이 관통 개구부 (4) 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어셈블리 (3) 의 바깥둘레를 빙 둘러싸며 뻗어 있도록 관통 개구부 (4) 안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어셈블리 (3) 가 서로 나란히 캐리어 (31) 의 서로 다른 관통 개구부 (4) 들 안에서 각각 베어링 링 (45) 의 도움으로 캐리어 (31) 에 고정되는,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3) 는 축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영역들에서 각각 베어링 링을 통해 캐리어에 고정되는,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117006294A 2008-09-19 2009-09-17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 및 방법 KR101567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8082A DE102008048082A1 (de) 2008-09-19 2008-09-19 Anordnung und Verfahren zum Halten einer Mehrzahl von elektrischen Kondensatorbaugruppen
DE102008048082.7 200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363A KR20110053363A (ko) 2011-05-20
KR101567355B1 true KR101567355B1 (ko) 2015-11-09

Family

ID=4134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294A KR101567355B1 (ko) 2008-09-19 2009-09-17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54545B2 (ko)
EP (1) EP2324522B1 (ko)
JP (1) JP5544364B2 (ko)
KR (1) KR101567355B1 (ko)
CN (1) CN102160209B (ko)
DE (1) DE102008048082A1 (ko)
ES (1) ES2781802T3 (ko)
WO (1) WO2010031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3053B2 (en) 2005-04-07 2007-04-10 American Radionic Company, Inc. Capacitor for multiple replacement applications
US11183336B2 (en) 2005-04-07 2021-11-23 Amrad Manufacturing, Llc Capacitor with multiple elements for multiple replacement applications
US11183338B2 (en) 2005-04-07 2021-11-23 Amrad Manufacturing, Llc Capacitor with multiple elements for multiple replacement applications
US9412521B2 (en) 2005-04-07 2016-08-09 American Radionic Company, Inc. Capacitor with multiple elements for multiple replacement applications
US11183337B1 (en) 2005-04-07 2021-11-23 Amrad Manufacturing, Llc Capacitor with multiple elements for multiple replacement applications
WO2008083270A1 (en) 2006-12-29 2008-07-10 American Radionic Company, Inc. Electrolytic capacitor
JP5510134B2 (ja) * 2010-07-07 2014-06-04 富士電機株式会社 コンデンサ装着スタック構造およびコンデンサの装着方法
US8760847B2 (en) * 2010-11-30 2014-06-24 Pratt & Whitney Canada Corp. Low inductance capacitor assembly
US8570767B2 (en) * 2011-03-21 2013-10-29 Deere & Company Capacitor assembly
JP5665658B2 (ja) * 2011-05-31 2015-02-04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樹脂部材成形装置
FI123196B (fi) * 2011-11-11 2012-12-14 Abb Oy Kondensaattorikiinnitys
DE102012202539A1 (de) * 2012-02-20 2013-08-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ntagebaugruppe für elektrische oder elektronische Bauelemente
FR2990063B1 (fr) * 2012-04-30 2016-12-09 Batscap Sa Dispositif pour le maintien d'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JP6069615B2 (ja) * 2012-06-15 2017-02-01 株式会社キャプテックス 組電池モジュール
US9318261B2 (en) 2013-05-21 2016-04-19 American Radionic Company, Inc. Power factor correction capacitors
DE102014105114B4 (de) * 2014-04-10 2022-12-29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Stromrichteranordnung mit Kondensatoreinrichtung
CN108780698B (zh) * 2016-04-15 2020-09-08 丹佛斯电力电子有限公司 电容器杯和用于紧固电容器杯的装置
US11195663B2 (en) 2017-05-12 2021-12-07 Amrad Manufacturing, Llc Capacitor with multiple elements for multiple replacement applications
DE202017103801U1 (de) * 2017-06-26 2018-10-01 SOLO Vertriebs- und Entwicklungs-GmbH Halteelement für eine Batteriezellenanordnung
CN117153567A (zh) * 2017-06-30 2023-12-01 京瓷Avx元器件公司 用于超级电容器模块的平衡电路中的热耗散
DE102017009360A1 (de) * 2017-10-06 2019-04-11 Kaco Gmbh + Co. Kg Wellenerdungsring sowie Ableitkörper für einen Wellenerdungsring
US11424077B1 (en) 2017-12-13 2022-08-23 Amrad Manufacturing, Llc Hard start kit for multiple replacement applications
US10716232B2 (en) 2018-08-22 2020-07-14 Raytheon Company Low profile, nesting capacitor collars
US10586655B1 (en) 2018-12-28 2020-03-10 American Radionic Company, Inc. Capacitor with multiple elements for multiple replacement applications
USD906247S1 (en) * 2019-07-11 2020-12-29 American Radionic Company, Inc. Capacitor
MX2022005175A (es) 2021-04-30 2022-11-01 Amrad Mfg Llc Kit de arranque externo para múltiples aplicaciones de reemplazo.
CN113629515B (zh) * 2021-09-07 2022-03-11 浙江恒通电控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除尘的配电柜及其切割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9547A1 (en) 2003-09-18 2005-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pacitor unit
JP2008091231A (ja) * 2006-10-03 2008-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642A (de) 1892-02-08 1892-06-30 Rudolf Horner Klemmring für Schlauchbindung
US3808479A (en) * 1973-08-06 1974-04-30 Victor Insetta Air dielectric capacitor
JP3078082B2 (ja) * 1992-01-20 2000-08-21 ニチ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の取付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H05226188A (ja) * 1992-02-13 1993-09-03 Hitachi Aic Inc 電子部品の取付具
JPH05283267A (ja) * 1992-04-03 1993-10-29 Hitachi Aic Inc 電子部品の取付具
US5278729A (en) * 1992-04-10 1994-01-11 Magnavox Electronic Systems Company Compact rotatable electrical device
JP3412169B2 (ja) * 1992-09-07 2003-06-03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固定装置
JP3412172B2 (ja) * 1992-10-05 2003-06-03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固定装置
JP3340788B2 (ja) * 1992-12-01 2002-11-05 日立エーアイシー株式会社 電子部品
US5530618A (en) 1994-09-02 1996-06-25 At&T Corp. Capacitor mounting assembly
JPH0974042A (ja) * 1995-09-05 1997-03-18 Marcon Electron Co Ltd 電子部品の固定装置
DE19607737A1 (de) * 1996-02-29 1997-09-04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Elektrischer Kondensator
DE19723455C1 (de) * 1997-06-04 1998-10-08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Aluminium-Elektrolytkondensator
JP4122553B2 (ja) * 1997-11-21 2008-07-23 豊田合成株式会社 棒状体支持箱
JP2000164465A (ja) * 1998-11-27 2000-06-16 Nippon Chemicon Corp 電子部品
US6244544B1 (en) * 1999-02-19 2001-06-12 Magne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a capacitor without separable fasteners
JP2001085281A (ja) * 1999-09-09 2001-03-30 Honda Motor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の配線構造
JP2002151345A (ja) * 2000-11-10 2002-05-24 Hitachi Ltd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逆取付け防止構造
DE20020121U1 (de) 2000-11-27 2001-03-01 Siemens Ag Mechanischer Adapter
US20080068801A1 (en) * 2001-10-04 2008-03-20 Ise Corporation High-Power Ultracapacitor Energy Storage Cell Pack and Coupling Method
DE102004007745B3 (de) 2004-02-16 2005-09-15 Henco Industries Nv Steckfitting mit einem Klemmring
DE102006012406B4 (de) * 2006-03-17 2010-09-02 Siemens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leichspannungs-Kondensators auf einer Montageplat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9547A1 (en) 2003-09-18 2005-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pacitor unit
JP2008091231A (ja) * 2006-10-03 2008-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22261A1 (en) 2011-09-15
ES2781802T3 (es) 2020-09-07
DE102008048082A1 (de) 2010-04-08
JP5544364B2 (ja) 2014-07-09
EP2324522A1 (de) 2011-05-25
JP2012503283A (ja) 2012-02-02
CN102160209B (zh) 2013-11-20
CN102160209A (zh) 2011-08-17
US8654545B2 (en) 2014-02-18
EP2324522B1 (de) 2020-01-01
KR20110053363A (ko) 2011-05-20
WO2010031594A1 (de)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355B1 (ko) 다수의 전기 커패시터 어셈블리를 보유하기 위한 배열체 및 방법
JP5211128B2 (ja) 組電池
KR20200043272A (ko) 라멜라 바스켓을 갖는 커넥팅 플러그 및 소켓
US9431741B2 (en) Socket contact
CN102904107A (zh) 带缆线夹箝部的电连接器
US20160134044A1 (en) Female terminal assembly
KR20170062491A (ko) 암형 스냅 버튼의 상부 구조체, 암형 스냅 버튼 및 천에 대한 암형 스냅 버튼의 설치 방법
WO2013179933A1 (ja) ソケット端子
DE102011081283A1 (de) Kondensator mit einem Kühlkörper
JP4652138B2 (ja) 保持部材および組電池
US10069219B2 (en) Plug-type connection having a conical clamping ring clamping a conical collet
US11108203B2 (en) Electrical contact for a plug connector, having rotatable rolling contact bodies, and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with such a contact
JP2015153741A (ja) 蓄電装置
KR20010090528A (ko) 평면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70010235A1 (en) Gas sensor
JP5624795B2 (ja) 角形電池のスナップ端子用保護キャップ
JP6327462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413432B1 (ko)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JP5898603B2 (ja) コネクタ及びシール部材
CN216251245U (zh) 一种连接器弹性接触件
WO2019035332A1 (ja) コネクタ
JP2017091671A (ja) 太陽光発電コネクター
EP4164064A1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fastening an electrical contact element to an electrical conductor
WO2021200356A1 (ja) 接触子ユニット、ソケットの集合体、及びコネクタ
KR101776328B1 (ko)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