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455B1 -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 Google Patents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455B1
KR101504455B1 KR20140092072A KR20140092072A KR101504455B1 KR 101504455 B1 KR101504455 B1 KR 101504455B1 KR 20140092072 A KR20140092072 A KR 20140092072A KR 20140092072 A KR20140092072 A KR 20140092072A KR 101504455 B1 KR101504455 B1 KR 10150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needle
support
syringe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승 filed Critical 이현승
Priority to KR2014009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455B1/ko
Priority to US15/313,551 priority patent/US20170189623A1/en
Priority to PCT/KR2015/007183 priority patent/WO20160137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한 손만 이용하여 안전하게 주사기 바늘을 캡에 넣을 수 있음으로 하여 주사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주사기의 재활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사기의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캡과;상기 내부 캡이 수용되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벌어질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마련되는 변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외부 캡과; 상기 내부 캡과, 상기 외부 캡을 연결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외부 캡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내부 캡과 상기 외부 캡, 상기 연결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며, 이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A security cap assembly for a syringe}
본 발명은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한 손만 이용하여 안전하게 주사기 바늘을 캡에 넣을 수 있음으로 하여 주사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주사기의 재활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경우, 사용 후, 바늘을 바늘 보관 캡에 넣다가 사용자가 찔려서 병원균에 감염되는 사례가 빈번하였고, 또한, 바늘의 재사용이 방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재사용이 이루어지면서, 무고한 환자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사례가 많이 보고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예기치 못한 주사기 사용자의 상처 발생 또는 질병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안전 주사기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안전 주사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한국 공개번호 10-2003-0043209나 한국공개번호 2001-0040365 등의 안전주사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 주사기의 경우, 비용이 비교적 비싸고, 바늘을 보관하는 경우, 양 손을 모두 다 써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주사기의 재활용 가능 상태와, 재활용 불가 상태에 따라서 안전 캡 조립체를 이용하여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나 장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뚝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안전 캡이 항상 바닥에 정자세로 위치할 수 있게 하고, 주사기를 잡고 있는 손만 이용하여 주사기 바늘 부분을 안전 캡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기의 재활용 여부 및 안전 캡에 주사기를 끼워넣는 압력에 따라서, 주사기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주사기의 재활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기의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캡과; 상기 내부 캡이 수용되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벌어질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마련되는 변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외부 캡과; 상기 내부 캡과, 상기 외부 캡을 연결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외부 캡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내부 캡과 상기 외부 캡, 상기 연결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며, 이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부 캡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외부 캡의 하단부 또는 측면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2연결부를 연결하되, 상기 외부 캡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최하단부는 상기 외부 캡의 최하단부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캡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캡과 상기 외부 캡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내부 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외부 캡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캡의 걸림홈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캡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캡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캡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지지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 캡에 끼워진 바늘 장착부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바늘 장착부가 상기 지지링의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링의 테두리가 상기 바늘 장착부의 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기 바늘 장착부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이 외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놓일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제1방향으로 관통하며 그 양단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향 절곡되어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지지판을 제2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지지부와 교차하고 그 양단이 상향 절곡되어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판과 함께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기의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벌어질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마련되는 변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캡과;상기 캡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캡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에 마련되어 상기 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 이하인 경우, 상기 변형 가이드 홈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변형 방지 와이어는 상기 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어 상기 변형 가이드 홈이 벌어지는 경우, 끊어질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놓일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향되게 절곡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주사기 바늘 장착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바늘 장착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지지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늘 장착부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바늘 장착부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링의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링의 테두리가 상기 바늘장착부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기 바늘 장착부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이 외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주사기 사용자가 주사기를 사용한 이후에, 주사기를 파지한 손만 이용하여 바늘에 캡을 씌울 수 있기 때문에 바늘이 주사기를 파지한 손 반대쪽 손을 찌를 가능성이 완전하게 차단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오뚝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안전 캡이 항상 상방향을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바늘 및 바늘 장착부를 안전 캡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캡 조립체가 항상 직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지부에 의하여, 주사기 사용자가 안전 캡 조립체가 직립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자세를 유지시킬 필요없이 대충 바닥에 놓아도 자연스럽게 직립이 되는 정자세를 취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특정한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주사기를 사용해야하는 등의 주사기 바늘의 재활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안전 캡에 바늘 및 바늘 장착부를 살짝 삽입하여 배치하고, 이후에 다시 빼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주사기 바늘의 재활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타인에의 병원균 감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사기를 안전 캡 조립체에 대해서 일정 압력 이상으로 누르면, 바늘 장착부가 하강운동을 하여 지지링 또는 지지턱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억제될 수 있고, 바늘과 바늘 장착부를 다시 빼내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바늘 및 바늘 장착부의 재활용이나 폐기 상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서 걸림부와 지지링이 내부 캡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구성하는 내부 캡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과 바늘 장착부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과 바늘 장착부가 재활용 가능 모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과 바늘 장착부가 재활용 가능 모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9과 도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과 바늘 장착부가 재활용 불가 모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재활용 가능 모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의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4와 도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16과 도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바늘과 바늘 장착부가 재활용 불가 모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1 내지 도3 그리고,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이하 '안전 캡 조립체'라 한다)(1)은 그 상단부에 주사기(10)의 바늘(11) 및 바늘 장착부(12)가 삽입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지지부(300)에 의하여 바닥에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다.
안전 캡 조립체(1)의 구성을 보면, 주사기의 바늘(11) 및 바늘 장착캡(12)이 삽입되는 캡(100)이 마련되는데, 캡(100)은 원통형의 내부 캡(110)과, 내부 캡(110)이 수용되는 외부 캡(120)을 포함한다.
내부 캡(1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서, 외부 캡(120)은 상단부의 직경보다, 하단부의 직경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연결부(200)와의 연결 용이성 및 변형 용이성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내부 캡(110)과 외부 캡(120)은 연결부(200)에 의하여 연결된다.
연결부(200)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00)는 내부 캡(110)의 상단부와, 외부 캡(120)의 하단부 또는 측면부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200)는 내부 캡(110)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210), 외부 캡(120)의 하단부 또는 측면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220), 제1,2연결부(210,220)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제3 연결부(230)는 외부 캡(120)의 외곽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20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외부 캡(1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배치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200)의 형상은 마치 고리 형태의 손잡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부(200)의 최하단부의 높이는 외부 캡(120)의 최하단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결부(200)의 최하단부가 바닥에 닿으면서 변형될 때, 그 변형에 의하여 외부 캡(120)의 하단부가 벌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외부 캡(120)에는 변형 가이드 홈(121)이 마련된다.
변형 가이드 홈(121)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마련되며, 각 변형 가이드 홈(121)은 연결부(200)와 연결부(2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가이드 홈(121)은 외부 캡(120)의 외주면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연결부(200)가 바닥에 닿아서 변형되는 경우, 각 연결부(200)는 외부 캡(200)의 하단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변형 가이드 홈(121)이 있기 때문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외부 캡(120)의 하부가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다.
외부 캡(120)의 하부가 벌어져야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사용자가 주사기(10)를 잡은 손만 이용하여 주사기 바늘(11) 및 바늘 장착부(12)를 캡(100)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캡(100)의 삽입공이 항상 위를 바라보고 있어야 한다. 즉 직립된 정자세를 취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캡 조립체(1)에서는 오뚝이 원리를 이용하여 안전 캡 조립체(1)가 바닥에 놓인 경우, 쓰러지지 않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캡 조립체(1)는 지지부(30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다.
지지부(300)의 구성을 보면, 바닥에 닿으며 소정의 접촉면적을 갖는 지지판(301)과, 지지판(301)을 제1 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양단부가 연결부(200)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310)와, 지지판(301)을 제2 방향으로 관통하고, 제1 지지부(310)와 교차되며, 그 양단부가 상향되게 절곡되는 제2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제1,2지지부(310, 320)의 단면을 보면 대략 'U'자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301)은 원판이나 원환으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제1,2 지지부(310, 320)는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력 있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와이어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소정의 너비를 갖는 판 형상도 가능하고, 그 재질도 탄성력만 보유한 것이라면 플라스틱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300)에 의하여 내부 캡(110)과, 외부 캡(120), 그리고 연결부(2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바닥으로부터 뜬 상태가 된다.
내부 캡(110)과, 외부 캡(120)이 정자세로 서있기 위한 오뚝이 원리가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 지지판(301)은 외부 캡(12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지지점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고, 제1지지부(310)는 지1지지판(301)의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데칼코마니처럼 상호 대칭된 형태가 되어야 한다.
이는 제2지지부(320)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지지판(301)이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제1지지부(310)가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고, 제2지지부(320)도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기 때문에, 안전 캡 조립체(1)가 안정적으로 서있을 수 있다.
게다가, 제1,2지지부(310, 320)가 모두 곡선 형태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닥에 정확하게 정자세로 놓지 않아도, 오뚝이처럼 좌우로 흔들거리면서 종국적으로 정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캡(110) 내부에 내부 캡(120)이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캡(110)과 내부 캡(120) 사이에는 걸림부(122)와, 지지링(123)이 마련된다.
걸림부(122)는 외부 캡(120)에 결합되는데, 외부 캡(12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돌출부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122)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외부 캡(12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데, 각 걸림부(122)는 변형 가이드 홈(121)이 그 경계가 되어 상호 이격된다.
즉, 걸림부(122)는 변형 가이드 홈(121)부근에서 절개된 일종의 링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외부 캡(120)이 벌어지는 경우, 걸림부(122) 간에도 상호 벌어질 수 있다.
한편, 내부 캡(110)의 외주면에는 걸림부(122)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111)이 마련된다. 따라서, 외부 캡(120)이 벌어지기 전에는 걸림부(122)가 걸림홈(111)에 걸려서 내부 캡(110)이 하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외부 캡(120)이 벌어져서 걸림부(122)도 같이 벌어지면, 걸림부(122)가 걸림홈(111)으로 부터 이탈하고, 내부 캡(110)이 위에서 압력을 받는 경우, 하향 이동한다.
걸림부(122)의 위에는 지지링(123)이 마련된다.
지지링(123)은 외부 캡(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내부 캡(110)의 외주면와 접촉하여, 내부 캡(1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주사기(10)가 캡(100)에 삽입되지 않거나, 일정 압력 이하로 주사기(10)의 바늘(11)과 바늘 장착부(12)를 내부 캡(110)에 삽입한 경우에는 내부 캡(110)의 상단부가 지지링(123)의 윗 방향에 위치한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사기 바늘(11)과 바늘 장착부(12)를 내부 캡(1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 이상 압력으로 누르면, 지지부(300) 및 연결부(200)가 변형하면서, 외부 캡(120)의 하단부가 벌어지고, 걸림부(122)가 걸림홈(110)으로부터 이탈하여 내부 캡(110)이 하향 이동한다.
이 경우, 내부 캡(110)의 상단부는 지지링(12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링(123)은 그 단면이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되어 있어서, 내부 캡(110)의 하향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다만, 내부 캡(110)의 상단부가 지지링(123)의 하부에 위치하면, 지지링(123)이 내부 캡(110)의 외주면에 닿아서 지지하고 있는 상태보다 오므라들어서, 내부 캡(110)의 상단부를 막아서 내부 캡(110) 및 이에 끼워진 바늘 장착부(12)가 상향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늘 장착부(12)가 상향이동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사기의 재사용, 구체적으로 말하면, 주사기 바늘(11)의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캡 조립체(1)를 바닥에 놓으면, 상기 지지부(300)에 의하여 캡(100)의 삽입구(101)가 상방향을 향하는 정자세로 직립한다.
이 상태에서 바늘(11) 및 바늘 장착부(12)가 결합된 주사기(10)를 한 손으로 잡고 바늘(11)과 바늘 장착부(12)를 캡(100)의 삽입구(101)에 삽입한다.
사용자가 바늘(11)과, 바늘 장착부(12)를 캡(100) 내에 삽입하면, 바늘 장착부(12)의 상단에 있는 걸림턱(12s) 부분이 내부 캡(110)의 상단부에 걸릴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외부 캡(120)과 내부 캡(120)이 살짝 하향이동할 수 있으며, 연결부(200)와 지지부(300)의 약간의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복원 가능한 탄성변형이다.
이 경우 주사기(10)의 재활용(특정 환자에게만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재활용)을 위해서이며, 이 상태에서는 다시 주사기(10)를 캡(100)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를 재활용 가능 모드라고 하자.
재활용 가능 모드에서는 도7과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캡(120)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부(122)가 내부 캡(110)의 걸림홈(111)에 걸려져 있기 때문에 내부 캡(110)이 하향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지지링(123)은 내부 캡(11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외주면을 둘러싼다. 내부 캡(110)의 상단부가 지지링(123)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지지링(123)의 특별한 역할이 없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늘(11)의 재활용이 불가능해지도록 하는 의도로서, 주사기를 아래로 세게 누르면, 내부 캡(110)과 외부 캡(120)은 재활용 가능 모드보다 더 아래로 이동하고, 연결부(200)가 변형하여 그 최하단부가 바닥에 닿는다.
이를 재활용 불가 모드라고 하자.
재활용 불가 모드에 있어서, 연결부(200)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하향 압력을 가하면, 연결부(200)는 외곽 방향으로 변형을 하고, 외부 캡(120)의 하단부를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제공한다.
외부 캡(120)에는 변형 가이드 홈(121)이 있기 때문에, 변형 가이드 홈(121)을 중심으로 하여 외부 캡(120)의 양 쪽 하단부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외부 캡(120)에 위치한 두 개의 걸림부(122)가 상호 이격되고,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한다.
도9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122)는 내부 캡(110)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걸림턱 역할을 하였는데, 걸림부(122)가 걸림홈(111)으로부터 이탈하면, 사용자의 하향 가압에 의하여 내부 캡(110)이 하향 이동한다.
이 경우, 걸림부(122)는 걸림홈(110)의 윗 부분에 위치한다.
한편, 내부 캡(110)이 하향 이동하면, 내부 캡(110)의 상단부 및 그 상단부에 얹혀진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 부분이 지지링(123)을 지나쳐서 지지링(123)의 아래에 위치한다.
지지링(123)은 그 측단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캡(110)과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이 수월하게 이를 통과할 수 있다.
다만, 내부 캡(110)의 상단부와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이 지지링(123)을 통과하면, 지지링(123)의 가운데 구멍이 탄성력에 의하여 수축한다.
이에 의하여 지지링(123)의 내부 테두리가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 위를 덮는다.
이는 내부 캡(110) 및 바늘 장착부(12)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 제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바늘(11) 및 바늘 장착부(12)를 캡(100) 외부로 뺄 수 없기 때문에, 바늘(11) 및 바늘 장착부(12)의 재활용이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재활용 불가 모드가 되려면, 사용자가 주사(10)를 일정 기준 압력 이상으로 하향 가압을 하고, 그에 따라서 연결부(200) 및 지지부(300)가 양 옆으로 벌어지려는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특히, 그 가압의 정도가, 상기 지지부(300) 중 지지판(301)에 설치된 부분이 끊어질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의한 안전 캡 조립체(2)는 제1실시예와 같은 이중 캡 구조가 아니라 단일 캡 구조를 제공한다.
다만, 오뚝이 원리를 이용하여 캡(130)의 삽입구가 항상 윗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은 동일하다.
도11과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안전 캡(2)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캡(130)과, 캡(130)의 아래에 연결되어 캡(130)을 항상 직립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캡(130)에는 변형 가이드 홈(131)이 마련되는데, 변형 가이드 홈(131)은 캡(130)의 외주면을 따라서 수직 방향(또는 캡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변형 가이드 홈(131)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캡(130)의 상부 측이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캡(130)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변형 방지 와이어(132)가 설치된다.
변형 방지 와이어(132)는 변형 가이드 홈(131)이 일정 압력 이하에서는 벌어지지 않도록 하되, 일정 압력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 끊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변형 가이드 홈(132)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지지부(400)는 캡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지지판(401)과, 지지판(401)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402)를 포함한다.
지지부(402)는 그 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있으며, 복수개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부(402)가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이 경우 그 단면은 지지판(401)을 중심으로 'U'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 캡 조립체(2)를 바닥에 정밀하게 직립시키 않아도 자연스럽게 오뚝이 처럼 좌우로 움직이다가 최종적으로 직립을 할 수 있다.
지지판(401)이 중심추 역할을 하면서, 곡선형태로 절곡된 지지부(402)가 운동을 가이드 하여, 최종적으로 직립될 수 있게 한다.
지지부(402)는 탄성력을 가진 와이어로 구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재질은 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보유한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이는 나중에 포장시 접어서 보관해야 하는 것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같이, 재활용 가능 모드와, 재활용 불가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3과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130) 내부에는 지지턱(134)이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턱(134)은 캡(130)의 입구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그 단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 형상은 제1실시예의 지지링(도4참조, 123)의 형상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한편 지지턱(134)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활용 불가모드시 일시적으로 상호 벌어졌다가 다시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을 덮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바늘(11)과 바늘 장착부(12)를 캡(130) 내부에 삽입하되,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이 지지턱(134)의 상부에 살짝 걸릴 정도로 삽입하는 경우, 이후 바늘(11) 및 바늘 장착부(12)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재활용 가능 모드의 위치에서 주사기(10)를 아래로 더 세게 누르면, 변형 방지 와이어(133)가 끊어지고, 변형 가이드 홈(131)의 폭이 넓어지면서, 캡(130)의 상단부가 벌어진다.
이에 의하여 지지턱(134) 사이가 벌어지고, 벌어진 이격 공간 사이로, 바늘 장착부(12)가 하향이동하고, 바늘 장착부(12)의 상단부 걸림턱(12a)이 지지턱(134) 아래에 위치한다.
이후, 지지턱(134)이 위치한 캡의 상단 부분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오므라 들면, 지지턱(134)이 바늘 장착부(12)의 상단부 걸림턱(12a)을 덮어서 바늘 (11)및 바늘 장착부(12)가 상향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14와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안전 캡 조립체(2)을 바닥에 놓으면, 상기 지지부(400)에 의하여 캡(130)의 삽입구가 상방향을 향하는 정자세로 직립한다.
이 상태에서 바늘(11) 및 바늘 장착부(12)가 결합된 주사기를 한 손으로 잡고 바늘(11)과 바늘 장착부(12)를 캡(130)의 삽입구에 삽입한다.
사용자가 바늘(11)과, 바늘 장착부(12)를 캡(130) 내에 삽입하면,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 장착부(12)의 상단에 있는 걸림턱(12a) 부분이 캡(130)의 상단부에 걸릴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는 바늘(11)과 바늘 장착부(12)를 다시 빼낼 수 있으므로 이들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이, 캡(130) 상단부 및 지지턱(134)의 상단부에 걸려 있다. 따라서 바늘 장착부(12)의 하향이동이 방지된다.
즉, 변형 방지 와이어(134)가 여전히 이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변형 가이드 홈(131)도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지지턱이 벌어지지 않아서 바늘 장착부(12)의 하향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늘(11)의 재활용이 불가능해지도록 하는 의도로서, 주사기(10)를 아래로 세게 누르면,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1)의 상단부가 벌어지려는 힘 때문에, 변형 방지 와이어(132)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끊어진다.
동시에 변형 가이드 홈(131)의 폭은 급격하게 늘어나고, 캡(130)의 상단부가 활짝 벌어진다.
이에 의하여 지지턱(134) 간의 간격도 급격하게 늘어난다. 그 사이로 바늘 장착부(12)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은 지지턱(134)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이후, 캡(130)의 상단부가 탄성 복원되어 그 삽입구가 오므라들게 되면, 도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턱(134)의 하단부가 바늘 장착부(12)의 걸림턱(12a)의 상단부에 얹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사기(10)를 잡고 상향 이동시켜도, 바늘(11) 및 바늘 장착부(12)가 상향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2: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10: 주사기
11: 바늘 장착부 12: 걸림턱
100,130: 캡 110: 내부캡
111: 걸림홈 120: 외부캡
121: 변형 가이드 홈 122: 걸림부
123: 지지링 131: 변형 가이드홈
132: 변형 방지 와이어 134: 지지턱
200: 연결부 300, 400: 지지부

Claims (10)

  1. 주사기의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캡과;
    상기 내부 캡이 수용되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벌어질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마련되는 변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외부 캡과;
    상기 내부 캡과, 상기 외부 캡을 연결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외부 캡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내부 캡과 상기 외부 캡, 상기 연결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며, 이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부 캡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외부 캡의 하단부 또는 측면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2연결부를 연결하되, 상기 외부 캡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최하단부는 상기 외부 캡의 최하단부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캡과 상기 외부 캡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내부 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외부 캡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캡의 걸림홈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캡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캡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캡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지지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부 캡에 끼워진 바늘 장착부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바늘 장착부가 상기 지지링의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링의 테두리가 상기 바늘 장착부의 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기 바늘 장착부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이 외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놓일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제1방향으로 관통하며 그 양단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향 절곡되어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지지판을 제2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지지부와 교차하고 그 양단이 상향 절곡되어 곡선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판과 함께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7. 주사기의 바늘 및 바늘 장착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벌어질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마련되는 변형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캡과;
    상기 캡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캡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놓일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향되게 절곡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주사기 바늘 장착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바늘 장착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지지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늘 장착부가 하향 이동하여 상기 바늘 장착부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링의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링의 테두리가 상기 바늘장착부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기 바늘 장착부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이 외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KR20140092072A 2014-07-21 2014-07-21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KR10150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2072A KR101504455B1 (ko) 2014-07-21 2014-07-21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US15/313,551 US20170189623A1 (en) 2014-07-21 2015-07-10 Syringe and safety cap assembly for syringe
PCT/KR2015/007183 WO2016013791A1 (ko) 2014-07-21 2015-07-10 주사기 및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2072A KR101504455B1 (ko) 2014-07-21 2014-07-21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0773A Division KR101504459B1 (ko) 2014-07-21 2014-10-31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455B1 true KR101504455B1 (ko) 2015-03-19

Family

ID=5302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2072A KR101504455B1 (ko) 2014-07-21 2014-07-21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4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05B1 (ko) * 2015-11-16 2016-09-07 이현승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KR101708219B1 (ko) * 2016-01-25 2017-03-02 (주)유니테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WO2017086607A1 (ko) * 2015-11-16 2017-05-26 (주)유니테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543A (en) * 1993-04-28 1994-09-20 John Talley Hypodermic needle guard system
US20110092952A1 (en) 2009-10-19 2011-04-21 Terumo Medical Corporation Shiel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oring Syringe Assemblies and Needle Assemblies
JP2013517921A (ja) 2010-02-01 2013-05-20 リバーシッジ、バリー・ピーター 医療用針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543A (en) * 1993-04-28 1994-09-20 John Talley Hypodermic needle guard system
US20110092952A1 (en) 2009-10-19 2011-04-21 Terumo Medical Corporation Shiel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oring Syringe Assemblies and Needle Assemblies
JP2013517921A (ja) 2010-02-01 2013-05-20 リバーシッジ、バリー・ピーター 医療用針安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05B1 (ko) * 2015-11-16 2016-09-07 이현승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WO2017086607A1 (ko) * 2015-11-16 2017-05-26 (주)유니테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KR101708219B1 (ko) * 2016-01-25 2017-03-02 (주)유니테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455B1 (ko)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KR101389742B1 (ko) 부착 탭을 구비한 캡을 포함하는, 네크부를 갖는 용기용 록킹 커버
KR101299470B1 (ko) 네크부를 갖는 용기용 록킹 커버
US9655412B2 (en) Side release buckle
US86841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winding a needle portion
GB2287886A (en) Needle protector
EP1469899A1 (en) Safety syringe
US4875265A (en) Injection needle-detaching device
US7056301B2 (en) Syringe
KR101988354B1 (ko) 재사용 방지를 위한 안전 펜니들
CN208770559U (zh) 针组件
KR102035551B1 (ko) 안전 필터 주사기
US6123193A (en) Sharps container
US20060230583A1 (en) Snap button with pull-apart resisting structure
KR101504459B1 (ko)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KR102224517B1 (ko) 재사용 방지를 위해 외부 하우징과 록킹 모듈 간의 록킹 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KR200391370Y1 (ko) 안전 주사기
KR101504458B1 (ko)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KR101655705B1 (ko)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KR102182278B1 (ko) 슬립방지 체결구조를 갖는 개량 주사기 캡
KR101860712B1 (ko) 찔림방지 주사기
CN112770986A (zh) 重装容器
KR200423645Y1 (ko) 안전 주사기
KR20170040123A (ko) 강성 바늘 보호장치 및 이러한 강성 바늘 보호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및 조립 기계
US9580217B2 (en)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