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05B1 -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 Google Patents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05B1
KR101655705B1 KR1020150160136A KR20150160136A KR101655705B1 KR 101655705 B1 KR101655705 B1 KR 101655705B1 KR 1020150160136 A KR1020150160136 A KR 1020150160136A KR 20150160136 A KR20150160136 A KR 20150160136A KR 101655705 B1 KR101655705 B1 KR 10165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yringe
cap
support
receiv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승 filed Critical 이현승
Priority to KR102015016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05B1/ko
Priority to EP16866559.4A priority patent/EP3378515A4/en
Priority to US15/773,562 priority patent/US20180318519A1/en
Priority to PCT/KR2016/011513 priority patent/WO20170866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명은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캡에 주사기 바늘 삽입시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으로 폐기 대상이 되는 주사기 또는 주사기 바늘의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기 바늘 또는 주사기 바늘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수용되는 수용 캡과; 상기 수용 캡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 캡이 바닥면에 대해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외면의 일부가 곡면의 윤곽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 캡이 바닥에 놓인 경우, 바로 바닥에 세워질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좌우로 흔들리면서 종국적으로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A security cap assembly for a syringe}
본 발명은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캡에 주사기 바늘 삽입시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으로 폐기 대상이 되는 주사기 또는 주사기 바늘의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경우, 사용 후, 바늘을 바늘 보관 캡에 넣다가 사용자가 찔려서 병원균에 감염되는 사례가 빈번하였고, 또한, 바늘의 재사용이 방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재사용이 이루어지면서, 무고한 환자에게 질병이 전파되는 사례가 많이 보고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예기치 못한 주사기 사용자의 상처 발생 또는 질병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안전 주사기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안전 주사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한국 공개번호 10-2003-0043209나 한국공개번호 2001-0040365 등의 안전주사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 주사기의 경우, 비용이 비교적 비싸고, 바늘을 보관하는 경우, 양 손을 모두 다 써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뚝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안전 캡이 바닥에 쓰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종국적으로 직립할 수 있게 하고, 주사기를 잡고 있는 손만 이용하여 주사기 바늘이나 바늘 지지부를 안전 캡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기의 재활용 여부 및 안전 캡에 주사기를 끼워넣는 압력에 따라서, 주사기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주사기의 재활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기 바늘 또는 주사기 바늘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수용되는 수용 캡과; 상기 수용 캡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 캡이 바닥면에 대해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외면의 일부가 곡면의 윤곽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 캡이 바닥에 놓인 경우, 바로 바닥에 세워질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좌우로 흔들리면서 종국적으로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의 무게 중심을 제공하여 상기 수용 캡 및 상기 지지부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무게 중심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그 바닥 중심에 형성되어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 내부에 상기 무게 중심 중량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 캡의 하부는 바늘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수용 캡의 하부 일부는 상기 무게 중심 중량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 캡의 하부 일부는 상기 무게 중심 중량부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 캡의 입구부에는 상기 주사기의 바늘 또는 바늘 지지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이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삽입 안내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주사기 사용자가 주사기를 사용한 이후에, 주사기를 파지한 손만 이용하여 바늘에 캡을 씌울 수 있기 때문에 바늘이 주사기를 파지한 손 반대쪽 손을 찌를 가능성이 완전하게 차단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오뚝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안전 캡이 항상 상방향을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바늘 및 지지부를 안전 캡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뚝이 원리는 지지부의 곡면부 및 지지부 내부의 무게 중심 중량부에 의해서 구현된다.
또한, 안전 캡 조립체가 항상 직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지부에 의하여, 주사기 사용자가 안전 캡 조립체가 직립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자세를 유지시킬 필요없이 대충 바닥에 놓아도 자연스럽게 직립이 되는 정자세를 취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특정한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주사기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주사기 바늘의 재활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안전 캡에 바늘 및 바늘 장착부를 살짝 삽입하여 배치하고, 이후에 다시 빼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주사기 바늘의 재활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타인에의 병원균 감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사기를 안전 캡 조립체에 대해서 일정 압력 이상으로 누르면, 바늘 지지부가 하강운동을 하여 걸림부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억제될 수 있고, 바늘과 바늘 지지부를 다시 빼내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바늘 및 바늘 장착부의 재활용이나 폐기 상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나팔관 형태의 삽입 안내부가 수용 캡 입구 부분에 마련되기 때문에 입구에 정확하게 조준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바늘 및 바늘 지지부를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측단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삽입 안내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1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1)는 주사기의 바늘(N) 또는 바늘 지지대(S1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캡(100)과, 수용캡(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용캡(100)이 바닥면에 대해서 쓰러지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수용캡(100)은 바늘(N)과 바늘 지지대(S)가 완전하게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용캡(1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각 바늘 수용 공간(111)과, 바늘 지지대 수용 공간(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수용 공간(111)과 바늘 지지대 수용 공간(112)은 상호 연통되고, 바늘 지지대 수용 공간(111)이 상부에, 바늘 수용 공간(112)이 하부에 형성된다.
한편, 바늘 지지대 수용 공간(112)을 형성하는 내벽면에는 바늘 지지대(S)가 걸릴 수 있는 홈이나 돌출부가 형성되어 걸림부(113)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바늘 지지대(S) 외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면 홈 형태의 걸림부(113)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바늘 지지대의 외면이 돌출부 형태의 걸림부(113)에 끼어서 지지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자가 한 손으로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를 집어서 바늘(N)과 바늘 지지대(S)를 수용 캡(100)에 삽입할 때, 살짝 삽입하면, 바늘 지지대(S)가 걸림부(113)에 끼이지 않고 걸림부(113) 위쪽에 놓여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주사기 본체를 집어서 들어올리면 바늘(N)과 바늘 지지대(S)가 수용 캡(100)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주사기를 집어서 바늘(N)과 바늘 지지대(S)를 수용 캡(100)에 삽입할 때, 소정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삽입하면, 바늘 지지대(S)가 걸림부(113)에 걸려서 억지 끼워 맞춤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주사기 본체를 다시 잡고 들어올려도 바늘(N)과 바늘 지지대(S)가 수용 캡(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서 주사기 바늘(N)의 재사용(동일인에게 주사 하는 경우)이 가능하거나, 또는 주사기 바늘(N)의 재사용 방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수용 캡(100)이 지지부(200)에 의해서 바닥면에 대해서 서 있기 때문에 한 손만으로 주사기 바늘(N)을 수용 캡(100)에 넣을 수 있어서 수용 캡(100)을 잡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주사기 바늘의 수용캡을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주사기 본체를 잡아서 바늘을 수용캡에 넣을 필요가 없어서, 실수로 주사기 바늘이 주사기 수용캡을 잡은 손을 찌르는 문제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수용 캡(100) 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늘 지지대 수용 공간(112)과, 바늘 수용 공간(111)으로 이루어진다.
바늘 수용 공간(111)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의 외경은 바늘 지지대 수용 공간(112)을 형성하는 상부 부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바늘 수용 공간(111)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의 외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리브(114)는 강도 보강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용캡(100) 자체가 그 직경에 비해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형상이 온전하게 유지되기 위해서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 리브가 배치되는 것이다.
리브(114)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수용 캡(100)의 하부 부분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캡(100)의 입구 측에는 삽입 안내면(120)이 형성된다.
삽입 안내면(120)은 나팔관 처럼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주사기를 한손을 집어서 바늘(N) 및 바늘 지지대(S)를 수용 캡(100) 입구에 넣는 경우, 그 입구를 정확하게 조준하지 않고도 삽입 안내면(120)의 안내를 받아서 종국적으로 입구로 바늘(N)과 바늘 지지부(S)를 삽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따라서, 삽입 안내면(120)은 그 측단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입구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200)는 수용캡(100)의 하부 부분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00)는 용기 형태로 마련되거나 입체적 형상으로 마련된다.
지지부(200)의 외면은 곡면부(211)와 평면부(212)로 구성된다.
지지부(200)의 바닥 외면 중앙에는 평면부(212)가 구현되고, 평면부(212) 주위에는 평면부(21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부(211)가 형성된다.
곡면부(211)는 평면부(212)에서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상 방향으로 곡면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부(212)의 역할은 지지부(200)가 바닥면에 대해서 확실하게 서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곡면부(211)의 역할은 사용자가 주사기 바늘(N)이나 바늘 지지부(S)를 삽입하면서 수용캡(100)의 무게 중심을 흐트리는 경우, 후술하는 무게 중심 중량부(230)와의 상호 동작에 의해서 안전캡 조립체(1) 전체가 좌우로 흔들리게 하면서도 옆으로 쓰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고 종국적으로 안전캡 조립체(1)가 평면부(212)의 지지를 받아 직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200) 내부에는 소정의 중량을 제공하여 지지부(200)의 무게 중심이 되는 무게 중심 중량부(230)가 제공된다.
지지부(200)는 평면부(212)와 곡면부(211)를 구비하는 하우징부(210)가 그 외면을 형성하고, 하우징부(210) 내부에 무게 중심 중량부(230)가 배치된다.
여기서 하우징부(210)와 무게 중심 중량부(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고, 하우징부(210) 내부에 있는 공간에 무게 중심 중량부(230)가 별도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수용캡(100)의 하부 일부(하단부)는 무게 중심 중량부(230)에 연결되거나, 무게 중심 중량부(230)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확하게는 수용 캡(100)의 하부의 하단부는 무게 중심 중량부(230)의 상면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하에서 사용자가 안전캡 조립체(1) 자체를 바닥에 놓는 경우, 바로 평면부(212)가 바닥에 닿아서 바로 직립이 가능할 수도 있고, 약간 비뚤어지게 놓아도, 곡면부(211) 및 무게 중심 중량부(230)의 역할로 인하여 오뚝이 처럼 좌우로 흔들리면서 종국적으로 그 좌우 왕복 운동의 진폭이 줄어들면서 평면부(212)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닿아서 지지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부(210)의 크기를 크게 하되, 특히 곡면부(211)의 넓이 또는 크기를 크게 하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 중량부(230)가 없어도 오뚝이와 같이 좌우로 흔들리면서 종국적으로 그 좌우 왕복 운동의 진폭을 줄어들게 하고 종국적으로 평면부(212)가 바닥면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무게 중심 중량부(230)는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주사기 바늘(N)이나 주사기 지지부(S)가 삽입되지 않은 안전 캡 조립체(1)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사기 본체를 잡고 바늘(N) 및 바늘 지지부(S)를 수용 캡(100)에 삽입하려는 경우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바늘(N)이나 바늘 지지부(S)를 수용캡(100)의 입구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삽입하고, 주사기 본체를 직립상태로 하면, 안전캡 조립체(1)가 흔들릴 여지없이 안정적으로 직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바늘(N)이나 바늘 지지부(S)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주사기 본체를 비스듬히 한 채로 바늘(N)이나 바늘 지지부(S)는 삽입하면, 처음에는 바늘(N) 끝단부가 나팔관 형태의 삽입 안내면(120)에 닿는다.
이 상태에서 삽입 안내면(120)의 안내에 의하여 바늘(N) 끝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수용캡(100)의 입구에 삽입되고, 바늘 지지부(S)도 뒤 따라서 수용 캡(100)의 입구에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 과정에서 수용캡(100)의 직립 상태가 해제되고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그러나, 곡면부(120)가 좌우 흔들림 왕복운동을 안내하고, 무게 중심 중량부(230)에 의해서 좌우 흔들림 운동의 진폭이 점점 줄어들면서, 종국적으로 평면부(212)가 바닥면에 지속적으로 닿게 되고, 평면부(212)의 지지에 의해서 안전 캡 조립체(1)가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사기를 안전 캡 조립체(1)에 살짝 걸쳐놓은 경우, 바늘 지지부(S)가 걸림부(113)의 위에 살짝 걸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주사기 본체를 다시 집어 올리면 주사기 바늘(N)과 바늘 지지부(S)가 수용 캡(100)에서 인출되어 주사기 자체를 다시 재사용 할 수 있다.
물론 주사기 인출 동작시 안전 캡 조립체(1)가 흔들려도 오뚝이 원리에 의해서좌우로 흔들리다가 금세 직립 상태로 회귀한다.
한편, 사용자가 주사기 바늘의 재사용을 금하기 위해서 주사기 본체를 소정의 압력을 가해서 누르면, 바늘 지지부(S)가 걸림부(113)에 끼어서 걸리거나, 더 나아가 걸림부(113)의 하부까지 이동한다.
이 경우, 걸림부(113)에 의하여 바늘 지지부(S)가 걸려지게 되면, 사용자가 주사기 본체를 잡아서 위로 올려도 바늘(N)과 바늘 지지부(S)가 수용 캡(100)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주사기의 재사용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므로, 잘못된 주사기 재사용에 의한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근절된다.
1: 안전캡 조립체 100: 수용캡
111: 바늘 수용 공간 112: 바늘 지지부 수용 공간
113: 걸림부 114: 리브
120: 삽입 안내면 200: 지지부
210: 하우징 211: 곡면부
212: 평면부 230: 무게 중심 중량부

Claims (6)

  1. 주사기 바늘 또는 주사기 바늘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수용되는 수용 캡과;
    상기 수용 캡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 캡이 바닥면에 대해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외면의 일부가 곡면의 윤곽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 캡이 바닥에 놓인 경우, 바로 바닥에 세워질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좌우로 흔들리면서 종국적으로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하우징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또는 입체적 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하우징부는 그 바닥 중심에 형성되어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캡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속체 형태로 구현되되,
    상기 수용캡 내면에 수용캡과 일체로 형성되며, 돌출되거나 홈 형태로 마련되어 소정의 가압력에 의하여 바늘 지지부와 걸림 결합하여 바늘 및 바늘 지지부가 수용캡 내부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의 무게 중심을 제공하여 상기 수용 캡 및 상기 지지부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무게 중심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캡은 그 외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 내부에 상기 무게 중심 중량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캡의 하부는 바늘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수용 캡의 하부 일부는 상기 무게 중심 중량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 캡의 하부 일부는 상기 무게 중심 중량부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캡의 입구부에는 상기 주사기의 바늘 또는 바늘 지지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이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삽입 안내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KR1020150160136A 2015-11-16 2015-11-16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KR10165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136A KR101655705B1 (ko) 2015-11-16 2015-11-16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EP16866559.4A EP3378515A4 (en) 2015-11-16 2016-10-13 Syringe safety cap assembly
US15/773,562 US20180318519A1 (en) 2015-11-16 2016-10-13 Security cap assembly for syringe
PCT/KR2016/011513 WO2017086607A1 (ko) 2015-11-16 2016-10-13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136A KR101655705B1 (ko) 2015-11-16 2015-11-16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705B1 true KR101655705B1 (ko) 2016-09-07

Family

ID=5695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136A KR101655705B1 (ko) 2015-11-16 2015-11-16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07A1 (ko) * 2015-11-16 2017-05-26 (주)유니테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3334A (en) * 1976-06-29 1977-08-23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Self righting syringe protector
KR200353677Y1 (ko) * 2004-02-10 2004-06-22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용기 구조
KR101504455B1 (ko) * 2014-07-21 2015-03-19 이현승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3334A (en) * 1976-06-29 1977-08-23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Self righting syringe protector
KR200353677Y1 (ko) * 2004-02-10 2004-06-22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용기 구조
KR101504455B1 (ko) * 2014-07-21 2015-03-19 이현승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07A1 (ko) * 2015-11-16 2017-05-26 (주)유니테코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8515A1 (en) Syringe safety cap assembly
US5007535A (en) Syringe tray
US9144465B2 (en) Transport carrier for syringes
US9131954B2 (en) Safety lancet for doubly preventing reuse thereof
KR20210131397A (ko) 자동 주사 장치용 강성 바늘 쉴드 분리기
EP3178504A1 (en) Package and package assembly
JP2017521219A5 (ko)
PL201137B1 (pl) Pojemnik magazynujący przynajmniej jedną igłę podskórną
KR101599265B1 (ko) 재사용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주사기 바늘
US20160278914A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apparatus
US20160183976A1 (en) Cannula-needle with protective member
KR101655705B1 (ko)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US6923793B2 (en) Clamp for winged needle
US5240047A (en) Syringe guide and bottle holder
CA2400553C (en) Surgical needle immobilization device
AU6368298A (en) Safety vacuum syringe for blood sampling conformed to ergonomics
KR101504455B1 (ko) 주사기용 안전 캡 조립체
KR101708219B1 (ko)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KR102121495B1 (ko) 주사 바늘 안전 제거 장치
US8936570B2 (en) Safety syringe
KR101504458B1 (ko) 주사기 안전 캡 조립체
CN209286386U (zh) 一种临床用针头回收装置
JP2019072234A (ja) 皮内注射用補助具
JP6524588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KR200412291Y1 (ko) 안전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