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718B1 -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718B1
KR102180718B1 KR1020197007016A KR20197007016A KR102180718B1 KR 102180718 B1 KR102180718 B1 KR 102180718B1 KR 1020197007016 A KR1020197007016 A KR 1020197007016A KR 20197007016 A KR20197007016 A KR 20197007016A KR 102180718 B1 KR102180718 B1 KR 10218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vehicle
contamination
degre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898A (ko
Inventor
뵤에른 슈트라스다트
질반 호로비츠
탄-빈 토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3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62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 B60S1/64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for cleaning vehicle interiors, e.g. built-in vacuum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68Vehicle in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mage Analy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2), 특히 자율 주행 가능한 자동차(2)의 내부 공간(1)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하나 이상의 카메라 장치(8)를 이용해서 내부 공간(1)의 적어도 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 카메라 장치(8)에 의해 검출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바닥 영역의 오염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 결정된 오염 정도가 사전 설정 가능한 제1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바닥 영역을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특히 자율 주행 자동차 또는 자율 주행 가능 자동차로서 형성된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는,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개 공보 DE 100 21 905 A1호는, 흡입 팬, 가동 흡입 라인 및 이 흡입 라인과 연결된 흡입 헤드를 포함하고 고정 설치된 흡입 유닛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흡입 유닛은 차량 바닥의 영역에 배치되고, 흡입 헤드는 차량 바닥에 대략 평행하게 흡입 라인을 통해 안내된다. 이 경우, 흡입 과정은, 차량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내린 후에, 차량 운전자의 개입 없이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흡입 과정은, 운전자가 예를 들어 도어를 잠그고 시트 인식 시스템이 차량 시트의 점유를 차단하는 경우에 개시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확인된 후, 사전 설정된 지속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청소 과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이미 공지된 방법을 통해 자동차 또는 차량 바닥의 자동 청소 과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운전자가 차량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항상 청소가 실시되고, 그럼으로써 차량 바닥의 오염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거나 약간만 발생한 경우에도 청소가 실시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는 청소 장치뿐만 아니라 차량 바닥의 마모도 증가시키고, 에너지 소비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소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 요소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차량 내부 공간, 특히 차량 바닥의 경제적인 청소를 보장해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이 방법은, 자동차, 특히 자율적으로 주행 가능한/작동 가능한 자동차의 내부 공간의 청소가 실제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비용 효율적이고 마모가 적은 유형 및 방식으로 수행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장점은, 먼저 특히 자동차 내에, 예를 들어 루프 라이닝(roof lining) 상에 고정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바닥 영역이 검출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어서, 카메라 장치에 의해 검출된 바닥 영역의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검출된 바닥 영역의 오염 정도가 결정된다. 오염 정도는 사전 설정 가능한 한계값과 비교된다. 결정된 오염 정도가 사전 설정 가능한 한계값을 초과하면, 적어도 검출된 바닥 영역의 청소가 수행된다. 이는, 차량 바닥 또는 검출된 바닥 영역이 전혀 오염되지 않았거나 약간만 오염된 경우에 차량 바닥의 청소가 중지되게 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청소 과정이 방지되고, 마모 및 에너지 소비가 전체적으로 감소한다. 특히, 자동차의 전기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서, 이로 인해 자동차의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부하도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청소가 수행된 아후에 오염 정도가 다시 결정되어, 사전 설정 가능한 제1 한계값 또는 그보다 더 낮은 사전 설정 가능한 제2 한계값과 비교되며, 오염 정도가 제1 또는 제2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청소가 다시 수행된다. 따라서, 청소가 수행된 후에 청소의 성공 여부가 검사된다. 차량 바닥 또는 바닥 영역을 한 번 청소한 것으로 충분하지 않으면, 청소가 자동으로 한 번 더 수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염이 더 큰 경우에도 차량 내부 공간 또는 차량 바닥이 확실하게 청소되는 점이 보장됨으로써, 다음 번 차량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가 이어서 충분히 깨끗한 차량 바닥 또는 차량 내부 공간을 대하게 된다. 이 방법은 특히, 상이한 사람들이 차량 운전자 또는 승객으로서 등장할 수 있는, 자율적으로 작동 가능한/주행 가능한 자동차 또는 자율 주행 자동차에서 수행될 경우에 유리하다. 특히, 자율적으로 주행하거나 주행 가능한 자동차를 빌려주거나 임대하는 차량 서비스에 속하는 자동차의 경우(예컨대 소위 카 셰어링의 경우)에는, 이 방법의 장점이 증대되는데, 그 이유는 후속 임차인이 항상 깨끗하게 청소된 내부 공간을 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오염 정도가 제1 및/또는 제2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염 정도 및/또는 수행된 청소에 대한 통지가 중앙 장치로 송신된다. 이로 인해, 특히 자동차 소유자 또는 상기와 같은 자동차를 여러 대 구비한 회사 차량 소유자 또는 회사 차량 운영자에게 오염 정도 및/또는 수행된 청소에 대해 안내된다. 특히, 청소가 성공적으로 실시되지 않은 경우, 그리고 청소가 수행되었음에도 검출된 오염 정도가 제1 및/또는 제2 한계값에 미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앙 장치가 이를 통지하고, 그럼으로써 자동차는 예를 들어 작동이 중지되고 별도의 청소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장치의 현재 검출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의 비교에 의해 오염 정도가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이미지 분석 시마다 비용 효율적이고 단시간에 수행 가능한, 차량 바닥 또는 적어도 검출된 차량 바닥의 현재 오염 정도의 매우 간단한 판단 또는 결정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기준 이미지로서는 바람직하게, 자동차를 처음으로 사용하기 전에 기록된 카메라 장치의 이미지가 사용된다. 카메라 장치는, 2차원 또는 3차원 카메라 이미지를 기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의 검출 시에는, 또한 바람직하게, 바닥 영역에 있는 검출된 물체의 체적을 결정하고, 검출된 체적에 따라 수행할 청소 조치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체적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 한편, 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건식 청소, 특히 진공 흡입만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바닥에서 흡입을 실시하며, 바닥을 닦아내고 빗질하며, 그리고/또는 바닥에 압축 공기 또는 압축 액체를 가한다. 이를 통해, 차량 바닥, 특히 바닥 영역의 마모가 없고 신뢰성 있는 청소가 보장된다. 특히, 청소의 유형이 검출된 오염 정도 및/또는 검출된 오염 유형에 따라 수행됨으로써, 개선된 청소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청구항 7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규정에 따른 사용 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특별히 준비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앞에서 이미 언급된 장점들이 나타난다. 특히, 상기 장치는 바닥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및 오염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분석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장치는 바람직하게, 앞서 언급한 오염 정도 및/또는 수행된 청소에 대한 통지를 필요 시 중앙 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 장치를 구비한다. 또 다른 장점들 및 바람직한 특징들과 특징 조합들은 특히 상기 및 하기의 설명 및 청구항들을 참조한다.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이미 언급한 장점들이 나타난다. 또 다른 장점들 및 바람직한 특징들과 특징 조합들은 특히 상기 및 하기의 설명 및 청구항들을 참조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은, 개략적 사시도에서, 여기에는 암시적으로만 도시된 자동차(2)의 내부 공간(1)을 보여준다. 내부 공간(1)은, 복수의 차량 시트(4)가 배열되어 있는 차량 바닥(3)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시트 열(5)의 단 2개의 차량 시트(4)만 도시되어 있다. 물론, 차량 바닥(3) 상에는 또 다른 차량 시트(4) 및/또는 시트 열(5)도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바닥(3) 상에는,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작동되는 청소 장치(6)가 배열되어 있다. 제어 장치(7)는 또한, 자동차(2)의 루프 라이닝(9)에 배치되고 차량 바닥(3)을 향해 있는 카메라 장치(8)와도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카메라 장치가 차량 바닥(3)의 적어도 하나의 바닥 영역을 영상 기술적으로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 장치(6)는, 차량 바닥(3)의 폭에 걸쳐 연장되고 화살표(1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브러시를 구비한다. 또한, 브러시는, 차량(2)의 정상 주행 방향으로 또는 차량(2)의 정상 주행 방향과 반대로, 즉, 이중 화살표(1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은 차량 바닥(3)의 길이 연장 방향으로 병진 변위가 가능하다. 브러시는, 브러시(10)가 한 편으로는 차량 바닥(3)과 접촉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위쪽으로 하우징(13)에 의해 덮임으로써, 상기 브러시에 의해 소용돌이치는 먼지 또는 오물이 차량 내부 공간(1)으로 원심 분리되지 않도록, 브러시(10) 위를 덮는 하우징(13) 내에 배치된다. 청소 장치(6)가 완전히 시트 열(5) 아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청소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드러나지 않는다.
제어 장치(7)는, 카메라 장치(8)를 이용해서 차량 바닥(3)의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장치(8)에 의해 현재 검출된 바닥 영역 또는 차량 바닥(3)의 이미지가 기준 이미지와 비교됨으로써, 상기 이미지가 분석된다. 기준 이미지는 아직까지 오염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예를 들어 자동차의 작동 개시 전에 기록된 것이다.
오염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현재 이미지가 기준 이미지와 비교된다. 이로 인해, 현재 이미지 내에서 예컨대 변색 또는 윤곽과 같은 차이점들이 인식되어 오염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증가된 먼지 오염도 등을 지시하는, 예를 들어 바닥 영역의 변색도가 전체적으로 결정된다. 일사 및 그림자 형성에 의해 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검출할 바닥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본 경우에는 복수의 발광 수단(14)이 카메라 장치(8)에 할당되고 이미지 검출을 위해 활성화된다.
기준 이미지와 현재 이미지를 비교할 때, 오염 정도가 사전 설정 가능한 제1 한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청소 장치(6)가 차량 바닥(3)의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이를 위해, 브러시(10)가 화살표(11)에 따라서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되고, 이중 화살표(12)에 따라서는 차량 바닥(3) 위에 걸쳐 이동함으로써, 차량 바닥이 브러시(10)에 의해 한 번 이상 청소된다. 브러시(10)는 대안적으로,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이중 화살표(12)에 따라서만 차량 바닥(3) 위에 걸쳐 이동될 수도 있다.
이어서, 바닥 영역의 이미지가 카메라 장치(8)에 의해 다시 검출되어 기준 이미지와 비교된다. 그로부터 결정된 오염 정도가 역시 계속해서 제1 한계값을 초과하거나 제1 한계값에 비해 더 낮은 제2 한계값을 초과하면, 청소 장치(6)는 차량 바닥(3)을 청소하도록 다시 제어된다. 청소가 성공적이고 오염 정도가 제1 또는 제2 한계값 미만이여야 비로소 차량 바닥(3)이 충분히 깨끗한/청소된 것으로 인식된다.
오염 정도를 결정할 때, 차량 바닥(3)이 청소되었음에도 오염이 전혀 또는 충분히 적어지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면, 제어 장치(7)가 송신 장치(15)를 이용해서 바람직하게 성공적이지 못한 청소 또는 불충분한 청소에 대한 통지를 자동차(2)의 식별자(identifier)와 함께,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자동차 회사의 소유자 또는 운영자의 중앙 장치로 송신한다. 따라서, 중앙 장치는, 특정 자동차가 청소가 수행되었음에도 오염 정도가 증가했다는 정보를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는 예를 들어 차량군(car fleet)으로부터 배제되어 추가 청소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각각의 청소 수행 후, 상응하는 통지가 송신 장치(15)에 의해 중앙 장치로 송신됨으로써, 중앙 장치가 예를 들어 청소 장치(6)의 이용 상태 및 마모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는 점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신 장치(15)는 특히 이동 무선 송신기로서 형성된다.
도 2는 자동차(1)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며, 이 경우 도 1로부터 이미 공지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실질적인 차이점에 대하여 논의된다.
선행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 장치(6)가 브러시(10) 대신에 고압 클리너(16)를 구비하며, 상기 고압 클리너가 고압하에서, 즉, 압축 액체로서 차량 바닥(3)에 가해지는 액체를 이용하여 차량 바닥(3)을 습식으로 청소함으로써, 더 강한 오염도 해결될 수 있다.
도 3은, 자동차(2)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며, 본 실시예에서도 선행 실시예들에서 이미 공지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선행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이하에서는 실질적인 차이점에 대해 논의된다.
제3 실시예는 선행 실시예들을 조합한 실시예라는 점에서 선행 실시예들과 구별된다. 이를 위해, 청소 장치(6)는 이동 가능한 브러시(10)뿐만 아니라 고압 클리너(16)도 구비한다. 브러시(10) 및 고압 클리너(16)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고, 상응하게 각각 고유의 하우징(13)을 구비한다. 청소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고압 클리너(16)가 차량 바닥(3)에 걸쳐 이동되고, 이어서 브러시(10)가 뒤에서 이동하여, 예를 들어 연해지고 부드러워지긴 했지만 여전히 제거되지는 않은 오물을 차량 바닥(3)에서 제거한다.
청소를 지원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적으로, 차량 바닥(3)에 하나 또는 복수의 분사 노즐(17)이 배열되며, 이들 분사 노즐은 차량 바닥(3)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차량 바닥(3)으로 세척액, 특히 세정제를 분사한다. 상기 분사 노즐(17)은, 브러시(10)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미리 제공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분사 노즐들 중 하나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압 클리너(16)의 분사 노즐은, 차량 바닥(3)으로부터 오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이동 방향에 대해 선형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다. 분사 노즐(17)을 차량 바닥(3)의 측면 가장자리에, 즉, 고정시켜 배열하는 대신에, 하나 또는 복수의 분사 노즐(17)을 브러시(10) 또는 고압 클리너(16)의 개별 하우징(13)에 배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고압 클리너(16)의 경우에 하우징(13)은 특히, 예를 들어 차량 시트(4)가 예를 들어 세정제에 의해 오염되거나 젖지 않도록 하는 분사 보호부로서 이용된다.
고압 클리너(16)가 지금까지는 액상 세정제, 예를 들어 물을 고압으로 차량 바닥(3)에 분사하는 고압 클리너로서 기술된 반면,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차량 바닥(3)에서 오물을 청소하는 압축 공기 클리너로서 고압 클리너(16)를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압 클리너(16) 및/또는 브러시(10)의 하우징(13)은 종측에 와이퍼 립(18)을 구비하며, 이 와이퍼 립은 용해된 오물을 청소 장치(6)와 동반 이동시킨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바닥(3)에 오물 트랩(19)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물 트랩을 향해 청소 장치(6) 또는 브러시(10) 및/또는 고압 클리너(16)가 이동될 수 있다. 오물 트랩(19)이 차량 바닥(3)으로부터 돌출하는 먼지 받이를 구비하고, 이 먼지 받이가 차량 바닥(3) 내의 슬롯에 할당됨음으로써, 청소 장치(6)로부터 오물 트랩(19)의 방향으로 운반된 오물이 상기 슬롯을 통해 떨어지게 된다. 차량 바닥(3) 하부에는, 예를 들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비워질 수 있는 오물 수집 용기가 제공되어 있다.
도 4는, 자동차(2)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며, 선행 도면들에서 이미 공지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실질적인 차이점에 대하여 논의된다.
도 4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라, 청소 장치(6)가 조정 가능한 슬랫 바닥(20)(slatted floor)의 형태로 형성된다. 슬랫 바닥(20)이 차량 바닥(3)을 형성하고, 각각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피봇팅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슬랫(21)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들 슬랫은 사용 위치에서는 연속적인 바닥 면을 형성하고, 청소 위치에서는 슬랫들(21) 사이에 빈 공간이 나타나도록 세워진다. 슬랫(21)이 세워짐으로써, 이들 슬랫 상에 있는 오물이 자유 공간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로 인해 차량 바닥(3)으로부터 자동으로 간단히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차량 바닥(3) 하부에는 특히 수집 용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수집 용기는 추후 바람직한 방식으로 슬랫 바닥(20)의 전체 폭 및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비워질 수 있다.
본원에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차량 내부 공간(1)의 충전 스테이션에 배치되고,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재 바닥(3) 위를 자동으로 이동하는 청소 로봇을 차량 내부 공간(1)에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 로봇의 가이드는, 청소 로봇을 의도한 바대로 차량 바닥(3) 상의 오물 쪽으로 안내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스테이션이 차량 시트들(4) 중 하나의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미사용 시 또는 충전 중에는 청소 로봇이 가려져 있다.
또한, 그 내용물을 자동으로 대형 탱크 내로, 또는 맨홀 커버(manhole cover) 위로, 또는 도로상으로 하적하기 위하여, 수집 용기가 차량 바닥(3) 아래에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청소 장치(6)는 바람직하게, 액체 세정제를 보관하기 위한 탱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탱크는 자동으로 세정액으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는 자동차(2)의 세척수 탱크와 연결되어 있고, 이로 인해 필요 시 세척수로 채워질 수 있다.
카메라 장치(8)는, 차량 바닥(3) 또는 바닥 영역의 2차원적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단 하나의 카메라만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는, 카메라 장치(8)가 차량 바닥(3)의 3차원적 검출 및/또는 차량 바닥(3)의 복수 영역의 개별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개별 카메라는, 가시 영역 또는 근적외선 영역에 있는 이미지를 검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명 수단(14)이 예를 들어 적외선 방사체로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차량 바닥(3)의 조명이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카메라 장치(8)에 의해, 예를 들어 분실한/잃어버린 여행 가방 또는 물건의 소유자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 위험 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목적, 또는 특정 오염이 누구에 의해 행해졌는지를 입증하기 위한 목적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자동차(2) 탑승자의 사진도 촬영될 수 있다.
자동차(2)는, 특히 자율 주행 차량 또는 자율 주행 가능 차량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고객이 항상 청소된 차량 내부 공간(1)을 대하도록 보장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렌탈 스테이션이 일반적으로는 자동차(2)의 현재 사용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자동차(2)를 외부 청소 장소로 몰고 가기 위해 긴 주행 시간이 발생한다. 자동차(2) 공급자가 자동차를 예를 들어 자율 주행 택시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는 상기 시간에는 돈을 벌지 못하게 된다. 동시에 고객은 일반적으로, 청소할 면적이 크고, 그에 비해 이용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이용 후에도 자동차(2)를 청소할 준비가 안 되어 있다. 자동차(2)의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서는, 자동차(2)를 외부 청소 장소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차량 바닥(3)이 자동으로 청소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자동차(2)의 청소 효율 및 이용 효율이 증가한다.
1: 내부 공간
2: 자동차
3: 차량 바닥
4: 차량 시트
5: 시트 열
6: 청소 장치
7: 제어 장치
8: 카메라 장치
9: 루프 라이닝
10: 브러시
11: 화살표
12: 이중 화살표
13: 하우징
14: 조명 수단
15: 송신 장치
16: 고압 클리너
17: 분사 노즐
18: 와이퍼 립
19: 오물 트랩
20: 슬랫 바닥
21: 슬랫

Claims (8)

  1. - 하나 이상의 카메라 장치(8)를 이용해서 내부 공간(1)의 적어도 바닥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 카메라 장치(8)에 의해 검출된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바닥 영역의 오염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 결정된 오염 정도가 사전 설정 가능한 제1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바닥 영역을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청소를 수행한 이후의 오염 정도가 다시 결정되어, 제1 한계값 보다 더 낮은 제2 한계값과 비교되고,
    청소 이후에 검출된 오염 정도가 제2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청소가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공간 청소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오염 정도가 제1 및/또는 제2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염 정도 및/또는 수행된 청소에 대한 통지가 중앙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공간 청소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오염 정도는 카메라 장치(8)의 현재 검출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의 비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공간 청소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바닥 영역에서 흡입을 실시하고, 바닥 영역에 압축 공기 및/또는 압축 액체를 가하며, 바닥 영역을 닦아내고 그리고/또는 빗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 공간 청소 방법.
  7. 하나 이상의 제어 가능한 청소 장치(6)와; 자동차(2) 내부 공간(1)의 적어도 하나의 바닥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8)와; 특별히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준비된 제어 장치(7);를 구비한, 자동차(2)의 내부 공간(1)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KR1020197007016A 2016-08-18 2017-06-28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80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5525.3A DE102016215525A1 (de) 2016-08-18 2016-08-1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215525.3 2016-08-18
PCT/EP2017/065983 WO2018033283A1 (de) 2016-08-18 2017-06-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898A KR20190038898A (ko) 2019-04-09
KR102180718B1 true KR102180718B1 (ko) 2020-11-20

Family

ID=5928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016A KR102180718B1 (ko) 2016-08-18 2017-06-28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32975B2 (ko)
EP (1) EP3500456B1 (ko)
JP (1) JP6664543B2 (ko)
KR (1) KR102180718B1 (ko)
CN (1) CN109562745A (ko)
DE (1) DE102016215525A1 (ko)
WO (1) WO2018033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328B2 (en) * 2016-11-04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s for assessing the interior of an autonomous vehicle
US10757485B2 (en) 2017-08-25 2020-08-2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vehicle sensor data acquisition processing using vehicular communication
DE102017221522B4 (de) 2017-11-30 2023-03-3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ausgebildet zur Umfelderfass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einer Abdeck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CN110316156B (zh) * 2018-03-30 2023-11-21 宝马股份公司 用于检测车辆内部空间的清洁必要性的方法以及处理装置
DE102018108177A1 (de) * 2018-04-06 2019-10-10 Feil-Schwimmbadservice Reinigungsroboter
DE102018207382A1 (de) * 2018-05-14 2019-11-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Sicherstellung der Sauberkeit eines Kraftfahrzeuginnenraumes, ein hier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sowie ein diese aufweisendes System zur Sicherstellung der Sauberkeit eines Kraftfahrzeuginnenraumes
US11447055B2 (en) * 2018-05-22 2022-09-20 Uatc, Llc Automated delivery systems for autonomous vehicles
JP7199844B2 (ja) * 2018-06-19 2023-01-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管理システム及び車両管理方法
US11181929B2 (en) 2018-07-31 2021-11-2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autonomy through cooperative sensing
US11163317B2 (en) 2018-07-31 2021-11-0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autonomy through cooperative sensing
FR3084767B1 (fr) * 2018-07-31 2020-09-18 Valeo Systemes Dessuyage Ensemble et procede pour la surveillance automatisee de l’etat de proprete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en location
DE102018220306B4 (de) * 2018-11-27 2021-03-18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nachrichtigen eines Benutzers über eine Verschmutzung am Fahrzeug sowie Fahrzeu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EP3893189A4 (en) * 2018-12-07 2021-12-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EP3899894A4 (en) 2018-12-20 2022-01-26 Gentex Corporation SYSTEMS AND PROCEDURES FOR MONITORING SHARED JOURNEYS
DE102018222657A1 (de) * 2018-12-20 2020-06-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Innenraums eines Fahrzeugs, mobiler Reinigungsroboter, mobile Hebevorrichtung und System
WO2020128923A1 (en) 2018-12-20 2020-06-25 Gentex Corporation Vapor and particulate senso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6979047B2 (ja) * 2019-03-29 2021-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評価システム、移動体、プログラム及び方法
DE102019109246A1 (de) * 2019-04-09 2020-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ortbewegungsmittel mit Ladestation für einen Reinigungsroboter
DE102019109250A1 (de) * 2019-04-09 2020-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ortbewegungsmittel mit Transitstrecke für einen Reinigungsroboter
US11608034B2 (en) * 2019-06-06 2023-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cleaning system
DE102019210885A1 (de) * 2019-07-23 2021-01-28 Edag Engineering Gmbh Fahrzeuginnenraum-reinigungssystem für personenfahrzeuge, personenfahrzeug, öffentliches verkehrssystem und verfahren zur innenraumreinigung eines personenfahrzeugs
JP7169966B2 (ja) * 2019-12-24 2022-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管理システム、及び車両管理方法
DE102020000235A1 (de) 2020-01-16 2021-07-22 Man Truck & Bus Se Verunreinigungserkennung in einem Fahrzeug
US11524595B2 (en) * 2020-02-21 2022-12-13 Honda Motor Co., Ltd. Electric transport device charging and cleaning station
USD950171S1 (en) * 2020-02-24 2022-04-2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for vehicles
CN113581134B (zh) * 2020-04-30 2024-02-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清洁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和车载控制器
KR20210149476A (ko) * 2020-06-02 2021-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KR20220003320A (ko) * 2020-07-01 2022-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WO2022004925A1 (ko) * 2020-07-03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청소 방법
DE102020127731A1 (de) * 2020-10-21 2022-04-21 Deere & Company Verfahren zur Reinigung einer mobilen Nutzeinheit
US11878663B2 (en) * 2021-02-10 2024-01-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utonomous vehicle cleaning system using foldable seats and adjustable lighting conditions
CN113458089A (zh) * 2021-05-26 2021-10-01 黎鑫燚 一种配电房污物识别清洁系统及其清理方法
CN113705544B (zh) * 2021-10-28 2022-02-08 季华实验室 汽车内饰清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DE102022120515B8 (de) 2022-08-15 2024-02-22 Audi Aktiengesellschaft Selbstreinigendes Bod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Boden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772A (ja) * 2008-01-18 2009-07-30 Toyota Motor Corp 車室内清掃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656A (ja) * 1982-07-09 1983-02-17 Minoru Noguchi タクシ−室内の塵埃の抑え方法
DE19546756C2 (de) * 1995-04-07 1997-12-18 Guenther Heidt Hochdruckreinigungsvorrichtung
DE10021905A1 (de) 2000-05-05 2001-11-15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Kraftfahrzeuginnenraums
WO2002015255A1 (en) * 2000-08-11 2002-02-21 Chem Tra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semiconductor fabrication equipment parts
DE10229815B4 (de) 2002-06-28 2006-12-14 Bos Gmbh & Co. Kg System zum Laderaumschutz von Fahrzeugen
KR100628788B1 (ko) * 2004-10-01 2006-09-26 영 석 한 자동차 실내 바닥의 이물질 제거장치
US20060076035A1 (en) * 2004-10-08 2006-04-13 Mcgee Bria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60032876A (ko) * 2004-10-13 2006-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먼지량 검출장치 및 방법
WO2006088434A1 (en) * 2005-02-18 2006-08-24 Liv Plastika, Predelava Plastike, D.O.O., Postojna Vehicle vacuum cleaner
DE102006000495A1 (de) 2006-09-28 2008-04-03 Vis-à-pix GmbH System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bildbasierten Anlagenmanagement
JP2009012635A (ja) * 2007-07-05 2009-01-22 Denso Corp 車両用清掃装置
KR20090084063A (ko) * 2008-01-31 2009-08-05 김복춘 자동차 바닥 이물질 제거장치
KR101075340B1 (ko) * 2009-03-31 2011-10-19 박재현 실시간 청소감지 기능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0329A (ko) * 2009-07-24 2011-02-01 주식회사 모뉴엘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US8298644B2 (en) 2010-02-02 2012-10-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oor mat
JP2012091686A (ja) * 2010-10-27 2012-05-17 Denso Corp 車両用電気機器装置
CN102613944A (zh) * 2012-03-27 2012-08-01 复旦大学 清洁机器人脏物识别系统及清洁方法
JP5303670B1 (ja) * 2012-06-04 2013-10-02 株式会社中嶋製作所 畜舎の無人洗浄消毒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02013001332B4 (de) * 2013-01-26 2017-08-10 Audi Ag Verfahren zur Erfassung des Verschmutzungsgrades eines Fahrzeugs
KR20150044731A (ko) * 2013-10-17 2015-04-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바닥 청결장치
DE102015004116A1 (de) 2014-04-03 2015-10-08 Gnst Co., Ltd. Fahrzeugreiniger
CN103969267B (zh) * 2014-05-20 2017-01-18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一种探针卡探针的颗粒物清洁控制方法
US10518416B2 (en) 2014-07-10 2019-12-31 Aktiebolaget Electrolux Method for detecting a measurement error in a robotic cleaning device
KR20160016272A (ko) * 2014-08-04 2016-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바닥 청소 장치
DE102014226358B4 (de) * 2014-12-18 2019-04-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Oberflächenverschmutzung eines Fahrzeugs
CN104646340A (zh) * 2015-03-09 2015-05-27 武汉理工大学 一种光伏阵列自检测清洁装置
CN105380575B (zh) * 2015-12-11 2018-03-2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扫地机器人的控制方法、系统、云服务器和扫地机器人
US9855926B2 (en) * 2016-01-26 2018-01-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cleanliness of a vehicle
GB2567459B (en) * 2017-10-12 2019-10-09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clean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772A (ja) * 2008-01-18 2009-07-30 Toyota Motor Corp 車室内清掃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76769A1 (en) 2019-06-13
JP6664543B2 (ja) 2020-03-13
EP3500456B1 (de) 2020-06-17
KR20190038898A (ko) 2019-04-09
US10632975B2 (en) 2020-04-28
DE102016215525A1 (de) 2018-02-22
WO2018033283A1 (de) 2018-02-22
CN109562745A (zh) 2019-04-02
EP3500456A1 (de) 2019-06-26
JP2019527650A (ja)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718B1 (ko)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432698B2 (en) Mobile robotic cleaner
US10029654B2 (en) Enhanced vehicle cleaning
JP2017221654A (ja) 自動清掃機
US10398269B2 (en) Floor cleaning device for dry and wet cleaning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a self-propelled floor cleaning device
US20150297052A1 (en) Self-propelled floor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consecutive vehicle, which follows a lead vehicle
CN109645891A (zh) 交通工具清洁系统和方法
EP2801311B1 (en) Electric sweeping washing device
CN111345744A (zh) 一种清洁机器人及控制方法
JP2018110857A (ja) 自律走行掃除機
JP7133906B2 (ja) 自動走行車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36250A (zh) 一种智能清扫方法、装置以及存储装置
JP6964882B2 (ja) 表面処理装置およびシート
US20220313046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ic floor cleaning machine
CN108992001A (zh) 一种自动拖地装置
US20220242374A1 (en) Self cleaning modular floor system for robotaxis and passenger vehicles
US11608034B2 (en) Vehicle cleaning system
JP6107736B2 (ja) 洗車機
KR20220029994A (ko) 차량용 후방카메라
JP2001000367A (ja) ビル外面の清掃装置
CN108819910A (zh) 车载摄像头的自清洗式装置及汽车
US20220313047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ic floor cleaning machine
JP6772050B2 (ja) 洗車装置及び洗車装置におけるブラシの後処理方法
JP4259425B2 (ja) 洗車機
JP4641910B2 (ja) 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