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329A -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329A
KR20110010329A KR1020090067840A KR20090067840A KR20110010329A KR 20110010329 A KR20110010329 A KR 20110010329A KR 1020090067840 A KR1020090067840 A KR 1020090067840A KR 20090067840 A KR20090067840 A KR 20090067840A KR 20110010329 A KR20110010329 A KR 20110010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ust
cleaning robot
image information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주표
송창남
이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뉴엘
Priority to KR1020090067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329A/ko
Publication of KR20110010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청소로봇 본체의 흡입구의 안쪽 흡입통로의 한쪽 면에 위치하여 바닥면의 먼지들이 상기 흡입통로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상황을 상기 설치된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판독하여 바닥면의 먼지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청소로봇, 먼지 인식 방법

Description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Dust detection method of Cleaning Robot}
본 발명은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로봇이 본체 하부의 흡입구의 한쪽 면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바탕으로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의 양을 판독하여, 먼지가 다량으로 분포한 지역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로봇이 청소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현재까지의 기술적 초점은 어떻게 전체 청소영역에 대한 청소로봇의 Coverage rate를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을 위해 청소로봇에 내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해당분야의 기술 발전과 상용화가 가능할 정도의 경쟁력을 갖춘 기술들이 실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상기 Coverage rate이 상승했다고 해도 그에 비례하여 실질적인 청소효율이 높아지진 않는다. 물론 어느 정도의 청소효율에 대한 상승요인은 되겠지만, 청소로봇이 전체 청소영역에 대하여 누락되는 지점이 없이 청소를 하였다 해도 바닥면에 존재하는 이물들을 모두 빨아들이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전체 청소영역에는 이물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과 낮은 곳이 존재하고, 이를 무시한 채 전체 청소영역 에 대한 Coverage rate만 높여서는 안 되며, 상기 바닥면의 이물 분포밀도에 따른 차별적인 청소 방식을 함께 적용하여야 효율적인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상기 청소로봇의 흡입구 주변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청소로봇이 주행하는 바로 아래의 바닥면에 분포한 먼지량을 판독하고, 그 판독된 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로봇의 주행속도, 흡입력, 이동궤적 등을 차별화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장치 및 그 청소로봇 먼지인식장치를 이용한 먼지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로봇에 대하여, 바닥면에 있을 수 있는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해 설계된 흡입구가 존재하고, 상기 빨아들인 먼지들이 채집될 먼지통이 존재하며, 흡입구와 먼지통 사이에 공간이 비어있고 흡입구로 유입된 먼지들이 먼지통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흡입통로가 존재하고, 흡입통로의 한쪽 면에 카메라렌즈가 장착되어 있고, 카메라렌즈로부터 입력된 영상정보를 저장할 저장부와,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최초 구동 직전에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아 저장된 기준영상정보와 비교하여 먼지 유입을 판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청소로봇이 청소를 시작하기 직전에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정보를 기준영상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카메라 렌즈로부터 일정주기로 입력되는 각각의 실시간 영상정보들을 상기 기준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영상정보에는 없고 상기 실시간 영상정보에는 존재하는 이물이 발견되면 바닥면에서 먼지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청소로봇이 청소작업 수행을 위해 청소영역을 주행하는 데 있어서, 바닥면의 먼지를 인식하여, 먼지가 감지된 주위 영역에 대한 보다 세밀한 청소를 할 수 있는 먼지인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먼지인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되는 청소로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청소로봇은 청소영역 바닥면에 있을 수 있는 먼지를 빨아들이는 흡입구(21)와, 상기 흡입구(21)로 유입된 먼지를 채집하기 위한 먼지통(24)과, 흡입구로 유입된 먼지가 먼지통까지의 이동경로인 흡입통로(23)과, 상기 흡입통로의 한쪽 면에 장착된 카메라렌즈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통로에 카메라렌즈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렌즈의 촬영방 향이 청소영역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통로가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빛이 부족하여 카메라렌즈에서 입력되는 영상정보의 판별이 힘든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면의 반대쪽 면에 상기 카메라렌즈와 마주보는 위치에 발광소자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로봇의 청소 중의 바닥에 있는 먼지가 먼지통까지 유입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청소영역의 바닥면에 먼지가 있는 경우에, 먼지 입자들이 흡입구로 유입되어 A지점과 B지점을 지나서 먼지통에 다다르게 되고, 상기 A지점과 B지점을 통과하는 시점에 카메라 렌즈에 포착되어 영상정보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A지점과 B지점간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먼지인식률이 높아지게된다. 상기 A지점 및 B지점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흡입통로에 설치된 카메라렌즈가 촬영가능한 각도에 기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로봇의 청소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청소시작 직전에 카메라 렌즈로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청소를 시작한다.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실시간 영상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기준영상정보와 비교하여 허용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영상정보인지 판단한다. 여기에서 허용된 범위라는 것은, 먼지가 없는 상황에서도 빛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영상정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차이에 대해서는 무시해야만 하는 데, 이 무시해도 되는 허용 범위를 말한다. 이는 실험에 의해 얻어져야 한다. 상기 기준영상정보와 실시간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영상정보에 차이가 있으면 먼지 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집중청소모드(도 5)로 전환한다. 계속하여 청소를 진행하면서 내부적으로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먼지 유입이 감지되지 않으면 집중청소모드를 종료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청소완료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계속한다. 청소완료 조건이란, 정해진 시간, 또는 내부적으로 전체 청소영역에 대한 청소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소로봇이 집중청소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의 상기 청소로봇의 이동경로를 도시화해 나타낸 도면이다. 반드시 [도 5]와 같은 움직임을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먼지인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되는 청소로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로봇이 청소 중에 청소영역 바닥면의 먼지가 먼지통까지 유입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로봇의 청소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소로봇이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중 먼지를 인식하였을 때 먼지인식 지역을 청소하기 위해 고안된 집중청소를 나타낸 도면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0 : 청소로봇 22 : 카메라 렌즈

Claims (2)

  1.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청소로봇의 흡입구와 먼지통을 연결하는 흡입통로의 한쪽면에 카메라 렌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렌즈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먼지를 인식하고, 먼지가 인식된 지점 주변에 대해 추가적인 청소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로봇.
  2.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로봇이 청소영역의 바닥면에 있을 수 있는 먼지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청소로봇이 청소를 수행하기 직전의 카메라 렌즈로부터 입력된 영상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청소로봇이 청소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카메라 렌즈로부터 실시간 입력되는 영상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해둔 영상정보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먼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KR1020090067840A 2009-07-24 2009-07-24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KR20110010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840A KR20110010329A (ko) 2009-07-24 2009-07-24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840A KR20110010329A (ko) 2009-07-24 2009-07-24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29A true KR20110010329A (ko) 2011-02-01

Family

ID=4377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840A KR20110010329A (ko) 2009-07-24 2009-07-24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32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443A (zh) * 2018-06-29 2018-11-16 炬大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社交系统及方法
CN109562745A (zh) * 2016-08-18 2019-04-02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清洁机动车的内部空间的方法和装置
WO2019144541A1 (zh) * 2018-01-24 2019-08-01 速感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清洁机器人
CN110946509A (zh) * 2018-09-27 2020-04-03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扫地机器人的清扫方法及扫地机器人的清扫装置
USD907868S1 (en) 2019-01-24 2021-01-12 Karcher North America, Inc. Floor cleaner
CN113534813A (zh) * 2021-07-30 2021-10-22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移动机器人作业方法、系统及芯片
KR20220112555A (ko)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제타뱅크 오염물 인식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2745A (zh) * 2016-08-18 2019-04-02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清洁机动车的内部空间的方法和装置
KR20190038898A (ko) * 2016-08-18 2019-04-09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9144541A1 (zh) * 2018-01-24 2019-08-01 速感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清洁机器人
US11654574B2 (en) 2018-01-24 2023-05-23 Qfeeltech (Beijing) Co., Ltd. Cleaning robot
CN108814443A (zh) * 2018-06-29 2018-11-16 炬大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社交系统及方法
CN110946509A (zh) * 2018-09-27 2020-04-03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扫地机器人的清扫方法及扫地机器人的清扫装置
USD907868S1 (en) 2019-01-24 2021-01-12 Karcher North America, Inc. Floor cleaner
KR20220112555A (ko)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제타뱅크 오염물 인식장치
CN113534813A (zh) * 2021-07-30 2021-10-22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移动机器人作业方法、系统及芯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0329A (ko) 청소로봇의 먼지인식 방법
CN111479662B (zh) 学习障碍物的人工智能移动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2017148B1 (ko) 장애물을 학습하는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US10517456B2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S2804524T3 (es) Limpiador automático de piscina para limpiar una piscina con consumo de potencia mínimo y método del mismo
KR102224638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2070067B1 (ko) 장애물을 학습하는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2147208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2147207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3518A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CN1536525A (zh) 使用图像传感器的移动机器人和测量它的移动距离的方法
KR20120017847A (ko) 청소기
KR20130123990A (ko) 선저 청소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30607B1 (ko) 장애물을 학습하는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CN110179398A (zh) 一种吸尘器控制方法、装置及吸尘器
JP2016086906A (ja) 自走式掃除機
KR20090098513A (ko) 이동로봇 및 그 동작방법
US20240052663A1 (en) Pool cleaning apparatus with optimized control
EP3673232B1 (en) Pool cleaner control system
CN115151174A (zh) 一种清洁机器人及其清洁控制方法
JP4999086B2 (ja) 微細粒子のス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微細粒子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2428214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2504411B1 (ko) 오염물 인식장치
JP2021029710A (ja) 自走式掃除機及び掃除システム
KR20160138632A (ko) 로봇 청소기의 사람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06

Effective date: 201205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10013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06

Effective date: 2012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