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625B1 -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그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그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625B1
KR102179625B1 KR1020157030459A KR20157030459A KR102179625B1 KR 102179625 B1 KR102179625 B1 KR 102179625B1 KR 1020157030459 A KR1020157030459 A KR 1020157030459A KR 20157030459 A KR20157030459 A KR 20157030459A KR 102179625 B1 KR102179625 B1 KR 10217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dy
holder
decoupling
fixing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816A (ko
Inventor
클라우스 랑
안드레아스 레발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0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02M63/0275Arrangement of 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02M69/465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of fuel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65Shape of casings for other machine parts and purposes, e.g. utilisation purposes, safety
    • F02F7/008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9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부품(3), 특히 연료 분배기(3)를 홀딩 부재(7)를 통해 내연기관(4)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2)는 디커플링 부재들(8, 9), 고정 바디(5) 및 고정 수단(6)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바디(5)는 고정 수단(6)에 의해 내연기관(4)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홀딩 부재(7)는 디커플링 부재(8, 9)를 통해 고정 바디(5)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 바디(5)에 연결된 예비 응력 부재(10)가 제공된다. 예비 응력 부재(10)와 고정 바디(5)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고정 바디(5)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10)의 미리 정해진 배치에 의해, 디커플링 부재(8, 9)의 예비 응력이 설정된다. 또한, 홀더(2)를 포함하는 시스템(1)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그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HOLDER FOR FASTENING A FUEL DISTRIBUTOR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YSTEM HAVING A HOLDER OF THIS TYPE}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부품, 특히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바람직하게는 연료 분사 시스템 또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일부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연료 분사 밸브를 통해 고압 연료가 내연기관의 해당 연소실 내로 분사되는,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DE 10 2010 046 344 A1에는 연료 레일을 구비한 엔진 부품 그룹이 공지되어 있다. 엔진 부품 그룹은 실린더 헤드, 캠 커버링 및 연료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연료 레일 어셈블리는 연료 레일, 브래킷 어셈블리 및 연료 분사 장치를 포함한다. 엔진 부품 그룹의 연료 레일은 캠 커버링에 고정된다. 이 경우, 브래킷 어셈블리는 연료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연료 레일은 고정 부재 및 절연 부재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는 캠 커버링과 맞물리고 연료 레일을 상기 캠 커버링에 고정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고정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들, 스페이서 및 슬리브 그리고 제 1 및 제 2 절연 부재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들은 헤드, 및 나사 영역을 가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영역은 연료 레일을 캠 커버링에 고정하기 위해, 캠 커버링 내의 개구와 맞물린다. 고정 부재는 슬리브를 통해 연장된다. 제 1 절연 부재는 축 방향으로 브래킷의 제 1 면과 캠 커버링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절연 부재는 축 방향으로 브래킷의 제 2 면과 고정 부재의 헤드 사이에 배치된다. 절연 부재들은 댐핑을 제공하는 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DE 10 2010 046 344 A1에 공지된 엔진 부품 그룹은 캠 커버링 내로 조여진 고정 부재의 헤드에 의해, 스페이서를 통해 탄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 부재가 고정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고정 부재에 의해 캠 커버링에 고정 및 절연 부재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고정 부재의 조임 모멘트가 커야 하기 때문에, 스페이서의 치수 설계와 관련해서 2개의 가능한 경우가 있다. 스페이서가 너무 짧게 형성되면, 절연 부재들 사이에 브래킷의 유격이 생기고, 이는 기능을 현저히 떨어뜨리므로, 이 경우가 피해 져야 한다. 스페이서가 가능한 공차를 고려해서 너무 길게 형성되면, 필요한 높은 조임 모멘트로 인해 불가피한, 절연 부재들의 높은 압착이 국부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높은 압착은 절연 부재들에서 국부적인 부품 피로를 야기한다. 즉, 한편으로는 스페이서의 영역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절연 부재가 지지되는 슬리브의 단차 영역에서 국부적인 부품 피로를 야기한다. 이 경우, 공차로 인해 특정 변동이 나타난다. 여기서 외부 영역들은 절연 부재들에 대한 브래킷의 고정에 기여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여기에 지지 파트너가 없거나 또는 예비 응력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가능한 진동 댐핑에 바람직하지 않게 작용한다.이 경우, 공차로 인한 변동도 나타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진동 댐핑을 가능하게 하는 홀더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홀더 및 청구항 제 8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및 청구항 제 8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개선된 진동 댐핑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각각의 적용 경우와 관련해서 진동 댐핑의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 조치들은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홀더, 및 청구항 제 8 항에 제시된 시스템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는 부품, 특히 연료 분배기와는 관계없이 제조되고 판매될 수 있다. 부품, 특히 연료 분배기, 및 홀딩 부재는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필수 구성 부분은 아니다. 특히, 홀더는 내연기관에 시스템, 특히 연료 분사 시스템의 조립시 한편으로는 부품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연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조립시,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의 연결에 의해, 고정 바디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의 배치(위치)가 미리 정해지고, 디커플링 부재의 예비 응력이 설정된다. 이 경우, 예비 응력 부재는 예컨대 조립 장치를 통해, 디커플링 부재의 예비 응력을 결정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적합한 방식으로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 사이의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이 형성된 후에, 조립력은 다시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수단용 조임 모멘트 또는 고정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내연기관에 고정 바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력은 디커플링 부재의 예비 응력을 위한 조립력과는 관계없다. 그 원인은 고정 수단과 고정 바디가 예비 응력 부재, 디커플링 부재 및 고정 바디가 놓인 힘 경로와는 관계없는 힘 경로에 놓이는 것에 있다. 이 경우 압력 끼워맞춤 결합은 고정 바디를 통해 2번만 이루어진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연료 분사 시스템 또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연료 분사 시스템 또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일부인 시스템이다. 내연기관 또는 내연기관의 부분들이 상기 시스템의 필수 구성 부분은 아니다. 그러나 내연기관에 예를 들면 예비 조립에 의해 홀더의 일부, 특히 고정 바디 또는 고정 바디의 일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홀더는 추가의 부품, 특히 장착 부품을 통해 내연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적용 경우에 따른 조정이 가능하다. 홀딩 부재는 별도의 홀딩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고 부품, 특히 연료 분배기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홀딩 부재는 부품, 특히 연료 분배기의 구성 부분일 수도 있다. 예컨대, 홀딩 부재는 부품의 하우징 부분의 적합한 성형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해서 더 넓은 적용 분야가 주어진다.
예비 응력 부재는 고정 바디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내부 접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의 연결 전에, 고정 바디의 외부 면에서 예비 응력 부재의 안내가 보장된다. 디커플링 부재의 예비 응력을 위해 사용되는 예비 응력 부재의 작용 시에, 디커플링 부재로 균일한 힘 도입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특히 디커플링 부재의 불균일한 작용을 일으키는 예비 응력 부재의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이 경우 고정 바디의 외부 면에 리세스가 제공되고, 예비 응력 부재가 변형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가능한 돌출부 및 고정 바디의 리세스는 예비 응력 부재가 플랜징에 의해 고정 바디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 바디의 종축을 중심으로 빙 둘러 고정 바디의 외부 면에 분포된 다수의 리세스도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플랜징에 의해 형성된 개별 고정 점들이 종축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 부하를 받고, 단일 연결 점에서 생기는,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 사이의 기울어짐 효과가 방지되기 때문이다. 고정 바디의 외부 면에서 예비 응력 부재가 안내됨으로써, 플랜징에 의한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 사이의 연결이 형성되는 개별 연결 점에 의해서도, 구체적인 적용 경우에 가능한 한 확실한 연결이 보장된다.
또한, 예비 응력 부재의 내부 접촉 면과 고정 바디의 외부면은 예비 응력 부재의 내부 접촉 면과 고정 바디의 외부면 사이에 슬라이딩 끼워맞춤이 형성되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 바디의 외부 면에서 예비 응력 부재의 가급적 좁은 안내가 달성되므로, 예비 응력의 경우,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의 연결이 형성되는 소정 끝 위치가 간단히 유지될 수 있으며, 연결 동안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 사이의 상대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연결 방식에 따라, 특히 용접 시에, 연결의 높은 품질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비 응력 부재의 내부 접촉 면과 고정 바디의 외부면은 예비 응력 부재가 예비 응력 부재의 내부 접촉 면과 고정 바디의 외부면 사이에 형성된 프레스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 바디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끼워맞춤에 의해 단독으로 또는 경우에 따라 다른 연결 방법과 함께 디커플링 부재의 예비 응력이 보장될 수 있다.
지지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고정 바디에 연결되거나 또는 고정 바디에 포함되고, 디커플링 부재가 예비 응력 부재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지지 부재에 대해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 부재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적합한 방식으로 고정 바디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 바디의 구성 부분일 수 있다. 예비 응력 부재는 지지 부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커플링 부재가 예비 응력을 받는 상태에서, 지지 부재와 고정 바디를 통한 압력 끼워맞춤 결합이 달성된다.
디커플링 부재는 바람직하게 링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디커플링 부재가 고정 바디를 둘러쌀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특히 디커플링 부재의 회전 대칭 실시가 보장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진동 댐핑을 위한 상응하게 대칭인 거동이 나타난다. 그러나 디커플링 부재가 적어도 거의 직사각형으로 구부러진, 링형 디커플링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진동 댐핑을 위한 특별한 비대칭 효과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상이한 부하에서 바람직하다. 예컨대, 연료 분배기 블록으로서 형성된 연료 분배기는 다수의 홀더에 의해 내연기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이한 공간 방향에서 상이한 진동 부하들이 나타난다. 특히, 경우에 따라 서로 수직으로 놓인 3개의 공간 방향에서 진동 또는 진동 성분이 상이하고, 상기 공간 방향들 중 하나는 연료 분배기를 따라 배향되며, 하나는 고정 바디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로써 규정되는 3개의 공간 방향에 대해, 디커플링 부재를 통한 탄성 커플링의 상이한 스프링 상수들은 디커플링 부재의 형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디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고정 바디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의 배치에 의해 디커플링 부재가 예비 응력을 받는 예비 응력 방향을 따라,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이 미리 정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은 고정 바디에 대한 홀딩 부재의 변위에 따른 홀딩 부재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낸다. 예비 응력에 의해,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상의 출발점이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파수에 따른 강성 프로파일 및 주파수에 따른 댐핑이 예비 응력에 대한 설정 가능성 및 경우에 따라 디커플링 부재의 기하 구조에 의해 동적으로 매칭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설정 가능한 또는 매칭 가능한 전달 함수가 주어진다.
따라서, 시스템, 특히 연료 분사 시스템의 음향 거동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조립에 의한 그리고 작동 온도에 의한 부품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디커플링 부재들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재들로서 형성된다. 특히 점탄성 디커플링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적용 경우와 관련해서, 홀더당 하나의 개별 디커플링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고정은 바람직하게 다수의 홀더를 통해 이루어진다.
디커플링 부재 또는 디커플링 부재들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에서 내연기관에 대한 부품들의 기계적 및 경우에 따라 열적 그리고 기하학적 분리가 주어진다. 또한, 개별 공간 방향에서 디커플링의 규정된, 기계적 댐핑 거동이 가능해진다. 조립 시에, 디커플링 부재 또는 디커플링 부재들의 예비 응력이 설정된다. 상기 설정은 고정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고정력과는 관계없이 이루어진다. 예비 응력은 이 경우 다수의 공간 방향들 중 하나의 공간 방향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사이 부재, 특히 홀딩 부재에 의해 주어질 수 있고, 개별 부품의 공차와는 관계없는 예비 응력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부품의 공차와 관련한 제조에 대한 요구 조건이 줄어든다.
예비 응력은 힘 조절되어, 예컨대 슬라이딩 끼워맞춤 및/또는 고정 용접, 플랜징 또는 그 밖의 재료 결합 또는 형상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형상 끼워맞춤 결합은 예비 응력 부재와 고정 바디 사이에 형성된 나사를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재조절 가능성도 주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 사용 지속 시간 후에 예비 응력이 재조절될 수 있다.
물론, 디커플링 부재의 예측되는 에이징과 관련한 설정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로 바람직하게는 점탄성의 디커플링을 실시하는 것은 나사 형태의 고정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모듈, 밸브 커버, 캠 샤프트 기어 및 다른 장착품과 같은 기존 장착품 내에 디커플링의 스냅핑, 클램핑 또는 통합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상응하는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연료 분배기를 구비한 시스템 및 내연기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연료 분배기를 구비한 시스템 및 내연기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홀더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홀더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홀더를 V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개략도.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2) 및 연료 분배기(3), 특히 연료 분배기 블록(3)을 구비한 시스템(1) 및 내연기관(4)의 일부, 특히 실린더 헤드(4)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시스템(1)은 바람직하게는 연료 분사 시스템(1) 또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일부이다.
홀더(2)는 고정 바디(5), 고정 수단(6), 홀딩 부재(7), 디커플링 부재들(8, 9) 및 예비 응력 부재(10)를 포함한다. 고정 수단(6)은 나사 홀(11) 내로 조여진다. 나사 머리로서 형성되는 헤드(13)의 칼라(12)는 고정 바디(5)의 단부면(14)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고정 바디(5)의 하부면(15)은 내연기관(4)의 표면(16)에 대해 작용한다. 이 경우 고정 나사(6)로서 형성된 고정 수단(6)의 조임 모멘트에 의해 고정력이 형성된다. 이 경우, 폐쇄된 곡선(17)으로 표시된, 고정 수단(6)과 고정 바디(5)를 통한 압력 끼워맞춤 결합이 나타난다.
예비 응력 부재(10)는 내부 접촉 면(20)을 갖는다. 예비 응력 부재(10)는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 면(20)은 고정 바디(5)의 외부 면(21)에 접촉한다. 조립 시에, 예비 응력 부재(10)는 예비 응력 방향으로 그리고 예비 응력 방향과 반대로 고정 바디(5)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고, 이 경우 외부 면(21)에서 안내가 이루어진다. 예비 응력 방향(22)은 이 경우 고정 수단(6)의 종축(23)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다.
홀더(2)는 또한 지지 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24)는 이 실시예에서 고정 바디(5)에 포함된다. 변형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4)는 고정 바디(5)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면(15)은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부재(24)에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24)가 내연기관(4)의 표면(16)에 지지된다.
예비 응력 부재(10)는 리세스로서 형성된 성형부(25)를 포함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8)는 배 형태의 성형부(26)로서 형성된 성형부(26)를 포함한다. 배 형태의 성형부(26)와 함께 디플링 부재(8)가 예비 응력 부재(10) 내로 삽입됨으로써, 형상 끼워맞춤 결합이 형성된다. 성형부들(25, 26)은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도 서로 매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4)는 리세스로서 형성된 성형부(27)를 포함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9)는 배 형태로 형성된 성형부(28)를 포함한다. 배 형태의 성형부(28)와 함께 디플링 부재(9)가 성형부(27) 내로 삽입됨으로써, 형상 끼워맞춤 결합이 형성된다. 홀딩 부재(7)는 디커플링 부재들(8, 9) 사이에 배치되고, 이 실시예에서 홀더(7)의 상부면(29)은 적어도 거의 편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홀더(7)의 하부면(30)도 적어도 거의 편평하게 형성된다. 상부면(29)에 접촉하는 디커플링 부재(8)와 홀딩 부재(7) 사이에는 예비 응력 방향(22)에 대해 수직인 방향(31)으로 마찰 결합이 형성된다. 이에 상응하게, 하부 면(30)에 접촉하는 디커플링 부재(9)와 홀딩 부재(7) 사이에는 방향(31)으로 마찰 결합이 형성된다. 이 경우, 디커플링 부재(8, 9)의 예비 응력에 의해 일정한 한계 내에서 방향(31)으로 그리고 방향(31)과 반대로 충분한 홀딩력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홀딩 부재(7)와 디커플링 부재들(8, 9)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도, 성형부(25 내지 28)에 의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상 끼워맞춤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립시, 예비 응력 부재(10)에는 예비 응력 방향(22)으로 적합하게 선택된 조립력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디커플링 부재들(8, 9)이 예비 응력을 받는다. 이 경우, 예비 응력 부재(10)가 고정 바디(5)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므로, 조립시 고정 바디(5)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10)의 배치가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것이 이용된다. 고정 바디(5)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10)의 상기 미리 정해진 배치 또는 위치에서, 예비 응력 부재(10)와 고정 바디(5)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디커플링 부재(8, 9)의 예비 응력이 설정된다. 상기 방식으로 예컨대 대량 생산의 범위에서 디커플링 부재(8, 9)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예비 응력은 발생하는 부품 변동과 관계없이 설정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의 적용 경우와 관련해서 개별적으로 소정 예비 응력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홀딩 부재(7) 및/또는 디커플링 부재들(8, 9)이 각각의 적용 경우와 관련해서 상이하게 치수 설계되는 모듈식 구성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식 구성에서도 항상 소정 예비 응력이 설정될 수 있다.
예비 응력 부재(10)로부터 디커플링 부재(8), 홀딩 부재(7) 및 디커플링 부재(9)를 통해 지지 부재(24)로의 압력 끼워맞춤 결합은, 폐쇄된 곡선(32)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 바디(5)를 통해 폐쇄된다. 따라서, 디커플링 부재들(8, 9)의 예비 응력 및 작동 중에 고정 바디(5)에 대한 홀딩 부재(7)의 변위시 디커플링 부재들(8, 9)의 작용은 폐쇄된 곡선(17)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내연기관(4)에 고정 바디(5)의 고정과는 관계없다.
디커플링 부재들(8, 9)의 미리 정해진 예비 응력이 예비 응력 부재(10)의 배치에 의해 설정되면, 예비 응력 부재(10)는 바람직하게는 제 위치에 고정된다. 이는 재료 결합 및/또는 형상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예비 응력 부재(10)와 고정 바디(5) 사이에 프레스 끼워맞춤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면(20) 및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은, 예비 응력 부재(10)가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 면(20)과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 사이에 형성된 프레스 끼워맞춤에 의해 조립 후에 고정 바디(5)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적용 경우에 따라 다른 연결 방식과도 조합될 수 있다. 디커플링 부재들(8, 9)은 작동 지속 시간에 걸쳐 예비 응력 부재(10)에 의해 지지 부재(24)에 대해 예비 응력을 받는다.
이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들(8, 9)은 고정 바디(5)를 둘러싼다. 디커플링 부재들(8, 9)은 이 경우 링형 디커플링 부재들(8, 9)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종축(23)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디커플링 부재들(8, 9)과 상호 작용하는 영역에서 홀딩 부재(7)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 링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예비 응력 부재(10) 및 지지 부재(24)는 바람직하게 종축(23)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예비 응력 부재(10)와 고정 바디(5) 사이의 연결의 실시예에서, 조립시 예비 응력 부재(10)와 지지 부재(44) 사이에 간격(33)이 미리 정해지는 것도 가능하다. 조립시, 조립 장치가 예비 응력 부재(10)를 간격(33)에 의해 미리 정해진, 고정 바디(5)에 대한 배치(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예비 응력이 설정될 수 있다. 간격(33)은 특히 예비 응력 부재(10)와 고정 바디(5)의 연결이 프레스 끼워맞춤에 의해 이루어지면, 고정된 압입 크기(33)일 수 있다. 따라서, 디커플링 부재들(8, 9)의 예비 응력의 원격 조절식 설정이 가능하다.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2) 및 연료 분배기(3)를 구비한 시스템(1) 및 내연기관(4)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바디(5)는 그 외부 면(21)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0)를 포함한다. 또한, 예비 응력 부재(10)는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 상에서 적어도 고정 바디(5)의 리세스(40)의 영역 내에 제공된 변형 가능한 돌출부(4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예비 응력 부재(10)의 변형 가능한 돌출부(41)는 고정 바디(5)의 외부 면(21)을 둘러싼다.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 면(20)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바디(5)의 외부 면(21)에 접촉한다. 그러나 내부 접촉 면(20)은 외부 면(21)에 대해 약간 이격될 수도 있다.
조립시, 예비 응력 부재(10)는 먼저 예비 응력 방향으로 조립 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이는 힘 조절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된 간격(33)에 걸쳐 디커플링 부재들(8, 9)의 예비 응력의 원격 조절식 설정도 달성될 수 있다. 고정 바디(5)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10)의 미리 정해진 배치에서, 변형 가능한 돌출부(41)는 조립시, 리세스(40)의 영역에서 놓여 방향(43)으로 힘을 받는 플랜징 공구(42)에 의해 리세스(40) 내로 약간 변형된다. 따라서, 플랜징에 의해 형상 끼워맞춤 결합이 구현된다. 플랜징에 의해 예비 응력 부재(10)와 고정 바디(5)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고정 바디(5)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10)의 미리 정해진 배치에서, 조립 후에 디커플링 부재(8, 9)의 예비 응력이 설정된다.
도 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의 홀더(2)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예비 응력 부재(10)는 먼저 예비 응력 방향(22)으로 조립력을 받는다. 이로 인해, 디커플링 부재(8, 9)의 예비 응력이 설정된다. 그리고 나서, 예비 응력 부재(10)는 용접 시임(44)에 의해 고정 바디(5)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 바디(5)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10)의 미리 정해진 배치에서 예비 응력 부재(10)와 고정 바디(5)의 재료 결합 방식 결합이 형성된다.
도 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의 홀더(2)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바디(5)는 그 외부 면(21)에 수나사(45)를 포함한다. 또한, 예비 응력 바디(10)는 내부 면(20')에 암나사(46)를 포함한다. 예비 응력 부재(10)의 암나사(46)가 고정 바디(5)의 수나사(45)와 나사 결합된다. 예비 응력 부재(10)와 고정 바디(10) 사이의 나사 결합을 통해 형상 끼워맞춤 결합이 형성된다. 이 경우, 특정 사용 지속 시간 또는 예측된 에이징 후에 재조절 가능성이 있다. 고정 바디(5)에 예비 응력 부재(10)의 나사 결합은 이 경우 미리 정해진 간격(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디커플링 부재(8, 9)의 예비 응력이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예비 응력 부재(10)가 적합한 방식으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홀더를 V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개략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회전 대칭의 디자인이 구현된다. 예비 응력 부재(10) 및 디커플링 부재들(8, 9)은 이 경우 적어도 거의 직사각형으로 구부러져 링형으로 형성된다.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 면(20)과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 사이에는 적절한 실시예에 의해 슬라이딩 끼워맞춤이 형성된다. 미리 정해진 배치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고정 바디(5)에 예비 응력 부재(10)의 고정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의 성형부에 의해, 특히 예비 응력 방향(22)을 따라,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이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은 고정 바디(5)에 대한 홀딩 부재(7)의 변위에 따른 홀딩 부재(7)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3을 참고로 설명되는 디커플링 부재(8)에는 챔퍼(50)가 제공되고, 이로 인해 예비 응력 방향(22)과 반대로 홀딩 부재(8)의 이동시, 스프링 상수가 점점 커지는데, 그 이유는 챔퍼(50)가 점점 과압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8)의 성형부에 의해, 적어도, 고정 바디(5)에 대한 예비 응력 부재(20)의 배치에 의해 디커플링 부재(8)가 예비 응력을 받는 예비 응력 방향(22)을 따라,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예비 응력에 의해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상에 스타트점이 설정된다. 디커플링 부재의 적합한 성형부에 의해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 곡선들이 다른 공간 방향으로도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2 홀더
3 부품
4 내연기관
5 고정 바디
6 고정 수단
7 홀딩 부재
8, 9 디커플링 부재
10 예비 응력 부재
20 내부 접촉면
21 외부면
22 예비 응력 방향
24 지지 부재
25 리세스
41 돌출부
45 수나사
46 암나사

Claims (10)

  1. 부품(3)을 홀딩 부재(7)를 통해 내연기관(4)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2)로서,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 고정 수단(6), 및 상기 고정 수단(6)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 바디(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바디(5)는 상기 고정 수단(6)에 의해 상기 내연기관(4)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홀딩 부재(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를 통해 상기 고정 바디(5)에 고정될 수 있는, 홀더(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5)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예비 응력 부재(10)가 제공되고, 상기 고정 바디(5)에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 바디(5)에 대한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배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에 대한 예비 응력은, 상기 고정 수단(6)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 바디(5)를 상기 내연기관(4)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힘과는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는 내부 접촉 면(20)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 면(20)은 상기 고정 바디(5)의 외부 면(21)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5)는 상기 고정 바디(5)의 외부 면(21)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0)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는 변형 가능한 돌출부(41)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가능한 돌출부(41) 및 상기 고정 바디(5)의 리세스(40)는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가 플랜징에 의해 상기 고정 바디(5)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면(20) 및 상기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은,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 면(20)과 상기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 사이에 슬라이딩 끼워맞춤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면(20) 및 상기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은,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가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접촉면(20)과 상기 고정 바디(5)의 외부면(21) 사이에 형성된 프레스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고정 바디(5)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24)가 제공되되, 상기 지지 부재(24)는 상기 고정 바디(5)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 바디(5)에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는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24)에 대해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는 상기 고정 바디(5)를 둘러싸는 것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는 직사각형으로 구부러진, 링형의 디커플링 부재(8, 9)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8. 부품(3), 상기 부품(3)을 유지하기 위한 홀딩 부재(7) 및 상기 부품(3)을 내연기관(4)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2)를 포함하는 시스템(1)으로서, 상기 홀더(2)는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 고정 수단(6), 및 상기 고정 수단(6)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 바디(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바디(5)는 상기 고정 수단(6)에 의해 상기 내연기관(4)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홀딩 부재(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를 통해 상기 고정 바디(5)에 고정되며, 상기 홀딩 부재(7)는 상기 부품(3)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부품(3)의 구성 부분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홀더(2)는 상기 고정 바디(5)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예비 응력 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가 상기 고정 바디(5)에 연결되는, 상기 고정 바디(5)에 대한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배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에 대한 예비 응력은, 상기 고정 수단(6)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 바디(5)를 상기 내연기관(4)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힘과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는 용접, 또는 플랜징 또는 프레스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고정 바디(5)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는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내부 나사(46)에 의해 상기 고정 바디(5)의 외부 나사(45)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8, 9)는, 적어도 예비 응력 방향(22)을 따라, 상기 고정 바디(5)에 대한 상기 예비 응력 부재(10)의 배치에 의해 예비 응력을 받으며, 비선형 스프링 특성은 상기 고정 바디(5)에 대한 상기 홀딩 부재(7)의 변위에 따라 상기 홀딩 부재(7)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내도록 미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57030459A 2013-04-23 2014-02-26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그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179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7368.2A DE102013207368A1 (de) 2013-04-23 2013-04-23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Brennstoffverteiler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Anlage mit solch einem Halter
DE102013207368.2 2013-04-23
PCT/EP2014/053701 WO2014173561A1 (de) 2013-04-23 2014-02-26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brennstoffverteiler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anlage mit solch einem ha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16A KR20160002816A (ko) 2016-01-08
KR102179625B1 true KR102179625B1 (ko) 2020-11-18

Family

ID=5017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459A KR102179625B1 (ko) 2013-04-23 2014-02-26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그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35125B2 (ko)
EP (1) EP2989318B1 (ko)
KR (1) KR102179625B1 (ko)
CN (1) CN105143660B (ko)
DE (1) DE102013207368A1 (ko)
WO (1) WO2014173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6145B1 (en) * 2019-05-08 2020-08-18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Isolator for fuel inj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1607A1 (en) * 1990-01-23 1991-08-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el rail vibration damper
US20070163545A1 (en) 2006-01-17 2007-07-19 Beardmore John M Isolated fuel delivery system
DE102010046344A1 (de) * 2009-09-29 2011-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Detroit Motorbaugruppe mit an einer Nockenabdeckung befestigter Kraftstoffleiste
US20110155824A1 (en) 2008-06-26 2011-06-30 Michael Fischer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5008A (en) * 1989-03-31 1990-12-04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ssembly with sealing grommet
US5871319A (en) * 1995-12-23 1999-02-16 Richard Bergner Gmbh & Co. Assembly arrangement including cuff with radially inwardly protruding fastening region
DE10145035A1 (de) * 2001-09-13 2003-04-10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system
US6591801B1 (en) 2002-06-11 2003-07-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gine cover balanced isolated support and seal
ATE457422T1 (de) * 2005-03-03 2010-02-15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2007049357A1 (de) * 2007-10-15 2009-04-16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US7942132B2 (en) * 2008-07-17 2011-05-17 Robert Bosch Gmbh In-line noise filtering device for fuel system
RU2011130706A (ru) * 2009-01-29 2013-03-10 Хитачи Констракшен Машинери Ко., Лтд. Поперечная штанга
EP2495427B1 (en) * 2011-03-04 2015-01-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oupling device
US8875681B2 (en) * 2011-10-28 2014-11-04 Robert Bosch Gmbh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US8800534B2 (en) * 2011-11-18 2014-08-12 Robert Bosch Gmbh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DE102012210369A1 (de) * 2012-06-20 2013-12-24 Robert Bosch Gmbh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Brennstoffverteiler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Brennstoffeinspritzanlage mit solch einem Ha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1607A1 (en) * 1990-01-23 1991-08-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el rail vibration damper
US20070163545A1 (en) 2006-01-17 2007-07-19 Beardmore John M Isolated fuel delivery system
US20110155824A1 (en) 2008-06-26 2011-06-30 Michael Fischer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DE102010046344A1 (de) * 2009-09-29 2011-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Detroit Motorbaugruppe mit an einer Nockenabdeckung befestigter Kraftstofflei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07368A1 (de) 2014-10-23
WO2014173561A1 (de) 2014-10-30
US9835125B2 (en) 2017-12-05
KR20160002816A (ko) 2016-01-08
US20160069314A1 (en) 2016-03-10
CN105143660B (zh) 2019-01-01
EP2989318A1 (de) 2016-03-02
CN105143660A (zh) 2015-12-09
EP2989318B1 (de)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623B1 (ko) 연료 안내 부품, 연료 분사 밸브 및 장착부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KR102476866B1 (ko) 연료 분사 장치
KR102202762B1 (ko) 체크 밸브, 고압 부품 및 고압 연료 펌프
KR102109321B1 (ko) 하나의 연료 분배기 및 다수의 연료 분사 밸브를 구비한 장치
KR101597511B1 (ko)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KR102250932B1 (ko) 연료 안내 컴포넌트, 연료 분사 밸브 및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US10041460B2 (en) System having a fuel distributor and multiple fuel injectors
US9541047B2 (en) System having a fuel distributor and multiple fuel injectors
KR102075333B1 (ko)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는 홀더
KR20150107757A (ko) 연료 안내 부품, 연료 분사 밸브 및 장착부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KR20130044304A (ko) 입구 커넥터
KR102447583B1 (ko)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KR102071856B1 (ko) 특히 연료 분사 장치용 다편 절연 부재
KR102179625B1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그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40136010A (ko)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KR102220594B1 (ko) 연료 분사기 조립체
US9938947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10865752B2 (en) Metering valve for metering a fluid which serves in particular for fuel injection systems, mounting system for injection systems, and injection system having such a metering valve
KR102250931B1 (ko) 홀더, 그리고 연료 분배기 및 복수의 홀더를 포함한 어셈블리
KR102179020B1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KR102087200B1 (ko) 내연기관의 피스톤
US9938941B2 (en) Fuel injection system having a fuel-carrying component, a fuel injector and a connecting element
US9429121B2 (en) System having a fuel distributor and a holder
JP2016520765A (ja) 燃料噴射器
US11821396B2 (en) Fuel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