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020B1 -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020B1
KR102179020B1 KR1020157030461A KR20157030461A KR102179020B1 KR 102179020 B1 KR102179020 B1 KR 102179020B1 KR 1020157030461 A KR1020157030461 A KR 1020157030461A KR 20157030461 A KR20157030461 A KR 20157030461A KR 102179020 B1 KR102179020 B1 KR 10217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upling
holder
holding member
decoupling member
characteristic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817A (ko
Inventor
클라우스 랑
안드레아스 레발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0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02M69/465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of fuel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2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 F16B31/028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with a load-indicating washer or washe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1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for sealing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9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2)에 컴포넌트(3), 특히 연료 분배기(3)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홀더(1)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디커플링 부재(7, 8), 고정 몸체(4), 고정 수단(5) 및 홀딩 부재(6)가 제공된다. 고정 몸체(4)는 고정 수단(5)에 의해 내연기관(2)에 고정된다. 홀딩 부재(6)는 디커플링 부재(7, 8)를 통해 고정 몸체(4)에 고정된다. 이 경우, 디커플링 부재(7, 8)는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에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이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고정 몸체(4)에 대한 홀딩 부재(6)의 변위에 대한 홀딩 부재(6)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HOLDER FOR FASTENING A FUEL DISTRIBUTOR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컴포넌트, 특히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연기관들의 연료 분사 시스템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연료 분사 밸브들을 통해 고압 연료가 내연기관의 해당 연소실들 내로 분사된다.
DE 10 2010 046 344 A1로부터는, 캠 커버에 고정되는 연료 레일을 포함하는 엔진 어셈블리가 공지되어 있다. 엔진 어셈블리는 실린더 헤드, 캠 커버 및 연료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레일 어셈블리는 연료 레일, 브래킷 어셈블리 및 연료 분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어셈블리는 연료 레일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와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캠 커버와 맞물릴 수 있으며 연료 레일을 상기 캠 커버에 고정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의 경우, 고정 어셈블리는 고정 부재들, 스페이서 부재 및 슬리브뿐만 아니라, 제 1 절연 부재 및 제 2 절연 부재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들은 헤드, 및 나사 영역을 구비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사 영역은 캠 커버에 연료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캠 커버 내의 개구부와 맞물린다. 고정 부재는 슬리브를 통해 연장된다. 제 1 절연 부재는 축 방향에서 브래킷의 제 1 면(side)과 캠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절연 부재는 축 방향에서 브래킷의 제 2 면과 고정 부재의 헤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부재들은 감쇠를 보장하는 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DE 10 2010 046 344 A1에 공지된 엔진 어셈블리는, 절연 부재들이 자신들의 직사각형 프로파일로 인해 거의 일정한 스프링 강성을 사전 설정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 결과, 각각의 적용 사례에서 경우에 따라 진동 감쇠와 관련하여 제한된 효과만이 나타난다. 또한, 작동 중에 개별 고정 부재들의 온도에 따른 길이 변화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사용되는 상이한 소재들에 근거하여, 절연 부재들 상에서 유효한 길이 변화가 발생하며, 이는 절연 부재들의 예비 응력의 변화를 야기한다. 그에 따라, 결과적으로, 절연 부재들의 순간 예비 응력은 작동 온도에 의존한다. 그 결과, 진동 감쇠 동안 상응하는 의존성도 발생한다. 그에 따라, 진동 감쇠의 효과가 작동 중에 변한다. 그에 따라, 특히, 작동 개시 시에, 그리고 소정의 작동 기간 후에 진동 감쇠의 효과들이 서로 다르다. 그에 따라, 소정의 작동 기간 후에 달성되는 것과 같은, 높은 작동 온도에 대한 고정의 매칭은 불가피하게 작동 개시 시 낮은 진동 감쇠를 야기하며,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량된 진동 감쇠가 가능해지며, 특히 각각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진동 감쇠의 적합한 조정이 실행될 수 있는,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는 개선된 진동 감쇠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각각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진동 감쇠의 적합한 조정이 실행될 수 있다.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홀더의 바람직한 개선들이 가능하다.
홀더는 예컨대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에 연료 분사 시스템의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홀더는 내연기관에 다른 컴포넌트의 고정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내연기관에 고정은 간접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 부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컴포넌트, 특히 연료 분배기 및 내연기관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구성 부품들이 아니다. 그러나 홀딩 부재가 컴포넌트, 특히 연료 분배기의 일체형 부품이고, 및/또는 내연기관, 특히 실린더 헤드에 홀더의 고정 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특히 나사 조임하기 위한 적합한 상대 부재가 형성되는 구현예들은 가능하다.
하나 또는 복수의 홀더를 통해 내연기관에 고정될 수 있는 연료 분배기는 작동 중에 연료 어큐뮬레이터로서 사용된다. 연료 분배기 내에서, 그리고 연료 분배기와 연결된 인젝터들 내에서 압력 변동에 의해, 소음을 야기할 수 있는 압력 맥동들이 생긴다. 상기 압력 맥동들은 특히 구조 전달음의 형태로 접촉점들에서 실린더 헤드로 전달될 수 있다. 감쇠를 위해 디커플링 부재가 사용된다. 홀더는 기계적 디커플링 외에도 경우에 따라 내연기관에 대한 컴포넌트, 특히 연료 분배기의 열적 및 기하학적 디커플링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홀더 상에서는 복수의 디커플링 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커플링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점탄성 디커플링 부재들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축 방향에서 고정 몸체의 축을 따라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이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고정 몸체에 대한 고정 몸체의 축을 따르는 홀딩 부재의 변위에 대한 고정 몸체의 축을 따라서 홀딩 부재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낸다. 고정 몸체의 축을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 몸체의 고정이 수행된다. 이 경우, 고정 수단은 특히 고정 나사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나사는 예컨대 내연기관의 상응하는 나사 구멍 내로 나사 조임된다. 그 결과, 내연기관에 고정 몸체의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다.
고정 몸체의 축을 따르는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들과 관련하여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온도 변화 시에도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비교적 작은 변위들은 스프링 특성곡선의 비교적 작은 기울기(gradient)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변위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경우, 스프링 특성곡선의 비교적 큰 기울기가 유효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내연기관에 고정 수단의 고정력이 디커플링 부재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디커플링 부재의 예비 응력의 분리된 설정이 제공될 수 있다.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뿐만 아니라, 무부하 상태에서, 다시 말하면 고정 몸체에 대한 고정 몸체의 축을 따르는 홀딩 부재의 변위가 소멸된 경우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 상에 디커플링 부재의 예비 응력을 통해 사전 설정되는 시작점도 각각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디커플링을 더 개선하기 위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적어도 고정 몸체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방사 방향에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이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고정 몸체에 대한 방사 방향을 따르는 홀딩 부재의 변위에 대한 방사 방향을 따라서 홀딩 부재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방사 방향에서 적합한 매칭은 스프링 특성곡선의 선택을 통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홀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디커플링을 개선한다.
또한, 이 경우, 디커플링 부재가 적합하게 형성됨으로써, 규정된 동적 거동이 축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방사 방향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구현예에 따라서, 한편으로 축 방향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방사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매칭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고정 몸체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제 1 방사 방향 및 제 2 방사 방향이 존재하고, 이들 방사 방향에 대해, 고정 몸체에 대한 제 1 방사 방향을 따르는 홀딩 부재의 변위에 대한 제 1 방사 방향을 따라서 홀딩 부재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제 1 스프링 특성곡선과, 고정 몸체에 대한 제 2 방사 방향을 따르는 홀딩 부재의 변위에 대한 제 2 방사 방향을 따라서 홀딩 부재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제 2 스프링 특성 곡선이 서로 구별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디커플링 부재의 강성이 비-회전 대칭형으로 구현됨으로써, 방사 방향들에서 방향에 따라 상이한 부하들에 대한 적합한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스프링 특성곡선과 제 2 스프링 특성곡선은 각각 상이한 기울기들을 갖는 제 1 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으로서, 그리고 제 2 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반해 축 방향에서는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 1 스프링 특성곡선 또는 제 2 스프링 특성곡선은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 1 스프링 특성곡선뿐만 아니라 제 2 스프링 특성곡선도 각각 제 1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으로서, 그리고 제 2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으로서 사전 설정된다.
작동 중에, 고정 몸체에 대한 홀딩 부재의 변위와 관련하여 디커플링 부재의 상응하게 중첩된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연료 분배기가 예컨대 연료 분배기 블록으로서 형성된다면, 연료 분배기 블록을 따라서 작용하는 진동들 또는 진동 성분들과 연료 레일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진동들 또는 진동 성분들은 상이한 감쇠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는 디커플링 부재의 적합한 형성을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목표한 바대로 총 3개의 공간 방향에서 규정된 동적 거동은 3개의 공간 방향에서 각각의 강성들의 매칭을 통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총 3개의 공간 방향에서도 홀딩 부재의 영역 내 금속 접촉은 방지될 수 있다. 이는 개별 공간 방향들에서 디커플링의 효율적이고 규정된 기계적 감쇠 거동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홀딩 부재의 성형부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부를 포함한다. 그에 상응하게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고정 몸체와 연결되는 예비 응력 부재의 성형부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부를 포함한다. 각각 형성되는 형상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경우에 따른 예비 응력과 무관한 디커플링 부재의 국소 고정이 달성된다. 경우에 따라 필요한 예비 응력은 적합한 방식으로 예비 응력 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수단과 무관하게 고정 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예비 응력 부재를 통해 예비 응력의 의도하는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이 디커플링 부재의 외부면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이 디커플링 부재의 외부면의 내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그 결과, 초기에, 또는 작은 변위 동안 우선 비교적 작은 스프링 상수가 실현될 수 있다. 변위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경우, 리세스는 어느 정도까지 멀리 가압되며, 그럼으로써 후속해서 비교적 큰 스프링 강성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스프링 특성곡선의 비선형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디커플링 부재의 외부면의 가장자리 상의 리세스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에지 라운딩부로서, 고정 몸체의 축을 따라서 디커플링 부재의 축 방향 두께의 반보다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되는 챔퍼부로서, 또는 고정 몸체의 축을 따라서 디커플링 부재의 축 방향 두께의 최소한 반에 걸쳐서 연장되는 경사부(sloping)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커플링 부재의 디자인을 통해, 특히 고정 몸체의 축을 따라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실현될 수 있다. 리세스의 형성을 통해 스프링 특성곡선의 프로파일이 적합하게 수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리세스도 디커플링 부재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외부면 상에 하나 이상의 단차부(step)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단부면 상에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포함한다. 그 결과, 스프링 특성곡선의 프로파일의 수정을 위한 추가 가능성들이 주어진다. 단차부가 디커플링 부재의 단부면 상에 제공된다면, 단차부가 어느 정도까지 멀리 가압되는 소정의 변위 후에, 스프링 특성곡선에서 다소 뚜렷한 변곡점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차부는 챔퍼링된 단차부로서, 또는 챔퍼링되지 않은 단차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챔퍼링된 단차부로서 형성되는 경우, 예컨대 스프링 특성곡선의 초과 비례적으로 상승하는 프로파일이 실현될 수 있으며, 이 프로파일은 단차부가 멀리 가압된 후에 선형 기울기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다른 디자인과 조합들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단부면 상에 고정 몸체의 축에 대한 원주방향으로 변하는 접촉 기하구조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접촉 기하구조는 디커플링 부재의 원주에 걸쳐서 변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의도한 바대로 강성의 비-회전 대칭형 사전 설정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의 단부면 상의 접촉 기하구조는 원주방향으로 구획화된다. 그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 특히 디커플링 부재의 무부하 상태에서 국소 접촉만이 발생한다. 그러나 디커플링 부재가 소정의 정도로 가압될 때, 초과압 가압을 통해 경우에 따라 접촉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의 단부면 상에서 접촉 기하구조의 방사 방향 접촉 부분은 원주방향으로 변한다. 이 경우, 고정 몸체의 축에 대한 홀딩 부재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때 기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강성을 가능하게 하는 특히 바람직한 기하구조들이 달성될 수 있다.
주지할 사항은, 디커플링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조치들은 그 자체로 1회 실현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 상에서 수회도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상기 조치들은 적합한 방식으로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적용 사례에 대한 의도된 매칭들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구현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 음향 분리는 축 방향 예비 연신을 통해 설정 가능한 감쇠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음향 효과와 관련한 최적화가 가능하다. 또한, 부품 다양성은 감소할 수 있다.
주파수에 따르는 강성 프로파일뿐만 아니라 주파수에 따르는 감쇠도 가능한 설정 가능성을 통해 동적 매칭될 수 있다. 설정 가능성은 특히 예비 연신 및 디자인, 특히 댐퍼 기하구조를 통해 가능하다. 그 결과, 설정 및 매칭 가능한 전달 함수가 주어진다.
기계적 진동들의 감쇠 외에도, 연료 분배기 상으로 유입되는 내연기관의 열 응력도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분배기와 관련한 더 향상된 재료 활용 및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공차 보상도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되는 구조 부재들의 허용 공차들은 경우에 따라 커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공차 개선(tolerance improvement)이 가능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더 경제적인 제조를 허용한다.
또한, 최소의 구조 부재 부하로의 최적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홀딩 부재, 디커플링 부재 및 연료 분배기에 관련된다.
연료 분배기에 대한 연결편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홀딩 부재는 각각의 적용 사례에 따라서 연료 분배기와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료 분배기의 구성 부품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홀딩 부재는 연료 분배기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연료 분배기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홀딩 부재는 연료 분배기에 납땜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디커플링 부재를 통한 바람직한 점탄성 분리부의 구현은 나사 형태의 고정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모듈, 밸브 커버, 캠 샤프트 기어 및 기타 장착부들과 같은, 기존 부착 부품들 내로 분리부의 스냅 결합, 클램핑 결합, 또는 통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상응하는 부재들이 일치하는 도면부호들로 표시되어 있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홀더 및 연료 분배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 및 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 6a에 도시된 디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의 스프링 특성곡선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도 7a에 도시된 디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의 스프링 특성곡선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 8a에 도시된 디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홀더의 스프링 특성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디커플링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1), 내연기관(2)의 일부분, 특히 실린더 헤드(2), 및 연료 분배기(3), 특히 연료 분배기 블록(3)이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홀더(1)는 고정 몸체(4), 고정 수단(5), 홀딩 부재(6) 및 디커플링 부재들(7, 8)을 포함한다. 고정 몸체(4)는 본 실시예에서 관통구(9)를 포함하고, 이 관통구를 통과하여 고정 수단(5)의 나사 볼트(10)가 연장된다. 나사 볼트(10)는 내연기관(2)의 나사 구멍(11) 내로 나사 조임된다. 또한, 고정 수단(5)은 나사 헤드(12)를 포함한다. 고정 수단(5)의 나사 헤드(12)는 고정 몸체(4)의 단부면(13)과 상호작용한다. 또한, 고정 몸체(4)는 추가 단부면(14)으로 내연기관(2)의 상면(15) 상에서 지지된다.
그에 따라, 내연기관(2) 상에 홀더(1)의 고정 몸체(4)의 확실한 고정이 주어진다. 이 경우, 디커플링 부재들(7, 8)은 고정 수단(5)으로부터 제공되는 고정력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 경우, 고정력은 소정의 한계 이내에서 임의의 크기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지지 부재(20) 및 예비 응력 부재(21)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20)는 환형 지지 부재(20)로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몸체(4)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비 응력 부재(21)는 환형 예비 응력 부재(21)로서 형성된다. 조립 동안, 예비 응력 부재(21)는, 경우에 따라, 디커플링 부재(7, 8)의 예비 응력을 달성하기 위해, 고정 몸체(4)의 축(22)을 따라서 포지셔닝될 수 있다. 축(22)은 본 실시예의 경우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 수단(5)의 종축(22)과 일치하는 관통구(9)의 종축(22)이다. 예비 응력 부재(21)는 적합한 방식으로, 예컨대 나사 결합, 용접 결합, 또는 납땜 결합을 통해 고정 몸체(4)와 연결될 수 있다.
디커플링 부재(7)는 환형 디커플링 부재(7)로서 형성된다. 디커플링 부재(8)는 환형 디커플링 부재(8)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디커플링 부재들(7, 8)은 축(22)에 대해 원주로 고정 몸체(4)를 에워싼다.
디커플링 부재들(7, 8)은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에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이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고정 몸체(4)에 대한 홀딩 부재(6)의 변위에 따르는 홀딩 부재(6)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홀딩 부재(6)는 디커플링 부재들(7, 8)뿐만 아니라 지지 부재(20) 및 예비 응력 부재(21)를 통해 고정 몸체(4) 상에 고정된다. 그 결과, 내연기관(2)에 연료 분배기(3)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고정 동안 상응하게 작용한다.
디커플링 부재(8)는 불룩한 형태로 형성되는 성형부들(23, 24)을 포함한다. 디커플링 부재(8)의 성형부(23)는 함몰부(25)로서 형성되는 홀딩 부재(6)의 성형부(25)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8)의 성형부(24)는 함몰부(26)로서 형성되는 설정 부재(21)의 성형부(26)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7)는 불룩한 형태로 형성되는 성형부(27)와, 함몰부(28)로서 형성되는 성형부(28)를 포함한다. 디커플링 부재(7)의 성형부(27)는 함몰부(29)로서 형성되는 지지 부재(20)의 성형부(29)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7)의 성형부(28)는 불룩한 형태로 형성되는 홀딩 부재(6)의 성형부(30)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 연결 외에도, 디커플링 부재(8)의 성형부들(23, 24) 및 디커플링 부재(7)의 성형부들(27, 28)을 통해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실현된다.
그에 따라, 디커플링 부재들(7, 8)의 강성은 형성부들을 통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커플링 부재들(7, 8)의 회전 대칭형 형성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비-회전 대칭형 형성들도 가능하다.
예비 응력 경로(preload path)는 고정 수단(5)의 고정력과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구현예에 따라서, 이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간 방향에서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예비 응력 부재(21) 대신, 복수의 예비 응력 부재도 이용될 수 있다. 설정 가능성은 하나의 예비 응력 부재를 통한 경우와 다른 방식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예비 응력은 연료 분배기(3)의 고정 영역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비 응력 부재(21) 등의 연결은 고정 몸체(4)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압력 끼워 맞춤 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히 디커플링 부재들(7, 8) 상에 작용하는 예비 응력은, 홀더(1), 특히 고정 몸체(4) 및 고정력을 생성하는 고정 수단(5)의 부재들의 공차들과 무관하다.
도 2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2) 및 홀더(1)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연기관(2)의 상면(15) 상에 고정 몸체(4)를 안착시키는 고정 몸체(4)의 추가 단부면(14)은 지지 부재(20) 상에서도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 부재(20) 상에 뿐만 아니라 예비 응력 부재(21) 상에도 안착되는 정확히 하나의 디커플링 부재(7)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홀딩 부재(6)의 성형부들(25, 30)은 함몰부들(25, 30)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의 성형부들(27, 28)은 불룩한 형태로 형성되며, 한편으로 홀딩 부재(6)의 성형부(25)와의 형상 끼워맞춤 결합부와 다른 한편으로는 홀딩 부재(6)의 성형부(30)와의 형상 끼워맞춤 결합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는 프로파일에서 예비 응력 부재(21)로부터 고정 몸체(4)의 외면(31)을 따라 지지 부재(20)에까지 연장된다. 이 경우, 디커플링 부재(7)의 일부분(32)은 홀딩 부재(6)와 고정 몸체(4) 사이의 절연을 직접 보장한다.
도 3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1)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8)는 프로파일에서 8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8)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성형부들(23, 24)은 홀딩 부재(6)의 함몰부(25) 및 예비 응력 부재(21)의 함몰부(26) 내로 각각 맞물린다. 또한, 예비 응력 부재(21)와 홀딩 부재(6) 사이에는 초기 상태에서 축(22)을 따르는 축 방향 높이(34)를 갖는 간극 폭을 갖는 간극(33)이 형성된다. 축 방향 높이(34)에 의해 규정되는 간극 폭을 통해, 디커플링 부재(8)의 부하와 관련한 연신 한계가 보장된다.
도 4에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디커플링 부재(7)는 예비 응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축(22)을 따라서 축 방향 두께를 갖는다. 이 경우, 디커플링 부재(7)는 원주방향(41)에서 축(22)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형인 횡단면(42)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횡단면(42)은 방사 방향(43)으로 연장되는 돌출부(44)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디커플링 부재(7)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가장자리(44)를 형성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7)는 안쪽에 위치하는 경사부(45)를 포함하며, 이 경사부는 고정 몸체(4)의 축(22)을 따라서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많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임의의 방사 방향(43)으로 디커플링 부재(7)를 가압할 때 항상 홀딩 부재(6)의 변위에 따라서 홀딩 부재(6)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유사한 상승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스프링 특성곡선의 형태는 선택된 방사 방향(43)과 무관하다.
도 5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면(48) 상에서 디커플링 부재(7)의 방사 방향 연장부(47)는 면(48) 상에서 디커플링 부재(7)의 방사 방향 연장부(49)와 다르다. 이 경우, 방사 방향 연장부(47)는 제 1 방사 방향(50)으로 관찰되는 한편, 방사 방향 연장부(49)는 제 2 방사 방향(51)으로 관찰된다. 그에 따라, 디커플링 부재(7)는,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 몸체(4)의 축(22)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제 1 방사 방향(50) 및 제 2 방사 방향(51)이 존재하고, 고정 몸체(4)에 대한 제 1 방사 방향(50)을 따르는 홀딩 부재의 변위에 대한 제 1 방사 방향(50)을 따라서 홀딩 부재(6)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제 1 스프링 특성 곡선과, 고정 몸체(4)에 대한 제 2 방사 방향(51)을 따르는 홀딩 부재(6)의 변위에 대한 제 2 방사 방향(51)을 따라서 홀딩 부재(6)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제 2 스프링 특성곡선은 서로 구별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강성이 비-회전 대칭형으로 사전 설정됨으로써, 방사 방향들(50, 51)에서 상이한 스프링 특성곡선들이 달성될 수 있다.
도 6a에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는 축(22)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들(52 ~ 58)(rib)을 포함한다. 이런 리브들(52 ~ 58)을 통해, 특히 횡방향 강성이 변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질 때, 리브들(52 ~ 58)은 우선 비교적 약하게 휘어지며, 이는 연성 거동(soft behavior)에 상응한다. 리브들(52 ~ 58) 사이의 중간 공간들이 소정의 정도로 멀리 가압된다면, 상대적으로 더 경성인 연신 거동이 발생한다. 이는 축(22)에 대한 기울어짐에도 관련된다.
도 6b에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 6a에 도시된 디커플링 부재(7)를 포함하는 홀더(1)에 대한 스프링 특성곡선(59)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가로 축에는 고정 몸체(4)에 대한 홀딩 부재(6)의 축 방향 변위(s)가 도시되어 있는 한편, 세로 축에는 홀딩 부재(6)에 작용하는 복원력(F)이 도시되어 있다. 변위(s)의 증가에 따라 스프링 강성은 우선 초과 비례적으로 상승하며, 이는 스프링 특성곡선(59)의 섹션(60)에 의해 분명하게 나타난다. 변위(61)부터 리브들(52 ~ 58) 사이의 중간 공간들은 어느 정도까지 멀리 가압되며, 그럼으로써 스프링 특성곡선이 선형으로 상승하는 스프링 특성곡선(59)의 섹션(61)이 발생하며, 이는 일정한 스프링 상수에 상응한다.
도 7a에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축(22)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평면(63)에 위치하는 디커플링 부재(7)의 횡단면(62)은 디커플링 부재(7)의 면(48)에서부터 그 면(64)으로 갈수록 적어도 크게 증가한다. 그 결과, 축(22)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홀딩 부재가 변위될 때, 홀딩 부재(6)에 작용하는 복원력(F)은 변위(s)에 따라 초과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도 7b에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도 7a에 도시된 디커플링 부재(7)를 포함하는 홀더(1)에 대한 스프링 특성곡선(59)이 도시되어 있다. 변위(s)에 따른 스프링 특성곡선(59)의 초과 비례적인 상승은 예시로서 도 7a에 도시된 디커플링 부재(7)의 성형부를 통해 가능한 것과 같은 거동을 나타낸다.
도 8a에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42)에 돌출부(44)가 제공되며, 이 돌출부는 디커플링 부재(7)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가장자리(44)를 형성한다. 축(22)을 따라서, 평면(63)에 위치하는 디커플링 부재(7)의 횡단면(62)은 면(48)에서부터 바깥쪽에 위치하는 가장자리(44)의 시작 부분까지 우선 증가한다. 가장자리(44)의 영역에서 축(22)을 따르는 횡단면(62)은 적어도 거의 일정하다.
도 8b에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 8a에 도시된 디커플링 부재(7)를 포함하는 홀더(1)에 대한 스프링 특성곡선(59)이 도시되어 있다. 축 방향 변위(s)의 증가에 따라, 우선 축 방향으로 홀딩 부재(6) 상에 작용하는 복원력(F)의 비교적 완만한 상승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큰 변위(s)에 상응하게 디커플링 부재(7)가 이미 강하게 압착된다면, 가장자리(44)를 포함하여 디커플링 부재(7)의 횡단면(62)에 대해 수렴하는 비교적 크고 유효한 횡단면으로 인해, 스프링 특성곡선의 급경사 섹션(61)에 의해 분명히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스프링 강성이 주어진다. 또한, 우선 약간의 상승을 나타내는 스프링 특성곡선의 섹션(50)과 급경사의 상승을 나타내는 섹션(61) 사이에 상응하는 전환 영역이 주어진다.
도 9에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는 면(48) 상에만 불룩한 형태의 성형부(28)를 포함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7)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사부(65)를 포함한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사부(65)와 면(64) 사이의 전환부는 에지 라운딩부(66)로서 형성된다.
도 10에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사부(65)를 포함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7)는 면(48) 상에만 함몰부로서 형성되는 성형부(28)를 포함한다.
도 11에는, 제 11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는 면(48) 상에만 불룩한 형태의 성형부(28)를 포함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7)는 단부면(64') 상에 챔퍼링된 단차부(67)를 포함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7)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 상에 에지 라운딩부(66)를 포함한다.
도 12에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 상에 에지 라운딩부들(66, 69)을 포함한다. 또한,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70) 상에는,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되는 챔퍼부들(71, 72)이 형성된다. 외부면(68) 상의 에지 라운딩부들(66, 69) 및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70) 상의 챔퍼부들(71, 72)은, 디커플링 부재(7)의 외부면들(68, 70)이 면들(48, 64)에 인접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면들의 가장자리 상에서 리세스들(66, 69, 71, 72)을 나타낸다.
도 13에는, 제 13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사부(65)를 포함하고, 이 경사부는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연장부(40)의 반보다 더 많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사부(65)를 통해, 리세스는 디커플링 부재(7)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리세스(65)가 면(64)에 인접하기 때문이다. 또한,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70) 상에는,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70)의 가장자리 상에서 리세스(73)를 형성하는 에지 라운딩부(73)가 형성된다.
도 14에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70) 상에는 에지 라운딩부들(73, 74)이 제공된다. 또한,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 상에는, 외부면(68)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세스(75)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리세스(75)는 면들(48, 64)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15에는, 제 15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면(64) 쪽으로 연장되는 안쪽에 위치하는 경사부(45)가 제공된다. 안쪽에 위치하는 경사부(45)는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더 많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도 16에는, 제 16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7)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 상에 챔퍼부들(76, 77)을 포함한다. 이 경우, 챔퍼부들(76, 77)은 각각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또한, 디커플링 부재(7)는 면들(48, 64) 상에 각각 하나의 챔퍼링된 단차부(67, 78)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단차형 단부면들(64', 48')이 형성된다.
도 17에는, 제 17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 상에 챔퍼부(77)가 형성되며, 이 챔퍼부는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되고 면(48)에 인접한다. 또한,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70) 상에는 챔퍼부(72)가 형성되며, 이 챔퍼부는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되고 마찬가지로 면(48)에 인접한다. 그에 따라, 외부면들(68, 70)의 각각의 가장자리 상에는 충분한 리세스들(72, 77)이 형성된다. 또한, 챔퍼부(76)는 면(64)과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 사이에 제공된다.
도 18에는, 제 18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 상에는 챔퍼부들(71, 72)이 형성되며, 이 챔퍼부들은 면(48) 및 면(64) 쪽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 경우, 챔퍼부들(71, 72)은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각각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또한, 에지 라운딩부들(66, 69)이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 상에 형성된다.
도 19에는, 제 19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 상에는 챔퍼부들(76, 77)이 형성된다. 또한,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70) 상에는 단차부(79)가 제공되며, 이 단차부는 본 실시예의 경우 챔퍼링된 단차부(79)로서 형성된다. 또한, 에지 라운딩부(73)는 면(48) 쪽으로 제공된다.
도 20에는, 제 20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부면(64') 상에는 챔퍼부(76)가 형성되며, 이 챔퍼부는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또한,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68)과 단부면(48') 사이의 전환부를 형성하는 에지 라운딩부(69)가 제공된다. 또한, 단부면(48') 상에는 챔퍼링된 단차부(78)가 형성된다. 챔퍼부(76) 및 단차부(78)는 접촉 상대 부재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발생하는 반작용들은 각도에 따라서 설정된다.
도 21에는, 제 21 실시예에 따른 홀더(1)의 디커플링 부재(7)가 발췌된 개략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부면(48') 상에는 챔퍼부(77)가 형성되고, 이 챔퍼부는 디커플링 부재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된다. 또한, 단부면(64') 상에는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최소한 반에 걸쳐서 연장되는 경사부(45)가 형성된다. 챔퍼부(77)와 경사부(45)는 도 20과 유사하게 각각의 접촉 상대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경우에 따라 수회도 실현되고 다른 방식으로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는 디커플링 부재(7)를 형성할 수 있는 수많은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그 결과, 디커플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에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커플링 부재(7)의 리세스(65, 66, 69, 71, 72, 73, 74, 76, 77) 또는 단부면(48', 64')은 홀딩 부재(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대 부재(20, 21), 특히 지지 부재(20) 및/또는 예비 응력 부재(21)에 의해 접촉을 통해 지지된다. 이 경우, 지지는 디커플링 부재(7)의 리세스(65, 66, 69, 71, 72, 73, 74, 76, 77) 또는 단부면(48', 64")의 접촉면 상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기재한 실시예들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1: 홀더
2: 내연기관
3: 연료 분배기
4: 고정 몸체
5: 고정 수단
6: 홀딩 부재
7: 디커플링 부재
8: 디커플링 부재
9: 관통구
10: 나사 볼트
11: 나사 구멍
12: 나사 헤드
13: 단부면
14: 추가 단부면
15: 상면
20: 지지 부재
21: 상대 부재, 예비 응력 부재
22: 고정 몸체의 축, 종축
23: 성형부
24: 성형부
25: 성형부
26: 상대 부재, 성형부
27: 성형부
28: 성형부
29: 성형부
30: 성형부
31: 고정 몸체의 외면
32: 디커플링 부재(7)의 일부분
33: 간극
34: 축 방향 높이
40: 축 방향 두께, 축 방향 연장부
41: 원주방향
42: 횡단면
43: 방사 방향
44: 돌출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45: 경사부
47: 방사 방향 연장부, 방사 방향 접촉 부분
48: 면
48': 단부면
49: 방사 방향 연장부, 방사 방향 접촉 부분
50: 제 1 방사 방향
51: 제 2 방사 방향
52 ~ 58: 리브
59: 스프링 특성곡선
60: 섹션
61: 변위, 섹션
62: 횡단면 표면
63: 평면
64: 면
64': 단부면
65: 리세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사부
66: 리세스, 에지 라운딩부
67: 챔퍼링된 단차부
68: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부면
69: 리세스, 에지 라운딩부
70: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면
71: 리세스, 챔퍼부
72: 리세스, 챔퍼부
73: 리세스, 에지 라운딩부
74: 리세스, 에지 라운딩부
75: 리세스
76: 리세스, 챔퍼부
77: 리세스, 챔퍼부
78: 챔퍼링된 단차부
79: 챔퍼링된 단차부
F: 복원력
s: 변위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디커플링 부재(7, 8), 고정 몸체(4), 고정 수단(5), 및 홀딩 부재(6)를 포함하여 내연기관(2)에 컴포넌트(3)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1)로서, 상기 고정 몸체(4)는 상기 고정 수단(5)에 의해 상기 내연기관(2)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홀딩 부재(6)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를 통해 상기 고정 몸체(4)에 고정되는, 상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는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에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상기 고정 몸체(4)에 대한 상기 홀딩 부재(6)의 변위(s)와 상기 홀딩 부재(6) 상에서 작용하는 복원력(F)의 의존성을 나타내고,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는, 상기 고정 몸체(4)의 축(22)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제 1 방사 방향(50) 및 제 2 방사 방향(51)이 존재하고, 이들 방사 방향에 대해, 상기 고정 몸체(4)에 대한 상기 제 1 방사 방향(50)을 따르는 상기 홀딩 부재(6)의 변위(s)와 상기 제 1 방사 방향(50)을 따라서 상기 홀딩 부재(6) 상에서 작용하는 복원력(F)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제 1 스프링 특성곡선과, 상기 고정 몸체(4)에 대한 상기 제 2 방사 방향(51)을 따르는 상기 홀딩 부재(6)의 변위(s)와 상기 제 2 방사 방향(51)을 따라서 상기 홀딩 부재(6) 상에서 작용하는 복원력(F)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제 2 스프링 특성 곡선이 서로 구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 하나 이상의 디커플링 부재(7, 8), 고정 몸체(4), 고정 수단(5), 및 홀딩 부재(6)를 포함하여 내연기관(2)에 컴포넌트(3)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1)로서, 상기 고정 몸체(4)는 상기 고정 수단(5)에 의해 상기 내연기관(2)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홀딩 부재(6)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를 통해 상기 고정 몸체(4)에 고정되는, 상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는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에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상기 고정 몸체(4)에 대한 상기 홀딩 부재(6)의 변위(s)와 상기 홀딩 부재(6) 상에서 작용하는 복원력(F)의 의존성을 나타내고,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는 상기 홀딩 부재(6)의 성형부(25, 30)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부(23, 28)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8)는 상기 고정 몸체(4)와 연결되는 예비 응력 부재(21)의 성형부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 하나 이상의 디커플링 부재(7, 8), 고정 몸체(4), 고정 수단(5), 및 홀딩 부재(6)를 포함하여 내연기관(2)에 컴포넌트(3)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1)로서, 상기 고정 몸체(4)는 상기 고정 수단(5)에 의해 상기 내연기관(2)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홀딩 부재(6)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를 통해 상기 고정 몸체(4)에 고정되는, 상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는 하나 이상의 공간 방향에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상기 고정 몸체(4)에 대한 상기 홀딩 부재(6)의 변위(s)와 상기 홀딩 부재(6) 상에서 작용하는 복원력(F)의 의존성을 나타내고,
    상기 디커플링 부재(7)는 하나 이상의 단부면(48', 64') 상에서 상기 고정 몸체(4)의 축(22)에 대해 원주방향(41)으로 변하는 접촉 기하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의 단부면(48', 64') 상의 상기 접촉 기하구조는 상기 원주방향(41)으로 구획화되고, 및/또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7)의 단부면(48') 상의 상기 접촉 기하구조의 방사 방향 접촉 부분(47, 49)은 상기 원주방향(41)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는 적어도 축 방향에서 상기 고정 몸체(4)의 축(22)을 따라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상기 고정 몸체(4)에 대한 상기 고정 몸체(4)의 축(22)을 따르는 상기 홀딩 부재(6)의 변위(s)와 상기 고정 몸체(4)의 축(22)을 따라서 상기 홀딩 부재(6) 상에서 작용하는 복원력(F)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 8)는 상기 고정 몸체(4)의 축(22)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적어도 방사 방향(43)에서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이 사전 설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선형 스프링 특성곡선은 상기 고정 몸체(4)에 대한 상기 방사 방향(43)을 따르는 상기 홀딩 부재(6)의 변위(s)와 상기 방사 방향(43)을 따라서 상기 홀딩 부재(6) 상에서 작용하는 복원력(F)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의 외부면(68, 70)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7)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7)의 외부면(68) 내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의 외부면(68, 70)의 가장자리 상의 상기 리세스는 에지 라운딩부(66, 69, 73, 74)로서, 상기 고정 몸체(4)의 축(22)을 따라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반보다 더 작은 부분에 걸쳐서 연장되는 챔퍼부(71, 72, 76, 77)로서, 또는 상기 고정 몸체(4)의 축(22)을 따라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의 축 방향 두께(40)의 최소한 반에 걸쳐서 연장되는 경사부(45, 65)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는 하나 이상의 외부면(68, 70) 상에 하나 이상의 단차부(79)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7)는 하나 이상의 단부면(48', 64') 상에 하나 이상의 단차부(67, 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7)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7)의 상기 리세스 상에서 또는 단부면(48', 64') 상에서 상기 홀딩 부재(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대 부재(21, 2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11. 삭제
KR1020157030461A 2013-04-23 2014-02-26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KR102179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7367.4 2013-04-23
DE102013207367.4A DE102013207367A1 (de) 2013-04-23 2013-04-23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Brennstoffverteiler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PCT/EP2014/053685 WO2014173560A1 (de) 2013-04-23 2014-02-26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brennstoffverteiler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17A KR20160002817A (ko) 2016-01-08
KR102179020B1 true KR102179020B1 (ko) 2020-11-16

Family

ID=5017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461A KR102179020B1 (ko) 2013-04-23 2014-02-26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14635B2 (ko)
EP (1) EP2989317B1 (ko)
KR (1) KR102179020B1 (ko)
CN (1) CN105121830B (ko)
DE (1) DE102013207367A1 (ko)
WO (1) WO2014173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6880B (en) * 2019-09-09 2022-03-23 Delphi Tech Ip Ltd Common rail mounting arrang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2519A (en) 1986-12-24 1988-03-22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ssembly with axial play
DE19654848A1 (de) * 1995-12-23 1997-06-26 Bergner Richard Gmbh Co Montageteil mit schwingungsgedämpftem Befestigungsloch
US20110073074A1 (en) * 2009-09-29 2011-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assembly including cam cover mounted fuel rai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00990U (de) * 1959-06-25 1959-11-26 Anton Klocke Elastisches lager fuer maschinen, geraete od. dgl.
JPS5856344Y2 (ja) * 1975-11-18 1983-12-26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ナイネンキカンノシヤオンカバ−
US4952107A (en) * 1981-03-11 1990-08-28 Dupree, Inc. Captive panel screw assembly
DE3544423A1 (de) * 1985-12-16 1987-06-19 Hilti Ag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gegenstaenden an einem untergrund
DE3707424A1 (de) * 1987-03-07 1988-09-15 Hilti Ag Befestigungselement mit nagel und huelse
US4934888A (en) * 1987-12-28 1990-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Fastener retainer assembly
US5044338A (en) * 1990-01-23 1991-09-03 Siemens Automotive L.P. Fuel rail vibration damper
US5020951A (en) * 1990-10-05 1991-06-04 Smith David G Fastener assembly
US5094579A (en) * 1990-10-19 1992-03-10 Johnson H Thad Fastener and grommet assembly providing axial play
US5290132A (en) * 1993-02-11 1994-03-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Plastic flash screw clip arrangement
US5397206A (en) 1994-03-15 1995-03-14 Chrysler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ng fastener
FR2735818B1 (fr) * 1995-06-26 1997-07-18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un element appartenant a un mecanisme d'essuie-glace sur la caisse d'un vehicule automobile
JP2003014041A (ja) * 2001-06-28 2003-01-15 Asmo Co Ltd フローティング支持構造
US6591801B1 (en) * 2002-06-11 2003-07-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gine cover balanced isolated support and seal
US7591246B2 (en) * 2006-01-17 2009-09-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solated fuel delivery system
US7793639B2 (en) * 2008-09-25 2010-09-14 Hitachi, Ltd. Apparatus for reducing the transmission for noise from the fuel rail in a direct injection engine
US20100202856A1 (en) 2009-02-12 2010-08-12 Acument Intellectual Properties, Llc Isolator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EP2495427B1 (en) * 2011-03-04 2015-01-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oupling device
US8875681B2 (en) * 2011-10-28 2014-11-04 Robert Bosch Gmbh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DE102012204845A1 (de) * 2012-03-27 2013-10-02 Robert Bosch Gmbh Halter zur Befestigung einer Komponente an einer Brennkraftmaschine, Lagerbuchse für solch einen Halter und Brennstoffeinspritzanlage
DE102012206911A1 (de) * 2012-04-26 2013-10-31 Robert Bosch Gmbh Halter zur Befestigung einer Komponente a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2206904A1 (de) * 2012-04-26 2013-10-31 Robert Bosch Gmbh Halter zur Befestigung einer Komponente an einer Brennkraftmaschine
US8844502B2 (en) * 2012-07-24 2014-09-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rail mou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2519A (en) 1986-12-24 1988-03-22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ssembly with axial play
DE19654848A1 (de) * 1995-12-23 1997-06-26 Bergner Richard Gmbh Co Montageteil mit schwingungsgedämpftem Befestigungsloch
US20110073074A1 (en) * 2009-09-29 2011-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assembly including cam cover mounted fuel rail
CN102032083A (zh) 2009-09-29 2011-04-2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公司 包括安装有凸轮罩的燃料轨的发动机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69315A1 (en) 2016-03-10
KR20160002817A (ko) 2016-01-08
WO2014173560A1 (de) 2014-10-30
CN105121830B (zh) 2020-12-25
US9714635B2 (en) 2017-07-25
DE102013207367A1 (de) 2014-10-23
EP2989317A1 (de) 2016-03-02
CN105121830A (zh) 2015-12-02
EP2989317B1 (de)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411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8800534B2 (en)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US8844502B2 (en) Fuel rail mount
US10041460B2 (en) System having a fuel distributor and multiple fuel injectors
KR102075333B1 (ko)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는 홀더
KR102072363B1 (ko)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KR20140010969A (ko) 결합 디바이스
US20160290279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cylinder head
KR102071854B1 (ko)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상기 홀더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KR102179020B1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KR102074655B1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
US9938947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KR102071856B1 (ko) 특히 연료 분사 장치용 다편 절연 부재
JP6428403B2 (ja) 燃料噴射装置
KR102179625B1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그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US9429121B2 (en) System having a fuel distributor and a holder
US20140203111A1 (en) Fuel injection system having a fuel-carrying component, a fuel injector and a connecting element
KR101608252B1 (ko) 차량용 내연기관 연료공급장치
FR3091915B1 (fr) « Pièce métallique pour un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et ensemble comportant une telle pièce »
KR20200067762A (ko) 연료 분사 밸브
KR20200032110A (ko) 연료 분사 밸브
WO2016011100A1 (en) Isolation unit for fuel rail
KR20150048562A (ko) 차량용 내연기관 연료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