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010A -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010A
KR20140136010A KR1020147027082A KR20147027082A KR20140136010A KR 20140136010 A KR20140136010 A KR 20140136010A KR 1020147027082 A KR1020147027082 A KR 1020147027082A KR 20147027082 A KR20147027082 A KR 20147027082A KR 20140136010 A KR20140136010 A KR 2014013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retainer
bearing
bearing bush
d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363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레발트
마티아스 메쓰
괴칸 귄괴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3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0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arts, the movement of which is damped
    • F02M2200/306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arts, the movement of which is damped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7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ounting fuel or common rail to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5Flexibly connected rigid members
    • Y10T403/451Rigid sleeve encompasses flexible b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 구조(6)에 부품(31), 특히 연료 분배기(31)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리테이너(1)를 위해 사용되는 베어링 부시(2)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 부시(2)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내측 부시부(7), 금속 재료로 형성된 외측 부시부(8) 및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9)를 포함한다. 외측 부시부(8)는 관통 리세스(20)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내에 내측 부시부(7)가 배치된다. 댐핑 부재(9)는 내측 부시부(7)와 외측 부시부(8)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베어링 부시(2)를 포함하는 리테이너(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연료 분배기(31), 및 내연기관(6)에 연료 분배기(31)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1, 1A, 1B)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3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RETAINER FOR FASTENING A COMPONENT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EARING BUSH FOR SUCH A RETAINER, AND FUEL INJECTION SYSTEM}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적어도 하나의 부품, 특히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US 7,682,117 B2호에는 연료의 직접 분사를 위한 연료 분사 시스템의 연료 분배기 블록을 내연기관에 연결하기 위한 절연 리테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서로를 향한, 예비 응력 제한기로서 사용되는 클램핑 부재들이 제공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들에 각각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댐핑 링이 할당된다. 클램핑 부재들 사이의 갭에 의해 고정 시 축 방향 예비 응력 경로가 제한된다.
US 7,682,117 B2호에 개시된 리테이너에서 2개의 금속 슬리브와 조합하여 댐핑하기 위한 2개의 링형 엘라스토머 부품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예비 응력이 제한된다. 이때 제한은 규정된 갭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나사 결합 시 갭이 메워지고, 링형 엘라스토머 부품들은 예비 응력을 받는다. 축 방향 강성 및 미리 정해진 갭 높이에 의해 엘라스토머 부품들의 클램핑력 또는 예비 응력이 조절될 수 있다. 금속 슬리브들이 완전히 접촉되면, 추가의 나사 예비 응력이 엘라스토머 부품들 내로 도입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 부품들 내로 도입된다. 이로 인해 너무 높은 조임 모멘트에서 엘라스토머 부품들의 과도한 팽창 및 파괴가 방지된다.
US 7,682,117 B2호에 개시된 예비 응력 및 나사 예비 응력의 분리를 위한 작동 원리는 여러 단점들을 갖는다. 엘라스토머 부품들은 축 방향 최소 클램핑력을 보장하기 위해, 컨셉에 따라 높은 예비 응력 또는 예비 팽창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조립 후에 엘라스토머 부품들의 상당한 예비 부하가 발생한다. 또한, 엘라스토머 부품들 및 금속 슬리브의 개별 부품 공차, 특히 높이 치수로 인해, 엘라스토머 부품들 내에서 공차에 기인한, 예비 팽창의 변동이 나타난다. 특히 얇은 엘라스토머 부품들은 이 경우 이러한 공차 체인에 대해서 매우 민감하고, 이로써 해석의 범위가 사라진다. 공차로 인해 가장 심하게 예비 응력을 받는 최대-한계 샘플은 특히 균열 위험이 있는 한편, 상응하는 최소-한계 샘플은 내연기관에 대해서 작은 클램핑력을 야기한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가요성 엘라스토머 부품들의 사용도 가능한데, 그 이유는 작동력의 도입과 관련해서 연료 분배기 및 분사 밸브들의 이러한 높은 준정적 변위가 발생하기 때문이고, 이는 또한 연료 분사 밸브드의 밀봉부의 마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단점으로서, 엘라스토머 부품들과 금속 슬리브들 사이의 경계층에 있는 엘라스토머 재료는 강성 금속 표면에 대해 접선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접촉면에서 엘라스토머의 심한 마모 및 엘라스토머 부품들의 높은 파손 위험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수명에 걸쳐 진동 댐핑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베어링 부시, 청구항 제 8 항에 따른 리테이너 및 청구항 제 13 항에 따른 연료 분사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시, 청구항 제 8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 및 청구항 제 13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시스템은, 수명에 걸쳐 향상된 진동 댐핑이 보장되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선행기술의 제시된 단점들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부품들, 특히 연료 분배기와 내연기관 사이의 진동 기술적 디커플링이 보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음 방출이 감소할 수 있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베어링 부시, 청구항 제 8 항에 제시된 리테이너 및 청구항 제 13 항에 제시된 연료 분사 시스템의 바람직한 개선들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사용 분야는 혼합물 압축형 외부 점화식 내연기관이다. 바람직한 응용 분야는 가솔린 직접 분사이다. 이 경우 연료 분배기는 연료 분배기 블록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연료 분배기는 다수의 고압 분사 밸브들을 위한 공통의 연료 저장 장치로서 사용된다. 연료 분배기에 연결된 분사 밸브들은 작동 시 연소 과정을 위해 필요한 고압 상태의 연료를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분사한다. 이를 위해 연료는 먼저 고압 펌프에 의해 압축되고, 유량 조절되어 고압 라인을 통해 연료 분배기 내로 송출된다. 작동 시, 연료 분배기가 가청 주파수 범위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특히 연료 분사 시스템의 구성 부분인 분사 밸브 내의 소음원에 의해 생긴다. 고체 전달 음은 이 경우 예를 들어 분사 밸브로부터 레일 컵, 연료 분배기 및 리테이너를 통해 부착 구조로 전파되고, 거기에서부터 간섭 소음이 방출될 수 있고, 상기 소음은 경우에 따라서 차량의 내부에까지 도달할 수 있다. 부착 구조는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이다. 그러나 이 경우 스페이서 슬리브를 통한 또는 다른 연결 부재들을 통한 연료 분배기의 연결도 가능하다. 가청 주파수 범위의 진동 발생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부시에 의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명에 걸쳐 고체 전달 음 전달의 확실한 감소가 보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부시는 개별부들이 서로 결합된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취급과 조립을 간단하게 한다. 또한, 이로써 구조에 따라 내측 부시부, 외측 부시부 및 댐핑 부재의 규정된 위치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예는 리테이너의 리테이너 바디와 베어링 부시의 바람직한 연결도 가능하게 한다.
내측 부시부와 외측 부시부는 바람직하게 서로 끼워진 2개의 금속 슬리브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금속 슬리브들는 하나의 몰드 내로 삽입된다. 후속해서 플라스틱, 특히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이 몰드 내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내측 부시부와 외측 부시부 사이의 간극이 채워진다. 예를 들어 가류(vulcanization) 공정과 같은 특수한 제조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댐핑 부재, 특히 엘라스토머 파티션의 재료가 금속 표면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형 후에,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부시부들과 댐핑 부재는 금속 부시부들과 댐핑 부재로 이루어진 하나의 부품을 형성한다. 금속 재료와 댐핑 부재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 사이의 접촉면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접합점은 이 실시예에서 특히 높은 내마모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는 처음에는 예비 응력을 받지 않는다. 조립된 상태에서도 댐핑 부재는 반드시 나사의 힘을 흡수하지 않아도 되는데, 그 이유는 고정 수단, 특히 나사와 댐핑 부재 사이의 힘 전달이 내측 부시부를 통해 완전히 내연기관으로 안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댐핑 부재는 내측 부시부와 외측 부시부 사이의 금속 접촉을 방지하므로, 부품들, 특히 연료 분배기와 내연기관 사이의 완전한 탄성 절연이 보장된다. 모든 공간 방향으로의 절연 효과는,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의 재료가 높은 재료 댐핑 성능을 가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수 십분의 일 밀리미터일 수 있는 댐핑 부재의 매우 작은 층 두께에서도 상당한 절연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의 층 두께는 1 mm보다 작게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댐핑 부재가 내측 부시부 및 외측 부시부와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또한, 댐핑 부재가 가류 공정에 의해 내측 부시부 및 외측 부시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댐핑 부재는 적어도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를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댐핑 부재의 작은 층 두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부시부는 관통 리세스에 숄더를 갖고, 내측 부시부는 관통 리세스에 외측 부시부의 숄더에 할당된 숄더를 갖고, 내측 부시부는 내측 부시부의 숄더에서 댐핑 부재에 의해 외측 부시부의 숄더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댐핑 부재를 형성하는 엘라스토머 층 또는 이와 같은 것의 바람직한 윤곽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댐핑 부재의 윤곽은 이 경우 전술한 제조 공정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부시부들 사이의 숄더에 의해 부시부들 상호 간의 허용되지 않은 높은 상대 운동은 축방향 부하 하에서 제한될 수 있으므로, 댐핑 부재, 특히 엘라스토머 층 내의 과도한 전단과 그에 따른 파괴가 방지된다.
또한, 내측 부시부와 외측 부시부가 관통 리세스에 서로 조정된 지지 윤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추가로 축방향 횡단면 변경이 사전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횡단면 변경에 의해 금속 부시부들과 층으로서, 특히 엘라스토머 층으로서 형성된 댐핑 부재 사이의 축방향 접촉면들이 전체적으로 커진다. 이로 인해 작동력 도입 하에 댐핑 부재의 전단 마모 방지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지지 윤곽은 바람직하게 베어링 부시의 길이방향 축 둘레에 링형으로 형성된다. 서로 조정된 지지 윤곽들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 홈 및 홈에 할당된 리브 또는 라멜라 및/또는 서로 할당된 숄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홈, 리브, 라멜라 또는 숄더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 부시부들에 링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이러한 지지 윤곽들 중 다수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윤곽들은 이 경우 상이하거나 반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리테이너의 형성을 위해 베어링 부시는 바람직하게 리테이너의 리테이너 바디에 연결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베어링 부시의 외측 부시부는 리테이너 바디에 연결되고, 이 경우 바람직한 접합 컨셉이 사용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가 납땜로를 통과할 때 파괴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결합을 위한 경질 납땜이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부시의 외측 부시부는 리테이너 바디 내로 압입된다. 이는, 다수의 베어링 부시의 사용 시 베어링 부시들이 기준에 대해 압입될 수 있거나 기준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추가 장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기준 평면에 대해서 리테이너의 양호한 평탄화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평탄하지 않은 리테이너 위치에서 조립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 나타나는 댐핑 부재의 추가 예비 부하가 적어도 거의 방지되는 장점이 나타난다. 충분한 압축 길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접합 방법은 베어링 부시의 중실의, 특히 몰딩된 부시부들과 조합 시 적합하다.
또한, 베어링 부시의 외측 부시부가 리테이너 바디에 코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측 부시부는 압입 또는 코킹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압입은 후속하는 코킹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더 작은 압축 길이가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 경우 리테이너 바디의 바람직하게 더 얇은 지지 섹션이 외측단까지 베어링 부시에 가압될 수 있다. 다이의 가압에 의해 상부 에지 영역 내의 재료는 리테이너 바디의 지지 섹션의 상부면에 걸쳐 소성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더 작은 압축 길이를 갖는 베어링 부시의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베어링 부시의 외측 부시부는 나사 부재를 통해 리테이너 바디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부재는 특히 너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 부시의 외측 부시부는 외부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효과적인 클램핑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나사 부재, 특히 너트가 링형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연결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부시의 외측 베어링부는 리테이너 바디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용접은 가압과 조합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레이저 용접 시, 국부적인 열 도입이 댐핑 부재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의 파괴를 야기하지 않는 것이 고려된다. 연속로에 의한 용접과 달리, 레이저 용접 시 국부적인 열 도입은 양호하게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시임은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실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라인 시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다수의 장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연료 분배기로부터 부착 구조 내로, 특히 내연기관 내로 소음 전달은 강성 나사 결합에 비해 감소한다.
연료 분배기의 진동은 더 강하게 댐핑될 수 있고, 이로써 연료 분배기의 표면으로부터 음 방출이 감소한다.
연료 분배기와 고압 분사 밸브들의 진동 부하는 내연기관의 진동 부하로 인해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방향으로 진동 전달도 댐핑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부품들의 설계 및 신뢰성과 관련해서 장점이 주어진다.
가류 공정에 의해 댐핑 부재를 형성하는 엘라스토머 층 또는 유사한 층이 특히 양호하게 금속 부시부들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접선 상대 운동이 방지된다. 또한, 접촉면에서 균열 형성 위험 및 마모 위험이 감소한다.
예비 응력을 제한하는 예비 응력 부재들 또는 슬리브들 및 이들 사이에 삽입된 절연체의 사용과 달리, 연료 분배기가 외측 부시부를 통해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댐핑 부재와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된 상태에서 나사 예비 응력으로부터 나타나는 부하가 댐핑 부재에 작용하지 않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특히 내마모성 디자인이 주어지고, 강한 예비 응력 상태에서보다 훨씬 더 낮은 파괴 위험이 나타난다.
또한 예비 응력 부재 및 삽입된 절연체의 사용에 비해 부품들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댐핑 부재의 형태는 제조 기술적인 가능성과 관련해서 임의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는 바람직하게 고무로 형성된다. 고무라는 표현은 이 경우 포괄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고무란 천연고무 및 합성 변형물일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재료로 댐핑 부재의 형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고려된다. 순수 열가소성 수지의 사용도 가능하다. 댐핑 부재가 순수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는 경우에, 양호하지 않은 댐핑 특성이 나타나지만, 안정성 및 그에 따라 내구성은 개선된다.
가류 공정에 의한 금속 부시부들과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 사이의 재료 결합 방식의 결합은 고무로 형성 시 바람직하게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상응하는 부재들이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에 부품들의 고정을 위한 베어링 부시를 포함하는 리테이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 분사 시스템 및 내연기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시를 포함하는 리테이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시를 포함하는 리테이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시를 포함하는 리테이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시(2)를 포함하는 리테이너(1)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리테이너(1)는 고정 수단(3)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이 실시예에서 나사(3)로서 형성된다. 고정 수단(3)은 헤드(4) 및 볼트(나사 볼트;5)를 포함한다. 고정 수단(3)에 의해 베어링 부시(2)는 부착 구조(5)에 고정된다. 부착 구조(6)는 이 실시예에서 내연기관(6), 특히 내연기관(6)의 실린더 헤드(6)이다.
베어링 부시(2)는 내측 부시부(7)와 외측 부시부(8)를 포함한다. 또한, 베어링 부시(2)는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9)를 포함한다.
부시부들(7, 8)은 각각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이 경우 부시부들(7, 8)은 동일한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9)는 바람직하게 고무, 즉 엘라스토머 층으로 형성된다. 특히 댐핑 부재(9)는 합성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로 형성됨으로써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9)를 형성하는 층은 한편으로는 내측 부시부(7)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측 부시부(8)와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9)는, 한편으로는 얇은 층으로서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측 부시부(7)와 외측 부시부(8)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내측 부시부(7)와 외측 부시부(8) 사이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내측 부시부(7)는 베어링 부시(2)의 길이방향 축(10)을 따라 외측 부시부(8) 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내측 부시부(7)는 길이방향 축(10)을 따라 하나 또는 2개의 면에서 외측 부시부(8)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부시부들(7, 8) 사이에 배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9)는 부착 구조(6)에 리테이너(1)의 조립 시 작은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나사(3)의 헤드(4)가 전체적으로 내측 부시부(7)의 상부면(11)에 지지되기 때문이고, 이 경우 내측 부시부(7)의 하부면(12)은 또한 부착 구조(6)의 지지면(13)에 지지된다. 이로써 조립도 간단해지는데, 그 이유는 나사(3)의 실제 회전 모멘트와 설정 회전 모멘트의 편차가 댐핑 부재(9)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리테이너(1)는 발췌 도시된 리테이너 바디(14)를 갖는다. 베어링 부시(2)는 적절한 방식으로 리테이너 바디(14)에 연결된다. 베어링 부시(2)와 리테이너 바디(14)의 연결의 가능한 실시예들은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된다.
외측 부시부(8)는 관통 리세스(20)를 포함한다. 관통 리세스(20)는 특히 스탭 보어(20)로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부시부(8)는 관통 리세스(20)에 숄더(21)를 갖는다. 내측 부시부(7)는 관통 리세스(20)에 숄더(22)를 갖는다. 내측 부시부(7)의 숄더(22)는 외측 부시부(8)의 숄더(21)에 할당된다. 베어링 부시(2)의 제조 시 부시부들(7, 8)은 서로 위치 설정되고, 이 경우 관통 리세스(20)에 2개의 부시부들(7, 8) 사이의 갭이 남는다. 상기 갭은 댐핑 부재(9)의 재료, 특히 고무로 충전된다. 특히 갭 내로 재료의 주입이 가능하다. 댐핑 부재(9)는 특히 숄더(21, 22) 사이에 배치되므로, 내측 부시부(7)의 숄더(22)는 댐핑 부재(9)에 의해 외측 부시부(8)의 숄더(21)에 지지된다. 작동 시 발생하는 외측 부시부(8)와 내측 부시부(7) 사이의 상대 운동은 숄더(21, 22)에서 상호 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한된다. 댐핑 부재(9)가 바람직하게 재료 결합 방식으로 부시부들(7, 8)과 결합되기 때문에, 부시부들(7, 8) 사이의 상대 운동의 효과적인 제한이 이루어진다. 고무로 댐핑 부재(9)의 형성 시 댐핑 부재는 가류 공정에 의해 내측 부시부(7) 및 외측 부시부(8)와 결합된다.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시(2)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내측 부시부(7)와 외측 부시부(8)는 관통 리세스(20)에 서로 조정된 지지 윤곽(23, 24)을 갖는다. 외측 부시부(8)의 지지 윤곽(24)은 이 실시예에서 홈(24)으로서 형성된다. 내측 부시부(7)의 지지 윤곽(23)은 홈(24)에 할당된 리브(23)로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층(9)의 상응하는 형상이 주어지고, 상기 형상은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9)를 형성한다. 이로써 기계적 부하의 흡수가 개선된다. 이로 인해 베어링 부시(2)의 구성 부분들의 결속이 개선된다. 지지 윤곽(23, 24)은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축(10)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된다.
지지 윤곽(23)은 라멜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윤곽(23, 24)은 숄더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 분배기(31)와 리테이너(1, 1A, 1B)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30)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연료 분사 시스템(30)은 이 경우 내연기관(6)에 고정된다. 고정은 이 경우 리테이너(1, 1A, 1B)에 의해 보장된다. 리테이너(1, 1A, 1B)는 리테이너 바디(14, 14A, 14B)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 각각 하나의 지지 섹션(32, 32A, 32B)이 형성된다. 리테이너(1, 1A, 1B)는 또한 베어링 부시(2, 2A, 2B)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베어링 부시(2, 2A, 2B)의 길이방향 축(10, 10A, 10B)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각각 내연기관(6)의 지지면(13)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다. 고정은 고정 수단(3;도 1)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수단은 편의상 도 3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3에 의해 설명된 고정에 따라 연료 분배기(31)와는 다른 부품들(31)도 내연기관(6) 또는 다른 부착 구조(6)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리테이너(1, 1A, 1B)가 사용될 수 있다. 부착 구조(6)의 실시예에 따라 길이방향 축(10, 10A, 10B)은 다른 방식으로도 서로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부시(2, 2A, 2B)는 리테이너 바디(14, 14A, 14B)의 관련 지지 섹션(32, 32A, 32B) 내로 압입된다. 이 경우 압입 깊이에 의해 지지면(13)에 대해서 공차 보상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지지면(13)에 대한 지지 섹션들(32, 32A, 32B)의 상이한 간격들이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더 큰 공차를 가진 제조도 가능하다.
도 4는 베어링 부시(2)를 포함하는 리테이너(1)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베어링 부시(2)는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로 설명된 제 1 실시예 또는 도 2를 참고로 설명된 제 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간단한 도시를 위해 베어링 부시(2)는 도 4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베어링 부시(2)는 리테이너 바디(14)의 지지 섹션(32)에 연결된다. 이 경우 베어링 부시(2)는 지지 섹션(32) 내로 압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베어링 부시(2)의 외측 부시부(8)는 압입에 의해 지지 섹션(32)에 연결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코킹 부재(35)가 제공된다. 코킹 부재(35)는 세그먼트형 또는 링형 코킹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코킹 부재(35)는 접합점에서 베어링 부시(2)의 외측 부시부(8)와 지지 섹션(32) 사이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베어링 부시(2)의 외측 부시부(8)는 리테이너 바디(4)에 코킹된다. 이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바디(14) 내로 베어링 부시(2)의 압입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외측 부시부(8)는 외측 링형 숄더(36)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에 코킹 시 지지 섹션(32)이 지지된다.
도 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시(2)를 포함하는,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1)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나사 부재(40)가 제공된다. 나사 부재(40)는 링형 나사 부재(40)로서 형성된다. 특히 나사 부재(40)는 너트(나사 너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부시(2)의 외측 부시부(8)는 외부 나사산(41)을 갖고, 상기 나사산에 나사 부재(40)가 나사 결합된다. 지지 섹션(32)은 한편으로는 링형 숄더(36)에 지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지지 섹션(32)은 나사 부재(40)에 의해 힘을 받는다. 이로써 베어링 부시(2)의 외측 부시부(8)는 나사 부재(40)에 의해 리테이너 바디(14)에 연결된다. 나사 부재(40)는 바람직하게 링형 홈(42) 형태의 컷-인(42)을 갖는다. 컷-인(42)에 의해 나사 부재(40)의 효과적인 클램핑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도 6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부시(2)를 포함하는,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1)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베어링 부시(2)의 외측 부시부(8)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리테이너 바디(14)에 용접된다. 이 경우 리테이너 바디(14)는 한편으로는 외측 부시부(8)의 링형 숄더(36)에 지지된다. 레이저 용접에 의해 하나 이상의 용접 시임(43, 44)이 형성될 수 있다. 용접 시임(43, 44)은 원주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10)을 중심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링형 용접 시임들(43, 4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이 고려될 수도 있다. 특히 레이저 용접에 의해 다수의 용접점들(43, 4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1 리테이너
2 베어링 부시
6 부착 구조, 내연기관
7 내측 부시부
8 외측 부시부
9 댐핑 부재
14 리테이너 바디
20 리세스
21 숄더
22 숄더
30 연료 분사 시스템
31 연료 분배기

Claims (13)

  1. 부품(31), 특히 연료 분배기(31)를 부착 구조(6)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리테이너(1)용 베어링 부시(2)로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금속 재료로 형성된 내측 부시부(7), 적어도 실질적으로 금속 재료로 형성된 외측 지지부(8) 및 탄성 변형 가능한 댐핑 부재(9)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부시부(8)는 관통 리세스(2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부시부(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리세스(2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댐핑 부재(9)는 상기 내측 부시부(7)와 상기 외측 부시부(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9)는 상기 내측 부시부(7)와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및/또는 상기 댐핑 부재(9)는 상기 외측 부시부(8)와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9)는 가류 공정에 의해 상기 내측 부시부(7)와 결합되고 및/또는 상기 댐핑 부재(9)는 가류 공정에 의해 상기 외측 부시부(8)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9)는 적어도 엘라스토머 및/또는 고무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시부(8)는 상기 관통 리세스(20)에 숄더(21)를 갖고, 상기 내측 부시부(7)는 상기 관통 리세스(20)에 숄더(22)를 갖고, 상기 숄더는 상기 외측 부시부(8)의 상기 숄더(2)에 할당되고, 상기 내측 부시부(7)는 상기 내측 지지부(7)의 숄더(22)에서 상기 댐핑 부재(9)에 의해 상기 외측 부시부(8)의 상기 숄더(2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시부(7)와 상기 외측 부시부(8)는 상기 관통 리세스(20)에 서로 조정된 지지 윤곽(23, 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시.
  7. 제 6 항에 있어서, 서로 조정된 지지 윤곽들(23, 24)은 홈(24) 및 상기 홈(24)에 할당된 리브(23) 또는 라멜라(23) 및/또는 서로 할당된 숄더(21, 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부시.
  8. 부착 구조(6), 특히 내연기관(6)에 부품(31), 특히 연료 분배기(31)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1)로서, 리테이너 바디(14) 및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시(2)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부시(2)는 상기 리테이너 바디(14)에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 부시(2)는 상기 베어링 부시(2)의 내측 부시부(8)를 통해 연장되는 고정 수단(3)에 의해 상기 부착 구조(6)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시(2)의 외측 부시부(8)는 상기 리테이너 바디(14) 내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시(2)의 상기 외측 부시부(8)는 상기 리테이너 바디(14)에 코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시(2)의 상기 외측 부시부(8)는 나사 부재(40)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 바디(1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시(2)의 상기 외측 부시부(8)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 바디(14)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테이너.
  13. 연료 분배기(31) 및 상기 연료 분배기(31)를 내연기관(6)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1, 1A, 1B)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30).
KR1020147027082A 2012-03-27 2013-02-12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KR102072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4845A DE102012204845A1 (de) 2012-03-27 2012-03-27 Halter zur Befestigung einer Komponente an einer Brennkraftmaschine, Lagerbuchse für solch einen Halter und Brennstoffeinspritzanlage
DE102012204845.6 2012-03-27
PCT/EP2013/052771 WO2013143749A1 (de) 2012-03-27 2013-02-12 Halter zur befestigung einer komponente an einer brennkraftmaschine, lagerbuchse für solch einen halter und brennstoffeinspritz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010A true KR20140136010A (ko) 2014-11-27
KR102072363B1 KR102072363B1 (ko) 2020-02-03

Family

ID=4768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082A KR102072363B1 (ko) 2012-03-27 2013-02-12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88005B2 (ko)
EP (1) EP2831405B1 (ko)
KR (1) KR102072363B1 (ko)
CN (1) CN104204500B (ko)
DE (1) DE102012204845A1 (ko)
ES (1) ES2676843T3 (ko)
WO (1) WO2013143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070B1 (ko) * 2011-03-09 2016-08-02 에프엠 에네르기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재료의 변위에 의해 예비인장가능한 부싱 및 이 부싱이 장착된 베어링
DE102013207367A1 (de) * 2013-04-23 2014-10-23 Robert Bosch Gmbh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Brennstoffverteiler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6204025B4 (de) 2016-03-11 2021-05-27 Hirschvogel Umformtechnik Gmbh Innendruckbelastetes Bauteil (Rail)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6939903A (zh) * 2017-05-17 2017-07-11 重庆欧尼斯特机电有限公司 汽车电子水泵壳体
DE102017111996B4 (de) * 2017-05-31 2019-10-2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Lageranordnung
DE102019115394A1 (de) * 2018-07-09 2020-01-09 Mann+Hummel Gmbh Verschraubungsanordnung für ein Kunststoffbauteil und ein Metallbautei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437A (en) * 1981-05-22 1984-04-03 Deere & Company Operator enclosure mounting for a self-propelled harvester
US5809974A (en) * 1996-05-31 1998-09-22 Sanshin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electrical system
EP1167166A2 (en) * 2000-06-29 2002-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lastomeric mounting/isolation system
JP2006233968A (ja) * 2005-02-22 2006-09-07 Robert Bosch Gmbh 燃料噴射装置用の燃料分配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7573A (en) * 1972-08-03 1974-12-31 Lucas Electrical Co Ltd Mounting arrangements for injectors for i.c. engine fuel injection systems
JPS61129309A (ja) * 1984-11-27 1986-06-17 Toyot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
US5044338A (en) * 1990-01-23 1991-09-03 Siemens Automotive L.P. Fuel rail vibration damper
US6059503A (en) * 1998-10-27 2000-05-09 Johnson; H. Thad Captivated fastener assembly
US6543404B2 (en) * 2001-04-04 2003-04-0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dhesively bonded engine intake manifold assembly
JP4110024B2 (ja) * 2003-03-31 2008-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4404849B2 (ja) * 2005-12-27 2010-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ッシュ
US7682117B2 (en) 2006-09-27 2010-03-23 Illinois Tool Works Inc. Work piece isolating assembly
US7793639B2 (en) * 2008-09-25 2010-09-14 Hitachi, Ltd. Apparatus for reducing the transmission for noise from the fuel rail in a direct injection engine
US8307809B2 (en) * 2009-09-29 2012-1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assembly including cam cover mounted fuel rail
DE102009043552A1 (de) * 2009-09-30 2011-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Dämpfungsbuchse für Verbundlenkerhinterachse eines Kraftfahrzeuges
EP2333301B1 (en) 2009-12-09 2012-11-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oupl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437A (en) * 1981-05-22 1984-04-03 Deere & Company Operator enclosure mounting for a self-propelled harvester
US5809974A (en) * 1996-05-31 1998-09-22 Sanshin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electrical system
EP1167166A2 (en) * 2000-06-29 2002-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lastomeric mounting/isolation system
JP2006233968A (ja) * 2005-02-22 2006-09-07 Robert Bosch Gmbh 燃料噴射装置用の燃料分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04500A (zh) 2014-12-10
WO2013143749A1 (de) 2013-10-03
EP2831405B1 (de) 2018-04-11
DE102012204845A1 (de) 2013-10-02
KR102072363B1 (ko) 2020-02-03
EP2831405A1 (de) 2015-02-04
ES2676843T3 (es) 2018-07-25
US20150176672A1 (en) 2015-06-25
US10088005B2 (en) 2018-10-02
CN104204500B (zh)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6010A (ko)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KR102074651B1 (ko) 하나의 연료 분배기 및 다수의 연료 분사 밸브를 구비한 장치
US10041460B2 (en) System having a fuel distributor and multiple fuel injectors
KR20130044304A (ko) 입구 커넥터
KR102075333B1 (ko)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는 홀더
KR102071854B1 (ko) 내연기관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상기 홀더용 베어링 부시, 및 연료 분사 시스템
US20140238334A1 (en) Vehicle and a compression load limiter assembly for the vehicle
KR102074655B1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
KR102447583B1 (ko)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KR20150023480A (ko)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
JP2017015092A (ja) 燃料噴射装置用切り離し要素
US9546634B2 (en) Fuel distribution rail
US10865752B2 (en) Metering valve for metering a fluid which serves in particular for fuel injection systems, mounting system for injection systems, and injection system having such a metering valve
KR102071856B1 (ko) 특히 연료 분사 장치용 다편 절연 부재
US20150345445A1 (en) fuel injection system including a fuel-guiding component, a fuel injector, and a connecting element
JP6428403B2 (ja) 燃料噴射装置
US9429121B2 (en) System having a fuel distributor and a holder
US9885331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CN105121830B (zh) 用于将燃料分配器固定在内燃机上的保持装置
KR102179625B1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그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
US20230099834A1 (en) Bear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earing
US20180106228A1 (en) Gasket for fuel injector
CN209892603U (zh) 用于借助螺钉连接壳体部件的装置
JP4861875B2 (ja) 防振マウント組立体
KR20200067762A (ko) 연료 분사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