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480A -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480A
KR20150023480A KR20147036280A KR20147036280A KR20150023480A KR 20150023480 A KR20150023480 A KR 20150023480A KR 20147036280 A KR20147036280 A KR 20147036280A KR 20147036280 A KR20147036280 A KR 20147036280A KR 20150023480 A KR20150023480 A KR 2015002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ump
pressure fuel
pump hous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 헤르만
마티아스 메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2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8Assembling; Disassembling; Repla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9/00Arrangements of fuel-injection apparatus with respect to engines; Pump drives adapted to such arrangements
    • F02M39/02Arrangements of fuel-injection apparatus to facilitate the driving of pumps; Arrangements of fuel-injection pumps; Pump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using clamp elements or fastening means, e.g. bolts or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10)용 고압 연료 펌프(20)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고압 연료 펌프는 펌프 하우징(32)과, 내연기관(10)의 장착 섹션(56) 상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펌프 하우징(32)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60)와, 장착 위치에서 펌프 하우징(32)과 장착 섹션(56) 사이의 부하 경로에 배치되는 진동 분리 수단(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 장치(60)는, 장착 위치에서 장착 섹션(56)과 동일 평면에서 연결되는 강성의 중간 섹션(66)을 포함하고, 진동 분리 수단(70)은 장착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간 섹션(66)과 장착 섹션(56) 사이에 배치되며, 펌프 하우징(32)은 진동 분리 수단(70) 내에서 파지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HIGH-PRESSURE FUEL PUMP FOR A FUEL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에 관한 것이다.
시장으로부터, 내연기관용 연료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고압 연료 펌프가 공지되어 있다. 종종, 이러한 고압 연료 펌프는 탈착식 펌프로서 형성된다. 펌프 하우징 내에서 피스톤의 행정을 통해, 연료는 송출 챔버 내에서 압축되어 고압 어큐뮬레이터("레일") 내로 송출된다. 고압 연료 펌프 내에서는, 유량 제어 밸브(MSV) 내에서 송출 및 유량 제어로 인해 구조 전달음 및 유체 전달음(압력 맥동)이 생긴다.
그 결과, 특히 펌프 하우징 상에서 고압 연료 펌프의 진동이 발생한다. 이 경우, 생성되는 음력(sound power) 중 일부는, 펌프 하우징과 상대적으로 단단히 연결되거나 결합된 고정 플랜지를 통해, 내연기관의 장착 섹션 상으로, 예컨대 실린더 헤드 상으로 전달된다. 원하지 않는 작동 소음 외에도, 비교적 높은 진동 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진동 부하는 고압 연료 펌프의 피로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가장 불리한 경우에는 영구적인 고장을 일으킨다.
상기 전문 분야에서 특허 공개는 예컨대 DE 10 2008 042 626 A1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고압 연료 펌프로부터 내연기관의 장착 섹션 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 전달음 및 유체 전달음뿐 아니라 진동 부하도 감소시키는 진동 분리 수단을 구비한 고압 연료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중요한 특징들은 하기 기술 내용 및 도면들에서 제시되며, 특징들은, 재차 명시되지 않더라도,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상이한 조합으로도 본 발명에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압 연료 펌프로부터 장착 섹션 상으로 구조 전달음의 전달이 진동 분리 수단에 의해 특히 효율적으로 감소됨으로써 더 적은 소음이 주변으로 방출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 밖에도, 고압 연료 펌프의 진동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고압 연료 펌프의 표면으로부터 직접적인 음향 방출이 감소된다. 또한, 장착 섹션으로부터 고압 연료 펌프로 구조 전달음의 전달도 감소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고압 연료 펌프와 접촉하는 플러그인 장치는 진동 부하를 더 적게 받는다. 또한, 진동 분리 수단의 비교적, 그리고 통상의 낮은 열 전도도에 의해, 장착 섹션으로부터 고압 연료 펌프로의 열 전달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압 연료 펌프의 열 부하는 감소될 수 있으며, 고압 연료 펌프 또는 유량 제어 밸브의 플라스틱 부품들 및 이들 부품 내에 있는 플라스틱은 덜 심하게 가열된다.
고압 연료 펌프용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한편으로 펌프 하우징 또는 고정 플랜지와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 섹션의 사이에서, 그리고 동시에 고정 플랜지와 조립 볼트들의 헤드들의 사이에서 고압 연료 펌프의 "완전 탄성 절연"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조립 볼트들에 의해 야기되는 예응력은 진동 분리 수단의 특성에 의해 비교적 양호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의 고압 연료 펌프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고압 연료 펌프는 펌프 하우징과, 내연기관의 장착 섹션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펌프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와, 장착 위치에서 펌프 하우징과 장착 섹션 사이의 부하 경로에 배치되는 진동 분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장치는, 장착 위치에서 장착 섹션과 동일 평면에서 연결되는 강성의 중간 섹션을 포함하고, 진동 분리 수단은 장착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간 섹션과 장착 섹션 사이에 배치되며, 펌프 하우징은 진동 분리 수단 내에서 파지된다. 진동 분리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체 재료 또는 탄성 중합체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탄성 중합체 부재와 하나 이상의 기타 부재(예: 박판)로 이루어진 복합체로서, 예컨대 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위치에서 장착 섹션과 동일 평면에서 연결되는 강성의 중간 섹션에 의해, 고압 연료 펌프는 특별히 규정된 방식으로 장착 섹션 상에서 파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을 위해 필요한 조립 볼트들은, 이 조립 볼트들이 중간 섹션을 장착 섹션과 동일 평면에서 결합시킴으로써, 진동 분리 수단이 볼트 축력(bolt force)의 결과로서 허용되지 않게 압착되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장착 섹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진동 분리 수단의 이완의 결과로서 예응력 손실은 조립 볼트들의 풀림이나 그에 따른 고정 장치의 고장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고정 장치의 일 구성에 따라서, 고정 장치는 조립 볼트를 포함하고 중간 섹션은 장착 위치에서 조립 볼트의 헤드와 장착 섹션 사이에서 고정되는 압축 제한부(compression limiter)를 포함한다. 따라서, 압축 제한부에 의해, 조립 볼트는 진동 분리 수단의 특성과 무관하고 규정된 방식으로 장착 섹션 상에 나사 조여질 수 있다. 그 결과, 고압 연료 펌프의 조립은 단순화될 수 있고 고정 장치의 피로 강도는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립 볼트의 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 제한부에 의해 에워싸인다. 압축 제한부는, 다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압 연료 펌프의 방사 방향 외부 섹션이면서 고정 플랜지로서 형성되는 상기 방사 방향 외부 섹션의 보어를 통해 안내된다. 이 경우, 진동 분리 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분리 효과 또는 진동 절연 효과가 생기는 방식으로, 고압 연료 펌프 또는 고정 플랜지와 장착 섹션 사이의 힘 경로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 분리 수단(또는 진동 분리 수단의 일부분)은 압축 제한부와 함께 복합 부재("고무-금속 부품")로서 제조되며, 진동 분리 수단은 예컨대 압축 제한부 상에 가황처리되거나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압축 제한부는 종단면도로 볼 때 T자 형태이다. T자형 압축 제한부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섹션은 중간 섹션을 형성하면서, 조립 볼트의 헤드를 위한 비교적 큰 면의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조립 볼트의 헤드로부터 나오는 축 방향 힘은 최적으로 압축 제한부로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재료 응력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조도 단순화되는데, 그 이유는 중간 섹션과 압축 제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고정 장치의 추가 구성에 따라서, 고정 장치는 조립 볼트를 포함하고 중간 섹션은 펌프 하우징용 고정 플랜지를 포함하며, 이 고정 플랜지는 장착 위치에서 조립 볼트의 헤드와 장착 섹션 사이에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진동 분리 수단은 조립 볼트의 힘 경로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고정 장치는 본 구성에서 압축 제한부를 포함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한편으로는 고정 플랜지가 규정된 방식으로 장착 섹션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진동 분리 수단이 본 발명에 따라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본 구성에서, 고정 플랜지는 별도의 부재이며, 특히 고압 연료 펌프와 단단히 결합 또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 경우, 고정 플랜지는 이른바 "상부로부터" 간접적으로 그리고 중간에 진동 분리 수단이 접속된 상태로, 조립 볼트(들)의 힘에 의해 고압 연료 펌프의 방사 방향 외부의 하우징 견부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고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립 볼트뿐 아니라 강성의 중간 섹션도 포함하며, 강성의 중간 섹션은 하나 이상의 고정 플랜지와,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압축 제한부를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 플랜지는 횡단면으로 볼 때 Z자 형태일 수 있으며, 고정 플랜지는 평면도로 볼 때 전반적으로 환형이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타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플랜지의 "하부" 섹션은 장착 섹션 상에 직접적으로, 다시 말하면 장착 섹션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고정 플랜지의 "상부" 섹션은 "간접적으로", 즉 진동 분리 수단을 사용해서, 고압 연료 펌프 상에, 또는 고압 연료 펌프의 방사 방향 외부의 하우징 견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플랜지의 Z자형 횡단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특히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면서, 고압 연료 펌프 및/또는 장착 섹션의 각각의 기하구조에 매칭될 수 있다.
고정 장치의 추가 구성에서, 진동 분리 수단은, 중간 섹션과 (경우에 따라 펌프 하우징과 단단히 결합된 부재를 포함하는) 펌프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부분과, (경우에 따라 펌프 하우징과 단단히 결합된 부재를 포함하는) 펌프 하우징과 장착 섹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재"는 예컨대 고압 연료 펌프의 방사 방향 외부 섹션이면서 고정 플랜지로서 또는 하우징 견부로서 형성되는 상기 방사 방향의 외부 섹션이다. 진동 분리 수단을 2개의 부분으로 형성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특히 많은 구조적인 형성 가능성이 주어진다.
또한, 진동 분리 수단은, 장착 위치에서 방사 방향으로 펌프 하우징과 중간 섹션 사이에 배치되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압 연료 펌프의 고정은 방사 방향으로도 진동 분리 수단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진동 분리 효과는 3개의 공간 방향 모두를 포함한다.
고정 장치의 추가 구성에 따라서, 펌프 하우징 및/또는 펌프 하우징의 방사 방향 외부 하우징 견부는 환형 그루브를 포함하며, 이 환형 그루브 내에는 진동 분리 수단의 제 2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환형 그루브는, 진동 분리 수단의 제 2 부분을 수용하여 방사 방향으로 안내하는 과제를 갖는다. 그 결과, 진동 분리 수단은 특히 정확하게 펌프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 1은 고압 연료 펌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압 연료 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립을 개시할 때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4는 조립 후 도 3의 고정 장치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제 3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제 4 실시예이다.
모든 도면에서 기능상 동일한 부재들 및 변수들은 상이한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에서, 내연기관용 연료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연료 시스템은 연료 탱크(12)를 포함하며, 이 연료 탱크로부터 예비 송출 펌프(14)는 연료를 저압 라인(16) 내로 송출한다. 저압 라인(16) 내의 압력은 압력 제어 또는 압력 조절 밸브(18)에 의해 설정된다.
저압 라인(16)은, 도 2에 더 상세히 나타나는 구성을 가진 고압 연료 펌프(20)로 이어진다. 고압 연료 펌프(20)는 내연기관(10)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된다. 고압 연료 펌프는 매우 높은 압력으로 연료를 압축하여 "레일"이라고도 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2)로 송출한다. 이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에는 다수의 인젝터(24)가 연결되며, 이들 인젝터는 자신들에 직접적으로 할당되는 내연기관의 연소실들(26) 내로 고압 연료를 분사한다. 연료 시스템(10)의 작동은 제어 및 조절 장치(28)에 의해 제어 및 조절된다.
도 2에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고압 연료 펌프(2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고압 연료 펌프(20)는 레이디얼 피스톤 펌프로서 형성되고 펌프 하우징(32)을 포함한다. 펌프 하우징(32) 상에는 펌프 커버(34)가 배치된다. 도 2에서 뒤쪽으로 향해 있는 영역에는 유량 제어 밸브(36)가 배치된다. 펌프 하우징(32)은 도 1에 도시된 내연기관(10) 상의 고정 플랜지(38)를 통해, 조립 볼트들(64)(도 2에는 미도시, 도 3 참조)로, 이를 위해 제공된 내연기관(10)의 장착 섹션(56)(도 2에는 미도시, 도 3 참조)에 고정된다. 고정 플랜지(38)는 펌프 하우징(32)과 단단히 결합되며(예컨대 압착되거나 용접되거나 코킹(caulking)되며), 조립 볼트들(64)을 삽입하기 위한 보어들(39)을 포함한다. 펌프 하우징(32)으로부터는 고압 연료 펌프(20)를 기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펌프 피스톤(40)이 돌출하며, 이 펌프 피스톤은 피스톤 스프링(42)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펌프 하우징(32)의 외면 상에는 연료 라인들을 위한 다양한 접속부들이 배치된다. 도 2에서 중앙 접속부는, 도 1에 도시된 예비 송출 펌프(14)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으면서 고압 연료 펌프(20)의 저압 영역으로 이어지는 저압 연결 스터브(44)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에서 좌측에 도시된 접속부는 고압 연결 스터브(46)에 의해 형성되며, 이 고압 연결 스터브는 고압 연료 펌프(20)의 고압 영역에 할당되어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2)(도 1)에 연료를 공급한다. 도 2에서 우측에 도시된 접속부는 스터브(48)에 의해 형성되며, 이 스터브는 고압 연료 펌프(20)로부터의 누출 연료를 연료 탱크(12)(도 1) 내로 공급한다. 그러나 특히 마지막에 언급한 스터브(48)는 특수한 경우이며 모든 펌프 하우징에 제공되어 있지는 않다.
고압 연료 펌프(20)는 내연기관(10)의 엔진 하우징(예: 실린더 헤드 커버, 미도시) 내 상응하는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 탈착식 펌프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작동 중에, 캠 샤프트 또는 밸런서 샤프트 상에 방사 방향으로 안착된 펌프 피스톤(40)은 왕복 운동을 한다. 피스톤 행정을 통해, 연료는 (보이지 않는) 송출 챔버 내에서 압축되어 고압 연결 스터브(46) 쪽으로 송출된다. 이런 이유에서, 펌프는 엔진 하우징["장착 섹션(56)"] 내에 그리고 엔진 하우징 상에 상대적으로 단단하게 안착된다.
고압 연료 펌프(20) 내에서는, 유량 제어 밸브(36)를 통한 유량 제어 및 주기적인 연료 송출로 인해, 전체 가청 주파수 범위의 구조 및 유체 전달음이 생긴다. 이런 소리는 실질적으로 저압 영역 내 맥동(유체 전달음)에 의해, 그리고 고압 연료 펌프(20) 내에서 발생하는 구조 전달음에 의해 생성된다. 고정 플랜지(38)는 (대책 없이) 내연기관(10)의 장착 섹션(56)과 함께 전환 영역을 형성하며, 이 전환 영역을 통해 구조 전달음은 진동의 형태로 내연기관(10)으로부터 고압 연료 펌프(20) 상으로 전달되고 구조 및 유체 전달음은 진동의 형태로 고압 연료 펌프(20)로부터 내연기관(10) 쪽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진동은 (대책 없이) 특히 고정 플랜지(38)를 통해 모든 차체 부분들 및 예컨대 탱크 부착 유닛(미도시) 상으로 전달되며, 이는 거기서 원하지 않는 불쾌한 음향 방출을 야기한다. 또한, 진동에서 기인하는 흔들림을 통해, 여러 구조 부재, 특히 고압 연료 펌프(20)의 고정 플랜지(38)가 부하를 받는다.
그러므로 본원에 도시된 내연기관(10)의 경우, 진동 분리 수단(70)(도 3 내지 도 7 참조)은, 이제부터 상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고정 플랜지(38)와 내연기관(10)의 장착 섹션(56)(도 3 참조) 사이에서 음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에는, 고압 연료 펌프(20)를 위한 고정 장치(60)의 제 1 실시예가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좌측 영역 내 수직의 일점쇄선(62a) 및 도면의 중앙 영역 내 수직의 일점쇄선(62b)은 도 3에 도시된 어셈블리 또는 도시된 부재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회전 대칭을 지시한다.
고정 장치(60)는 내연기관(10)의 장착 섹션(56) 상에서 펌프 하우징(32)의 간접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고정 장치(60)는 이미 언급한 조립 볼트(64)와, 조립 슬리브(68)와, 이 조립 슬리브 상에 형성된 환형 디스크형 중간 섹션(66)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플랜지(38)는 펌프 하우징(32)과 단단히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 플랜지(38)는 펌프 하우징(32)의 방사 방향 외부 섹션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고정 플랜지는 별도의 부분일 수도 있으며, 이 부분은 펌프 하우징(32)과 용접되거나, 압착되거나, 코킹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단단히 결합된다. 압축 제한부(68)는 부분적으로 고정 플랜지(38)의 보어(39) 내에 배치되고 중간 섹션(66)으로 인해 종단면도로 볼 때 T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 장치(60)는, 여기서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진동 분리 수단(70)을 포함한다. 진동 분리 수단(70)의 제 1 부분(70a)은 횡단면도로 볼 때 90° 앵글의 형태를 갖는다. 도 3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리부(leg)는 장착 위치에서 방사 방향으로 중간 섹션(66)과 고정 플랜지(38) 또는 펌프 하우징(32) 사이에 배치되며, 도 3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는 장착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중간 부재(66)와 고정 플랜지(38)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70b)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한편으로 펌프 하우징(32) 및 고정 플랜지(38)와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 섹션(56)의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 분리 수단들(70a 및 70b)은 여기서 탄성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며, 도 3에 따라서 장착된 고압 연료 펌프(20)의 작동 중에 뚜렷한 진동 분리가 가능해진다. 진동 분리 수단(70a)은 여기서 실질적으로 환형 기하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수평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칼라(collar)를 형성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압축 제한부(68)는 고정 플랜지(38)로부터 축 방향 및 방사 방향으로 이격된다. 진동 분리 수단(70b)은 여기서 실질적으로 마찬가지로 환형 디스크로서 형성되며, 이런 환형 디스크는 장착 섹션(56)으로부터 고정 플랜지(38)뿐 아니라 펌프 하우징(32)의 방사 방향 외부 영역을 축 방향으로 이격시킨다. 그러나, 다른 그리고 비-환형인 실시예도 가능하다. 다만, 플랜지(38) 및 펌프 하우징(32)으로부터 장착 섹션(56)을 절연하거나 또는 "축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평면 지지체인 것이 중요하다. 압축 제한부(68)의 방사 방향 외부 섹션 상에서 진동 분리 수단들(70a 및 70b)은 서로 접촉한다. 보완적으로, 고정 장치(60)는 O 링으로서 형성되어 방사 방향으로, 도면에서 볼 때 펌프 하우징(32)의 하부 섹션과 장착 섹션(56)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72)를 포함한다.
도 3에 따른 고정 장치(60)는 실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조립 볼트(64)는 사전 설정된 토크로 조여지고, 조립 볼트(64)의 헤드는 압축 제한부(68)를 직접 가압한다. 그러므로 압축 제한부(68)는 조립 볼트(64)의 작용을 통해 도면에서 볼 때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며, 압축 제한부(68)의 중간 섹션(66)은 진동 분리 수단들(70a 및 70b)을 각각 가압한다. 조립 볼트(64)를 조인 후에, 압축 제한부(68)는 도면에서 볼 때 하부인 단부 섹션으로 장착 섹션(56) 상에 안착되며, 다시 말하면 장착 섹션과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조립 볼트(64)의 헤드 영역과, 압축 제한부(68)와, 장착 섹션(56) 사이의 힘 경로에는 진동 분리 수단(70)이 배치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한편으로는 펌프 하우징(32) 및 고정 플랜지(38)와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 섹션(56)의 사이의 힘 경로 내 어디에서나 진동 분리 수단(70a 및 70b)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다시 말해, 펌프 하우징(32)은 고정 플랜지(38)를 통해 진동 분리 수단(70) 내에서, 즉 부분(70a)의 도면에서 볼 때 수평인 다리부와 부분(70b) 사이에서 파지된다.
도 5에는, 고정 장치(60)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플랜지(38)는 별도의 환형 부재로서 형성되고, 따라서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펌프 하우징(32)과 단단히 결합되지 않는다. 환형 구성 대신, 다수의 러그 형태로, 그리고 고정을 위한 돌출부들을 구비한 실현도 가능하다. 여기서 고정 플랜지(38)는 횡단면도로 볼 때 Z자 형태로, 도면에서 볼 때 하부이면서 도면에서 볼 때 수평인 다리부(38a)와 상부이면서 도면에서 수평이고 여기서는 중간 섹션을 형성하는 다리부(66)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고정 플랜지(38)의 하부 다리부(38a)는 도시된 장착 위치에서 조립 볼트(64)의 헤드 영역과 장착 섹션(56)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 경우, 진동 분리 수단(70)의 부분이면서 마찬가지로 횡단면이 Z자 형태인 제 1 부분(70a)은 도시된 장착 위치에서 도면에서 수직인 다리부들로 방사 방향으로, 그리고 도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섹션으로 축 방향으로 펌프 하우징(32)과 중간 섹션(66) 또는 고정 플랜지(38) 사이에 배치된다.
그 밖에도, 도 5의 펌프 하우징(32)은 실질적으로 환형인 하우징 견부(74)를 포함한다. 진동 분리 수단(70)의 제 2 부분(70b)은 도 5에서 축 방향으로 한편으로 펌프 하우징(32) 및 하우징 견부(74)와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 섹션(56)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5에 따른 고정 장치(60)는 실질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조립 볼트(64)의 헤드 섹션은 고정 플랜지(38)의 하부 섹션(38a)을 작용하여, 상응하는 힘으로 상기 하부 섹션을 "동일 평면에서" 장착 섹션(56)에 대해 가압한다. 따라서 고정 플랜지(38)는 단단히, 그리고 진동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장착 섹션(56) 상에 배치된다. 고정 플랜지(38)의 중간 부재(66)와 하우징 견부(74) 사이에는 진동 분리 수단(70)의 부분(70a)이 배치된다. 한편으로 펌프 하우징(32) 및 하우징 견부(74)의 도면에서 볼 때 하부인 섹션과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 섹션(56)의 사이에, 진동 분리 수단(70)의 부분(70b)이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O 링으로서 형성된 밀봉부(72)는 방사 방향으로 펌프 하우징(32)의 도면에서 볼 때 하부인 섹션과 장착 섹션(56) 사이에 배치된다.
도 5의 고정 장치(60)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Z자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70a)은 2개의 편으로 L자 형태로 형성된 2개의 부분(미도시)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제공되는 진동 분리 효과는 "일체형인" 실시예와 비슷하다.
도 6에는, 도 5에 따른 고정 플랜지(38)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서 고정 플랜지(38)는 진동 분리 수단(70)의 제 1 부분(70a)과 지속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60)의 제 3 실시예는 예컨대 접착, 가황처리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플랜지(38)는 "고무-금속 부품"에 상응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60)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7에서, 진동 분리 수단(70)의 제 1 부분(70a)은 도시된 장착 위치에서 방사 방향으로 펌프 하우징(32)과 중간 섹션(66) 또는 고정 플랜지(38)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 분리 수단(70)의 제 2 부분(70b)은 도 7에서 펌프 하우징(32) 및 하우징 견부(74) 상에 형성된 환형 그루브(76)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그 밖의 점에서, 도 7의 고정 장치(60)는 도 5의 고정 장치에 상응한다. 환형 그루브(76)는, 진동 분리 수단(70)의 제 2 부분(70b)을 수용하여 방사 방향으로 안내하는 과제를 갖는다.
진동 분리 수단(70) 또는 부분들(70a 및/또는 70b)은 다양한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진동 분리 수단(70)은 평평한 탄성 중합체(점탄성 층)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진동 분리 수단(70)은 층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고, 탄성 중합체는 예컨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금속 박판 사이에 배치된다. 박판들은 서로 다른 두께로, 및/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진동 분리 수단(70)은 2개를 초과하는 박판과 그에 따라 하나를 초과하는 점탄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10 연료 시스템
12 연료 탱크
14 예비 송출 펌프
16 저압 라인
18 압력 조절 밸브
20 고압 연료 펌프
22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레일)
24 인젝터
28 제어 및 조절 장치
32 펌프 하우징
38 고정 플랜지
40 펌프 피스톤
42 피스톤 스프링
44 저압 연결 스터브
46 고압 연결 스터브
48 스터브
56 장착 섹션
60 고정 장치
66 중간 섹션, 중간 부재
68 압축 제한부
70 진동 분리 수단
70a 진동 분리 수단의 제 1 부분
70b 진동 분리 수단의 제 2 부분
72 밀봉부
74 하우징 견부

Claims (8)

  1.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10)용 고압 연료 펌프(20)로서, 펌프 하우징(32)과, 상기 내연기관(10)의 장착 섹션(56)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32)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60)와, 장착 위치에서 상기 펌프 하우징(32)과 상기 장착 섹션(56) 사이의 부하 경로에 배치되는 진동 분리 수단(70)을 포함하는, 고압 연료 펌프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60)는, 장착 위치에서 상기 장착 섹션(56)과 동일 평면에서 연결되는 강성의 중간 섹션(66)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분리 수단(70)은 장착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중간 섹션(66)과 상기 장착 섹션(56)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펌프 하우징(32)은 상기 진동 분리 수단(70) 내에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60)는 조립 볼트(64)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66)은 압축 제한부(68) 상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 제한부는 장착 위치에서 상기 조립 볼트(64)의 헤드와 상기 장착 섹션(56)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2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제한부(68)는 종단면도로 볼 때 T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2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60)는 조립 볼트(64)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66)은 상기 펌프 하우징(32)용 고정 플랜지(38)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랜지는 장착 위치에서 상기 조립 볼트(64)의 헤드와 상기 장착 섹션(56)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2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38)는 횡단면도로 볼 때 Z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2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분리 수단(70)은, 상기 중간 섹션(66)과 상기 펌프 하우징(32)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부분(70a)과, 상기 펌프 하우징(32)과 상기 장착 섹션(56)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70b)을 포함하여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2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분리 수단(70, 70a)은, 장착 위치에서 방사 방향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32)과 상기 중간 섹션(66) 사이에 배치되는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20).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32)은 환형 그루브(76)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그루브(76) 내에 상기 진동 분리 수단(70)의 제 2 부분(70b)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20).
KR20147036280A 2012-06-28 2013-06-17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 KR20150023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1104.2A DE102012211104A1 (de) 2012-06-28 2012-06-28 Hochdruck-Kraftstoffpumpe für ein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2211104.2 2012-06-28
PCT/EP2013/062531 WO2014001129A1 (de) 2012-06-28 2013-06-17 Hochdruck-kraftstoffpumpe für ein krafftstoff 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480A true KR20150023480A (ko) 2015-03-05

Family

ID=4866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6280A KR20150023480A (ko) 2012-06-28 2013-06-17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50023480A (ko)
CN (1) CN104428526B (ko)
DE (1) DE102012211104A1 (ko)
WO (1) WO2014001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0795B4 (de) * 2015-06-12 2024-01-04 Vitesco Technologies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GB2539969A (en) * 2015-07-03 2017-01-04 Gm Global Tech Operations Llc Fuel unit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6213470A1 (de) * 2016-05-19 2017-11-23 Robert Bosch Gmbh Hochdruck-Kraftstoffpumpe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US11649821B2 (en) 2017-04-24 2023-05-16 Volvo Truck Corporation Power generating unit
DE102018216582A1 (de) * 2018-09-27 2020-04-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umpenanordn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7180573B2 (ja) * 2019-09-20 2022-11-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インジェクタ取付構造
CN113982795A (zh) * 2021-10-19 2022-01-28 建新赵氏科技有限公司 一种发动机燃油泵护板总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8979A (fr) * 1971-09-18 1973-01-15 Bosch Gmbh Robert Pompe d'injection pour moteurs a combustion interne
SE501741C2 (sv) * 1993-07-06 1995-05-02 Saab Scania Ab Lägesfelkompenserande infästningsanordning för infästning av en hjälpapparat vid en förbränningsmotor
JPH08114163A (ja) * 1994-10-14 1996-05-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インシュレータ
JP2689226B2 (ja) * 1994-12-02 1997-12-10 株式会社ゼクセル 高圧燃料噴射装置用燃料ポンプ
US5513603A (en) * 1995-08-11 1996-05-07 Chrysler Corporation Seal and fastener isolator system for a valve cover
JP4304820B2 (ja) * 2000-03-28 2009-07-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高圧燃料ポンプの取付構造
DE102005007807A1 (de) * 2004-12-28 2006-07-06 Robert Bosch Gmbh Haltevorrichtung, durch die ein Befestigungselement vor der Montage eines Werkstücks in einer Durchgangsöffnung des Werkstücks zur Aufbewahrung gehalten werden kann, sowie Hochdruck-Kraftstoffpumpe mit einer solchen Haltevorrichtung
DE102008042626A1 (de) 2008-05-29 2009-12-03 Robert Bosch Gmbh Hochdruck-Kraftstoffpu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8526A (zh) 2015-03-18
DE102012211104A1 (de) 2014-01-02
CN104428526B (zh) 2018-10-19
WO2014001129A1 (de)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3480A (ko)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
KR102537643B1 (ko) 피스톤 펌프
EP2780577B1 (en)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US8875681B2 (en)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CN102859178B (zh) 高压泵
JP3851056B2 (ja) 高圧ポンプ
JP4442567B2 (ja) コモンレール
US9797355B2 (en) Fuel injection system having a fuel-conducting component, a fuel injection valve and a connection element
KR102250932B1 (ko) 연료 안내 컴포넌트, 연료 분사 밸브 및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KR102074651B1 (ko) 하나의 연료 분배기 및 다수의 연료 분사 밸브를 구비한 장치
WO2018164026A1 (ja) 高圧ポンプ
US10041460B2 (en) System having a fuel distributor and multiple fuel injectors
JP4199930B2 (ja) 燃料高圧供給用のピストンポンプ
KR102074655B1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
KR20150006849A (ko) 하나의 연료 분배기 및 다수의 연료 분사 밸브를 구비한 장치
JP2012533706A (ja) ポンプアッセンブリ
WO2022004431A1 (ja) 高圧ポンプ
US10865752B2 (en) Metering valve for metering a fluid which serves in particular for fuel injection systems, mounting system for injection systems, and injection system having such a metering valve
US20150345445A1 (en) fuel injection system including a fuel-guiding component, a fuel injector, and a connecting element
CN109072846B (zh) 高压泵
US10584700B1 (en) High-pressure fuel pump
WO2001079687A1 (fr) Pompe haute pression
JP2013167259A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CN109154269A (zh) 燃料高压泵
JP7415985B2 (ja) 高圧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