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851A -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851A
KR20170093851A KR1020177016421A KR20177016421A KR20170093851A KR 20170093851 A KR20170093851 A KR 20170093851A KR 1020177016421 A KR1020177016421 A KR 1020177016421A KR 20177016421 A KR20177016421 A KR 20177016421A KR 20170093851 A KR20170093851 A KR 2017009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injection valve
decoupling member
decoupling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583B1 (ko
Inventor
마르틴 셰펠
빌헬름 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9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02M63/023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 F02M63/026Means for reducing the pressure in common rails at power 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02D41/3836Controlling the fuel pressure
    • F02D41/3845Controlling the fuel pressure by controlling the flow into the common rail, e.g. the amount of fuel pum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4Means for damping vibrations or pressure fluctuations in injection pump inlet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9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50Arrangements of springs for valves used in fuel injectors or fuel injecti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3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characterised by means for facilitating the starting-up or idling of engines or by means for enriching fuel charge, e.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or upon high power demand of engines
    • F02M69/36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characterised by means for facilitating the starting-up or idling of engines or by means for enriching fuel charge, e.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or upon high power demand of engines having an enrichment mechanism modifying fuel flow to injectors, e.g. by acting on the fuel metering device or on the valves throttling fuel passages to injection nozzles or overflow passages
    • F02M69/38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characterised by means for facilitating the starting-up or idling of engines or by means for enriching fuel charge, e.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or upon high power demand of engines having an enrichment mechanism modifying fuel flow to injectors, e.g. by acting on the fuel metering device or on the valves throttling fuel passages to injection nozzles or overflow passages using fuel pressure, e.g. by varying fuel pressure in the control chambers of the fuel meter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분사 장치용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는 특히 저소음의 선회식 구조가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 분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분사 밸브(1)와; 이 연료 분사 밸브(1)를 위한 실린더 헤드(9) 내의 하나의 수용 보어(20)와;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과 수용 보어(20)의 벽부 사이의 디커플링 부재(25)를 포함한다. 디커플링 부재(25)는 환형으로, 특히 폐쇄형 링으로서 형성되며, 이 폐쇄형 링은, 수용 보어(20)의 견부(23) 상에 안착되는 하부 접경면(26)과,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안쪽으로 원추형으로 상승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면서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의 구면 만곡형 견부 표면(21)과 접촉되는 상부 접경면(27)을 포함한다. 연료 분사 장치는 특히 혼합기 압축형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유형에 따르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예시로서,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의 수용 보어 내에 내장되는 연료 분사 밸브 상에 편평한 중간 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연료 분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중간 부재들은 평와셔(flat washer)의 형태인 지지 부재들로서 실린더 헤드의 수용 보어의 견부 상에 장착된다. 상기 중간 부재들에 의해, 제조 및 조립 공차들이 보상되고, 연료 분사 밸브의 약간의 경사 위치에서도 횡력 없는 지지가 보장된다.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특히 혼합기 압축형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들의 연료 분사 시스템들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연료 분사 장치를 위한 간단한 중간 부재의 다른 유형은 이미 DE 101 08 466 A1에 공지되어 있다. 중간 부재는, 연료 분사 밸브뿐만 아니라 실린더 헤드 내의 수용 보어의 벽부도 원뿔대 형태로 연장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연료 분사 밸브의 지지를 위한 보상 부재로서 사용되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와셔이다.
연료 분사 장치들을 위한 상대적으로 더 복잡하고 훨씬 더 많은 제조 비용이 드는 중간 부재들은 특히 DE 100 27 662 A1, DE 100 38 763 A1 및 EP 1 223 337 A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중간 부재들은, 함께 다중 부재형으로 또는 다층으로 구성되어 부분적으로는 밀봉 및 댐핑 기능들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 100 27 662 A1에서 공지된 중간 부재는, 연료 분사 밸브의 노즐 몸체가 관통하는 밀봉 수단이 삽입되어 있는 기본 지지체(base and support body)를 포함한다. DE 100 38 763 A1로부터는, 2개의 강성 링과 이 링들 사이에 샌드위치 유형으로 배치되는 하나의 탄성 중간 링으로 구성되는 다층형 보상 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이런 보상 부재는 상대적으로 큰 각도 범위에 걸쳐서 수용 보어의 축에 대한 연료 분사 밸브의 경동(tilting)뿐만 아니라 수용 보어의 중심 축으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의 반경 방향 변위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다층형인 중간 부재는 EP 1 223 337 A1에도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부재는 댐핑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평와셔로 구성된다. 이 경우, 금속, 고무 또는 PTFE로 이루어진 댐핑 재료는, 연료 분사 밸브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댐핑이 가능해지도록 선택되고 구성된다. 그러나 중간 부재는 요구되는 댐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4개 내지 6개의 층을 포함해야 한다.
그 밖에도, 소음 방출의 감소를 위해, US 6,009,856 A는, 연료 분사 밸브를 슬리브로 에워싸고, 형성되는 중간 공간을 탄성의 소음 댐핑 물질로 충전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소음 댐핑은 매우 복잡하고 조립이 비친화적이며 많은 비용이 든다.
본 발명의 과제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소음 댐핑이 향상되게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향상된 소음 댐핑이 달성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디커플링 부재는, 직접 연료 분사를 위한 인젝터들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 장치 내에 디커플링 부재의 설치 시 다수의 긍정적이면서도 바람직한 양상들이 달성되게 하는 비선형의 점진적 스프링 특성곡선을 갖는다. 아이들링 점(idle point)에서 디커플링 부재의 낮은 강성은, 실린더 헤드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의 효과적인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소음 임계의 아이들링 작동 중에 실린더 헤드로부터 방출되는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공칭의 시스템 압력 조건에서 높은 강성은, 차량 작동 동안 연료 분사 밸브의 전체적으로 적은 이동을 제공하고 그 결과 한편으로 연소실 시일로서 그리고 연료 레일에 대한 밀봉부로서 사용되는 실링 링들의 내구성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소실 내에서 연료 분무의 안정된 분사점을 보장하며, 이는 일부 연소 방법의 안정성을 위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디커플링 부재는 낮은 설계 높이를 특징으로 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디커플링 부재는 작은 장착 공간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디커플링 부재는 높은 온도 조건에서도 큰 피로 강도를 갖는다. 디커플링 부재는 제조 기술 측면에서 매우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연료 분사 밸브와 디커플링 부재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전체 행어 어셈블리(hanger assembly)는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조립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연료 분사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차 보상을 위해 연료 분사 밸브의 기하학적으로 가능해진 경동성 또는 선회성 외에도, 가이드 부재들이 디커플링 부재 상에 제공되며, 실린더 헤드의 수용 보어 내에서 디커플링 부재의 측면 가이드에 의해 접촉이 있는 경우 강성은 높은 하중에서도 증가된다. 이처럼 매우 작은 유격을 갖는 실린더 헤드 내에서의 특별한 바깥쪽 가이드(outer guide)에 의해, 공차 상태는 최적으로 형성된다. 연료 분사 밸브가 예컨대 온도에 따른 팽창으로 인한 하중 상태의 작동 중에 통상의 경우보다 더 많이 경동되어야 한다면, 이는, 디커플링 부재가 실린더 헤드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간소화되어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디스크형 중간 부재를 포함한 공지된 실시예에서의 연료 분사 장치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2는 통상의 스프링-질량-댐퍼 시스템을 반영한 것으로서 직접 연료 분사 시에 실린더 헤드 내 연료 분사 밸브의 지지 상태를 나타낸 기계적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공진 주파수(fR) 범위의 낮은 주파수에서, 그리고 디커플링 주파수(fE)를 상회하는 절연 범위에서 증폭을 나타내는 도 2에 도시된 스프링-질량-댐퍼 시스템의 전달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형 중간 부재의 영역에서 연료 분사 밸브 상에 설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를 절단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를 개별 부품으로서 비스듬하게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스냅 링을 개별 부품으로서 비스듬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 디커플링 부재를 개별 부품으로서 비스듬하게 각각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하기에서는 도 1에 따라서 연료 분사 장치의 공지된 실시형태가 더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에는, 일 실시예로서, 혼합기 압축형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들의 연료 분사 시스템들을 위한 분사 밸브(1)의 형태인 밸브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연료 분사 장치의 부분이다. 내연기관의 연소실(25)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 위한 직접 분사식 분사 밸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연료 분사 밸브(1)는 하류 측 단부로 실린더 헤드(9)의 수용 보어(20) 내로 설치된다. 특히 TeflonTM으로 이루어진 실링 링(2)은 실린더 헤드(9)의 수용 보어(20)의 벽부에 대해 연료 분사 밸브(1)의 최적의 밀봉을 제공한다.
밸브 하우징(22)의 단차부(21)(step)와, 예컨대 수용 보어(20)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용 보어(20)의 견부(20) 사이에는 편평한 중간 부재(24)가 삽입되며, 이 중간 부재는 평와셔의 형태인 지지 부재로서 형성된다. 상기 중간 부재(24)에 의해, 제조 및 조립 공차가 보상되고, 연료 분사 밸브(1)의 약간의 경사 위치에서도 횡력 없는 지지가 보장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그 공급 측 단부(3)에 연료 레일(4)로 향하는 플러그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이 플러그인 연결부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연료 레일(4)의 연결 스터브(6)(connecting stub)와 연료 분사 밸브(1)의 공급 연결편(7) 사이의 실링 링(5)에 의해 밀봉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연료 레일(4)의 연결 스터브(6)의 수용 개구부(12)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 연결 스터브(6)는 예컨대 단일 부재형으로 실질적인 연료 레일(4)에서 개시되고 수용 개구부(12)의 상류에서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유동 개구부(15)를 포함하며, 이 유동 개구부를 통해 연료 분사 밸브(1)로의 유입이 수행된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연료 분사 밸브(1)의 작동을 위한 전기 접촉을 위해 전기 접속 커넥터(8)를 포함한다.
연료 분사 밸브(1) 및 연료 레일(4)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의 힘 없이 서로 이격시키면서 연료 분사 밸브(1)를 실린더 헤드의 수용 보어 내에서 확실하게 내리누르기 위해, 홀딩다운 클램프(10)가 연료 분사 밸브(1)와 연결 스터브(6) 사이에 제공된다. 홀딩다운 클램프(10)는 U자형 부품으로서, 예컨대 천공-굽힘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홀딩다운 클램프(10)는 부분 환형 베이스 부재(11)를 포함하고, 이로부터는 홀딩다운 요크(13)(holding-down yoke)가 만곡되면서 연장되며, 이 홀딩다운 요크는 내장된 상태에서 연료 레일(4) 상의 연결 스터브(6)의 하류 측 단부면(14) 상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지된 중간 부재 해결책들에 비해, 한편으로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향상된 소음 댐핑을 특히 소음 임계의 아이들링 작동 중에, 중간 부재(24)의 의도된 구성 및 기하구조에 의해 달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최대 1°만큼 연료 분사 밸브의 경동을 허용하는 공차 보상과, 온도 영향하에서도 횡력 없는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직접 고압 분사 동안 연료 분사 밸브(1)의 결정적인 소음원은 밸브 작동 동안 실린더 헤드(9) 내로 유입되는 힘(구조 전달음)이며, 이런 힘은 실린더 헤드(9)의 구조적인 여기(structural excitation)를 초래하고 상기 실린더 헤드로부터 공기 전달음으로서 방출된다. 그러므로 소음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실린더 헤드(9) 내로 유입되는 힘의 최소화가 달성되도록 해야 한다. 이는, 분사를 통해 야기되는 힘의 감소와 동시에, 연료 분사 밸브(1)와 실린더 헤드(9) 사이의 전달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기계적인 의미에서, 실린더 헤드(9)의 수용 보어(20) 내에서 수동형 중간 부재(24)(passive intermediate element) 상에 연료 분사 밸브(1)의 지지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통상의 스프링-질량-댐퍼 시스템으로서 도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 헤드(9)의 질량(M)은 연료 분사 밸브(1)의 질량(m)에 비해 일차 근사(first-order approximation)에서 무한한 크기로서 가정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전달 거동은, 공진 주파수(fR) 범위에서의 낮은 주파수에서, 그리고 디커플링 주파수(fE)를 상회하는 절연 범위에서 증폭을 특징으로 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차량의 아이들링 작동 중에 소음 감소를 위한 탄성 절연(분리)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중간 부재(24)의 구성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작동 압력이 가변하는 직접 연료 분사 시에 전형적인 요건들 및 경계 조건들을 고려한 적합한 스프링 특성곡선의 정의 및 설계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와 같이 정의된 스프링 특성곡선의 특성을 매핑하여 이를 간단한 기하학적 파라미터들의 선택을 통해 분사 시스템의 특정한 경계 조건들에 매칭시킬 수 있는 중간 부재(24)의 설계를 포함한다.
환형으로, 특히 폐쇄형 링으로서, 그리고 횡단면에서는 쿠션 유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25)의 낮은 스프링 강성(c)을 이용한, 실린더 헤드(9)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1)의 분리는, 작은 장착 공간 외에도, 엔진 작동 동안 연료 분사 밸브(1)의 허용되는 최대 이동의 제한을 통해 어려워진다. 차량에서는 전형적으로 하기의 준정적 하중 상태들(quasi-static load state)이 발생한다.
1. 조립 후에 홀딩다운 클램프(10)에 의해 가해지는 정적 홀딩다운력(static hold-down force)(FNH),
2. 아이들링 작동 압력에서 존재하는 힘(FL), 및
3. 보통의 시스템 압력에서 존재하는 힘(FSys).
직접 연료 분사의 표준 경계 조건들[작은 장착 공간, 큰 힘, 연료 분사 밸브(1)의 적은 총 축 방향 이동]에서 소음 분리 조치들을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커플링 부재(25)는, 본 발명에 따라서, 그 쿠션 유형의 횡단면으로 그 환형 연장부를 통해, 실린더 헤드(9) 내 수용 보어(20)의 견부(23) 상에 안착되는 하부 접경면(abutting face),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면인 접경면(26)이 제공되고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안쪽으로 원추형으로 상승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면서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의 견부 표면이면서 구면으로 만곡되거나 원뿔형 또는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견부 표면(21)과 접촉되는 상부 접경면(27)이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디커플링 부재(25)의 상부 접경면(27)은, 그 원추형 상승부 외에도, 구면 만곡부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접촉 영역 내에는 매우 큰 반경이 존재한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형 중간 부재(24)의 영역에서 연료 분사 밸브(1) 상에 장착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25)가 절단되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중간 부재(2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25)로 대체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커플링 부재(25)는 그 상면에 원추형 또는 원뿔형으로 연장되는 접경면(27)을 포함하며, 이 접경면(27)은 설치 상태에서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의 공 모양으로 또는 구면으로 형성되어 볼록하게 만곡되거나 원뿔형인 견부 표면(21)에 상응한다. 이 경우, 밸브 하우징(22)의 견부 표면(21)은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향해 있는 견부(28) 상에 형성되며, 이 견부(28)는 자신과 수용 보어(20)의 견부(23) 사이에서 이미 디커플링 부재(25)의 소정의 공동부를 제공한다. 밸브 하우징(22)의 견부 표면(21)은 연속해서 구면으로 만곡되어 연장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형상부는 디커플링 부재(25)의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접경면(27)과의 접촉 영역에 제공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디커플링 부재(25)의 내부 및 외부의 두 환형 외부면으로 향하는 상부 접경면(27) 및 하부 접경면(26)의 각각의 전이부들은 라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22)의 구면으로 만곡된 견부 표면(21)과 디커플링 부재(25)의 원추형 또는 원뿔형으로 연장된 접경면(27) 상에서 편평각(flat angle) 또는 만곡부의 큰 반경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하구조는, 반경 방향에서 안쪽을 향해 연료 분사 밸브(1)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큰 유격 및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수용 보어(20)의 벽부 쪽으로 갈수록 작은 유격을 가지면서 실린더 헤드(9) 내 수용 보어(20)의 벽부 상에서 특히 도 5의 도면을 통해 분명해지는 디커플링 부재(25)의 바깥쪽 가이드와 함께, 사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 부재 또는 냉간 성형된 알루미늄 부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디커플링 부재(25)는 경제적으로 제조되며 구조 전달음을 요구되는 방식으로 분리한다.
밸브 하우징(22)의 약간 볼록하게 만곡된 견부 표면(21)과 함께, 공차 보상을 위한 선회 또는 경동 가능한 연결부가 형성된다. 공차가 허용되는 제조 변동의 범위에서 연료 분사 밸브(1)와 수용 보어(20) 간에 오프셋이 있을 경우, 연료 분사 밸브(1)의 약간의 경사 위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연료 분사 밸브(1)와 디커플링 부재(25) 사이의 선회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연료 분사 밸브(1)의 경사 위치에서 횡력은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밸브 하우징(22) 및 디커플링 부재(25)의 원뿔/원뿔, 원뿔/구체(sphere), 구체/원뿔 또는 구체/구체의 쌍 형성도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다.
디커플링 부재(25)의 소실 방지는, 디커플링 부재(25)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은 간격을 두고 디커플링 부재(25) 하부에 맞물리면서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에 고정되는 스냅 링(2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연료 분사 밸브(1)가 디커플링 부재(25)와 함께 유닛으로서 수용 보어(20) 내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부재(25)가 개별 부품으로서 비스듬한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디커플링 부재(25)의 원추형 또는 원뿔형으로 연장되는 상부 접경면(27) 외에도, 특별한 설계 특징으로서, 반경 방향으로 외주면 상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30), 특히 3개 내지 12개의 가이드 부재(30)가 노즈(nose) 유형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칼라부들(guide collar)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나타난다. 매우 작은 유격을 가지면서 실린더 헤드(9)의 수용 보어(20) 내에 제공되는 디커플링 부재(25)의 상기 특별한 바깥쪽 가이드에 의해 공차 상태는 최적으로 형성된다. 연료 분사 밸브(1)가 부하 하의 작동 상태에서 예컨대 온도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통상의 경우보다 더 많이 경동되어야 한다면, 이는, 디커플링 부재(25)가 실린더 헤드(9)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6에는, 선택적인 스냅 링(29)이 개별 부품으로서 비스듬한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스냅 링(29)은 예컨대 폐쇄형 링으로서 형성되고, 이 폐쇄형 링은 횡단면에서 꺾이는 방식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평면인 상부 환형 칼라부(31)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이로부터는 원주에 걸쳐 분포되어 밸브 하우징(22) 상에 안착되는 복수의 정착 섀클부(32)(anchoring shackle)가 각이 진 형태로 연장된다. 스냅 링(29)은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디커플링 부재(25)에 대해 다른 간격을 두고 연료 분사 밸브(1)의 외주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스냅 링(29)은 자신의 선세공형 외부 윤곽(filigreed outer contour)에 의해 여러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컴팩트하면서도 중실형인 연속 플라스틱 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 디커플링 부재(2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디커플링 부재(25) 상에서 수용 보어(20)의 견부(23)를 넘어서 스냅 링(29)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칼라부(38)는 경동이 있는 경우 디커플링 부재(25)의 더 향상된 안정화를 제공하거나, 또는 스냅 링(29)의 매우 컴팩트한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디커플링 부재(25)가 스냅 링(29)의 반경 방향 치수가 작은 경우 칼라부(38)의 영역 내에서 이미 확실하게 맞물리기 때문이다. 디커플링 부재(25)의 최대 지름의 연장부 영역 상의 가이드 부재들(30) 대신, 환형 가이드 부재(39)가 지름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칼라부(38)의 외경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 부재(39)는, 반경 방향 포지셔닝을 위한 견부(23)의 하부에서 실린더 헤드(9) 내 수용 보어(20)의 벽부에 상응하는 칼라부(38)의 외부 원통형 링 영역이다. 이제,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 상의 반경 방향 가이드 부재들(30)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수용 보어(20) 내에 디커플링 부재(25)와 함께 연료 분사 밸브(1)를 조립할 때 가이드 부재(39)를 포함한 칼라부(38)가 상기 수용 보어 내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들(30) 대신, 복수 개, 예컨대 4개의 사전 센터링 노즈부(30a)(pre-centering nose)가 디커플링 부재(25)의 최대 직경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칼라부(38)에 의해, 디커플링 부재(25)의 소실 방지부는 스냅 링(29) 위에 기하학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최적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디커플링 부재가 경제적으로 제조 및 조립될 수 있고 작은 장착 공간을 요구하며 작은 선회을 위해 필요한 유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1: 연료 분사 밸브
2: 실링 링
3: 공급 측 단부
4: 연료 레일
5: 실링 링
6: 연결 스터브
7: 공급 연결편
8: 전기 접속 커넥터
9: 실린더 헤드
10: 홀딩다운 클램프
11: 베이스 부재
12: 수용 개구부
13: 홀딩다운 요크
14: 단부면
15: 유동 개구부
20: 수용 보어
21: 단차부, 견부 표면
22: 밸브 하우징
23: 견부
24: 중간 부재
25: 디커플링 부재
26: 하부 접경면
27: 상부 접경면
28: 견부
29: 스냅 링
30: 가이드 부재
30a: 사전 센터링 노즈부
31: 환형 칼라부
32: 정착 섀클부
38: 칼라부
39: 가이드 부재

Claims (12)

  1. 내연기관들의 연료 분사 시스템들을 위한, 특히 연소실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 위한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로서,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분사 밸브(1)와,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용 하나의 수용 보어(20)를 포함하며, 상기 디커플링 부재는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의 밸브 하우징(22)과 상기 수용 보어(20)의 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25)는 환형으로, 특히 폐쇄형 링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폐쇄형 링은, 상기 수용 보어(20)의 견부(23) 상에 안착되는 하부 접경면(26)과,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안쪽으로 상승하는 방식으로 원추형으로, 또는 추가로 큰 반경을 갖는 구면 만곡부를 구비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의 상기 밸브 하우징(22)의 구면으로 만곡되거나 원추형인 견부 표면(21)과 접촉되는 상부 접경면(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25)는 횡단면으로 볼 때 쿠션 유형인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25)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재이거나 또는 냉간 성형된 알루미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25)는, 반경 방향에서 안쪽을 향해 상기 연료 분사 밸브(1)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큰 유격이 존재하고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상기 수용 보어(20)의 벽부 쪽으로 갈수록 매우 작은 유격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25)의 내부 및 외부의 두 환형 외부면으로 향하는 상기 상부 접경면(27) 및 상기 하부 접경면(26)의 각각의 전이부들은 라운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외주면 상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30), 특히 3개 내지 12개의 가이드 부재(30)는 노즈(nose) 유형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칼라부들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주면 상에 환형 가이드 부재(39)를 포함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된 칼라부(38)가 상기 디커플링 부재(25)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25)의 최대 직경 상에 복수의 사전 센터링 노즈부(30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25)를 위한 소실 방지부로서 스냅 링(2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링(29)은 원주를 따라 연장되고 실질적으로는 평면인 환형 칼라부(31)를 포함하며, 이로부터는 원주에 걸쳐 분포되는 복수의 정착 섀클부(32)가 각이 진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부재(25)는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그 상부 접경면(27)의 영역에서 공차 보상을 위해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와의 선회 또는 경동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용 상기 수용 보어(20)는 실린더 헤드(9) 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보어(20)는 견부(23)를 포함하고, 상기 견부는 상기 수용 보어(20)의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견부 상에는 상기 디커플링 부재(25)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KR1020177016421A 2014-12-16 2015-10-19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KR102447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25988.6A DE102014225988A1 (de) 2014-12-16 2014-12-16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2014225988.6 2014-12-16
PCT/EP2015/074144 WO2016096200A1 (de) 2014-12-16 2015-10-19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851A true KR20170093851A (ko) 2017-08-16
KR102447583B1 KR102447583B1 (ko) 2022-09-28

Family

ID=5432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421A KR102447583B1 (ko) 2014-12-16 2015-10-19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41224B2 (ko)
EP (1) EP3234345B1 (ko)
JP (1) JP6612347B2 (ko)
KR (1) KR102447583B1 (ko)
CN (1) CN107110099B (ko)
DE (1) DE102014225988A1 (ko)
WO (1) WO2016096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1689A1 (de) * 2016-06-29 2018-01-04 Robert Bosch Gmbh Injektor mit Dämpfungselement
DE102016225957A1 (de) * 2016-12-22 2018-06-28 Robert Bosch Gmbh Injektor mit verbesserter Sicherung
EP3470659B1 (en) * 2017-10-13 2020-09-09 Vitesco Technologies GmbH Anti-reflection device for fuel injection valve and fuel injection valve
DE102018220945A1 (de) * 2018-12-04 2020-06-04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US11105305B2 (en) * 2019-04-22 2021-08-31 Hitachi Astemo Americas, Inc. Fuel injector cup with flow restriction pass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428A (ja) * 1993-09-01 1995-03-17 Naniwa Sangyo Kk 異径管の接続方法
KR20000068275A (ko) * 1997-06-25 2000-11-2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연료분사장치
JP2008523316A (ja) * 2004-12-17 2008-07-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噴射弁
JP2010127193A (ja) * 2008-11-28 2010-06-10 Denso Corp 燃料噴射弁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3523A (en) 1955-05-20 1958-10-29 Rolls Roy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formation of fluid-tight joints between tubes andassociated parts
JPH11280618A (ja) 1998-03-26 1999-10-15 Denso Corp 燃料噴射弁のインシュレータ
US6009856A (en) 1998-05-27 2000-01-04 Caterpillar Inc. Fuel injector isolation
DE10027662A1 (de) 2000-06-03 2001-12-06 Bosch Gmbh Robert Dichtmittel und Niederhalter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038763A1 (de) 2000-08-09 2002-02-21 Bosch Gmbh Robert Ausgleichselement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DE50110145D1 (de) 2001-01-12 2006-07-27 Ford Global Tech Inc Geraeuschreduzierende Anordnung von Unterlegscheiben unter einer Einspritzduese
DE10108194A1 (de) * 2001-02-21 2002-08-29 Bosch Gmbh Robert Dichtvorrichtung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108466A1 (de) 2001-02-22 2002-09-05 Bosch Gmbh Robert Ausgleichselement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US7293550B2 (en) * 2006-01-31 2007-1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injector isolation seat
DE102007035714A1 (de) 2007-07-30 2009-02-05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anlage mit Ausgleichselement
JP2009191920A (ja) 2008-02-13 2009-08-27 Toyota Motor Corp シールリング、ならびにシールリングの製造方法
DE102008054591A1 (de) 2008-12-12 2010-06-17 Robert Bosch Gmbh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JP5400594B2 (ja) 2009-12-11 2014-01-29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管路構成部材のフランジ接合構造
DE102011089295A1 (de) 2011-12-20 2013-06-20 Robert Bosch Gmbh Entkopplungselement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2012206194A1 (de) 2012-04-16 2013-10-17 Robert Bosch Gmbh Mehrteiliges Isolationselement, insbesondere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2012221134A1 (de) 2012-11-20 2014-05-22 Robert Bosch Gmbh Anordnung für eine Brennstoffeinspritzanlage mit einem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einem Entkoppele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428A (ja) * 1993-09-01 1995-03-17 Naniwa Sangyo Kk 異径管の接続方法
KR20000068275A (ko) * 1997-06-25 2000-11-2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연료분사장치
JP2008523316A (ja) * 2004-12-17 2008-07-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噴射弁
JP2010127193A (ja) * 2008-11-28 2010-06-10 Denso Corp 燃料噴射弁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583B1 (ko) 2022-09-28
CN107110099B (zh) 2020-08-18
JP6612347B2 (ja) 2019-11-27
JP2018500499A (ja) 2018-01-11
EP3234345A1 (de) 2017-10-25
US20170328325A1 (en) 2017-11-16
WO2016096200A1 (de) 2016-06-23
CN107110099A (zh) 2017-08-29
US10641224B2 (en) 2020-05-05
DE102014225988A1 (de) 2016-06-16
EP3234345B1 (de)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866B1 (ko) 연료 분사 장치
US9347411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KR20170093851A (ko)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US10794349B2 (en) Injection system, in particular fuel injection system, having a fluid-conveying component, a metering valve, and a mounting system
KR101597511B1 (ko)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US9920728B2 (en) Fuel injection system comprising a fuel-guiding component, a fuel injection valve and a mounting
US10072623B2 (en) Arrangement for a fuel injection system with a fuel injection valve and a decoupling element
CN108291512B (zh) 带热保护套筒的喷射器组件
US9938947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10648438B2 (en) Multipart insulat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10865752B2 (en) Metering valve for metering a fluid which serves in particular for fuel injection systems, mounting system for injection systems, and injection system having such a metering valve
JP2008523316A (ja) 燃料噴射弁
US20190107092A1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11047354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20190107093A1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20190136811A1 (en) Injection system, in particular fuel injection system, having a fluid-conveying component, a metering valve, and a mounting system
US9885331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US11053904B2 (en) Fuel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