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332B1 - 차단기 - Google Patents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332B1
KR102164332B1 KR1020197021742A KR20197021742A KR102164332B1 KR 102164332 B1 KR102164332 B1 KR 102164332B1 KR 1020197021742 A KR1020197021742 A KR 1020197021742A KR 20197021742 A KR20197021742 A KR 20197021742A KR 102164332 B1 KR102164332 B1 KR 102164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unit
main circuit
breaker mai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469A (ko
Inventor
고헤이 남바
히로시 도토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차단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차단기는, 차단기 주회로(31)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과, 고정측 락 부재(25)와, 프론트 사이드 유닛(26)과, 배전반(90)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 또는 고정측 락 부재(25)에는 락 해제 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이 제1 위치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이동측 락 부재(23)는 초기 위치에 있고,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이 제1 위치로부터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면, 락 해제 부재(24)와 연동하여 이동측 락 부재(23)가 끌어들임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이 제1 위치보다도 안쪽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측 락 부재(23)는, 끌어들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고정측 락 부재(25)에 개구되어 있는 걸림 구멍(25a)과 걸려 있다.

Description

차단기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단기 주회로의 의도하지 않은 반(盤)외로의 인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내 삽입 인터락(interlock)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에는, 차단기 본체(차단기 주회로)가, 문을 구비한 배전반(配電盤)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3).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는, 반외로부터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 외부 조작 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이 차단기에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는, 차단기 본체의 의도하지 않은 반외로의 인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는, 배전반의 문을 닫은 상태에서, 반외로부터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진다. 차단기 본체를 반외로 반출하거나, 반내로 삽입할 때에는, 배전반의 문을 열어 차단기 본체를 직접 수동으로 이동시킨다.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는, 이 인출 조작이나 삽입 조작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인터락 기구를 가지고 있다.
즉, 배전반의 내부로부터 차단기 본체를 인출할 때에, 의도하지 않은 차단기 본체의 반외로의 인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락 기구(이동측 락 부재 및 고정측 락 부재)가 동작한다. 이동 락 기구는, 배전반의 케이스와 접촉하여, 의도하지 않은 차단기 본체의 반외 인출 조작을 방지하고 있다. 작업자가 이동 락 기구의 해제 동작을 행함으로써, 차단기 본체를 반외로 인출하는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 때 차단기 본체의 반내로의 삽입 동작은, 수동으로 이동 락 기구를 해제함으로써 행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1-1054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소63-81607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공개 제2012-253895호 공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배전반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기기에는, 차단기 본체가 포함되어 있다. 오조작에 의한 반외 인출 조작에 의해, 배전반으로부터 기기가 의도하지 않게 낙하 또는 탈락한다. 배전반으로부터의 기기의 낙하와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기에는 이동 락 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작업자는, 이동 락 기구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배전반의 외부로의 인출 조작, 배전반의 내부로의 삽입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는 차단기 본체도, 이동 락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동 락 기구는, 배전반의 케이스와 걸려, 차단기 본체의 의도하지 않은 반외 인출을 방지한다.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는 차단기는,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지 않는 차단기와 구조의 공용화를 도모하기 위해, 외부 조작 기구의 구조 유닛은, 차단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단기 본체의 중심 위치의 부근에 이동 락 기구의 해제 기구를 마련하려면, 복수의 링크에 의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동 락 기구의 해제 기구는, 외부 조작 기구의 구조 유닛에 장착되어 있다.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는 차단기는, 반내 삽입/반외 인출 유닛(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 차단기실 케이스(컴파트먼트), 및 차단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반내 삽입/반외 인출 유닛은,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진 차단기 본체를 반내로 삽입할 때에 사용한다. 차단기 본체는,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는 것이 반내로 삽입된다.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진 차단기의 반내 삽입/반외 인출 유닛에서는, 차단기 본체의 반내 삽입시에도 이동 락 기구가 차단기실 프레임의 걸림부와 접촉한다. 작업자는, 삽입 조작시에는 반내 삽입/반외 인출 유닛의 조작 핸들을 중앙 방향으로 당겨, 이동 락 기구의 해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작업자는, 이동 락 기구의 해제 조작을 행하고 나서, 차단기 본체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로부터 떨어진 부분을 잡고, 배전반의 내부로 차단기 본체를 삽입한다. 이 때문에, 차단기 본체의 중심 위치의 부근을 잡고, 반내 삽입 조작을 행하는 것보다도 큰 조작력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해제 조작을 행하면서 차단기 본체를 배전반 내로 삽입한다. 작업자는, 이 때 해제 조작과 삽입 조작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에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출된 차단기 본체를 배전반의 내부로 삽입하는데 있어서, 이동 락 기구를 일시적으로 자동 해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차단기 본체의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단기는,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와, 차단기 주회로를 반송하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과, 걸림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측 락 부재와, 복원력을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를 수용하는 배전반을 구비하며, 프론트 사이드 유닛 또는 고정측 락 부재에는 락 해제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이동측 락 부재는 초기 위치에 있고,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로부터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면, 락 해제 부재와 연동하여 이동측 락 부재가 끌어들임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보다도 안쪽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측 락 부재는, 끌어들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고정측 락 부재에 개구되어 있는 걸림 구멍과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단기는,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와, 차단기 주회로를 반송하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과, 걸림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측 락 부재와, 복원력을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를 수용하는 배전반을 구비하며, 프론트 사이드 유닛 또는 고정측 락 부재에는 락 해제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이동측 락 부재는 초기 위치에 있고,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로부터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면, 락 해제 부재와 연동하여 이동측 락 부재가 끌어들임 위치를 향해 이동하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보다도 안쪽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측 락 부재는, 끌어들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고정측 락 부재에 개구되어 있는 걸림 구멍과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측 락 부재는, 끌어들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는, 반내 삽입시의 이동 락 기구를 자동적으로 해제함과 아울러, 이동 락 기구가 자동 해제된 후에는, 신속하게 반외 인출에 대한 락이 복귀되는 구조이다. 배전반의 문을 닫은 상태에서, 차단기 주회로를 반내에 삽입할 때에, 이동 락 기구를 일시적으로 자동 해제하여, 차단기 주회로의 반내 조작력의 저감, 및 반내 삽입시의 작업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차단기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시험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전체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접속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전체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인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을 전방 경사진 상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을 나타내는 상면도(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유닛 조작 핸들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이 초기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유닛 조작 핸들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이 끌어들임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테이퍼 부재의 확대 상면도(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유닛 조작 핸들 및 테이퍼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인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시험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斜視) 외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시험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접속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 외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인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 외관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인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인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시험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 외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시험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인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 외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차단기 주회로가 인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대응하는 각 구성부의 사이즈나 축척은 각각 독립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구성의 일부를 변경한 단면도의 사이에서, 변경되어 있지 않은 동일 구성 부분을 도시할 때에, 동일 구성 부분의 사이즈나 축척이 다른 경우도 있다. 또,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는, 실제로는 복수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지만,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을 기재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단기의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반내 삽입/반외 인출 유닛)은, 배전반의 문을 닫은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100)는, 통상, 횡방향으로 복수대가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있다. 차단기(100)는, 차단기 유닛(30), 배전반(90), 수평 모선(103), 케이블(104), 변류기(變流器)(106)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차단기 유닛(30)은, 배전반(90)의 내부에 넣어져 있다. 배전반(90)은, 배전반 본체(91)와 배전반 문(92)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전반(90)의 배전반 문(92)은, 배전반 본체(91)의 전면(前面)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배전반 문(92)에는, 문 개구부(92a)가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배전반 본체(91)의 내부의 거의 중앙에는, 복수대의 배전반 본체(91)의 사이를 관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수평 모선(103)을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은, 도면에서, 지면의 두께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배전반 본체(91)의 내부에는, 차단기 유닛(30) 등이 장착되어 있다.
수평 모선(103)의 후방에는, 배전반 본체(9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도록 2개의 케이블(104)을 배치하고 있다. 또, 수평 모선(103)의 전방에는, 배전반 본체(91)에 고정된 차단기 유닛(30)을 상하 방향으로 2개 배치하고 있다. 각각의 차단기 유닛(30)의 내부에는, 1대의 차단기 주회로(31)를 배치하고 있다. 접속부(105)는, 절연 커버에 의해 보호되어 있고, 차단기 유닛(30)의 후부벽에 장착되어 있다. 접속부(105)는,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합계 6개가 하나인 차단기 유닛(30)에, 마련되어 있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과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은, 외부 조작 기구의 구조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접속부(105)의 일단은, 수평 모선(103) 혹은 변류기(106)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104)에 접속되어 있다.
차단기 유닛(30)은,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105)의 타단은, 차단기 주회로(31)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차단기 주회로(31)의 단자와 끊어진다. 차단기 유닛(30)은, 차단기 주회로(31)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반내 삽입/반외 인출 유닛)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 주회로(31)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 탑재되어 있고,차단기 유닛(30)의 내부에서, 배전반 본체(91)의 전후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한다. 이 도면에서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시험 위치에 놓여져 있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전부(前部)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 유닛(3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개략 단면도이다. 각각의 차단기 주회로(31)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 탑재되어 있다. 차단기 유닛(30)은 배전반(90)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는, 캐스터(21) 등이 마련되어 있다. 차단기 주회로(31)에는, 전면(前面)에 차단기 핸들(32)이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에는, 유닛 조작 레버(28), 유닛 조작 핸들(22) 등이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유닛 조작 레버(28)를 조작하려면, 조작봉의 선단을 문 개구부(92a)로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이 조작봉을 이용하여 유닛 조작 레버(28)를 배전반(90)의 외부로부터 조작하면,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3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차단기 주회로(31)를 배전반(90)에 설치하려면, 반외에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31)를, 먼저, 배전반 문(92)을 연 상태에서, 차단기 유닛(30)의 컴파트먼트(30A)에 탑재한다. 이 때, 차단기 주회로(31)는, 인출 위치(A)(제1 위치)에 놓여져 있다. 또,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은, 인출 위치(D)(제1 위치)에 놓여져 있다. 인출 위치는, 차단기 주회로(31)의 전면부가 일부 반외로 인출된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다음으로, 차단기 핸들(32) 또는 유닛 조작 핸들(22)을 수동으로 밀어서, 차단기 주회로(31) 및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을, 시험 위치(B)(제2 위치) 및 시험 위치(E)(제2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배전반 문(92)을 닫은 상태에서, 조작봉을 이용하여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유닛 조작 레버(28)를 조작하면, 캐스터(21)를 구비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은, 수평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이동하여, 차단기 주회로(31)가 접속 위치(C)(제3 위치)까지 도달한다. 즉, 차단기 유닛은 외부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회로도이다.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시험 위치(제2 위치)에 놓여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접속부(105)로부터, 끊어져 있다. 차단기 유닛에서는, 차단기 주회로(31)에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차단기 주회로(31)는, 시험 위치에서도, 접속부(105)로부터, 끊어져 있다. 전력의 수전(受電) 회로는, 통상 3상(相) 회로(R상, S상, T상)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3개의 버스 바(bus bar)(수평 모선(103))를 평행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배전반의 측단면도에서는, 각 상(R상, S상, T상)은, 상측 차단기 주회로의 하측 단자와, 하측 차단기 주회로의 상측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104)은, 직경이 수센티미터 정도의 절연 전선이다. 이 케이블(104)은, 스위치 기어(차단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서 스위치 기어의 내측으로 끌어들여져 있다. 케이블(104)을, 천정으로부터 스위치 기어 내에 끌어들이는 방식도 있다. 변류기(106)(CT:Current Transformer)는, 버스 바에 장착되어,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값(수백~수천A)을 검출하고 있다. 케이블(104)의 세워짐부의 ○표는, 버스 바와 끌어들여진 케이블 선단의 접속부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105)는, 차단기 주회로(31)의 단자와 끊어질 수 있다. 접속부(105)와 ○표의 사이는, 단면이 평각(平角) 모양인 동제(銅製)의 버스 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회로도이다. 차단기 주회로(31)는, 접속 위치(제3 위치)에 놓여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접속부(105)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31)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되어, 2개의 케이블(104)에,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있다. 변류기(106)에서,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고 있다. 버스 바에는 수천V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스위치 기어의 케이스, 내부의 각 실(室) 사이의 칸막이는 접지 전위로 되어 있다. 또, 버스 바는, 변류기(106)(CT)를 관통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버스 바에는 수천V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접지 전위인 스위치 기어의 케이스나 칸막이로부터 소정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게다가, 전술의 변류기(106)(CT)를 관통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유닛(3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차단기 유닛(30)은, 컴파트먼트(30A)(배판(背板)(35), 측판(36) 등),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차단기 주회로(3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 탑재되어 있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인출 위치(제1 위치)에 놓여져 있다. 스위칭 차단기의 주회로부로부터 연장되는 심선(芯線)을 보호하기 위해서, 차단기 주회로(31)에는 절연 커버(34)가 마련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은, 프론트 사이드 유닛 본체(26A), 유닛 조작 핸들(22), 유닛 조작 레버(2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는, 인출 위치에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 이미 장착되어 있어도 괜찮다.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좌우에 장착되어 있다. 유닛 조작 핸들(22) 및 유닛 조작 레버(28)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26)(프론트 사이드 유닛 본체(26A))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자가 차단기 핸들(32)(유닛 조작 핸들(22))을 안쪽 방향(P방향)으로 밀면,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가 후측 방향(안쪽측)으로 이동한다. 작업자가 차단기 핸들(32)(유닛 조작 핸들(22))을 문측 방향(Q방향)으로 당겨 되돌리면,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가 전측 방향(전측)으로 이동한다.
도 6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유닛(30)의 이동 기구(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은, 프론트 사이드 유닛 본체(26A), 유닛 조작 핸들(22), 이동측 락 부재(23), 테이퍼 부재(24)(락 해제 부재), 유닛 조작 레버(2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는, 차단기 주회로(31)가 인출 위치에서 탑재된다. 차단기 주회로(31)가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은, 작업자가 시험 위치에서 유닛 조작 레버(28)를 쓰러뜨리면,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으로부터 떨어져, P방향을 향하여, 컴파트먼트(30A)의 슬라이드 베이스(37) 상을 기계적으로 접속 위치까지 이동한다. 작업자가 접속 위치에서 유닛 조작 레버(28)를 재차 조작하면, 차단기 유닛(30)은, 컴파트먼트(30A)의 슬라이드 베이스(37) 상을 기계적으로 Q방향으로 이동하여, 시험 위치로 되돌아온다.
도 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서의,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사시도이다.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는, 고정측 락 부재(25), 이동측 락 부재(23), 테이퍼 부재(24)(락 해제 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차단기 유닛(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프론트 사이드 유닛(26) 및 차단기 주회로(31))은 인출 위치에 놓여져 있다. 여기에서는, 복원력을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23)는 초기 위치에 있다.
도 7을 이용하여,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고정측 락 부재(25)에는, 제1 걸림 구멍(25a)과 제2 걸림 구멍(25b)이 개구되어 있다. 제1 걸림 구멍(25a)은, 이동측 락 부재(23)에 대응하고 있다. 제2 걸림 구멍(25b)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테이퍼 부재(24)에 대응하고 있다. 인출 위치에서는, 이동측 락 부재(23)와 테이퍼 부재(24)는, 고정측 락 부재(25)의 외부(입구측)에 놓여져 있다. 이동측 락 부재(23) 및 테이퍼 부재(24)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에 장착되어 있다. 제1 걸림 구멍(25a)은 제2 걸림 구멍(25b)보다도 배전반의 전(前)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차단기 주회로(31))은, 시험 위치에 놓여져 있다. 도 8에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고정측 락 부재(25), 슬라이드 베이스(37)(저판), 프론트 사이드 유닛(26), 차단기 주회로(31) 등이 나타내어져 있다. 작업자는, 전기적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조작봉(70)을 이용하여, 배전반 문(92)(배전반(90))의 외측으로부터, 유닛 조작 레버(28)를 조작한다.
작업자는, 유닛 조작 레버(28)를 조작하려면, 조작봉(70)을, 배전반 문(92)에 개구되어 있는 문 개구부(92a)로부터, 배전반 본체(91)의 내부로, 삽입한다. 유닛 조작 레버(28)가 조작되면,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은,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으로부터 분리되어, 슬라이드 베이스(37) 상을 슬라이드 이동한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은, 배전반의 안쪽 방향(P방향, 도 5를 참조)을 향하여, 차단기 유닛(30)의 접속 위치까지 이동한다. 고정측 락 부재(25)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좌우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에는, 유닛 조작 레버(28)의 반대측에, 테이퍼 부분을 가지는 테이퍼 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테이퍼 부재(24)는, 이동측 락 부재(23) 및 유닛 조작 핸들(22)과 연동하여 움직인다. 테이퍼 부재(24)는, 작업자가 유닛 조작 핸들(22)을 중앙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면, 마찬가지로 중앙 방향을 향해 움직이기 때문에,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위치 락이 해제된다.
도 9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유닛(3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이다. 차단기 유닛(30)은, 차단기 주회로(31)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과 프론트 사이드 유닛(2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닛 조작 레버(28), 유닛 조작 핸들(22), 이동측 락 부재(23), 테이퍼 부재(24) 등이,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에 장착되어 있다. 테이퍼 부재(24)는, 이동측 락 부재(23)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유닛 조작 핸들(22)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차단기 주회로(31))의 중앙 방향(화살표의 방향)을 향해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작업자가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유닛 조작 핸들(22)을 중앙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면,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이동측 락 부재(23)(및 테이퍼 부재(24))도 중앙 방향을 향해 축퇴(縮退, 수축하여 퇴피됨)되면서, 끌어들임 위치로 이동한다. 이동측 락 부재(23)가 중앙 방향으로 끌여들여지면,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위치 락이 해제된다. 시험 위치에서, 유닛 조작 레버(28)를 우측 방향으로 쓰러뜨리면,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으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가 안쪽 방향으로 진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주회로(31) 및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측면도이다. 차단기 유닛(30)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슬라이드 베이스(37)(저판), 프론트 사이드 유닛(26), 차단기 주회로(3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는, 차단기 주회로(31)가 탑재되어 있다. 차단기 유닛(30)이 시험 위치(B)에 놓여져 있을 때에, 작업자가 유닛 조작 레버(28)를 조작하면,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은, 접속 위치(C)를 향하여, 슬라이드 베이스(37) 상을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1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유닛 조작 핸들(22)의 근방을 나타내고 있는 확대도이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유닛 조작 핸들(22), 이동측 락 부재(23) 및 테이퍼 부재(24)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테이퍼 부재(24)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뒤측에 리벳(24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유닛 조작 핸들(22)은, 축퇴 상태(끌어들임 위치)로부터 작업자가 손을 놓으면, 복원 스프링(27)의 작용으로, 중앙 방향으로부터 외부 방향을 향하여, 복귀한다. 유닛 조작 핸들(22), 이동측 락 부재(23) 및 테이퍼 부재(24)의 움직임은, 연동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유닛 조작 핸들(22)의 근방을 나타내고 있는 확대도이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유닛 조작 핸들(22), 이동측 락 부재(23) 및 테이퍼 부재(24)가, 끌어들임 위치에 축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유닛 조작 핸들(22)은, 작업자가 축퇴 상태로부터 손을 놓으면, 복원 스프링(27)의 작용으로, 끌어들임 위치(중앙 방향)로부터 초기 위치(외부 방향)를 향하여, 복귀한다. 유닛 조작 핸들(22), 이동측 락 부재(23) 및 테이퍼 부재(24)의 움직임은, 연동하고 있다.
도 13은,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유닛 조작 핸들(22)의 근방에서의 상면 확대도이다.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퍼 부재(24)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테이퍼 부재(24)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 본체(26A)에 리벳(24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테이퍼 부재(24)는, 주요변(24b)이, 프론트 사이드 유닛(26)(및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내부측을 향해 폭이 감소하도록, 테이퍼 모양으로 가공되어 있다. 테이퍼 부재(24)의 주요변(24b)은,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에 장착되어 있는 이동측 락 부재(23)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락 위치로부터 해제되도록 기능한다.
즉, 프론트 사이드 유닛(26)과 연결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이 인출 위치(제1 위치)로부터 배전반의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여,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테이퍼 부재(24)가 고정측 락 부재(25)와 접촉하면,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이동측 락 부재(23)가 연동하여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중앙 방향으로 끌여들임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또, 도 13에서는, 차단기 주회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테이퍼 부재(24)를 중앙 방향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테이퍼 부재(24)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측 락 부재(23)와 테이퍼 부재(24)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테이퍼의 구성 방법은 상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4는,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유닛 조작 핸들(22)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유닛 조작 핸들(22)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닛 조작 핸들(22)과 테이퍼 부재(24)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 본체(26A)에 리벳(24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테이퍼 부재(24)는, 주요변(24b)이, 테이퍼 모양으로 가공되어 있다. 유닛 조작 핸들(22)은, 그립성을 고려하여, 경사져 있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5에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차단기 주회로(31), 이동측 락 부재(23), 테이퍼 부재(24), 고정측 락 부재(25), 프론트 사이드 유닛(26)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인출 위치에 놓여져 있다. 제1 걸림 구멍(25a)과 제2 걸림 구멍(25b)은, 각각, 고정측 락 부재(25)에 가공되어 있다. 이동측 락 부재(23)는, 초기 위치에 있다.
제1 걸림 구멍(25a)은, 이동측 락 부재(23)에 대응하는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제2 걸림 구멍(25b)은, 테이퍼 부재(24)에 대응하는 크기 및 높이로 개구되어 있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캐스터(21)는, 차단기 주회로(31)가 튀어 나오지 않도록, 주축이, 고정측 락 부재(25)의 내측 상변(上邊)(25d)을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한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이 인출 위치로부터 시험 위치로 이동할 때에, 테이퍼 부재(24)는 고정측 락 부재(25)로부터 항력을 받는다. 이 항력에 의해서, 이동측 락 부재(23)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중앙 방향을 향해 축퇴하면서 끌어들여 이동한다.
도 16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유닛(3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6에서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가 시험 위치에 있는 경우가 표현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과 직교하도록, 고정측 락 부재(25)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좌우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측 락 부재(25)는, 차단기 유닛(30)(컴파트먼트(30A))에 고정되어 있다. 시험 위치에서는, 이동측 락 부재(23)와 고정측 락 부재(25)가 걸려 있기 때문에, 프론트 사이드 유닛(26) 및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7에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차단기 주회로(31), 이동측 락 부재(23), 고정측 락 부재(25) 등이 표시되어 있다. 도 17에서는, 차단기 유닛(30)(차단기 주회로(31))은, 시험 위치에 놓여져 있다. 고정측 락 부재(25)의 제1 걸림 구멍(25a)은, 이동측 락 부재(23)와 걸려 있다. 고정측 락 부재(25)의 제2 걸림 구멍(25b)은, 테이퍼 부재(24)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은, 고정측 락 부재(25)에 대해서, 위치가 락되어 있어, 안쪽 방향으로 그것 이상 진행할 수 없다. 이동측 락 부재(23)는, 초기 위치에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 유닛(3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8에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가 접속 위치에 있는 경우가 표현되어 있다. 차단기 유닛(30)의 접속 위치에서는, 제1 걸림 구멍(25a)은, 이동측 락 부재(23)와 걸려 있다. 마찬가지로, 차단기 유닛(30)의 접속 위치에서는, 제2 걸림 구멍(25b)은, 테이퍼 부재(24)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은, 고정측 락 부재(25)에 대해서, 위치가 락되어 있어, 안쪽 방향으로 그것 이상 진행할 수 없다. 작업자가, 반외로부터, 유닛 조작 레버(28)를 횡방향으로 쓰러뜨리면,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는, 배전반의 안쪽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이동하고, 차단기 유닛(30)은 접속 위치에 놓여진다. 접속 위치에 도달한 차단기 주회로(31)는, 심선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가 된다(도 4를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 유닛은,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고 있고, 배전반의 문을 닫은 상태에서, 시험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차단기 주회로(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는 차단기 주회로(31)가 탑재되어 있다. 작업자는, 배전반의 문을 연 상태에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를 P방향, Q방향으로 조작하여, 반내 삽입과 반외 인출을 행하는 것이다. 삽입 조작시, 작업자는 유닛 조작 핸들(22)을 잡고, 도면 중의 P방향으로 힘을 가해, 차단기 주회로의 삽입 조작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는, 이동측 락 부재(23)에, 위치 락의 자동 해제를 위한 락 해제 부재(테이퍼 부재(24))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이퍼 부재(24)는, 유닛 조작 핸들(22)에 체결되어 있다. 유닛 조작 핸들(22)에는 복원 스프링(27)(복귀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어, 유닛 조작 핸들(22)은, 자동으로 차단기 외측을 향해서 복귀하는 것이다. 작업자는, 삽입 조작시, 차단기 핸들(32)을 잡고, 반내 삽입을 행하는 것이다.
삽입 조작시에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테이퍼 부재(24)가 고정측 락 부재(25)의 제2 걸림 구멍(25b)과 걸리는 것에 의해,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테이퍼 부재(24)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테이퍼 부재(24)의 중앙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측 락 부재(23)도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삽입 조작시에는 이동 락 기구의 자동 해제가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는, 차단기 유닛(30)에서, 이동측 락 부재(23)의 차단기 삽입 방향으로 테이퍼 부재(2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반내 삽입시에는 이동측 락 부재의 자동 해제가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삽입 조작시에 이동측 락 부재의 해제가 불필요해지므로, 차단기 핸들(32)을 잡고, 차단기 주회로(31)의 삽입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기 핸들(32)은 차단기 주회로(31)의 중심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게다가 작업자가 가하는 힘은 도면 중 P방향뿐이기 때문에, 조작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는,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와, 상기 차단기 주회로를 반송하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과, 제1 걸림 구멍과 제2 걸림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측 락 부재와, 락 해제 부재와 이동측 락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를 수용하는 배전반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 구멍은 상기 제2 걸림 구멍보다도 상기 배전반의 전(前)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연결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배전반의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락 해제 부재가 상기 고정측 락 부재와 접촉하면,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이동측 락 부재가 연동하여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이 제1 위치보다도 안쪽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측 락 부재와 상기 락 해제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구멍과 상기 제2 걸림 구멍과 각각 걸려,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연결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은 이동이 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에서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는, 인출 위치에 놓여져 있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는, 이동측 락 부재(23)와 고정측 락 부재(25)의 형상이 다르다.
도 2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2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유닛 조작 핸들(22)의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0에서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인출 위치에 놓여져 있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이동측 락 부재(23)는, 산(山)형으로 가공되고, 도중(途中)에서 절곡되어 있으며, 테이퍼 부재(23a)(락 해제 부재 또는 테이퍼면)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고정측 락 부재(25)는, 이동측 락 부재(23)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구멍(25c)이 1개소에만 마련되어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2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측면도이다. 도 21에서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인출 위치에 놓여져 있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이동측 락 부재(23)도, 유닛 조작 핸들(22)과 연동하여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한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고정측 락 부재(25)에는, 이동측 락 부재(23)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구멍(25c)이 1개소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동측 락 부재(23)의 테이퍼 부재(23a)(테이퍼면)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고,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이 인출 위치로부터 시험 위치로 이동할 때에, 고정측 락 부재(25)로부터 항력을 받는다.
도 2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2에 관한 차단기 유닛(3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2에서는, 차단기 유닛(30)(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이 시험 위치에 있는 경우가 표현되어 있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26)과 직교 하도록, 고정측 락 부재(25)가 좌우에 장착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고정측 락 부재(25)에는, 이동측 락 부재(23)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구멍(25c)이 마련되어 있다. 차단기 유닛(30)의 시험 위치에서는, 고정측 락 부재(25)의 걸림 구멍(25c)과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이동측 락 부재(23)가 걸려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2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23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이동측 락 부재(23) 및 고정측 락 부재(25)를 확대 표시하고 있다. 도 23에서는, 차단기 유닛(30)은, 시험 위치에 놓여져 있다. 고정측 락 부재(25)의 걸림 구멍(25c)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이동측 락 부재(23)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은, 고정측 락 부재(25)에 대해서, 위치가 락되어 있어, 안쪽 방향으로 그것 이상 진행할 수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 유닛은,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고 있고, 배전반의 문을 닫은 상태에서, 시험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차단기 주회로(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는 차단기 주회로(31)가 탑재되어 있다. 작업자는, 배전반의 문을 연 상태에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를 P방향, Q방향으로 조작하여, 반내 삽입과 반외 인출을 행하는 것이다. 삽입 조작시, 작업자는 유닛 조작 핸들(22)을 잡고, 도면 중의 P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차단기 주회로의 삽입 조작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는, 이동측 락 부재(23)에, 위치 락의 자동 해제를 위한 락 해제 부재(테이퍼 부재(23a):테이퍼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이퍼 부재(23a)를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23)는, 유닛 조작 핸들(22)에 체결되어 있다. 유닛 조작 핸들(22)에는 복원 스프링(27)(복귀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어, 유닛 조작 핸들(22)은, 자동으로 차단기 외측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작업자는, 삽입 조작시, 차단기 핸들(32)을 잡고, 반내 삽입을 행하는 것이다.
삽입 조작시에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23)가 고정측 락 부재(25)의 걸림 구멍(25c)과 걸리는 것에 의해, 테이퍼면을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23)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측 락 부재(23)의 테이퍼면의 중앙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측 락 부재(23)도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삽입 조작시에는 이동 락 기구의 자동 해제가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는, 차단기 유닛(30)에서, 이동측 락 부재(23)의 차단기 삽입 방향으로 테이퍼면(테이퍼 부재(23a))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반내 삽입시에는 이동측 락 부재의 자동 해제가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삽입 조작시에 이동측 락 부재의 해제가 불필요해지므로, 차단기 핸들(32)을 잡고, 차단기 주회로(31)의 삽입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기 핸들(32)은 차단기 주회로(31)의 중심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게다가 작업자가 가하는 힘은 도면 중 P방향뿐이기 때문에, 조작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는,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와, 상기 차단기 주회로를 반송하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과, 걸림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측 락 부재와, 락 해제 부재를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를 수용하는 배전반을 구비하며,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연결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배전반의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이동측 락 부재가 가지는 락 해제 부재가 상기 고정측 락 부재와 접촉하면,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이동측 락 부재가 연동하여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이 제1 위치보다도 안쪽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측 락 부재의 락 해제 부재는, 상기 걸림 구멍과 걸려,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연결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은 이동이 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에서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는, 인출 위치에 놓여져 있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와는, 고정측 락 부재(25)의 형상이 다르다.
도 2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3에 관한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4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또 도 25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유닛 조작 핸들(22)의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25에서는, 차단기 주회로(31)는, 인출 위치에 놓여져 있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이동측 락 부재(23)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으로부터 외측 방향(반(反)중앙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고정측 락 부재(25)에는, 이동측 락 부재(23)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구멍(25e)과 고정측 테이퍼 부재(25f)(락 해제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측 테이퍼 부재(25f)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고, 고정측 락 부재(25)의 입구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락의 자동 해제를 위해, 반(盤)측에 이동측 락 부재(23)에 항력을 부여하는 고정측 테이퍼 부재(25f)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5에서는, 고정측 테이퍼 부재(25f)를 차단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외측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테이퍼 형상에 관해서는 상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삽입 조작시, 작업자는 차단기 핸들(32)을 잡고, 반내 삽입을 행하는 것이다. 삽입 조작시에는, 이동측 락 부재(23)는 고정측 테이퍼 부재(25f)로부터 항력을 받는 것에 의해, 이동측 락 부재(23)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한다. 최종적으로, 이동측 락 부재(23)는, 걸림 구멍(25e)에 삽입되므로, 삽입 조작시에는 이동 락 기구의 자동 해제가 가능하다.
이동측 락 부재(23)의 차단기 프레임과의 걸림부를, 반(盤)의 정면측으로부터 보아 양측에 한 쌍 마련하고, 각 걸림부를 반의 폭방향으로 구동 조작 가능하게 유닛 조작 핸들(22)을 마련하고 있다. 이 유닛 조작 핸들(22)은, 반의 전방을 향해 경사 상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유닛 조작 핸들(22)을 반의 전방을 향해 경사 상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차단기 전면에서 조작하는 작업자가 경사 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이동측 락 부재(23)를 조작하는 경우에, 유닛 조작 핸들(22)이 반의 상방(上方)(수직) 혹은 전방(수평)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 유닛은, 외부 조작 기구를 가지고 있고, 배전반의 문을 닫은 상태에서, 시험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차단기 주회로(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에는 차단기 주회로(31)가 탑재되어 있다. 작업자는, 배전반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 및, 차단기 주회로(31)를 P방향, Q방향으로 조작하여, 반내 삽입과 반외 인출을 행하는 것이다. 삽입 조작시, 작업자는 유닛 조작 핸들(22)을 잡고, 도면 중의 P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차단기 주회로의 삽입 조작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는, 고정측 락 부재(25)에, 위치 락의 자동 해제를 위한 락 해제 부재(고정측 테이퍼 부재(25f))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측 테이퍼 부재(25f)는, 고정측 락 부재(25)와 일체화되어 있다. 유닛 조작 핸들(22)에는 복원 스프링(27)(복귀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고, 유닛 조작 핸들(22)은, 자동으로 차단기 외측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작업자는, 삽입 조작시, 차단기 핸들(32)을 잡고, 반내 삽입을 행하는 것이다.
삽입 조작시에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이동측 락 부재(23)가 고정측 락 부재(25)의 고정측 테이퍼 부재(25f)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이동측 락 부재(23)가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중앙 방향으로 끌어들여져 이동하기 때문에, 삽입 조작시에는 이동 락 기구의 자동 해제가 가능하다. 프론트 사이드 유닛(26)의 이동측 락 부재(23)의 중앙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유닛 조작 핸들(22)도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2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삽입 조작시에는 이동 락 기구의 자동 해제가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는, 차단기 유닛(30)에서, 고정측 락 부재(25)의 입구측에, 고정측 테이퍼 부재(25f)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반내 삽입시에는 이동측 락 부재의 자동 해제가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삽입 조작시에 이동측 락 부재의 해제가 불필요해지므로, 차단기 핸들(32)을 잡고, 차단기 주회로(31)의 삽입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기 핸들(32)은 차단기 주회로(31)의 중심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게다가 작업자가 가하는 힘은 도면 중 P방향뿐이기 때문에, 조작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단기는,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와, 상기 차단기 주회로를 반송하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과, 걸림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측 락 부재와, 이동측 락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를 수용하는 배전반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락 부재에는, 락 해제 부재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연결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배전반의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이동측 락 부재가 상기 고정측 락 부재의 락 해제 부재와 접촉하면,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이동측 락 부재가 연동하여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이 제1 위치보다도 안쪽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측 락 부재는, 상기 걸림 구멍과 걸려,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연결된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은 이동이 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 형태를 자유롭게 조합시키거나, 각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20 :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 21 : 캐스터
22 : 유닛 조작 핸들 23 : 이동측 락 부재
24 : 테이퍼 부재 24a : 리벳
24b : 주요변 25 : 고정측 락 부재
25a : 제1 걸림 구멍 25b : 제2 걸림 구멍
25c : 걸림 구멍 25d : 내측 상변
25e : 걸림 구멍 25f : 고정측 테이퍼 부재
26 : 프론트 사이드 유닛 27 : 복원 스프링
28 : 유닛 조작 레버 30 : 차단기 유닛
31 : 차단기 주회로 32 : 차단기 핸들
34 : 절연 커버 35 : 배판
36 : 측판 37 : 슬라이드 베이스
40 : 반내 삽입 인터락 기구 70 : 조작봉
90 : 배전반 91 : 배전반 본체
92 : 배전반 문 92a : 문 개구부
100 : 차단기 103 : 수평 모선
104 : 케이블 105 : 접속부
106 : 변류기

Claims (10)

  1.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와,
    상기 차단기 주회로를 반송하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과,
    걸림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측 락 부재와,
    복원력을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를 수용하는 배전반을 구비하며,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에는 락 해제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락 해제 부재는, 상기 이동측 락 부재보다도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측 락 부재는 초기 위치에 있고,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락 해제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측 락 부재가 끌어들임 위치를 향해 이동하며,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보다도 안쪽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측 락 부재는, 상기 끌어들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고정측 락 부재에 개구되어 있는 걸림 구멍과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측 락 부재에는, 락 해제 부재와 걸리는 걸림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해제 부재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의 이동측 락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4.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차단기 주회로와,
    상기 차단기 주회로를 반송하는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과,
    걸림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측 락 부재와,
    복원력을 가지는 이동측 락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에 탑재된 차단기 주회로를 수용하는 배전반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락부재의 입구측에는 락 해제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제1 위치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측 락 부재는 초기 위치에 있고,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락 해제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측 락 부재가 끌어들임 위치를 향해 이동하며,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보다도 안쪽측의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측 락 부재는, 상기 끌어들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고정측 락 부재에 개구되어 있는 걸림 구멍과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에는, 유닛 조작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유닛 조작 레버를 이동하면, 연결되어 있던 프론트 사이드 유닛과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은 분리되고,
    상기 차단기 주회로 반송 유닛에 탑재되어 있는 차단기 주회로가, 더 안쪽측으로 제3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유닛에는, 경사져 있는 유닛 조작 핸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닛 조작 핸들과 상기 이동측 락 부재는,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닛 조작 핸들과 상기 이동측 락 부재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KR1020197021742A 2017-01-31 2017-01-31 차단기 KR102164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3373 WO2018142454A1 (ja) 2017-01-31 2017-01-31 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469A KR20190095469A (ko) 2019-08-14
KR102164332B1 true KR102164332B1 (ko) 2020-10-12

Family

ID=5996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742A KR102164332B1 (ko) 2017-01-31 2017-01-31 차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203462B1 (ko)
KR (1) KR102164332B1 (ko)
CN (1) CN110235324B (ko)
DE (1) DE112017006962B4 (ko)
TW (1) TWI620385B (ko)
WO (1) WO20181424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3539B2 (ja) 2015-03-23 2016-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加熱調理器、及び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539Y2 (ja) * 1979-07-21 1985-04-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被圧延物のガイド装置
JPS61117514U (ko) * 1985-01-09 1986-07-24
JPS6381607A (ja) 1986-09-25 1988-04-12 Alps Electric Co Ltd 磁気ヘツド用ラミネ−トコアの製造方法
JPS6381607U (ko) * 1986-11-12 1988-05-30
JPH06169507A (ja) * 1992-12-02 1994-06-14 Toshiba Corp 配電盤のユニット引出装置
JPH0742529U (ja) * 1993-12-28 1995-08-04 中立電機株式会社 引出型遮断器のロック装置
KR200156756Y1 (ko) * 1996-08-01 1999-09-01 이종수 차단기의 인출장치
JP3792019B2 (ja) * 1997-09-29 2006-06-28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式開閉機器及びその鎖錠装置
CN100377459C (zh) * 2004-12-10 2008-03-26 上海电器科学研究所(集团)有限公司 断路器的位置锁定装置
PL1962397T3 (pl) * 2007-02-23 2013-06-28 Gen Electric Układ blokowania żaluzji dla wyjmowanych wyłączników instalacyjnych oraz sposób jego montażu
JP4965359B2 (ja) * 2007-06-27 2012-07-04 富士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031965B1 (ko) * 2009-06-25 2011-04-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CN201805172U (zh) * 2010-09-11 2011-04-20 新疆奎开电气有限公司 低压抽出式成套开关柜抽屉用联锁机构
KR101470048B1 (ko) * 2010-11-01 2014-12-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중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출입 장치
JP2012253895A (ja) * 2011-06-02 2012-12-20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引出形回路遮断器
DE102011087551B3 (de) * 2011-12-01 2013-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en Einschaltknopf eines Leistungsschalters
KR20130071183A (ko) * 2011-12-20 2013-06-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제어 전원 연동 록 장치
WO2013168300A1 (ja) * 2012-05-10 2013-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盤内移動機器の外部操作機構
KR101793544B1 (ko) 2015-12-30 2017-1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3539B2 (ja) 2015-03-23 2016-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加熱調理器、及び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2454A1 (ja) 2018-08-09
TWI620385B (zh) 2018-04-01
KR20190095469A (ko) 2019-08-14
TW201830814A (zh) 2018-08-16
JPWO2018142454A1 (ja) 2019-02-14
CN110235324B (zh) 2020-08-14
DE112017006962T5 (de) 2019-10-31
CN110235324A (zh) 2019-09-13
JP6203462B1 (ja) 2017-09-27
DE112017006962B4 (de) 202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1052636B1 (ko)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EP2498354A2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KR20110079231A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099420B1 (ko)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CN102035148A (zh) 用于具有测试位置的低压面板的功能单元
KR20180035079A (ko) 배전반 내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JP6764295B2 (ja) スイッチギヤ
KR102164332B1 (ko) 차단기
CN103515845B (zh) 用于将电气设备锁定在导轨上的装置以及电气开关设备
KR10170443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US9941675B2 (en) Switch cabinets for use in electrical switchgear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US9742164B2 (en)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for a switching device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KR200489519Y1 (ko)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CN102782970A (zh) 用于开关柜的设备插入单元
EP3627640B1 (en) Drawer-type circuit breaker
US20160315454A1 (en) Auxiliary compartment for a switchgear system
CN107086480B (zh) 真空接触器的熔丝盒和盒盖
WO2015180846A1 (en) Assembly for a withdrawable switching device and related switching device
JP6632402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701816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KR100954558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배전반
EP3840146A1 (en) Cart for an air-insulated switchgear and air-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such cart
KR101689948B1 (ko) 정격식별을 위한 식별볼트를 구비하는 인입출형 진공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